KR101436341B1 -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기술 - Google Patents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341B1
KR101436341B1 KR1020137001064A KR20137001064A KR101436341B1 KR 101436341 B1 KR101436341 B1 KR 101436341B1 KR 1020137001064 A KR1020137001064 A KR 1020137001064A KR 20137001064 A KR20137001064 A KR 20137001064A KR 101436341 B1 KR101436341 B1 KR 101436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ata frame
operating voltage
phased array
controlled ph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299A (ko
Inventor
쒜펭 인
Original Assignee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4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4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electric or magnetic characteristics of reflect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associated with the radiating element
    • H01Q3/443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electric or magnetic characteristics of reflect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associated with the radiating element varying the phase velocity along a leaky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구현예 및 기법이 일반적으로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기술{TECHNOLOGIES INCLUDING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DIRECTIONAL ADJUSTMENT OF VOLTAGE-CONTROLLED PHASED ARRAY STRUCTURES}
모바일 통신을 위하여 다중 안테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모바일 통신을 위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는 일부 종래의 접근법은 상이한 안테나에서 관찰되는 신호들의 역상관성(decorrelation property)에 의존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voltage-controlled phased array structure)의 지향성 조정(directional adjustment)에 관한 방법, 기기 및 시스템에 관련된다.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에 대한 구현예 및 기법은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beginning)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복수의 CRLH(composite right/left-hand)형 누설파(leaky-wave) 안테나의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는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 이후에 시변(time-varying)의 전압 레벨로 여기(excite)될 수 있다. 방향 전력 스펙트럼(directional power spectrum)이 시변의 전압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방향은 방향 전력 스펙트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작 전압(working voltage)은 모바일 통신 장치의 전력-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부분을 여기하도록 결정될 수 있으며, 동작 전압은 결정된 방향과 대응한다.
전술한 요약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태양, 실시예 및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의 태양, 실시예 및 특징들이 도면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3은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 동안의 예시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도표를 도시하고;
도 4는 지향성 조정 동안의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의 방사 패턴의 예시를 도시하고;
도 5는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6은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 동안의 예시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도표를 도시하고;
도 7은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하며;
도 8은 본 개시에 따라 배열된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과 함께 다양한 예시를 제시하여 청구된 대상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그러나, 청구된 대상은 여기에서 개시된 구체적인 세부 사항 중 일부 또는 그 이상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일부 환경에서, 잘 알려진 방법, 절차, 시스템, 컴포넌트 및/또는 회로는 청구된 대상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여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문맥에서 다른 지시가 없다면,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제한하는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여기에 제시된 대상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다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태양들이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배열, 대체, 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음과, 이 모두가 명확히 고려되고 본 개시의 일부를 이룸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여기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에 대하여 참조가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전반적으로 동일한 부분을 지시하여 상응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시의 간결함 및/또는 명확성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요소는 반드시 비율에 맞게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인정될 것이다. 예컨대, 명확성을 위하여 요소들 중 일부의 크기는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청구된 대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및/또는 논리적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방향 및 기준, 예컨대, 위, 아래, 상부, 하부 등이 도면에 대한 논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청구된 대상의 응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청구된 대상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로 정의된다.
본 개시는, 그 중에서도,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에 관한 방법, 기기 및 시스템에 관련된다.
모바일 통신을 위하여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는 종래의 접근법은 신호의 지향성 특성 보다는 상이한 안테나에서 관측되는 신호의 역상관성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신호의 지향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안테나 어레이는 보통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는 너무 클 수 있다. 이하에서 논의된 예시에서,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는 신호 수신의 지향성 조정을 위하여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모바일 (또는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라는 용어는, 예컨대, 휴대 전화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PDA)), 개인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무선 웹워치(web-watch) 장치, 개인 헤드셋 장치, 특정 용도 장치(application specific device) 등 및/또는 그들의 조합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소형 폼 팩터(small-form factor) 휴대용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된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를 도시한다.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는 도 2 및/또는 도 5와 관련되어 이하에서 논의된 다양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는 네트워크 내에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또는 장치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는 프로세서(104), 트랜시버(transceiver)(106), 안테나 어레이(108) 및 전압 제어 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는 또한 명료성을 위하여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 라우터(route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직 등과 같은 추가적인 항목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04)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된 형태일 수 있다.
트랜시버(106)는, 일부 구현예에서, 무선 주파수형(radio frequency-type(RF)) 트랜시버일 수 있다. 또한, RF 트랜시버가 트랜시버(106)의 일 예시이지만, 청구된 대상은 이로 인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는, 예컨대, 별개의 RF 수신기 및 RF 송신기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108)는 CRLH(composite right/left-hand) 전송선으로부터 형성된 다중 누설파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CRLH형 누설파 안테나는 메타소재(metamaterial)의 선정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타소재는 음의 유효 유전율(permittivity) 및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을 나타내는 합성 또는 인조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메타소재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이한 접근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연속적인 와이어 및 간극이 있는(interspaced) 도전형 비자성 분할 고리 공진기(split ring resonator)의 주기적인 어레이에 기초한 합성 매체가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그러한 음의 값의 유효 유전율 및 투자율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메타소재는 전송선을 따라 주기적인 직렬 커패시터를 추가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이러한 CRLH형 누설파 안테나는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 동작하는 대역에 적응된 반송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용 셀룰러 시스템, 예컨대, GSM 시스템, CDMA 시스템 및/또는 3G 시스템에 대하여, 이러한 CRLH형 누설파 안테나는 2.75GHz 및 3.0GHz로부터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반송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CRLH형 누설파 안테나의 반송 주파수는, 예컨대, LC 회로(예컨대, 문자 L로 표시되는 인덕터와 문자 C로 표시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 또는 동조 회로)의 분산된 인덕턴스를 수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다중 CRLH형 누설파 안테나를 이용함으로써 구성된 안테나 어레이(108)는, 예컨대 120도의 빔-스캐닝 영역(beam-scanning region)과 같이, 80도보다 높은 빔-스캐닝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80도보다 높은 빔-스캐닝 영역은 안테나 주변의 확장된 공간에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안테나 어레이(108)의 스캐닝 영역은 CRLH형 누설파 안테나 내 커패시터에 대하여 상이한 값을 할당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안테나 어레이(108)는 30개 미만(또는 초과)의 CRLH형 누설파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 어레이(108)는 3개와 25개 사이의 CRLH형 누설파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전압 제어 유닛(110)은 안테나 어레이(108)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108)는 전압 제어 유닛(110)을 통하여 제어되어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로서 동작할 수 있다(따라서, 안테나 어레이(108)는 여기에서 전압-제어형 어레이(108)로서 지칭된다). 안테나 어레이(108)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로서 배향되고 배열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안테나 어레이(108)는 다중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각각 개별의 안테나는 도전성 플레이트(conductive plate) 상에 배치되는 다중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중 층 구조에서, 얇은 강유전성 테이프(thin ferroelectric tape)가 두 개의 유전체 슬랩(dielectric slab) 사이에 끼워넣어질(sandwiched) 수 있다. 테이프의 형상은 예컨대, 직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일 수 있다. 상이한 DC 전압으로 강자성 테이프를 여기함으로써, 전체 안테나 어레이(108)의 전반적인 방사 패턴이 조정 가능하도록, 강자성 테이프의 유전 상수가 변경될 수 있다. 간섭을 억제하고 수신된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러한 적응형 방사 패턴이 특정 방향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 어레이(108)는, 전체 안테나 어레이(108)의 전반적인 방사 패턴이 커패시터의 값을 제어하는 전압 변동에 기초하여 조정 가능할 수 있도록, 전송선을 따라 주기적인 직렬 커패시터를 추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CRLH형 누설파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는 또한,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도 2 및/또는 도 5의 동작 중 임의의 것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지향성 조정 로직(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향성 조정 로직(112)은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것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청구된 대상은 프로세싱 로직의 특정 유형이나 표현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04)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채널의 표시를 안테나 어레이(108) 및 트랜시버(106)를 통하여 획득된 신호(114)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200)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프로세스(200) 및 여기에서 기술된 기타 프로세스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처리 단계, 기능적인 동작, 이벤트 및/또는 작용 등으로 설명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블록 또는 작용을 제시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에 비추어, 도 2에 도시된 기능 블록에 대한 많은 대안이 다양한 구현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스(200)는 블록 또는 작용의 하나의 특정한 순서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블록 또는 작용이 나타내는 순서는 청구된 대상을 임의의 특정한 순서로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청구된 대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중간의 작용들 및/또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작용들이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도 2에 도시된 작용들 중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프로세스(200)는 블록(202, 204, 206, 208 및/또는 21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프로세스(200)가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200)는 예컨대,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도 1)에서와 같이, 다운링크 통신에 활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프레임 시작을 식별"하는 블록(202)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은 하나 이상의 프리픽스 심볼(prefix symbol)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신호는 시분할 복신(Time-Division Duplex(TDD)) 구조로 송신되고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TDD 구조 하에서, 송신기 및 수신기 양자에 알려진 프리픽스 심볼은 개별의 데이터 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고 동기화 및/또는 채널 추정에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202)에서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는 블록(204)으로 계속될 수 있고, 여기서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가 여기될 수 있다. 예컨대,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는 시변의 전압 레벨로 여기될 수 있다. 그러한 여기는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앰블 부분(preamble portion)의 수신 동안에 일어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204)에서 "방향 전력 스펙트럼을 결정"하는 블록(206)으로 계속될 수 있고, 여기서 방향 전력 스펙트럼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 신호의 방향 전력 스펙트럼이 시변의 전압 레벨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 신호의 방향 전력 스펙트럼이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 신호의 입사 방향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206)에서 "방향을 결정"하는 블록(208)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방향이 결정된다. 예컨대, 방향은 방향 전력 스펙트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관심 방향(direction of interest)은 최대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방향 전력 스펙트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관심 방향은 방향 전력 스펙트럼의 피크(peak)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208)에서 "동작 전압을 결정"하는 블록(210)으로 계속될 수 있고, 여기서 동작 전압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전압은 결정된 관심 방향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전압은 결정된 관심 방향으로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심볼 부분을 수신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200)에서,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의 스캐닝율은 기저 대역 신호(baseband signal)의 샘플링율과 비슷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통 프리앰블 부분은 특정 수의 샘플을 포함하며, 블록(202 - 210)에 의한 전체 관심 범위 내에서의 신호의 스캐닝은 각각의 프레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향 전력 스펙트럼을 결정(블록(206)), 관심 방향을 결정(블록(208)), 및/또는 동작 전압을 결정(블록(210))하는 동작은 각각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앰블 부분과 연관된 신호 전력 데이터의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동작 중에, 예시적인 프로세스(200)는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도 1)를 향하여 이동하는 신호가 하나 이상의 방향 중에 분산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한다. 안테나 방사 패턴을 특정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간섭 감소, 전력 소비 감소, 및/또는 통신 품질 향상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 동안의 예시적인 데이터 프레임(300)의 도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300)은 프리앰블 부분(308) 및 데이터 심볼 부분(312)을 포함한다. 프리앰블 부분(308)의 시작은 시작(302)에 의해 지정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데이터 프레임(300)의 시작(302)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시작(302)은 데이터 프레임(300)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프리픽스 심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는 프리앰블 부분(308)의 수신 동안에 시변의 전압 레벨로 여기되어 방사 패턴(304)의 변동을 형성할 수 있다. 방사 패턴에서의 이러한 변동은 빔 스캐닝 영역(306)을 유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여기는 데이터 프레임(300)의 시작(302)에서 시작할 수 있는, 데이터 프레임(300)의 프리앰블 부분(308)의 수신 동안에 일어날 수 있다.
관심 방향(310)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300)의 방향 전력 스펙트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300) 신호의 방향 전력 스펙트럼은 시변의 전압 레벨로부터의 방사 패턴(304)에서의 변동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전압은 결정된 관심 방향(310)에서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여 데이터 프레임(300)의 데이터 심볼 부분(312)을 수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전압은 방향 전력 스펙트럼에 따라 최대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시변의 전압 레벨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전압은 전력 스펙트럼의 피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조정 동안의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의 방사 패턴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408)는 시변의 전압 레벨로 여기되어 방사 패턴(304)에서의 변동을 형성할 수 있다. 방사 패턴(304)에서의 이러한 변동은 빔 스캐닝 영역(306)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여기는 방향 전력 스펙트럼(402)으로 분석될 수 있다. 관심 방향(310)은 방향 전력 스펙트럼(40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관심 방향은 방향 전력 스펙트럼의 피크(40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작 전압은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408)를 결정된 관심 방향(310)에서 여기하여 데이터 프레임(300)(도 3)의 데이터 심볼 부분(312)(도 3)을 수신하도록 결정되고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전압은 방향 전력 스펙트럼(402)에 따라 최대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시변의 전압 레벨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전압은 전력 스펙트럼의 피크(40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에 대한 예시적인 프로세스(500)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프로세스(500) 및 여기에서 개시된 기타 프로세스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처리 단계, 기능적인 동작, 이벤트 및/또는 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블록 또는 작용을 제시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에 비추어 도 5에 도시된 기능 블록에 대한 많은 대안이 다양한 구현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스(500)가 블록 또는 작용들의 하나의 특정 순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블록 또는 작용들이 나타난 순서는 청구된 대상을 임의의 특정 순서로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청구된 대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 5에서 도시되지 않은 중간 작용들 및/또는 도 5에서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작용들이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도 5에서 도시된 작용들 중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블록(502, 504, 506 및/또는 50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프로세스(500)가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예컨대,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도 1)에서와 같이, 다운링크 통신에 활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의 스캐닝율은 기저 대역 신호의 샘플링율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스캔은 데이터 프레임마다 특정 방향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프레임 시작을 식별"하는 블록(502)에서 시작할 수 있고, 여기서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이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502)에서 "조정된 동작 전압으로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는 블록(504)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는 조정된 동작 전압으로 여기될 수 있다. 예컨대,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는 종전의 동작 전압으로부터 조정된 동작 전압으로 여기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504)에서 "신호 전력을 결정"하는 블록(506)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신호 전력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조정된 동작 전압과 연관된 신호 전력은 프리앰블 기간에 수신된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506)에서 "현재 동작 전압을 결정"하는 블록(508)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현재 동작 전압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동작 전압은 조정된 동작 전압과 연관되어 결정된 신호 전력과 종전의 동작 전압과 연관되어 이전에 결정된 신호 전력과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동작 전압은 최대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동작 전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된 동작 전압과 연관되어 결정된 신호 전력이 종전의 동작 전압과 연관되어 이전에 결정된 신호 전력보다 큰 경우, 조정된 동작 전압이 현재 동작 전압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조정된 동작 전압과 연관되어 결정된 신호 전력이 더 작(거나 두 신호 전력 값이 같)으면, 종전 동작 전압이 현재 동작 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현재 동작 전압은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심볼 부분을 수신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제안된 프로세스(500)에서,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의 스캐닝율은 기저 대역 신호의 샘플링율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블록(502 - 508)에 의한 스캔은 데이터 프레임마다 특정 방향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 동안의 예시적인 프레임의 도표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는 종전의 동작 전압(604)으로부터 조정된 동작 전압(606)으로 여기될 수 있다. 이러한 여기는 데이터 프레임(300)의 시작(302) 부분으로부터의 기간 내에 및 데이터 프레임(300)의 프리앰블 부분(308)의 수신 동안에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종전의 동작 전압(604)은 종전의 데이터 프레임(도시되지 않음)과 연관될 수 있는 한편, 조정된 동작 전압(606)은 현재 데이터 프레임(300)과 연관될 수 있다.
현재 동작 전압(610)은 최대 신호 전력을 제공하는 동작 전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전력은 프리앰블 기간 동안 조정된 동작 전압(606)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현재 동작 전압(610)은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여 데이터 프레임(300)의 데이터 심볼 부분(312)을 수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700)을 도시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700)은 신호 베어링 매체(70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베어링 매체(70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가 도 2 및/또는 도 5에 대하여 상술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동작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머신 판독 가능 명령(70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도 1의 시스템을 참조하면,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0)는 매체(702)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704)에 응답하여 도 2 및/또는 도 5에서 도시된 작용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70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 디지털 테이프,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70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702)는 메모리, 읽기/쓰기(R/W) CD, R/W DVD 등과 같은 기록 가능 매체(708)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702)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컨대,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waveguide),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와 같은 통신 매체(71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라 배열되는 컴퓨팅 장치(8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예시적인 기초적인 구성(801)에서, 컴퓨팅 장치(8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 및 시스템 메모리(8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버스(830)가 프로세서(810) 및 시스템 메모리(820)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프로세서(8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μP), 마이크로컨트롤러(μ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810)는 레벨 1 캐시(811) 및 레벨 2 캐시(8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레벨(level)의 캐시(cache), 프로세서 코어(813), 및 레지스터(8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코어(813)는 산술 논리 연산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 부동 소수점 장치(floating point unit; FPU), 디지털 신호 처리 코어(DSP Core),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815)가 또한 프로세서(8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구현예에서 메모리 컨트롤러(815)는 프로세서(810)의 내적인 일부일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8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스템 메모리(820)는 운영 체제(821),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822), 및 프로그램 데이터(824)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822)은 도 2의 프로세스(200) 및/또는 도 5의 프로세스(500)에 대하여 기술된 기능 블록, 작용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는 여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 작용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지향성 조정 알고리즘(82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824)는 지향성 조정 알고리즘(823)과 사용하기 위한 신호 전력 데이터(8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822)은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의 구현이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도록 운영 체제(821) 상에서 프로그램 데이터(824)와 동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기술된 기초적인 구성은 도 8에서 파선(801) 내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도시된다.
컴퓨팅 장치(800)는 기초적인 구성(801)과 임의의 요구되는 장치 및 인터페이스(interface)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추가적인 특징 또는 기능, 및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840)가 저장 인터페이스 버스(841)를 통한 기초적인 구성(801)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장치(85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850)는 이동식 저장 장치(851), 고정식 저장 장치(852),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이동식 저장 장치 및 고정식 저장 장치의 예를 몇 가지 들자면,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flexible disk drive)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장치, 컴팩트 디스크(CD)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SSD), 및 테이프 드라이브 등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program module),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에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이동식 및 고정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820), 이동식 저장 장치(851) 및 고정식 저장 장치(852)는 모두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80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그러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800)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또한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840)를 통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예컨대, 출력 장치, 주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기초적인 구성(801)으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버스(8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출력 인터페이스(860)는 그래픽 처리 유닛(861) 및 오디오 처리 유닛(8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A/V 포트(86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주변 인터페이스(870)는 직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871)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8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I/O 포트(873)를 통하여 입력 장치(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 또는 기타 주변 장치(예컨대, 프린터, 스캐너 등)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인터페이스(880)는 네트워크 컨트롤러(881)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882)를 통하여 네트워크 통신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890)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통신 연결은 통신 매체의 일 예시이다.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기타 수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서의 기타 데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연결(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라디오 주파수(RF), 적외선(IR) 및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휴대 전화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개인 미디어 재생 장치, 무선 웹워치 장치, 개인 헤드셋 장치, 특정 용도 장치, 또는 상기 기능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융합 장치와 같은 소형 폼팩터 휴대용(모바일) 전자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또한 랩탑 컴퓨터나 랩탑이 아닌 컴퓨터 구성 둘 다를 포함하는 개인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800)는 무선 기지국 또는 기타 무선 시스템이나 장치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의 일부분은 컴퓨터 메모리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터 비트 또는 이진 디지털 신호 상에서의 동작의 알고리즘 또는 기호적 표현의 관점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알고리즘적인 설명 또는 표현은 데이터 프로세싱 분야의 당업자가 그들 연구의 실체를 다른 당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법의 예시이다. 여기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알고리즘은 요구되는 결과로 이끄는 일관된 일련의 동작이나 유사한 프로세싱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작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량의 물리적 조작을 수반한다. 보통,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양은 저장, 전송, 조합, 비교 또는 조작될 수 있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주로 통상적인 사용의 이유에서, 비트, 데이터, 값, 요소, 심볼, 문자, 용어, 숫자 또는 번호 등으로 그러한 신호를 지칭하는 것이 때때로 편리함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들 및 유사한 용어 모두는 적절한 물리량과 연관될 것이고, 단지 편리한 라벨(label)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면, 이하의 논의로부터 분명하게 될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논의에 걸쳐 "프로세싱", "컴퓨팅", "계산", "결정"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컴퓨팅 장치의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기타 정보 저장 장치, 전송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물리적인 전자적 또는 자기적 양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변환하는 컴퓨팅 장치의 작용이나 프로세스와 관련 있음이 인정된다.
청구된 대상은 여기에서 기술된 특정 구현예로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부 구현예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하드웨어로 있을 수 있는 반면, 예컨대, 다른 구현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청구된 대상은 이러한 점에서 범위가 제한되지 않지만, 일부 구현예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이러한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면, 예컨대, 앞서 설명된 구현예 중 하나와 같은 청구된 대상에 따라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의 양상들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현 사이에는 구별이 거의 없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그러나 어떤 맥락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이의 선택이 중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design choice)이다. 본 개시에서 기재된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들이 영향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vehicles)(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는 한, 당업자라면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또는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의 넓은 범위에 의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라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mechanism)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신호 베어링 매체의 예는,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CD, DVD, 디지털 테이프, 컴퓨터 메모리 등과 같은 기록 가능 유형의 매체,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를 들어, 섬유 광학 케이블, 도파관,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와 같은 전송 유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여기서 설명된 형식으로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를 기술하고, 이후, 공학 실무를 사용하여 그러한 기술된 장치(예를 들면, 전송기, 수신기, 컴퓨팅 플랫폼, 컴퓨팅 장치 등) 및/또는 방법을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통합한다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는 일반적이란 것을 인식할 것이다. 즉, 여기서 기술된 장치 및/또는 방법의 적어도 일부는 합당한 실험량을 통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전형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시스템 유닛 하우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같은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같은 프로세서, 운영 체제, 드라이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 엔티티(computational entities), 터치 패드 또는 스크린 같은 하나 이상의 상호작용 장치, 및/또는 피드백 루프 및 제어 모터(예를 들면, 위치 및/또는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컴포넌트 및/또는 양(quantities)을 이동하고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제어 모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전형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컴퓨팅/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컴퓨팅/통신 시스템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대상은 때때로 상이한 다른 컴포넌트 내에 포함되거나 접속된 상이한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도시된 그러한 아키텍처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고, 사실상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다른 많은 아키텍처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념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컴포넌트의 임의의 배치는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유효하게 "연관"된다. 이에 따라,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여기서 결합된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아키텍처 또는 중간 컴포넌트와는 무관하게,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서로 "연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관된 두 개의 컴포넌트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적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와 같이 연관될 수 있는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작적으로 연결 가능하다는 것의 특정 예는 물리적으로 양립가능(mateable)하고 및/또는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컴포넌트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하는 컴포넌트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하고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임의의 복수 및/또는 단수의 용어의 사용에 대하여, 당업자는 맥락 및/또는 응용에 적절하도록, 복수를 단수로 및/또는 단수를 복수로 해석할 수 있다. 다양한 단수/복수의 치환은 명확성을 위해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 사용되며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들이 일반적으로 "개방적(open)" 용어(예를 들어,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으로, 용어 "갖는"는 "적어도 갖는"으로, 용어 "포함하다"는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등으로 해석되어야 함)로 의도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도입된 청구항의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의도된 경우, 그러한 의도가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그러한 기재사항이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가 없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첨부 청구범위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 등의 도입 구절의 사용을 포함하여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절의 사용이, 부정관사 "하나"("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기재사항의 도입이, 그러한 하나의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실시예로, 그러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특정 청구항을 제한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구절인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a" 또는 "an")과 같은 부정관사(예를 들어, "하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해석되어야 함)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는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 정관사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경우에도, 당업자라면 그러한 기재가 일반적으로 적어도 기재된 수(예를 들어, 다른 수식어가 없는 "두개의 기재사항"을 단순히 기재한 것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기재사항 또는 두 개 이상의 기재사항을 의미함)를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A, B 및 C,등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또한 당업자라면, 실질적으로 어떠한 이접 접속어(disjunctive word) 및/또는 두 개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들을 나타내는 구절은, 그것이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 있는지와 상관없이, 그 용어들 중의 하나, 그 용어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용어들 두 개 모두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고려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구절은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에서 "구현예", "일 구현예", "일부 구현예", 또는 "기타 구현예"에 대한 참조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일부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모든 구현예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앞의 설명에서, "구현예", "일 구현예" 또는 "일부 구현예"의 다양한 등장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구현예를 지칭할 필요가 없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기타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등가물이 대체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Claims (21)

  1.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voltage-controlled phased array)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beginning)을 식별하는 단계;
    시변(time-varying)의 전압 레벨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시작 이후에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복수의 CRLH(composite right/left-hand)형 누설파(leaky-wave) 안테나의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excite)하는 단계;
    상기 시변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방향 전력 스펙트럼(directional power spectrum)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방향 전력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의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부분을 여기하기 위한 동작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전압은 상기 결정된 방향에 대응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시작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프리픽스 심볼(prefix symbol)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의 전압 레벨로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앰블(preamble) 부분의 수신 동안에 일어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의 전압 레벨로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는 단계는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와 연관된 방사 패턴에서의 변동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 신호의 상기 방향 전력 스펙트럼은 상기 시변의 전압 레벨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 신호의 상기 방향 전력 스펙트럼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 신호의 입사 방향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방향은 상기 방향 전력 스펙트럼의 피크(peak)에 기초할 수 있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방향에서 상기 동작 전압으로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는 동안에,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심볼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의 전압 레벨로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는 단계는 각각의 개별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앰블 부분의 수신 동안에 일어나는, 방법.
  10.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voltage-controlled phased array)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현재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복수의 CRLH형 누설파 안테나의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상기 현재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시작 이후에 종전의 동작 전압에서 조정된 동작 전압으로 여기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동작 전압과 연관된 신호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의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부분을 여기하기 위한 현재 동작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동작 전압은 상기 조정된 동작 전압과 연관된 상기 결정된 신호 전력과 상기 종전의 동작 전압과 연관된 이전에 결정된 신호 전력과의 비교에 기초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시작은 상기 현재 데이터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프리픽스 심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동작 전압으로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앰블 부분의 수신 동안에 일어나며, 상기 종전의 동작 전압은 종전의 데이터 프레임과 연관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동작 전압과 연관된 상기 신호 전력은 상기 현재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앰블 부분의 수신 동안에 결정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동작 전압과 연관된 상기 결정된 신호 전력이 상기 종전의 동작 전압과 연관된 상기 이전에 결정된 신호 전력보다 크면, 상기 조정된 동작 전압이 상기 현재 동작 전압으로서 결정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동작 전압과 연관된 상기 결정된 신호 전력이 상기 종전의 동작 전압과 연관된 상기 이전에 결정된 신호 전력보다 작으면, 상기 종전의 동작 전압이 상기 현재 동작 전압으로서 결정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동작 전압으로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는 단계는 각각의 개별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앰블 부분의 수신 동안에 일어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동작 전압에 의한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의 여기 동안에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현재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심볼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RF 트랜시버(transceiver);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전압 제어 유닛; 및
    상기 RF 트랜시버 및 상기 전압 제어 유닛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안테나 어레이
    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복수의 CRLH형 누설파 안테나의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 유닛은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 이후에 시변의 전압 레벨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여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변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관심 방향(direction of interest)으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여기하기 위한 동작 전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RLH형 누설파 안테나는 둘 이상의 메타소재(meta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
  2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을 식별하는 것;
    시변의 전압 레벨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시작 이후에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복수의 CRLH형 누설파 안테나의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를 여기하는 것;
    상기 시변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방향 전력 스펙트럼을 결정하는 것;
    상기 방향 전력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방향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의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부분을 여기하기 위한, 상기 결정된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 전압을 결정하는 것
    을 동작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저장된 머신 판독 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결정된 방향에서 동작 전압에 의한 상기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의 여기 동안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심볼 부분을 수신하는 것을 더 동작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37001064A 2010-06-18 2010-06-18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기술 KR101436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0/074051 WO2011156964A1 (en) 2010-06-18 2010-06-18 Directional adjustment of voltage-controlled phased array struc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299A KR20130044299A (ko) 2013-05-02
KR101436341B1 true KR101436341B1 (ko) 2014-09-01

Family

ID=4534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064A KR101436341B1 (ko) 2010-06-18 2010-06-18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기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36598B2 (ko)
JP (1) JP5575983B2 (ko)
KR (1) KR101436341B1 (ko)
CN (1) CN103004019B (ko)
WO (1) WO2011156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1759B2 (en) * 2015-08-27 2020-01-21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Underground communication system
WO2017078851A2 (en) 2015-09-18 2017-05-11 Corman David W Laminar phased array
WO2019126826A1 (en) 2017-12-24 2019-06-27 Anokiwave, Inc. Beamforming integrated circuit, aesa system and method
US10998640B2 (en) 2018-05-15 2021-05-04 Anokiwave, Inc. Cross-polarized time division duplexed antenn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6014A1 (en) 2002-04-15 2006-11-16 Paratek Microwave, Inc. Frequency agile, directive beam patch antennas
WO2008115881A1 (en) 2007-03-16 2008-09-25 Rayspan Corporation Metamaterial antenna arrays with radiation pattern shaping and beam switching
CN101501927A (zh) 2006-04-27 2009-08-05 雷斯潘公司 基于异向材料结构的天线、设备和系统
US20100073232A1 (en) 2008-09-22 2010-03-25 Soji Sajuyigbe Wide Angle Impedance Matching Using Metamaterials in a Phased Array Antenn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25331B2 (en) 1997-02-13 2000-10-12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radio communication
US6816116B2 (en) 2002-03-22 2004-11-09 Quanta Computer, Inc. Smart antenna for portable devices
US7587173B2 (en) 2003-06-19 2009-09-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ntenna steering for an access point based upon spatial diversity
DE10327896A1 (de) 2003-06-20 2005-01-05 Siemens Ag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Antennengewichtungsfaktors
CN100336316C (zh) 2004-05-26 2007-09-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天线的波束赋形方法及其装置
JP4466389B2 (ja) * 2005-01-28 2010-05-2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アレーアンテナ
US7522114B2 (en) 2005-02-09 2009-04-21 Pinyon Technologies, Inc. High gain steerable phased-array antenna
JP4736658B2 (ja) * 2005-09-14 2011-07-2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漏れ波アンテナ
CN101094021B (zh) 2006-06-20 201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多天线通信方法和装置
US7778211B2 (en) 2006-09-26 2010-08-1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computing a downlink beamforming weighting vector based on up link channel information
CN101237267B (zh) 2008-03-05 2013-04-17 中国科学院嘉兴无线传感网工程中心 无线传感网中的多传输节点协同波束成形方法
CN101888644B (zh) 2009-05-14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单用户波束成形的系统及方法
US8204507B2 (en) 2010-03-12 2012-06-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lemental node transmission assist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6014A1 (en) 2002-04-15 2006-11-16 Paratek Microwave, Inc. Frequency agile, directive beam patch antennas
CN101501927A (zh) 2006-04-27 2009-08-05 雷斯潘公司 基于异向材料结构的天线、设备和系统
WO2008115881A1 (en) 2007-03-16 2008-09-25 Rayspan Corporation Metamaterial antenna arrays with radiation pattern shaping and beam switching
US20100073232A1 (en) 2008-09-22 2010-03-25 Soji Sajuyigbe Wide Angle Impedance Matching Using Metamaterials in a Phased Array Antenn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04019A (zh) 2013-03-27
US20110316745A1 (en) 2011-12-29
JP5575983B2 (ja) 2014-08-20
JP2013535136A (ja) 2013-09-09
CN103004019B (zh) 2014-11-19
US9136598B2 (en) 2015-09-15
WO2011156964A1 (en) 2011-12-22
KR20130044299A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79573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coil with embedded wireless antenna
US8907858B2 (en) Integrated antennas for near field coupling integration
KR102305113B1 (ko)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위한 보조 장치
Yang et al. Compact multimode monopole antenna for metal-rimmed mobile phones
KR101436341B1 (ko) 전압-제어형 페이즈드 어레이 구조의 지향성 조정을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기술
CN108400425B (zh) 一种移动终端及其天线
CN102217134B (zh) 用于无线通信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AU2018386614B2 (en) Antenna and terminal
WO2023138284A1 (zh) 电子设备
WO2016061020A1 (en) Loop antenna with a parasitic element inside
US10283843B2 (en) Antenna system including closely spaced antennas adapted for operating at the same or similar frequencies
Liu et al. A coupled‐fed loop antenna for metal‐rimmed mobile phone applications
US11289811B2 (en) Closed-loop antenna with multiple grounding points
WO2012075586A1 (en) Modified ground plane (mgp) approach to improving antenna self-matching and bandwidth
Henderson et al. A microstrip line-fed multi-resonant slot antenna in the 4G/LTE band for smartphones
Gaid et al. Design and Simulation of Multiband Circular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CSRR for WLAN and WiMAX Applications
CN214313541U (zh) 5g终端天线及终端
Jinger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compact super-wideband antenna with integrated bluetooth band
CN107196061A (zh) 一种基于加载谐振器的三频微带缝隙天线
US20030224817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lbargi et al. Investigation and measurement of square strip line antenna design and characteristic mode analysis for 5G/WiFi/WLAN applications
Aminu-Baba et al. Wideband Monopole Antenna with Rotational Circular SRR
Chomtong et al. A high gain collinear antenna with interdigital EBG reflector for WLAN system
US8548396B2 (en) Antenna elemen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Pandey et al. Circularly Polarized E-Shaped Patch Antenna for AWS, FMS and MSS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