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984B1 -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984B1
KR101435984B1 KR1020130032736A KR20130032736A KR101435984B1 KR 101435984 B1 KR101435984 B1 KR 101435984B1 KR 1020130032736 A KR1020130032736 A KR 1020130032736A KR 20130032736 A KR20130032736 A KR 20130032736A KR 101435984 B1 KR101435984 B1 KR 10143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vacuum pressure
product
transfer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석 filed Critical 박종석
Priority to KR1020130032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03Processing cephalopod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18Animal m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양의 부산물에 전체적으로 진공압이 형성되어서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량의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이송할 수 있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어류의 부산물을 이송시키는 어류 부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부산물을 흡입하는 흡입관(10) 및 흡입관(10)의 진공압에 의해 모여드는 부산물들이 흡입관(10)의 끝단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흡입관(10)의 진공압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흡입관(10)의 끝단에 제공하여서 부산물들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BY-PRODUCT OF FISHES}
본 발명은, 많은 양의 부산물에 전체적으로 진공압이 형성되어서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량의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이송할 수 있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획된 오징어를 가공할 경우에 오징어를 할복하고 내장을 분리하는 해체작업을 하게 되는데 주로 몸통과 다리는 취식을 위하여 분리되고, 눈이나 내장부위와 같은 부산물은 비료나 사료제조용 원료로 사용되기 위하여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오징어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내장부위를 포함하는 그 밖의 부산물은 오징어 전체량에서 약 20% 이상에 이른다. 따라서, 부산물은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양질의 비료나 사료로 재가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징어를 가공할 경우에는 부두 근방에 위치한 가공장소에서 몸통과 다리 및 부산물을 분리하는 작업이 상온에 노출된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산물이 상온에 노출되는 경우 부산물에 포함된 영양분과 기름성분에 의해 쉽게 부패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되면서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발생되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각기 분리된 몸통과 다리 및 부산물은 일정량 모일 때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카트 등을 사용하여 외부로 반출하는데, 작업자들이 카트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반출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카트가 전복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압을 이용하여 부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많은 양의 부산물에 전체적으로 진공압이 형성되어서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량의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이송할 수 있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는, 어류의 부산물을 이송시키는 어류 부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부산물을 흡입하는 흡입관(10) 및 흡입관(10)의 진공압에 의해 모여드는 부산물들이 흡입관(10)의 끝단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흡입관(10)의 진공압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흡입관(10)의 끝단에 제공하여서 부산물들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흡입관(10)은 끝단의 테두리에 외부공기를 내측으로 안내하는 공기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산수단(20)은 일단이 흡입관(10)의 측방을 관통하여서 흡입관(10)의 내측에서 끝단에 근접되게 위치되고, 타단이 흡입관(10)의 외측에 돌출되게 고정되어, 흡입관(10)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관(10)의 내측에서 끝단에 안내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는 관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산수단(20)은 일단의 끝부분이 흡입관(10)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흡입관(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산수단(20)은 타단이 흡입관(10)의 외측에서 이격되면서 소정길이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산수단(20)은 타단에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면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면서 소정크기의 타공홀(22)이 다수개 형성된 타공체(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분산수단(20)과 흡입관(10)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이 분산수단(20)과 흡입관(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와, 연결부재(30)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서 연결되는 연결클립(40)과, 연결클립(40)에 일단이 연결되는 로프(50)와, 로프(50)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는 릴(60)과, 릴(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50)의 권취상태를 유지하도록 릴(6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부재(70) 및 구속부재(70)를 천정이나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릴(60)은 로프(50)의 타단이 연결된 상태로 권취되는 원통체(61)와, 원통체(61)가 수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릴하우징(62) 및 릴하우징(62)과 원통체(61)에 양단이 각기 연결되어 릴하우징(62)에서 원통체(61)가 감기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스프링(63)으로 구성되며, 원통체(61)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삽입홈(66)이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구속블록(64)이 측방으로 돌출되며, 일측에서 구속블록(64)까지 관통되는 관통홀(65)이 형성되고, 릴하우징(62)은 원통체(61)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원통체(61)에 감기거나 풀리는 로프(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부가 개구되며, 원통체(6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관통홀(65)에 관통되는 회전축(67)이 설치되며, 스파이럴스프링(63)은 회전축(67)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이 회전축(67)에 연결되고 타단이 원통체(6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구속부재(70)는 상하로 관통되는 탄성공간(71)이 형성되고, 탄성공간(71)의 상부 테두리 내측으로 상부걸림턱(72)이 형성되고, 탄성공간(71)의 하부 테두리 내측으로 하부걸림턱(73)이 형성되며, 릴하우징(62)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속몸체(74)와, 탄성공간(71)에 수용되어 하부걸림턱(73)에 하단이 걸려서 지지되는 탄성체(75)와, 탄성공간(71)에 수용된 상태로 탄성체(75)의 탄성에 의해 탄성공간(71)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체(75)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상부걸림턱(72)에 걸리는 헤드(76)가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핀(77) 및 걸림핀(77)을 당기도록 걸림핀(77)의 헤드(76)에 일단이 연결되는 당김줄(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흡입관(10)의 타단에 연결되어 분산수단(20)에 의해 분산되면서 흡입관(10)을 통해 흡입된 부산물을 이송하는 이송관(90) 및 이송관(90)에 연결되어 이송관(90)에 의해 이송되는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송관(90)은 자유자재로 절곡되도록 플렉시블한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리수단(100)은 이송관(90)을 통해 이송되는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형태의 분리통(101)과, 분리통(1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관(90)이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102)와, 제1연결부(102)와 이격되면서 분리통(1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진공압을 제공하는 블로우관(300)이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103) 및 분리통(1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송관(90)에 의해 이송된 부산물이 채워지는 운반통(700)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리수단(100)은 분리통(101)의 내부에서 경사지면서 제1연결부(102)를 커버하는 상태로 제1연결부(102)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경사부재(1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이송관(90)에 연결되어 이송관(90)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우(200)와, 블로우(200)에 의해 이송관(90)에 형성되는 진공압의 세기를 센싱하도록 이송관(90)에 설치되는 진공센서(400) 및 진공센서(400)에서 센싱된 진공압의 세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세기를 비교하여, 진공압의 세기가 기준세기보다 이하이면 이송관(90)이 부산물을 이송시키도록 블로우(200)를 제어하고, 진공압의 세기가 기준세기보다 이상이면 이송관(90)이 부산물을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블로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많은 양의 부산물에 전체적으로 진공압이 형성되어서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량의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릴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릴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판이 이송관을 개폐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수산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류의 부산물을 이송시키는 어류 부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제공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부산물을 흡입하는 흡입관(10) 및 흡입관(10)의 진공압에 의해 모여드는 부산물들이 흡입관(10)의 끝단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흡입관(10)의 진공압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흡입관(10)의 끝단에 제공하여서 부산물들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20)을 포함한다.
흡입관(10)은 내부를 통해 부산물이 이송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면서, 경질의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타단에는 후술되는 이송관(9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관(10)은 끝단의 테두리에 외부공기가 유통되는 공기홈(11)이 형성된다. 이때, 공기홈(11)은 흡입관(10)이 부산물들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공기가 유통되도록, 흡입관(10)의 직경의 약1/5~1/4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홈(11)은 흡입관(10)이 부산물통(600)에 채워진 상층부의 부산물들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부산물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끝단의 테두리가 전체적으로 완전히 접촉되는 것을 방여하여 부산물들에 의해 흡입관(10)의 끝단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흡입관(10)은 끝단이 폐쇄되지 않는 상태로 부산물이 채워진 부산물통(600)에서 부산물을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완전하게 흡입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흡입관(10)의 끝단이 부산물들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접촉되면 기름성분에 의해 전체적으로 끈끈하게 혼합된 부산물들이 전체적으로 진공압에 의해 흡입되려고 하기 때문에 흡입관(10)의 끝단이 폐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공기홈(11)은 흡입관(10)이 진공압을 이용하여 부산물을 흡입하면 흡입관(10)의 끝단에 외부공기도 함께 흡입되도록 외부공기를 안내하므로, 흡입관(10)의 끝단이 부산물들에 의해 폐쇄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부산물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흡입관(10)은 공기홈(11)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부산물을 흡입함에 따라 끝단에 소정넓이(A)에 진공압이 형성되므로 부산물에 의한 막힘없이 부산물통(600)의 부산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입관(10)으로 부산물통(600)의 분산물들이 전체적으로 흡입되려고 하면서 과도한 부하가 발생되어 흡입관(10)의 파손이나 블로우(300)의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공기홈(11)은 흡입관(10)의 테두리가 부산물통(600)의 바닥에 완전히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부산물통(600)의 부산물을 모두 깨끗하게 흡입할 수 있다.
분산수단(20)은 일단이 흡입관(10)의 측방을 관통하여서 흡입관(10)의 내측에서 끝단에 근접되게 위치되고, 타단이 흡입관(10)의 외측에 돌출되게 고정되어, 흡입관(10)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관(10)의 내측에서 끝단에 안내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는 관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수단(20)은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되어 본드나 용접 또는 볼팅으로 흡입관(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산수단(20)은 일단이 흡입관(10)을 관통하여서 흡입관(10)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므로, 부산물의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흡입관(10)의 부피를 증대시키지 않아서 흡입관(10)이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경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흡입관(10)이 최소한의 직경으로 제작되어 슬림하고 샤프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부산물통(600)에 채워진 부산물들의 사이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으면서 편리하게 휘저을 수도 있다.
그리고, 분산수단(20)은 일단의 끝부분이 흡입관(10)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흡입관(10)의 끝단에서 내측에 외부공기를 제공하도록, 흡입관(10)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흡입관(10)의 직경의 크기에 비해 약1/9~1/7의 길이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흡입관(10)의 끝단에서 내부에 소정의 높이에 외부공기가 공급되면 흡입관(10)의 끝단으로 삽입되어서 수용되는 점액성분이 포함된 부산물이 소정의 양만큼씩 분리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흡입관(10)이 부산물통(600)에 소정깊이로 투입되면 부산물통(600)에서 약간의 부산물이 흡입관(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흡입관(10)이 부산물을 흡입하면 분산수단(20)을 통해 흡입관(10)의 내측에서 소정의 높이에 공기가 제공되어, 부산물통(600)의 부산물에 전체적으로 진공압이 형성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관(10)이 부산물들 속에 깊이 투입된 상태로 흡입하여도 분산수단(20)을 통해 안내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흡입관(10)의 끝단이 부산물들에 의해 폐쇄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부산물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흡입관(10)은 분산수단(20)을 통해 안내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소량의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흡입하므로 부산물통(600)의 부산물 전체를 순차적으로 모두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분산수단(20)은 타단이 흡입관(10)의 외측에서 이격되면서 소정길이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산수단(20)의 타단이 절곡된 상태로 흡입관(10)에 고정되면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분산수단(20)의 타단을 파지한 상태로 흡입관(10)을 부산물통(600)에 손쉽게 넣거나 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산물통(600)에 투입된 흡입관(10)을 이리저리 휘저어서 부산물을 유동시켜서 부산물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수단(20)의 타단에는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면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면서 소정크기의 타공홀(22)이 다수개 형성된 타공체(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타공체(21)는 타공홀(22)에 의해 외부공기가 분산수단(20)에 투입되게 하면서 타공홀(22)의 직경보다 큰 크기인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타공체(21)에 타공홀(22)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인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스폰지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필터가 내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산수단(20)과 흡입관(10)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이 분산수단(20)과 흡입관(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와, 연결부재(30)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서 연결되는 연결클립(40)과, 연결클립(40)에 일단이 연결되는 로프(50)와, 로프(50)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는 릴(60)과, 릴(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50)의 권취상태를 유지하도록 릴(6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부재(70) 및 구속부재(70)를 천정이나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80)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재(30)는 샤프트형태로 형성되어 본드나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분산수단(20)과 흡입관(10)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시키고, 연결클립(40)이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연결클립(40)은 연결부재(3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필요시에 연결부재(30)에 걸어서 흡입관(10)을 로프(50)에 매달 수 있다.
로프(50)는 릴(60)에 적정길이로 권취되어 흡입관(10)의 매달린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60)은 로프(50)가 권취되고 감기거나 풀리는 로프(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릴(60)은 로프(50)의 타단이 연결된 상태로 권취되는 원통체(61)와, 원통체(61)가 수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릴하우징(62) 및 릴하우징(62)과 원통체(61)에 양단이 각기 연결되어 릴하우징(62)에서 원통체(61)가 감기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스프링(63)으로 구성된다.
원통체(61)는 감기는 로프(50)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권취되도록 실패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삽입홈(66)이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구속블록(64)이 측방으로 돌출되며, 일측에서 구속블록(64)까지 관통되어 후술되는 회전축(67)이 삽입되는 관통홀(65)이 형성된다.
릴하우징(62)은 원통체(61)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원통체(61)에 감기거나 풀리는 로프(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부가 개구되며, 원통체(6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관통홀(65)에 관통되는 회전축(67)이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67)은 수용된 원통체(61)의 관통홀(65)을 관통하여서 양단이 릴하우징(62)의 양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릴하우징(62)에서 원통체(61)는 한쪽방향으로 회전되면 로프(50)가 권취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권취된 로프(50)가 풀리게 된다.
스파이럴스프링(63)은 회전축(67)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이 회전축(67)에 연결되고 타단이 원통체(61)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파이럴스프링(63)은 원통체(61)가 한쪽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원통체(61)가 회전되어서 로프(50)가 감겨지게 할 수 있다.
구속부재(70)는 상하로 관통되는 탄성공간(71)이 형성되고, 탄성공간(71)의 상부 테두리 내측으로 상부걸림턱(72)이 형성되고, 탄성공간(71)의 하부 테두리 내측으로 하부걸림턱(73)이 형성되며, 릴하우징(62)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속몸체(74)와, 탄성공간(71)에 수용되어 하부걸림턱(73)에 하단이 걸려서 지지되는 탄성체(75)와, 탄성공간(71)에 수용된 상태로 탄성체(75)의 탄성에 의해 탄성공간(71)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체(75)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상부걸림턱(72)에 걸리는 헤드(76)가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핀(77) 및 걸림핀(77)을 당기도록 걸림핀(77)의 헤드(76)에 일단이 연결되는 당김줄(78)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4의 (a)와 같이 당김줄(78)을 당기지 않으면 탄성체(75)의 탄성에 의해 걸림핀(77)이 삽입홈(66)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원통체(61)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당김줄(78)이 하부로 당겨지면 삽입홈(66)에서 걸림핀(77)이 분리되므로, 스파이럴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원통체(61)가 회전되게 되어 로프(50)가 원통체(61)에 감겨지게 된다. 또한, 도 4의 (c)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당김줄(78)과 로프(50)가 하부로 함께 당겨지면 삽입홈(66)에서 걸림핀(77)이 분리되므로, 원통체(61)가 역회전되면서 로프(50)가 풀리게 된다.
따라서, 당김줄(78)을 하부로 당기면 구속블록(64)의 삽입홈(66)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핀(77)이 탄성체(75)를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당김줄(78)의 당김을 해제하면 탄성체(75)의 탄성에 의해 걸림핀(77)이 상승하여서 구속블록(64)의 삽입홈(66)에 삽입된다. 즉, 걸림핀(77)이 구속블록(64)의 삽입홈(66)에 삽입되면 원통체(61)의 회전을 정지시키므로 로프(50)의 감김이나 풀림이 중지되고, 구속블록(64)의 삽입홈(66)에서 분리되면 원통체(61)가 스파이럴스프링(63)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어서 로프(50)를 감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당김줄(78)을 당기는 상태로 로프(50)를 당기거나 로프(50)를 위로 올려서 로프(50)가 원통체(61)에서 풀리거나 감기게 할 수 있다. 이때, 당김줄(78)의 당김을 해제하여 걸림핀(77)이 구속블록(64)의 삽입홈(66)에 삽입되게 하여서 원통체(61)의 회전이 중지되게 할 수 있으므로 로프(50)의 길이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흡입관(10)의 매달린 높이가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재(80)는 릴하우징(62)에 일단이 고정되어서 타단이 천정이나 벽체에 돌출된 고리나 링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80)는 천정이나 벽체에 걸려서 릴(60)을 소정높이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흡입관(10)을 이용하여 부산물통(600)에 담겨진 부산물을 상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흡입하면 분산물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당김줄(78)을 당기는 상태로 로프(50)를 조금씩 아래로 당겨서 흡입관(10)이 부산물통(600)의 하부로 내려가게 하여 흡입관(10)의 매달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흡입관(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자신의 힘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흡입관(10)이 부산물통(600)의 하부로 점점 내려가게 하는 상태로 로프(50)에 매달린 흡입관(10)을 좌우로 약간씩 유동시켜서 부산물통(600)에 담겨진 부산물이 모두 흡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10)의 타단에 연결되어 분산수단(20)에 의해 분산되면서 흡입관(10)을 통해 흡입된 부산물을 이송하는 이송관(90) 및 이송관(90)에 연결되어 이송관(90)에 의해 이송되는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100)을 더 포함한다.
이송관(90)은 자유자재로 절곡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거나 플렉시블한 주름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산수단(20)의 타단을 파지한 상태로 흡입관(10)을 유동시키는 경우에도, 이송관(90)은 자유롭게 절곡되면서 흡입관(10)을 통해 흡입되는 부산물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90)은 일측에 측방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드홀(9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홀(91)을 통해 슬라이딩되어서 이송관(90)을 개폐하는 개폐판(92)과, 개폐판(92)을 구동하는 구동부재(94) 및 구동부재(94)가 고정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개폐케이스(95)가 슬라이드홀(91)을 커버하는 상태로 이송관(9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관(90)은 슬라이드홀(91)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일단이 개폐판(92)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개폐케이스(95)에 관통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개폐판(92)이 이송관(90)들의 사이에 삽입되어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판(92)은 슬라이드홀(91)을 통해 슬라이딩되어서 이송관(90)을 폐쇄하며,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서 이송관(90)을 개방하도록, 이송관(90)과 연통되는 연통홀(93)이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부재(94)는 개폐판(92)을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나 개폐판(92)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94)가 정구동되어서 개폐판(92)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홀(93)이 이송관(90)과 연통되면 이송관(90)을 통해 부산물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부재(94)가 반대로 구동되어서 개폐판(92)이 연통홀(93)을 폐쇄하면 부산물의 이송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재(94)는 후술되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어서, 블로우(300)가 작동되면 이송관(90)을 개방하도록 개폐판(92)을 동작시키고 블로우(300)가 정지되면 이송관(90)을 폐쇄하도록 개폐판(92)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수단(100)은 이송관(90)을 통해 이송되는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형태의 분리통(101)과, 분리통(1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관(90)이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102)과, 제1연결부(102)와 이격되면서 분리통(1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진공압을 제공하는 블로우관(300)이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103) 및 분리통(1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송관(90)에 의해 이송된 부산물이 채워지는 운반통(700)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 및 제3연결부(104)는 분리통(101)의 외측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로 구성되거나 분리통(10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는 서로 이격되도록 분리통(101)의 양측에 각기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연결부(102)가 하부에 위치되고 제2연결부(103)가 상부에 위치되는 상태로 분리통(101)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서로 이격되면서 분리통(101)의 상부에 기립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연결부(103)에 연결된 블로우관(300)을 통해 공기가 이송되면 이송관(90)을 통해 흡입되어서 이송되는 부산물이 제1연결부(102)를 통해 분리통(10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1연결부(102)와 제2연결부(103)가 분리통(101)의 상부나 양측에서 좌우로 이격되거나 분리통(101)의 일측에서 상하로 이격되므로, 제1연결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부산물이 제2연결부(103)에 의해 흡입되지 않으면서 중력에 의해 분리통(101)의 하부로 낙하된다. 그리고, 낙하되는 부산물은 제3연결부(104)를 통해 운반통(700)에 공급되고, 흡입되는 공기는 제2연결부(103)에 연결된 블로우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분리수단(100)은 이송되는 부산물과 공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수단(100)은 분리통(101)의 내부에서 경사지면서 제1연결부(102)를 커버하는 상태로 제1연결부(102)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경사부재(105)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경사부재(105)는 경질의 판재 또는 플랙시블한 고무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재(105)는 제1연결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부산물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부산물이 제2연결부(103)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관(90)에 연결되어 이송관(90)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우(200)와, 블로우(200)에 의해 이송관(90)에 형성되는 진공압의 세기를 센싱하도록 이송관(90)에 설치되는 진공센서(400) 및 진공센서(400)에서 센싱된 진공압의 세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세기를 비교하여, 진공압의 세기가 기준세기보다 이하이면 이송관(90)이 부산물을 이송시키도록 블로우(200)를 제어하고, 진공압의 세기가 기준세기보다 이상이면 이송관(90)이 부산물을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블로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진공센서(400)는 압력 센서의 일종으로 이송관(90)이나 흡입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부압을 전기로 검출하여 흡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한다. 즉, 실리콘 칩의 한쪽 면에 다이어프램을 사용해서 이송관(90)이나 흡입관(10)의 내부에 걸리는 부압에 의한 전기 저항의 변화에 따라 흡입 공기량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센서(400)는 블로우(20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이송관(90)이나 흡입관(10)을 통해 부산물과 공기가 이송되지 않는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공센서(400)는 이송관(90)이나 흡입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산물이나 공기가 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들이 탑재되는 PCB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블로우(200)가 작동되는 경우 흡입관(10)을 통해 흡입된 부산물이 이송관(90)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많은 양의 부산물이 흡입되어서 흡입관(10)의 끝단이 폐쇄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흡입관(1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진공센서(400)가 이를 센싱함에 따라 제어부(500)가 블로우(200)를 역구동 시켜서 흡입관(10)의 끝단을 폐쇄한 부산물이 흡입관(10)에서 외부로 토출되게 한다. 이에 의해, 흡입관(10)에 형성된 과부하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진공센서(400)가 과부하가 해제된 상태를 센싱하게 되므로 제어부(500)가 블로우(200)를 정구동 시켜서 토출된 부산물이 흡입관(10)으로 다시 흡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점액성분이 포함된 부산물을 흡입하여서 이송하는 과정에서 점액성분에 의해 많은 양의 부산물에 전체적으로 진공압이 형성되어서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량의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이송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영양분과 기름성분에 의해 점액성분이 많이 포함된 오징어와 같은 어류의 부산물을 배출하는 가공장소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흡입관 11 : 공기홈
20 : 분산수단 21 : 타공체
22 : 타공홀 30 : 연결부재
40 : 클립 50 : 로프
60 : 릴 61 : 원통체
62 : 릴하우징 63 : 스파이럴스프링
64 : 구속블록 65 : 관통홀
66 : 삽입홈 67 : 회전축
70 : 구속부재 71 : 탄성공간
72 : 상부걸림턱 73 : 하부걸림턱
74 : 구속몸체 75 : 탄성체
76 : 헤드 77 : 걸림핀
78 : 당김줄 80 : 고정부재
90 : 이송관 91 : 슬라이드홀
92 : 개폐판 93 : 연통홀
94 : 구동부재 100 : 분리수단
101 : 분리통 102 : 제1연결부
103 : 제2연결부 104 : 제3연결부
105 : 경사부재 200 : 블로우
300 : 블로우관 400 : 진공센서
500 : 제어부 600 : 부산물통
700 : 운반통

Claims (11)

  1. 어류의 부산물을 이송시키는 어류 부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부산물을 흡입하는 흡입관(10) 및
    흡입관(10)의 진공압에 의해 모여드는 부산물들이 흡입관(10)의 끝단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흡입관(10)의 진공압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흡입관(10)의 끝단에 제공하여서 부산물들을 분산시키는 분산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입관(10)은 끝단의 테두리에 외부공기를 내측으로 안내하는 공기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산수단(20)은 일단이 흡입관(10)의 측방을 관통하여서 흡입관(10)의 내측에서 끝단에 근접되게 위치되고, 타단이 흡입관(10)의 외측에 돌출되게 고정되어, 흡입관(10)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관(10)의 내측에서 끝단에 안내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는 관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분산수단(20)은 타단에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면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면서 소정크기의 타공홀(22)이 다수개 형성된 타공체(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산수단(20)과 흡입관(10)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이 분산수단(20)과 흡입관(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와,
    연결부재(30)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서 연결되는 연결클립(40)과,
    연결클립(40)에 일단이 연결되는 로프(50)와,
    로프(50)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는 릴(60)과,
    릴(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50)의 권취상태를 유지하도록 릴(6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부재(70) 및
    구속부재(70)를 천정이나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릴(60)은
    로프(50)의 타단이 연결된 상태로 권취되는 원통체(61)와,
    원통체(61)가 수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릴하우징(62) 및
    릴하우징(62)과 원통체(61)에 양단이 각기 연결되어 릴하우징(62)에서 원통체(61)가 감기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스프링(63)으로 구성되며,
    원통체(61)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삽입홈(66)이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구속블록(64)이 측방으로 돌출되며, 일측에서 구속블록(64)까지 관통되는 관통홀(65)이 형성되고,
    릴하우징(62)은 원통체(61)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원통체(61)에 감기거나 풀리는 로프(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부가 개구되며, 원통체(6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관통홀(65)에 관통되는 회전축(67)이 설치되며,
    스파이럴스프링(63)은 회전축(67)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이 회전축(67)에 연결되고 타단이 원통체(6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구속부재(70)는
    상하로 관통되는 탄성공간(71)이 형성되고, 탄성공간(71)의 상부 테두리 내측으로 상부걸림턱(72)이 형성되고, 탄성공간(71)의 하부 테두리 내측으로 하부걸림턱(73)이 형성되며, 릴하우징(62)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속몸체(74)와,
    탄성공간(71)에 수용되어 하부걸림턱(73)에 하단이 걸려서 지지되는 탄성체(75)와,
    탄성공간(71)에 수용된 상태로 탄성체(75)의 탄성에 의해 탄성공간(71)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체(75)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상부걸림턱(72)에 걸리는 헤드(76)가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핀(77) 및
    걸림핀(77)을 당기도록 걸림핀(77)의 헤드(76)에 일단이 연결되는 당김줄(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입관(10)의 타단에 연결되어 분산수단(20)에 의해 분산되면서 흡입관(10)을 통해 흡입된 부산물을 이송하는 이송관(90) 및
    이송관(90)에 연결되어 이송관(90)에 의해 이송되는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분리수단(100)은
    이송관(90)을 통해 이송되는 부산물과 공기를 분리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형태의 분리통(101)과,
    분리통(1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관(90)이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102)와,
    제1연결부(102)와 이격되면서 분리통(1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진공압을 제공하는 블로우관(300)이 연통상태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103) 및
    분리통(1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송관(90)에 의해 이송된 부산물이 채워지는 운반통(700)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분리수단(100)은 분리통(101)의 내부에서 경사지면서 제1연결부(102)를 커버하는 상태로 제1연결부(102)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경사부재(1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이송관(90)에 연결되어 이송관(90)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우(200)와,
    블로우(200)에 의해 이송관(90)에 형성되는 진공압의 세기를 센싱하도록 이송관(90)에 설치되는 진공센서(400) 및
    진공센서(400)에서 센싱된 진공압의 세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세기를 비교하여, 진공압의 세기가 기준세기보다 이하이면 이송관(90)이 부산물을 이송시키도록 블로우(200)를 제어하고, 진공압의 세기가 기준세기보다 이상이면 이송관(90)이 부산물을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블로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KR1020130032736A 2013-03-27 2013-03-27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KR101435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36A KR101435984B1 (ko) 2013-03-27 2013-03-27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36A KR101435984B1 (ko) 2013-03-27 2013-03-27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984B1 true KR101435984B1 (ko) 2014-09-02

Family

ID=5175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736A KR101435984B1 (ko) 2013-03-27 2013-03-27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9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703A (ko) * 2004-02-25 2004-04-01 주식회사 청하기계 오징어 가공기
KR100581752B1 (ko) 2003-05-07 2006-05-22 한상배 교반, 포기, 간헐포기 기능이 구비된 포기장치와 이를이용한 하수고도처리방법
KR101036971B1 (ko) 2010-08-23 2011-05-25 노대현 오징어 부산물 이송장치
CN103125581A (zh) 2012-12-07 2013-06-05 大连工业大学 真空吸取式鱼脏清理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752B1 (ko) 2003-05-07 2006-05-22 한상배 교반, 포기, 간헐포기 기능이 구비된 포기장치와 이를이용한 하수고도처리방법
KR20040027703A (ko) * 2004-02-25 2004-04-01 주식회사 청하기계 오징어 가공기
KR101036971B1 (ko) 2010-08-23 2011-05-25 노대현 오징어 부산물 이송장치
CN103125581A (zh) 2012-12-07 2013-06-05 大连工业大学 真空吸取式鱼脏清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6566B (zh) 观赏鱼等的捞取用具
US8701339B1 (en) Vacuum-based pest capture container
US11707055B2 (en) Larvae counter
EP4129056A1 (en) Rearing device
KR101998264B1 (ko) 의류 처리 장치
EP3692876A1 (en) Towel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bracket and water-resistant container with a handle
KR101435984B1 (ko) 어류 부산물 처리 장치
WO2016167520A1 (ko) 패류 수하 자동공급장치
CN107529736A (zh) 鱼卵孵化器
JP2009022236A (ja) 害虫捕獲器
KR20160057604A (ko) 과일 씨앗 제거장치
KR20170022634A (ko) 곤충 사육 장치
CN216104692U (zh) 切断套管的逐根供料装置
CN210869375U (zh) 畜禽饮水设备
US201800663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thread from an entraining air flow
CN210782549U (zh) 一种对禽类动物进行转运的隔离器设备
CN211881676U (zh) 定量投食装置
KR20180008163A (ko) 동물용 사료 급이 기구
CN210120851U (zh) 一种养殖料线
KR101037365B1 (ko) 휴대용 애완동물 배변 처리기
CN109592629A (zh) 饮料机
CN218457046U (zh) 一种畜牧业养殖用牵引绳
CN109164778A (zh) 一种养殖场智能化物联网远程控制系统
JP2007135550A (ja) 滑落式ゴキブリ取り器
CN215123444U (zh) 一种昆虫调查用活体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