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857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857B1
KR101435857B1 KR1020130157318A KR20130157318A KR101435857B1 KR 101435857 B1 KR101435857 B1 KR 101435857B1 KR 1020130157318 A KR1020130157318 A KR 1020130157318A KR 20130157318 A KR20130157318 A KR 20130157318A KR 101435857 B1 KR101435857 B1 KR 10143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heat sink
curvature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석
정종교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857B1/ko
Priority to US14/570,977 priority patent/US952349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6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5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fins or blades having different shapes, thicknesses or spa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발광유닛이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방향의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소정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 공간부를 갖는 히트싱크; 및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을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공간부의 일부영역을 개방시키기 위한 유동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히트싱크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곡면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에 주로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이 주로 쓰이고 있으며,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백열전구 등의 저항성 광원은 효율이 낮고 발열 문제가 크며, 방전등의 경우 고가격, 고전압의 문제가 있으며, 형광등의 경우 수은 사용에 의한 환경문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광원들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효율, 색의 다양성, 디자인의 자율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이하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LED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가지며, 백열 전구 및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또한, LED는 가로등, 보안등, 공원등 또는 방범등과 같은 아웃도어(Outdoor) 조명장치에 빠르게 적용이 되고 있다.
한편, LED 조명장치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키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지 못하는 경우 조명장치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히트싱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의 대류 열교환 특성을 연속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발광유닛이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방향의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소정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 공간부를 갖는 히트싱크; 및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을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공간부의 일부영역을 개방시키기 위한 유동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히트싱크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곡면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유동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곡면부와 제2 곡면부가 차례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곡면부의 곡률반경은 제2 곡면부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의 곡률 중심과 상기 제2 곡면부의 곡률 중심은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의 호 길이는 상기 제2 곡면부의 호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유닛이 작동하는 경우, 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유동홀을 통해 외부로 유동하고, 외부 공기는 상기 제2 면을 따라 상기 유동홀 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외부 공기는 제1 곡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증가하고, 상기 제2 곡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감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외부 공기가 히트싱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곡면부를 통과시킴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속을 연속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구간에서 유속을 증가시키거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외부 공기의 대류 열교환 특성을 연속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히트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1차 유동을 통해 히트싱크 외부 공기의 2차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동을 안내 및 히트싱크의 방열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히트싱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히트싱크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히트싱크의 방열 특성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곡률 반경과 외부 공기의 유동속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히트싱크의 외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각 구간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히트싱크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각 구간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히트싱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히트싱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히트싱크의 방열 특성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장치(100)는 가로등 등의 아웃도어(Outdoor) 조명장치 및 인도어(Indoor) 조명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는 발광유닛(110)과 히트싱크(200) 및 전원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유닛(110)은 광원으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유닛(110)은 회로기판(111, 도 3 참조)과 상기 회로기판(111)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LED(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11)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110)은 상기 LED(112)를 둘러싸는 광학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유닛(120)은 상기 발광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유닛(120)은 상기 발광유닛(11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전원유닛(120)은 상기 발광유닛(110)의 밝기, 색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유닛(120)은 외부 상용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유닛(110)은 상기 히트싱크(20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유닛(110)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발광유닛(11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히트싱크(20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전원유닛(120)을 둘러싸는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히트싱크(20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30)과 상기 히트싱크(200)는 조명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과 상기 히트싱크(20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히트싱크(200)와 상기 하우징(130)은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히트싱크(2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30)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유닛(110)은 상기 히트싱크(200)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유닛(120)은 상기 하우징(13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110)과 상기 전원유닛(120)은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일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130) 내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영역이 상기 히트싱크(2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가 아웃도어 조명장치인 경우, 상기 조명장치(100)는 지지부재(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3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40)는 "ㄱ"자 형상 또는 "ㅣ"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지지부재(140)는 설치면에 고정되는 폴(Pole)부와 상기 하우징(130)에 연결되는 암(Arm)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히트싱크(2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히트싱크(2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히트싱크(200)의 정면도이다.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발광유닛(110)이 배치되는 제1 면(210)과 상기 제1 면(210)과 반대방향의 제2 면(220)을 갖는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제1 면(210)과 제2 면(220) 사이에 소정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 공간부(24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면(210)은 제1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면(220)은 제2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일체로 상기 히트싱크(2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200)는 폭 방향(W)과 길이방향(L)을 따라 각각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210)과 제2 면(220)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폭 방향(W)과 길이방향(L)을 따라 각각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트싱크(200)와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면(220)에는 상기 공간부(240)의 일부영역을 개방시키기 위한 유동홀(230)이 마련된다. 상기 유동홀(230)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된 길이보다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된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홀(230)은 유동 슬릿(slit)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히트싱크(200)의 중심축(H)에 대하여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x축은 히트싱크(200)의 폭 방향(W)을 나타내고, y축은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중심축(H)은 상기 y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따라서,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홀(230)의 중심과 상기 중심축(H)은 동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히트싱크(200)는 상기 유동홀(230)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면(220)에는 상기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r1, r2)을 갖는 복수 개의 곡면부(221, 222)가 마련된다.
복수 개의 곡면부(221, 222)가 서로 다른 곡률 반경(r1, r2)을 갖는 경우, 제2 면(220)을 따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유속이 달라질 수 있다. 그 결과, 제2 면(220)을 따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대류 열교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면(220)에는 상기 제1 면(210)에서 상기 유동홀(230)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곡면부(221)와 제2 곡면부(222)가 차례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곡면부(221)의 곡률반경(r1)은 제2 곡면부(222)의 곡률반경(r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221)의 곡률 중심(C1)과 상기 제2 곡면부(222)의 곡률 중심(C2)은 상기 제2 면(220)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곡면부(221)는 y축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곡면부(222)는 y축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221)의 호 길이(ℓ1)는 제2 곡면부(222)의 호 길이(ℓ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221)와 상기 제2 곡면부(222)의 경계부에 마련된 변곡점(P)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발광유닛(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곡점(P)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폭 방향(W)의 양 종단부 측으로 각각 치우칠 수 있다. 또한, 제1 곡면부(221)는 상기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발광유닛(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곡면부(222)와 유동홀(230) 사이에는 평면부(223, '제1 평면부'라고도 함)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면부(223)는 제1 면(21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면(210)과 상기 제1 곡면부(221) 사이에는 상기 제1 면(210)과 직교하는 수직부(225, '제1 수직부'라고도 함)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225)와 상기 제1 면(210) 사이에는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수직부(226, '제2 수직부'라고도 함)와 수평부(227, '제2 수평부'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공간부(240)와 연통되는 유동 슬릿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수직부(226)와 제1 면(210)의 경계부는 곡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수직부(226)와 제2 수평부(227)의 경계부는 곡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평부(227)와 제1 수직부(225)의 경계부는 곡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부(240)에는 소정 높이를 가는 복수 개의 방열핀(250)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열핀(250)은 소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발광유닛(110)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방열핀(25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핀(250)은 상기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발광유닛(110)과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각 방열핀(250)의 높이는 유동홀(230)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히트싱크(200)의 방열 특성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광유닛(110)이 작동하는 경우, 공간부(240)의 공기가 상기 유동홀(230)을 통해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홀(230)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240)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1차 유동(상승 유동)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는 상기 제2 면(220)을 따라 상기 유동홀(23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공기가 상기 제2 면(220)을 따라 흐르는 것을 2차 유동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유동은 1차 유동에 의하여 발생 또는 가속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공기는 제1 곡면부(2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증가하고, 상기 제2 곡면부(2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감소할 수 있다. 특히, 제1 곡면부(2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가 나타난다.
코안다 효과라 함은 흐르는 유체에 구부러진 물체를 높으면 상기 유체도 따라 휘면서 유동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유닛(110)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면과 상기 공간부(24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 차이로 인한 1차 유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1차 유동에 의하여 전술한 2차 유동이 발생 또는 가속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유동은 상기 2차 유동의 구동원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유동 및 2차 유동에 의하여 발광유닛(1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빨간 영역은 유체의 유동 속도가 가장 빠른 영역을 나타낸다. 즉, 상기 유동홀(230) 부근의 공기 유동 속도가 가장 빠르게 된다. 또한, 녹색 영역은 제1 곡면부(221)를 나타낸다. 상기 녹색 영역은 유체의 유동 속도가 가속화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전술한 코안다 효과와 관련된 영역이다.
도 6은 곡률 반경(r)과 외부 공기의 유동속도(V)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히트싱크(200)의 제2 면(220)을 따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유속의 증가 및 감소는 해당 곡면부(221, 222)의 곡률 반경과 관련이 있다.
Figure 112013115527076-pat00001
Figure 112013115527076-pat00002
상기 수학식 1과 2에서, P는 압력을 나타내고, r은 곡률 반경을 나타내며, V는 유동 속도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의 오일러 공식(Euler equation)으로부터 코안다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기하학적 요소에 유체의 운동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로부터 r에 관한 적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수학식 2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P와 ρ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도 6에 도시된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곡률 반경(r)의 증가에 따라 곡면부를 지나는 유동 속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즉, 곡률 반경(r)이 증가할수록 유동 속도(V)는 감소하게 되고, 곡률 반경(r)이 감소할수록 유동 속도(V)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유동 속도(V)의 증가에 따라 대류 열교환 계수(h)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도 7은 히트싱크(200)의 외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각 구간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의 (a) 구간은 도 8의 (a)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되고, 도 7의 (b) 구간은 도 8의 (b)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도 7의 (c) 구간은 도 8의 (c)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되고, 도 7의 (d) 구간은 도 8의 (d)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된다. 또한, 도 7의 (e) 구간은 도 8의 (e)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되고, 도 7의 (f) 구간은 도 8의 (f)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a) 구간은 제1 곡면부(221)와 관련된다. 즉, 외부 공기가 제1 곡면부(221)를 진입 및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동 속도가 증가하는 가속 구간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의 (b) 구간은 제1 곡면부(221)와 인접한 제2 곡면부(222) 영역과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곡면부(221)에서 제2 곡면부(222)로 외부 공기가 진입하게 된다. 이때, 제2 곡면부(222)의 곡률 반경(r2)은 제1 곡면부(221)의 곡률 반경(r2)보다 크다. 따라서, 외부 공기가 제2 곡면부(222)를 진입 및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동 속도가 감소하는 감속 구간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의 (c) 구간은 유동홀(230)과 인접한 제2 곡면부(222) 영역과 관련된다.
이때에는 전술한 1차 유동(중앙 상승류)에 의하여, 외부 공기의 유동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7의 (d) 구간 내지 (f) 구간을 참조하면, 유동홀(230)에서 상승 유동이 일어나는 것과 상승 유동이 가속 및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외부 공기의 유동 과정을 정리하면, 제1 곡면부(2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2 곡면부(2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2 곡면부(222)와 상기 유동홀(230)의 경계 영역에서 유속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도 9는 히트싱크(2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각 구간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의 (a) 구간은 도 10의 (a)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되고, 도 9의 (b) 구간은 도 10의 (b)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도 9의 (c) 구간은 도 10의 (c)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되고, 도 9의 (d) 구간은 도 10의 (d)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된다. 또한, 도 9의 (e) 구간은 도 10의 (e)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되고, 도 9의 (f) 구간은 도 10의 (f)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대응된다.
도 9의 (a) 구간 및 (b) 구간을 참조하면, 제2 면의 곡면 구조로 인하여 유동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 구간을 참조하면, 1차 유동에 의하여 유동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d) 구간을 참조하면, 유동홀(2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탈출에 의한 유동 속도의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e) 구간 및 (f) 구간을 참조하면, 상승 흐름이 가속 및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히트싱크(200')의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히트싱크(200')는 발광유닛이 배치되는 제1 면(210')과 상기 제1 면(210')과 반대방향의 제2 면(220')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면(220')은 제1 곡면부(221')와 제2 곡면부(2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면(220')에는 유동홀(230')이 마련된다. 또한, 제1 면(210')과 제2 면(220') 사이에는 소정 체적을 갖는 공간부(240')가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한 히트싱크(200)와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제1 곡면부(221')는 제1 면(210')으로부터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곡면부(221')는 제1 면(210')으로부터 직접 연장된다. 따라서, 변곡점(P')은 히트싱크(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발광유닛과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방열핀(250', 25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251)에는 전술한 하우징(130)과 결합되기 위한 장착부가 마련된다. 일 실시태양으로, 장착부를 갖는 방열핀(251)은 자유 단부가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는 자유 단부가 구부러짐으로써 소정의 장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직부(225')는 제1 곡면부(221')와 제1 면(210')의 경계부로부터 연장된다. 이때, 제1 수직부(225')와 상기 제1 면(210')은 발광유닛의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곡면부(221')와 제2 곡면부(222')의 곡률 반경, 곡률 중심, 호 길이는 전술한 히트싱크(200)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히트싱크(300)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히트싱크(300)의 방열 특성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히트싱크(300)는 전술한 발광유닛(110)이 배치되는 제1 면(310)과 상기 제1 면(310)과 반대방향의 제2 면(320)을 갖는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300)에는 상기 제1 면(310)과 제2 면(320) 사이에 소정 체적을 갖는 공간부(34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 면(320)에는 상기 공간부(340)의 일부 영역을 개방시키기 위한 유동홀(330)이 마련된다. 상기 유동홀(330)은 상기 공간부(340)와 히트싱크(30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부(340) 내의 공기는 상기 유동홀(33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도 있고, 히트싱크(300) 외부 공기는 상기 유동홀(330)을 통해 상기 공간부(340)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히트싱크(300)는 상기 히트싱크(300)의 중심축(H)에 대하여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x축은 히트싱크(300)의 폭 방향(W)을 나타내고, y축은 히트싱크(300)의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중심축(H)은 상기 y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따라서, 상기 히트싱크(300)는 상기 히트싱크(30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홀(330)의 중심과 상기 중심축(H)은 동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히트싱크(300)는 상기 유동홀(330)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3 실시예와 관련된 히트싱크(300)의 제2 면(320)은 제1 실시예와 관련된 히트싱크(200)의 제2 면(220)과 차이를 갖는다.
이하, 상기와 같은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3 실시예와 관련된 히트싱크(300)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면(320)에는 상기 히트싱크(300)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곡면부(321 내지 326)이 마련된다.
이때, 복수 개의 곡면부(321 내지 326)는 제1 면(310)에서 제2 면(320)을 따라 유동홀(330)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6 곡면부(321 내지 326)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곡면부(321 내지 326)는 제1 면(310)에서 제2 면(320)을 따라 유동홀(330)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곡률 반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곡면부(321)의 곡률반경은 제2 곡면부(322)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곡면부(322)의 곡률반경은 제3 곡면부(323)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곡면부(321 내지 326)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경우, 제2 면(320)을 따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유속이 달라질 수 있다. 그 결과, 제2 면(320)을 따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대류 열교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홀(330) 측으로 갈수록 해당 곡면부의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는 경우, 제2 면(32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가속될 수 있다.
또한, 방열을 위한 외부 공기의 유동이 제2 면(320)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코안다 효과가 유동홀(330)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열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곡면부(321 내지 326)의 각 곡률 중심은 제2 면(320)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동일한 영역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곡면부(321 내지 326)는 y축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을 각각 가질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2개의 곡면부의 해당 곡률 중심 사이의 간격은 제1 면(310)에서 제2 면(320)을 따라 유동홀(330)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곡면부의 경계부는 쐐기(Wedge, W)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쐐기 형상은 제2 면(320)을 따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경계층(boundary layer) 발달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300)에는 상기 제1 면(310)과 상기 제2 면(320)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제1 면(310)과 직교하는 제1 수직부(311)와 상기 제1 수직부와 직교하는 제1 수평부(312) 및 상기 제1 수평부와 직교하는 제2 수직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제1 수직부(311)와 제1 수평부(312) 사이의 경계부 및 제1 수평부(312)와 제2 수직부(314) 사이의 경계부는 각각 곡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부(312)에는 유동 슬릿(3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공기는 상기 유동 슬릿(313)을 통해 상기 공간부(34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직부(314)는 제1 곡면부(321)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부(340)에는 소정 높이를 가는 복수 개의 방열핀(35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방열핀(350)의 높이는 유동홀(330)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발광유닛이 작동하는 경우, 공간부(340)의 공기가 상기 유동홀(330)을 통해 외부로 유동(1차 유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는 상기 제2 면(320)을 따라 상기 유동홀(330) 측으로 유동(2차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유동은 상기 1차 유동에 의하여 발생 또는 가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공기는 제2 면(320)의 복수 개의 곡면부(321 내지 326)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가속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부(314)와 제1 곡면부(321)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코안다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전술한 제2 면(320)의 구조에 의하여 코안다 효과가 유동홀(330)까지 연장될 수 있다.
100: 조명장치 110: 발광유닛
120: 전원유닛 130: 하우징
200: 히트싱크 210: 제1 면
220: 제2 면 221: 제1 곡면부
222: 제2 곡면부 230: 유동홀
240: 공간부 250: 방열핀

Claims (12)

  1.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이 배치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방향의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소정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 공간부를 갖는 히트싱크; 및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공간부의 일부영역을 개방시키기 위한 유동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히트싱크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곡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곡면부는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2 면을 따라 상기 유동홀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곡률반경이 작아지도록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유동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곡면부와 제2 곡면부가 차례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곡면부의 곡률반경은 제2 곡면부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의 곡률 중심과 상기 제2 곡면부의 곡률 중심은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의 호 길이는 상기 제2 곡면부의 호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발광유닛이 작동하는 경우, 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유동홀을 통해 외부로 유동하고,
    외부 공기는 상기 제2 면을 따라 상기 유동홀 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외부 공기는 제1 곡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증가하고, 상기 제2 곡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부와 유동홀 사이에는 평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평면부는 제1 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곡면부 사이에는 상기 제1 면과 직교하는 수직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와 상기 제2 곡면부의 경계부에 마련된 변곡점은 상기 히트싱크의 높이방향을 따라 발광유닛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방열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방열핀의 높이는 유동홀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곡면부의 각 곡률 중심은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동일한 영역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30157318A 2013-12-17 2013-12-17 조명장치 KR10143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318A KR101435857B1 (ko) 2013-12-17 2013-12-17 조명장치
US14/570,977 US9523492B2 (en) 2013-12-17 2014-12-15 Ligh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318A KR101435857B1 (ko) 2013-12-17 2013-12-17 조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43A Division KR101714440B1 (ko) 2014-06-23 2014-06-23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857B1 true KR101435857B1 (ko) 2014-09-23

Family

ID=5175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318A KR101435857B1 (ko) 2013-12-17 2013-12-1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23492B2 (ko)
KR (1) KR1014358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07U (ko) * 2008-11-10 2009-09-02 (주)케이엔텍 Led 램프 등기구
KR20110051071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 렉스모바일 엘이디 형광등용 방열유닛
KR20110131385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코어텍스패드가 내장된 led 등기구
KR20130123574A (ko) * 2012-05-03 2013-11-13 남경 주식회사 다층 방열 구조를 갖는 엘이디 가로등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0010792A (es) * 2008-04-04 2010-10-26 Ruud Lighting Inc Accesorios de iluminacion de led.
US7575346B1 (en) * 2008-07-22 2009-08-18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Lamp
TW201006367A (en) * 2008-07-24 2010-02-01 Jun-Guang Luo Heat-dissipating device and heat-dissipating method
TWM346745U (en) * 2008-07-25 2008-12-11 Forcecon Technology Co Ltd LED Lamp with heat-dissipation toward the terminal direction
US20100232155A1 (en) * 2009-03-12 2010-09-16 Pei-Choa Wang Combination structure of led lighting device
TW201107655A (en) * 2009-08-21 2011-03-01 Nat Univ Tsing Hua LED lamp
TWI376481B (en) 2009-10-13 2012-11-1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Lamp
KR101216289B1 (ko) 2011-05-18 2012-12-28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반도체 조명장치
TWI397650B (zh) * 2010-09-15 2013-06-0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燈具
TWI457518B (zh) * 2010-12-13 2014-10-2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燈具
KR101202944B1 (ko) 2011-01-07 2012-11-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led 조명등
TWI426214B (zh) * 2011-03-15 2014-02-1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燈具
TWI408313B (zh) * 2011-05-23 2013-09-1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Led燈
KR101113292B1 (ko) 2011-06-17 2012-02-24 베스비시스템(주) 엘이디 조명장치
JP6116567B2 (ja) * 2011-08-30 2017-04-1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照明装置
KR101297109B1 (ko) 2011-12-27 2013-08-21 주식회사 포스코 엘이디 조명장치
TWI481798B (zh) * 2012-04-11 2015-04-2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燈具
TWI529346B (zh) * 2012-05-03 2016-04-1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燈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07U (ko) * 2008-11-10 2009-09-02 (주)케이엔텍 Led 램프 등기구
KR20110051071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 렉스모바일 엘이디 형광등용 방열유닛
KR20110131385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코어텍스패드가 내장된 led 등기구
KR20130123574A (ko) * 2012-05-03 2013-11-13 남경 주식회사 다층 방열 구조를 갖는 엘이디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23492B2 (en) 2016-12-20
US20150167954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4198B2 (ja) 照明器具
US20120218774A1 (en) Led light bulb
JP6125675B2 (ja) 照明デバイス及び照明器具
TW201348646A (zh) 發光二極體燈具
KR20090095903A (ko) 소형 무팬(無 Fan) 엘이디 조명기구
CN102052576A (zh) 照明装置
US20190360682A1 (en)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KR101652161B1 (ko) 조명 장치
KR101646190B1 (ko) 채널 타입 방열 시스템을 포함하는 led 등기구
KR200451042Y1 (ko) 열 대류와 열 전도 효과를 가진 led 조명 장치 및 방열 조립체
US20130039074A1 (en) Led Luminaire with Convection Cooling
KR101099572B1 (ko) Led 조명장치
KR101435857B1 (ko) 조명장치
KR20130123623A (ko) 자연대류형 엘이디 램프
TWI537522B (zh) 發光裝置
KR101714440B1 (ko) 조명장치
TW201516319A (zh) 發光二極體燈泡
KR101641539B1 (ko) 공냉식 조명등
KR101195746B1 (ko) 엘이디 조명장치의 히트씽크용 방열핀
EP2851615A1 (en) Lighting apparatus
KR101476214B1 (ko) 조명장치
JP2014203534A (ja) ヒートシンク
JP2019536251A (ja) 照明モジュール及びその照明モジュールspeを備える照明器具
KR20150025439A (ko) Led 조명기구
KR20120119366A (ko)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