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754B1 - Electric steamer - Google Patents

Electric stea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754B1
KR101434754B1 KR1020120141956A KR20120141956A KR101434754B1 KR 101434754 B1 KR101434754 B1 KR 101434754B1 KR 1020120141956 A KR1020120141956 A KR 1020120141956A KR 20120141956 A KR20120141956 A KR 20120141956A KR 101434754 B1 KR101434754 B1 KR 10143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nozzle body
generating tank
housing
steam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3923A (en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김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호 filed Critical 김상호
Priority to KR102012014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754B1/en
Publication of KR2014007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전기 스팀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 스팀기는 사각 박스 형태의 함체; 상기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후단에 수직판이 마련된 작업 플레이트;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탱크; 상기 스팀발생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히팅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스팀발생탱크와 연결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설치되어 물을 상기 스팀발생탱크로 이송시키는 펌프; 일측은 상기 스팀발생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판에 고정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유로; 및, 상기 스팀배출유로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작업 플레이트 상부에 분사하는 스팀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분사노즐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 외주면에 상기 스팀배출유로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 1 스팀분사구가 형성된 후방 노즐몸체부와,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의 전방에 이격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팀분사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스팀분사구의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스팀분사구가 형성된 전방노즐몸체부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와,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노즐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팀배출유로로부터의 스팀은 상기 제 1 스팀분사구를 거쳐 상기 후방노즐몸체부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 사이의 공간으로 나와, 상기 전방 노즐 몸체부의 후면에 충돌한 후,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 사이의 공간에서 방향이 꺽인 후, 상기 제 2 스팀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ectric steamer is started. The disclosed electric steamer includes a box-shaped enclosure; A working plat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having a vertical plate at a rear end thereof; A steam generating tank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An electric heater install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water contain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A water supply passage installed in the housing to b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and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A pump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to transfer water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A steam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is discharged, the steam discharge passage being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at one side and the fixed side to the vertical plate; And a steam injection nozzl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am discharge passage for spraying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assage onto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ing plate, wherein the steam injection nozzl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rear nozzle body part formed on a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screw thread is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eam discharge path and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steam jetting port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steam inle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eam inlet so as not to be in line with the first steam inlet, the front nozzle body, the rear nozzle body, And a nozzle body having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steam is injected, And the front nozzle body and the front nozzle body through the rear nozzle body and the front nozzle body. After colliding against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nozzle body,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and the front nozzle body is deflecte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steam jetting port.

Description

전기 스팀기{ELECTRIC STEAMER}[0001] ELECTRIC STEAMER [0002]

본 발명은 전기 스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재료를 증숙 즉, 쪄서 익히기 위해 찜통을 올려 놓고 찜통 내에 스팀을 분사시키는 전기 스팀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tea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steamer for steaming a food material, that is, for steaming and steaming, and spraying steam into the steamer.

일반적으로, 만두, 찐빵, 떡과 같이 음식재료를 스팀으로 쪄서 익힐 경우, 가정에서는 찜통을 가스렌지 위에 올려놓고,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증숙할 음식재료가 많은 음식점이나 떡집에서는 스팀을 발생시켜 음식재료를 증숙시키는 전용으로 고안된 전기 스팀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when steamed steamed food ingredients such as dumplings, steamed bread, and rice cakes are used, a steamer is placed on a gas stove at home and boiled to generate steam. However, In the rice cake house, an electric steamer designed specifically for generating steam and cooking foodstuff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전기 스팀기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007562호에 개시되어 있다. This electric steam generator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4007562.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기 스팀기는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스팀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시끄러워서 작업을 편안하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주변에서 시끄러움으로 인한 불편을 호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electric steam generator has a large noise generated from the steam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er is noisy and the work can not be comforted, and there is a problem of inconvenience due to noisy surroundings .

또한, 종래의 전기 스팀기는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스팀이 확산되지 않고, 직선형태로 분사되어, 음식재료 전체가 골고루 균일하게 익지 않을 뿐 아니라, 전체를 다 익히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steamer, the steam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is sprayed in a straight line without spreading, so that not only the entire food material is not uniformly uniformed but also it takes a lot of time to thoroughly master the entire food .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분사되는 스팀의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분사되는 스팀에 의해 음식재료가 보다 빨리 전체적으로 골고루 증숙될 수 있도록 스팀이 확산분사될 수 있는 전기스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noise of steam to be sprayed and to spray the steam to spread the food material evenly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team generat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 스팀기는 사각 박스 형태의 함체; 상기 함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후단에 수직판이 마련된 작업 플레이트;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탱크; 상기 스팀발생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히팅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스팀발생탱크와 연결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유로; 상기 물공급유로상에 설치되어 물을 상기 스팀발생탱크로 이송시키는 펌프; 일측은 상기 스팀발생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판에 고정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유로; 및, 상기 스팀배출유로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작업 플레이트 상부에 분사하는 스팀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분사노즐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 외주면에 상기 스팀배출유로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 1 스팀분사구가 형성된 후방 노즐몸체부와,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의 전방에 이격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팀분사구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스팀분사구의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스팀분사구가 형성된 전방노즐몸체부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와,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노즐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팀배출유로로부터의 스팀은 상기 제 1 스팀분사구를 거쳐 상기 후방노즐몸체부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 사이의 공간으로 나와, 상기 전방 노즐 몸체부의 후면에 충돌한 후,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 사이의 공간에서 방향이 꺽인 후, 상기 제 2 스팀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steam generator including: a box-shaped enclosure; A working plat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having a vertical plate at a rear end thereof; A steam generating tank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An electric heater install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water contain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A water supply passage installed in the housing to b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and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A pump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to transfer water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A steam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is discharged, the steam discharge passage being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at one side and the fixed side to the vertical plate; And a steam injection nozzl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am discharge passage for spraying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assage onto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ing plate, wherein the steam injection nozzl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rear nozzle body part formed on a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screw thread is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eam discharge path and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steam jetting port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steam inle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eam inlet so as not to be in line with the first steam inlet, the front nozzle body, the rear nozzle body, And a nozzle body having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steam is injected, And the front nozzle body and the front nozzle body through the rear nozzle body and the front nozzle body. After colliding against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nozzle body,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and the front nozzle body is deflecte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steam jetting port.

상기 스팀분사노즐은, 상기 노즐몸체를 감싸도록 상기 노즐몸체의 전방부가 끼워지는 덮개호스; 및, 상기 덮개 호스를 상기 노즐몸체에 고정시키는 호스 클램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am injection nozzle comprises: a cover hose to which a front portion of the nozzle body is fitted so as to surround the nozzle body; And a hose clamp for fixing the cover hose to the nozzle body.

상기 스팀발생탱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기히터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의 하부 측면에서 배부로 수평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steam generating tank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disposed in a standing state inside the housing, and the electric heat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ctric heaters, and may be installed so as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tank to the distributor.

상기 스팀배출유로는, 일측이 상기 스팀발생탱크와 연결된 스팀배출 메인관; 상기 스팀배출 메인관에 연결된 3개의 스팀배출 분배관; 상기 수직판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설치된 3개의 스팀배출포트; 및, 상기 스팀배출 분배관과 상기 스팀배출포트를 연결하는 3개의 스팀배출 연결관;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steam discharge passage includes a steam discharge main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Three steam discharge distribution pipes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Three steam exhaust ports fixed to the vertical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ree steam discharge connection pipes connecting the steam discharge distribution pipe and the steam discharge port.

상기 제 1 스팀분사구의 직경은 상기 제 2 스팀부사구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first steam injection port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team injection nozzle.

상기 스팀배출 메인관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배출 메인관 내의 스팀으로부터 응축된 웅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nd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from the steam in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to the outside.

상기 함체의 하면 모서리에는 4개의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함체의 하면 전방 양측에는 2개의 높이조절다리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our moving wheels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edge of the housing and two height adjusting legs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함체의 전면일측에는, 스팀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 및,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 pressure gauge for indicating the pressure of the steam; And an operation unit for the user to operate can be provided.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되는 스팀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현저히 줄어 들어, 작업자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편안한 상황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sprayed steam is remarkably reduced, thereby not only damaging the surroundings of the worker but also enabling the worker to work in a comfortable situation.

아울러, 스팀이 종래에 비해 더 확산 분사되기 때문에, 음식재료 전체가 균일하게 빨리 익어, 증숙시간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음식증숙에 따른 음식가공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steam is diffused more than in the prior art, the entire foodstuff is uniformly and quickly cooked, and the steaming time is remarkably reduced. Thus, the productivity of the processed food product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스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 스팀기에서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기 스팀기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기 스팀기에서, 전기히터가 설치된 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K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사노즐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노즐몸체를 일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노즐몸체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전기 스팀기에 찜통이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stea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removed from the electric steamer of FIG. 1,
Fig. 3 is a rear view of the electric steamer of Fig. 1,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ank provided with an electric heater in the electric steamer of Fig. 1,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K in Fig. 1,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ray nozzle of FIG. 5,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body of FIG. 6 is viewed from one sid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nozzle body of FIG. 6,
FIG. 9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amer is placed on the electric steamer of FIG. 1;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스팀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lectric stea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전기스팀기(10)는 본체(101), 스팀발생탱크(121), 전기히터(125), 물공급유로(131), 펌프(137), 스팀배출유로(151,153,155,156), 스팀분사노즐(170)을 포함한다. 1 to 3, the electric steam generator 10 includes a main body 101, a steam generating tank 121, an electric heater 125, a water supply passage 131, a pump 137, steam discharge passages 151, 153, 155, , And a steam injection nozzle (170).

본체(101)는 사각 박스 형상의 함체(102)와, 상기 함체(102)의 상단에 결합되는 사각판 형상의 작업 플레이트(103)를 포함한다. The main body 101 includes a rectangular box-shaped housing 102 and a rectangular plate-shaped working plate 103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2.

함체(102)는 전면에 개방구(105)가 형성되며, 개방구(105)에는 분리가능한 도어(106)가 설치된다. 도어(106)를 함체(102)로부터 분리해내면, 도 2와 같이, 함체(102) 내부에 설치된 구성들이 개방구(105)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The enclosure 102 is formed with an opening 105 at the front thereof and a detachable door 106 is provided at the opening 105. When the door 106 is detached from the enclosure 102, the components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102 can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05, as shown in Fig.

작업 플레이트(103)는 좌우 길이가 함체(102)의 길이보다 다소 길며, 작업 플레이트(103)의 후단에는 직각되게 수직판(104)이 마련된다. The right and left lengths of the working plate 103 are somewhat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ousing 102 and the vertical plate 104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rear end of the working plate 103.

수직판(104)에는 작업 플레이트(103) 쪽으로 돌출되게 후술될 3개의 스팀분사노즐(170)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스팀분사노즐(170)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In the vertical plate 104, three steam injection nozzles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working plate 103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스팀발생탱크(1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함체(102)의 내부설치된다.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nd is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102.

전기히터(125)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6개로 구성되어, 스팀발생탱크(121)의 하부 측면에서 내부로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스팀발생탱크(121)에 수용된 물을 히팅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2 and 4, the electric heater 125 is install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to the inside of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Thereby generating steam.

본 발명에서 스팀발생탱크(121)는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고, 전기히터(125)가 스팀발생탱크(121)의 하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는, 스팀발생탱크(121)를 누운 상태로 배치할 경우, 전기히터(125)의 길이를 길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스팀발생탱크(121)에 물을 많이 채워야 하기 때문에, 스팀발생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나, 이에 반해, 본 발명과 같이 스팀발생탱크(121)를 세워진 형태로 배치할 경우, 전기히터(125)의 길이 및, 물 공급량을 줄여 스팀발생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is disposed in a standing manner, and the electric heater 125 is installed horizontally below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ngth of the electric heater 125 must be made long whe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is laid down and that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must be filled with a lot of water, Whe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is disposed in a raised form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electric heater 125 and the water supply amount can be reduced to increase the steam generating efficiency .

물공급유로(131)는 스팀발생탱크(121)와 연결되도록 함체(102)에 설치되며, 물공급유로(131) 상에는 펌프(137)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물공급유로(131)는 제 1 물공급관(132)과 제 2 물공급관(133)으로 이루어져, 제 1 물공급관(132)의 일측단은 함체(102)의 외부로 돌출되며, 타측은 함체(102)의 내부에서 펌프(137)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제 2 물공급관(133)은 함체(102)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함체(102) 내부에 설치된 펌프(137)와 연결되고, 타측은 스팀발생탱크(121)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 1 물공급관(132)의 일측단은 물저장탱크(미도시)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assage 131 is installed in the enclosure 10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and the pump 137 is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131. 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passage 131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pipe 132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133. One end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2,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pump 137 inside the housing 102. [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33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2 and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pump 137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2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2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torage tank (not shown).

따라서, 펌프(137)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물이 스팀발생탱크(121)로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물공급관(132)의 일측단에는 물공급백브(135)가 설치되어, 스팀발생탱크(121)로 공급되는 물을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by driving the pump 137, external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 In addition, a water supply bag 135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2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ion tank 12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팀배출유로(151,153,155,156)는 스팀발생탱크(121)와 스팀분사노즐(17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스팀발생탱크(121)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분사노즐(170)로 전달하는 유로이다. 2 and 3, the steam discharging passages 151, 153, 155 and 156 are provided to connect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and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and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is supplied to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구체적으로, 스팀배출유로(151,153,155,156)은, 일측이 스팀발생탱크(121)와 연결된 스팀배출 메인관(151)과, 상기 스팀배출 메인관(151) 상에 연결된 3개의 스팀배출 분배관(153)과, 상기 스팀배출 분배관(153) 각각에 연결되는 스팀배출 연결관(155)과, 상기 스팀배출 연결관(155)과 연결되며, 수직판(104) 상에 상호 이격설치된 3개의 스팀배출포트(156)를 포함한다. The steam discharging passages 151, 153, 155 and 156 include steam discharge main pipes 151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and three steam discharge pipes 153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ing main pipe 151, A steam discharge connection pipe 155 connected to each of the steam discharge distribution pipes 153 and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connection pipe 155 and having three steam discharge ports (156).

스팀배출메인관(151)은 함체(102) 내부에 배치되며, 스팀배출 메인관(151) 상에는 스팀배출 메인밸브(152)가 설치되어, 스팀의 흐름이 제어된다.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151 is disposed inside the enclosure 102 and the steam discharge main valve 152 is installed on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151 to control the flow of steam.

3개의 스팀배출 분배관(153)은 일측단이 스팀배출 메인관(151)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함체(102)의 후면을 관통하여 후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3개의 스팀배출 분배관(153) 상에는 스팀배출 분배밸브(154)가 각각 설치되어, 3개의 스팀배출 분배관(153)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의 흐름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three steam discharge pipes 153 is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151 and the other end of the three steam discharge pipes 153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2. At this time, a steam discharge dispensing valve 154 is installed on each of the three steam discharge distribution pipes 153, so that the flow of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three steam discharge distribution pipes 153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각각의 스팀배출 연결관(155)은 주름관 형태로서, 일측은 3개의 스팀배출 분개관(153)의 타측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스팀배출포트(156)에 연결된다. Each steam discharge connection pipe 155 is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ree steam discharge branch pipes 153,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스팀배출포트(156)는 일부가 꺽인 절곡된 형상의 배관으로 구성되어, 수직판(104)에 관통된 형태로 고정설치되며, 일측단은 스팀배출 연결관(155)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후술되는 분사노즐(170)이 설치된다. 스팀배출포트(156)의 타측 내주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어, 스팀분사노즐(170)과 나사결합된다. The steam discharging port 156 is formed by a bent part of the pipe and is fixedly installed through the vertical plate 104. The steam discharging port 156 is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ing pipe 155 at one end, The spray nozzle 170 is installed. (Not show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and is screwed to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한편, 스팀배출 메인관(161)의 일측에는 응축수 배출관(158)이 설치되고, 응축수 배출관(158) 상에는 응축수 배출밸브(159)가 설치된다. 이때, 응축수 배출관(158)의 끝단은 함체(102)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인해, 스팀배출 메인관(161)에 스팀이 있는 상태에서 전기히터(125)의 구동이 정지되면, 스팀배출 메인관(161) 내의 스팀은 응축되어 응축수가 되고, 이 발생된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관(15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ndensate discharge pipe 158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161 and a condensate discharge valve 159 is provided on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158. At this time, the end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158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2. Therefore, when the driving of the electric heater 125 is stopped while steam is present in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161, the steam in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161 is condensed to become condensed water,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58.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스팀분사노즐(170)은 스팀배출포트(156)과 연결되어, 스팀을 작업 플레이트(103) 상에 놓여진 찜통(B, 도9참조) 내부에 분사한다. 5 to 8,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is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to inject steam into the steamer B (see FIG. 9) placed on the work plate 103.

스팀분사노즐(170)은 노즐몸체(171), 덮개 호스(175) 및, 호스 클램프(176)를 포함한다.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includes a nozzle body 171, a cover hose 175, and a hose clamp 176.

노즐몸체(171)는 도 6과 같이, 후방 노즐몸체부(172), 전방 노즐몸체부(173) 및, 연결부(174)로 구성된다. 6, the nozzle body 171 includes a rear nozzle body 172, a front nozzle body 173, and a connecting portion 174. As shown in FIG.

후방 노즐몸체부(172)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방 외주면에는 스팀배출포트(156)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172a)이 형성된다. 후방 노즐몸체부(172)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스팀분사구(172b)가 관통 형성된다. 제 1 스팀분사구(172b)는 4개가 형성되며, 후방 노즐몸체부(172)의 가장자리 위치에 설치되고, 서로 균등하게 이격형성된다. The rear nozzle body 172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crew thread 172a for screwing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is formed on the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ear nozzle body 172 has a first steam jetting port 172b formed therethroug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Four first steam jetting ports 172b are formed at the edge of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are evenly spaced from each other.

전방 노즐몸체부(173)는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 노즐몸체부(172)의 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다. 전방 노즐몸체부(173)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스팀분사구(173a)가 관통 형성된다.이때, 제 2 스팀분사구(173a)의 직경은 제 1 스팀분사구(172b)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제 2 스팀분사구(173a)는 4개가 형성되며, 전방 노즐몸체부(173)의 가장자리 위치에 설치되고 서로 균등하게 이격형성된다. The front nozzle body 17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at of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of the rear nozzle body 172. The second steam inlet 173a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front nozzle body 17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73. The diameter of the second steam inlet 173a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team inlet 172b . Four second steam injection openings 173a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front nozzle body 173 and are evenly spaced from each other.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스팀분사구(172b)와 제 2 스팀분사구(173a)는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아 스팀이 배출되는 진행방향이 일직선이 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즉, 도 7과 도 8과 같이, 노즐몸체(171)를 길이방향을 볼때, 제 1 스팀분사구(172b)들 사이에 제 2 스팀분사구(173a)가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team injection port 172b and the second steam injection port 173a are not located on a straight line, and are formed so as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progress direction in which steam is discharged is not straight. That is, 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nozzle body 171 is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steam jetting port 173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eam jetting ports 172b.

연결부(173)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173)의 직경은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보다 작게 형성되며,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의 중심축부를 연결하여, 연결부(173)가 제 1 스팀분사구(172b)와 제 2 스팀분사구(173a)를 막지 않도록 구성된다. The connecting portion 17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s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to each other.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17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diameter of the front nozzle body 173.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17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center axis of the front nozzle body 173 And the connecting portion 173 does not block the first steam injection hole 172b and the second steam injection hole 173a.

덮개 호스(175)는 원형 파이프로 구성된 플렉시블 호스로 이루어져, 노즐몸체(171)가 끼워져, 노즐몸체(171)를 감싼다. 이때, 덮개 호스(173)는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의 직경과 같거나 다소 작도록 구성되어,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에 억지끼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ver hose 175 is made of a flexible hose made of a circular pipe, and the nozzle body 171 is fitted to cover the nozzle body 171. The cover hose 173 is formed to b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so that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It is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so as to be forced.

덮개 호스(175)는 노즐몸체(171)의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되며, 덮개 호스(175)는 전방 노즐몸체부(173)의 전방을 통해 후방으로 끼워져, 후방 노즐몸체부(172)에서 나사산(172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까지 덮도록 끼워진다. The cover hose 175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nozzle body 171 and the cover hose 175 is fitted backward through the front of the front nozzle body portion 173, 172a are not formed.

이로인해, 덮개 호스(175)는 노즐몸체(171)의 전방으로 더 길게 돌출되며, 아울러, 덮개 호스(175)로 인해,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의 측방이 덮혀,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이격부분에 스팀이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The cover hose 175 protrudes further forward of the nozzle body 171 and the cover hose 175 prevents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from being sideways And a space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to allow movement of the steam.

호스 클램프(176)는 노즐몸체(171)에 씌워진 덮개 호스(175)를 더욱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호스 클램프(176)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덮개 호스(175)가 노즐몸체(171)에 완벽하게 끼워져 고정된 경우라면, 호스 클램프(176)를 적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hose clamp 176 is for firmly fixing the cover hose 175 that is put on the nozzle body 171, and a normal hose clamp 176 can be applied. However, if the cover hose 175 is completely fixed to the nozzle body 171, the hose clamp 176 may not be applied.

상기한 구성으로, 본 고안은 스팀분사노즐(170)이 스팀배출포트(156)에 설치되어, 스팀이 스팀분사노즐(170)을 통해 분사된다. 따라서, 스팀이 스팀분사노즐(170)을 통하지 않고, 스팀배출포트(156)를 통해 직접 외부로 분사되는 것에 비해, 고압의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is installed in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and the steam is injected through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Therefore, the steam can be injected at a higher pressure than when the steam is directly in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exhaust port 156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또한, 스팀배출포트(156)를 통해 배출되는 스팀은 제 1 스팀분사구(172b)와,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공간과, 제 2 스팀분사구(173a)를 거쳐, 노즐즐몸체(171)의 전방으로 분사된다. 이때, 제 1 스팀분사구(172b)와 제 2 스팀분사구(173a)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스팀분사구(172b)를 이동한 스팀은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공간으로 나와, 전방 노즐몸체부(173)의 후면에 충돌한 후,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공간에서 방향이 꺽인 다음, 제 2 스팀분사구(173a)를 통해 분사되어, 종래 스팀기의 분사노즐에 비해서, 스팀분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현저히 줄어든다.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team jetting port 172b and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and the second steam jetting port 173a, And is injected forwardly of the nozzle jig body 171 through the nozzle.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team injection port 172b and the second steam injection port 173a are not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the steam moving through the first steam injection port 172b flows through the rear nozzle body 172, Out of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after colliding against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nozzle body 173 and then deflecting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So that the noise generated by the steam injection i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injection nozzle of the conventional steam generator.

또한, 제 2 스팀분사구(173a)가 제 1 스팀분사구(172b) 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스팀은 제 1 스팀분사구(172b)를 통해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에 고압으로 빠져나와, 전방 노즐몸체부(173)의 후면에 충돌한 후, 제 1 스팀분사구(172b)보다 직경이 큰 제 2 스팀분사(173a)를 통해 분사되어, 종래에 비해 확산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Since the second steam jetting port 173a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irst steam jetting port 172b, the steam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steam jetting port 172b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And collides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nozzle body 173 and is then injected through the second steam injection 173a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steam injection hole 172b so that diffusion injection is performed .

한편, 상기에서 스팀분사노즐(170)은 노즐몸체(171)의 후방부가 스팀배출포트(156)에 나사결합되고, 노즐몸체(171)의 전방부에 덮개 호스(175)가 끼워져 호스 클램프(176)로 고정됨으로써, 덮개 호스(175)가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측방을 덮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방 노즐몸체부(172)의 나사산(172a)과 나사 결합되도록 스팀배출포트(156)의 내주면 형성된 나사산(미도시)을 스팀배출포트(156)의 더 깊숙한 곳에 형성함으로써, 노즐몸체(171)를 스팀배출포트(156)에 나사 결합했을 때, 스팀배출포트(156)의 전단부가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측방을 덮도록 구성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덮개 호스(175)와 호스 클램프(176)는 적용되지 않아도 된다. In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the rear portion of the nozzle body 171 is screwed to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and the cover hose 175 is fit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nozzle body 171, The cover hose 175 covers the sid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by means of a screw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so as to be screwed on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by screwing the nozzle body 171 into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sid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In this case, the cover hose 175 and the hose clamp 176 do not have to be applied.

한편, 본체(101)의 함체(102) 전면 일측에는 압력계(191)와 조작부(193)가 설치되어, 스팀의 압력을 작업자가 체크할 수 있으며, 조작부(193)를 통해 스팀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pressure gauge 191 and an operating portion 193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2 of the main body 101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the pressure of the steam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eamer through the operating portion 193 .

또한, 본체(101)의 함체(102)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108)가 네 모서리에 고정 설치되고, 전방 양측에는 이동용 바퀴(108)와 근접하게 높이조절다리(109)가 설치되어, 본체(101)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of the main body 101, a moving wheel 108 is fixed to all four corners and a height adjusting leg 109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1 in the vicinity of the moving wheel 108, )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스팀기(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steam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작업자는 도 9와 같이, 증숙할 음식재료가 담긴 찜통(B)을 작업 플레이트(103)에 다단으로 올려놓는다. 이때, 스팀분사노즐(170)이 맨 하단의 찜통(B)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스팀분사노즐(170)의 끝단부가 찜통(B)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First, as shown in FIG. 9, the operator puts a steamer (B) containing food ingredients to be mixed in a multi-stage manner on the work plate 103. At this time,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steamer B at the bottom of the bottom, and the end of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is positioned inside the steamer B.

이후, 작업자가 조작부(193)를 조작하여, 펌프(137)를 구동함으로써, 스팀발생탱크(121)에 물을 공급하여 스팀발생탱크(121)에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도록 하고, 다음으로, 작업자가 조작부(193)를 조작하여, 전기히터(125)를 구동시키면, 전기히터(125)가 스팀발생탱크(121)에 수용된 물을 히팅하여 스팀이 발생된다. Thereafter, the operato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93 to drive the pump 137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so that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receiv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The electric heater 125 operates to he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to generate steam.

스팀발생탱크(121)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배출유로 즉, 스팀배출메인관(151)과 스팀배출분배관(153), 스팀배출연결관(155) 및, 스팀배출포트(156)를 통해 스팀분사노즐(170)에 전달된 후, 스팀분사노즐(170)을 통해 찜통(B) 내부에 분사되어, 찜통(B)에 담긴 음식재료를 쪄서 익히게 된다.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flows through the steam discharge main passage 151 and the steam discharge distribution pipe 153, the steam discharge connection pipe 155 and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Is sprayed into the steamer bottle (B) through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and the food material contained in the steamer (B) is steamed and steamed.

이 경우, 스팀배출포트(156)로부터의 스팀은 노즐몸체(171)의 제 1 스팀분사구(172b)를 거쳐,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공간으로 나온 다음, 전방 노즐몸체부(173)의 후면에 충돌한 후,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공간에서 방향이 꺽인 후, 제 1 스팀분사구(172b)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스팀분사구(173a)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 스팀기의 분사노즐에 비해서, 스팀이 배출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현저히 줄어들 뿐 아니라, 스팀이 확산분사되게 된다.
In this case, the steam from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flows through the first steam jetting port 172b of the nozzle body 171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After colliding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nozzle body 173 and then deflecting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The noise produced by the discharge of the steam i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spray nozzle of the conventional steam generator and the steam is diffused and spray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regard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본체
102...함체
103...작업 플레이트
104...수직판
108...이동용 바퀴
109...높이조절다리
121...스팀발생탱크
125...전기히터
131...물공급유로
137...펌프
151...스팀배출 메인관
153...스팀배출 분배관
155...스팀배출 연결관
156...스팀배출포트
170...스팀분사노즐
171...노즐몸체
172...후방 노즐몸체부
172a...나사산
172b...제 1 스팀분사구
173...전방 노즐몸체부
173a...제 2 스팀분사구
174...연결부
175...덮개 호스
176...호스 클램프
101 ... body
102 ... enclosure
103 ... working plate
104 ... vertical plate
108 ... Mobile wheels
109 ... height adjustment leg
121 ... steam generating tank
125 ... electric heater
131 ... water supply channel
137 ... pump
151 ... steam exhaust main pipe
153 ... steam discharge distribution pipe
155 ... steam exhaust connection pipe
156 ... Steam exhaust port
170 ... Steam injection nozzle
171 ... nozzle body
172 ... rear nozzle body
172a ... thread
172b ... the first steam nozzle
173 ... front nozzle body
173a ... the second steam nozzle
174 ... connection
175 ... Cover hose
176 ... hose clamp

Claims (8)

사각 박스 형태의 함체(102);
상기 함체(102)의 상부에 설치되며, 후단에 수직판(104)이 마련된 작업 플레이트(103);
상기 함체(102)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탱크(121);
상기 스팀발생탱크(121)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12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히팅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125);
상기 스팀발생탱크(121)와 연결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121)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유로(131);
상기 물공급유로(131)상에 설치되어 물을 상기 스팀발생탱크(121)로 이송시키는 펌프(137);
일측은 상기 스팀발생탱크(12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판(104)에 고정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121)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유로(151,153,155,156); 및,
상기 스팀배출유로(151,153,155,156)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배출유로(151,153,155,156)를 통해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작업 플레이트(103) 상부에 분사하는 스팀분사노즐(170);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분사노즐(17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 외주면에 상기 스팀배출유로(151,153,155,156)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 1 스팀분사구(172b)가 형성된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의 전방에 이격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팀분사구(172b)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스팀분사구(172b)의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스팀분사구(173a)가 형성된 전방 노즐몸체부(173)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173)와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172)를 연결하는 연결부(174)를 구비한 노즐몸체(171)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팀배출유로(151,153,155,156)로부터의 스팀은 상기 제 1 스팀분사구(172b)를 거쳐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공간으로 나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173)의 후면에 충돌한 후, 상기 후방 노즐몸체부(172)와 상기 전방 노즐몸체부(173) 사이의 공간에서 방향이 꺽인 다음, 상기 제 2 스팀분사구(173a)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기.
A housing 102 in the form of a square box;
A working plate 103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2 and having a vertical plate 104 at a rear end thereof;
A steam generating tank 121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2;
An electric heater 125 install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A water supply passage 131 installed in the housing to b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and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A pump 137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131 to transfer water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Steam discharge passages 151, 153, 155 and 156,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vertical plate 104 and through which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is discharged; And
And a steam injection nozzle 17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am discharge passages 151, 153, 155 and 156 for spraying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assages 151, 153, 155 and 156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03,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is provided with a steam-
A rear nozzle body part 172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eam discharge paths 151, 153, 155 and 156 on the rear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team injection holes 172b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steam jetting port 172b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rear nozzle body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first steam jetting port 172b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am jetting port 172b so as not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steam jetting port 172b. A nozzle body 171 having a front nozzle body 173 formed with a second steam jet opening 173a and a connecting portion 174 connecting the front nozzle body 173 and the rear nozzle body 172, Lt; / RTI >
The steam from the steam discharge passages 151, 153, 155 and 156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team injection port 172b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173 and is then deflect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nozzle body 172 and the front nozzle body 173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steam jetting port 173a Electric stea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분사노즐(170)은,
상기 노즐몸체(171)를 감싸도록 상기 노즐몸체(171)의 전방부가 끼워지는 덮개호스(175); 및,
상기 덮개 호스(175)를 상기 노즐몸체(171)에 고정시키는 호스 클램프(17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기.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am injection nozzle (170)
A cover hose 175 to which a front portion of the nozzle body 171 is fitted so as to surround the nozzle body 171; And
And a hose clamp (176) for fixing the lid hose (175) to the nozzle body (17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탱크(12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체(102)의 내부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기히터(125)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스팀발생탱크(121)의 하부 측면에서 배부로 수평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disposed in a standing state inside the housing 102,
Wherein the electric heater (125) comprises a plurality of electric heaters (125) and is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tank (121) to the distribu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유로(151,153,155,156)는
일측이 상기 스팀발생탱크와 연결된 스팀배출 메인관(151);
상기 스팀배출 메인관에 연결된 3개의 스팀배출 분배관(153);
상기 수직판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설치된 3개의 스팀배출포트(156); 및,
상기 스팀배출 분배관(153)과 상기 스팀배출포트(156)를 연결하는 3개의 스팀배출 연결관(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기.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am discharge passages (151, 153, 155, 156)
A steam discharge main pipe 151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tank;
Three steam discharge distribution pipes 153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Three steam exhaust ports 15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vertical plate; And
And three steam discharge connection pipes (155) connecting the steam discharge pipe (153) and the steam discharge port (15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 메인관(151)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배출 메인관(151) 내의 스팀으로부터 응축된 웅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관(15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기.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ondensate discharge pipe (158)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151) and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from the steam in the steam discharge main pipe (151)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팀분사구(172b)의 직경은 상기 제 2 스팀부사구(173a)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ameter of the first steam injection hole (172b) is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second steam injection nozzle (173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2)의 하면 모서리에는 4개의 이동용 바퀴(108)가 설치되고, 상기 함체(102)의 하면 전방 양측에는 2개의 높이조절다리(10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four moving wheels (108) are provided on a bottom edge of the housing (102), and two height adjusting legs (109)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lower front side of the housing (10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2)의 전면일측에는, 스팀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191); 및,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9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2, a pressure gauge 191 for indicating the pressure of the steam; And an operation unit (193) for operating the user.


KR1020120141956A 2012-12-07 2012-12-07 Electric steamer KR101434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56A KR101434754B1 (en) 2012-12-07 2012-12-07 Electric stea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56A KR101434754B1 (en) 2012-12-07 2012-12-07 Electric stea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23A KR20140073923A (en) 2014-06-17
KR101434754B1 true KR101434754B1 (en) 2014-08-29

Family

ID=5112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956A KR101434754B1 (en) 2012-12-07 2012-12-07 Electric stea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7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860B1 (en) * 2013-09-27 2014-08-12 김종화 Steamer for cooking
KR102335272B1 (en) * 2020-09-29 2021-12-03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Steam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06Y1 (en) 2002-08-30 2002-11-22 주식회사 세너그린 device for food heating using dry steam
KR200385322Y1 (en) 2004-12-31 2005-05-27 임생규 Steam Generator for Cooking Rice-cake by Steam
KR200419111Y1 (en) 2006-04-06 2006-06-15 김종권 A steam device of rice cake an earthenware steamer
KR200439503Y1 (en) 2007-05-29 2008-04-16 김인식 Rice-cake steamed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06Y1 (en) 2002-08-30 2002-11-22 주식회사 세너그린 device for food heating using dry steam
KR200385322Y1 (en) 2004-12-31 2005-05-27 임생규 Steam Generator for Cooking Rice-cake by Steam
KR200419111Y1 (en) 2006-04-06 2006-06-15 김종권 A steam device of rice cake an earthenware steamer
KR200439503Y1 (en) 2007-05-29 2008-04-16 김인식 Rice-cake steam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23A (en)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0591B (en) Dish-washing machine
US20150265133A1 (en) Dishwasher
JP6255276B2 (en) Cooker
CN101476713A (en) Novel steam generation apparatus and use thereof
KR101434754B1 (en) Electric steamer
KR101412089B1 (en) Steam generator for spraying both steam and hot water
KR101063292B1 (en) syringe
US8037627B2 (en) Iron
CN201103068Y (en) Vapour spraying nozzle of ironing machine
CN109846338B (en) Steam generation structure and steaming cooking equipment with same
CN203749339U (en) Vertical type steam cleaning machine
CN216769526U (en) Integrated stove with cleaning function
CN216090054U (en) Steam distribution device for cooking equipment and cooking equipment
KR20130000335U (en) Auto steric cleaning apparatus for steamer
CN214284475U (en) Cooking utensil
CN210540802U (en) Cooking pot and cooking utensil for steam heating
EP4089334B1 (en) Electric convection cooking oven and method of operation of such an oven
KR20130028319A (en) Steam convection oven
JP2012102917A (en) Steam cooker
JP2004251478A (en) Cooker
JP5295867B2 (en) Steam cooker
KR101668457B1 (en) Microwave oven
EP3546834A1 (en) Oven provided with a washing system
JP2019143836A (en) Heating cooker
KR20160104415A (en) A steam device for beau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