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610B1 -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 Google Patents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610B1
KR101434610B1 KR1020120057336A KR20120057336A KR101434610B1 KR 101434610 B1 KR101434610 B1 KR 101434610B1 KR 1020120057336 A KR1020120057336 A KR 1020120057336A KR 20120057336 A KR20120057336 A KR 20120057336A KR 101434610 B1 KR101434610 B1 KR 10143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element
battery
unit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077A (ko
Inventor
현순용
주호걸
Original Assignee
현순용
주호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순용, 주호걸 filed Critical 현순용
Priority to KR102012005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61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6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 G05D23/191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delivering a series of pul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2Heat retention or warming using temperature-controll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를 갖는 발열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체를 의류의 구획 영역 각각에 내장 설치하고, 배터리와 복수의 발열체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절환부를 구비하여 발열 의류 착용자가 발열 부위를 임의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는 발열 부위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는 의류의 구획 영역 각각에 내장되는 복수의 발열체; 발열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복수의 발열체와 상기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절환부; 상기 절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선택된 발열체에 배터리의 발열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Heating clothes enable to select hot part}
본 발명은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를 갖는 발열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체를 의류의 구획 영역 각각에 내장 설치하고, 배터리와 복수의 발열체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절환부를 구비하여 발열 의류 착용자가 발열 부위를 임의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는 발열 부위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에 관한 것이다.
발열 의류는 일반적으로 의류에 내장되고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체와,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발열 의류에 사용되는 발열체는 면상 발열체와 선상 발열체로 구별될 수 있다.
면상 발열체는 명칭 그대로 넓은 면적과 얇은 뚜게를 갖는 발열체로서, 탄소 등을 표면에 입혀 사용되고, 선상 발열체는 명칭 그대로 가는 선의 형태로 된 발열체로서, 탄소 섬유나 얇은 구리선(전열선) 등을 한선 또는 다수를 꼬아서 사용한다.
발열 의류에서 발열체는 의류 전체에 분포하기 보다는 발열이 필요한 부위에 분포되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불필요한 발열로 배터리가 단시간에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등, 가슴, 복부, 옆구리 등과 같이 발열이 필요한 부위(이하 '구획 영역'이라 함)에 발열체가 집중 분포되도록 한다.
면상 발열체를 사용할 때에는 면상 발열체를 위와 같은 의류의 구획 영역에 배치하고, 면상 발열체들은 도선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선상 발열체를 사용할 때에는 선상 발열체를 구획 영역에 지그재그 형태로 촘촘하게 배열시키고, 구획영역과 구획영역 사이는 선상 발열체가 가로지르도록 한다.
이처럼 의류의 구획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발열체는 전기적으로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의류의 구획영역 전체의 발열체에 공급되거나 차단된다.
즉, 종래기술의 발열 의류는 착용자가 발열 부위를 임의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없고, 발열 의류 전체를 발열시키거나 발열을 중단시키는 것만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착용자는 각자의 체질이나 기호에 따라 발열을 원하는 부위가 다를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라 발열이 필요한 부위와 그렇지 아니한 부위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아래와 같은 문헌이 공개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2009-0006659, 2009.07.02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1685, 2002.07.13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발열 의류에서 의류의 각 구획 영역에 배치되는 발열체가 전기적으로 하나로 연결되어, 착용자가 발열 의류 전체를 발열시키거나 전체의 발열 중단시키는 것만을 선택할 수 있었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의류의 구획 영역 각각에 내장되어 배치되는 발열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될 수 있도록 하고, 발열체와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절환부를 도입하여, 착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열 부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온도센서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발열전원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발열온도를 설정온도에 맞게 일정하게 유지하고, 컨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간소화하여 부피를 최소화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한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는
의류의 구획 영역 각각에 내장되는 복수의 발열체;
발열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복수의 발열체와 상기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절환부;
상기 절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선택된 발열체에 배터리의 발열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스위칭하여 상기 배터리의 발열전원이 상기 발열체에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발열체의 발열 온도에 따른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항측정부와,
상기 저항측정부에서 측정한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의 발열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는 착용자의 체질이나 기호,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착용자가 발열이 필요한 부위를 선택하여 발열이 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불필요할 수 있는 부위가 발열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보다 빨리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별도의 온도센서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추가적인 비용발생이 없고, 발열체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발열 온도를 측정하므로 수명 한계 없이 발열 온도를 영구적으로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발열 온도가 설정 온도에 맞게 일정하게 유지되고, 부피가 작고 가격이 저렴하여 제품 경쟁력이 뛰어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럭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체적인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는 의류(1)의 구획 영역 각각에 내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발열체(H;H1~H3)와, 발열체(H;H1~H3)에 발열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와, 복수의 발열체(H;H1~H3)와 배터리(B)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절환부(S)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절환부(S)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발열체에 배터리의 발열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컨트롤러(C)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복수의 발열체(H;H1~H3) 각각 의류(1)의 구획 영역에 내장되어 배치되고, 절환부(S)에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발열체(H;H1~H3) 각각은 상기 절환부(S)를 통해 배터리(B)로부터 발열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두 개의 전원라인, 즉, (+)전원라인(L1, L2, L3)과 (-)전원라인(L0)을 갖는데, 한 전원라인((+)전원라인)은 독립되고 다른 전원라인((-)전원라인)은 공통된다. 그리고 각각이 독립된 전원라인(L1, L2, L3)은 절환부(S)를 통해 상기 배터리(B)와 전기적 연결이 온오프되고, 공통된 전원라인(L0)은 배터리(B)에 항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절환부(S)가 온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원라인(L1, L2, L3)에 해당하는 발열체(H;H1~H3)는 배터리(B)로부터 발열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절환부(S)는 상기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발열체(H;H1~H3) 각각에 독립된 전원라인(L1, L2, L3) 중에서 발열 의류(1) 착용자가 선택한 발열체(H;H1~H3)에 해당하는 전원라인(L1, L2, L3)은 온시켜 발열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환부(S)는 발열의류(1)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립된 전원라인(L1, L2, L3) 전체를 온시킬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전원라인(L1, L2, L3)만을 온시킬 수도 있고, 다수의 독립된 전원라인(L1, L2, L3) 중 임의로 선택된 개수의 전원라인을 온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절환부(S)는 선택된 전원라인(L1, L2, L3)을 온시킬 때에는 당연히 선택되지 아니한 전원라인(L1, L2, L3)은 오프시킨다.
상기 배터리(B), 컨트롤러(C) 및 절환부(S)는 각각 별개로 케이스에 내장되고, 컨넥터 또는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그럴 경우 외관이 조잡하고, 발열 의류(1)에 이들 각각을 부착시키거나 넣을 수 있는 주머니를 만들어야 하는 등의 불편과 문제가 있으므로, 배터리(B), 컨트롤러(C) 및 절환부(S)는 하나의 하우징에 함께 내장하여 패키지화함으로써, 외관을 깔끔하게 하고, 부피를 줄이고, 발열 의류(1)에 소지하기 편리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C)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터치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터치패널(2)과, 발열체(H)의 발열온도를 점등되는 개수로 표시하는 발열온도 표시용 엘이디(3)와, 배터리(B)의 방전 가능한 전원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창(4)이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B)는 상용전원을 통해 충전되는 2차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차전지 중에서는 소형이면서 용량이 큰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C)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칭부(10), 저항측정부(20), 제어부(U4), 보호부(50), 정전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부(10)는 상기 배터리(B)가 방전하여 출력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 펄스형태의 발열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발열체(H)로 인가한다.
상기 스위칭부(10)는 상기 제어부(U4)에 의해 온오프 스위칭이 제어되어 펄스의 듀티비가 조절된다.
상기 스위칭부(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와 발열체(H)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에 구비되는 제1스위칭소자(U5)와,
상기 제1스위칭소자(U5)의 게이트단자와 제어부(U4)를 연결하여, 제어부(U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소자(U5)를 온오프시키는 제2스위칭소자(Q1)를 포함하고,
제1스위칭소자(U5)와 제2스위칭소자(Q1)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안정적인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항(R14,15,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위칭소자(U5)는 응답속도(스위칭속도)가 빠르고, 고전압에 적합하고, 스위칭 동작이 안정적인, 전압제어 소자인 FET 또는 IGB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측정부(20)는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발열체(H)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고, 측정된 발열체의 저항값을 상기 제어부(U4)로 전송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어부(U4)가 설정 온도에 맞도록 발열체의 발열 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0)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발열전원 펄스의 듀티비를 조절한다.
상기 저항측정부(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H)가 비반전단자에 연결되어, 발열체(H)의 저항값을 이득율에 따라 증폭시키는 오피앰프(U7A)와,
상기 오피앰프(U7A)의 반전단자에 연결되어 이득율을 결정하는 두 저항(R26,27)과,
상기 정전압부(40)가 공급하며, 발열체(H)의 저항값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전압(VCC1)이 상기 오피앰프(U7A)에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트랜지스터(U6)와,
상기 제어부(U4)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U6)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항측정부(20)에서 측정되는 발열체(H) 저항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저항값 측정 시에는 상기 제어부(U4)는 상기 발열체(H)로 인가되는 발열전원을 차단(즉, 상기 제1스위칭소자(U5)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킴)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3)를 온시켜 상기 제1트랜지스터(U5)가 도통되어 상기 정전압부(40)의 기준전압(VCC1)이 공급되도록 한다. 공급된 기준전압(VCC1)은 발열체(H)에 인가되어 발열체(H)의 저항값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발열체(H)의 저항값은 일반적으로 발열 온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온도에 따른 발열체(H)의 저항값은 발열체(H)의 성분, 굵기, 길이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전에 실험을 통해 얻은 발열체(H)의 발열 온도와 저항값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해 놓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U4)는 컨트롤러(C)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터치패널(2)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하여 입력하는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신호는 컨트롤러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신호와, 발열체(H)가 발열 온도를 희망하는 온도로 설정하는, 즉, 설정 온도신호 등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항측정부(20)가 감지 측정하여 전송하는 발열체(H)의 저항값으로부터 발열체(H)의 발열 온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저항값에 따른 발열 온도와 기 설정된 설정 온도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0)를 제어하여 발열전원의 펄스 듀티비를 조절하여, 발열체(H)의 발열 온도가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U4)는 내부적으로 A/D컨버터를 통해 상기 저항측정부(20)에서 전송하는 저항값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가지로 발열 온도를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측정부(20)를 통해 발열체(H)의 저항값을 감지 측정할 때에는 상기 스위칭부(10)의 제1스위칭소자(U5)를 오프시켜 발열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저항측정부(20)의 제1트랜지스터(U6)를 온시켜 상기 정전압부(40)의 기준전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무부하검출부(30)를 제어하여 출력단에 발열체(H)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 발열체(H)가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 때에는 발열전원이 발열체(H)에 인가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칭부(10)를 오프시킨다.
참고로, 상기 무부하검출부(30)는 발열체(H)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저항(R18)과, 상기 검출저항(R18)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3트랜지스터(Q2)와, 상기 검출저항(R18)이 검출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U4)로 전송하는 전송저항(R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부(50)는 배터리(B)에 직접 연결되어, 배터리(B)가 출력하는 전원에서 서지와 같은 순간적인 고전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차단하여 그 뒤에 연결되는 정전압부(40), 제어부(U4) 등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하고,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정전압부(40)를 통해 역기전력이 배터리(B)로 인가되어 배터리(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하고, 배터리(B)가 기준치 이하로 방전된 경우 더 이상의 방전을 차단하여 배터리(B)를 보호한다.
상기 정전압부(40)는 상기 배터리(B)가 공급하는 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제어부(U4)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저항측정부(20)에 기준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정전압부(40)는 상기 배터리(B)에서 입력되는 공급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출력하는 레귤레이터(U3)와, 상기 레귤레이터(U3)의 출력전압을 구동전압(VCC)으로 하여 상기 제어부(U4)에 공급하는 캐패시터(C5)와, 상기 캐패시터의 전압을 전압분배하여 기준전압(VCC1)으로 상기 저항측정부(20)에 공급하는 두 분배저항(R6, R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발열 의류 2 : 터치패널
3 : 발열온도표시 엘이디 4 : 배터리 잔량 표시창
B : 배터리 H : 발열체
U1 : 제어부 10 : 스위칭부
20 : 저항측정부 30 : 무부하검출부
40 : 정전압부 50 : 보호부

Claims (2)

  1. 의류의 구획 영역 각각에 내장되는 복수의 발열체;
    발열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복수의 발열체와 상기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절환부;
    상기 절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선택된 발열체에 배터리의 발열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배터리와 발열체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에 구비되며, 전원을 스위칭하여 발열체에 발열전원을 인가하는 제1스위칭소자(U5)와, 상기 제1스위칭소자(U5)를 온오프시키는 제2스위칭소자(Q1)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상기 발열체의 발열온도에 따른 저항값을 측정하며, 상기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트랜지스터(U6)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U6)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트랜지스터(Q3)를 포함하는 저항측정부;
    상기 저항측정부에서 측정한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의 발열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부(U4);
    상기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부;
    상기 발열체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는 무부하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U4)는 상기 저항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발열체 저항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저항값 측정 시에는 상기 스위칭부의 제1스위칭소자(U5)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발열체로 인가되는 발열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3)를 온시켜 상기 제1트랜지스터(U6)를 도통시켜 상기 정전압부의 기준전압이 발열체에 인가되어 상기 저항측정부가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배터리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정전압부를 통해 역기전력이 배터리로 인가되어 발생하는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항측정부는
    상기 발열체가 비반전단자에 연결되어, 발열체의 저항값을 이득율에 따라 증폭시키는 오피앰프(U7A)와,
    상기 오피앰프(U7A)의 반전단자에 연결되어 이득율을 결정하는 두 저항(R26,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부하검출부는
    발열체의 연결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저항(R18)과,
    상기 검출저항(R18)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3트랜지스터(Q2)와,
    상기 검출저항(R18)이 검출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U4)로 전송하는 전송저항(R19)을 포함하며,

    상기 정전압부는
    상기 배터리에서 입력되는 공급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출력하는 레귤레이터(U3)와,
    상기 레귤레이터(U3)의 출력전압을 구동전압(VCC)으로 하여 상기 제어부(U4)에 공급하는 캐패시터(C5)와,
    상기 캐패시터(C5)의 전압을 전압분배하여 기준전압(VCC1)으로 상기 저항측정부에 공급하는 두 분배저항(R6, R7)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열체는
    상기 절환부를 통해 배터리로부터 발열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독립된 전원라인과 공통된 전원라인을 가지며,
    상기 독립된 전원라인은 절환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이 온오프되고,
    상기 배터리에 항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공통된 전원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절환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전원라인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켜 발열 전원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KR1020120057336A 2012-05-30 2012-05-30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KR10143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336A KR101434610B1 (ko) 2012-05-30 2012-05-30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336A KR101434610B1 (ko) 2012-05-30 2012-05-30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077A KR20130134077A (ko) 2013-12-10
KR101434610B1 true KR101434610B1 (ko) 2014-09-23

Family

ID=4998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336A KR101434610B1 (ko) 2012-05-30 2012-05-30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6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552B1 (ko) 2018-12-07 2020-05-21 김재현 발열 스마트 직물 의류
KR20210013974A (ko) 2019-07-29 2021-02-08 이규민 무선기술 및 고용량 박막전지를 활용한 발열 의류
KR20220090125A (ko)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자이로블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KR20230152395A (ko) 2022-04-27 2023-11-03 한국기계연구원 외부온도변화 감지를 통한 발열체 온도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도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4343B (zh) * 2016-08-30 2020-05-22 广东天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率下可切换发热的发热系统
KR102064685B1 (ko) * 2018-11-16 2020-02-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온기능을 갖는 팬티
KR102456924B1 (ko) * 2020-04-07 2022-10-21 주식회사 자이로블 커스텀 발열 조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28Y1 (ko) * 2000-04-29 2000-10-16 조승원 전열수단를 구비한 의류
KR20060017900A (ko) * 2006-01-31 2006-02-27 주식회사 써모랩 자동 온도 조절기 및 그 방법
KR20060069778A (ko) * 2004-12-18 2006-06-22 김인용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가능한 보온의류
KR200446738Y1 (ko) 2007-12-28 2009-11-2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열기능을 구비한 의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28Y1 (ko) * 2000-04-29 2000-10-16 조승원 전열수단를 구비한 의류
KR20060069778A (ko) * 2004-12-18 2006-06-22 김인용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가능한 보온의류
KR20060017900A (ko) * 2006-01-31 2006-02-27 주식회사 써모랩 자동 온도 조절기 및 그 방법
KR200446738Y1 (ko) 2007-12-28 2009-11-2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열기능을 구비한 의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552B1 (ko) 2018-12-07 2020-05-21 김재현 발열 스마트 직물 의류
KR20210013974A (ko) 2019-07-29 2021-02-08 이규민 무선기술 및 고용량 박막전지를 활용한 발열 의류
KR20220090125A (ko)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자이로블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KR102628713B1 (ko) * 2020-12-22 2024-01-25 주식회사 자이로블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KR20230152395A (ko) 2022-04-27 2023-11-03 한국기계연구원 외부온도변화 감지를 통한 발열체 온도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도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077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610B1 (ko)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ES2700474T3 (es) Aparato moldeador de pelo
JP5126251B2 (ja) 電池電圧監視装置
US10309841B2 (en) Temperature detecting apparatus
TW202138023A (zh) 具有個別可取存電極元件和溫度感測器之用於遞送腫瘤治療場(TTFields)之陣列
CA2493556A1 (en) Electrosurgical pencil with drag sensing capability
ES2913075T3 (es) Aparato para controlar la temperatura y método para hacer funcionar el aparato
US8680440B2 (en)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heating element power
EP2058915A3 (en) Mobile phone terminal and charging system
WO2002018961A3 (en) Controlling of the temperature of a dut using external current sensors
US20130154567A1 (en) Balancing Discharge in Parallel Battery Configurations
US8308316B2 (en) Lamp
CN103326311B (zh) 便携式直流监测保护器
WO2016112250A2 (en) Energy storage device heating system and method
TW403863B (en) An adjusting method of automatic switching for the loading of the battery discharging machine
TW201232884A (en) Battery system, controller and monitoring method
US20130087549A1 (en) Aquarium heater
KR101434609B1 (ko) 터치 방식으로 조작하는 발열 의류용 배터리 팩
EP2583376A2 (en) Switching regulator with input current limiting capabilities
KR101312671B1 (ko) 저항값 측정을 통한 발열체의 발열 온도 조절용 컨트롤러
KR970077879A (ko) 직렬 접속된 전기화학 셀의 모듈러 세트의 충전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이에 대응하는 셀 측정 모듈
PL1700177T3 (pl) Układ połączeń do ochrony elementu grzejnego przed przegrzaniem, urządzenie grzejne i sposób zabezpieczania urządzenia grzejnego
CN209949444U (zh) 稳功电加热驱动装置
KR200199828Y1 (ko) 전열수단를 구비한 의류
TW201320811A (zh) 固定功率電熱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