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125A -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 Google Patents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125A
KR20220090125A KR1020200181010A KR20200181010A KR20220090125A KR 20220090125 A KR20220090125 A KR 20220090125A KR 1020200181010 A KR1020200181010 A KR 1020200181010A KR 20200181010 A KR20200181010 A KR 20200181010A KR 20220090125 A KR20220090125 A KR 20220090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unit
vest
wearer
charg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713B1 (ko
Inventor
오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이로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이로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이로블
Priority to KR102020018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7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에 있어서,
신체 상반신에 착용하는 조끼부(100);와, 상기 조끼부(100)의 일정 위치에 분할되어 형성되고,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서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분할발열부(200);와, 상기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분할발열부(200)에 필요한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는 전원입력부(300);와, 상기 전원입력부(300)에 결합되어,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충전커넥터부(400);와, 상기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착용자가 열이 방출될 분할발열부(200)를 선택, 선택 정보가 가시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와, 상기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 단말기(S)와 통신되도록 하는 블루투스통신부(600); 및 상기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한 분할발열부(200)의 제어와, 블루투스통신부(600)를 제어하는 발열시스템제어부(700);로 구성되되,
분할발열부(200)는,
조끼부(100)의 제 1구역(A1), 제 2구역(A2), 제 3구역(A3) 중, 어느 한 구역 이상에 발열모듈(HM)이 1개 이상 분할, 형성되어,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반신 전체 또는 특정 구역별로 발열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임의로 발열시킬 분할발열부(200)를 선택, 선택한 신체 부위에 위치한 분할발열부(200)로부터 열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몸을 따뜻하게 하거나,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를 유지시킴은 물론, 발열된 구역에 위치한 손상된 근육을 이완시켜 근육의 회복 시간이 단축되도록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착용자가 자신의 기호 및 컨디션에 따라 발열 조끼를 다양한 모드(mode)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발열 조끼의 본연(本然)의 효과는 물론, 착용자 편의성, 사용성, 안전성을 극대화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Heat generating vest}
본 발명은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자신의 컨디션에 따라, 원하는 특정 신체 부위만을 따뜻하게 하여, 신체의 온도를 상승, 유지시키고, 근육을 이완시켜, 신체에 온기(溫氣)의 전달은 물론, 혈액순환 및 손상된 근육의 회복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고,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용이하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용 충전커넥터부를 통해 발열 조끼의 기능을 간략,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관한 것이다.
발열 조끼는, 열이 나는 조끼로, 겨울철 야외 근무 및 등산, 낚시 등과 같은 야외 스포츠 활동 시,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자신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발열 조끼는 대부분, 단순히, ON-OFF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어, 착용자가 발열 조끼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열 조끼의 본연(本然)의 효과는 물론, 착용자가 자신의 컨디션에 따라, 특정 신체 부위를 따뜻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모드(mode)를 이용하여 활발한 혈액순환의 도모 및 손상된 근육의 회복 시간을 단축시키는 발열 조끼와, 발열 조끼에 간편한 물리적인 조작 및 전용 단말기와의 연동으로 전원의 공급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조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충전커넥터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4314호의 "발열조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조끼 형태로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 내측에 덧대어 부착되는 내피,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배치되게, 외피 내면에 재봉되는 발열시트, 상기 내피 내면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되는 배터리와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원케이블, 상기 발열시트와 전원케이블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원공급 및 발열시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유연성과 발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하며, 온도조절에 따른 발열시간이 표시되고,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으로 발열 제어가 가능케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발열조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5544호의 "발열조끼"(이하, '선행기술 2'라 함.)로서,
조끼 본체에 발열패드와 작동 스위치(온도 조절 기능 포함)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탁시 조끼 본체로부터 상기 발열패드와 상기 작동 스위치를 간편하게 분리시켜 세탁할 수 있고, 고장 발생 시 고장 부품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할 수 있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작동 스위치가 조끼 본체의 일측 하단에 구비됨에 따라 옷 맵시를 살리면서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는 발열조끼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분야로서, 발명을 이루는 기본 구성요소에 있어 유사, 동일한 기술적 개념이 존재하지만,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이로 인해 발휘되는 효과에 차이가 있다.
선행기술 1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발열시트의 온도와,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고, 발열시트의 설정 온도와 배터리 잔량에 따른 발열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제어모듈의 구성으로 보다 발열 조끼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기술로,
본 발명과는, 제어모듈의 구성 및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발열 조끼의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는 면에서 유사하나,
착용자가 온기(溫氣)가 전달됐으면 하는 신체 부위를 자유롭게 선택하지 못한다는 불편함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의 구성 및 전용 충전커넥터부에 대한 기술 내용이 미비하다.
선행기술 2는,
수납패드의 수납공간의 내부에 수납되는 발열패드가 상하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수납패드의 수납공간의 폭이 발열패드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박음질되고, 수납패드에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작동 스위치를 통해 발열패드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수납공간 내부에 대한 발열패드의 유동을 방지하고, 열 손실을 최소화시킨 기술로,
본 발명과는 작동 스위치를 통해 발열패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면에서 유사하나,
상기 선행기술 1에서와 같이, 착용자가 온기(溫氣)가 전달됐으면 하는 신체 부위를 자유롭게 선택하지 못한다는 불편함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의 구성 및 전용 충전커넥터부에 대한 기술 내용이 미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특히, 발열 조끼의 효율성 및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착용자가 자신의 컨디션에 맞게 다양하게 특정 신체 부위를 선택하여 몸의 온도를 상승, 유지시킬 수 있는 발열 조끼와, 발열 조끼에 연결되는 전용 충전커넥터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 그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구성요소)의 기술적 특징에 있어 선행기술들과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발열 조끼와 관련된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4314호 (2019.04.2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5544호 (2020.02.04.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용자가 상반신 전체, 또는, 자신의 신체 컨디션(condition)에 따라, 특정 신체 부위만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발열 조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발열 조끼의 안전성은 물론, 이미 저장된 다양한 모드(mode)로 발열 조끼의 사용성 및 이용성의 향상과, 착용자가 착용 시마다 설정하는 임의의 설정 조건(발열 위치, 온도, 시간)을 수집, 저장, 학습하여, 착용자 맞춤 모드(mode)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착용자 맞춤 발열 조끼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 조끼와 외부 충전기기를 연결하되, 간편한 물리적인 가압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한 전용 단말기와의 연동으로, 발열 조끼에 공급되는 전원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설정, 제어할 수 있는 전용 충전커넥터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있어서,
신체 상반신에 착용하는 조끼부;
상기 조끼부의 일정 위치에 분할되어 형성되고,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서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분할발열부;
상기 조끼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분할발열부에 필요한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에 결합되어,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충전커넥터부;
상기 조끼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착용자가 열이 방출될 분할발열부를 선택, 선택 정보가 가시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
상기 조끼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 단말기와 통신되도록 하는 블루투스통신부;
상기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를 통한 분할발열부의 제어와, 블루투스통신부를 제어하는 발열시스템제어부;로 구성되되,
분할발열부는,
조끼부의 제 1구역, 제 2구역, 제 3구역 중, 어느 한 구역 이상에 발열모듈이 1개 이상 분할, 형성되어,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반신 전체 또는 특정 구역별로 발열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임의로 발열시킬 분할발열부를 선택, 선택한 신체 부위에 위치한 분할발열부로부터 열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몸을 따뜻하게 하거나,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를 유지시킴은 물론, 발열된 구역에 위치한 손상된 근육을 이완시켜 근육의 회복 시간이 단축되도록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전커넥터부는,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버튼형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전원입력부로 공급하는, 일정 길이로 형성된 플렉시블(flexible)한 충전케이블모듈;
상기 충전케이블모듈의 단부에 형성, 전원입력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입력부의 일측과 충전케이블모듈을 연결시키고, 착용자에 의해 물리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조작모듈;
상기 충전케이블모듈의 타단부에 형성, 외부 충전기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외부충전기기결합모듈;로 구성되되,
기능조작모듈은,
착용자가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터치하여,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기능조작부하우징;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의 외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물리적인 가압에 의해 ON-OFF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이 설정되도록 하는 온오프버튼요소;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의 내부의 일측에 위치, 형성되고,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요소;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의 내부의 일측에 위치, 형성되고, 온오프버튼요소, 블루투스요소의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커넥터제어요소;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의 외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온오프버튼요소가 가압됨에 따라, 또는, 블루투스요소를 통해 충전커넥터제어요소와 연결된 외부 단말기에서의 조작, 설정에 따라 신호의 입력 유무(有無)가 출력되는 입력정보LED출력요소;로 구성되고,
온오프버튼요소는,
반복적인 가압 및 터치에 따라,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ON모드;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OFF모드;
물리적인 가압 또는 터치에 의해,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간략기능설정모드;로 구성되어,
전원입력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기 간의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성립되도록 하는 매개체의 역할은 물론, 외부 충전기기의 전원 공급 여부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단독으로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는,
블루투스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
외부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에 의한 분할발열부의 기본적인 설정은 물론,
착용자에 의한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의 설정 정보를 수집, 착용자의 설정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하는 착용자맞춤모드저장모듈;
착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분할발열부의 조건을 설정, 저장할 수 있는 착용자커스텀모드저장모듈;이 더 포함, 활성화되고,
블루투스요소를 통해 외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충전커넥터부의 ON-OFF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용이한 조작 및 착용자 전용 맞춤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사용성, 조작성, 개인 맞춤화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고,
또한,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는,
조끼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분할발열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조끼부와 착용자의 피부가 접촉되었는지, 조끼부와 옷감이 접촉되었는지를 확인, 분할발열부의 발열 온도가 발열시스템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저온화상방지부;가 더 포함, 구성되어,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를 적절하게 상승, 유지시켜, 몸을 따뜻하게 한다.
2. 혈액순환을 도모, 면역력을 높여준다.
3. 온기(溫氣)가 전달될 특정 신체 부위(예를 들어, 어깨, 척추, 등, 복부)를 선택하여, 선택된 신체 부위만을 따뜻하게 하는, 착용자 맞춤형 발열 조끼를 제공한다.
4. 발열 위치, 온도, 시간, 발열 순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모드(mode)로 착용자의 기호 및 컨디션에 따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5. 기저장된 다양한 모드(mode) 이외에 착용자가 자신만의 모드(mode)를 설정,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6. 또한, 착용자에 의한 반복적인 설정 정보를 수집, 학습하여, 자동으로 착용자에게 착용자 맞춤 모드(mode)를 생성, 제공할 수 있다.
7. 또한, 전용 충전커넥터부를 이용하여, 발열 조끼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의 ON-OFF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물리적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즉, 착용자가 자신의 기호 및 컨디션에 따라, 상반신 전체 또는 특정 신체 부위를 따뜻하게 하여, 신체 온도를 상승,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근육 이완, 혈액순환, 면역력은 물론, 사용의 용이성을 극대화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구성요소 중,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블록도를 실시 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구성요소 중, 조끼부의 일측에 형성된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회로도에 대한 실시 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가 블루투스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와 접속, 외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착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 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구성요소 중, 저온화상방지부에 대한 순서도를 실시 예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구성요소 중, 충전커넥터부의 실시 예를 상태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대한 개념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대한 실시 예를,
도 4는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구성요소 중,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블록도를 실시 예로,
도 5는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구성요소 중, 조끼부의 일측에 형성된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실시 예를,
도 6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회로도에 대한 실시 예를,
도 7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가 블루투스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와 접속, 외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착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 예를,
도 8은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구성요소 중, 저온화상방지부에 대한 순서도를 실시 예로,
도 9는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의 구성요소 중, 충전커넥터부의 실시 예를 상태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에 있어서,
신체 상반신에 착용하는 조끼부(100);
상기 조끼부(100)의 일정 위치에 분할되어 형성되고,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서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분할발열부(200);
상기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분할발열부(200)에 필요한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는 전원입력부(300);
상기 전원입력부(300)에 결합되어,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충전커넥터부(400);
상기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착용자가 열이 방출될 분할발열부(200)를 선택, 선택 정보가 가시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
상기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 단말기(S)와 통신되도록 하는 블루투스통신부(600);
상기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한 분할발열부(200)의 제어와, 블루투스통신부(600)를 제어하는 발열시스템제어부(700);로 구성되되,
분할발열부(200)는,
조끼부(100)의 제 1구역(A1), 제 2구역(A2), 제 3구역(A3) 중, 어느 한 구역 이상에 발열모듈(HM)이 1개 이상 분할, 형성되어,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반신 전체 또는 특정 구역별로 발열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임의로 발열시킬 분할발열부(200)를 선택, 선택한 신체 부위에 위치한 분할발열부(200)로부터 열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몸을 따뜻하게 하거나,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를 유지시킴은 물론, 발열된 구역에 위치한 손상된 근육을 이완시켜 근육의 회복 시간이 단축되도록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착용자가 임의 또는 컨디션에 따라, 온도를 상승시키고, 유지하고픈 특정 신체 부위를 선택하고, 착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신체 부위에 위치한 분할발열부(200)로부터 열이 방출되면서, 온기(溫氣)가 전달되도록 하는 발열 조끼와, 물리적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S)와 연동, 발열 조끼의 ON-OFF 및 간단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의 전용 충전커넥터부(400)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끼부(100)는,
착용자가 용이하게 착의(着衣), 탈의(脫衣)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발열모듈(HM)이 구성될 수 있는 제 1구역(A1), 제 2구역(A2), 제 3구역(A3)으로 이루어져 있다.(본 발명에서는, 착용자의 착의(着衣), 탈의(脫衣)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조끼부(100)에 대한 발명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락한다.)
한편, 상기 조끼부(100)의 일정 위치, 즉, 특정 신체 부위에 온기(溫氣)를 전달하기 위해 분할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열이 발생되는 분할발열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끼부(100)의 제 1구역(A1), 제 2구역(A2), 제 3구역(A3) 중, 어느 한 구역 이상에 발열모듈(HM)이 1개 이상 분할, 형성되는데,
실시 예로,
제 2구역(A2)에 위치, 형성되어, 착용자의 어깨 부위가 발열되도록 하는 어깨구역발열모듈(210);
제 2구역(A2)에 위치, 형성되어, 착용자의 척추 및 등 부위가 발열되도록 하는 척추등구역발열모듈(220);
제 1구역(A1)과, 제 3구역(A3)에 각각 위치, 형성되어, 착용자의 배 부위가 발열되도록 하는 복부구역발열모듈(230);이 구성되어,
착용자가 폭 넓게 특정 신체 부위를 선택하여, 체온을 상승,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어깨구역발열모듈(210)은 주로, 승모근의 온도를 상승, 유지, 이완시키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좌측 어깨 부위 및 우측 어깨 부위에 열이 가해지도록 하는 어깨구역발열요소(211);로 구성되고,
척추등구역발열모듈(220)은, 12개의 흉추 및 흉추와 밀접하게 위치한 근육과, 5개의 요추 및 요추와 밀접하게 위치한 근육과, 극하근, 활배근, 소원근, 대원근의 온도를 상승, 유지, 이완시키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척추 및 척추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등 부위에 열이 가해지도록 하는 척추등구역발열요소(221);로 구성되고,
복부구역발열모듈(230)은, 복부에 위치한 내장 기관 및 근육의 온도를 상승, 유지, 이완시키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좌측 복부 및 우측 복부에 열이 가해지도록 하는 복부구역발열요소(231);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부위의 온도를 상승, 유지,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원입력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충전커넥터부(400)가 연결되도록 하고,
충전커넥터부(400)는, 상기 전원입력부(300)에 연결, 결합되어, 외부 충전기기(C)를 통해 조끼부(100)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충전커넥터부(400)는, 단부가 전원입력부(3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부 충전기기(C)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충전된 휴대용 외장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충전커넥터부(400)는,
좀 더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는 전원입력부(30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원입력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기(C)에 연결되어, 전원입력부(3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입력부(30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충전커넥터부(400)는, 좀 더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버튼형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전원입력부(300)로 공급하는, 일정 길이로 형성된 플렉시블(flexible)한 충전케이블모듈(410);
상기 충전케이블모듈(410)의 단부에 형성, 전원입력부(3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입력부(300)의 일측과 충전케이블모듈(410)을 연결시키고, 착용자에 의해 물리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조작모듈(420);
상기 충전케이블모듈(410)의 타단부에 형성, 외부 충전기기(C)의 일측에 결합되는 외부충전기기결합모듈(430);로 구성되되,
기능조작모듈(420)은,
착용자가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터치하여,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기능조작부하우징(421);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421)의 외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물리적인 가압에 의해 ON-OFF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이 설정되도록 하는 온오프버튼요소(422);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421)의 내부의 일측에 위치, 형성되고, 외부 단말기(S)와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요소(423);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421)의 내부의 일측에 위치, 형성되고, 온오프버튼요소(422), 블루투스요소(423)의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커넥터제어요소(424);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421)의 외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온오프버튼요소(422)가 가압됨에 따라, 또는, 블루투스요소(423)를 통해 충전커넥터제어요소(424)와 연결된 외부 단말기(S)에서의 조작, 설정에 따라 신호의 입력 유무(有無)가 출력되는 입력정보LED출력요소(425);로 구성되고,
온오프버튼요소(422)는,
반복적인 가압 및 터치에 따라,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ON모드(422-1);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OFF모드(422-2);
물리적인 가압 또는 터치에 의해,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간략기능설정모드(422-3);로 구성되어,
전원입력부(300)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기(C) 간의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성립되도록 하는 매개체의 역할은 물론, 외부 충전기기(C)의 전원 공급 여부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단독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충전커넥터부(400)는,
단순히, 전원입력부(300)와, 외부 충전기기(C)를 연결시켜주는 충전 케이블이 아닌, 물리적인 조작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한 외부 단말기(S)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전원이 공급, 차단되도록 하는 ON, OFF 기능은 물론,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테마별로 조절하여, 착용자가 상황에 따라, 즉시, 발열 조끼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부 충전기기(C)는,
예를 들어, 휴대용 외장 보조 배터리로,
외부 단말기(S)는, 전용 단말기 또는 스마트 기기로 정의할 수 있으며,
외부 충전기기(C)의 일측에 결합되는 외부충전기기결합모듈(430)은,
결합되는 외부 충전기기(C)에 형성된 연결 포트 방식에 따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는,
발열시키고자 하는 특정 신체 부위에 맞게, 분할된 분할발열부(200)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부위선택스위치모듈(510);
분할발열부(200)의 발열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발열온도설정스위치모듈(520);
분할발열부(200)의 발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발열시간설정스위치모듈(530);
테마별로 분할발열부(200)의 발열 위치, 온도, 시간으로 조합되어 이미 저장된 발열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프로그램선택모듈(540);로 구성되되,
발열부위선택스위치모듈(510)은,
발열시킬 특정 신체 부위를 선택하는 발열부위선택요소(511);
착용자가 발열부위선택요소(511)를 통해 발열 부위 선택 시, LED(light emitting diode)로 선택 여부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발열부위선택정보표시요소(512);로 구성되고,
발열온도설정스위치모듈(520)은,
착용자가 선택한 발열 부위의 분할발열부(200)의 발열 온도를 설정하는 발열온도설정요소(521);
상기 발열온도설정요소(521)를 통해 착용자가 설정한 발열 온도와, 착용자에 의해 설정된 발열 온도까지, 온도의 상승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설정발열온도정보표시요소(522);로 구성되고,
발열시간설정스위치모듈(530)은,
착용자가 선택한 발열 부위의 분할발열부(200)의 발열 시간을 설정하는 발열시간설정요소(531);
상기 발열시간설정요소(531)를 통해 착용자가 설정한 발열 시간과, 작동 후, 잔여된 발열 시간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발열시간정보표시요소(532);로 구성되고,
발열프로그램선택모듈(540)은,
조끼부(100)의 제 1구역(A1), 제 2구역(A2), 제 3구역(A3)의 발열 위치, 발열 순서, 발열 온도, 발열 시간을 일정 패턴으로 조합하여, 착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온기(溫氣)를 전달하여, 특정 신체 부위를 이완시키는 모드로 구성되되,
예를 들어,
복부구역발열모듈(230), 척추등구역발열모듈(220)의 발열 순서, 발열 온도, 발열 시간이 일정 패턴으로 조합되어, 착용자의 내장 기관에 온기(溫氣)를 전달, 이완시켜, 내장 기관의 건강을 도모하는 소화계통이완모드(541);
척추등구역발열모듈(220), 어깨구역발열모듈(210)의 발열 순서, 발열 온도, 발열 시간이 일정 패턴으로 조합되어, 착용자의 척추 및 척추와 밀접한 근육에 온기(溫氣)를 전달, 이완시켜, 척추와 등의 건강을 도모하는 척추등근육이완모드(542);
복부구역발열모듈(230), 척추등구역발열모듈(220), 어깨구역발열모듈(210)의 발열 순서, 발열 온도, 발열 시간이 일정 패턴으로 조합되어, 착용자의 상반신 근육에 온기(溫氣)를 전달, 이완시켜, 상반신 근육의 건강을 도모하는 상반신근육이완모드(543);로 구성되어,
착용자가 자신의 컨디션에 따라, 별도의 발열 조건 설정 없이, 소화계통이완모드(541), 척추등근육이완모드(542), 상반신근육이완모드(543)를 단순 선택하는 것만으로, 모드별로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가 상승, 유지되어, 몸이 따뜻하게 보호되도록 한다.
이때, 발열프로그램선택모듈(540)은,
예를 들어, 조끼부(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형성되어, 착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소화계통이완모드(541), 척추등근육이완모드(542), 상반신근육이완모드(543)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가 블루투스통신부(600)에 의해 외부 단말기(S)와 연결되면,
외부 단말기(S)로부터 활성화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착용자가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소화계통이완모드(541), 척추등근육이완모드(542), 상반신근육이완모드(543)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는,
블루투스통신부(600)에 의해 외부 단말기(S)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외부 단말기(S)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이 활성화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에 의한 분할발열부(200)의 기본적인 설정은 물론,
착용자에 의한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의 설정 정보를 수집, 착용자의 설정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하는 착용자맞춤모드저장모듈(MS1);
착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분할발열부(200)의 조건을 설정, 저장할 수 있는 착용자커스텀모드저장모듈(MS2);이 더 포함, 활성화되고,
블루투스요소(423)를 통해 외부 단말기(S)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충전커넥터부(400)의 ON-OFF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의 용이한 조작 및 착용자 전용 맞춤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의 사용성, 조작성, 개인 맞춤화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한다.
이때, 착용자맞춤모드저장모듈(MS1)은,
착용자의 반복적인 발열 조건의 설정 패턴을 수집하는 발열조건데이터수집요소(MS1-1);
상기 발열조건데이터수집요소(MS1-1)를 통해 수집된 발열 조건 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착용자이용패턴분석요소(MS1-2);
상기 착용자이용패턴분석요소(MS1-2)로부터 분석된 착용자의 이용 패턴을 학습, 착용자 전용 모드(mode)를 제안하는 착용자맞춤패턴생성요소(MS1-3);로 구성되어,
착용자에게 역(逆)으로, 착용자의 이용 패턴을 바탕으로 새롭게 짜여진 모드(mode)를 제안함으로서, 착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자신만의 모드(mode)로, 상반신 전체 또는 특정 신체 부위, 즉, 몸의 온도를 상승, 유지,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착용자커스텀모드저장모듈(MS2)은,
착용자가 특정 신체 부위를 다수 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커스텀발열위치선택요소(MS2-1);
상기 커스텀발열위치선택요소(MS2-1)를 통해 선택한 다수 개의 특정 신체 부위의 발열 순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스텀발열순서결정요소(MS2-2);
상기 커스텀발열순서결정요소(MS2-2)를 통해 결정된 다수 개의 특정 신체 부위의 각각의 발열 조건(발열 온도, 발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스텀발열조건설정요소(MS2-3);로 구성되어,
착용자가 발열 위치, 발열 온도, 발열 시간, 발열 위치의 변경 순서를 설정, 저장하여, 자신만의 커스텀 모드(mode)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블루투스요소(423)를 통해 외부 단말기(S)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전원 공급의 ON-OFF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원설정객체(423-1);
어깨 구역의 발열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어깨구역설정객체(423-2);
척추 및 등 구역의 발열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척추등구역설정객체(423-3);
복부 구역의 발열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복부구역설정객체(423-4);로 간단하게, 직관적으로 구성된 UI를 선택하여, 간단하게, 특정 부위의 발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통신부(600)와, 블루투스요소(423)를 이용하여 활성화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은,
착용자의 현재 이용 상황을 직관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발열시스템제어부(700)는,
착용자가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다양한 선택 사항 선택 시, 그 선택 사항에 맞게 작동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으로부터 전달되는 선택 사항에 맞게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에는,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분할발열부(200)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조끼부(100)와 착용자의 피부가 접촉되었는지, 조끼부(100)와 옷감이 접촉되었는지를 확인, 분할발열부(200)의 발열 온도가 발열시스템제어부(700)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저온화상방지부(80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의 안전성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저온화상방지부(800)는,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에게 미세 전류를 흘려보내고, 조끼부(100)에 착용자의 피부가 접촉되었는지, 옷감이 접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전류방출모듈(810);
조끼부(100)의 일측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온기(溫氣)의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발열온도측정모듈(820);
조끼부(100)의 일측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착용자의 피부 표면을 일정 간격으로 시간차를 두어 촬영하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coupled device)가 포함된 근접촬영카메라모듈(830);로 구성되어,
미세전류방출모듈(810)을 통해 조끼부(100)와 착용자의 피부가 접촉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조끼부(100)와 착용자의 피부가 접촉되었을 시, 발열온도측정모듈(820) 및 근접촬영카메라모듈(830)에 의해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온기(溫氣)의 온도와, 피부 상태를 확인하여, 저온화상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자동으로 모드(mode)가 중단되거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착용자에게 예를 들어, 알람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서, 분할된 분할발열부(200)의 발열 상태를, 센서를 통해 실시간 확인하여,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의 유지,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확인부(900);가 더 포함, 구성되어,
각각 특정 신체 부위에 맞게 분할된 분할발열부(200)의 상태를 확인하고, 불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각각 특정 신체 부위에 분할, 형성된 분할발열부(200)가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로부터 전달되는 발열 조건에 맞게 반응하는지를, 전기 회로의 단락(短絡) 여부 및 발열 온도로 확인하여, 불량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통신부(600)와, 블루투스요소(423)는, 착용자가 선택하여, 그에 맞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통신부(600)를 통해 활성화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은 본 발명의 발열 조끼를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블루투스요소(423)를 통해 활성화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은 간략하게 본 발명의 발열 조끼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하여, 본 발명에서의 '기본적인 설정'이라 함은,
발열 위치, 발열 온도, 발열 시간의 설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간단한 기능'이라 함은,
온오픈버튼요소(422)를 1회 가압하면, 발열 조끼의 ON,
2회 가압하면, 어깨구역 발열 기능 ON,
3회 가압하면, 척추등구역 발열 기능 ON,
4회 가압하면, 복부구역 발열 기능 ON,
5회 가압하면, 발열 조끼의 OFF 기능이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세부 구성을 예를 들면,
실시 예로,
제어부는 FET를 사용하고, 1개 출력당 전격용량 최대 5V/6A(30W)로, 등, 복부, 어깨, 3개의 출력으로 구성되며, 전체 용량은 90W로 구성할 수 있으며,
통신부는 블루투스 4.0의 통신 방식이며, 최대 거리 5m로 구성할 수 있고,
앱 연동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버튼은 총 3개로 구성하여, 등, 복부, 어깨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고,
입력부는 USB 커넥터로 연결하는 구성을,
출력부는 4P 케이블을 통한 커넥터 연결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제작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 등, 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유지시키는 발열 의류 산업 분야 및 이에 적용되는 충전 케이블 산업 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100: 조끼부 200: 분할발열부
210: 어깨구역발열모듈 211: 어깨구역발열요소
220: 척추등구역발열모듈
221: 척추등구역추발열요소
230: 복부구역발열모듈 231: 복부구역발열요소
300: 전원입력부 400: 충전커넥터부
410: 충전케이블모듈 420: 기능조작모듈
421: 기능조작부하우징 422: 온오프버튼요소
422-1: ON모드 422-2: OFF모드
422-3: 간략기능설정모드 423: 블루투스요소
423-1: 전원설정객체 423-2: 어깨구역설정객체
423-3: 척추등구역설정객체 423-4: 복부구역설정객체
424: 충전커넥터제어요소 425: 입력정보LED출력요소
430: 외부충전기기결합모듈
500: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 510: 발열부위선택스위치모듈
511: 발열부위선택요소 512: 발열부위선택정보표시요소
520: 발열온도설정스위치모듈 521: 발열온도설정요소
522: 설정발열온도정보표시요소 530: 발열시간설정스위치모듈
531: 발열시간설정요소 532: 발열시간정보표시요소
540: 발열프로그램선택모듈 541: 소화계통이완모드
542: 척추등근육이완모드 543: 상반신근육이완모드
544: 심장근육이완모드 600: 블루투스통신부
700: 발열시스템제어부 800: 저온화상방지부
810: 미세전류방출모듈 820: 발열온도측정모듈
830: 근접촬영카메라모듈 900: 발열확인부
A1: 제 1구역 A2: 제 2구역
A3: 제 3구역
C: 외부 충전기기 S: 외부 단말기
APP: 전용 애플리케이션
MS1: 착용자맞춤모드저장모듈 MS1-1: 발열조건데이터수집요소
MS1-2: 착용자이용패턴분석요소 MS1-3: 착용자맞춤패턴생성요소
MS2: 착용자커스텀모드저장모듈 MS2-1: 커스텀발열위치선택요소
MS2-2: 커스텀발열순서결정요소 MS2-3: 커스텀발열조건설정요소

Claims (4)

  1.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에 있어서,
    신체 상반신에 착용하는 조끼부(100);
    상기 조끼부(100)의 일정 위치에 분할되어 형성되고,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서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분할발열부(200);
    상기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분할발열부(200)에 필요한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는 전원입력부(300);
    상기 전원입력부(300)에 결합되어,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충전커넥터부(400);
    상기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착용자가 열이 방출될 분할발열부(200)를 선택, 선택 정보가 가시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
    상기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 단말기(S)와 통신되도록 하는 블루투스통신부(600);
    상기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한 분할발열부(200)의 제어와, 블루투스통신부(600)를 제어하는 발열시스템제어부(700);로 구성되되,
    분할발열부(200)는,
    조끼부(100)의 제 1구역(A1), 제 2구역(A2), 제 3구역(A3) 중, 어느 한 구역 이상에 발열모듈(HM)이 1개 이상 분할, 형성되어,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반신 전체 또는 특정 구역별로 발열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임의로 발열시킬 분할발열부(200)를 선택, 선택한 신체 부위에 위치한 분할발열부(200)로부터 열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몸을 따뜻하게 하거나, 특정 신체 부위의 온도를 유지시킴은 물론, 발열된 구역에 위치한 손상된 근육을 이완시켜 근육의 회복 시간이 단축되도록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충전커넥터부(400)는,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버튼형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전원입력부(300)로 공급하는, 일정 길이로 형성된 플렉시블(flexible)한 충전케이블모듈(410);
    상기 충전케이블모듈(410)의 단부에 형성, 전원입력부(3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입력부(300)의 일측과 충전케이블모듈(410)을 연결시키고, 착용자에 의해 물리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조작모듈(420);
    상기 충전케이블모듈(410)의 타단부에 형성, 외부 충전기기(C)의 일측에 결합되는 외부충전기기결합모듈(430);로 구성되되,
    기능조작모듈(420)은,
    착용자가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터치하여,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기능조작부하우징(421);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421)의 외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물리적인 가압에 의해 ON-OFF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이 설정되도록 하는 온오프버튼요소(422);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421)의 내부의 일측에 위치, 형성되고, 외부 단말기(S)와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요소(423);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421)의 내부의 일측에 위치, 형성되고, 온오프버튼요소(422), 블루투스요소(423)의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커넥터제어요소(424);
    상기 기능조작부하우징(421)의 외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온오프버튼요소(422)가 가압됨에 따라, 또는, 블루투스요소(423)를 통해 충전커넥터제어요소(424)와 연결된 외부 단말기(S)에서의 조작, 설정에 따라 신호의 입력 유무(有無)가 출력되는 입력정보LED출력요소(425);로 구성되고,
    온오프버튼요소(422)는,
    반복적인 가압 및 터치에 따라,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ON모드(422-1);
    외부 충전기기(C)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OFF모드(422-2);
    물리적인 가압 또는 터치에 의해,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간략기능설정모드(422-3);로 구성되어,
    전원입력부(300)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기(C) 간의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성립되도록 하는 매개체의 역할은 물론, 외부 충전기기(C)의 전원 공급 여부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단독으로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3. 제 1항에 있어서,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는,
    블루투스통신부(600)를 통해 외부 단말기(S)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
    외부 단말기(S)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이 활성화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에 의한 분할발열부(200)의 기본적인 설정은 물론,
    착용자에 의한 발열정보설정디스플레이부(500)의 설정 정보를 수집, 착용자의 설정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하는 착용자맞춤모드저장모듈(MS1);
    착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분할발열부(200)의 조건을 설정, 저장할 수 있는 착용자커스텀모드저장모듈(MS2);이 더 포함, 활성화되고,
    블루투스요소(423)를 통해 외부 단말기(S)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충전커넥터부(400)의 ON-OFF 및 발열 조끼의 간단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의 용이한 조작 및 착용자 전용 맞춤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의 사용성, 조작성, 개인 맞춤화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4. 제 1항에 있어서,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에는,
    조끼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분할발열부(200)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조끼부(100)와 착용자의 피부가 접촉되었는지, 조끼부(100)와 옷감이 접촉되었는지를 확인, 분할발열부(200)의 발열 온도가 발열시스템제어부(700)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저온화상방지부(80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1)의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KR1020200181010A 2020-12-22 2020-12-22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KR10262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10A KR102628713B1 (ko) 2020-12-22 2020-12-22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10A KR102628713B1 (ko) 2020-12-22 2020-12-22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25A true KR20220090125A (ko) 2022-06-29
KR102628713B1 KR102628713B1 (ko) 2024-01-25

Family

ID=8227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010A KR102628713B1 (ko) 2020-12-22 2020-12-22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7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10B1 (ko) * 2012-05-30 2014-09-23 현순용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KR20180002701U (ko) * 2018-09-10 2018-09-17 곽예지 히팅 웨어용 블루투스 내장 전원 연결 유닛
KR101974314B1 (ko) 2018-09-13 2019-04-30 최비공 발열조끼
KR102075544B1 (ko) 2018-12-27 2020-02-11 에이씨와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발열조끼
KR102086302B1 (ko) * 2019-11-07 2020-03-09 주식회사 비와이엔블랙야크 선택적 발열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한 의류 발열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10B1 (ko) * 2012-05-30 2014-09-23 현순용 발열 부위의 선택조절이 가능한 발열 의류
KR20180002701U (ko) * 2018-09-10 2018-09-17 곽예지 히팅 웨어용 블루투스 내장 전원 연결 유닛
KR101974314B1 (ko) 2018-09-13 2019-04-30 최비공 발열조끼
KR102075544B1 (ko) 2018-12-27 2020-02-11 에이씨와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발열조끼
KR102086302B1 (ko) * 2019-11-07 2020-03-09 주식회사 비와이엔블랙야크 선택적 발열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한 의류 발열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713B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3469B2 (en) Personal warming systems and apparatuses for use in hospitals and other setting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6967309B2 (en) Personal warming systems and apparatuses for use in hospitals and other setting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EP3387930B1 (en) Fabric device
US20090020521A1 (en) Heating Pad System For Orthopedic Braces And The Like
US20080067163A1 (en) Heated clothing for pets
US201300603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 Management of Heating Pad Systems
KR102456924B1 (ko) 커스텀 발열 조끼
US20200404987A1 (en) Tri-modal localized heating garment
US20180014585A1 (en) Temperature controlled garment
US20090107984A1 (en) Low Wattage Heating Pad
US20210052418A1 (en) Hot and/or Cold Pad
KR102011096B1 (ko) 근적외선 led를 이용한 매트 및 이불
KR20220090125A (ko) 전용 충전커넥터부가 포함된 발열 조끼
KR102408464B1 (ko) 스마트 다기능 발열 조끼
JP2021098899A (ja) 保温被服
KR102164714B1 (ko) 수술용 체온 유지 장치
RU215416U1 (ru) Одежда с инфракрасным обогревом
CN206892693U (zh) 一种复温装置及复温运输车
Kumar et al. Interactive smart textile garment with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and monitoring
EP4000465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folding beds and bed chairs
KR20110048411A (ko) 신축성 발열선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침낭
KR20080090182A (ko) 저주파 온열 치료기기
KR20180009870A (ko) 발열 넥워머
KR200304330Y1 (ko) 전열보온식 방한 피복
KR200487960Y1 (ko) 전자쑥뜸유닛 및 전자쑥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