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323B1 -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수신기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수신기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323B1
KR101434323B1 KR1020120133878A KR20120133878A KR101434323B1 KR 101434323 B1 KR101434323 B1 KR 101434323B1 KR 1020120133878 A KR1020120133878 A KR 1020120133878A KR 20120133878 A KR20120133878 A KR 20120133878A KR 101434323 B1 KR101434323 B1 KR 101434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low
radio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918A (ko
Inventor
문상만
한상혁
김인규
문성태
강상욱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3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2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 H04K3/224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with countermeasures at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the jammed signal, e.g. stopping operation of transmitter or receiver, nulling or enhancing transmitted power in direction of or at frequency of jamm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5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arget signal or of transmission, e.g.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r fast frequency 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해서 원하는 대역만을 필터링하는 대역 필터; 잡음 증폭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부(LNA); 상기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을 하는 제 1 믹서; 및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상기 기저 대역에서 처리하는 제 1 기저 대역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의 신호인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 및 및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의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칭을 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수신기 보호 장치{RECEIVER PROTECTOR FOR COPING WITH HIGH POWER RADIO INTERFERENCE}
본 발명은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EMP(Electro Magnetic Pulse) 등 강한 전파에 의한 수신기 고장이나 통신 불능 상태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수신기 고장이나 통신 불능 상태에 대해서 사후에 대처할 수 있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비행체와 같은 무인 이동체는 통신을 통해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따른 자세 제어로 목적지로의 이동을 수행한다.
기존의 이동체에서 통신 전파 교란과 같이 전파 간섭이 있는 경우, 이동체는 전파 교란의 원인 분석을 통해 이에 대한 회피 기술을 적용한다. 그 대표적인 회피 수단으로서는 교란에 대해 강건하도록 수신기 이득저감, 안테나 지향각 능동 제어 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EMP(Electro Magnetic Pulse) 등 강한 전파에는 수신기가 고장(거의 첫단 LNA(저잡음증폭기; Low Noise Amplifier) 고장)이 나므로, 통신 불능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전파 교란에 대처하기 위한 강건 수신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특허 문헌 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68668호(2005.07.05)(발명의 명칭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파 교란 방법) 또는 대한민국 특허 제887767호(2009.03.02)(발명의 명칭 : 주파수 감응형 무선전파교란장치) 등 전파교란과 관련한 특허는 다수 있으나, 이에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특허가 검색되지 않으며, 따라서 전파 교란에 대응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68668호(2005.07.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파 교란 방법 (METHOD FOR DISTURBING RADIO WAVE OF MOBILECOMMUNICATION UNIT) 2. 대한민국 특허 제887767호(2009.03.02), 주파수 감응형 무선전파교란장치 (RADIO JAMMING APPARATUS IN RESPONSE TO FREQUENCY OF RADIO SIGNA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EMP(Electro Magnetic Pulse) 등 강한 전파에 의한 수신기 고장이나 통신 불능 상태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수신기 고장이나 통신 불능 상태에 대해서 사후에 대처할 수 있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해서 원하는 대역만을 필터링하는 대역 필터; 잡음 증폭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부(LNA); 상기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을 하는 제 1 믹서; 및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상기 기저 대역에서 처리하는 제 1 기저 대역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의 신호인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 및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의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칭을 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대역 필터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대역 필터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는,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오드의 절연 파괴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의 신호인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를 연결하는 제 1 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해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에서 상기 제 1 감쇄부로 스위칭한다.
이 경우,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감쇄부에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로 다시 스위칭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잡음 증폭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저잡음 증폭부(LNA); 상기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을 하는 제 2 믹서; 및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상기 기저 대역에서 처리하는 제 2 기저 대역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가 고장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에서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부로 스위칭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부를 연결하는 제 2 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해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에서 상기 제 2 감쇄부로 스위칭한다.
이 경우,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2 감쇄부에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로 다시 스위칭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첫째, EMP(Electro Magnetic Pulse) 등 강한 전파에 의한 수신기 고장이나 통신 불능 상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무선 수신기 고장이나 통신 불능 상태에 대해서 사후에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세째, 통신을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 외부의 고출력 전파교란이 있을 경우 항공기 및 위성, 선박 등과 같이 무선측위시설을 이용하는 이동체의 강건한 통신 시스템 유지를 위한 수신기 보호 및 회복 회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통적으로 유인 항공기 또는 선박 등은 전파 항법인 무선측위장치에 따라 운항한다. 전파항법은 알고 있는 지상 고정지역에서 정해진 주파수를 송신(필요시 방향에 따른 주파수 편차 있음)하고 이를 운항체가 수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운항체의 운항 방향을 인지할 수 있는 항법이다. 이와 같은 장치로는 대표적으로 VOR(VHF Omnidirectional Range), NDB(Non-Directional radio Beacon), LORAN(LOng RAnge Navig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이 있다. 그 외에 무선을 이용하는 무인기 제어 및 위성 제어 등의 항법에 다양한 무선통신이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파 항법에 대해서 최근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가 전파 교란이다. 전파 교란은 수신 장치가 감당하기 어려운 고출력의 신호를 수신 장치에 제공하여 파괴하거나 고장을 유도하는 방법과 의사 신호(유사 신호)를 수신 장치에 제공하여 오류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은 고출력의 신호를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경우를 대응하는 수신 장치에 대한 것이다. 다시 말해, 안테나로부터 무선측위전파를 수신함에 있어, 고출력 전파교란과 같이 순간적인 비정상 신호에 대해 대응하는 수신 장치에 대한 것이다. 아래에서 3가지의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겠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종래의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무선 수신 장치는, 안테나(10), 대역 필터(20), 저잡음 증폭부(LNA)(30), 믹서(Mixer)(40) 및 기저 대역 처리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테나(10)는 무선 신호를 수신 또는 송수신하며, 대역 필터(20)는 안테나(10)를 통해서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해서 원하는 대역만을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대역 필터(20)는 대역 선택 필터 또는 대역 통과 필터라고도 한다.
다음으로 저잡음 증폭부(LNA)(30)는 대역 필터(20)에 의해서 필터링된 신호에 대해서, 잡음 증폭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신호를 증폭한다. 믹서(40)는, 저잡음 증폭부(30)에 의해서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을 한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 믹서의 주파수 하향 변환을 위해서 주파수 생성기 또는 발진기(oscillator)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저잡음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와 믹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기저 대역 처리부(50)는, 믹서(40)에 의해서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상기 기저 대역(baseband)에서 처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는, 일반적인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 즉 안테나(10), 대역 필터(20), 제 1 저잡음 증폭부(LNA)(30), 제 1 믹서(Mixer)(40) 및 제 1 기저 대역 처리부(50)를 모두 포함하고, 나아가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의 신호인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미도시) 및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의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칭을 하는 스위칭부(1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칭부(100)는, 무선 대역에서의 전파교란에 피해를 받았을 경우, 수신단 대역 필터(20) 및 최초 LNA의 모니터링 센서(미도시)로부터 스위칭 전압을 자동 획득하여 스위칭부(100)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부(100)는, 대역 필터(20)와 제 1 저잡음 증폭부(30) 사이에 위치하여 대역 필터(20)와 제 1 저잡음 증폭부(30)를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는,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오드의 절연 파괴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의 신호인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는, 대역필터(20)에서 고출력 이상 신호를 수신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부(100)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 사이(30)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100)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30)를 연결하는 제 1 감쇄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해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로 판단한 경우(즉, 고출력의 전파 교란이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100)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30)에서 상기 제 1 감쇄부(110)로 스위칭한다.
이 경우,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로 판단한 경우(즉, 고출력의 전파 교란이 사라진 경우), 상기 스위칭부(100)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감쇄부(110)에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30)로 다시 스위칭하게 된다.
통상 스위칭 반응은 나노 sec 레벨로서 반응이 매우 빨라서, 위와 같은 구성으로, 무선 수신 장치에 대한 고출력의 전파 교란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에 대한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잡음 증폭부 이후 단이 2중화된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스위칭부(100)와 연결되어, 잡음 증폭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저잡음 증폭부(LNA)(31); 상기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을 하는 제 2 믹서(41); 및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상기 기저 대역에서 처리하는 제 2 기저 대역 처리부(51);를 더 포함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30)가 고장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100)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30)에서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부(31)로 스위칭하여, 무선 수신 장치가 고장 상태를 사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저잡음 증폭부(30)가 파괴되었을 경우, 제 1 저잡음 증폭부(30)의 고장판단이 되면,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스위칭부(100)의 분기 신호를 자동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에 대한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칭부(20)와 제 2 저잡음 증폭부(3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20)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부(31)를 연결하는 제 2 감쇄부(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해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로 판단한 경우(즉, 고출력의 전파 교란이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20)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30)에서 상기 제 2 감쇄부(111)로 스위칭한다.
이 경우,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로 판단한 경우(즉, 고출력의 전파 교란이 사라진 경우), 상기 스위칭부(20)는 그 출력을 상기 제 2 감쇄부(111)에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30)로 다시 스위칭하여, 무선 수신 장치에 대한 고출력의 전파 교란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안테나
20...대역 필터
30...제 1 저잡음 증폭부
31...제 2 저잡음 증폭부
40...제 1 믹서
41...제 2 믹서
50...제 1 기저 대역 처리부
51...제 2 기저 대역 처리부
100...스위칭부
110...제 1 감쇄부
111...제 2 감쇄부

Claims (9)

  1. 삭제
  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해서 원하는 대역만을 필터링하는 대역 필터;
    잡음 증폭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부(LNA);
    상기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을 하는 제 1 믹서; 및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상기 기저 대역에서 처리하는 제 1 기저 대역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의 신호인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 및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의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칭을 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대역 필터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대역 필터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를 연결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는,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오드의 절연 파괴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의 신호인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를 연결하는 제 1 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해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에서 상기 제 1 감쇄부로 스위칭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감쇄부에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로 다시 스위칭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잡음 증폭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저잡음 증폭부(LNA);
    상기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을 하는 제 2 믹서; 및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를 상기 기저 대역에서 처리하는 제 2 기저 대역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가 고장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에서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부로 스위칭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부를 연결하는 제 2 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해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에서 상기 제 2 감쇄부로 스위칭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출력 전파 교란 판단부에서 상기 무선 신호가 임계값 이내로 판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그 출력을 상기 제 2 감쇄부에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부로 다시 스위칭하는,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무선 수신 장치.
KR1020120133878A 2012-11-23 2012-11-23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수신기 보호 장치 KR10143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878A KR101434323B1 (ko) 2012-11-23 2012-11-23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수신기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878A KR101434323B1 (ko) 2012-11-23 2012-11-23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수신기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918A KR20140066918A (ko) 2014-06-03
KR101434323B1 true KR101434323B1 (ko) 2014-08-29

Family

ID=5112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878A KR101434323B1 (ko) 2012-11-23 2012-11-23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수신기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3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1365A (en) * 1984-08-23 1987-02-03 Rca Corporation Overpower protection for a radio frequency transceiver
KR20020093284A (ko) * 2001-06-07 2002-12-16 알에프 에이치아이씨 주식회사 수신 신호의 증폭 및 감쇄 회로
KR20090015876A (ko) * 2008-08-12 2009-02-12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Iq 불일치 및 반송파 누설을 보상하는 송수신 회로 및 송수신 집적 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1365A (en) * 1984-08-23 1987-02-03 Rca Corporation Overpower protection for a radio frequency transceiver
KR20020093284A (ko) * 2001-06-07 2002-12-16 알에프 에이치아이씨 주식회사 수신 신호의 증폭 및 감쇄 회로
KR20090015876A (ko) * 2008-08-12 2009-02-12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Iq 불일치 및 반송파 누설을 보상하는 송수신 회로 및 송수신 집적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918A (ko)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450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KR101169766B1 (ko) 지피에스 재밍 신호 검출 장치
US10690776B2 (en) Spoofing detection and anti-jam mitigation for GPS antennas
EP1579233B1 (en) Dual redundant gps anti-jam air vehicle navigation system
EP2750296B1 (en) Filtering out a jammer signal
US925286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US8022872B2 (en) Positioning receiver
US10374653B2 (en) V2X antenna systems
US10509131B2 (en) Hardware front-end for a GNSS receiver
US98003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90004990A1 (en) Automatic gain control locked on to the received power probability density
EP3741008A1 (en) Phased-array anti-jamming device and method
EP2656505B1 (en) Signal processing for improved reception
US20190310379A1 (en) Smart Antenna Module For GNSS Receivers
KR101434323B1 (ko) 고출력 전파 교란 대응 수신기 보호 장치
US20230070170A1 (en) Tactical air navigation system isolation from receiver with shared antenna
US9160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canceling
CN108206330B (zh) 用于减轻来自相邻天线的射频干扰的系统和方法
AU2022200852B2 (en) Deployable radio units
EP28248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396455B2 (en) Antenna assembly for providing interference mitigation
Ilyas et al. A frequency agile dual-band GNSS receiver front end with anti-jamming capabilities
US10484085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KR102593223B1 (ko) 고출력 전자기파 방호 및 재밍 대응용 추측 위성 항법 장치
JP2006352772A (ja) 増幅器、無線受信機、信号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