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143B1 -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143B1
KR101434143B1 KR1020120102255A KR20120102255A KR101434143B1 KR 101434143 B1 KR101434143 B1 KR 101434143B1 KR 1020120102255 A KR1020120102255 A KR 1020120102255A KR 20120102255 A KR20120102255 A KR 20120102255A KR 101434143 B1 KR101434143 B1 KR 10143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outlet
ship
opening
shut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5685A (en
Inventor
김진수
이주현
송윤영
최순호
안성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143B1/en
Publication of KR2014003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6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는 선체의 선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구상선수와, 구상선수의 선단에 마련된 유체유입구와, 선체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유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복수의 유체배출구와, 유체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복수의 유체배출구로 안내하는 터널 및 복수의 유체배출구에 각각 마련되며 복수의 유체배출구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한다.A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for a ship is disclosed. The apparatus for reducing the resistance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herical auger protruding forward from a bow of a ship, a fluid inlet provided at the tip of the spherical bow, a fluid inlet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hull, A tunnel for guiding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inlet to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 ports, and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 port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 ports, respectively.

Description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s resistance reducing device and a ship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조파저항을 줄일 수 있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ducing resistance of a ship capable of reducing the wave resistance and a ship equipped with the apparatus.

운항하는 선박은 수면에 파(波)를 만들기 때문에 조파저항(造波抵抗)을 받는다. 조파저항은 선체가 물로부터 받는 저항의 큰 부분을 차지하여 운항 중 큰 에너지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선박의 선체분야 연구는 조파저항을 줄일 수 있는 선형을 개발하는데 역점을 두어 왔다.Operated ships are subjected to wave resistance because they make wave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wave resistance takes up a large part of the resistance that the hull receives from the water, causing a large energy loss during operation. Therefore, ship hull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linear model that can reduce the wave resistance.

구상선수(球狀船首, bulbous bow)는 조파저항을 저감시키는 선형 중 대표적인 것으로 최근 대부분 선박에서 채용하고 있다. 수면 아래의 선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구형으로 돌출하는 형태여서 이를 벌브(bulb)라고도 한다. 구상선수는 선박의 운항 중 선수가 일으키는 파를 상쇄시킬 수 있는 파를 일으켜 선수 쪽에서 생기는 파고를 저감시키는 방식으로 조파저항을 저감시킨다.The bulbous bow is a typical linear type that reduces the resistance to wave, and it is adopted by most ships in recent years. It is a bulb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athlete below the water surface. The ball athlete reduces the wave resistance by reducing the wave generated at the athlete by causing a wave that can cancel the wave caused by the athlet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hip.

통상적으로 구상선수는 선박이 만재상태를 유지하고 설계속도로 운항하는 조건에서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설계속도란 선박의 건조계약 조건에 따라 조선소가 만족시켜야 하는 속도로, 엔진 최대출력의 85 ~ 90%에서 낼 수 있는 속도를 의미한다. Conventional athletes are designed to achieve optimum effect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essel maintains its full condition and operates at design speed. Here, the design speed means the speed at which the shipbuilder must satisfy the ship's construction contract conditions, which can be achieved at 85 to 90% of the maximum output of the engine.

하지만 대부분 선박은 실제 운항할 때 만재흘수를 유지하지 않거나 설계속도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화물을 싣지 않은 경하상태(輕荷狀態, Light condition)로 운항하거나, 운송일정이나 연료소모 등을 고려해 저속으로 운항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선박의 운항조건이 구상선수의 설계조건과 다를 경우, 구상선수는 조파저항을 줄이는데 기여하기보다 오히려 저항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However, most ships do not maintain full load drafts or maintain design speeds during actual operations. In other words, it is often operated at a low spe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portation schedule, fuel consumption, and the like in a light condition in which the cargo is not loaded. I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hip are different from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athlete, the athlete may increase the resistance rather th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wave resistance.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만재상태뿐만 아니라 경하상태에서도 조파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88125호(2006. 7. 20. 공개)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38909호(2005. 9. 8. 공개)는 만재상태에서 조파저항 저감효과를 유지하면서도 경하상태에서 추진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구상선수를 각각 제시하고 있다.For this reason, recently,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hat can reduce the wave resistance not only in the full load condition but also in the light load conditio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188125 (published on July 20, 2006) and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5-238909 (published on September 8, 2005) And suggests a concept player capable of improving performance.

특허문헌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88125호(2006. 7. 20. 공개)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188125 (published on July 20, 2006) 특허문헌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38909호(2005. 9. 8. 공개)Patent Document 2: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238909 (disclosed on September 8, 2005)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박의 운항 조건에 따라 선측의 조파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resistance reducing device for a ship capable of reducing the wave resistance of a ship on the side of a ship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hip and a ship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선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구상선수와, 상기 구상선수의 선단에 마련된 유체유입구와, 상기 선체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복수의 유체배출구와, 상기 유체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로 안내하는 터널 및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ull comprising: a spherical auger protruding forward from a bow of a hull; a fluid inlet provided at a tip of the spherical bow; A plurality of fluid outlets, a tunnel for guiding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inlets to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and an open / close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A resistance reducing devic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는 상기 선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1유체배출구 및 제2유체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체배출구 및 상기 제2유체배출구는 서로 대응하는 복수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may include a first fluid outlet and a second fluid outlet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ull, and the first fluid outlet and the second fluid outlet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pai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또한, 상기 제1유체배출구 및 상기 제2유체배출구는 선박의 속도에 따라 유체의 배출위치가 다르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3쌍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luid outlet and the second fluid outlet may have three pairs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fluid discharge position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ship.

또한, 상기 제1유체배출구 및 상기 제2유체배출구는 각각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fluid outlet and the second fluid outle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ull, respectively.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유체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그릴커버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그릴커버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driving source for providing power, a plurality of grill covers rotat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ing source and rotating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do.

또한, 상기 구동원은 양방향 회전 가능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복수의 그릴커버의 각 회전축 일단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체인부재를 포함한다.The power source includes a drive sprocket coupled to a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chain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a driven sprocket disposed at one end of each rotary shaft of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

또한, 상기 구동원은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한 로드를 갖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실린더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그릴커버의 각 회전축을 연동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링크조립체를 포함한다.The drive source includes a drive cylinder having a rod capable of reciproc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 link assembly for moving and receiving rotation of the drive cylinders and rotating the rotation shafts of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

또한, 상기 링크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그릴커버의 각 회전축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링크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링크부의 각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로드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한다.The link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each rotation axis of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the second link portion.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유체배출구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The opening / closing device includes a shutter member rotatably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fluid outlet,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shutter member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shutter member.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유체배출구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 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로드와 상기 셔터부재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실린더의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한다.The opening / clo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hutter member rotatably mounted on a center of the fluid outlet, a driving cylinder for providing power for rotating the shutter member, a rod reciprocally movable in the driving cylinder, And a link assembly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s of the shutter members to transmit power of the drive cylinders.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유체배출구 근방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체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일단이 상기 셔터부재에 연결되는 로드를 갖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driving cylinder slidably installed near the fluid discharge port and having a shutter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uid discharge port and a ro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hutter member for providing power for moving the shutter member, .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유체배출구를 통해 선박의 운항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선측 파형 최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유체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조파 저항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reduce the wave resistance by jetting the fluid through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st side of the side wave depending on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shi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의 터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속도에 따른 선측 파형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가 유체배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유체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유체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유체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s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tunnel structure of a ship's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showing a variation of a side waveform according to a speed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fluid outlet.
6 schematically shows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uid outlet is opened by the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chematically shows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uid outlet is opened by the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chematically shows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uid outlet is opened by the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chematically shows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의 터널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속도에 따른 선측 파형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p's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tunnel structure of a ship's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d shows the change of the side wave shape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e speed of the ship.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는 선체(10)의 선수(11) 쪽에 마련된 구상선수(20)와, 구상선수(20)에 마련된 터널(30)을 포함한다. 구상선수(20)는 선수(11)의 아래 쪽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구형으로 돌출하는 형태다. 구상선수(20)는 만재흘수 상태에서 수면 아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선박이 운항할 때 파(波)를 일으킨다. 그리고 구상선수(20)가 일으키는 파는 선수(11)가 일으키는 파를 상쇄(canceling)시킴으로써 선수(11) 쪽에서 발생하는 파를 줄이는 효과를 발휘하여 조파저항을 저감시킨다.1 and 2, an apparatus for reducing the resistance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herical athlete 20 provided on a side of a bow 11 of a hull 10, a tunnel 30 ). The spherical athlete 20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w 11 in a spherical shape. The spherical athlete 20 is in a state of being locked below the water surface at the load draft, causing a wave when the ship is operated. The wave generated by the spherical athlete 20 causes the wave generated by the athlete 11 to be canceled, thereby reducing the wave generated at the bow 11, thereby reducing the wave resistance.

구상선수(20)의 크기나 형상은 선박이 만재상태에서 설계속도로 운항하는 경우를 고려해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구상선수(20)는 선박이 그 설계조건에 부합하여 운항하는 경우에 조파저항 저감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다. 물론 선박은 종류에 따라 운항조건(적재나 속도)이 다를 수 있으므로, 구상선수(20)는 해당 선박의 운항조건을 고려해 최적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만재상태에서 최적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설계되는 것만은 아니다.The size and shape of the spherical athlete 20 are general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ship is operated at a design speed in a fully loaded state. Therefore, the spherical athlete 20 can maximize the effect of reducing the wave resistance when the ship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conditions. Of course, the ship condition (load or spee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hip, so that the pilot 20 can be designed to exhibit the optimum effect consider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hip. That is, it is not only designed to exert the optimum effect in the full load state.

한편 선박의 운항조건(흘수 또는 속도 등)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측 파형은 달라지게 되므로 구상선수(20)의 설계 조건과 다른 경우에는 오히려 구상선수(20)로 인한 조파저항이 커지거나 파상쇄(wave canceling)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효과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는 구상선수(20)의 전방 쪽에 형성된 유체유입구(31)와, 구상선수(20) 후방의 선체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유체배출구(32,33)와, 유체유입구(31)로 유입된 유체(해수)를 복수의 유체배출구(32,33)로 안내하는 터널(30)과, 복수의 유체배출구(32,33)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장치(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이라는 표현은 선박이 진행하는 방향을, '후방'은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depending on the ship's operating conditions (draft, speed, etc.), the side wave form is different. Therefore, when the design conditions are different from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spherical athlete 20,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wave resistance due to wave canceling can be reduc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apparatus for reducing the resistance of a sh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uid inlet 31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pherical prime mover 20 and a plurality of fluid outlets 31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arward sidewall 20 A tunnel 30 for guiding the fluid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fluid inlet 31 to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 ports 32 and 33 and a plurality of fluid outlet ports 32 and 33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40). Here, the expression 'forward'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ip is moving, and 'rear'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유체유입구(31)는 흘수선 아래 위치의 구상선수(20) 선단에 마련될 수 있다. 구상선수(20)의 선단은 선박이 운항할 때 가장 큰 압력(수압)이 작용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유체유입구(31)가 구상선수(20) 선단에 마련되면, 선박이 운항할 때 유체가 터널(30) 내부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고, 유체의 유입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수압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지점에 유체유입구(31)가 형성되면, 선체(10)의 입장에선 그 만큼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선박의 추진성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는 유체유입구(31)가 구상선수(20) 선단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유체유입구(31)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체유입구(31)는 구상선수(20)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벗어난 위치, 즉 구상선수(20) 전방 쪽의 하부위치 또는 상부위치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유체유입구(31)는 그 형태가 원형뿐 아니라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일 수 있고, 선박의 설계조건에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fluid inlet 31 may be provided at the tip of the spherical prong 20 at a position below the waterline. The tip of the spherical athlete (20) is the part where the greatest pressure (water pressure) acts when the ship is operating. Therefore, when the fluid inlet 31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pherical prong 20, the fluid can smoothly flow into the tunnel 30 when the vessel is operated, and the resistance due to the inflow of the fluid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when the fluid inlet 31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water pressure acts most, the resistance of the hull 10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by enhancing the propulsion performance of the ship. Here, the case where the fluid inlet 31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pherical prong 20 is exemplified, but the position of the fluid inlet 31 is not limited thereto. The fluid inlet 31 may be changed to a position slightly displaced from the tip of the spherical cam 20, that is, a lower position or an upper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spherical cam 20,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luid inlet 31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as well as a 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fluid inlet holes 31 may be provided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ship.

유체배출구(32,33)는 선체(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유체배출구(32a,32b,32c)와 제2유체배출구(33a,33b,33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유체배출구(32a,32b,32c)와 제2유체배출구(33a,33b,33c)는 서로 대응하는 3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도시하나 이는 선박의 운항조건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이 저속으로 운항되는 경우 선수(11)가 일으키는 파(A)를 상쇄하기 위한 제1쌍의 유체배출구(32a,33a)와, 선박이 중속으로 운항되는 경우 선수(11)가 일으키는 파(B)를 상쇄하기 위한 제2쌍의 유체배출구(32b,33b)와, 선박이 고속으로 운항되는 경우 선수(11)가 일으키는 파(C)를 상쇄하기 위한 제3쌍의 유체배출구(32c,33c)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복수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유체배출구(32,33)는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거나 선체(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선체(10)의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선체(10)의 적절한 위치에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fluid outlets 32,33 include first fluid outlets 32a, 32b and 32c and second fluid outlets 33a, 33b and 33c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ull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luid outlets 32a, 32b, and 32c and the second fluid outlets 33a, 33b, and 33c are constructed of three pai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r more. That i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a first pair of fluid outlets 32a and 33a for canceling the wave A generated by the bow 11 when the ship is operated at a low speed, A second pair of fluid outlets 32b and 33b for canceling out the wave B generated by the bow 11 when operated at medium speed and a wave C generated by the bow 11 when the ship is operated at high speed, And a third pair of fluid outlets 32c and 33c for canceling out the fluid. The plurality of pairs of fluid outlets 32 and 33 may b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ull 10,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ppropriate positions of the hull 10 along the longitudinal and height directions.

터널(30)은 유체유입구(31)와 선체(10)의 양 측면에 마련된 유체배출구(32,33)를 연결하도록 구상선수(2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널(30)은 유체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흐르도록 구상선수(20)의 중앙부를 따라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입유로(35)와, 유입유로(35)에 흐르는 유체를 제1쌍의 유체배출구(32a,33a)로 안내하도록 유입유로(35)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는 한 쌍의 제1분기유로(36)와, 한 쌍의 제1분기유로(36)의 후방의 유입유로(35)에서 제2쌍의 유체배출구(32b,33b)와 연통하도록 두 갈래 분기되는 한 쌍의 제2분기유로(37)와, 한 쌍의 제2분기유로(37)의 후방의 유입유로(35)에서 제3쌍의 유체배출구(32c,33c)와 연통하도록 두 갈래로 분기되는 한 쌍의 제3분기유로(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터널(3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분기유로(36,37,38)를 통하여 대응하는 유체배출구(32,33)를 통해 선체(10)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The tunnels 30 may be formed in the spherical prongs 20 to connect the fluid outlets 31 and the fluid outlets 32 and 3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10. The tunnel 30 includes an inflow channel 3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alo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herical bore 20 so that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luid inflow hole 31 flows, A pair of first branch flow paths 36 branched from the inflow flow path 35 so as to guide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irst branch flow paths 32a and 33a to the first pair of fluid discharge ports 32a and 33a, A pair of second branch flow paths 37 branched in two direction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pair of fluid discharge ports 32b and 33b in the inflow channel 35 rearward of the first branch flow paths 37 and 36, And a pair of third branch flow paths 38 branching in two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pair of fluid outlets 32c and 33c in the inflow path 35 rearward of the first branch path 32. [ Through this structur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tunnel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through the corresponding fluid outlets 32, 33 through the branch flow paths 36, 37, 38.

한편 터널(30)을 형성하는 유로들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유로는 구상선수(2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형태가 아닌 구상선수(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유체가 흐르도록 구상선수(2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위치에서 구상선수(20)의 가장자리 형상과 대응하는 관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s forming the tunnel 30 are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For example, the flow path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edge of the spherical prism 2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dge of the spherical prism 20 so that the fluid flows along the edge of the spherical prism 20,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a corresponding tubular shape.

개폐장치(40)는 복수의 유체배출구(32,33)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체배출구(32,33)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개폐장치(40)는 터널(30)에 흐르는 유체가 선박의 운항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유체배출구(32,33)를 통해 선체(10) 외부로 토출되도록 복수의 유체배출구(32,33) 중 어느 한 쌍의 유체배출구를 개방하고 나머지 유체배출구는 폐쇄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32 and 33 so as to individually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32 and 33,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devices 40 ar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32 and 33 so that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tunnel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hip 10 through the fluid outlets 32 and 33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hip And the remaining fluid outlets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to close the remaining fluid outle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가 유체배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유체배출구(32,33)를 개폐하는 개폐장치(4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바 어느 하나의 유체배출구(32a)에 설치된 개폐장치(4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 fluid outlet. Hereinafter, the opening / closing device 40 for opening / closing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32 and 33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opening / closing device 40 provided in any one of the fluid outlets 32a.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40)는 유체배출구(32a)를 개폐하도록 유체배출구(32a)에서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그릴커버(41)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42)과, 구동원(42)의 동력을 전달받아 복수의 그릴커버(41)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43)를 포함한다.4 and 5,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rill covers 41 arranged vertically in the fluid outlet 32a to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32a,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43 that receives the power of the driving source 42 and rotates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41. [

복수의 그릴커버(41)는 각각 유체배출구(32a)의 좌우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유체배출구(32a)의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는 유체배출구(3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회전축(41a)이 마련될 수 있다. 또 좌우 양측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41a)에는 회전축(41a)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스프라켓(44)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원(42)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구동모터(42)의 축(42a)에는 구동모터(4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스프라켓(45)이 결합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43)는 구동모터(42)의 회전력을 복수의 그릴커버(41)의 각 회전축(41a)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스프라켓(45)과 복수의 그릴커버(41)의 각 회전축(41a) 주위를 감싸는 체인부재(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42)의 동력은 구동스프라켓(45)을 통해 체인부재(46)를 회전시키고, 체인부재(46)의 회전방향에 따라 체인부재(46)에 치합된 종동스프라켓(44)은 회전하게 되어 복수의 그릴커버(41)는 유체배출구(32a)를 개폐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41 are each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that is elongated left and right so as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luid outlet 32a and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fluid outlet 32a, And a rotary shaft 41a for rotatably coupling to the fluid outlet 32a may be provided. Further, a driven sprocket 44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41a may be provid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rotating shafts 41a. The driving source 42 includes a driving motor capable of bi-directional rotation. A driving sprocket 45 for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42 may be coupled to the shaft 42a of the driving motor 42.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43 i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42 to the respective rotary shafts 41a of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41.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43 includes a drive sprocket 45 and a plurality of grill covers 41, And a chain member 46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hain member 41a.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42 rotates the chain member 46 through the drive sprocket 45 and the driven sprocket 44 engaged with the chain member 46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in member 46 So that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41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32a.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유체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6 schematically shows an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a fluid outlet is opened by an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50)는 유체배출구(32a)를 개폐하도록 유체배출구(32a)에서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그릴커버(51)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52)과, 구동원(52)의 동력을 전달받아 복수의 그릴커버(51)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53)를 포함한다.6 and 7,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rill covers 51 arranged vertically in the fluid outlet 32a to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32a,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53 for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ing source 52 and rotating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51. [

복수의 그릴커버(51)는 각각 유체배출구(32a)의 좌우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유체배출구(32a)의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는 유체배출구(3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회전축(51a)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원(52)은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한 로드(52a)를 갖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53)는 구동실린더(52)의 동력을 전달받아 복수의 그릴커버(51)의 각 회전축(51a)을 연동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링크조립체(54)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조립체(54)는 일단이 복수의 그릴커버(51)의 각 회전축(51a)에 각각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링크부(54a)와, 복수의 제1링크부(54a)의 각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구동실린더(52)의 로드(52a)의 전후 왕복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링크부(54b)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51 are each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which is elongated left and right so as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luid outlet 32a and i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fluid outlet 32a, And a rotary shaft 51a for rotatably coupling to the fluid outlet 32a may be provided. The driving source 52 may include a driving cylinder made up of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having a front and rear reciprocable rod 52a.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53 may include a link assembly 54 for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e cylinder 52 and rotating the respective rotary shafts 51a of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51 to rotate them together. The link assembly 54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54a and a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54a which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otation shafts 51a of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51 and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link portion 54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od 52a of the drive cylinder 52. [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유체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8 schematically shows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a fluid outlet is opened by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60)는 유체배출구(32a)를 개폐하도록 유체배출구(32a)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부재(61)와, 셔터부재(61)의 회전축(61a)에 연결되어 셔터부재(6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62)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재(61)는 유체배출구(32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61a)은 셔터부재(61)의 중앙부 양측에 배치되어 유체배출구(32a)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62)의 축은 셔터부재(61)의 회전축(61a)과 직결되거나 기어, 풀리 및 밸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65)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구동모터(62)의 회전방향에 따라 셔터부재(61)는 회전축(61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유체배출구(32a)를 개폐하게 된다.8 and 9,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6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luid outlet 32a so as to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32a A shutter member 61 and a drive motor 62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61a of the shutter member 61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shutter member 61. [ The shutter member 6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uid outlet port 32a and the rotating shaft 61a can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hutter member 61 and rotatably coupled around the fluid outlet port 32a .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6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61a of the shutter member 61 or may be connected via a power transmitting member 65 such as a gear, a pulley and a bel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hutter member 61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61a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62 to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32a.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에 의해 유체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10 is a schematic view of an open / clos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a fluid outlet is opened by an open / clos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70)는 유체배출구(32a)를 개폐하도록 유체배출구(32a)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부재(71)와, 셔터부재(71)의 회전축(71a)에 연결되어 셔터부재(7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72)와, 구동실린더(72) 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로드(72a)와 셔터부재(71)의 회전축(71a)을 연결하여 구동실린더(72)의 동력을 전달받아 셔터부재(71)를 회전시키는 링크조립체(73)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조립체(73)는 일단이 셔터부재(71)의 회전축(71a)에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실린더(72)의 로드(72a)에 연결된 하나의 링크부재를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로드(72a)의 왕복운동을 셔터부재(71)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다절 링크 구조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10 and 11,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luid outlet 32a so as to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32a A drive cylinder 72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71a of the shutter member 71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shutter member 71 and a drive cylinder 72 for reciprocating in the drive cylinder 72 And a link assembly 73 that connects the rod 72a and the rotary shaft 71a of the shutter member 71 to receive the power of the drive cylinder 72 and rotate the shutter member 71. [ The link assembly 73 is provided with one link member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71a of the shutter member 7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d 72a of the drive cylinder 72.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olygonal link structure capable of converting the motion in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hutter member 71 can be adopt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80)는 유체배출구(32a) 근방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체배출구(32a)를 개폐하는 셔터부재(81)와, 셔터부재(8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82)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재(81)는 유체배출구(32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체배출구(32a)와 인접한 선측 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8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동원(82)은 일단이 셔터부재(81)에 연결되는 왕복 이동 가능한 로드(82a)를 갖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된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공압실린더(82)의 로드(82a)의 왕복 이동에 따라 셔터부재(81)는 가이드레일(8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의해 유체배출구(32a)를 개폐하게 된다. 12 schematically shows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8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utter member 81 slidably installed near the fluid outlet 32a to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32a, And a driving source 82 for providing power for moving the movable member 81. The shutter member 8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uid outlet port 32a and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83 formed in the side surface adjacent to the fluid outlet port 32a. The driving source 82 includes a driving cylinder composed of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having a reciprocable rod 82a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hutter member 81. [ The shutter member 81 slides along the guide rail 83 in accordance with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od 82a of the pneumatic cylinder 82 to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32a.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선체, 20: 구상선수,
30: 터널, 31: 유체유입구,
32,33: 유체배출구, 40: 개폐장치,
41: 그릴커버, 42: 구동원,
43: 동력전달부재, 44: 종동스프라켓,
45: 구동스프라켓, 46: 체인부재.
10: hull, 20: concrete player,
30: tunnel, 31: fluid inlet,
32, 33: fluid outlet, 40: opening / closing device,
41: grill cover, 42: driving source,
43: power transmitting member, 44: driven sprocket,
45: drive sprocket, 46: chain member.

Claims (12)

선체의 선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구상선수;
상기 구상선수의 선단에 마련된 유체유입구;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선박의 운항조건에 따라 다르게 발생되는 선측 파형을 상쇄하는 쪽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좌우 양측면에서 각각 유체의 배출위치가 다르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유체배출구;
상기 유체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를 서로 연결하는 터널; 및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변화되는 선측 파형에 대응하여 상기 파형을 상쇄할 수 있는 쪽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A spherical athlete projecting forward from the athlete;
A fluid inlet provided at the tip of the bulb;
And a plurality of fluid discharge ports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so as to discharge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fluid inlet to the side that cancels the side corrugation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hip, A fluid outlet of the fluid chamber;
A tunnel connecting the fluid inlet and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to each other to guid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inlet to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And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and opening / clos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electively open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for discharging the fluid toward the side that cancels th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side surface wavefor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체배출구는 상기 선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1유체배출구 및 제2유체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체배출구 및 상기 제2유체배출구는 서로 대응하는 복수개의 쌍으로 구비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luid outlets include a first fluid outlet and a second fluid outlet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ull,
Wherein the first fluid outlet and the second fluid outlet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pai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배출구 및 상기 제2유체배출구는 선박의 속도에 따라 유체의 배출위치가 다르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3쌍을 구비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fluid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fluid discharge port have three pairs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discharge positions of fluid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ship.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배출구 및 상기 제2유체배출구는 각각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fluid outlet and the second fluid outle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eight direction of the hull.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유체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그릴커버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그릴커버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plurality of grill covers rotat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fluid outlet;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ing source and rotating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양방향 회전 가능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복수의 그릴커버의 각 회전축 일단에 설치된 종동스프라켓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ive source includes a bi-directionally rotatable drive motor,
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drive sprocket coupled to a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chain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a driven sprocket disposed at one end of each rotary shaft of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한 로드를 갖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실린더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그릴커버의 각 회전축을 연동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ive source includes a drive cylinder having a back and forth reciprocable rod,
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link assembly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e cylinder and rotating the rotation shafts of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togeth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그릴커버의 각 회전축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링크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링크부의 각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로드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nk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each rotation axis of the plurality of grill covers, and a second link portion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link portions, (2) A resistance reducing device for a ship including a link portion.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유체배출구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device includes a shutter member rotatably installed at a center of the fluid outlet,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shutter member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shutter member.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유체배출구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 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로드와 상기 셔터부재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실린더의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device includes: a shutter member rotatably mounted on a center of the fluid outlet; a driving cylinder that provides power for rotating the shutter member; a rod reciprocally movable in the driving cylinder; And a link assembly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s of the drive cylinders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drive cylinders.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유체배출구 근방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체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일단이 상기 셔터부재에 연결되는 로드를 갖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driving cylinder slidably installed near the fluid outlet and having a shutter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uid outlet and a ro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hutter member for providing power for moving the shutter member Ship's resistance reduction device.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항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선박.A ship including the resistance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120102255A 2012-09-14 2012-09-14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434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55A KR101434143B1 (en) 2012-09-14 2012-09-14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55A KR101434143B1 (en) 2012-09-14 2012-09-14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685A KR20140035685A (en) 2014-03-24
KR101434143B1 true KR101434143B1 (en) 2014-08-27

Family

ID=5064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255A KR101434143B1 (en) 2012-09-14 2012-09-14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1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4802B2 (en) * 2014-12-05 2019-04-24 国立研究開発法人 海上・港湾・航空技術研究所 Designing a ship with reduced drag and a method for designing a ship with reduced drag
KR102465433B1 (en) * 2021-03-03 2022-11-09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ctive type bilge kee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94A (en) * 1982-07-21 1984-01-30 Nippon Kokan Kk <Nkk> Side thruster cover device of ship
JPS60124586A (en) * 1983-12-07 1985-07-03 Mitsubishi Heavy Ind Ltd Vessel
JPH02141598U (en) * 1989-04-25 1990-11-28
JP2010083412A (en) * 2008-10-01 2010-04-15 Sumitomo Corp Hull with side thrus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94A (en) * 1982-07-21 1984-01-30 Nippon Kokan Kk <Nkk> Side thruster cover device of ship
JPS60124586A (en) * 1983-12-07 1985-07-03 Mitsubishi Heavy Ind Ltd Vessel
JPH02141598U (en) * 1989-04-25 1990-11-28
JP2010083412A (en) * 2008-10-01 2010-04-15 Sumitomo Corp Hull with side thru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685A (en)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526B1 (en) Vessel with side thruster
KR101434143B1 (en)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US10279639B2 (en) Amphibious vehicle
CN106612997B (en) One kind cutting vertical stream installed threshing separator dynamic transfer system
KR101291122B1 (en) Rudder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WO2014044225A1 (en) Apparatus for making fluid flow
KR101271614B1 (en) Thruster for ship
KR101402537B1 (en) A propulsion apparatus with variable wings for ship
KR101323830B1 (en) Thruster for a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390828B1 (en)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CN104260865A (en) Pump injecting and propelling type remote control surveying vessel
KR101335256B1 (en) Tunnel thruster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140035673A (en)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140036059A (en)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EP2252789A2 (en) Stream energy extraction device
CN103183122B (en) Frog type ship propulsion device
RU2016110751A (en) DRILLING TOOL
US20230202636A1 (en) Outboard motor
RU2516892C2 (en) Auxiliary propulsion system of waterborne vehicle
KR20080066466A (en) Bow plane of combat vehicle
KR101444322B1 (en)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RU189786U1 (en) AMPHIBIC VEHICLE
KR101390826B1 (en)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EP3156319B1 (en) Device for changing propeller position
KR200407711Y1 (en) Hydraulic clutch for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