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095B1 -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095B1
KR101434095B1 KR1020130029783A KR20130029783A KR101434095B1 KR 101434095 B1 KR101434095 B1 KR 101434095B1 KR 1020130029783 A KR1020130029783 A KR 1020130029783A KR 20130029783 A KR20130029783 A KR 20130029783A KR 101434095 B1 KR101434095 B1 KR 10143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ynthetic wood
viscoelastic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식
Original Assignee
전영식
주식회사 이지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식, 주식회사 이지서브 filed Critical 전영식
Priority to KR102013002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9Feeding; Proportioning;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목분과 폴리머의 복합체인 합성목재(WPC)로서 Tg가 서로 다른 이종의 열가소성수지를 블랜드(blends)하여 내구성과 내변형성을 강화시킨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이 발명은 PP 베이스의 폴리머에 PBT를 블랜드하여 베이스 폴리머의 내열성 및 물리적 특성을 강화시킨 합성목재를 제공하며, 이 발명은 특성을 강화시킨 베이스 폴리머에 고무를 추가 블랜드하여 3원 복합체로서 점탄성을 가지며 동시에 내변형성이 거듭 강화된 점탄성 합성목재를 제공한다. 이로써 이 발명은 합성목재가 베이스 폴리머의 열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을 벗어나고 새로운 특성의 산업용 재료로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 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Viscoelastic synthetic woo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이 발명은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 이 발명은 이종(immiscible blend)의 열가소성 폴리머 복합체에 고무성분을 제3의 성분으로 추가 도입하여 3원 폴리머복합체를 만들고, 이 복합체에 의한 목분복합체(WPC)를 유도함으로써, 합성목재에 점탄성의 특성을 나타내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합성목재에 점탄성을 유지하도록(보이도록) 물리화학적 성능을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새로운 용도에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합성목재(WPC, Wood Plastic composite)는 목재와 같은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이며 수명이 짧은 천연 목재와는 달리 장기간 사용될 수 있는 내구성을 지니고 있어 생활용품, 건축자재, 자동차 내장재 등의 분야에서 오래도록 사용되어 온 산업용 재료이다.
합성목재는 PP, PE, PVC, EVA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목분(wood flour)류의 천연 섬유질을 적당한 비율(폴리머 중량 대비 25-150phr)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목분 복합체이다.
WPC의 매트릭스 폴리머는 대체로 단일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아래에 인용된 특허 자료들은 단일 수지 매트릭스(WPC)들의 이용 실태를 보여준다.
1. KR 10-0983970 친환경 및 난연성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2. KR 10-1030425 합성목재 제조방법
3. KR 10-1038356 변형 및 미끄럼방지용 합성목재
4. KR 10-1054330 친환경 합성목재와 그 제조방법
5. WO 2005/080496(KR10-2007-0001958) 셀루로스 중합체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조성물
6. PCT/US2005/043735(KR10-2007-0100266) 목재섬유 합성수지 복합재
7. PCT/US2006/020479(KR10-2008-0033900) 중합체복질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8. KR 10-2010-0097860 인조목재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9. KR 10-2012-0127810 내후성이 강화된 공압출 합성목재
10. KR 10-2012-0127811 내후성 증진을 위한 합성목재의 표면처리 방법
상기 WPC 이용 특허에서 인용예 1은 PP 단독 혹은 이종 폴리머의 사용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 제조법이 불확실한 예이다. 인용예 2는 PE 수지와 목분의 복합체이다. 인용예 3은 합성 목재의 표면을 형상화하여 변형 및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안을 포함한다. 인용예 4는 단독 폴리머를 사용하며 미생물 분해방지능 이 있다. 인용예 5는 공중합단량체와 셀루로스물질의 복합체이다. 인용예 6은 PE 말레dl인(maleic)산 그라프트(graft) 중합체를 도입하고 있다. 인용예 7은 PVC 단독중합체 사용는 고안이다. 인용예 8은 올레핀(olefin) 중합체 커플링(coupling)제를 첨가하여 제조되었으며, 인용예 9, 10은 PP 목분 복합체에 내후성 강화(자외선방지제도입)제를 도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상기의 선행특허 자료를 종합하면 단독 폴리머에 목분을 블렌드한 복합체에 상용화제를 첨가한 고안들이며, KR 10-0983970는 이종 복합체사용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종 폴리머의 사용 기술이 구체적으로 제안되는 정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발명은 유리전이점(Tg, Glass point)가 서로 다른 이종의 열가소성수지를 블랜드(blends)하여 내구성과 내변형성을 강화시킨 3원 폴리머 복합체와 목분으로 만든 점탄성 합성목재(WPC)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PP 베이스의 폴리머에 PBT를 블랜드하여 베이스 폴리머의 내열성 및 물리적 특성을 강화시킨 합성목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특성을 강화시킨 상기 2원 베이스 폴리머에 고무를 추가 블랜드하여 얻는 3원 폴리머 복합체로서 목분복합체(합성목재)를 제조하여 점탄성을 지니며 내변형성이 거듭 강화된 점탄성 합성목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점탄성 합성목재의 특징을 간단히 요약하면 Tg가 서로 다른 이종의 열가소성수지를 블랜드(blends)함으로써 단독 베이스 폴리머 사용시 합성목재가 베이스 폴리머의 열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여기에 고무를 더 첨가하여 블랜드함으로써 특성이 거듭 강화되어 고무탄성도 나타내는 3원복합체(TPE)를 제조하고, 이로써 새로운 산업적인 용도를 창출하게 되는 합성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세히 이 발명 점탄성 합성목재는 목분 복합체의 PP 베이스 폴리머에 내열성 및 물리적 특성이 양호한 PBT를 블랜드하여 베이스 폴리머의 내열성 및 물리적 특성을 강화하였다.
더하여 점탄성 합성목재는 여기에 고무(EPDM, EPM)를 제3의 성분으로 추가 블랜드하여 3원 복합체(Elastomer modified Plastic, Thermoplastic elastomer) 시스템의 합성목재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3원 복합체 합성목재는 고무탄성에 의한 변형방지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가지게 되면서 내열성 및 물리적 특성이 거듭 강화되었다.
이와 같이 이 발명 합성목재는 내열성 및 내 변형성이 강화되고 점탄성을 보이는 신 산업재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용도를 창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은 Tg가 서로 다른 이종의 열가소성수지를 블랜드(blends)하여 내구성과 내변형성을 강화시킨 3원 폴리머 복합체와 목분으로 만든 점탄성 합성목재(WPC)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이 발명은 PP 베이스의 폴리머에 PBT를 블랜드하여 베이스 폴리머의 내열성 및 물리적 특성을 강화시킨 합성목재를 제공하며, 이 발명은 특성을 강화시킨 상기 2원 베이스 폴리머에 고무를 추가 블랜드하여 얻는 3원 폴리머 복합체로서 목분복합체(합성목재)를 제조하여 점탄성을 지니며 내변형성이 거듭 강화된 점탄성 합성목재를 제공한다. 이로써 이 발명은 합성목재가 베이스 폴리머의 열성을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벗어나고 새로운 우성의 산업용 재료로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도1은 점탄성 합성목재 제조 장치도
여기에서 첨부 도면을 인용하여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필요성과 점탄성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Olefin(PE,PP), PVC, EVA 등의 단일 폴리머를 베이스로하는 합성목재의 경우 사용 중, 변형 및 노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합성목재의 대량 수요 품목의 하나인 보도 부설재, 실내 경기장 바닥재, 마루 등에서 변형과 미끄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과 미끄럼(Friction)은 단일 폴리머의 낮은 내열성, 내구성 및 낮은 표면 에너지 특성이 그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발명은 점탄성 합성목재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폴리머를 복합체로 블렌드한 3원 폴리머 복합체와 목분을 혼합하여 목분복합체인 합성목제를 제조한다. 합성목재에 주로 사용되어 왔던 단일 폴리머들은 PE, PP, PVC, EVA 등의 homopolymer인데, 이러한 단일 베이스 폴리머들은 상기과 같이 폴리머 고유의 열성을 합성목재에 나타내어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등에서 보완이 필요하였다.
이종 폴리머 복합체는 PP와 PBT인 이종의 열가소성수지를 블렌드(blend)하고, 다시 고무성분을 블렌드하여 3원 polymer 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내열성, 내구성 및 고마찰(Friction) 특성을 확보할 수 있고, 목분복합체에 점탄성을 부여함으로써 보도 재료로 사용했을 때 미끄럼방지 기능을 나타내게 되고 좋은 보행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원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 과정은 먼저 이종 폴리머(immiscible blends)의 블랜드를 위해 단시간 혼합 및 혼합성능이 우수한 폐쇄믹서를 사용한다. 권장되는 폐쇄믹서로서는 Bunbary, Kneadner, Continuous kneading mixer가 있다. Tg가 다른 이종 폴리머 및 고무, 목분과 기타 첨가제는 단시간 혼합 및 혼합성능이 우수한 믹서에서 혼합되고, 압출기(single extruder, Twin extruder)에서 압출된 다음, 펠레타이징 공정을 거처 3원 폴리머를 복합체로 만들어진다.
이와같이 제조된 3원 폴리머 복합체는 압출 혹은 압축공정에서 점탄성 합성목재가 제조된다.
상기 2원 폴리머 복합체는 일종의 TPE(Thermoplastic elastomer)이므로, 가교제로 고무성분(EPDM)을 가교 시키면서 3원 폴리머 복합체인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Valcanizate)가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열가소성 고무는 단순 블렌드된 이종 폴리머류 보다 양호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3원 폴리머 복합체 베이스 점탄성 합성목재는 종래의 단독(Homopolymer) 폴리머 베이스 합성목재에 비교하여 내열성, 내구성에서 매우 우수한 특성을 발휘하였다. 자세히 3원 폴리머 복합체 베이스 점탄성 합성목재는 단일 폴리머 베이스 합성목재에서 보이던 단일 폴리머의 열성을 벗어나 단점이 개선되었다.
비변형성과 장기 내구성이 확보된 점탄성 합성목재는 기존 합성목재의 단순한 이용 분야를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대 할 수 있게 하고, 이로써 많은 신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이종 폴리머의 혼련을 위한 믹싱(mixing) 공정은 단시간내에 처리되는 공정으로 숙련과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공정이다. 연속된 재료의 믹싱과 압출기에서의 혼련 및 펠리타이징 공정을 적용한 실시 예의 장치를 도1에 인용하였다. 이 과정을 도1 도면을 인용하여 좀 더 자세히 기술한다. 이종의 열가소성수지인 PET, PP 메트릭스 수지는 융점이 서로 큰 차이가 있고, EPDM 고무는 융점이 나타나지 않는 탄성체이므로 이들 폴리머의 믹싱(mixing)은 전단력이 큰 페쇄믹서 (Bunbary, Kneader, continuous kneadning mixer 등)(10)에서 이루어지고, 연속적으로 압출기 Head(Nozzle)(120)로 보내져서 혼련을 완성한 다음 펠레타이징 Machine(140)에서 펠레타이징(140)을 하여 그레뉼 상태의 합성목재 원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믹싱 과정에서 피더(20)는 feeding 동작으로 충진제를 공급하고, 피터(30) 및 side feeding machine(40)은 기타첨가제(점성물질)를 공급한다.
상기 처리 과정에서 모터(100)는 압출기본체(Extruder, Twin extruder)(110)를 구동 하고, Air knife(130)는 합성목재 재료를 분쇄하고(그레뉼상태) 펠레타이져로 합성목재 polymer 복합체를 이송한다.
상기 재료의 믹싱과 압출기에서의 혼련 및 펠리타이징 공정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서 공기 및 수분의 침투를 막고, 고온 혼련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폴리머의 노화 및 열화를 방지해야 한다.
도1 예에서 상기 폐쇄믹서의 공정 조건은
* Bunbary: 250℃ 에서 5분
* Extruder: Feeding zone: 250℃, Compression zone: 260℃, Output: 265℃, Nozzle: 275℃, Screw speed: 50-200rpm
* Continuous Kneading Mixer: Extruder와 동일 온도이다.
이 발명 점탄성 합성목재(WPC)의 조성은 Polymer(PET,PP, EPDM,PP-g-MA)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분(Wood flour) 25-150 중량부, 상용화제 1-20 중량부, 충진제 25-150중량부, 노화방지제 1-5중량부, 자외선방지제 0.5-5 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가교제 0.5-5중량부를 포함한다.
점탄성 합성목재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화학발포제를 0.5-5 중량부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합성목재의 복합체 메트릭스인 PET와 PP는 Tg(Glass point)와 Mp(Melting point)가 큰 차이(Mp: PET: 265℃, PP: 160℃)를 가지므로 PET 상과 PP 상은 불균질상(immiscible phase)이다 .
메트릭스의 균질 혼합을 위해 PET에 상용화제를 반응시켜 PP와 균질상을 만든다.
반응식 1은 PET와 폴리머 상용화제 MA-g-SEBS(Shell사 제품명 Kraton)의 반응식이다.
[반응식 1]
Figure 112013024076704-pat00001

반응식 1에서 Maleic산이 말단에 붙은 PET는 PP와 잘 혼화가 되고 나아가 폴리머 상용화제로서 PP-g-MA(호남석유 제품명 PH200)를 도입하여 EPDM 고무와도 상용성을 높여 주므로 3원 폴리머 네트워크를 형성시킨다. 즉 3원 폴리머 복합체는 고무탄성까지 발현시킨다,(SEM photo 참조)
표 1은 SEM micrographs of PP/PET blends 이다.
Figure 112013024076704-pat00002
표 1에서 a)는 무 상용화제 blend 사진이다.
b)는 5 wt% compatibilizer blend 사진이다.
c)는 10 wt% compatibilizer blend 사진이다.
d)는 15 wt% compatibilizer blend 사진이다.
표 1에서 상용화제의 작용으로 b), c), d)의 혼합상태는 무첨가 블랜드 a)에 비해 균질구조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점탄성 합성목재의 메트릭스로 사용되는 베이스 폴리머 PET는 Homopolymer, Copolymer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Copolymer(TB-380, 호남석유화학)를 사용 하는게 바람직하다. 리싸이클 된 병류(PET음료수병)도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PP인 경우 압출 및 중공성형 그레이드의 사용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압출용인 B-310(호남석유화학)가 있다.
EPDM(EPM) 고무는 일반적인 그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E/P
Ratio(Ethylene and propylene 비)가 55/45정도가 바람직하며, 분자량분포는 넓은게 바람직하다. 더 자세하게는 KEP330(호남석유화학)이 바람직하다.
고무탄성체(EPDM, EPM) 대신에 상용 TPV(Thermoplastic valcanizte)류로 대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Santoprene(ExxonMobile), lottomer (호남석유화학)의 일반그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ase polymer(매트릭스포함)의 구성은 압출 및 압축성형이 가능한 그레이드를 사용 하는게 좋다.
상용화제는 그라프트된 폴리머(Graft polymer)를 사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PP-g-MA(PH200, 호남석유화학), MA-g-SEBS(Shell사 제품)등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음 상용화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Styrene-Co-maleic anhydride, Structol TR-060, TR065, EPDM-g-GMA,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Kraton by Shell),
Poly AM-910, 1-2 polybutadi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탄성 합성목재의 주요 재료인 목분(Wood fluor)은 침엽수의 목분과 활엽수의 목분으로 나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침염수의 목분을 사용한다. 목분의 선택은 재료의 선택 외에도 수분의 함량 및 입자 사이즈가 합성목재의 압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해서 선택해야 한다.
침엽수목분으로 Pine, Larch, Fir, Spruce가 권장된다.
활엽수목분으로 Oak, Beech 이 사용된다.
충진제는 두 가지의 측면에서 사용할 수 있다 . 그 하나는 Cost 절감을 위하여 사용되고, 그 둘은 합성목재의 기능 강화를 위해서 사용한다.
Cost절감에 사용되는 충진제는 대부분의 White filler가 여기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는 백색 필러는 탄산칼슘, Talc, Clay, Silica, 등이다. 기능 강화를 위한 filler 로는 Calcite, Vermiculite, MMT, Fumed silica, Conductive carbon black 등이 사용된다.
자외선방지제(UV안정제)는 화학구조별로 benzophenone, Benzothiazol, Organonickle,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로 나눌 수 있다.
합성목재의 제조 프로세서에서 자외선방지제는 Benzophenone계인 Cyasorb5411(2'hydroxy-5'tert-octylphenyl)-benzotriazole)가 유용하다.
노화방지제는 산화방지제와 같은 작용을 갖는 것이 많기 때문에 산화방지제라고도 한다. 노화방지제는 노화현상의 주요 인자인 산소에 의해서 자동 산화되는 연쇄반응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노화방지제는 노화방지 작용 외에도 Polymer에 대한 용해도가 커야하고 휘발성이 적고 Polymer에 비활성이어야 한다. 합성목재의 제조 프로세서에서 Amine계, Quinolines계, Phenol계, imidazol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 hydroxyphenyl)propionate)methan)이 유용하다.
점탄성 합성목재의 제조 프로세서에 윤활제가 사용된다. 성형가공기(폐쇄믹서, 압출혼련기) 내의 권동으로 합성목재의 주요 성분인 폴리머는 전단변형에 의한 유동과 혼련가공기(Mixer) 내벽에서의 마찰저항을 받는다. 윤활제는 혼련 가공에서 용융 폴리머와 어느 정도 상용성을 갖고, 유동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점착을 방지하고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중요한 첨가제이다. 윤활제로는 Paraffin wax, Polyethylene wax, 지방산, 지방산아마이드,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알콜, 등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Paraffine wax가 유용하다.
점탄성 합성목재의 제조 프로세서에서 가교제는 고무의 가교를 위해 사용되었다. 가교제는 동적가교(Dynamic cure)에 유용하다. 사용된 가교제로는 유황 및 유기 과산화물로서, Dicumyl peroxide,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 Benzoyl peroxide등이 사용되었다. 가교제는 가공온도에 따라 반감기를 선택할 수 있다.
발포제는 유기, 무기발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발포제의 사용은 합성수지의 중량 감량하고 및 제조비용의 코스트 다운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된다.
합성수지의 성능 및 제조 코스트 다운을 위해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목재에 색상을 넣기 위한 색소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 별 재료 구성비
재료명 실시예 1
중량부 (phr)
실시예 2
중량부(phr)
실시예 3
중량(phr)
실시예4
중량 (phr)
PET 50 20 50 20
PP 30 50 40 55
PP-g-MA 15 5
SEBS-g-MA 5 5
EPDM 15 5 20
Santoprene 15
Peroxide 2
목분 30 70 140 70
충진제 10 30 30
Nanofiller
석유수지 5 5 10 5
Lubricant 5 5 5 5
노화방지제 1 1 1 1
자외선방지제 0.5 0.5 0.5 0.5
Total 151.5 211.5 256.5 213.5
Polymer content(%) 66 47.3 38.9 46.8
목분 content (%) 19.8 33.1 54.5 32.7
표 2의 재료 구성비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의 합성목재가 제조되었다.
공인 시험규격 GRF 2016 및 KSF 3200에 따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의 합성목재의 물성을 시험하여 표 3과 같은 시험성적을 얻었다.
실시예 1 내 실시예 4의 물성 테스트
시험항목 단위 기준값(기표원)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1.휨강도 N/㎟ 18이상 30 32 35 33
2.내충격성시험 이상없슴 이상없슴 이상없슴 이상없슴
3.나사못유지력 N 780이상 800 850 900 810
4.흡수율 % 3미만 0.3 0.8 1 0.5
5.내항성 겉보기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슴
휨강도 N/㎟ 16이상 30 32 35 32
6.습열성 겉보기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슴
휨강도 N/㎟ 16이상 25 26 24 25
7.포름알데하이드 0.5㎎/L이하 검출안됨 검출안됨 검출아됨 검출안됨
8.미끄럼저항성 BPN 20이상 40 38 40 38
9.흡수두께팽창율 % 10이하 0.6 1 1 1
표 3에서 물성 테스트의 시험기준
* 내충격성 시험기준: 균열이 없고 패인 홈 지름이 15mm이하이다.
* 시험항목 1-8은 GRF 2016, 9번은 KSF 3200으로 시험 되었다.
표 3 물성 테스트에서 실시 예 1 내지 실시 예4의 합성목재는 시험항목 전체가 기준 값에 비교하여 월등한 목재의 유용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10 : 폐쇄Mixer(Banbury, Contineous kneading Mixer)
20 : 충진제 feeding
30 : 기타첨가제(점성물질)
40 : side feeding machine
100: Motor
110: 압출기본체(Extruder, Twin extruder)
120: 압출기 Head(Nozzle)
130: Air knife-합성목재 polymer 복합체 이송
140: 펠레타이징 Machine

Claims (8)

  1. 베이스폴리머와 목분의 복합체인 합성목재에 있어서,
    유리전이점(Tg,glass point)의 격차를 원인으로 하는 임미시블계 블랜드의 이종수지(immiscible blends)로서 PP(Polypropylene)와 PET(Polyethyene terephthalate)로 되는 열가소성 수지 및 이 열가소성 수지에 점탄성 재료로서 고무성분을 포함시킨 베이스 폴리머를 상용화제와 함께 폐쇄믹서에서 혼합하여 3원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3원 폴리머 복합체를 압출기에서 2차 혼합하는 펠레타이징 공정에서 그레뉼화 하여 제조된 것이 특징인 점탄성 합성목재.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 재료는 EP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인 점탄성 합성목재.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의 재료 조성이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목분(Wood flour) 25-150중량부, 상용화제 1-20중량부, 충진제 25-150중량부, 노화방지제 1-5중량부, 자외선방지제 0.5-5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가교제 0.5-5중량부인것이 특징인 점탄성 합성목재.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이종수지의 혼련 및 균질화와 고무 혼련 및 균질화를 위해서 MA-g-SEBS를 상용화제로 포함시킨것이 특징인 점탄성 합성목재.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이종수지와 목분(wood fluor)의 혼련 및 상용화를 위해 MA-g-PP를 상용화제로 포함시킨 것이 특징인 점탄성 합성목재.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미끄럼 저항성의 증대를 위해 점탄성 재료로서 고무(EPDM)를 사용한 점탄성 합성목재.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고무의 가교를 위해 Peroxide를 가교제로 사용한 점탄성 합성목재.
  8. 베이스 폴리머와 목분을 혼합하여 목분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는 3원 폴리머 복합체의 제조과정으로,
    Tg가 다른 PET, PP를 혼합성능이 우수한 폐쇄믹서에서 단시간 혼합하고 압출기에서 2차 혼합하는 압출 단계와,
    상기 2차 혼합 단계에서 3원 폴리머 복합체를 펠레타이징 공정에서 그레뉼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점탄성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20130029783A 2013-03-20 2013-03-20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4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783A KR101434095B1 (ko) 2013-03-20 2013-03-20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783A KR101434095B1 (ko) 2013-03-20 2013-03-20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095B1 true KR101434095B1 (ko) 2014-09-23

Family

ID=5175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783A KR101434095B1 (ko) 2013-03-20 2013-03-20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219B1 (ko) * 2022-02-04 2022-09-07 주식회사 한국에코이노베이션 재활용 pet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279A (ko) * 2002-07-22 2004-01-31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50117198A (ko) * 2004-06-10 2005-12-14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물리적 특성이 개선된 pp/nbr 블렌드계 열가소성탄성체
KR20110065134A (ko) * 2009-12-09 2011-06-15 최영기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인조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20110099468A (ko) * 2010-03-02 2011-09-08 주식회사 더우드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279A (ko) * 2002-07-22 2004-01-31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50117198A (ko) * 2004-06-10 2005-12-14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물리적 특성이 개선된 pp/nbr 블렌드계 열가소성탄성체
KR20110065134A (ko) * 2009-12-09 2011-06-15 최영기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인조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20110099468A (ko) * 2010-03-02 2011-09-08 주식회사 더우드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219B1 (ko) * 2022-02-04 2022-09-07 주식회사 한국에코이노베이션 재활용 pet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5718B2 (ja) 木材パルプを含むセルロース複合材料および同セルロース複合材料を製造するプロセス
US2005022230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highly filled materials
EP2591054B1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9238731B2 (en) Reinforcing additives for composite materials
WO2005000946A1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前記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及び発泡体
KR101461777B1 (ko) 셀룰로오스 및 폴리락틱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생분해성 필름
KR101674503B1 (ko) 연질 pet-g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물
CN109824996B (zh) 抗滑耐冲击pvc塑胶跑道用预制型面层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0111898A1 (zh) 一种可环境降解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11053361B2 (en) Colorant and additive concentrate carrier system with efficacy over a wide range of polymeric processing temperatures
JP2018145407A (ja)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よりなる積層体
KR101434095B1 (ko) 점탄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903260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Articles from Recycled Materials
KR20100097860A (ko) 인조 목재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6476134B1 (en)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including a microdisperse distributed crosslinked synthetic rubber as a secondary phase and its preparation
US20210171738A1 (en) Cellulosic Composites Comprising Wood Pulp
KR100702580B1 (ko) 합성수지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EP1080154A1 (en)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including a microdisperse distributed crosslinked synthetic rubber as a secondary phase and its preparation
US20120196957A1 (en) Compatibilizer Blend For Polymeric Compositions
KR10191865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성형체.
KR101510927B1 (ko)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CN112745588A (zh) 制三元乙丙橡胶/聚乳酸热塑性硫化胶的组合物、硫化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260113B1 (ko)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 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합성 목재 조성물용 상용화제, 친환경 합성 목재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친환경 합성 목재, 및 그 제조 방법
US11859061B2 (en) Colorant and additive concentrate carrier system with efficacy over a wide range of polymeric processing temperatures
TW201141940A (en) Polyester wood plast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