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866B1 -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866B1
KR101433866B1 KR1020130020742A KR20130020742A KR101433866B1 KR 101433866 B1 KR101433866 B1 KR 101433866B1 KR 1020130020742 A KR1020130020742 A KR 1020130020742A KR 20130020742 A KR20130020742 A KR 20130020742A KR 101433866 B1 KR101433866 B1 KR 101433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alarm
contents
review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명
Original Assignee
정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명 filed Critical 정동명
Priority to KR1020130020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 컨텐츠 데이타 베이스,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각 학습 컨텐츠의 학습 횟수 및 학습 수준을 판단하여 각 학습 컨텐츠를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학습 수준 판단부, 상기 학습 수준 판단부에서 분류된 학습 컨텐츠별로 알람 시간을 계산하는 알람 시간 계산부, 학습 컨텐츠의 데이타 베이스에 각 학습 컨텐츠의 복습 알람 시간을 기록하는 알람 시간 기록부, 복습 알람을 위해 복습 알람시간 설정의 기준 수치를 설정하는 기준 수치 산정부,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 범위를 산정하는 알람 컨텐츠 범위 산정부, 및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 컨텐츠 범위별 알람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부로 이루어지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view alarm considering study period}
본 발명은 학습 주기를 고려하여 학습자가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복습을 위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기인하여 이제 소비자는 단순히 데스크톱 컴퓨터뿐만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모바일 장치를 소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화, 이미지, 뉴스 기사 등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한다. 이와 같은 콘텐츠는 사용자의 엔터테인먼트를 위해서 또는 사용자의 비즈니스를 위한 것도 있지만, 아울러 일반적인 학습을 위한 학습용 콘텐츠도 포함된다.
학습자들이 특정 학습 컨텐츠를 학습할 때 대부분이 단기기억에 머물렀다가 사라지며, 이는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이라는 원리로 알려져 있다. 독일의 심리학자인 에빙하우스는 인간의 기억은 시간의 흐름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는 망각곡선을 실험으로써 밝혀내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은 한번 기억한 것도 한 시간 정도 지나면 50% 이하만 남아있게 되며 한 달이 지나면 20% 정도만 남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따라 학습을 할 때 한번에 몰아서 공부해서 기억하는 것보다 일정한 시간의 범위르 나누어 반복하는 학습 방법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주장하였다. 예를 들어 단어 하나를 기억했을 때 이것을 짧은 기간에 계속 반복해서 복습하는 것보다 시간을 두고 반복해서 복습하는 것이 학습에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다만 현대인의 일과는 바쁘므로 이러한 복습 주기를 맞추어 학습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태블릿 피시(Tablet PC) 등에서 학습을 할 때, 개인별 학습 주기에 따라 알람을 울려주어 반복 학습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학습자는 다른 일과 생활 중에도 복습 시간을 체크할 수 있고, 이전에 학습한 내용이 단기 기억 상태에서 망각상태로 전이될 때, 다시 한번 학습해 줌으로써 단기 기억 상태에서 장기 기억 상태로 기억을 발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인별 학습 정도, 학습 진도에 따라 학습 컨텐츠가 학습된 시간을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후에 복습해야 할 학습 컨텐츠들을 정리 및 알람을 예약하여 해당 시간이 도래하면 복습할 학습 컨텐츠들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학습 컨텐츠 데이타 베이스로부터 학습 컨텐츠를 불러오는 단계,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각 학습 컨텐츠의 학습 횟수 및 학습 수준을 판단하여 각 학습 컨텐츠를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학습 컨텐츠별로 복습 알림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학습 컨텐츠의 데이타 베이스에 각 학습 컨텐츠의 복습 알람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 복습 알람을 위해 복습 알람시간 설정의 기준 수치를 설정하는 단계, 복습 컨텐츠에 기록된 복습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 컨텐츠 범위별 알람을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을 제공한다.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에 따를 때 초기학습 상태에서 단기기억 상태로 갈 때 기억에서 일정부분 손실이 발생하고,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전이될 때 또다시 많은 량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기억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기억이 손실되는 지점에서 다시 한번 복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을 통해서 학습자는 다른 일과 생활 중에도 복습 시간을 체크할 수 있고, 이전에 학습한 내용이 단기 기억 상태에서 망각상태로 전이될 때, 다시 한번 학습해 줌으로써 단기 기억 상태에서 장기 기억 상태로 기억을 발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별 복습 알람시간을 기록하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별 복습 알람시간을 설정하게 되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아래의 도면은 발명의 일 실시예를 표현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상 사용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학습 주기를 고려한 알람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도 3 내지 도 4 를 이용하여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학습 컨텐츠는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네비게이션 등등에 쓰일 수 있으며, 학습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기라면 그 종류를 가리지 않고 화면에 생성될 수 있다.
학습 컨텐츠에는 제1레이어가 존재하고, 제1레이어에 인접하여 제2레이어가 존재한다. 이 둘은 서로 상호관련된 학습 컨텐츠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레이어에 기재된 학습 컨텐츠가 영어단어를 나타내는 영어 스펠링이라면, 인접한 제2레이어에는 해당 영어 단어의 뜻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레이어에 일본어가 적혀 있으면, 제2레이어에는 해당 일본어의 발음이나 뜻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제1레이어와 제2레이어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학습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제1레이어나 제2레이어의 학습 컨텐츠는 단순히 문자 뿐만이 아닌 그림이나 소리 등도 응용 될 수 있다.
초기 학습 순서는 학습 컨텐츠 데이타 베이스로부터 로딩된 내용으로 설정되나 그 이후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라 학습 순서가 지연되어 학습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학습 초기나 학습자가 학습을 처음 시작 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학습 순서 외에도 임의의 학습 순서로 설정할 수 있다.
화면에 학습 컨텐츠가 포함된 각 레이어가 학습 순서대로 배치된 후, 학습자는 위에서 각 학습 컨텐츠를 학습하게 된다. 이 때 학습자는 학습 컨텐츠에 대해 피드백을 할 수 있는데 이는 터치패널 분야에서 일반화된 스와이프 제스쳐(swipe gesture)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간단히 말해 패널에 손가락 또는 터치펜을 대고 일측으로 미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화면의 컨텐츠가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해당 학습 컨텐츠를 학습한 시점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학습 컨텐츠 데이타 베이스(10), 학습 수준 판단부(20), 알람시간 계산부(30), 알람 시간기록부(40), 기준 수치 산정부(50), 알람 컨텐츠 범위 산정부(60), 알람 설정부(70)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학습 컨텐츠 데이타 베이스(10)는 화면에 표시할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학습 컨텐츠 데이타 베이스는 학습자 스스로 제작할수도 있고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화면에 표시할 학습 컨텐츠는 하나의 주요 컨텐츠와 그 컨텐츠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보조 컨텐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 그림, 문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학습 수준 판단부(20)는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각 학습 컨텐츠의 학습 횟수 및 학습 수준을 판단하여 각 학습 컨텐츠를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 컨텐츠는 초기 학습 컨텐츠, 단기 기억 컨텐츠, 장기 기억 컨텐츠로 나눌 수 있다.
초기학습 컨텐츠는 학습자가 이전에 접해보지 못했던 컨텐츠, 접하였으나 거의 기억에 남아있지 않은 학습 컨텐츠를 지칭하며 이러한 초기학습 컨텐츠는 반복적인 학습이 가장 필요하다.
단기 기억 컨텐츠는 초기학습의 단계는 벗어났으나 장기기억으로는 전이되지 못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곧 망각되는 단계에 존재하는 학습 컨텐츠로 짧은 시간 내에 다시 반복 학습이 필요한 컨텐츠이다.
장기 기억 컨텐츠는 단기 기억의 단계를 벗어나 오랫동안 기억되는 단계로 접어든 학습 컨텐츠로 짧은 반복은 아니나 기억이 소멸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회상시켜줄 필요가 있는 컨텐츠이다.
알람 시간 계산부는 상기 학습 수준 판단부에서 분류된 학습 컨텐츠별로 알람 시간을 계산한다. 이 때 초기학습 컨텐츠, 단기기억 컨텐츠, 장기기억 컨텐츠로 나누어 각각 알람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각 학습 컨텐츠별 복습해야 하는 시간은 초기학습 컨텐츠인지 단기기억 컨텐츠인지 장기기억 컨텐츠인지에 달라질 수 있다. 각 학습 컨텐츠별 복습까지 남은 시간은 초기학습 컨텐츠의 경우 제1복습 알람시간, 단기기억 컨텐츠의 경우 제2복습 알람시간, 장기기억 컨텐츠의 경우 제3복습 알람시간, 제4복습 알람 시간으로 설정한다.
예시적으로 초기학습 컨텐츠의 경우에는 10분, 단기기억 컨텐츠의 경우에는 1시간, 장기기억 컨텐츠의 경우에는 1주와 1달 단위로 복습 알람이 울려야 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알람 시간 기록부는 학습 컨텐츠의 데이타 베이스에 각 학습 컨텐츠의 복습 알람 시간을 기록한다. 이 과정을 통해 각 학습 컨텐츠는 복습되어야 할 시점을 포함한 데이타가 된다.
기준 수치 산정부는 복습 알람을 위해 복습 알람시간 설정의 기준 수치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중이었다가 학습자가 종료 명령을 호출하였을 때, 이때부터 얼마 뒤에 다시 복습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복습 알람시간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기준 수치가 설정되어야 하는데, 예시적으로 복습 알람의 기준 시간은 1970년 1월 1일 0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1970년 1월 1일 0시를 기점으로 현재의 지나온 시간을 초로 나타낸 시간을 이용하여 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 각 학습 컨텐츠별 복습까지 남은 시간(초로 환산한 숫자)을 더해주면 각 학습 컨텐츠별 복습 예상 시점이 된다. 각 학습 컨텐츠별 복습까지 남은 시간은 학습 컨텐츠의 학습 수준에 따라 제1복습 알람시간, 제2복습 알람시간, 제3복습 알람시간, 제4복습 알람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예를 들자면, 만약 학습 컨텐츠가 '초기학습' 단계에서 '단기기억' 단계로 넘어가는 초기학습 컨텐츠라면, 즉 10분 뒤 복습알람이 울려야 하는 자료라면 "1970년 1월 1일 0시부터 현재 이르는 초단위의 시간"에 "600초"가 더해진 숫자가 기록되는 것이다. 만약 이 자료가 다시 복습이 되고 단기기억 컨텐츠로 넘어가게 된다면, "1970년 1월 1일 0시부터 자료가 넘어가는 시점까지의 초단위 시간" + "60*60*24(하루를 초로 환산한 시간)"이 더해진 숫자가 자료에 기록되는 것이다. 만약 이것이 장기기억 컨텐츠라면 "1970년 1월 1일 0시부터 자료가 넘어가는 시점까지의 초단위의 시간" + "60*60*24*7(일주일을 초로 환산한 시간)"이 더해진 숫자 또는 "1970년 1월 1일 0시부터 자료가 넘어가는 시점까지의 초단위의 시간" + "60*60*24*30(약 한달을 초로 환산한 시간)"이 더해진 숫자가 자료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설명대로 각 학습 컨텐츠에는 복습해야 하는 시점이 적혀지게 된다. 학습자가 학습을 끝내고 어플을 종료하게 될 때 어플리케이션에서 각 자료에 적힌 이 숫자를 통해서 알람 스케쥴을 일괄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알람 컨텐츠 범위 산정부는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 범위를 산정한다. 이는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다.
1970년 1월 1일 0시부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현재의 시간을 초단위로 환산한 숫자를 @로 설정한다. 10분을 초로 환산한 숫자 = 10M, 24시간을 초로 환산한 숫자 = 1D, 7일을 초로 환산한 숫자 = 7D, 한달을 초로 환산한 숫자 = 1Mth 로 설정한다.
@+10M보다 크거나 같지만 @+1D보다 작은 숫자를 가진 자료들의 갯수 X 를 구하고, @+1D 보다 크거나 같지만 @+7D보다 작은 숫자를 가진 자료들의 갯수 Y를 구하고, @+7D보다 크거나 같지만 @+1Mth 보다 작은 숫자가 적혀진 자료들의 갯수 Z를 구하고, @+1Mth 보다 크거나 같은 숫자를 가진 자료들의 갯수 W 를 구한다.

알람 설정부는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 컨텐츠 범위별 알람을 설정한다. 이는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다.
이전에 설정된 알람이 있다면 이전 알람을 모두 삭제한 후, X가 0이라면 10분 뒤 복습해야 할 자료가 없다는 뜻이므로 알람을 설정하지 않고, X가 0이 아니라면 10분 후 시점에 "X장의 복습해야 할 카드가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알람을 예약한다.
삭제
Y가 0이라면 24시간 뒤에 복습해야 할 자료가 없다는 뜻이므로 알람을 설정하지 않고, Y가 0이 아니라면 24시간 뒤 "X+Y장의 복습해야 할 카드가 있습니다." 라는 문구와 함께 알람을 예약한다.
Z가 0이라면 7일 후 복습해야 할 자료가 없다는 뜻이므로 알람을 설정하지 않고, Z가 0이 아니라면 7일 후 "X+Y+Z장의 복습해야 할 카드가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알람을 예약한다.
W가 0이라면 한달 뒤 복습해야 할 자료가 없다는 뜻이므로 알람을 설정하지 않고, W가 0이 아니라면 한달 뒤 "X+Y+Z+W장의 복습해야 할 카드가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알람을 예약한다.
상기와 같은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 컨텐츠 범위별로 알람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학습 컨텐츠 범위별로 알람이 설정된 후 본 발명은 복습해야할 내용을 따로 모아 제시해주는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각 기간별로(예를 들어, 10분, 24시간, 7일, 한달 등등) 복습되어야 할 컨텐츠들을 별도의 복습 카테고리로 모아둔 후 학습자가 기간별로 복습해야 할 컨텐츠를 확인하려 할 시에 상기 산출부는 해당 기간에 복습되어야 할 컨텐츠만을 분류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별 복습 알람시간을 기록하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컨텐츠 데이타 베이스로부터 학습 컨텐츠를 불러오는 단계,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각 학습 컨텐츠의 학습 횟수 및 학습 수준을 판단하여 각 학습 컨텐츠를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학습 컨텐츠별로 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학습 컨텐츠의 데이타 베이스에 각 학습 컨텐츠의 복습 알람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학습 컨텐츠가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되는 단계에서 학습 컨텐츠는 위에서 설명된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장치처럼 초기학습 컨텐츠, 단기기억 컨텐츠, 장기기억 컨텐츠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별 복습 알람시간을 설정하게 되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복습 알람을 위해 복습 알람시간 설정의 기준 수치를 설정하는 단계,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 컨텐츠 범위별 알람을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습 알람을 위해 복습 알람시간 설정의 기준 수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위에서 설명된대로 특정일(예를 들어 1970년 1월 1일 0시)부터 산정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시점까지의 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
복습 알람을 위한 학습 컨텐츠 범위 계산에 있어, 예시적으로 @+10M보다 크거나 같지만 @+1D보다 작은 숫자를 가진 자료들의 갯수 X 를 구하고, @+1D 보다 크거나 같지만 @+7D보다 작은 숫자를 가진 자료들의 갯수 Y를 구하고, @+7D보다 크거나 같지만 @+1Mth 보다 작은 숫자가 적혀진 자료들의 갯수 Z를 구하고, @+1Mth 보다 크거나 같은 숫자를 가진 자료들의 갯수 W 를 구하는 단계를 고려할 수 있다.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 컨텐츠 범위별 알람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명된대로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알람을 설정하며, 예시적으로 10분, 1일, 일주일, 한달 단위로 학습 수준에 따라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네비게이션 등등에 쓰일 수 있으며, 학습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기라면 그 종류를 가리지 않고 화면에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및 장치는 외부의 다른 단말기 또는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피씨(tablet PC) 등 각종 고정식 또는 이동식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에 대한 일정한 터치 조작에 의해서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이나, 또는 태블릿피씨 등이 사용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이나, 또는 태블릿피씨 등을 이용하면 레이어의 배치나 학습자의 스와이프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학습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일련의 지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소정의 운영체제, 예를 들어 모바일 운영체제 내에서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은 상기 일련의 지시에 따른 프로세스를 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플로피디스크, CD, DVD, 하드디스크 메모리,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등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일 수 있으며, 상기 기록 매체 내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인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상의 상기 일련의 지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균등 범위 내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학습컨텐츠 데이타 베이스
20 : 학습 수준 판단부
30 : 알람 시간 계산부
40 : 알람 시간 기록부
50 : 기준 수치 산정부
60 : 알람 컨텐츠 범위 산정부
70 : 알람 설정부

Claims (9)

  1. 학습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 컨텐츠 데이타 베이스;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각 학습 컨텐츠의 학습 횟수 및 학습 수준을 판단하여 각 학습 컨텐츠를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학습 수준 판단부;
    상기 학습 수준 판단부에서 분류된 학습 컨텐츠별로 알람 시간을 계산하는 알람 시간 계산부;
    학습 컨텐츠의 데이타 베이스에 각 학습 컨텐츠의 복습 알람 시간을 기록하는 알람 시간 기록부;
    복습 알람을 위해 복습 알람시간 설정의 기준 수치를 설정하는 기준 수치 산정부;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 범위를 산정하는 알람 컨텐츠 범위 산정부; 및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 컨텐츠 범위별 알람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컨텐츠 범위 산정부는
    상기 기준 수치로부터 현재의 시간을 초단위로 환산한 환산 수치를 구하고, 상기 환산 수치로부터 설정된 시점까지의 범위내에 포함된 자료의 숫자를 구함으로써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의 범위를 산정하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준 판단부는 학습 컨텐츠를 학습 수준에 따라 초기학습 컨텐츠, 단기기억 컨텐츠, 장기기억 컨텐츠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습 알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시간 계산부는 초기학습 컨텐츠의 경우 제1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하고, 단기기억 컨텐츠의 경우 제2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하고, 장기기억 컨텐츠의 경우 제3복습 알람 시간 및 제4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장치.
  4. 학습 컨텐츠 데이타 베이스로부터 학습 컨텐츠를 불러오는 단계;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각 학습 컨텐츠의 학습 횟수 및 학습 수준을 판단하여 각 학습 컨텐츠를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학습 컨텐츠별로 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학습 컨텐츠의 데이타 베이스에 각 학습 컨텐츠의 복습 알람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
    복습 알람을 위해 복습 알람시간 설정의 기준 수치를 설정하는 단계;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알람 예약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 컨텐츠 범위별 알람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수치로부터 현재의 시간을 초단위로 환산한 환산 수치를 구하고, 상기 환산 수치로부터 설정된 시점까지의 범위내에 포함된 자료의 숫자를 구함으로써 복습 알람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의 범위를 산정하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각 학습 컨텐츠의 학습 횟수 및 학습 수준을 판단하여 각 학습 컨텐츠를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는, 학습 컨텐츠를 학습 수준에 따라 초기학습 컨텐츠, 단기기억 컨텐츠, 장기기억 컨텐츠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분류된 학습 컨텐츠별로 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초기학습 컨텐츠의 경우 제1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단기기억 컨텐츠의 경우 제2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장기기억 컨텐츠의 경우 제3복습 알람 시간 및 제4복습 알람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복습 알람이 설정된 후 복습해야할 해당 컨텐츠를 따로 정리하여 제시해주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복습 알람이 설정된 후 복습해야할 해당 컨텐츠를 따로 정리하여 제시해주는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복습 알람이 설정된 후 복습해야할 해당 컨텐츠를 따로 정리하여 제시해주는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KR1020130020742A 2013-02-26 2013-02-26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및 그 장치 KR101433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742A KR101433866B1 (ko) 2013-02-26 2013-02-26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742A KR101433866B1 (ko) 2013-02-26 2013-02-26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866B1 true KR101433866B1 (ko) 2014-08-29

Family

ID=5175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742A KR101433866B1 (ko) 2013-02-26 2013-02-26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719A (ko) 2020-10-27 2022-05-04 (주)제이와이랩스 매회 상이한 교육콘텐츠를 이용한 알람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8745A (ja) * 1995-04-05 1996-10-22 Sharp Corp 教育装置及び教育方法
KR20050053886A (ko) * 2003-12-03 2005-06-10 장재용 학습단말기에 의한 반복 학습방법
KR20060093967A (ko) * 2005-02-23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기적 단어 정보 알림 장치 및방법
KR20100059434A (ko) * 2008-11-26 2010-06-04 현학선 인터넷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8745A (ja) * 1995-04-05 1996-10-22 Sharp Corp 教育装置及び教育方法
KR20050053886A (ko) * 2003-12-03 2005-06-10 장재용 학습단말기에 의한 반복 학습방법
KR20060093967A (ko) * 2005-02-23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기적 단어 정보 알림 장치 및방법
KR20100059434A (ko) * 2008-11-26 2010-06-04 현학선 인터넷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719A (ko) 2020-10-27 2022-05-04 (주)제이와이랩스 매회 상이한 교육콘텐츠를 이용한 알람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7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ferential sharing of photos
CN111381909B (zh) 一种页面展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7004371B (zh) 对教育内容效果的量度
CN107256428B (zh) 数据处理方法、数据处理装置、存储设备及网络设备
US11182447B2 (en) Customized display of emotionally filtered social media content
WO2018150243A1 (en) Image recognition with filtering of image classification output distribution
CN105095504A (zh) 一种基于学习习惯推荐学习内容的方法、装置和系统
US10075510B2 (en) Analytics-based update of digital content
CN107767716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9597482B (zh) 电子书的自动翻页方法和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1538852A (zh) 多媒体资源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1177562B (zh) 一种目标对象的推荐排序处理方法、装置及服务器
KR101433866B1 (ko) 학습 주기를 고려한 복습 알람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325944A1 (en) Adaptive wellness collaborative media system
US201702431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ployee placement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US10890988B2 (en) Hierarchical menu for application transition
CN104978425A (zh) 一种向用户推送学习内容的方法及装置
Bradley et al. Assessing the inclusivity of digital interfaces-a proposed method
US20180365351A1 (en) Employ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 facilitate geospatial analysis
CN111767290B (zh) 用于更新用户画像的方法和装置
KR20150070852A (ko) 학습 관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학습 관련 컨텐츠 제공 장치
CN114066098A (zh) 学习任务的完成时长的预估方法及设备
US10921887B2 (en) Cognitive state aware accelerated activity completion and amelioration
CN107003930A (zh) 用户信息记录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42598A (ko) 미래 상호작용 예측 기반의 개인화 추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