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670B1 -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670B1
KR101433670B1 KR1020140014799A KR20140014799A KR101433670B1 KR 101433670 B1 KR101433670 B1 KR 101433670B1 KR 1020140014799 A KR1020140014799 A KR 1020140014799A KR 20140014799 A KR20140014799 A KR 20140014799A KR 101433670 B1 KR101433670 B1 KR 10143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wall
heat insulating
wall body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014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75Insulating linings for the interior face of exterior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실내 공간을 형성하며, 건축물(1)의 외벽을 이루는 벽체 몸체부(100)와;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진공도 조절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내부 단열재(200)와;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면부에 요철 결합되는 외벽 단열재(500)와;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측부와, 상기 실내와의 온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내부 단열재(200)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진공 조절부(300)를 포함하는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INSULATING MATERIALS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단열재를 복층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벽체 즉, 외벽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재 내부의 진공 공간에서의 진공도를 설정된 온도차를 이루도록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열재 시공은 외벽 공간쌓기 사이에 스티로폼 등 단열재를 중간에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준공 후 10년, 20년의 시간이 흐르면 단열재에 습기, 결로, 화학성분 변화 등으로 단열성능이 현저히 떨어져서 여름에는 에어콘, 겨울에는 보일러를 가동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발생을 증대시키는 요인이다.
이러한 외피 단열재의 성능을 장기간 동안 유지하고 화석연료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기존의 단열재 시공방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57366호 (2004.07.15)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단열벽체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에 단열재를 복층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벽체 즉, 외벽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재 내부의 진공 공간에서의 진공도를 설정된 온도차를 이루도록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실내 공간을 형성하며, 건축물(1)의 외벽을 이루는 벽체 몸체부(100)와;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진공도 조절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내부 단열재(200)와;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면부에 요철 결합되는 외벽 단열재(500)와;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측부와, 상기 실내와의 온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내부 단열재(200)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진공 조절부(300)를 포함하는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내부에 진공 공간(201)이 형성되는 상기 배치 공간(101)의 내벽에 두께를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진공 조절부(3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부에 대한 제 1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 센서(310)와,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제 2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 센서(320)와, 상기 진공 공간(201)로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펌프(330)와, 상기 진공 공간(201)과, 상기 진공 펌프(330)를 연결하는 진공 라인(340)과, 상기 제 1온도와 제 2온도 차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진공 펌프(330)의 구동시켜, 상기 진공 공간(201)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제어기(350)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와 상기 배치 공간(101)의 내벽은 서로 엠보싱 형상을 이루어 접촉된다. 접촉 면적의 증가로 인해 단열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온도 변화로 인해 내부 단열재 자체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벽 단열재(500)는, 서로 다른 열손실율을 갖는 단위 단열재들(510)이 서로 층을 이루어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상기 배치 공간(101)에서 삽입 및 탈거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 몸체부(100)는 상기 내부 단열재(200)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폐되는 커버(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6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에 회전 개폐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영역부(2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내부에 삽입 및 탈거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다층의 단위 진공공간들(a)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서로 연결구(211)를 통해 연통되는 다수의 격벽 몸체(210)와, 상기 다수의 격벽 몸체(210) 각각의 연결구(211)에 설치되는 다수의 개폐 밸브(220)를 구비한다.
상기 진공 라인(341)은, 상기 다층의 단위 진공 공간들(a) 각각에 연결되는 다수의 단위 진공 라인(341a)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단위 진공 라인(341a) 각각에는 전자 밸브들(36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350)는, 상기 실내와의 온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전자 밸브들(3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폐 및, 상기 개폐 밸브들(220)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고, 상기 진공 펌프(330)를 구동시켜 상기 다층의 단위 진공 공간들(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공도를 조절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심재(200b)가 매입되는 외피재(200a)를 이루며, 상기 외피재(200a)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유리질암석을 870 내지 900℃로 CO2가스로 급속 가열하여 결정수를 기화시킨 무기질 발포체와; 물유리(Na20ㅇSiO2), 난연제 및 안티몬을 교반한 보조재;를 혼합하여 몰드에 성형하여 열경화시킨, 불연성 무기질 단열재이다.
상기 무기질 발포체와 보조재의 혼합비율은 2:1이다.
상기 보조재는 물유리 65 내지 70 중량%, 난연제 27.5 내지 32.5 중량% 및 안티몬 2.5 내지 3.5 중량%의 비율로 교반된다.
상기 보조재는 물유리 67중량%, 난연제 30중량% 및 안티몬 3중량%의 비율로 교반된다.
이렇게 얻은 무기질의 특성은 초경량성을 지니게 되며, 밀도 0.04~0.20g/mㅂ를 유지하며, 단열성면에서 열전도율 0.025~0.045kcal/mhc을 갖게되어 우수한 단열효과를 가지게 되고, 형태 및 질이 변하지 않고, 용융온도 1200℃~1300/연화개시1100℃의 내화성을 지닌다. 또한,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 황산, 질산, 수산화나트륨 등의 화학약품에 의한 손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6.5~7.5의 경도로 아주 탁월하고 인체나 환경에 전혀 무해하며, 연소시 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이렇게 생성된 무기질 발포체에 보조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몰드 성형을 거쳐 경화시킨다.
여기서, 첨가되는 보조제는 물유리(Na20ㅇSiO2) 및 친환경 난연제 및 안티몬이 선택된다.
여기서, 무기질 발포체와 보조제의 혼합비율은 2:1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제의 혼합비율은 물유리(Na20ㅇSiO2) 65 내지 70 중량%, 난연제 27.5 내지 32.5 중량% 및 안티몬 2.5내지 3.5 중량%의 비율로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유리는 접착/접합제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65중량% 미만이면 건조시간이 증가됨으로 인하여 생산성 등의 저하를 가져오고, 70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혼합제와 혼합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난연제는 물유리의 접착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소재의 난연제를 사용하며, 27중량% 미만이면 접착강도를 보강하는 보조재로서의 역할을 다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32.5 중량%를 초과하면 가스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안티몬은 경화후 표면처리를 매끄럽게 하기 위한 용도의 목적으로 혼합되며, 2.5중량% 미만이면 경화후 단열재의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3.5중량%를 초과하면 안티몬 특유의 냄새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벽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단열재를 단열성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최소한으로 저하되는 반영구적 단열재 보호막 구실을 하는 설치물과 함께 매입하고, 또한 단열 작용을 외부에서 컨트롤 하도록 함으로서 단열성능을 유지하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하여 화석연료나 에어콘 냉매 사용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조절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내부 단열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조절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내부 단열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은 내부에 실내 공간을 형성하며, 건축물(1)의 외벽을 이루는 벽체 몸체부(100)와;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진공도 조절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내부 단열재(200)와;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면부에 요철 결합되는 외벽 단열재(500)와;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측부와, 상기 실내와의 온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내부 단열재(200)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진공 조절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내부에 진공 공간(201)이 형성되는 상기 배치 공간(101)의 내벽에 두께를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진공 조절부(3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외부에 대한 제 1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 센서(310)와,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제 2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 센서(320)와, 상기 진공 공간(201)로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펌프(330)와, 상기 진공 공간(201)과, 상기 진공 펌프(330)를 연결하는 진공 라인(340)과, 상기 제 1온도와 제 2온도 차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진공 펌프(330)의 구동시켜, 상기 진공 공간(201)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제어기(350)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와 상기 배치 공간(101)의 내벽은 서로 엠보싱 형상을 이루어 접촉된다. 접촉 면적의 증가로 인해 단열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온도 변화로 인해 내부 단열재 자체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벽 단열재(500)는, 서로 다른 열손실율을 갖는 단위 단열재들(510)이 서로 층을 이루어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상기 배치 공간(101)에서 삽입 및 탈거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 몸체부(100)는 상기 내부 단열재(200)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폐되는 커버(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6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에 회전 개폐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영역부(2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내부에 삽입 및 탈거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상기 벽체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다층의 단위 진공공간들(a)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서로 연결구(211)를 통해 연통되는 다수의 격벽 몸체(210)와, 상기 다수의 격벽 몸체(210) 각각의 연결구(211)에 설치되는 다수의 개폐 밸브(220)를 구비한다.
상기 진공 라인(341)은, 상기 다층의 단위 진공 공간들(a) 각각에 연결되는 다수의 단위 진공 라인(341a)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단위 진공 라인(341a) 각각에는 전자 밸브들(36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350)는, 상기 실내와의 온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전자 밸브들(3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폐 및, 상기 개폐 밸브들(220)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고, 상기 진공 펌프(330)를 구동시켜 상기 다층의 단위 진공 공간들(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공도를 조절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심재(200b)가 매입되는 외피재(200a)를 이루며, 상기 외피재(200a)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유리질암석을 870 내지 900℃로 CO2가스로 급속 가열하여 결정수를 기화시킨 무기질 발포체와; 물유리(Na20ㅇSiO2), 난연제 및 안티몬을 교반한 보조재;를 혼합하여 몰드에 성형하여 열경화시킨, 불연성 무기질 단열재이다.
상기 무기질 발포체와 보조재의 혼합비율은 2:1이다.
상기 보조재는 물유리 65 내지 70 중량%, 난연제 27.5 내지 32.5 중량% 및 안티몬 2.5 내지 3.5 중량%의 비율로 교반된다.
상기 보조재는 물유리 67중량%, 난연제 30중량% 및 안티몬 3중량%의 비율로 교반된다.
이렇게 얻은 무기질의 특성은 초경량성을 지니게 되며, 밀도 0.04~0.20g/mㅂ를 유지하며, 단열성면에서 열전도율 0.025~0.045kcal/mhc을 갖게되어 우수한 단열효과를 가지게 되고, 형태 및 질이 변하지 않고, 용융온도 1200℃~1300/연화개시1100℃의 내화성을 지닌다. 또한,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 황산, 질산, 수산화나트륨 등의 화학약품에 의한 손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6.5~7.5의 경도로 아주 탁월하고 인체나 환경에 전혀 무해하며, 연소시 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이렇게 생성된 무기질 발포체에 보조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몰드 성형을 거쳐 경화시킨다.
여기서, 첨가되는 보조제는 물유리(Na20ㅇSiO2) 및 친환경 난연제 및 안티몬이 선택된다.
여기서, 무기질 발포체와 보조제의 혼합비율은 2:1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제의 혼합비율은 물유리(Na20ㅇSiO2) 65 내지 70 중량%, 난연제 27.5 내지 32.5 중량% 및 안티몬 2.5내지 3.5 중량%의 비율로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유리는 접착/접합제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65중량% 미만이면 건조시간이 증가됨으로 인하여 생산성 등의 저하를 가져오고, 70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혼합제와 혼합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난연제는 물유리의 접착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소재의 난연제를 사용하며, 27중량% 미만이면 접착강도를 보강하는 보조재로서의 역할을 다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32.5 중량%를 초과하면 가스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안티몬은 경화후 표면처리를 매끄럽게 하기 위한 용도의 목적으로 혼합되며, 2.5중량% 미만이면 경화후 단열재의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3.5중량%를 초과하면 안티몬 특유의 냄새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벽체 몸체부(100)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은 벽체 몸체부(100)의 측부로 노출된다.
상기 내부 단열재(200)는 벽체 몸체부(100)의 측부를 통해 슬롯에 끼워 고정하고, 슬롯의 측부는 벽체 개폐 블록을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실내는 배출 라인(370)이 연결되고, 배출 라인(370)에는 배출 밸브(371)가 설치된다. 배출 밸브(371)는 제어기(35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되어, 진공 공간(201)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건축물용 반영구적 단열 벽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벽체 몸체부 200 : 내부 단열재
200a : 외피재 200b : 심재
210 : 격벽 몸체 211 : 연결구
220 : 개폐 밸브 300 : 단열 진공 조절부
310 : 제 1온도 센서 320 : 제 2온도 센서
330 : 진공 펌프 340 : 진공 라인
350 : 제어기 360 : 전자 밸브
500 : 외벽 단열재 600 : 커버

Claims (4)

  1. 내부에 실내 공간을 형성하며,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벽체 몸체부;
    상기 벽체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진공도 조절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내부 단열재;
    상기 외벽의 외면부에 요철 결합되는 외벽 단열재; 및
    상기 벽체 몸체부의 외측부와, 상기 실내 공간과의 온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외벽 단열재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진공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 단열재가 배치되는 배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단열재는, 내부에 진공 공간이 형성되는 상기 배치 공간의 내벽에 두께를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진공 조절부는,
    상기 벽체 몸체부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몸체부의 외부에 대한 제 1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 센서와,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제 2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 센서와,
    상기 내부 단열재의 상기 진공 공간에서의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진공 공간과 상기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진공 라인과,
    상기 제 1온도와 제 2온도 차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진공 펌프의 구동시켜, 상기 진공 공간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단열재와 상기 배치 공간의 내벽은 서로 엠보싱 형상을 이루어 접촉되고,
    상기 외벽 단열재는,
    서로 다른 열손실율을 갖는 단위 단열재들이 서로 층을 이루어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내부 단열재는,
    상기 벽체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다층의 단위 진공 공간들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서로 연결구를 통해 연통되는 다수의 격벽 몸체와,
    상기 다수의 격벽 몸체 각각의 연결구에 설치되는 다수의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라인은,
    상기 다층의 단위 진공 공간들 각각에 연결되는 다수의 단위 진공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단위 진공 라인 각각에는 전자 밸브들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와의 온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차를 이루도록, 상기 전자 밸브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폐 및, 상기 개폐 밸브들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고, 상기 진공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다층의 단위 진공 공간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진공도를 조절하고,
    상기 다층의 단위 진공 공간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은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개폐 밸브들은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벽체 몸체부는 상기 내부 단열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폐되는 커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단열재는,
    유리질암석을 870 내지 900℃로 CO2가스로 급속 가열하여 결정수를 기화시킨 무기질 발포체와;
    물유리(Na20ㅇSiO2), 난연제 및 안티몬을 교반한 보조재;를 혼합하여 몰드에 성형하여 열경화시킨, 불연성 무기질 단열재이고,
    상기 무기질 발포체와 보조재의 혼합비율은 2:1이고,
    상기 보조재는 물유리 65 내지 70 중량%, 난연제 27.5 내지 32.5 중량% 및 안티몬 2.5 내지 3.5 중량%의 비율로 교반되고,
    상기 보조재는 물유리 67중량%, 난연제 30중량% 및 안티몬 3중량%의 비율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단열재는, 상기 벽체 몸체부의 상기 배치 공간에서 삽입 및 탈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4. 삭제
KR1020140014799A 2014-02-10 2014-02-10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KR10143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799A KR101433670B1 (ko) 2014-02-10 2014-02-10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799A KR101433670B1 (ko) 2014-02-10 2014-02-10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670B1 true KR101433670B1 (ko) 2014-08-25

Family

ID=5175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799A KR101433670B1 (ko) 2014-02-10 2014-02-10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6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734B1 (ko) 2015-07-27 2015-10-06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피로티층 바닥 단열재 설치구조물
KR101623935B1 (ko) * 2016-01-26 2016-05-24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피로티 슬래브 단열구조체
KR101651864B1 (ko) * 2016-04-21 2016-08-2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측벽 단열 구조
KR102285693B1 (ko) * 2021-01-29 2021-08-04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단열 외벽체 복합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31A (ja) * 1992-10-06 1994-04-26 Toshiba Corp 住宅の構造材
JPH07127156A (ja) * 1993-11-05 1995-05-16 Suchiraito Kogyo Kk 建物の遮音断熱構造
KR20100045114A (ko) * 2008-10-23 2010-05-03 김승광 불연성 무기질 단열재
KR101288808B1 (ko) * 2011-05-20 2013-07-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공단열재를 내장하는 단열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31A (ja) * 1992-10-06 1994-04-26 Toshiba Corp 住宅の構造材
JPH07127156A (ja) * 1993-11-05 1995-05-16 Suchiraito Kogyo Kk 建物の遮音断熱構造
KR20100045114A (ko) * 2008-10-23 2010-05-03 김승광 불연성 무기질 단열재
KR101288808B1 (ko) * 2011-05-20 2013-07-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공단열재를 내장하는 단열블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734B1 (ko) 2015-07-27 2015-10-06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피로티층 바닥 단열재 설치구조물
KR101623935B1 (ko) * 2016-01-26 2016-05-24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피로티 슬래브 단열구조체
KR101651864B1 (ko) * 2016-04-21 2016-08-2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측벽 단열 구조
KR102285693B1 (ko) * 2021-01-29 2021-08-04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단열 외벽체 복합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8980B2 (ja) 超軽量セラミック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3670B1 (ko) 건축공사 외벽 단열재 구조물
KR101417754B1 (ko) 건축용 단열 벽체
US9797136B2 (en) High performance architectural precast concrete wall system
US20090249726A1 (en) Novel sustainable building model
KR101432756B1 (ko) 건축물용 반영구적 단열 벽체
CN205840050U (zh) 双通道太阳能复合保温墙体
JP5998311B2 (ja) 換気システム
US10487504B1 (en) Structural block assembly
KR101653519B1 (ko)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KR102052357B1 (ko) 공동주택 확장공간 단열구조체
KR101836168B1 (ko) 공동주택 확장 발코니 단열 복합구조
KR102297616B1 (ko) 공동주택용 확장형 발코니 단열복합구조체
CN207296066U (zh) 一种保温型建筑pc外墙
KR100803513B1 (ko) 초경량 세라믹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205134575U (zh) 一种防风隔热墙体外立面预制材料板
CN108331245A (zh) 一种轻质保温隔音墙
CN208981591U (zh) 高保温性复合材料保温楼板
KR101484180B1 (ko) 건축 외벽 단열벽체 복합구조
JP4562469B2 (ja) 壁構造
CN204163423U (zh) 一种绿色保温房屋
Isaacs Thermal insulation
CN207499236U (zh) 一种建筑pc保温薄板
KR200383438Y1 (ko) 조립식 세라믹 코팅 패널
JP4829582B2 (ja) 外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