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330B1 -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330B1
KR101433330B1 KR1020130167084A KR20130167084A KR101433330B1 KR 101433330 B1 KR101433330 B1 KR 101433330B1 KR 1020130167084 A KR1020130167084 A KR 1020130167084A KR 20130167084 A KR20130167084 A KR 20130167084A KR 101433330 B1 KR101433330 B1 KR 10143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exhaust gas
unit
hea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일
하상안
최혁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플랜트
Priority to KR102013016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8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air valves, movable baffles or nozz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26B23/028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using solid fuel; burning the dried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with heat exchange taking place in the fluidised bed, e.g. combined direct and indirect heat 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고온의 가스를 통해 건조하여 배출하는 건조부와, 건조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에 열을 가하는 방열부를 갖춘 유기성폐기물건조기;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부와, 유기성폐기물건조기의 건조부로부터 배출된 배가스가 유입되고, 연소부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상기 배가스와 열 교환하며, 열 교환된 상기 배가스가 건조부로 배출되는 열교환부를 갖춘 주열공급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공급받아 정화하는 배가스정화기; 배가스정화기로부터 정화된 폐가스를 공급받아 연료 및 공기와 함께 연소하여 고온의 배가스를 방열부로 공급하는 보조열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열공급기의 배가스를 재활용하여 주열공급기의 과열 및 과냉을 방지하고, 불연소 된 배가스 내의 연소물질을 연소하여, 주열공급기의 내구성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된 일정 이상 온도의 배가스를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 투입되는 건조가스로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가스정화기로부터 배출된 폐가스를 다시 연소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하고, 이와 연동하여 보조열공급기 및 방열부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 공급기 내부를 이동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다시 가열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Organic Waste Drier}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효과가 우수하며, 효율적인 열에너지 활용이 가능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하여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서,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폐기물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중 유기성 폐기물의 경우에는, 고온의 열로 건조하는 방법을 통해 처리하거나, 지렁이나 호기성ㆍ혐기성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퇴비화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건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건조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건조장치는 어떤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열이나 뜨거운 바람을 가함으로써 증발시키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분리하여 잔류수분이 낮아지도록 한다(등록특허 10-0680905호 참조).
하지만 이러한 건조장치는 짧은 시간에 수분을 충분히 줄이지 못하며, 효율적인 열에너지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6809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효과가 우수하며, 효율적인 열에너지 활용이 가능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고온의 가스를 통해 건조하여 배출하는 건조부와, 건조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에 열을 가하는 방열부를 갖춘 유기성폐기물건조기;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부와, 유기성폐기물건조기의 건조부로부터 배출된 배가스가 유입되고, 연소부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상기 배가스와 열 교환하며, 열 교환된 상기 배가스가 건조부로 배출되는 열교환부를 갖춘 주열공급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공급받아 정화하는 배가스정화기; 배가스정화기로부터 정화된 폐가스를 공급받아 연료 및 공기와 함께 연소하여 고온의 배가스를 방열부로 공급하는 보조열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열공급기의 열교환부는 연소부로부터의 배가스를 통해 열을 공급받으며, 상기 배가스는 열교환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연소부로 공급되고, 연소부로 공급된 배가스는 내부에 포함된 잔여 연소물질이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에 설치되어, 유기성폐기물건조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어, 주열공급기의 열교환부 또는 배가스정화기로 이동하는 배가스 량을 제어하는 제1밸브; 주열공급기에 설치되어, 주열공급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주열공급기의 연소부에 설치되어 연소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 주열공급기로부터 배출되어 외부 또는 주열공급기의 연소부로 이동하는 배가스 량을 제어하는 제2밸브; 제1압력센서, 제2압력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의 측정신호에 따라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를 작동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에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는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오염가스정화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건조물을 이송가능하게 처리하는 건조물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저장장치는 분진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질소투입장치와, 건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수장치와, 건조물을 다져 건조물의 용적율을 높이는 평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는, 유기성폐기물저장조와, 유기성폐기물저장조에 내설되어 유기성폐기물저장조 내의 유기성 폐기물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기성폐기물배출기와, 유기성폐기물배출기로부터의 유기성 폐기물을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 공급하는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를 갖추거나, 유기성폐기물저장조와, 유기성폐기물저장조의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유기성폐기물배출컨베이어와, 유기성 폐기물 컨베이어로부터의 유기성 폐기물을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 공급하는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를 갖추거나, 유기성폐기물저장조와, 유기성폐기물저장조에 내설되어 유기성폐기물저장조 내의 유기성 폐기물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기성폐기물배출기와, 유기성폐기물배출기로부터의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유기성폐기물배출컨베이어와, 유기성 폐기물 컨베이어로부터의 유기성 폐기물을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 공급하는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를 갖추며, 상기 건조물저장장치는 건조물저장조와, 건조물저장조에 설치되는 벤트필터를 갖추며, 상기 제1밸브는 건조부에서 인출되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와, 건조부에서 인출된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배가스정화기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를 갖추며, 상기 제2밸브는 열교환부에서 연소부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와, 열교환부에서 연돌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를 갖추며, 상기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와 유기성폐기물건조기 사이에 구비되어 유기성 폐기물을 펠렛 모양으로 성형분배하는 성형분배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에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물을 공급받아 냉각 후 배출하는 건조물냉각배출기; 건조물냉각배출기로부터의 건조물을 건조물저장장치의 건조물저장조로 이송하는 건조물수직이송컨베이어; 건조물냉각배출기와 건조물수직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 구비되며 건조물냉각배출기로부터 건조물수직이송컨베이어로 건조물을 안내하는 방향전환장치;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성 가스를 정화하는 약액세정탑 및, 약액세정탑으로 악취를 흡입송풍하는 약액세정탑악취흡입송풍기를 갖춘 오염가스정화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와 주열공급기의 사이에 구비되어 유기성폐기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건조 배가스를 배가스정화기 또는 주열공급기로 송풍하는 건조배가스순환송풍기; 주열공급기의 열교환부와 주열공급기의 연소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부로 순환하는 주연소가스순환송풍기; 배가스를 배출하는 연돌; 배가스정화기에서 보조열공급기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와, 배가스정화기에서 오염가스정화기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를 갖추며, 제어기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3밸브; 열교환부에서 건조부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며, 제어기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4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주열공급기의 배가스를 재활용하여 주열공급기의 과열 및 과냉을 방지하고, 불연소 된 배가스 내의 연소물질을 연소하여, 주열공급기의 내구성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된 일정 이상 온도의 배가스를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 투입되는 건조가스로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가스정화기로부터 배출된 폐가스를 다시 연소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하고, 이와 연동하여 보조열공급기 및 방열부를 통해 유기성폐기물건조기 내부를 이동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다시 가열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의 구성 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의 구성 간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 전기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에서 실선은 유기성 폐기물 또는 건조물의 이동을 나타내며, 숨은선은 가스의 이동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는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 주열공급기(200), 배가스정화기(300), 보조열공급기(400) 및, 제어기(500)를 포함한다.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는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SG)로부터 유기성 폐기물 를 공급받으며,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여 건조물저장장치(DS)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면서 고온의 가스를 통해 건조하는 건조부(110)와, 건조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에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 에 열을 공급하는 방열부(120)를 갖춘다. 이때 방열부(120)는 보조열공급기(400)로부터 고온의 열전달물질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고온의 열전달물질은 방열부(120) 내부를 통과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한 후 연돌(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는 등록특허 10-0680905호(발명의 명칭: 건조장치)가 적용된다.
한편 상기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SG)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성 가스는 오염가스정화기(SP)로 이송되어 정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오염가스정화기(SP)는 약액세정탑과, 약액세정탑으로 악취를 흡입송풍하는 약액세정탑악취흡입송풍기를 갖춘다.
주열공급기(200)는 LPG와 같은 가연성 가스 또는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부(210)와, 유기성 폐기물 건조를 위한 열전달물질이 통과하며 연소부(210)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 이동하는 열전달물질에 열을 공급하는 열교환부(220)를 갖추고서, 가열된 고온의 열전달물질을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의 건조부(110)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물질은 공기와 같은 기체가 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 내의 유기성 폐기물 를 건조한 후 배출되는 배가스 중 일부가 열전달 물질로서 열교환부(220)로 다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주열공급기(200)는 연소부(210)에서 발생되어 열교환부(220)에 열을 공급한 후 배출되는 배가스 중 일부를 다시 공급받아 내부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한다. 특히 상기 배가스는 연소부(210)의 연소 온도 보다는 낮고 외부 공기 온도 보다는 높아, 연소부(210)가 기준 이상으로 과열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기준 이하로 과냉되어 연소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배가스는 연소부(210)로 다시 공급됨으로써, 불연소 된 잔여 연소물질이 연소된다.
배가스정화기(300)는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부터 이송되는 배가스를 정화한다. 여기서 배가스정화기(300)에 의해 정화된 가스는 오염가스정화기(SP)로 이송되거나 보조열공급기(400)로 이송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가스정화기(300)는 세정감습탑이 사용된다.
보조열공급기(400)는 배가스정화기(300)로부터 정화된 폐가스를 공급받아 연료 및 공기와 함께 연소한다. 이때 보조열공급기(400)를 통해 발생되는 배가스는 열전달물질로서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의 방열부(120)로 공급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열공급기(400)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배가스가 상기 방열부(120)로 이동하지만, 별도의 열전달물질을 가열하여 상기 방열부(120)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공기와 같은 열절달물질을 공급받고, 상기 열전달물질을 가열하여 방열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열공급기(400)는 배가스정화기(300)로부터 폐가스를 공급받아 연료 및 공기와 함께 연소함으로써, 폐가스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제어기(500)는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 주열공급기(200), 배가스정화기(300) 및, 보조열공급기(400)의 구동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기(500)는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부터 배출되어 주열공급기(200)의 열교환부(220) 또는 배가스정화기(300)로 이동하는 배가스 량을 제어하고, 주열공급기(200)의 열교환부(220)에서 배출되어 연돌(C) 또는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20)로 이동하는 배가스 량을 제어하며, 배가스정화기(300)에서 배출되어 오염가스정화기(SP) 또는 보조열공급기(400)로 이동하는 폐가스 량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부터 배출되어 주열공급기(200)의 열교환부(220) 또는 배가스정화기(300)로 이동하는 배가스 량을 제어하기 위해,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에 설치되어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PS1) 및 상기 배가스 이동라인에 설치되어 배가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밸브(V1)를 갖춘다. 이때 제어기(500)는 압력센서(PS) 및 제1밸브(V1)를 작동제어하며, 제1압력센서(PS1)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주열공급기(200)의 열교환부(220)로 이동하는 배가스의 량을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열공급기(200)의 열교환부(220)에서 배출되어 연돌(C) 또는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로 이동하는 배가스 량을 제어하기 위해,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와 열교환부(22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주열공급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TS)와,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에 설치되어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PS2)와, 상기 배가스 이동라인에 설치되어 배가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밸브(V2)를 갖춘다. 이때 제어기(500)는 온도센서(TS), 제2압력센서(PS2) 및, 제2밸브(V2)를 작동제어하며, 온도센서(TS)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제2압력센서(PS2)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로 이동하는 배가스의 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배가스정화기(300)에서 배출되어 오염가스정화기(SP) 또는 보조열공급기(400)로 이동하는 폐가스 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폐가스 이동라인에 제3밸브(V3)가 설치된다. 보통 제어기(500)는 제3밸브(V3)를 작동제어하여 비상시 외에는 폐가스가 보조열공급기(400)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구성 외에, 본 발명에 사용되고 전기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구성이면, 이러한 구성의 구동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유기성 폐기물은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SG)의 유기성 폐기물 반입장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유기성 폐기물은 유기성 폐기물 반입장 내의 유기성폐기물저장조에 저장이 된다. 이때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은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에 의해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SG)는 유기성폐기물저장조투입문을 갖추며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유기성폐기물저장조와, 유기성폐기물저장조의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유기성폐기물배출컨베이어와, 유기성폐기물배출컨베이어로부터의 유기성 폐기물을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 공급하는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를 갖춘다. 그리고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SG)는 유기성폐기물저장조에 내설되는 유기성폐기물배출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유기성폐기물배출기 또는 유기성 폐기물 컨베이어 중 택일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유기성폐기물배출기는 유기성폐기물저장조 내의 유기성 폐기물의 적체 현상 및 가교 현상을 방지하여, 유기성 폐기물 이 유기성폐기물저장조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기성폐기물배출기는 평판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의 적체를 방지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성폐기물배출기는 건조물공급장치(SG)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로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성 폐기물 반입장에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는 오염가스정화기(SP)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그리고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 이송된 유기성 폐기물은 펠렛 성형되어 건조된다.
여기서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의 전단에는 성형분배기가 설치되며, 성형분배기는 상기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로부터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받아 펠렛 모양으로 성형한 후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 투입한다.
한편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는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켜 주열공급기(200)의 열교환부(220)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를 가열하고, 가열된 가스는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 공급되어,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 을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배가스정화기(300) 및 주열공급기(200)로 공급된다. 이때 제어기(500)는 제1압력센서(PS1)로부터 측정된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제1밸브(V1)를 제어하여, 주열공급기(200) 및 배가스정화기(300)로 공급되는 배가스 량을 조절한다. 또한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와 주열공급기(200)의 사이에는 건조배가스순환송풍기가 구비되어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에서 배출되는 건조 배가스를 배가스정화기(300) 또는 주열공급기(200)로 송풍한다.
그리고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부터 배출되어 주열공급기(200)의 열교환부(220)로 공급된 가스는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으로 공급된다.
또한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에 의해 연소되어 열교환부(220)를 통해 배출되는 배가스는 연돌(C) 또는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로 이송된다. 이때 제어기(500)는 제2압력센서(PS)로부터 측정된 주열공급기 연소부(210)의 내부 압력과, 온도센서(TS)로부터 측정된 주열공급기 연소부(210)와 열교환부(220)의 연결부분의 온도에 따라 제2밸브(V2)를 제어하여, 연돌(C) 및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로 공급되는 배가스 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주열공급기(200)의 열교환부(220)와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20)의 사이에는 주연소가스순환송풍기가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부(220)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부(210) 또는 연돌(C)로 송풍한다.
이때 주열공급기(200)의 연소부(210)로 공급된 상기 배가스는 연소부(210)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배가스 중 불연소 된 연소물질은 연소가 이루어진다.
또한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부터 배출되어 배가스정화기(300)로 공급된 가스는 세정 및 감습되어 정화되고, 정화된 폐가스는 오염가스정화기(SP) 또는 보조열공급기(40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폐가스는 비상시 외에는 보조열고급기(400)로 공급된다.
상기 보조열공급기(400)로 공급된 폐가스는 보조열공급기(400)로 공급되는 연료 및 공기와 함께 태워져 악취가 제거되며, 보조열공급기(400)로부터의 배가스는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의 방열부(120)로 이동하여, 방열부(120)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방열부(120)는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 내부에서 이송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키고, 이때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킨 후 냉각된 폐가스는 연돌(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비상시 배가스정화기(300)로부터 오염가스정화기(SP)로 이송된 폐가스는 오염가스정화기(SP)에 의해 다시 한번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에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물은 건조물냉각배출기에 의해 냉각되어 배출되고, 건조물수직이송컨베이어에 의해 건조물저장장치(DS)의 건조물저장소로 이송된다. 이때 건조물의 냉각은 수냉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건조물냉각배출기와 건조물수직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는 방향전환장치가 구비되며, 방향전환장치는 건조물냉각배출기로부터의 건조물이 건조물수직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방향전환장치는 필요에 따라 건조물을 별도의 저장시설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물저장조에 저장된 건조물은 운반가능하게 처리되어, 차량 등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다.
한편 건조물저장조에는 폭발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질소(N2) 및 압축공기가 투입되며,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소화수(공정수) 노즐이 구비된다. 즉 건조물저장장치(DS)는 상기 질소 및 소화수를 배출하기 위해 질소투입장치 및 소화수장치를 더 구비한다.
또한 건조물저장장치(DS)는 건조물저장조에 내설되는 평탄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평탄기는 건조물저장조 내의 건조물을 다져, 건조물저장조의 실용적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평탄기는 평판을 통해 건조물을 다지거나, 회전체를 이용하여 건조물을 다지거나, 강력한 에어를 통해 건조물을 다지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평탄기는 건조물저장장치(DS)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로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밸브(V1)는 건조부(110)에서 인출되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V1a)와, 건조부(110)에서 인출된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배가스정화기(300)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V1b)를 갖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밸브(V2)는 열교환부(220)에서 연소부(210)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V2a)와, 열교환부(220)에서 연돌(C)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V2b)를 갖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밸브(V3)는 배가스정화기(300)에서 보조열공급기(400)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V3a)와, 배가스정화기(300)에서 오염가스정화기(SP)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V3b)를 갖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교환부(220)에서 건조부(110)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제4밸브(V4)를 더 갖춘다. 이때 제4밸브(V4)는 제어기(500)에 의해 작동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열공급기(200)의 배가스를 재활용하여 주열공급기(200)의 과열 및 과냉을 방지하고, 불연소 된 배가스 내의 연소물질을 연소하여, 주열공급기(200)의 내구성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부터 배출된 일정 이상 온도의 배가스를 유기성폐기물건조기(100)로 투입되는 건조가스로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가스정화기(300)로부터 배출된 폐가스를 다시 연소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하고, 이와 연동하여 보조열공급기(400) 및 방열부(120)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 공급기(100) 내부를 이동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다시 가열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0; 유기성폐기물건조기 110; 건조부
120; 방열부 200; 주열공급기
210; 연소부 220; 열교환부
300; 배가스정화기 400; 보조열공급기
500; 제어기 V1~V3; 제1~제3밸브
SG;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 DS; 건조물저장장치
SP; 오염가스정화기 C; 연돌
PS1; 제1압력센서 PS2; 제2압력센서
TS; 온도센서

Claims (6)

  1.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고온의 가스를 통해 건조하여 배출하는 건조부와, 건조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기성 폐기물에 열을 가하는 방열부를 갖춘 유기성폐기물건조기;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부와, 유기성폐기물건조기의 건조부로부터 배출된 배가스가 유입되고, 연소부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상기 배가스와 간접 열 교환하며, 열 교환된 상기 배가스가 건조부로 배출되는 열교환부를 갖춘 주열공급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공급받아 정화하는 배가스정화기;
    배가스정화기로부터 정화된 폐가스를 공급받아 연료 및 공기와 함께 연소하여 고온의 배가스를 방열부로 공급하는 보조열공급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열공급기의 열교환부는 연소부로부터의 배가스를 통해 열을 공급받으며,
    상기 배가스는 열교환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연소부로 공급되고, 연소부로 공급된 배가스는 내부에 포함된 잔여 연소물질이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에 설치되어, 유기성폐기물건조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어, 주열공급기의 열교환부 또는 배가스정화기로 이동하는 배가스 량을 제어하는 제1밸브;
    주열공급기에 설치되어, 주열공급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주열공급기의 연소부에 설치되어 연소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
    주열공급기로부터 배출되어 외부 또는 주열공급기의 연소부로 이동하는 배가스 량을 제어하는 제2밸브;
    제1압력센서, 제2압력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의 측정신호에 따라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를 작동제어하는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에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는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오염가스정화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건조물을 이송가능하게 처리하는 건조물저장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저장장치는 분진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질소투입장치와, 건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수장치와, 건조물을 다져 건조물의 용적율을 높이는 평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는, 유기성폐기물저장조와, 유기성폐기물저장조에 내설되어 유기성폐기물저장조 내의 유기성 폐기물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기성폐기물배출기와, 유기성폐기물배출기로부터의 유기성 폐기물을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 공급하는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를 갖추거나, 유기성폐기물저장조와, 유기성폐기물저장조의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유기성폐기물배출컨베이어와, 유기성 폐기물 컨베이어로부터의 유기성 폐기물을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 공급하는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를 갖추거나, 유기성폐기물저장조와, 유기성폐기물저장조에 내설되어 유기성폐기물저장조 내의 유기성 폐기물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기성폐기물배출기와, 유기성폐기물배출기로부터의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유기성폐기물배출컨베이어와, 유기성 폐기물 컨베이어로부터의 유기성 폐기물을 유기성폐기물건조기로 공급하는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를 갖추며,
    상기 건조물저장장치는 건조물저장조와, 건조물저장조에 설치되는 벤트필터를 갖추며,
    상기 제1밸브는 건조부에서 인출되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와, 건조부에서 인출된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배가스정화기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를 갖추며,
    상기 제2밸브는 열교환부에서 연소부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와, 열교환부에서 연돌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를 갖추며,
    상기 유기성폐기물공급펌프와 유기성폐기물건조기 사이에 구비되어 유기성 폐기물을 펠렛 모양으로 성형분배하는 성형분배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에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물을 공급받아 냉각 후 배출하는 건조물냉각배출기; 건조물냉각배출기로부터의 건조물을 건조물저장장치의 건조물저장조로 이송하는 건조물수직이송컨베이어; 건조물냉각배출기와 건조물수직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 구비되며 건조물냉각배출기로부터 건조물수직이송컨베이어로 건조물을 안내하는 방향전환장치; 유기성폐기물공급장치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성 가스를 정화하는 약액세정탑 및, 약액세정탑으로 악취를 흡입송풍하는 약액세정탑악취흡입송풍기를 갖춘 오염가스정화기; 유기성폐기물건조기와 주열공급기의 사이에 구비되어 유기성폐기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건조 배가스를 배가스정화기 또는 주열공급기로 송풍하는 건조배가스순환송풍기; 주열공급기의 열교환부와 주열공급기의 연소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부로 순환하는 주연소가스순환송풍기; 배가스를 배출하는 연돌; 배가스정화기에서 보조열공급기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와, 배가스정화기에서 오염가스정화기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는 밸브를 갖추며, 제어기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3밸브; 열교환부에서 건조부로 이어지는 라인에 구비되며, 제어기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4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20130167084A 2013-12-30 2013-12-30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143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084A KR101433330B1 (ko) 2013-12-30 2013-12-30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084A KR101433330B1 (ko) 2013-12-30 2013-12-30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330B1 true KR101433330B1 (ko) 2014-09-01

Family

ID=5175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084A KR101433330B1 (ko) 2013-12-30 2013-12-30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1516A (zh) * 2014-12-01 2015-05-06 嵊州领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余热循环的粪便干燥装置
KR20200081614A (ko) 2018-12-27 2020-07-08 주식회사 한국종합플랜트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를 갖춘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2424676B1 (ko) * 2021-06-01 2022-07-22 나민수 탈취 연소로 제어 시스템
KR102618640B1 (ko) 2023-04-07 2023-12-27 주식회사 동남테크 폐기물 건조를 위한 드럼 드라이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947A (ja) * 2006-12-01 2008-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乾燥機を備えた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272123B1 (ko) * 2013-02-07 2013-06-07 주식회사엔바이오컨스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947A (ja) * 2006-12-01 2008-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乾燥機を備えた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272123B1 (ko) * 2013-02-07 2013-06-07 주식회사엔바이오컨스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1516A (zh) * 2014-12-01 2015-05-06 嵊州领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余热循环的粪便干燥装置
KR20200081614A (ko) 2018-12-27 2020-07-08 주식회사 한국종합플랜트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를 갖춘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2424676B1 (ko) * 2021-06-01 2022-07-22 나민수 탈취 연소로 제어 시스템
KR102618640B1 (ko) 2023-04-07 2023-12-27 주식회사 동남테크 폐기물 건조를 위한 드럼 드라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6907B (zh) 一种快速高效、环保节能污泥处理系统的方法
KR10143333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100892649B1 (ko) 슬러지 건조처리 방법 및 장치
JP4996416B2 (ja) 汚泥燃料化装置
JP4899220B2 (ja) 木屑と有機廃棄物を燃料とする熱風発生装置
KR101309000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이용하는 가열로와 열교환기를 연계한 에너지 절약형의 친환경 폐기물 자원화 장치
KR100894899B1 (ko) 초고온 건조시스템
CN111423092A (zh) 一体式污泥干燥和焚烧或碳化处理系统
CN205175055U (zh) 节能减排的空气能石材烘干线
KR101154826B1 (ko)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설비
JP2009052845A (ja) 排ガス処理装置及びボイラシステム
KR101159256B1 (ko) 가연성 또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또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KR102180289B1 (ko)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를 갖춘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CN108006655A (zh) 一种热风循环垃圾脱水装置
CN110449452A (zh) 一种连续内部燃烧方式修复有机污染土壤的装置及方法
KR100517485B1 (ko) 유기물 및 폐기물 쓰레기 건조 연료화 리싸이클링시스템
KR100414397B1 (ko) 폐기물 소각열의 재활용 시스템
CN102494543A (zh) 一种隧道窑余热回收装置及其回收方法
CN107584872A (zh) 一种高效热回收烘干机
KR101005850B1 (ko) 가연성 또는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 장치
JP2019127576A (ja) バイオマス炭化物製造システム
JP2008255748A (ja) アスコン工場における産廃焼却施設の設置による省エネ方法
KR200407477Y1 (ko) 연소버너에 연료배출구가 형성된 재생에너지연소장치
KR100482786B1 (ko) 폐기물 고속건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0422220Y1 (ko) 폐기물 소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