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207B1 -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207B1
KR101433207B1 KR1020127014492A KR20127014492A KR101433207B1 KR 101433207 B1 KR101433207 B1 KR 101433207B1 KR 1020127014492 A KR1020127014492 A KR 1020127014492A KR 20127014492 A KR20127014492 A KR 20127014492A KR 101433207 B1 KR101433207 B1 KR 10143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round
wrap
sleeve
m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511A (ko
Inventor
마흐문드 케이. 세라즈
조지 더블유. 3세 풀리움
캐쓰린 마리 마허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8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 H02G15/1813Wraparound or slotted slee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8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bending, drawing or stretch forming sheet to assume shape of configured lamina while in contact therewith
    • Y10T156/103Encasing or enveloping the configured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포함한다. 랩-어라운드 슬리브는 종방향 연장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다. 종방향 연장부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한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배치되고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케이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케이블 섹션 둘레에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된다.

Description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WRAP-AROUND CABLE SLEEV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관련 출원(들)
본 출원은 그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는 2009년 11월 4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258,105호의 이득 및 우선권을 청구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케이블의 밀봉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wrap-around cable sleeve)에 관한 것이다.
전기 설비 산업에서, 케이블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케이블 완전성의 손실, 예를 들어 고전압 케이블 내의 단락은 심각한 정전 또는 더 나쁘게는 수명의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케이블 완전성에 큰 위협을 부여할 수 있는 하나의 일상의 작업은 전기 접속부의 형성이다.
전기 접속부가 형성될 때, 스플라이스 커넥터(splice connector)와 같은 베어 금속(bare metal)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들 베어 금속 표면은 이들이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필드에 형성될 때 특히 유해할 수 있다. 이 환경은 접속부가 지면 아래에 매립될 때 돌맹이 및 다른 날카로운 물체 뿐만 아니라 습기 및 접속부가 공중에 현수되어 있을 때 빗방울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으로부터 이러한 전기 접속부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케이블 마스틱(mastic) 패치를 포함한다. 랩-어라운드 슬리브는 종방향 연장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다. 종방향 연장부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wrap)될 때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한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배치되고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케이블 섹션 둘레에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보호된 케이블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포함한다. 랩-어라운드 슬리브는 종방향 연장부 및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배치되고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방법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어라운드 슬리브를 랩핑하여 종방향 연장부가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하고 케이블 마스틱 패치가 케이블 섹션에 결합되어 케이블 섹션에 대한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종방향 연장부 및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 랩-어라운드 슬리브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종방향 연장부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를 제공하는 단계와,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케이블 섹션에 대해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은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보충 압축 시스템을 포함한다.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케이블 밀봉재 패치를 포함한다. 랩-어라운드 슬리브는 종방향 연장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다. 종방향 연장부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한다. 케이블 밀봉재 패치는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배치되고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블 밀봉재 패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케이블 섹션 둘레에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된다. 보충 압축 시스템은 압축 부재 및 고정구 부재를 포함한다. 압축 부재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랩-어라운드 슬리브에 대해 설치 가능하여 케이블 밀봉재 패치에 방사상 내향 압축 하중을 인가한다. 고정구 부재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상에 위치 가능하다. 고정구 부재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압축 부재를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랩-어라운드 슬리브와 압축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은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보충 압축 시스템을 포함한다.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케이블 밀봉재 패치를 포함한다. 랩-어라운드 슬리브는 종방향 연장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다. 종방향 연장부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한다. 케이블 밀봉재 패치는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배치되고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블 밀봉재 패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케이블 섹션 둘레에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된다. 보충 압축 시스템은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랩-어라운드 슬리브에 대해 설치 가능하여 케이블 밀봉재 패치에 방사상 내향 압축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 압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장점 및 상세가 이어지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숙독으로부터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고, 이러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슬리브 조립체의 평면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리브 조립체의 평면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슬리브 조립체의 평면 후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슬리브 조립체의 단부도.
도 5는 도 1의 슬리브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장치의 단부도.
도 6은 도 1의 슬리브 조립체를 사용하여 덮여질 수 있는 한 쌍의 케이블 및 스플라이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슬리브 조립체로부터 형성된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환경에 대해 보호된 접속 조립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라인 8-8을 따라 취한 도 7의 접속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라인 9-9를 따라 취한 도 7의 접속 조립체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안 압축 시스템을 갖는 도 7의 커버 조립체의 단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압축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고정구 부재의 저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안 압축 시스템을 갖는 도 7의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압축 시스템을 전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사전 팽창 유닛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안 압축 시스템을 갖는 도 7의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안 압축 시스템을 갖는 도 7의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16은 그 위에 설치된 한 쌍의 사전 래치 결합(pre-latch) 클립을 갖는 도 7의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사전 래치 결합 클립의 확대 평면 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사전 래치 결합 클립의 확대 저부 사시도.
본 발명이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대안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도면의 설명의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의 한정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단수 표현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마찬가지로 복수 형태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 완전체, 단계, 작업,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완전체, 단계, 작업,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더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열거된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언급될 때, 이는 다른 요소에 직접 결합될 수 있거나 개입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결합"되는 것으로서 언급될 때, 어떠한 개입 요소도 존재하지 않는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를 포함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들과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배경에서 이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이와 같이 정의된 이상화된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더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상온(常溫) 부착된(cold-applied)" 또는 "상온 부착된 커버"는 커버 또는 구성 요소가 설치시에 인가된 열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고 기판(예를 들어, 케이블)에 대해 조립되거나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상온 수축된" 또는 "상온 수축된 커버"는 커버 또는 구성 요소가 인가된 열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고 기판(예를 들어, 케이블)에 대해 수축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재피복(rejacketing) 또는 커버링 시스템 또는 키트(101)(도 7)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101)은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절연 재료로부터 제조된 슬리브 조립체(100)(도 1 내지 도 4) 및 선택적으로 보충 압축 부재 또는 시스템(172, 270, 380 또는 480)을 포함한다.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101)은 케이블 및 커넥터와 같은 전기 기판을 커버링하고 전기적으로 절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커버링 키트(101)는 커버 조립체(102)(도 7 내지 도 9) 내에 조립될 수 있어 2개 또는 3개 이상의 케이블(20)과 커넥터(24) 사이의 접속부 또는 스플라이스(25)(도 6)를 커버하고 밀봉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환경에 대해 보호된 접속 조립체(10)를 형성하거나, 케이블의 손상된 세그먼트를 커버한다. 유사하게, 커버링 키트는 케이블의 외피(jacket)가 제거되어 있거나 손상되어 있는 케이블의 섹션을 재피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케이블(들)의 스플라이스(25) 또는 다른 적합한 섹션(들)은 커버 조립체(102) 내에 형성된 환경에 대해 밀봉된 챔버(104)(도 7 내지 도 9)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케이블(20)은 전기 전도성 코어(20A) 및 주위 전기 절연부(20B)(도 6)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20)은 케이블축(B-B)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슬리브 조립체(100)는 랩-어라운드 슬리브(110), 한 쌍의 케이블 마스틱 질량체, 스트립 또는 패치(152, 154) 및 폐쇄부 마스틱 질량체 또는 스트립(160)을 포함한다.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110)는 길이방향 축(A-A)(도 1)을 규정하고, 종방향 연장 본체(112) 및 커넥터 시스템(130)(도 7)을 포함한다. 종방향 연장 본체(112)는 종방향 연장 주요부(114)(도 3)를 포함한다. 종방향 연장부(114)는 제1 종방향 폐쇄부 에지(120), 제1 종방향 에지(120)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그에 평행한 제2 종방향 폐쇄부 에지(122), 대향하는 측방향 연장 단부 에지(124, 126), 외부면 또는 표면(116) 및 내부면 또는 표면(117)(도 4)을 갖는다.
주요부(114)는 측방향 단면에서 파동치는 파형부(128)를 갖는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형부(128)는 측방향 단면 프로파일에서 U형이지만, 파형부 프로파일은 대신에 W형 지그재그 패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 시스템(130)(도 1, 도 4 및 도 8)은 함께 정합 가능한 제1 커넥터부(132) 및 제2 커넥터부(14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부(132)는 제1 종방향 에지부(120)에 결합되고 그로부터 연장하는 핀 또는 리브(rib) 부재(134)로서 구성된다. 리브 부재(134)는 테이퍼진 프로파일(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원형)을 갖는 선단 에지(136A)를 갖는 핀 또는 리브(136)의 형태의 인서트 부재를 갖는다. 리브 부재(134)는 테일 부재(138)를 갖는다. 테일 부재(138)는 제1 종방향 에지(120)에 결합된다.
제2 커넥터부(140)는 제2 종방향 에지(122)에 결합되고 그로부터 연장하는 소켓 부재(142)로서 구성된다. 소켓 부재(142)는 소켓(144)을 형성한다. 소켓 부재(142)는 소켓 부재(142)의 폐쇄부측으로부터 연장하는 립(lip) 부재(146)(도 4)를 갖고, 폐쇄부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말단부를 갖는다. 소켓(144)은 리브(136)와 접속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소켓(144)은 한 상의 대향하는 안착 또는 래치 결합 요소 또는 미늘부(barb)(148)(도 4)를 포함한다.
리브 부재(134) 및 소켓 부재(142)는 케이블 섹션 주위에 슬리브(110)를 랩핑하여 고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파지면(134A, 142A)(도 4)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종방향 이격 절결부 또는 윈도우 개구(145, 147)가 제2 커넥터부(140)에 형성된다. 윈도우 개구(145, 147)는 소켓(144)과 연통하고, 마스틱 패치(152, 154)와 종방향으로 정합되거나 정렬된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단부 에지(124, 126)에 각각 인접한 슬리브(110) 상에, 그 사이에 간극(151)(도 1)을 형성하도록 종방향 이격 관계로 장착된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실질적으로 조성 및 구성이 동일할 수 있고, 따라서, 단지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만이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이 설명은 케이블 마스틱 패치(154)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는 대향하는 종방향 에지(152A, 152B), 대향하는 측방향 에지(152C, 152D), 내부면(153) 및 대향하는 외부면(155)[슬리브(110)의 내부면(116)에 대면하는]을 갖는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는 슬리브(110)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종방향 에지(152A, 152B)가 슬리브의 종방향 에지(120, 122)에 또는 이를 넘어 배치되게 되어, 슬리브(110)가 케이블 둘레에 랩핑되어 고정될 때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의 측방향 단부가 중첩하게 된다. 종방향 에지(152A)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보다 종방향 에지(120)로부터 더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3)는 일반적으로 본체(156) 및 그로부터 현수하는 종방향 연장 리브(158)를 형성한다. 내부 표면(153)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다.
외부면(155)은 리브(158)의 프로파일과 함께 파동치고, 슬리브(110)의 내부면(114)에 실질적으로 정합하거나 상보형인 프로파일을 갖는다. 즉, 리브(158)는 파형부(128)의 채널(128A) 내에 끼워지고 합치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면(155)은 적어도 파형부(128) 전체에 걸쳐, 몇몇 실시예에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의 측방향 범위 전체에 걸쳐 내부면(114)에 접착되거나 접합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간극(151)은 주요부(114) 상에 밀봉재가 없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가의 케이블 마스틱 패치가 패치(152, 154) 사이의 주요부(114)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케이블 밀봉재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의 위치로부터 케이블 마스틱 패치(154)의 위치로 연속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소켓(144) 내에 배치되어, 이에 의해 폐쇄부 밀봉재 챔버로서 기능한다. 더 구체적으로,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적어도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로부터 케이블 마스틱 패치(154)로 소켓(144)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에지(124)로부터 에지(126)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단부 개구 및 슬리브(110)의 폐쇄부 시임(seam) 둘레에 랩-어라운드 케이블 커버 조립체(102)의 케이블 챔버(104)를 위한 연속적인 밀봉부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및 케이블 마스틱 패치(154)는 윈도우 개구(145, 147)에서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을 각각 교차한다. 더 구체적으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는 제1 윈도우 개구(14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에 밀봉적으로 접촉하고, 케이블 마스틱 패치(154)는 제2 윈도우 개구(147)(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에 밀봉적으로 접촉한다.
랩-어라운드 슬리브(110)는 전기 절연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이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열가소성 물질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다양한 전기 절연 재료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전기 절연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다양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고무 혼합물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표명 산토프렌(Santoprene)TM 하에서 시판되는 미국 오하이오주 애크론 소재의 어드밴스드 엘라스토머 시스템즈(Advanced Elastomer Systems)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고무 혼합물이다. 종방향 연장부(114)는 적어도 약 5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8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의 쇼어 A 스케일로 측정된 바와 같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종방향 연장부(114)는 바람직하게는 하한과 상한 사이의 굴곡 탄성율을 갖는다.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약 2,000 psi,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00 psi,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00 psi이다.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000 psi,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000 psi,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psi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연장부(114)는 하한과 상한 사이의 ASTM D412를 사용하여 측정된 바와 같은 100% 인장 탄성율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한은 약 250 psi,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0 psi,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300 psi이다.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약 3000 psi, 더 바람직하게는 약 1800 psi,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600 psi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연장부(114)는 약 60 퍼센트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퍼센트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퍼센트 미만의 ASTM D412를 사용하여 측정된 바와 같이 설정된 인장 변형율을 갖는다. 종방향 연장부(114)는 적어도 약 1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로 취해진 측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종방향 연장부(114)는 약 1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미만으로 취해진 종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연장부(114)는 제1 폴리머로 제조되고, 반면에 커넥터부(132, 140)는 제2 상이한(즉, 유형 및/또는 조성) 폴리머로 제조된다. 따라서, 커넥터부(132, 140)는 종방향 연장부(114)보다 큰 강성이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종방향 연장부(114)를 형성하는 제1 폴리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고, 큰 강성을 갖는 커넥터부(132, 140)의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이다. 다른 커넥터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의 외부 래치 결합 걸쇠가 종방향 에지(120, 122) 또는 에지(120, 122) 상의 협동 특징부에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임의의 유동성 밀봉 마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된(반가교 결합된) 폴리머를 포함한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된 폴리머를 포함하지만, 마스틱(152, 154)은 여전히 변형 가능하고 슬리브(110) 및 케이블 절연체(20B)의 재료에 접착성이 있다. 그러나,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 내의 가교 결합은 이들이 작동 온도에서 슬리브(110)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마스틱(152, 154)은 적어도 -20℃ 내지 135℃의 작동 온도 범위에서 자유 유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 내의 폴리머는 14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5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80℃ 초과의 자유 유동 온도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의 폴리머는 가교 결합에 기인하여 분해 이전에 유동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가교 결합된 부틸 고무를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마스틱은 합성 고무 또는 합성 폴리머 마스틱을 포함하는 마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전기 절연성이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폴리머는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Tyco Electronics Corporation)에 의해 시판되는 S1278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의 두께(T1)(도 4)는 약 0.25 내지 2 cm의 범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의 길이(L1)(도 1)는 약 5 내지 15 cm의 범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의 폭(W1)(도 1)은 약 7 내지 40 cm의 범위이다. 폭(W1)은 슬리브 본체(112)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임의의 적합한 유동성 밀봉 마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와는 상이한 마스틱 조성으로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약 -20 내지 45℃의 범위의 설치 온도에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보다 연성 마스틱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틱(160)은 작동 온도 범위 내의 모든 온도에서 마스틱(152, 154)보다 연성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틱(160)은 마스틱(152, 154)보다 낮은 자유 유동 온도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보다 낮은 연화점 온도(즉, 마스틱이 유동할 수 있는 낮은 온도 범위)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부틸 고무를 포함하고, 몇몇 실시예에서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합성 고무 또는 합성 폴리머 마스틱을 포함한다. 마스틱(160)은 반가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틱(160)은 적어도 -20 내지 95℃의 작동 온도 범위에서 자유 유동하지 않는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전기 절연성이다.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폴리머는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에 의해 시판되는 S1337형 마스틱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의 두께(T2)(도 4)는 약 0.25 내지 1 cm의 범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의 길이(L2)(도 1)는 소켓(14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L2)는 적어도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로부터 케이블 마스틱 패치(154)까지의 거리이다.
랩-어라운드 슬리브(110)는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절연 재료의 웨브는 압출되고 이어서 절단되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를 형성한다. 압출 단계는 파형 측방향 단면을 형성하는 파형부를 포함하는 웨브를 압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출 단계는 강성 열가소성 물질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공압출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압출 단계는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 및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웨브가 선택된 길이로 절단되기 전 또는 후에 슬리브(110) 상에 장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슬리브(110) 상에 가압되기에 앞서 고온 가압되거나 가열된다. 특히,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반가교 결합된 마스틱이고, 이와 같이 실온에서 제한된 유동성 또는 변형성을 갖는다. 파형 채널(128A) 내의 내부면(116)과의 양호한 계면 및 접착성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지정된(prescribed) 상승 온도로 가열되고 적어도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지정된 압력으로 가압되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가 유동하거나 변형하여 파형 채널(128A)에 합치하게 된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그 후에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허용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상승 프레스 온도는 약 60 내지 100℃, 몇몇 실시예에서 약 80 내지 120℃의 범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프레스 압력은 약 150 내지 350 kPa, 몇몇 실시예에서 약 250 내지 750 kPa의 범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프레스 시간은 약 0.5 내지 2초, 몇몇 실시예에서 약 0.25 내지 5초의 범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리브(110) 내에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를 가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프레스 장치(50)가 도시되어 있다. 프레스 장치(50)는 슬리브(110)를 유지하기 위한 플래튼(platen)(52)을 포함한다. 프레스 장치(50)는 예열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에 하중을 인가하기 위한 프레스 헤드(54)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가열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기 저항 히터)가 플래튼(52) 및 프레스 헤드(54)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각각을 가열할 수 있다. 로딩 디바이스 또는 액추에이터(58)(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가 프레스 헤드(54)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그에 하중을 인가한다. 대안적으로, 프레스 헤드(54)는 상호 작동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스틱 패치(152)는 지정된 상승 온도로 예열되고, 슬리브(110) 상에 배치되고, 이어서 플래튼(52) 상에 배치되어 가압된다.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에 의해 소켓(144)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재 스트립(160)은 비드 또는 로프로서 예비 성형되고(예를 들어, 압출에 의해) 소켓(144) 내로 축방향으로 낙하하거나 삽입된다. 대안적으로, 밀봉재 스트립(160)은 소켓(144) 내로 축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압출될 수 있다[예를 들어, 고온 용융 접착제와 같이 소켓(144) 내에 분배됨].
이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커버링 키트(101)가 한 쌍의 전력 전송 케이블(20) 사이에서 스플라이스 접속부(25)(도 6) 위에 슬리브 조립체(100)를 부착하여 환경에 대해 보호된 접속 조립체(10)(도 7 내지 도 9)를 형성하기 위해 이하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20)은 저전압 또는 중간 전압(예를 들어, 약 120 볼트 내지 46 kV) 전력 전송 케이블이다.
슬리브 조립체(10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로, 슬리브 조립체(100)는 커버 조립체(102)가 설치되는 축방향 위치에서 케이블(2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슬리브(110)는 이어서 케이블(20) 둘레에[즉, 슬리브 축(A-A) 및 케이블 축(B-B)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랩핑되어 커넥터부(132, 140)가 결합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리브(136)가 소켓(144) 내에 삽입되고 미늘부(148)에 의해 그 내부에 포획된다. 이 방식으로, 슬리브(110)는 래치 결합 폐쇄되어 단부로부터 단부로 연속적인 관형 부재를 형성하고 케이블 챔버(104)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10)는 폐쇄될 때 그 이완된 내경이 케이블(20)의 외경보다 작아 슬리브(110)가 케이블에 대해 밀접하게 끼워지고 파형부(128)가 적어도 다소 팽창될 수 있게 되도록 치수 설정된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 폐쇄될 때 이완된 내경은 케이블(20)의 외경보다 커서 외부 또는 상보형 압축 부재가 케이블(20) 상에 슬리브(110)를 조여지게 하도록 요구되게 된다.
커넥터 부재(132, 140)는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래치 결합되게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일시적 사전 래치 결합 클립이 커넥터 부재(132, 140)에 부착되어 설치자가 커넥터부(132, 140)를 상호 체결하는 동안 이들을 함께 유지한다.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고 결합을 행하거나 지원하기 위한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자는 프리예(Frye)의 미국 특허 제7,197,816호, 프리예의 미국 특허 제6,094,792호, 프리예의 미국 특허 제6,195,861호 또는 프리예의 미국 특허 제6,219,907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리브(136)가 소켓(144)에 진입할 때, 리드면(136A)은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을 변위시키고, 이 스트립은 커넥터부(132, 140)에 대해 이들 사이에서 유동하여 개구(145, 147) 사이의 슬리브(110)의 전체 길이를 따른 축방향 밀봉부를 형성한다.
슬리브(110)가 케이블(20)에 대해 폐쇄부 내에 강제 이동됨에 따라,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케이블(20)과 결합하게 방사상 내향으로 강제 이동되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가 케이블(20)을 완전히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게 되고 각각의 케이블(20)에 대한 원주방향 환경 밀봉부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에 의해 제공된 환경 밀봉부 및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에 의해 제공된 환경 밀봉부는 조합되어 케이블 챔버(104)를 환경에 대해 밀봉한다. 전체 밀봉부의 연속성은 윈도우 개구(145, 147)에서 마스틱(152, 154, 160)의 병합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이 밀봉부는 예를 들어 환경 습기의 침입으로부터 케이블(20) 및 스플라이스(25)를 보호할 수 있다.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슬리브(110)의 폐쇄시에 그리고 제공되는 경우 보충 압축 부재에 의한 로딩시에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가 케이블(20)에 합치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한된 정도의 콜드 플로우(cold flow, 즉, 지정된 정상 서비스 또는 작동 온도 범위에서 기계적 하중 하에서의 변형)을 나타낸다. 그러나, 정상 서비스 온도 범위 내에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의 자유 유동 능력은 케이블 마스틱(152, 154)이 과도하게 유동하고, 크리핑하거나 중력, 환경 수압, 케이블 움직임 등에 의해 밀봉 구역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낮게 유지된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특히,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가 반가교 결합된 마스틱으로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또한 밀봉 구역으로부터의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변위를 방지하도록 예측된 또는 가능한 사용시 상승된 온도에서 충분히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이들 상승된 온도는 케이블 저항 가열 등의 극단에 기인하여 경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보충 압축 부재가 커버 조립체(102) 상에 장착되어 케이블(20)을 따라 슬리브(110)의 변위를 저지하고, 슬리브(110)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팽창을 제한하고, 그리고/또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와 밀봉 접촉하게 슬리브(110)를 그리고 케이블(20)과 밀봉 접촉하게 마스틱 패치(152, 154)를 방사상 내향으로 압축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부재는 케이블 타이(tie), 지퍼 타이 또는 타이 랩(172)이다. 다른 적합한 압축 부재는 스프링 호스 클램프, 로프, 스트랩 클램프, 웜 드라이브 호스 클램프 또는 스냅 호스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압축 시스템(270)이 커버 조립체(102) 상에 제공된다. 압축 시스템(270)은 2쌍의 타이 랩(272) 및 한 쌍의 고정구 부재(274)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구 부재(274)는 위치 결정기 탭(274E)을 갖는 본체(274A)를 갖고, 슬리브 시트(274B) 및 타이 시트(274C)를 형성한다. 일체형 핀(274D)이 본체(274A)로부터 슬리브 시트(274B) 내로 연장되고 위치 결정기 리브(274F)는 또한 본체(274A)로부터 현수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구 부재(274)는 충전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강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다. 고정구 부재(274)는 성형될 수도 있다.
사용시에, 고정구 부재(274)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의 대응층 위의 슬리브(110)의 각각의 단부 상에 장착되고 그 위치 결정기 탭(274E)이 인접 단부 에지(124, 126)에 접하게 된다. 타이 랩(272)은 타이 시트(274C)를 통해 안내되고 고정구 부재(274) 및 슬리브(110)에 대해 긴밀하게 조여져서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또는 154)를 압축한다.
고정구 부재(274) 상의 압축 하중은 핀(274D)이 슬리브(110)의 외부면 내에 매립될 수 있게 한다. 이 방식으로, 고정구 부재(276)는 슬리브(110)에 대해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고정되고, 슬리브(110)를 따른 타이 랩(272)의 축방향 위치는 이에 의해 마찬가지로 고정된다. 고정구 부재(274)는 타이 랩(272)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에 대한 이들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고정구 부재(274)는 또한 타이 랩(272)의 하중을 더 광범위하고 균일하게 분포시켜 슬리브(110)의 의도되지 않은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치 결정기 탭(274E)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에 대해 고정구 부재(274)를 적절하게 정합시키도록 작용하고, 고정구 부재(274)의 기울어짐을 또한 저지할 수 있다.
타이 랩(272)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고 전술되어 있지만, 다른 유형의 압축 부재(예를 들어, 클램프)가 타이 랩(272)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 밴드(380)가 커버 조립체(102) 상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도시되어 있다. 압축 시스템(380)은 한 쌍의 상온 수축 가능 압축 슬리브 또는 밴드(382)를 포함한다. 압축 밴드(382)는 홀드아웃(holdout)(384)(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에 사전 팽창된 유닛(381)으로서 각각 공급될 수 있고, 압축 밴드(382)는 탄성 팽창 상태 또는 위치에 있다.
압축 밴드(382)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밴드(382)는 전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밴드(382)는 탄성 팽창 가능 재료로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밴드(382)는 탄성 중합 재료로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밴드(382)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고무로 형성된다. 다른 적합한 재료는 네오프렌 또는 다른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밴드(382)는 약 0.1 내지 10 MPa의 범위의 100 퍼센트 연신율(M100)에서 탄성율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밴드(382)는 무단 밴드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압축 밴드(382)의 두께(T3)(도 13)는 약 0.1 내지 0.5 cm의 범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압축 밴드(382)의 길이(L3)는 약 5 내지 15 cm의 범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압축 밴드(382)의 길이(L3)는 대응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의 길이(L3)의 약 25 내지 125 퍼센트이다.
홀드아웃(384)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홀드아웃(384)은 강성 카드보드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홀드아웃(384)은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강성 실린더를 형성하기 위해 나선형으로 권취된 스트립을 포함한다. 홀드아웃 디바이스(384)는 공장 설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축 밴드(382)는 대신에 적합한 팽창 도구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사전 팽창될 수도 있다.
설치 중에, 사전 팽창 유닛(381)은 예를 들어 접속부(25)가 형성되기 전에 각각의 케이블(20) 위에서 활주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홀드아웃(384)의 내경은 슬리브 조립체(100)의 외경보다 커서 홀드아웃(384)의 내경은 과도한 노력 없이 슬리브 조립체(100)를 수용하기에 충분하게 된다. 사전 팽창 유닛(381)은 조작자가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100) 상에 압축 밴드(382)를 설치할 준비가 될 때까지 케이블(20) 상에 보유되거나 머무를 수 있다.
슬리브 조립체(100)가 전술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보호 커버 조립체(102)를 형성한 후에, 각각의 사전 팽창 유닛(384)이 슬리브(110) 위의,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 중 각각의 것 위의 위치로 활주한다. 홀드아웃(384)은 이어서 압축 밴드(382)로부터 제거되어, 이에 의해 압축 밴드(382)가 이완되어 슬리브(110)에 대해 강제로 반경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허용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밴드(382)는 슬리브(110)의 단부 에지(124, 126) 사이에 완전히 배치되고 슬리브(110)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케이블(20)에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압축 밴드(382)의 이완된 내경은 적어도 설치된 슬리브 조립체(100)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압축 밴드(382)는 슬리브(110) 및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 상에 방사상 내향 압축 또는 클램핑력, 하중 또는 압력(탄성 장력에 기인하는)을 인가한다. 압축 밴드(382)는 이에 의해 케이블(20)과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 사이의 계면에서의 밀봉 및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와 슬리브(110)의 내부면(116) 사이의 계면에서의 밀봉을 향상시키고 그리고/또는 유지한다. 이 방식으로, 각각의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와 케이블(20)과 슬리브(110) 사이의 결합 및 이에 의해 밀봉이 유지되고 강화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밴드(382)는 탄성을 유지하고, 설치 후에 기초 구성 요소 상에 영구적인 반경방향 압축 하중을 인가한다. 즉, 압축 밴드(382)는 방사상 내향 바이어스를 계속 인가한다. 이 영구적인 바이어스는 이들 구성 요소가 팽창하고 수축할 때(예를 들어, 그 내부의 온도 변화의 결과로서) 또는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변위될 때에도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와 케이블(20)과 슬리브(110) 사이에 밀봉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압축 밴드(382)는 따라서 설치 후에 사전 인가된 압력 인가 또는 바이어스 밴드로서 기능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밴드(382)는 약 35 내지 250 kPa의 범위의 영구적인 반경방향 압축 하중을 각각 인가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압축 밴드(382)의 이완된 내경은 압축 밴드(382)가 설치되도록 의도되는 최소 직경 설치된 커버 조립체(102)의 적어도 10% 미만이다.
나선형으로 권취된 홀드아웃(384)이 도시되어 있고 전술되어 있지만, 다른 유형의 홀드아웃 및 전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드아웃은 압축 밴드(382)가 슬리브(110) 상에 랩핑되어 있는 튜브일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 시스템(480)이 커버 조립체(102) 상에 설치되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압축 시스템(480)은 다수의 상온 수축 가능한 압축 밴드(482A 내지 482D)의 세트가 제공되고 슬레이브 조립체(100)의 각각의 단부 상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압축 시스템(380)에 대응한다. 각각의 세트의 압축 밴드(482A 내지 482D)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유된 홀드아웃(484) 상에 제공될 수 있거나 이들 자신의 개별 홀드아웃 상에 각각 장착될 수도 있다.
압축 밴드(482A 내지 482D)는 압축 밴드(382)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소정의 세트의 압축 밴드(482A, 482B 및 482C, 482D)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특성(예를 들어, 탄성율, 이완 직경, 폭, 두께 및/또는 재료)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압축 밴드(482A 내지 482D)의 두께는 약 0.1 내지 0.5 cm의 범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압축 밴드(482A 내지 482D)의 길이(L4)는 약 0.25 내지 3 cm의 범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 시스템(590)이 커버 조립체(102) 상에 설치되어 도시되어 있다. 압축 시스템(590)은 테이프 랩(594)으로서 커버 조립체(102)의 일 단부 상에 설치 가능한 압축 테이프(592)의 길이를 포함한다.
압축 테이프(592)는 임의의 적합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테이프(592)는 탄력성의 탄성 테이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테이프(592)는 자체 융합 밀봉 테이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테이프(592)는 테이프(592)의 허용된 연신율의 범위를 제한하는 기판과 함침된 실리콘 자체 융합 테이프(몇몇 실시예에서, 직물 메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테이프(592)의 연신율은 약 0 내지 25%로 제한된다. 적합한 압축 테이프는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융착 테이프(fusion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조립체(100)가 전술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보호 커버 조립체(102)를 형성한 후에, 소정 길이의 압축 테이프(592)가 슬리브 조립체(100) 주위에, 더 구체적으로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의 각각의 것 위에 기밀하고 랩핑되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테이프 랩(594)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592)는 슬리브(110)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테이프(592)는 슬리브 둘레에 권취됨에 따라 의도적으로 인장되어, 테이프(592)는 일단 테이프 랩(594)으로서 설치되면, 슬리브(110) 상에 반경방향 압축 하중을 인가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압축 테이프(592)는 탄력성의 탄성 테이프이다. 설치 중에, 테이프(592)는 탄성적으로 신장되어, 일단 테이프 랩(594)으로서 슬리브 조립체(100)에 부착되면, 테이프(592)는 반경방향 압축 하중을 기초 구성 요소(20, 152, 154, 110)에 영구적으로 계속 인가하게 된다[즉, 후프 응력이 테이프 랩(594)에 유지됨]. 이 압축 하중은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와 친밀 및 압축 접촉하게 슬리브(110)를 가압한다. 이 방식으로, 각각의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와 케이블(20)과 슬리브(110) 사이의 결합 및 이에 의해 밀봉이 유지되고 보강된다. 테이프 랩(594)은 따라서 설치 후에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바이어스하는 사전 인가된 압력으로서 기능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테이프 랩(594)은 약 5 내지 25 kPa의 범위의 영구적인 반경방향 압축 하중을 인가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 랩(594)은 슬리브(110)의 단부 에지(124, 126) 사이에 완전히 배치되고 슬리브(110)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케이블(20)에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테이프(592)의 폭(W5)은 약 2 내지 7 cm의 범위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테이프 랩(594)의 길이(L5)는 약 5 내지 15 cm의 범위이다.
설치자를 지원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전 래치 결합 클립(60)이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여 종방향 에지부(120, 122)[및 커넥터부(132, 140)]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클립(60)이 "제3 손(third hand)"을 제공하는 상태로, 설치자는 커넥터부(132, 140)를 더 용이하게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커넥터부(132, 140)가 상호 체결된 후에(또는 하나 이상의 보충 압축 부재가 설치된 후에), 클립(60)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사전 래치 결합 클립(60)이 도시되어 있다. 사전 래치 결합 클립(60)은 클립 채널(68)을 집합적으로 형성하는 본체(62), 현수 측면 레그(64) 및 탭(66)을 갖는다. 사용시에, 커넥터부(132, 140)는 채널(68) 내에 수용되고, 탭(66)은 클립(60)을 적소에 고정하기 위해 파지면(134A, 142A) 아래에 끼워넣어진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슬리브 조립체 및 커버 조립체는 케이블 스플라이스 등에 대한 환경 밀봉부를 생성하기 위해(예를 들어, 스플라이스를 재피복하기 위해) 상온 부착된 랩-어라운드 슬리브(예를 들어, 파형)를 취하는 범위를 제공한다. 원주방향 케이블 밀봉 마스틱 패치(152, 154)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온 부착형 설치를 사용하여 유효 밀봉부의 생성을 허용하면서 IEEE 표준 404-2006에 반영된 바와 같이 사용중에 비교적 높은 케이블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케이블에 대한 환경 밀봉부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반가교 결합된 마스틱 패치(152, 154)는 이들 2중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마스틱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를 고온 가압하는 것은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가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파형 내부면에 적절하게 합치하고 접착되어 사용중에 그와의 충분한 밀봉 결합을 제공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케이블 섹션을 완전히 환경에 대해 캡슐화하기 위해 종방향 환경 밀봉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압축 부재 및 시스템[예를 들어, 압축 시스템(270, 380, 480, 590)]은, 특히 커버 조립체(102)가 케이블(20) 및/또는 슬리브(110)가 팽창하고 수축하게 하는 온도 변동을 사용중에 받게 될 때, 이들의 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주방향 마스틱 밀봉부(152, 154)를 압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축 부재는 단지 마스틱 밀봉부(152, 154)를 케이블(20)에 접합하기 위해 제한된 시간 동안 케이블(20)과 접촉하게 마스틱 패치(152, 154)를 이동시킬 필요만이 있을 수 있고 제거될 수 있거나 더 이상 적절한 밀봉을 유지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 및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케이블 챔버(104)를 위한 수분 밀봉(moisture seal)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된 커버 조립체(102)는 IEEE 표준 404-2006(정격 2500 V 내지 500,000 V 압출된 및 적층된 유전성 차폐형 케이블 조인트를 위한 IEEE 표준)에 완전히 순응성이 있다. 특히,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IEEE 표준 404-2006을 위반하여 케이블(20)에 대한 물 또는 오염물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도록 조성되고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정 접속부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다양한 적합한 접속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의 예시된 실시예는 종방향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 부재 및 소켓 부재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리브 부재 및 소켓 부재는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리브 부재 및 소켓 부재는 또한 리브 부재 및 소켓 부재를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부에 접합함으로써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접합은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리브 부재 및 소켓 부재가 종방향 연장부의 재료들과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때, 접합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연장부와 리브 부재 및 소켓 부재를 공압출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성취된다.
예시된 실시예는 특정 기계적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커넥터는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커넥터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 기계적 커넥터, 화학적 커넥터(예를 들어, 접착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예를 들어, 압축 시스템(270, 380, 480, 590)]은 다른 유형의 상온 부착된 랩-어라운드 슬리브(예를 들어, 마스틱 밀봉재보다는 겔 밀봉재를 사용하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160)은 마스틱 이외의 밀봉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립(160)은 대신에 겔 밀봉재 또는 코르크형 접착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반가교 결합되지 않은 마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마스틱 패치(152, 154)는 겔 밀봉재의 패치 또는 질량체와 같은 비마스틱 밀봉재 패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이고 그 한정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어 있지만,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 및 장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수정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즉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모든 이러한 수정은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청구범위에서, 기능식(means-plus-function) 구문은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 및 구조적 등가물 뿐만 아니라 등가 구조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이고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개시된 실시예의 수정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고, 청구범위의 등가물이 포함되어 있다.

Claims (28)

  1.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environmentally) 밀봉하기 위한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로서,
    종방향 연장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 랩-어라운드 슬리브로서, 상기 종방향 연장부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wrap)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상기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있고 상기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로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 섹션 둘레에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 및
    상기 제2 종방향 에지에 인접하여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 상에 장착되고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환경에 대해 밀봉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는 종방향 연장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은 상기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의 지정된 작동 온도 범위 내의 모든 온도에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보다 연성인,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반가교 결합된 마스틱(semi-crosslinked mastic)인,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예열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있고 상기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 섹션 둘레에 제2 의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고, 상기 제2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상기 제1 케이블 마스틱 패치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제1 종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하고 인서트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부; 및
    본체 부재의 제2 종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인서트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을 갖는 제2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은 상기 소켓 내에 배치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 및 상기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은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서로 밀봉적으로 접촉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은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보다 더 낮은 연화점 온도를 갖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은 -20℃ 내지 45℃ 범위의 설치 온도에서 케이블 마스틱 패치보다 더 연성인,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연장부는 파형부 및 내부 파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상기 내부 파형면에 합치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에 대해 설치 가능하여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에 방사상 내향 압축 하중을 인가하는 압축 부재를 포함하는 보충 압축 시스템을 포함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케이블 타이를 포함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시스템은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 상에 위치 가능한 고정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 부재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상기 압축 부재에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와 상기 압축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홀드아웃 상에 장착된 탄성 밴드를 포함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탄성 테이프를 포함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는 상기 케이블 섹션 상에 설치될 때 IEEE 표준 404-2006에 부합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17.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보호된 케이블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는,
    종방향 연장부 및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상기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있고 상기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 및
    상기 제2 종방향 에지에 인접하여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 상에 장착되고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환경에 대해 밀봉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는 종방향 연장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이 상기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의 지정된 작동 온도 범위 내의 모든 온도에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보다 연성인,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종방향 연장부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가 상기 케이블 섹션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섹션에 대한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어라운드 슬리브를 랩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이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환경에 대해 밀봉하는,
    케이블 조립체 형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케이블 사이에 전기 접속 스플라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어라운드 슬리브를 랩핑하는 단계는 전기 스플라이스 접속부가 케이블 챔버 내에 수납되도록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를 랩핑하는 것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형성 방법.
  19.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종방향 연장부 및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 랩-어라운드 슬리브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종방향 연장부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상기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 섹션에 대해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종방향 에지에 인접하여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 상에 종방향 연장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환경에 대해 밀봉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 상에 종방향 연장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 마스틱 스트립이 상기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의 지정된 작동 온도 범위 내의 모든 온도에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보다 연성인,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형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반가교 결합된 마스틱인,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형성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지정된 상승 가열 상태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상승 가열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내부면에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부착하여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가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내부면에 합치하게 유동하게 하는 단계; 그리고 그 후에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가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내부면 상에서 냉각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형성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상승 가열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내부면 상에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형성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연장부는 파형부 및 내부 파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파형면에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합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형성 방법.
  24.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으로서,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보충 압축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는,
    종방향 연장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 랩-어라운드 슬리브로서, 상기 종방향 연장부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상기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있고 상기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블 밀봉재 패치로서, 상기 케이블 밀봉재 패치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 섹션 둘레에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는, 케이블 밀봉재 패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보충 압축 시스템은,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에 대해 설치 가능하여 상기 케이블 밀봉재 패치에 방사상 내향 압축 하중을 인가하는 압축 부재; 및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 상에 위치 가능한 고정구 부재로서, 상기 고정구 부재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상기 압축 부재를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와 상기 압축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
  25.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으로서,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보충 압축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은,
    종방향 연장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 랩-어라운드 슬리브로서, 상기 종방향 연장부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상기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있고 상기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블 밀봉재 패치로서, 상기 케이블 밀봉재 패치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 섹션 둘레에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는, 케이블 밀봉재 패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보충 압축 시스템은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에 대해 설치 가능하여 상기 케이블 밀봉재 패치에 방사상 내향 압축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 압축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홀드아웃 상에 장착된 탄성 밴드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탄성 테이프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버링 시스템.
  28. 케이블 섹션을 환경에 대해(environmentally) 밀봉하기 위한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로서,
    종방향 연장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종방향 에지를 갖는 랩-어라운드 슬리브로서, 상기 종방향 연장부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wrap)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케이블 챔버의 부분을 형성하는, 랩-어라운드 슬리브; 및
    상기 종방향 연장부의 내부면 상에 있고 상기 종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로서,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상기 랩-어라운드 슬리브가 상기 케이블 섹션 주위에 랩핑될 때 상기 케이블 섹션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 섹션 둘레에 연속적인 환경에 대한 원주방향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위치되는, 케이블 마스틱 패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마스틱 패치는 반가교 결합된 마스틱(semi-crosslinked mastic)인,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KR1020127014492A 2009-11-04 2010-10-12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KR101433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810509P 2009-11-04 2009-11-04
US61/258,105 2009-11-04
US12/730,727 US8415564B2 (en) 2009-11-04 2010-03-24 Wrap-around cable sleev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2/730,727 2010-03-24
PCT/US2010/052250 WO2011056363A2 (en) 2009-11-04 2010-10-12 Wrap-around cable sleev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511A KR20120083511A (ko) 2012-07-25
KR101433207B1 true KR101433207B1 (ko) 2014-08-22

Family

ID=4392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492A KR101433207B1 (ko) 2009-11-04 2010-10-12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415564B2 (ko)
EP (1) EP2497171B1 (ko)
JP (1) JP5688855B2 (ko)
KR (1) KR101433207B1 (ko)
CN (1) CN102668287B (ko)
AU (1) AU2010315751B2 (ko)
BR (1) BR112012010584B1 (ko)
CA (1) CA2779682C (ko)
MX (1) MX2012005299A (ko)
RU (1) RU2012122597A (ko)
WO (1) WO201105636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62B1 (ko) * 2019-07-10 2020-03-0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팽창형 슬리브 결합형 내화용 케이블 그랜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61156A1 (en) * 2011-04-12 2012-10-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on device for a cable connection
JP5803557B2 (ja) * 2011-10-19 2015-11-04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
US8857049B2 (en) * 2012-09-13 2014-10-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vironmentally sealing terminal blocks
EP2915171B1 (en) 2012-10-31 2019-10-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splicing shielded wire cables
US9224520B2 (en) * 2012-12-03 2015-12-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ver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vering electrical cables and connections
US9616602B2 (en) * 2013-07-10 2017-04-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terconnection seal
US9594226B2 (en) 2013-10-18 2017-03-1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cable with reinforcement
US9543747B2 (en) 2013-10-30 2017-01-10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splicing shielded wire cables
US9881715B2 (en) 2014-08-21 2018-01-30 Trent Jason Pederson Heated extension cord
US10594128B2 (en) * 2015-11-10 2020-03-1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Holdout devices and cover assemblie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NO20161724A1 (no) * 2016-11-01 2017-12-18 Gep Holding As Beskyttelseskappe for omslutning av kabel og/eller annet langstrakt element
MX2019008384A (es) * 2017-01-31 2019-09-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nductos con estructuras capilares.
WO2018163018A2 (en) * 2017-03-10 2018-09-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ver assembly with hybrid core structure
JP7058615B2 (ja) * 2019-01-18 2022-04-22 株式会社Fuji プラズマ発生装置
DE102019104655A1 (de) * 2019-02-25 2020-08-27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Hochstromverdrahtung für Ladesteckverbinder und Fahrzeug
NL2024222B1 (en) * 2019-11-12 2021-07-28 Leia B V Cable joint assembly
KR102396579B1 (ko) * 2020-09-14 2022-05-11 주식회사 디메치 확장형 슬리브 실런트 시스템
KR102396064B1 (ko) * 2020-09-14 2022-05-10 주식회사 디메치 유연성 슬리브 실런트 시스템
US11735900B2 (en) 2020-10-21 2023-08-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reten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230305258A1 (en) * 2022-03-25 2023-09-28 Wesco Distribution, Inc. Innerduct for fiberoptic cables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3174A (en) 1979-10-11 1982-04-06 Wood Thomas J Apparatus for dispensing mastic material
US4801651A (en) 1986-03-03 1989-01-31 Tonen Sekiyukagaku K.K. Method of manufacture of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unds
KR20040091108A (ko) * 2002-03-06 2004-10-27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길이방향 실란트 챔버를 가지는 주위 밀폐식 랩-어라운드케이블 슬리브들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9595A (en) * 1972-03-01 1974-10-01 J Yonkers Connector with lining for guiding conductor into same
US3801730A (en) * 1973-05-23 1974-04-02 Gen Electric High voltage cable splice with provision for testing the insulation thereof and method of making same
DE7423507U (de) 1974-07-10 1974-11-14 Siemens Ag Kabelmuffe
CA1079042A (en) * 1975-10-31 1980-06-10 James E. Jervis Process for preparing a hermetically sealed assembly
CA1165418A (en) * 1980-05-12 1984-04-10 Marc F.L. Moisson Splicing branching or terminating cables
DE8130116U1 (de) 1981-10-15 1985-03-07 ANT Nachrichtentechnik GmbH, 7150 Backnang Ver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abelmuffe
US4888070A (en) 1987-12-01 1989-12-19 Raychem Corporation Environmental sealing of a substrate
US4849580A (en) 1988-02-11 1989-07-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nvironmental protection closure for wire splices; and method
US4880676A (en) * 1988-04-05 1989-11-14 Raychem Corporation Cable sealing apparatus
TR24079A (tr) * 1988-11-09 1991-03-01 Raychem Sa Nv Kapama duezenegi
US4944976A (en) * 1989-02-17 1990-07-31 The Zippertubing Co. Semi-rigid plastic jacket with interlocking longitudinal seam
US4963700A (en) 1989-04-26 1990-10-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losure arrangements for electrical splices
JPH0353466A (ja) 1989-07-19 1991-03-07 Three Bond Co Ltd 連結部材の被覆材
GB8923408D0 (en) * 1989-10-17 1989-12-06 Raychem Ltd Electrical insulator
DE9001931U1 (ko) 1990-02-19 1990-04-26 Rehau Ag + Co, 8673 Rehau, De
EP0552244B1 (en) * 1990-10-09 1995-12-20 Raychem Corporation Environmental antioxidant wrap-enclosure for an aerial enclosure
US5505230A (en) * 1992-03-19 1996-04-09 Proprietary Technology, Inc. Means for protecting conducting equipment
US5397859A (en) * 1993-12-10 1995-03-14 The Whitaker Corporation Enclosure with sealant for spliced coaxial cables
US5525073A (en) * 1994-06-01 1996-06-11 Raychem Corpor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device with manually operated latch mechanism
FR2723271B1 (fr) 1994-07-29 1998-01-30 Pirelli Cables Sa Accessoire de raccordement de cables d'energie basse tension
US5962811A (en) * 1995-04-28 1999-10-05 Thomas & Betts Corporation Cable splice enclosure
CA2226732A1 (en) * 1995-07-10 1997-01-30 Raychem Corporation Sealed interconnection device
US5801332A (en) * 1995-08-31 1998-09-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ically recoverable silicone splice cover
US5763835A (en) * 1995-11-01 1998-06-09 Raychem Corporation Gel-filled closure
DE19751844C2 (de) * 1997-11-22 2001-03-22 Reinhold Barlian Einrichtung zum Anschließen und Verbinden einer Leitung
TW479053B (en) * 1998-10-19 2002-03-11 Agro Kanesho Co Ltd Hydrazineoxoacetamide derivatives and pesticides
US6094792C1 (en) * 1998-12-15 2002-05-21 Raychem Corp Apparatus for installing flashover protection covers on energized electrical power lines
US6219907B1 (en) * 1999-10-12 2001-04-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and-held apparatus for installing flashover protection covers on energized electrical conductors and equipment
US6265665B1 (en) * 1999-11-30 2001-07-24 Homac Manufacturing Company Gel-filled ca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associated method
DE60120119D1 (de) * 2000-03-07 2006-07-06 Tyco Electronics Raychem Nv Kabelabdichtung
US6730847B1 (en) * 2000-03-31 2004-05-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protector k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6545219B1 (en) 2000-04-24 2003-04-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rap-around cable sleeves having an expandable body portion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6609937B2 (en) * 2001-04-16 2003-08-26 G & H Industries Cable and phone plug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7072188B2 (en) * 2002-10-29 2006-07-04 Arctic Cat Inc. Power distribution module for personal recreational vehicle
JP4190860B2 (ja) * 2002-10-29 2008-12-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常温収縮チューブ
GB2449120A (en) 2007-05-11 2008-11-12 Tyco Electronics A composite sealing tape having two layers
US20090283294A1 (en) * 2008-05-16 2009-11-19 Rudolf Robert Bukovnik Cover Assembly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3174A (en) 1979-10-11 1982-04-06 Wood Thomas J Apparatus for dispensing mastic material
US4801651A (en) 1986-03-03 1989-01-31 Tonen Sekiyukagaku K.K. Method of manufacture of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unds
KR20040091108A (ko) * 2002-03-06 2004-10-27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길이방향 실란트 챔버를 가지는 주위 밀폐식 랩-어라운드케이블 슬리브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62B1 (ko) * 2019-07-10 2020-03-0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팽창형 슬리브 결합형 내화용 케이블 그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15751A1 (en) 2012-06-21
BR112012010584B1 (pt) 2021-05-04
MX2012005299A (es) 2012-07-30
US8415564B2 (en) 2013-04-09
WO2011056363A3 (en) 2012-03-15
CA2779682C (en) 2015-03-24
JP5688855B2 (ja) 2015-03-25
KR20120083511A (ko) 2012-07-25
JP2013510544A (ja) 2013-03-21
BR112012010584A2 (pt) 2016-03-22
EP2497171B1 (en) 2017-07-05
US20110100671A1 (en) 2011-05-05
RU2012122597A (ru) 2013-12-10
CA2779682A1 (en) 2011-05-12
CN102668287B (zh) 2016-05-18
CN102668287A (zh) 2012-09-12
WO2011056363A2 (en) 2011-05-12
AU2010315751B2 (en) 2014-06-26
EP2497171A2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207B1 (ko) 랩-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CA2816259C (en) Cable connector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ame
US7858883B2 (en) Methods and kits for covering electrical cables and connections
RU2396659C1 (ru) Изделие холодной усадки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зделия холодной усадки
US10411456B2 (en) Cover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vering electrical cables and connections
US7476114B1 (e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030570B2 (e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963759B2 (ja) ケーブル接続部用エンクロージャ
US7863521B2 (en) Cold shrink article and method of using cold shrink article
US20090283294A1 (en) Cover Assembly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WO2013158424A1 (en) Cable connector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ame
US9960576B2 (e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283878B2 (en) Neutral conductor connection protection devices and cover assembly kits,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including same
US10734797B2 (en) Cover assemblies for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ons and pre-expanded units and methods including same
US10389103B2 (en) Breakout boot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vering electrical cables and connections
AU3572000A (en) Cable joints and termin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