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143B1 - 갤러리 창호 - Google Patents

갤러리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143B1
KR101433143B1 KR1020120128091A KR20120128091A KR101433143B1 KR 101433143 B1 KR101433143 B1 KR 101433143B1 KR 1020120128091 A KR1020120128091 A KR 1020120128091A KR 20120128091 A KR20120128091 A KR 20120128091A KR 101433143 B1 KR101433143 B1 KR 10143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opening
galler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012A (ko
Inventor
한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우텍
Priority to KR102012012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1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갤러리 창호(A)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20)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4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20)을 연결하여 다수의 갤러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20)은
개방부(231)를 갖는 바디(23)와,
상기 바디(23)의 개방부(23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갤러리(10)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251)을 갖는 커버(25)를 포함하여 탈부착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갤러리 창호 {GALLERY WINDOW}
본 발명은 갤러리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갤러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갤러리 창호로써,
다수의 갤러리 조립 및 분해 시 고정 볼트를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갤러리 조립 시 이를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수직프레임 바디의 개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갤러리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구비하여, 상기 갤러리가 수직프레임에 결합 시 고정 볼트가 필요하지 않아 탈부착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있는 갤러리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갤러리 창호는 건축의 창문에 창문과 함께 또는 창문에 대체하여 설치되어 환기, 차광, 차양 및 방풍, 방수 등이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물로서, 창틀 프레임에 창문과 함께 중첩 배열되거나 대체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갤러리 창호에 해당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39069호『갤러리 창호』가 있는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갤러리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평행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 하측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갤러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면 고정 장착되어 상기 갤러리를 고정하는 고정구는 타원형 형상에서 일측 측면을 갤러리가 삽입되도록 장착홈을 형성하고 타측 측면으로는 수직 프레임과 많은 면이 접촉되고, 갤러리의 경사각과 일치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수직면과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의 기술은 상기 갤러리를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면에 고정구를 이용하여 일측 측면에서 갤러리가 삽입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갤러리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44575호 『갤러리 창호』가 있는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갤러리 창호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톱니모양의 상부굴곡부가 형성된 상부판과, 상부면에 상기 상부굴곡부보다 단면의 크기가 작은 톱니모양의 하부굴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사이에서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된 투광성 복층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실외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배열되는 다수의 루버 및, "ㄷ"자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루버의 실내측 단부에 조립되며, 외측면에 빗물넘침방지턱이 상측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제1엔드캡 및 "ㄷ"자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루버의 실외측 단부에 조립되며, 외측면에 빗물유입방지턱이 상기 루버의 판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제2엔드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루버간의 설치간격을 넓혀 환기효과를 증대시키면서, 빗물방울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루버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고안은 루버를 수직프레임에 결합시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0-0116936호 『갤러리 창호 개폐구조』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갤러리 창호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갤러리의 측벽을 형성하는 사각틀 형상을 가지고 하부의 하부프레임과, 상부의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 및 상부프레임을 수직으로 구획하는 수 개의 수직프레임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는 측벽용 갤러리 창호를 포함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구조에 있어서 모든 갤러리 창호는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측벽용 갤러리 창호 사이에 단턱진 부분이 없도록 구성되고 개방시에는 인접한 갤러리 창호 중 일 갤러리 창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폭 이동한 후 인접한 갤러리 창호의 정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구조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갤러리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를 제공하되 닫혀 있는 평상시에는 다수의 갤러리 창호가 이루는 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개폐구조의 기술을 제시하고 있어,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6-0090953호 『측벽용 갤러리 창호』가 있는데, 갤러리의 측벽을 형성하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일측에 마그네트가 부착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타단에는 상기 마그네트에 부착되는 접합편이 구비되는 갤러리 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갤러리 창은 상ㅇ하 간격을 두고 수평 배치되는 길이재의 수평프레임 및 이들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 구비되는 판재형의 갤러리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용 갤러리 창호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갤러리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 상기 갤러리 창호가 측벽에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갤러리 창호에 있어서, 그 목적은 갤러리 창호를 조립 및 분해함에 있어 다수의 갤러리 조립 및 분해 시 고정볼트를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갤러리 조립 시 이를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수직프레임 바디의 개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갤러리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구비하여, 상기 갤러리가 수직프레임에 결합 시 고정볼트가 필요하지 않아 탈부착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있고,
외부 발코니 또는 외부와 접하는 창문에 설치하여, 직사광선 즉, 햇빛이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여름철 냉방비 절감과 방법창역할과 외부로부터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는 갤러리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갤러리 창호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다수의 갤러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은
개방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갤러리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갖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갤러리 커버에서
상기 바디의 개방부 벽면과, 상기 바디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표면에는 착탈 가능하게 서로 암수결합되는 암놈과 수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커버의 탈부착이 용이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갤러리 창호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다수의 갤러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은
개방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개방부의 개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갤러리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갖는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갤러리가 수직프레임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과 고정브라켓 결합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과 이동가이드체 결합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갤러리(10) 창호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20)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4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20)을 연결하여 다수의 갤러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갤러리(1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40)에 수평이 아니라 경사지게 기울여 배치하여 차광효과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갤러리(10)의 수는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수량 및 길이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상기 갤러리 창호를 지지할 수 있게 창문의 외벽이나, 바닥 등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60)과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30)은 상부 호차(3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60)에 상부 호차(31)가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상부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호차(31)는 상부레일과 결합되는 일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여 레일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프레임(30)과 결합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갤러리 창호를 지탱할 수 있도록 결합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30)과 결합하게 된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상부의 고정브라켓(60)과 결속되는 상단체결부(21)와, 하단의 고정브라켓(60)과 결속되는 하단체결부(22) 및 상단체결부(21)와 하단체결부(22) 사이에 결속되는 바디(23)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체결부(21)와 하단체결부(22)는 각각 상기 바디(23)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0)과 고정브라켓(60)의 결합을 강하게 해준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20)은 개방부(231)를 갖는 바디(23)와, 상기 바디(23)의 개방부(23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갤러리(10)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251)을 갖는 커버(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상기 바디(23)의 개방부(231) 벽면과, 상기 바디(23)의 개방부(231)에 결합되는 결합부(253) 표면에는 착탈 가능하게 서로 암수결합되는 암놈(231a)과 수놈(25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 4A 는 상기 바디(23)의 개방부(231)와 상기 결합부(253)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였고, 도 4B는 상기 바디(23)의 개방부(231)와 상기 결합부(253)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이는 도면을 이해하기 쉽도록 실시예의 하나를 도시 한 것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3)의 개방부(231) 벽면의 내부에 암놈(231a)이 구비되고 결합부(253) 외벽에 수놈(253a)이 구비되어 암수결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실시예로는 상기 바디(23)의 개방부(231) 벽면의 외부에 암놈(231a)이 구비되고 결합부(253) 내벽에 수놈(253a)이 구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암놈(231a), 수놈(253a)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고, 또 서로 상호 보완하여 암놈(231a)과 수놈(253a)의 위치가 바뀌는 형태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갤러리 창호의 하단에는,
수평부(51)와, 상기 수평부(51)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부(53)를 갖으며 '┴'모양의 가이드레일(50)과,
상기 수직프레임(20) 또는 하부프레임(40)의 바닥에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장착되며, 상기 수직부(53)가 수용되어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가이드체(41)를 구비하고,
개구부(61)와, 상기 개구부(61)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레일(50)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수용부(63)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부(61)의 폭은 상기 수평부(51)의 폭보다 좁으며, 상기 수용부(63)의 깊이는 상기 수평부(51)가 눕혀져 상기 개구부(61)의 통과를 허용하는 길이를 갖는 고정브라켓(60)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고정브라켓(60)의 개구부(61)의 폭이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수평부(51)의 폭보다 좁아 수직으로 결합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수평부(51)의 일측면을 상기 개구부(61)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부(63)까지 들어간 후 상기 수평부(51)를 눕히면서 상기 수평부(51)의 타측이 수용부(63)로 들어가게 한다.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60)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수평부(51)의 양측면에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 및 상기 갤러리 창호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흔들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이드체(41)는
상기 수직프레임(20) 또는 하부프레임(40)의 바닥에 장착되는 장착부(41a)와,
상기 장착부(41a)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직부(53)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돌출부(41b)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용돌출부(41b)의 폭은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수직부(53)의 두께보다 넓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용돌출부(41b)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53)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돌기(41c)를 구성하여,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수직부(53)가 상기 수용돌출부(41b)에 수용되었을 경우, 상기 접촉돌기(41c)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수직부(53)와 상기 수용돌출부(41b)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고, 접촉면적의 감소로 인해 마찰로 인한 열에 의한 파손 및 이격되어 생기는 공간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서로 직접 전달하지 않아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갤러리 창호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한 개가 배치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의 갤러리 창호가 중첩 배열되어 슬라이드형식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슬라이딩 또는 접이식으로 조립되어 평상시에는 양쪽 측면에 위치해 있다가 필요시 닫아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갤러리(10) 창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갤러리 창호 10 : 갤러리
20 : 수직프레임 21 : 상단체결부
22 : 하단체결부 23 : 바디
231 : 개방부 231a : 암놈
25 : 커버 251 : 삽입홀
253 : 결합부 253a : 수놈
30 : 상부프레임 31 : 상부 호차
40 : 하부프레임 41 : 이동가이드체
41a : 장착부 41b : 수용돌출부
41c : 접촉돌기 50 : 가이드레일
51 : 수평부 53 : 수직부
60 : 고정브라켓 61 : 개구부
63 : 수용부

Claims (4)

  1.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다수의 갤러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은
    개방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갤러리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갖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부를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바닥에 장착되며, 상기 수직부가 수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가이드체와,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수평부의 폭보다 좁으며, 상기 수용부의 깊이는 상기 수평부가 눕혀져 상기 개구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길이를 갖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개방부 벽면과, 상기 바디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표면에는 착탈 가능하게 서로 암수결합되는 암놈과 수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체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바닥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수직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돌출부와,
    상기 수용돌출부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KR1020120128091A 2012-11-13 2012-11-13 갤러리 창호 KR10143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091A KR101433143B1 (ko) 2012-11-13 2012-11-13 갤러리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091A KR101433143B1 (ko) 2012-11-13 2012-11-13 갤러리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12A KR20140061012A (ko) 2014-05-21
KR101433143B1 true KR101433143B1 (ko) 2014-08-26

Family

ID=5089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091A KR101433143B1 (ko) 2012-11-13 2012-11-13 갤러리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1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768A (ja) * 2005-03-10 2006-09-21 Riken Light Metal Ind Co Ltd ルーバー装置
KR200446079Y1 (ko) 2009-05-26 2009-09-24 이정애 외부 갤러리창
KR101201585B1 (ko) * 2011-03-24 2012-11-14 강민성 갤러리용 회전 창호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768A (ja) * 2005-03-10 2006-09-21 Riken Light Metal Ind Co Ltd ルーバー装置
KR200446079Y1 (ko) 2009-05-26 2009-09-24 이정애 외부 갤러리창
KR101201585B1 (ko) * 2011-03-24 2012-11-14 강민성 갤러리용 회전 창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12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086B1 (ko) 45°의 이음부위를 갖는 창호문 조립구조
CN101663453B (zh) 具有可安装和可拆卸的导轨的门窗框架
US9453360B2 (en) Window/ 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101734011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KR200475892Y1 (ko) 미서기 창호
KR101427053B1 (ko) 창호용 방풍 방음체
KR100917865B1 (ko) 단열 외창
KR20100120867A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KR102178628B1 (ko) 기밀 유지 및 강도가 보강되는 창틀
KR101547844B1 (ko) 조립식 구조물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20210000838U (ko) 가변형 방범창
JP5760141B2 (ja) エアシールドウィンドウ
KR101433143B1 (ko) 갤러리 창호
KR102058920B1 (ko) 레일은폐형 창호에 설치되는 은폐판의 단열구조
KR101726219B1 (ko)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갤러리 창호 어셈블리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CN111946229A (zh) 一种单摆式联动百叶窗、联动百叶天窗屋顶及百叶片
KR200451130Y1 (ko) 창틀 및 문틀 고정용 브래킷
KR102183148B1 (ko) 유리 난간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101200012B1 (ko)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KR100831423B1 (ko) 방풍용 창호
KR101042348B1 (ko) 오토 워시 이중 창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