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983B1 -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983B1
KR101432983B1 KR1020120106770A KR20120106770A KR101432983B1 KR 101432983 B1 KR101432983 B1 KR 101432983B1 KR 1020120106770 A KR1020120106770 A KR 1020120106770A KR 20120106770 A KR20120106770 A KR 20120106770A KR 101432983 B1 KR101432983 B1 KR 10143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module
output
ballast wat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915A (ko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천상규
이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이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이대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2010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983B1/ko
Priority to PCT/KR2013/001297 priority patent/WO2014051225A1/ko
Publication of KR2014003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자외선램프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러스트수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자외선램프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 정보를 출력하는 전원공급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위치하는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전원공급감지부에 출력된 작동 오류 정보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오류 확인의 편리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Smart power supply unit of UV lamp for sterilizing ballast water and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it}
본원발명은 자외선램프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러스트수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자외선램프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 정보를 출력하는 전원공급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위치하는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전원공급감지부에 출력된 작동 오류 정보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오류 확인의 편리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란 선박이 짐을 싣지 않고 운항하는 경우에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내의 밸러스트탱크에 채우는 해수를 의미한다. 국제교역량의 증가와 함께 해상운송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선박 수의 증가 및 대형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외래 해양생물종들로 인한 토착 해양생태계의 피해 발생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는바, 이러한 국제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4년도에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와 침전물의 통제와 관리에 대한 국제협약'이 완성되어 2009년부터 신규 건조되는 선박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밸러스트수를 해상에서 교환하거나 육상에서 처리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어 선박 내에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고, 특히 밸러스트수 처리시설에 사용되는 처리방식으로 자외선램프를 사용한 자외선 살균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를 사용한 자외선 살균방식의 경우, 선박 내로 유입된 밸러스트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장치 내로 유입되어 자외선 살균되고, 살균된 밸러스트수는 상기 살균장치에서 배출되어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자외선 살균방식의 경우, 상기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이 일정하지 않아 살균효과가 떨어지고, 상기 살균장치 내에 위치하는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오류의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살균장치 내에 자외선 조사량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전원공급장치가 자외선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의 오류 발생 정보를 릴레이 접점방식 또는 통신 방식을 통해 전달받고 디스플레이하므로,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직접 가서 전원공급장치의 오류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전원공급장치의 오류 확인의 편리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 각각의 오류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수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는 밸러스트수를 살균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자외선램프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위치하는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 정보를 출력하는 전원공급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전원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정류모듈과, 상기 살균장치 내부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상기 정류모듈에서 출력된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출력조절모듈과, 상기 출력조절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안정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는 상기 정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를 검출하는 전원감지모듈과, 상기 전압안정화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는 상기 전압안정화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센싱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를 검출하는 출력전압감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감지모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정류모듈까지의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전원감지모듈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지 않는데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 또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출력조절모듈 또는 전압안정화모듈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압공급장치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냉각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냉각제어모듈과,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는 상기 외부전원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정류모듈에 전원 공급시 발생할 수 있는 순간적인 과도전류를 억제하는 돌입전류방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감지모듈은 상기 정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이 과전압인지 저전압인지 또는 결선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며,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은 상기 자외선램프의 개방회로 감지 및 자외선램프의 관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은 상기 자외선램프의 단락회로 감지 및 자외선램의 관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은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되는 살균장치와, 상기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오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살균장치,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의 전원공급장치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작동 오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작동 오류 정보 발생시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오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작동 오류 정보는 릴레이를 이용한 접점 방식 또는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감지모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정류모듈, 출력조절모듈, 전압안정화모듈의 항목에 오류표시가 생성된 정보화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며, 상기 전원감지모듈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지 않는데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 또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정류모듈의 항목에는 오류표시가 생성되지 않으나 출력조절모듈, 전압안정화모듈의 항목에 오류표시가 생성된 정보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살균장치 내에 자외선 조사량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전원공급장치가 자외선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의 오류 발생 정보를 릴레이 접점방식 또는 통신 방식을 통해 전달받고 디스플레이하므로,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직접 가서 전원공급장치의 오류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전원공급장치의 오류 확인의 편리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 각각의 오류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수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살균장치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컨트롤러의 블럭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오류정보화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의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살균장치의 부분절단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컨트롤러의 블럭도이며,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오류정보화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은 선박의 취수펌프(100)로부터 취수된 밸러스트수를 자외선램프(12)를 사용하여 살균하는 살균장치(1)와, 상기 살균장치(1)의 자외선램프(1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2)와, 상기 살균장치(1) 및 전원공급장치(2)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와, 상기 전원공급장치(2)의 작동오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와, 상기 살균장치(1)에서 살균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되는 밸러스트탱크(5)를 포함하여, 상기 살균장치(1) 내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12)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살균장치(1) 내의 자외선 조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밸러스트수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살균장치(1)는 선박 내로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자외선을 사용하여 살균하는 구성으로, 상기 살균장치(1)는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될 수 있는 유입부(111)와 유출부(112)를 갖는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12)와, 상기 자외선램프(12)를 둘러싸는 슬리브관(13)과, 상기 슬리브관(13)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14)와, 상기 자외선램프(12)에서 나오는 자외선의 조사량을 측정하는 자외선강도계(15)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1)는 상기 살균장치(1)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1)와 살균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유출되는 유출부(112)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부(111)과 유출부(112)가 상기 바디(11) 원통형의 옆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자외선램프(12)를 통과하여 살균되는 밸러스트수의 살균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자외선램프(12)는 상기 바디(11)의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 자외선을 방출하는 부분으로, 막대나 봉 형상의 상기 자외선램프(12)는 상기 바디(11)의 내부에 위치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11)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바디(11)의 원통형 내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111)과 유출부(112)를 통하여 흐르는 밸러스트수는 상기 자외선램프(12) 사이를 수직으로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바디(11) 내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후술할 전원공급장치(2)가 자외선램프(12)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바디(11) 내의 자외선 조사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슬리브관(13)은 상기 자외선램프(12)를 둘러쌓아 상기 자외선램프(12)의 파손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자외선 투과 효율이 뛰어난 석영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관(13)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하게 되면 방출되는 자외선의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관(13) 표면은 상기 세척부(14)에 의해 세척되게 된다.
상기 세척부(14)는 상기 슬리브관(13)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으로, 상기 슬리브관(13)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와이퍼(141)와, 상기 와이퍼(141)를 연결하는 구동축(142)과, 상기 구동축(142)과 연결되어 구동축(142)을 작동시키는 구동모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141)는 상기 슬리브관(13)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리브관(13) 외주면 전체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관(13)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와이퍼(141) 역시 다수 개가 존재하게 되고 이 경우 각각의 와이퍼(141)는 상기 구동축(1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142)은 상기 와이퍼(141)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141)를 이동시켜 상기 와이퍼(141)가 상기 슬리브관(13)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11)의 내부 중앙에 상기 바디(11)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은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142)의 일단은 상기 구동모터(143)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143)는 상기 구동축(142)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42) 및 와이퍼(141)를 작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강도계(15)는 상기 바디(11) 내부의 자외선의 강도, 즉 자외선 조사량을 측정하는 부분으로, 상기 자외선강도계(15)에서 측정된 자외선 조사량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컨트롤러(3)에 전송된다. 상기 자외선강도계(15)는 예컨대, 상기 바디(11)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바디(11)의 내부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강도계(15)에 측정되는 자외선 조사량이 떨어지는 경우, 상기 슬리브관(12)에 이물질이 부착되었거나, 복수 개의 자외선램프(12) 중 일부의 고장 또는 자외선램프(12)의 출력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바디(10) 내의 자외선 조사량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자외선램프(12)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슬리브관(13)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2)는 상기 자외선램프(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상기 자외선강도계(15)에서 측정된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12)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2)는 송수신모듈(21), 전원공급부(22), 전원공급감지부(23), 냉각제어모듈(24), 전원모듈(25), 입력모듈(26), 제어모듈(27)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모듈(21)은 상기 컨트롤러(3)와 정보를 교환하는 구성으로, 릴레이 접점 방식 또는 통신 방식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송수신모듈(21)은 전류의 형태로 상기 컨트롤러(3)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바디(11) 내부의 자외선 조사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송수신모듈(21)이 수신한 자외선 조사량에 대한 정보는 증폭부(미도시)에 의해 증폭되어 상기 제어모듈(27)에 출력된다. 또한, 상기 송수신모듈(21)은 상기 전원공급감지부(23)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 오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3)에 전송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2)는 상기 자외선강도계(15)가 측정한 상기 바디(11) 내부의 자외선 조사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출력값을 조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1)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정류모듈(221), 출력조절모듈(222), 전압안정화모듈(223), 램프출력모듈(224)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정류모듈(221)은 외부전원공급원(30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정류회로와 평활회로를 포함하여 정류 출력을 안정화시킨다.
상기 출력조절모듈(222)는 상기 자외선강도계(15)가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를 상기 전원공급장치(2)에 전송된 상기 바디(10) 내부의 자외선 조사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정류모듈(221)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플브릿지(full bridge 방식으로 구동된다. 상기 자외선강도계(15)에 측정되는 자외선 조사량이 떨어지는 경우, 상기 슬리브관(13)에 이물질이 부착되었거나, 복수 개의 자외선램프(12) 중 일부의 고장 또는 자외선램프(12)의 출력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바디(10) 내의 자외선 조사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출력조절모듈(222)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세기를 증가시켜 상기 자외선램프(12)에 공급한다.
상기 전압안정화모듈(223)은 상기 출력조절모듈(223)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구성으로, 라인 코일(line coil)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출력부(224)는 상기 자외선램프(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압안정화모듈(223)에서 출력된 전원을 상기 자외선램프(12)에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2)는 상기 전원공급부(22)를 통해 상기 살균장치(1) 내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12)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살균장치(1) 내의 자외선 조사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감지부(23)은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여 작동 오류 발생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돌입전류방지모듈(231), 전원감지모듈(232), 출력전류감지모듈(233), 출력전압감지모듈(23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감지부(23)를 통해 출력된 작동 오류 발생 정보는 상기 제어모듈(27), 송수신모듈(21)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3)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되게 된다.
상기 돌입전류방지모듈(231)은 상기 외부전원공급원(300)으로부터 상기 정류모듈(221)에 전원 공급시 발생할 수 있는 순간적인 과도전류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돌입전류 방지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감지모듈(232)은 상기 정류모듈(221)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 오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전원감지 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정류모듈(221)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이 과전압인지 저전압인지 또는 결선이 되었는지 감지하여 오류를 검출한다. 상기 전원감지모듈(231)에서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이는 상기 정류모듈(221)까지의 전원공급부(22)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233)은 상기 전압안정화모듈(223)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 오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전류센서를 가지는 출력전류 감지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의 개방회로 감지 및 자외선램프의 램프전류(관전류)의 측정을 통해 오류를 검출한다.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234)은 상기 전압안정화모듈(223)에서는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를 센싱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 오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출력전류 감지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의 단락회로(short circuit) 감지 및 자외선램프의 램프전압(관전압)의 측정을 통해 오류를 검출한다. 상기 전원감지모듈(232)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지 않는데,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223) 또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224)에서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이는 상기 출력조절모듈(222) 또는 전압안정화모듈(223)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기 냉각제어모듈(24)은 상기 전원공급장치(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냉각팬(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원공급장치(2)의 작동과정에서 생기는 발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장치(2) 내부의 온도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냉각팬을 가동을 지시한다.
상기 전원모듈(25)은 상기 전원공급장치(2)를 작동시키기 위한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모듈이며, 상기 입력모듈(26)은 상기 전원공급장치(2)의 작동 시작 및 중지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듈이고, 상기 제어모듈(27)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제1송수신부(31), 제2송수신부(32), 세척조절부(33), 조사량정보부(34), 오류검출부(35), 제어부(36)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송수신부(31)는 상기 살균장치(1), 취수펌프(100), 배수펌프(200)와 정보를 교환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2송수신부(32)는 상기 전원공급장치(2)와 정보를 교환하는 구성으로 릴레이 접점 방식 또는 통신 방식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세척조절부(33)는 상기 자외선강도계(15)에서 측정되는 자외선 조사량이 일정범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상기 세척부(14)의 작동의 지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세척조절부(33)의 제어 지시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33)는 작동하여 상기 구동축(332)을 따라 상기 와이퍼(331)가 이동하면서 상기 슬리브관(13)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조사량정보부(34)는 상기 제1송수신부(31)가 수신한 상기 자외선강도계(15)로부터 출력된 상기 바디(10) 내의 자외선 조사량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2송수신부(32)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장치(2)에 분석된 자외선 조사량 정보의 전송을 지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디(11) 내의 자외선 조사량의 측정값이 일정 범위 미만이 되는 경우 전류의 형태로 상기 자외선 조사량 정보가 상기 전원공급장치(2)에 전송된다. 상기 바디(11) 내의 자외선 조사량의 측정값이 적으면 적을수록 상기 전원공급장치(2)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 작아지게 된다.
상기 오류검출부(35)는 상기 전원공급감지부(23)로부터 출력되는 작동 오류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작동 오류 정보 발생시 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컨트롤러(3)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전원공급장치(2)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 오류 정보를 릴레이 접점방식 또는 통신 방식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데, 상기 전원공급장치(2)는 상기 살균장치(1)와 함께 선박의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3) 및 디스플레이부(4)는 선박의 조정실에 설치되므로, 상기 전원공급장치(2)가 설치된 기계실에 직접 가지 않고서도 상기 조정실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2)의 작동 오류를 확인할 수 있어 상기 전원공급장치(1)의 작동 오류 확인의 편리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감지모듈(232)에서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이는 상기 정류모듈(221)까지의 전원공급부(22)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고, 상기 전원감지모듈(232)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지 않는데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223) 또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224)에서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이는 상기 출력조절모듈(222) 또는 전압안정화모듈(223)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즉 전원공급부(22)를 이루는 구성 각각의 오류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수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는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러(3)에 의해 제어된다. 예컨대, 상기 전원공급감지부(23)에서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모듈, 출력조절모듈, 전압안정화모듈의 항목에 오류표시가 생성되지 않는 정보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에 출력된다. 상기 전원감지모듈(232)에서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이는 상기 정류모듈(221)까지의 전원공급부(22)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모듈, 출력조절모듈, 전압안정화모듈의 항목에 오류표시가 생성된 정보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에 출력된다. 상기 전원감지모듈(232)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지 않는데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223) 또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224)에서 상기 전원공급부(22)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이는 상기 출력조절모듈(222) 또는 전압안정화모듈(223)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모듈의 항목에는 오류표시가 생성되지 않고 출력조절모듈, 전압안정화모듈의 항목에 오류표시가 생성된 정보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에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4)에 표시된 정보화면을 확인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2)를 이루는 구성 각각의 오류 여부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전원공급장치의 수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탱크(5)는 상기 살균장치(1)를 통과하여 살균된 밸러스트수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원통형, 장방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SUS304 또는 SPV300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선박에 화물을 선적할 시에는 취수펌프(200)가 작동하여 상기 밸러스트탱크(5)에 저장된 밸러스트수는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살균장치 11: 바디 12: 자외선램프
13: 슬리브관 14: 세척부 15: 자외선강도계
111: 유입부 112: 유출부 141: 와이퍼
142: 구동축 143: 구동모터
2: 전원공급장치 21: 송수신모듈 22: 전원공급부
23: 전원공급감지부 24: 냉각제어모듈 25: 전원모듈
26: 입력모듈 27: 제어모듈 221: 정류모듈
222: 출력조절모듈 223: 전압안정화모듈 224: 램프출력모듈
231: 돌입전류방지모듈 232: 전원감지모듈 233: 출력전류감지모듈
234: 출력전압감지모듈
3: 컨트롤러 31: 제1송수신부 32: 제2송수신부
33: 세척조절부 34: 조사량정보부 35: 오류검출부
36: 제어부 4: 디스플레이부 5: 밸러스트탱크

Claims (11)

  1. 밸러스트수를 살균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자외선램프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 정보를 출력하는 전원공급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위치하는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살균장치 내의 자외선 조사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전원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정류모듈과, 상기 살균장치 내부의 자외선 조사량에 따라 상기 정류모듈에서 출력된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출력조절모듈과, 상기 출력조절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안정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냉각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냉각제어모듈과,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는 상기 외부전원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정류모듈에 전원 공급시 발생할 수 있는 순간적인 과도전류를 억제하는 돌입전류방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는
    상기 정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를 검출하는 전원감지모듈과, 상기 전압안정화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감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는
    상기 전압안정화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센싱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 오류를 검출하는 출력전압감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감지모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정류모듈까지의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전원감지모듈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지 않는데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 또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출력조절모듈 또는 전압안정화모듈의 작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감지모듈은 상기 정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이 과전압인지 저전압인지 또는 결선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며,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은 상기 자외선램프의 개방회로 감지 및 자외선램프의 관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은 상기 자외선램프의 단락회로 감지 및 자외선램프의 관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9.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되는 살균장치와; 상기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오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살균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제8항에 있어서의 전원공급장치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작동 오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작동 오류 정보 발생시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오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작동 오류 정보는 릴레이를 이용한 접점 방식 또는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감지모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정류모듈, 출력조절모듈, 전압안정화모듈의 항목에 오류표시가 생성된 정보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며,
    상기 전원감지모듈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지 않는데 상기 출력전류감지모듈 또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모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오류가 출력되는 경우 정류모듈의 항목에는 오류표시가 생성되지 않으나 출력조절모듈, 전압안정화모듈의 항목에 오류표시가 생성된 정보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KR1020120106770A 2012-09-25 2012-09-25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KR101432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770A KR101432983B1 (ko) 2012-09-25 2012-09-25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PCT/KR2013/001297 WO2014051225A1 (ko) 2012-09-25 2013-02-19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770A KR101432983B1 (ko) 2012-09-25 2012-09-25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915A KR20140039915A (ko) 2014-04-02
KR101432983B1 true KR101432983B1 (ko) 2014-08-27

Family

ID=5038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770A KR101432983B1 (ko) 2012-09-25 2012-09-25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2983B1 (ko)
WO (1) WO2014051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2151B (zh) * 2015-07-29 2023-07-28 胜艺科研发私人有限公司 用于向目标物体或目标区域施加叠加的时变频率电磁波的方法和系统
CN112843273A (zh) * 2021-01-15 2021-05-28 山东山速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消毒机器人控制方法、控制装置及消毒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400A (ja) * 2003-09-25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紫外線ランプ点灯装置
US20080190826A1 (en) 2007-02-09 2008-08-14 Miner Jeffery 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KR20110022032A (ko) * 2011-02-17 2011-03-04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10135790A (ko) * 2010-10-22 2011-12-19 주식회사 파나시아 수밀기능을 가진 자외선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4423A (en) * 1993-02-11 1994-06-28 Amway Corporation UV bulb intensity control for water treatment system
US7862728B2 (en) * 2007-09-27 2011-01-04 Water Of Life, Llc.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100060839A (ko) * 2008-11-28 2010-06-07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00093259A (ko) * 2009-02-16 2010-08-2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400A (ja) * 2003-09-25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紫外線ランプ点灯装置
US20080190826A1 (en) 2007-02-09 2008-08-14 Miner Jeffery 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KR20110135790A (ko) * 2010-10-22 2011-12-19 주식회사 파나시아 수밀기능을 가진 자외선 살균장치
KR20110022032A (ko) * 2011-02-17 2011-03-04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915A (ko) 2014-04-02
WO2014051225A1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6298B2 (en) Water purifier
EP2325081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US9248208B2 (en) Device for sterilizing ice machine using ozone gas from electrolytic ozone generator
CN1303002C (zh) 流体处理系统
MX2011011660A (es) Sistema de tratamiento de agua multimodal, portatil e independiente, y metodos.
US11293934B2 (en) Automatic analyzer
KR101432983B1 (ko) 밸러스트수 살균용 자외선램프의 스마트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WO2009013507A1 (en) Treatment apparatus
CN106477666B (zh) 净水系统及杀菌方法
US20160016777A1 (en) Water dispenser
CN102048516B (zh) 用于内窥镜的光源装置及故障检测方法
CN103713673A (zh) 压载水处理的紫外线杀菌装置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11952293B2 (e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fluid
KR101584051B1 (ko) 밸러스트수의 탁도를 고려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08467083A (zh) 一种多波段紫外水杀菌装置及方法
US7586104B2 (en) Non-heating type fluid sterilizing apparatus
JP6422900B2 (ja) 液体処理装置及び液体処理システム
JP2005052760A (ja) 紫外線照射装置
KR20150104376A (ko) 밸러스트수 살균처리용 자외선램프의 표면 스케일 제거장치
CN106006829A (zh) 一种紫外光消毒水箱
RU5315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ого облучения
KR20210114492A (ko) 전력 공급부의 램프 센서 변조
CN106186173A (zh) 一种远程控制式紫外光消毒水箱
JP2005279434A (ja) 飲用水供給機
US8455836B2 (en) Sensor system for constantly monitoring an irradiance level of a UV lamp and for being operated by power from a senso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