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538B1 -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538B1
KR101432538B1 KR1020130055260A KR20130055260A KR101432538B1 KR 101432538 B1 KR101432538 B1 KR 101432538B1 KR 1020130055260 A KR1020130055260 A KR 1020130055260A KR 20130055260 A KR20130055260 A KR 20130055260A KR 101432538 B1 KR101432538 B1 KR 10143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contact
contact members
brush
conductive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대
최현영
성호용
이영철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5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8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 G01R31/309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of printed or hybrid circuits or circuit subst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위치감지센서는, 베이스 기판과, 전극들의 사이에서 저항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서 상기 전극들에 연결되는 저항체와, 상기 저항체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항체가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저항체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관통공들을 구비하는 보호층과, 상기 관통공들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재들, 및 피감지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피감지물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재들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브러시를 포함하여, 상기 전도성 브러시가 상기 접촉부재들과 연속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이산형 위치감지센서{DISCRETE POTENTIOMETER}
본 발명은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여 외부의 움직이는 요소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방, 항공우주, 원자력 및 화력 발전 등의 분야에서 피감지물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고온용 위치감지센서에 대한 수요가 증가를 하고 있는데 기존의 위치감지센서의 경우 최고 운용온도가 150 ℃ 정도이기 때문에 고온환경에서 운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고온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피감지물의 위치를 측정할 경우 피감지물의 정밀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을 정밀하게 운용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는 외부의 움직이는 요소에 연결된 전도성 브러시가 저항체 위를 직접 접촉하여 움직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브러시가 움직임에 따라 저항체의 끝단과 전도성 브러시 사이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는데 이 저항값과 기준 저항값의 비로 전도성 브러시에 연결된 피감지물의 위치를 측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위치감지센서의 경우 저항체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오염물질이 저항체에 흡착되거나 고온 환경에서 저항체의 산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고온 환경을 포함한 극한 환경에서 신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브러시가 저항체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저항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위치감지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행체 내부의 고온 환경에서 사용의 제한이 없는 위치감지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위치감지센서는, 베이스 기판과, 전극들의 사이에서 저항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서 상기 전극들에 연결되는 저항체와, 상기 저항체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항체가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저항체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관통공들을 구비하는 보호층과, 상기 관통공들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재들, 및 피감지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피감지물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재들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브러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저항체의 양단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패드들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전극패드들의 사이에서 선형으로 배열된다. 상기 접촉부재들은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 라인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전도성 브러시가 상기 선형을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접촉부재들 중 어느 하나와의 접촉이 끊어지기 전에 상기 접촉부재들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저항체의 양단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패드들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전극패드들의 사이에서 선형으로 배열된다. 상기 접촉부재들은 또한 제 1라인으로 이루어져 있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 두 부분이 사선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예에 적용되는 전도성 브러시는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하는 두 부분 이상의 외팔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브러시가 이동함에 따라 전도성 브러시의 한 부분이 상기 접촉부재의 한 부분을 먼저 접촉하고 이어서 이 접촉이 끊어지기 전에 상기 전도성 브러시의 다른 한 부분이 접촉부재의 다른 한 부분을 접촉하는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저항체는, 상기 전도성 브러시의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패터닝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부들, 및 상기 수직부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들을 직렬로 연결하도록 패터닝되는 수평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수직부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들은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직부들의 일단 및 타단을 번갈아가며 연결하며,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복수의 열을 따라 배치되게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부들의 일단 및 타단에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수직부들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가 상기 수평부들을 따라 형성되는 폭보다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저항체에 적층된 채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관통공들에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저항체의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저항체와 함께 상기 절연층을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공간분해능을 향상되도록, 상기 보호층, 관통공들 및 접촉부재들은 각각 미세가공공정을 이용한 미세 패터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항체는 불순물주입방법(dop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비행체 본체,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비행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위치감지센서는, 보호층과 접촉부재들을 이용함에 따라 저항체의 손상, 오염 및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위치감지센서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위치감지센서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가공공정(MEMS/NEMS)을 통해 저항체 및 접촉패드의 패턴을 세밀하게 집적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해능(resolution)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접촉부재들의 사이에서 전도성 브러시가 접촉부재들에 겹치게 접촉됨에 따라, 저항 또는 전압이 변화되는 구간의 신호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수의 접촉부재를 이용하더라도 접촉부재가 사선형으로 이루어져있어 전도성브러시가 이동함에 따라 저항 또는 전압이 오픈되는 영역없이 계단형태의 이산형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감지센서를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센서의 평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센서의 제작 사진.
도 2는 도 1a의 전도성 브러시의 사시도.
도 3a는 도 1a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
도 3b 및 도 3c는 위치감지센서의 변형예들에 대한 도 1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
도 4는 도 1a의 위치감지센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b의 실제 제작된 위치감지센서를 가지고 전도성 브러시의 위치에 따른 전극패드와 브러시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센서의 평면도.
도 7a는 도 6의 위치감지센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 위치감지센서의 실제 제작 사진
도 8은 도 7a의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a는 도 7b의 실제 제작된 위치감지센서를 가지고 전도성 브러시의 위치에 따른 전극패드와 브러시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9b는 도 9a의 그래프를 확대한 그래프.
도 10은 위치감지센서에 전도성 브러시가 접촉되어 있는 사진.
도 11은 전도성 브러시와 위치감지센서의 다양한 접촉형태를 나타내는 실시예.
도 12a는 전도성 브러시와 위치감지센서의 접촉부 형태가 도 11의 case 1에 해당할 경우 브러시 각 부분의 공간분해능을 표시한 사시도.
도 12b는 전도성 브러시와 위치감지센서의 접촉부 형태가 도 11의 case 3에 해당할 경우 브러시 각 부분의 공간분해능을 표시한 사시도.
도 12c는 전도성 브러시와 위치감지센서의 접촉부 형태가 도 11의 case 5에 해당할 경우 브러시 각 부분의 공간분해능을 표시한 사시도.
도 13a는 위치감지센서의 또 다른 변형예(사선형 위치감지센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b는 도 13a 사선형 위치감지센서의 실제 제작 사진.
도 13c는 도 13b 사선형 위치감지센서의 확대 사진.
도 14는 도 13a의 전도성 브러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사선형 위치감지센서에 전도성 브러시가 접촉되어 있는 사시도.
도 16a는 도 13b의 실제 제작된 사선형 위치감지센서를 가지고 전도성 브러시의 위치에 따른 전극패드와 브러시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6b는 도 16a의 그래프를 확대한 그래프.
도 17a는 전도성 브러시와 사선형 위치감지센서의 접촉부 형태가 도 11의 case 1에 해당할 경우 브러시 각 부분의 공간분해능을 표시한 도면.
도 17b는 전도성 브러시와 사선형 위치감지센서의 접촉부 형태가 도 11의 case 5에 해당할 경우 브러시 각 부분의 공간분해능을 표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위치감지센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감지센서는 유도무기 또는 항공기 등의 비행체에 장착되며, 상기 비행체의 본체에 구비되는 각종 액츄에이터를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센서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센서의 제작 사진이고, 도 2는 도 1a의 전도성 브러시의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위치감지센서(100)는 전극들(미도시)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항체(110)와, 상기 저항체(110)를 따라 특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접촉부재들(120)을 포함한다. 전도성 브러시(130)가 상기 접촉부재들(120)의 배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이를 통하여 전도성 브러시(130)와 전극들의 사이의 저항 또는 전압이 달라지게 된다. 전도성 브러시(130)는 피감지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피감지물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재들(120)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전도성 브러시(130)가 저항체(110) 위를 움직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게 되는데 이 저항값과 기준 저항값의 비로 전도성 브러시(130)에 연결된 외부의 움직이는 요소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러한 예로서, 전도성 브러시(130)가 비행체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미도시)와 연결됨에 따라, 이동부재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a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위치감지센서의 변형예들에 대한 도 1a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a의 위치감지센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10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저항체(110)는 전극들의 사이에서 저항을 형성하도록 베이스 기판(140) 상에서 상기 전극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저항체(110)의 양단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패드들(151, 152)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저항체는 단일 물질, 혼합물질 또는 합금(alloy)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기판(140)에는 상기 저항체(110)를 덮도록 보호층(16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160)의 상기 저항체(110)의 산화를 방지하는 산화방지층의 역할을 하며, 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보호층(160)은 SiO2, SixNy, DLC(Diamond-like-Carbon), Ceramic materials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40)과 상기 저항체(110)의 사이에는 절연층(170)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160)은 상기 저항체(110)와 함께 상기 절연층(170)을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항체(110)와 전도성 브러시(13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보호층(160)에 관통공들(180)을 뚫고 비저항이 저항체보다 낮은 물질로 상기 관통공들(180)을 채워 넣는 공정에 의하여 상기 접촉부재들(120)이 형성된다. 접촉부재들(120)은 전도성 물질이면서, 단위 요소 저항체보다 저항이 매우 낮은 형태 또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접촉부재들은 비저항은 낮고, 고온에서 산화 진행 속도가 느리거나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접촉부재들(120)은 백금 합금, 텅스텐 합금, 그래핀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접촉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공간분해능(spatial resolution)을 향상되도록, 상기 저항체(110), 보호층(160), 관통공들(180) 및 접촉부재들(120)은 각각 미세가공공정(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및 NEMS: 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s)을 이용한 미세 패터닝(patter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 패터닝에 의하면 상기 저항체(110) 및 접촉부재들(120)의 크기가 세밀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저항체(110)는 불순물주입방법(dop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불순물주입방법은 반도체 공정 및 MEMS/NEMS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소자의 전기적 물성을 조절하기 위해 불순물을 주입하는 공정. 보통 실리콘 등의 반도체 물질에 붕소, 인 등의 물질을 주입하여 비저항, 열팽창계수, TCR(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ivity) 등의 물성을 조절하는 공정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들(180)은 상기 저항체(110)가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저항체(110)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저항체에 적층된 채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관통공들에 충전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접촉부재들(120)은 상기 관통공들(180)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저항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위치감지센서(100)의 단면 구조는 도 3b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접촉부재들(120)이 보호층(160)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접촉부재들(120)과 보호층(16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접촉부재들(120)의 외면과 보호층(160)의 외면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저항체(110)는 수직부들(111) 및 수평부들(112)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들(111)은 상기 전도성 브러시의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패터닝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그룹이 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들(112)은 상기 수직부들(1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들(111)을 직렬로 연결하도록 패터닝되는 그룹이 된다. 즉, 수평부들(112)은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직부들(111)의 일단 및 타단을 번갈아가며 연결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저항체(110)는 펄스 파형과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위치감지센서는 저항체 및 접촉부재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접촉부재들(120)은 상기 전극패드들(151, 152)의 사이에서 선형으로 배열된다. 선형의 예로서, 도 1과 같이 접촉부재들(120)은 직선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들(120)은 곡선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재들(120)은 상기 수직부들(111)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저항이 낮아지도록, 상기 접촉부재들(120)은 상기 수직부들(111)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가 상기 수평부들(112)을 따라 형성되는 폭보다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전극패드들(151, 152)과 접촉부재들(120) 사이의 저항 또는 전압은 전도성 브러시(130)의 접촉 위치에 따라 계단형태로 변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저항체(110)의 손상 및 산화를 방지하면서, 전도성 브러시(1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가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센싱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하, 이러한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전도성 브러시의 위치에 따른 전극패드와 브러시 사이의 저항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1a의 위치감지센서에서 각 접촉부재들 사이는 전기적으로 오픈(open)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가 접촉부재들 사이의 오픈(open)된 부분을 지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값이 무한대가 된다.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접촉부재들(220)은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 라인(221, 22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도성 브러시는 제1 및 제2 라인(221, 222)의 접촉부재들에 모두 접촉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부재들(220)은 3열 이상의 다열로 교차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항체(210) 및 접촉부재들(220)은 교차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부재들(220)은 수평부들(212)의 각 열을 따라 배치되게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부들(211)의 일단 및 타단에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위치감지센서는 접촉부재의 일부분이 겹치기로 교차 배열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위치감지센서의 변형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도 6의 위치감지센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 위치감지센서의 실제 제작 사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a는 도 7b의 실제 제작된 위치감지센서를 가지고 전도성 브러시의 위치에 따른 전극패드와 브러시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9b는 도 9a의 그래프를 확대한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접촉부재들(320)은 전극패드들(351, 352)의 사이에서 선형으로 배열되고, 전도성 브러시(330)가 상기 선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접촉부재들(320)은 나아가, 전도성 브러시(330)가 상기 선형을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접촉부재들(320) 중 어느 하나와의 접촉이 끊어지기 전에 상기 접촉부재들(320)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전극패드들(351, 352)를 이어주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접촉부재들(32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오버랩되며, 전도성 브러시(330)는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들에 모두 접촉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브러시의 움직임에 따라 저항 또는 전압이 도 9a와 같이 끊어짐 없는 계단 형태로 변하게 된다.
하지만 도 9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일 예의 위치감지센서는 브러시가 이동함에 따라 공간분해능(도 9b의 (a), (b) 영역)의 길이가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전도성 브러시의 각 부분과 위치감지센서의 접촉형태가 모두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도 10은 전도성 브러시가 위치감지센서에 접촉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브러시의 각 부분과 위치감지센서의 접촉부 길이(a, b) 및 형태가 브러시의 제작조건, 취급조건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11은 브러시와 위치감지센서의 다양한 접촉형태를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브러시의 형태에 따라 도 12와 같이 다양한 공간분해능이 나타난다. 그림 12에서 SRJ,w1, SRJ,w2는 브러시 각 부분의 이동에 따른 공간분해능을 나타낸다. 도 11과 도 12를 이용하여 각각의 공간분해능을 계산하면 아래 식과 같다.
SRJ,w1 = (Lp - Lov) + c = (Lp - Lov) + c
SRJ,w2 = (Lp - Lov) - c
위 식과 같이 브러시의 형태에 따라 공간분해능이 다른 값을 가진다. 따라서 브러시가 이동함에 따라 도 9와 같은 형태의 균일하지 않은 계단형태의 신호가 출력된다.
도 9와 같이 브러시가 이동함에 따라 공간분해능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정밀 위치감지센서로 사용이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브러시를 매우 정밀하게 제작하여야 하나 이 경우 브러시의 수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이동 또는 조립 중 브러시에 약간의 손상이 가해질 경우 브러시의 형태가 바뀌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감지센서를 제작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사선형 위치감지센서를 고안하였다.
도 13a는 사선형 위치감지센서의 평면도이고, 도 13b는 도 13a 사선형 위치감지센서의 실제 제작 사진이고, 도 13c는 도 13b 사선형 위치감지센서의 확대 사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3a의 전도성 브러시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위치감지센서에 전도성 브러시가 접촉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16a는 도 13b의 실제 제작된 사선형 위치감지센서를 가지고 전도성 브러시의 위치에 따른 전극패드와 브러시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그래프를 확대한 그래프이다.
도 13a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접촉부재(120)가 선형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접촉부재(120) 사이에는 각 접촉부재(120)와 연결되어 있는 저항체(11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접촉부재의 중심을 잇는 선(A-A)은 상측 라인과 하측라인이 각각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라인이 사선으로 이루어진다. 직선으로 이루어진 상측 라인과 하측 라인은 각각 그 연장선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중앙 라인은 상측 라인과 하측 라인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즉, 얇은 판 형상의 접촉부재(120)는 그 중앙 부분이 절곡되어 상부는 "ㄴ" 자 형태가 되고 하부는 "ㄱ"자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접촉부재의 상부가 전도성 브러시에 접촉할 때, 제1 접촉부재에 인접한 제2 접촉부재의 하부가 전도성 브러시에 접촉할 수 있다.
저항체(110) 및 접촉부재(120)의 형상은 매우 정밀하여야 하므로 미세가공공정을 이용하여 적층 또는 식각 방식으로 저항체 및 접촉부재를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100) 특히 사선형 위치감지센서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접촉부재(120)는 상부 멤버(121), 하부 멤버(122) 및 중앙 멤버(123)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멤버(121)와 하부 멤버(122)를 연결하는 중앙 멤버가 사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브러시(130)가 전극 패드들(151, 152)을 서로 잇는 라인을 따라 이동할 때, 전도성 브러시(130)가 상기 접촉부재들과 연속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전도성 브러시(130)는 상기 상부 멤버(121)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 브러시(131)와 상기 하부 멤버(122)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 브러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도성브러시(130)가 이동함에 따라 전도성 브러시의 한 부분(131 또는 132)이 상기 접촉부재의 한 부분(121 또는 122)을 먼저 접촉하고 이어서 이 접촉이 끊어지기 전에 상기 전도성 브러시의 다른 한 부분 (132 또는 131)이 접촉부재의 다른 한 부분(122 또는 121)을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도성 브러시(130)가 상기 접촉부재(120)를 따라 이동할 때 어느 한 부분에서도 접촉이 끊어지지 않고 도 16a의 실제 실험 그래프와 같은 방식으로 저항이 계단모양으로 변하게 된다.
도 16b에서 볼 수 있듯이, 브러시의 형태와 상관없이 브러시가 이동함에 따라 각 구간의 공간분해능(도 16b의 (a), (b) 영역)이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브러시의 이동에 따른 공간분해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을 이용하여 공간분해능을 계산하면 아래 식과 같다.
SRs = Lp + Lg
도 13과 같은 사선형태의 접촉패드를 갖는 위치감지센서의 경우 브러시의 형태와 상관없이 모두 같은 공간분해능(SRs)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일 실시예의 사선형 위치감지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다른 일 실시예의 위치감지센서의 단점들을 모두 보완할 수 있다. 즉, 브러시가 이동함에 따라 오픈되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고 공간분해능도 균일한 위치감지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베이스 기판;
    저항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서 전극들에 연결되는 저항체;
    상기 저항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상기 저항체가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들을 구비하는 보호층;
    상기 관통공들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재들; 및
    피감지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피감지물과 함께 상기 전극들을 서로 잇는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재들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부 멤버와 하부 멤버 및 상부 멤버와 하부 멤버를 사선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중앙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브러시가 상기 라인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접촉부재들과 연속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도성 브러시는 상기 상부 멤버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 브러시와 상기 하부 멤버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의 양단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패드들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전도성 브러시가 상기 전극패드들을 잇는 라인을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접촉부재들 중 어느 하나와의 접촉이 끊어지기 전에 상기 접촉부재들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
    상기 전도성 브러시의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패터닝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부들; 및
    상기 수직부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들을 직렬로 연결하도록 패터닝되는 수평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수직부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저항체의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저항체와 함께 상기 절연층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공간분해능을 향상되도록, 상기 보호층, 관통공들 및 접촉부재들은 각각 미세가공공정을 이용한 미세 패터닝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7. 삭제
KR1020130055260A 2013-05-15 2013-05-15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KR10143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260A KR101432538B1 (ko) 2013-05-15 2013-05-15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260A KR101432538B1 (ko) 2013-05-15 2013-05-15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538B1 true KR101432538B1 (ko) 2014-08-25

Family

ID=5175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260A KR101432538B1 (ko) 2013-05-15 2013-05-15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0548A (zh) * 2019-06-19 2019-08-09 南京农业大学 一种单轨道式施肥机精准定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0002A (ja) * 1988-12-23 1990-06-29 Canon Inc 位置検出装置
JPH102707A (ja) * 1996-06-18 1998-01-06 Nok Corp ポテンショメータ
KR101185778B1 (ko) 2012-05-10 2012-10-02 국방과학연구소 위치감지센서
JP2013088605A (ja) 2011-10-18 2013-05-13 Nikon Corp 位置検出装置、光学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0002A (ja) * 1988-12-23 1990-06-29 Canon Inc 位置検出装置
JPH102707A (ja) * 1996-06-18 1998-01-06 Nok Corp ポテンショメータ
JP2013088605A (ja) 2011-10-18 2013-05-13 Nikon Corp 位置検出装置、光学機器
KR101185778B1 (ko) 2012-05-10 2012-10-02 국방과학연구소 위치감지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0548A (zh) * 2019-06-19 2019-08-09 南京农业大学 一种单轨道式施肥机精准定位方法
CN110100548B (zh) * 2019-06-19 2021-08-24 南京农业大学 一种单轨道式施肥机精准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926B1 (en) Micromechanical component
US9310265B2 (en) Tactile sensor and multi-axial tactile sensor
US20060279271A1 (en) Electric field sensor with electrode interleaving vibration
KR102122957B1 (ko) 터치패널
KR20090072830A (ko) 마이크로 가스센서 및 제조방법
EP2257821A1 (en) Capacitive sensor having cyclic and absolute electrode sets
KR100555665B1 (ko) 복합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772071B1 (ko) 공중부유형 나노와이어 어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2538B1 (ko) 이산형 위치감지센서
US9177704B2 (en) Potentiometer
EP2998757B1 (en) Magnetic field sensor
KR20140131229A (ko) 멤스 자계 센서
JP7500467B2 (ja) センサ
CN105742371A (zh) 传感器模块以及传感器模块的制造方法
JP4310997B2 (ja) 半導体物理量センサ
KR101976461B1 (ko) 수직 적층된 온습도 복합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910712B1 (ko) 압력센서 및 압력센서의 제작 방법
JP4820124B2 (ja) 温度分布測定装置
KR101327788B1 (ko) 자기장 센서 및 그를 이용한 자기장 측정 방법
JP2017505425A (ja) 三次元物体の形状の少なくとも一部を確定するシステム及び対応する方法
CN104981425B (zh) 具有微粒屏障的传感器
KR100977685B1 (ko)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을 이용한 가변 인덕터 및 이를이용한 응용소자
US20240067526A1 (en) Arrangement of carbon nanotub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rrangement
JP5333354B2 (ja) 力学量センサ
KR0158161B1 (ko) 가변 임계 미소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