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387B1 -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ver-ovulating and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btaining fertilized eggs using Bombina orientalis - Google Patents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ver-ovulating and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btaining fertilized eggs using Bombina oriental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387B1
KR101432387B1 KR1020120149416A KR20120149416A KR101432387B1 KR 101432387 B1 KR101432387 B1 KR 101432387B1 KR 1020120149416 A KR1020120149416 A KR 1020120149416A KR 20120149416 A KR20120149416 A KR 20120149416A KR 101432387 B1 KR101432387 B1 KR 10143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g
superovulation
female
mushroom
in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9177A (en
Inventor
계명찬
박찬진
안효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3007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당개구리에서 반복적으로 배란을 유도하고, 수정란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암컷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에 hCG를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에서 난자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를 휴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휴식시킨 무당개구리에 hCG를 투여하여 다시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 및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당개구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반복적인 산란에도 불구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다량의 건강한 난자 및 건강한 배아를 수득할 수 있는 바, 배아 발생 후의 성체 생존률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peatedly inducing ovulation and producing embryos in a mushroom frog, comprising the steps of: inducing superovulation by administering hCG to a female bovine frog ( Bombina orientalis ); Obtaining an oocyte from the superfamily induced guarless frog; Resting the bovine frog induced by the superovulation; And inducing superovulation again by administering hCG to the resting mothless frog.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inducing repeated ovarian hyperstimulation and repetitive embryo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amount of healthy oocytes and healthy embryos in a stable manner despite the repetitive scattering by minimiz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mushroom frog, thereby remarkably enhancing the adult survival rate after embryo development .

Description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 및 반복적 인공 수정 방법{The method for repetitively over-ovulating and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btaining fertilized eggs using Bombina orientali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ducing repetitive ovarian hyperstimulation,

본 발명은 무당개구리의 배란 유도 방법 및 수정란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당개구리에서 반복적으로 배란을 유도하고, 수정란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ducing ovulation of a mushroom frog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 embryo,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peatedly inducing ovulation and producing an embryo from a mushroom frog.

종래 발생학 및 독성학 연구분야에서 주로 이용되어 오던 양서류 실험동물은 제노푸스(Xenopus) 속의 외래종이었다. 제노푸스 속의 양서류는 많은 배아를 낳고, 사육이 용이하며, 호르몬을 이용한 배란유도가 쉬워 널리 이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제노푸스 속의 양서류에 대한 배란 유도 및 인공 수정에 관해서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토종 양서류에 대해서는 그 연구는 아직 빈약하다. 따라서, 국내의 토종 양서류 종들 중에 제노푸스 속 양서류와 같이 실험동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는 종의 확보 및 이용방법의 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The amphibian laboratory animals that have been mainly used in the field of conventional embryology and toxicology studies were exotic species of Xenopus. Amphibians in Genopus have been widely used because they produce many embryos, are easy to breed, and are easy to induce ovulation using hormones. Studies on induction of ovul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of amphibians of genus Xenopu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 research on native amphibians of Korea is still poor.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method of securing and using the species which can be easily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such as amphibians of the Genovese genus, among domestic native amphibian species.

한편, 우리나라의 토종 양서류 중의 하나인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는 양서강 개구리목 무당개구리과 무당개구리속에 속하는 몸길이 5 ㎝ 이하의 소형개구리이다. 동북아시아에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농경지와 인접한 산림임연부, 1급수가 흐르는 산림계곡부에서 흔히 발견되는 종으로 제주도가 남방한계선으로 알려져 있다. 등에는 청록색의 바탕에 검은 무늬가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배는 붉거나 노란 바탕에 불규칙한 흑색의 무늬가 산재되어 있는 외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개체가 애완용으로 거래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Bombina orientalis , one of the native amphibians of Korea, is a small frog whose body length is less than 5 ㎝ belongs to the frog of the Yangshu River frog and the frog frog. It lives in Northeast Asia. In Korea, Jeju is known as the southern limit of the forest, which is often found in the forest forest area near the agricultural area and the forest valley area where the first grade flows. Black patterns are irregularly distributed on the background of cyan, and the abdomen is characterized by an irregular black pattern on a red or yellow background, and many objects are traded as pets worldwide.

상기와 같은 무당개구리는 움직임이 느리고 크기가 작아서 실험실 내 핸들링이 용이하며, 개구리목의 다른 종들과 비교할 때 초기발생 및 변태시기가 빠르기 때문에 양서류 발생생태 연구 모델로서 많은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봄철 산란기(4월 내지 6월)에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쉽게 발견되고 채집이 가능하지만, 번식기가 끝나고 나면 주서식지인 산림계곡부로 이동하며 이후에는 쉽게 발견되지 않는 생태적 특징으로 인하여, 본 종의 산란기 호르몬 및 생식소 변화 등 번식 연구를 위한 샘플링은 용이하지만, 추계부터 계곡 주변의 깊은 암석 지하에서 동면하므로 동면기에 진행되는 번식생리 및 동면생태 연구를 위한 개체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상기 무당개구리는 반육상생활을 하면서 수위가 낮은 곳에 산란하는 생태적 습성으로 인하여, 주로 수중생활을 하며 산란활동 역시 수중에서 이루어지는 수생양서류인 제노푸스 속의 실험동물들을 이용하여 확립한 배란 유도 및 인공 수정에 관한 기술은 무당개구리에 그대로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 mushroom frog is easy to handle in the laboratory because it is slow in movement and small in size, and its early occurrence and transformation time is fast compared with other species of frog neck. Therefore, it has many merits as a study model of amphibians. Despite the above advantages, it is easy to collect and collect in spring season (April to June) in Korea, but after the breeding season, it moves to the forest valley, which is the main habitat, Therefore, it is easy to sample breeding hormones such as the breeding hormone and gonadal changes of this species, but since it hibernates in the deep rocks around the valley from the autum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ecuring individuals for research on reproduction physiology and hibernation ecology in hibernation . Furthermore, because of the ecological habit of spawning at low water level while performing semi-land life, the frog frog is mainly used for underwater life and spawning activity is also induced by ovarian induction and artifici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chnique of modification can not be applied directly to the frog frog.

국내의 토종 양서류 종들에 대한 실험동물로서의 종의 확보 및 이용방법 확립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동물로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무당개구리에 가장 적합한 배란 유도 및 인공 수정의 방법은 아직까지도 확립되지 못하고 있는 바, 상기 무당개구리를 실험동물로서 이용하기 위한 최적화된 배란 유도 및 인공 수정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Although there is a growing need to establish methods for securing and using species for domestic amphibian species as experimental animals, the most suitable methods for inducing ovul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for mushroom frogs, which have many merits as experimental anim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optimized ovulation induction and artificial fertilization techniques for using the insect frog as an experimental animal.

본 발명의 목적은 국내 토종 양서류인 무당개구리에 최적화된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 및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petitive method of inducing a superovula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a reproductive embryo optimized for a domestic native amphibia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암컷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에 hCG를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에서 난자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를 휴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휴식시킨 무당개구리에 hCG를 투여하여 다시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varian hyperstimulation, comprising: inducing superovulation by administering hCG to a female bulbous frog ( Bombina orientalis ); Obtaining an oocyte from the superfamily induced guarless frog; Resting the bovine frog induced by the superovulation; And administering hCG to the resting mushroom frog to induce superovulation agai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은 암컷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에 hCG를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로부터 난자의 산란 및 수정을 유도하여 수정란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를 휴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휴식시킨 암컷 무당개구리에 hCG를 투여하여 다시 과배란을 유도하고, 난자를 산란시켜 다시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ducing superovul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hCG to a female bovine orientalis ; Inducing egg scattering and fertilization from the superovulation-induced female mushroom frog to form an embryo; Obtaining said embryo; Resting the scattered-induced female mamma frog; And inducing superovulation again by administering hCG to the resting female shaman frog, and scattering the egg to obtain an embryo again.

본 발명에 의하면, 무당개구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반복적인 산란에도 불구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다량의 건강한 난자 및 건강한 배아를 수득할 수 있는 바, 배아 발생 후의 성체 생존률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수득된 배아는 그 크기가 기존의 실험종들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초기 발생 관찰, 배아 발생 중 다양한 외식편(explant) 추출 및 이를 이용한 배엽분화 관련 연구, 척추동물발생 독성분석 등의 실험 수행에 큰 장점이 있는 바, ①배아발생 독성실험, ②실험용 올챙이 확보, ③변태에 따른 생리학적/조직학적 변화의 관찰을 통한 변태과정 분석 및 ④실험용 개체의 실험실 내 확보를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amount of healthy oocytes and healthy embryos in a stable manner despite the repetitive scattering by minimiz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mushroom frog, thereby remarkably enhancing the adult survival rate after embryo development . Since the size of the embryo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r than that of existing experimental species, it is necessary to perform initial occurrence observation, extraction of various explants during embryo development, study of germination using the same, and analysis of vertebrate animal development toxicity It is useful for the purpose of ① embryo toxicity experiment, ② ensuring laboratory tadpole, ③ analysis of transformation process by observation of physiological / histological changes due to metamorphosis, and ④ securing laboratory objects in laboratories Can be used.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및 반복적 수정란 생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단일 주사 및 이중 주사의 경우에 산란된 난자의 수(A) 및 수정란의 부화율(B)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는 휴식기간에 따른 반복적 과배란 유도시 산란되는 난자의 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연 교배에 따른 수정란 생산 방법에서 이용된 착란용 조성물을 나타낸 그림이다.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reproductive coagulation induction and reproductive embryo produc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number (A) of scattered eggs and the hatching rate (B) of embryos in the case of a single scan and a double scan.
FIG. 3 and FIG. 4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number of eggs scattered during repetitive coarctation induction according to rest periods.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osition for disturbance us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embryos according to the natural cro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One.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Repeated superovulation induction method of mushroom frog

본 발명은 암컷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에 hCG를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에서 난자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를 휴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휴식시킨 무당개구리에 hCG를 투여하여 다시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ducing superovulation by administering hCG to a female bulbous frog ( Bombina orientalis ); Obtaining an oocyte from the superfamily induced guarless frog; Resting the bovine frog induced by the superovulation; And administering hCG to the resting mushroom frog to induce superovulation again.

본 발명의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은 1) 암컷 무당개구리에서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에서 난자를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를 휴식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휴식시킨 무당개구리에서 다시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inducing repetitive ovarian hyperstimulation of the mushroom fro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inducing superovulation in a female mushroom frog; 2) obtaining an oocyte from the superfamily induced guarless frog; 3) resting the bovine frog induced by the superovulation; And 4) inducing superovulation again in the resting mussel frog.

상기 단계 1) 및 단계 4)는 암컷 무당개구리에서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로서, 과배란의 유도 시점이 상기 단계 3)의 개체 휴식 전후라는 점을 제외하면 유도 방법이 동일한 바, 이하에서 단계 1) 및 단계 4)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The above steps 1) and 4) induce superovulation in the female mushroom frog, and the induction method is the same except that the induction time point of the superovulation is before and after the rest of the step 3) Step 4) will be described together.

상기 단계 1) 및 단계 4)의 과배란은 hCG의 투여에 의하여 유도된다. 상기 hCG는 인간 융모성 고나도트로핀(human chorionic gonadotrpin)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암컷 무당개구리에 투여되면 상기 암컷 무당개구리의 난소를 자극하여 난자의 성숙 및 배란을 촉진한다.The superovulation of steps 1) and 4) is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hCG. The hCG refers to a human chorionic gonadotrpin. When administered to the female mushroom frog, the hCG stimulates the ovary of the female mushroom frog and promotes oocyte maturation and ovulation.

상기 단계 1) 및 단계 4)의 hCG의 투여는 단일 투여 또는 이중 투여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일 투여는 암컷 무당개구리에 상기 hCG를 1회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이중 투여는 암컷 무당개구리에 상기 hCG를 2회에 걸쳐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일 투여의 경우 1회의 투여에 의하여 난자의 성숙 및 배란이 함께 촉진되고, 상기 이중 투여의 경우 1차 투여에 의해 난자의 성숙이 유도되고 2차 투여에 의하여 배란이 촉진된다. 상기 단일 투여의 경우, 단 1회의 투여만으로 난자의 성숙과 배란의 촉진을 동시에 유도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이중 투여의 경우보다 많은 양의 hCG가 투여된다. 상기 두 가지 투여 방법 모두에 의하여 암컷 무당개구리의 과배란이 유도될 수 있으나, 난자의 성숙과 과배란의 유도에 적절한 hCG의 양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단일 투여의 방법보다는 이중 투여의 방법에 의할 때 보다 많은 양의 난자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투여의 경우, 암컷 무당개구리에게 과도한 호르몬 투여에 의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때문에 투여 후의 개체 생존률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The administration of hCG in steps 1) and 4) above can be carried out by a single dose or a double dose method. The single administration means a single administration of the hCG to a female mushroom frog, and the double administration means administration of the hCG twice to a female mushroom frog. In the case of the single administration, oocyte maturation and ovulation are accelerated by one administration, and in the case of the double administration, oocyte maturation is induced by the first administration and ovulation is promoted by the second administration. In the case of the single administration, since the oocyte maturation and the promotion of ovulation must be simultaneously induced by only one administration, a larger amount of hCG is administered than in the case of the double administration. Both of these methods can induce superovulation of female mushroom frogs. However, since the amount of hCG suitable for the induction of oocyte maturation and ovulation is different, Positive oocytes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double administra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the post-administration animal because the stress caused by excessive hormone administration is not given to female frog frog.

상기 단계 1) 및 단계 4)의 hCG를 암컷 무당개구리에 단일 투여하는 경우, 상기 hCG의 투여량은 400 IU 내지 600 IU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hCG의 투여량은 450 IU 내지 550 IU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hCG의 투여량은 500 IU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hCG를 암컷 무당개구리에 이중 투여 하는 경우, 상기 hCG는 1 IU 내지 20 IU의 양으로 1차 투여하고, 200 IU 내지 400 IU의 양으로 2차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hCG는 5 IU 내지 15 IU의 양으로 1차 투여 하고, 250 IU 내지 350 IU의 양으로 2차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hCG는 10 IU의 양으로 1차 투여 하고, 300 IU의 양으로 2차 투여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투여의 경우 단 1회의 투여만으로 난자의 성숙과 배란의 촉진을 동시에 유도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이중 투여의 경우보다 많은 양의 hCG가 투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hCG의 투여 방법에 따른 산란율 및 수정란의 부화율을 비교한 결과, 단일 투여 보다는 이중 투여가 더욱 많은 수의 난자를 건강한 상태로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When the hCG of the step 1) and the step 4) is singly administered to female female frog frogs, the dose of the hCG is preferably 400 IU to 600 IU, and the dosage of the hCG is 450 IU to 550 IU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dosage of hCG is 500 IU,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hCG is administered to female female shaman frogs, it is preferable that the hCG is first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1 IU to 20 IU and secondarily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200 IU to 400 IU, 15 IU, and more preferably 250 IU to 350 IU, and the hCG is first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10 IU and second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300 IU Most preferred, but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single administration, since the oocyte maturation and promotion of ovulation must be simultaneously induced by only one administration, the amount of hCG administered is higher than that of the double administration. In a specific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arison between the egg production rate and the hatching rate of the embryo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method of the hCG showed that a double administration of the single administration resulted in a greater number of oocytes in a healthy state Reference).

상기 단계 1) 및 단계 4)의 hCG의 투여는 암컷 무당개구리의 배쪽 림프낭, 복강, 등쪽 근육 및 등쪽 림프낭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위 이상에 투여될 수 있고, 상기 hCG의 투여는 암컷 무당개구리의 복강 또는 등쪽 림프낭에 투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hCG의 투여는 암컷 무당개구리의 등쪽 림프낭에 투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복강 투여는 암컷 무당개구리의 장기에 큰 영향을 줄 수도 있으므로, 반복적인 배아의 획득을 위해서는 상기 hCG를 등쪽 림프낭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복강 주사시에는 배란되는 난자의 수 및 수정후 동물극이 정상적으로 위로 올라오는 배아의 수가 등쪽 림프낭에 주사한 경우에 비하여 적음을 확인하였다(표 1 참조).The administration of hCG in step 1) and step 4) can be administered to any one or more sit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rsal lymphocytes, abdominal cavity, dorsal muscle and dorsal lymphocyte of a female mushroom frog, The administration is more preferably to the peritoneal or dorsal lymphocyte of the female mushroom frog,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hCG is most preferably, but not necessarily, administered to the dorsal lymphocyte of the female mushroom frog. Since the administration of the abdominal cavity may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organ of the female mushroom frog, it is preferable to administer the hCG to the dorsal lymph node to obtain repetitive embryos. 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oocytes to be ovulated and the number of embryos in which the animal pole was normally raised after fertilization were smaller than that in the case of injecting the dorsal lymphocytes in the dorsal lumen (see Table 1).

상기 단계 2)의 난자 수득은 상기 단계 1)의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 개체의 복부를 물리적으로 자극하여 산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는 상기 hCG 투여 후 약 15시간 내지 20시간이 경과하면서부터 암컷의 총배설강이 외부로 돌출되어 개구된다. 따라서, 상기 개체 복부에 대한 물리적 자극을 통해 난자를 산란시키는 경우, hCG 투여 후 약 15시간 내지 20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2) can be performed by physically stimulating and scattering the abdomen of the female bovine frog, from which the superovulation has been induced in step 1). In the female frog frog induced by the superovulation in the above step 1), about 15 to 20 hours after the hCG administration, the total excreting females of the female are protruded outward. Therefore, when egg is scattered through physical stimulation of the subject's abdomen, it is preferably performed at about 15 to 20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hCG.

상기 단계 3)의 휴식은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가 과배란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다시 난소가 발달될 수 있는 상태로 회복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단계 3)의 휴식은 상기 단계 4)의 과배란의 유도가 다시 가능해지는 상태로 회복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휴식의 기간은 4개월 내지 5개월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휴식의 기간은 5개월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휴식의 기간을 달리하여 과배란 유도 효과를 검증한 결과, 휴식 기간이 약 5개월인 경우에 스트레스로부터 가장 잘 회복됨을 확인하였다(표 2 참조). The rest of the above step 3) includes all the steps in which the female ovarian frog induced superovulation is relieved of the stress caused by ovarian hyperstimulation and restored to a state in which the ovary develops again. That is, the rest of the step 3) is a process in which the induction of the superovulation in the step 4) is restored to a state in which the induction of the superovulation is possible again. Preferably, the rest period is 4 to 5 months, and the rest period is 5 months. In a specific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ting period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sting period, and as a result, the best recovery from the stress was obtained when the resting period was about 5 months (see Table 2).

상기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은 5) 상기 단계 4)의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를 4 내지 5개월 동안 2차 휴식시키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의 2차 휴식된 무당개구리에 hCG를 투여하여 다시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암컷 무당개구리에서 과배란을 유도한 다음 충분한 휴식기간동안 회복시킨 다음, 또 다시 과배란을 유도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많은 량의 난자를 수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배란 유도는 암컷 무당개구리가 과배란 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로부터 완전히 회복되어야만 가능한 것으로서, 과배란 과정 사이에서 수행되는 개체의 휴식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즉, 충분한 휴식을 통하여 개체가 잘 회복된 경우에만 건강한 난자를 다량으로 수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과배란의 유도 사이에 포함된 휴식의 기간을 달리하여 과배란 유도 효과를 검증한 결과, 휴식 기간이 약 4개월 내지 5개월인 경우에 스트레스로부터 가장 잘 회복됨을 확인하였다(도 3 및 도 4 참조).
The method for inducing repetitive ovarian hyperstimulation of the insect frog comprises the steps of: 5) resting the ovarian frog induced by the superovulation in step 4) for 4 to 5 months; and 6) resting the hCG And then inducing superovulation again. That is, a large amount of oocytes can be obtained by inducing superovulation in a female frog frog, restoring it for a sufficient rest period, and then repeating the process of inducing superovulation again. This repeated induction of ovarian hyperstimulation is only possible if the female shaman frog is fully recovered from the stress it receives during the ovulation phase, and the rest phase of the ovulation performed during the ovulation phase is very important. In other words, a healthy oocyte can be obtained in large quantities only when the individual is well recovered through sufficient rest. In a specific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ovulation induction effect by varying the period of rest included between the induction of superov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toration is best recovered from the stress when the rest period is about 4 to 5 months 3 and 4).

2. 2.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How to Produce Repeated Embryos of Mushroom Frog

본 발명은 다른 측면은 암컷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에 hCG를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로부터 난자의 산란 및 수정을 유도하여 수정란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를 휴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휴식시킨 암컷 무당개구리에 hCG를 투여하여 다시 과배란을 유도하고, 난자를 산란시켜 다시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venting ovarian hyperstimul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dministering hCG to a female bulbous frog ( Bombina orientalis ) to induce superovulation; Inducing egg scattering and fertilization from the superovulation-induced female mushroom frog to form an embryo; Obtaining said embryo; Resting the scattered-induced female mamma frog; And inducing superovulation again by administering hCG to the resting female shaman frog, and scattering the egg to obtain an embryo again.

본 발명의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은 1') 암컷 무당개구리에서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무당개구리에서 난자의 산란 및 수정을 유도하여 수정란를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 4') 상기 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를 휴식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휴식시킨 무당개구리에서 다시 과배란 및 산란을 유도하여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repetitive embryos of a mushroom fro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ducing superovulation in a female mushroom frog, 2 ') inducing egg scattering and fertilization in the superfamily induced mushroom frog to obtain embryos, ) Obtaining the embryo, 4 ') resting the scattered female mamma frog and 5') inducing superovulation and scattering again in the resting mamma frog to obtain embryos.

상기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에서 상기 단계 1')의 과배란 유도, 상기 단계 2')의 난자의 산란 및 상기 단계 5')의 재과배란 및 재산란 유도에 관해서는 상기 "1.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 "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관해서는 상기 "1.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과배란 유도 방법 " 항목의 설명을 원용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무당 개구리의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에 특이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In the recurring Embryo Production method of the ladybird frog as to re-induction of ovulation and spawning jaesanran and the step 5 ') of the egg, ovulation induction, wherein the step 2) "), the first step is repeated for the" 1 ladybird frog Quot; method of inducing superovulation ".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item " 1. Method for inducing repetitive superovulation of frog frogs " is omit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only the constitution specific to the reproductive embryo production method of the insect frog will be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단계 5')는 암컷 무당개구리에서 재과배란 및 재산란을 유도하여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과배란 산란 및 수정의 유도 시점이 상기 단계 4')의 개체 휴식 전후라는 점을 제외하면 유도 방법이 동일한 바, 이하에서 단계 1') 및 단계 5')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bove step 5 ') is a step of inducing re-superovulation and a property column in a female mushroom frog to obtain an embryo, wherein the induction time of the superovulation is adjusted before and after the rest of the step 4' This same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ep 1 ') and step 5', will be described together.

상기 단계 2') 및 상기 단계 5')의 수정란은 수컷 무당개구리와 상기 단계 1')에서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의 자연 교배(natural mating)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자연 교배를 통한 수정란의 생성은 정자 형성이 유도된 수컷 무당개구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정자 형성이 유도된 수컷 무당개구리 및 상기 단계 1')에서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의 포접을 유도함으로써 수정란 생성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수컷 무당개구리의 정자 형성은 상기 수컷 무당개구리의 복강 또는 등쪽 림프낭에 300 IU의 hCG를 단일 투여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The embryos of step 2 ') and step 5') can be generated by natural mating of male mushroom frog and female mushroom frog induced by superovulation in step 1 '). The generation of embryos through natural crossing can utilize male mushroom frogs in which spermatogenesis is induc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generate embryos by inducing the embryo formation of the male mushroom frog induced by spermatogenesis and the female mushroom frog induced by superovulation in step 1 '). The spermatogenesis of the male mushroom frog can be induced by single administration of 300 IU of hCG to the abdominal cavity or dorsal lymph node of the male mushroom frog.

상기 수컷 무당개구리와 암컷 무당개구리의 포접 유도는 수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inclusion induction of the male shaman frog and female shaman frog can be performed in a water bath.

상기 수조는 착란용(着卵用) 구조물을 구비한다. 상기 착란용 구조물은 암컷 무당개구리에서 산란된 난자를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무당개구리의 경우 제노푸스 속 양서류처럼 수중에서 산란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물에 알을 붙여 산란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착란용 구조물이 구비되어야만 포접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착란용 구조물은 스펀지일 수 있고, 상기 스펀지는 그 평균 공극 크기가 0.5 ㎜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평균 공극 크기가 1.18 ㎜인 스펀지를 상기 착란용 구조물로 이용하였다.The water tank has a structure for a frying egg. The confusion structure is for attaching the egg laid out in the female shaman frog, and in the case of the frog frog, it is not scattered in the water like the Genovese genus amphibians, but has the habit of egg scattering by attaching the egg to the structure, The pull-in structure can be induced only if a drag structure is provided. The confusion structure may be a sponge, and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sponge is preferably 0.5 mm to 1.5 mm.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onge having an average pore size of 1.18 mm was used as the confusion structure.

상기 수조는 20 ㎝ × 20 ㎝ 내지 40 ㎝ × 70 ㎝의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의 면적은 포접이 유도되는 무당개구리 개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접 유도시 당업자의 판단에 의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는 3 ㎝ 내지 10 ㎝ 높이, 바람직하게는 4 ㎝ 내지 6 ㎝ 높이의 물을 구비한다. 무당개구리의 경우 제노푸스 속 양서류처럼 주로 수중생활을 하면서 수중에서 산란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반육상생활을 하면서 수위가 낮은 곳에 산란하는 생태적 습성이 있기 때문에, 무당개구리 개체의 크기에 따라 수위가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The water tank may have an area of 20 cm x 20 cm to 40 cm x 70 cm. The area of the water tank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rog-free frog, and can be suitably selected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upon induction of inclusion. The water bath also has water of a height of 3 cm to 10 cm, preferably 4 cm to 6 cm. In the case of a frog frog, it is not an aquatic organism living mainly underwater like an amphibians in Xenophus, but an ecological habit that sprays in low water level while doing semi-land life. Therefore, .

상기 단계 2') 및 상기 단계 5')의 수정란은 in vitro 수정(in vitro fertilization)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in vitro 수정은 수컷 무당개구리에서 수득한 정자현탁액을 상기 단계 1')에서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에서 수득된 난자에 처리함으로써 유도된다. 상기 in vitro 수정을 통한 수정란의 생성은 정자 형성이 유도된 수컷 무당개구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정자 형성이 유도된 수컷 무당개구리에서 수득한 정자현탁액을 상기 단계 1')에서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에서 수득한 난자에 처리함으로써 수정란 생성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수컷 무당개구리의 정자 형성은 상기 수컷 무당개구리의 복강 또는 등쪽 림프낭에 300 IU의 hCG를 단일 투여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Embryos of step 2 ') and the step 5') can be produced by the in vitro modification (in vitro fertilization). The in vitro fertilization is induced by treating the sperm suspension obtained in the male mugwort frog with eggs obtained in the female mugwort frog induced with the superovulation in step 1 '). The generation of embryos through in vitro fertilization can utilize male mushroom frogs in which spermatogenesis is induced. That is, a fertilized egg can be produced by treating a sperm suspension obtained from a male spermatogonial frog induced spermatogenesis with an egg obtained from a female spermatogonial frog induced by a superovulation in the above step 1 '). The spermatogenesis of the male mushroom frog can be induced by single administration of 300 IU of hCG to the abdominal cavity or dorsal lymph node of the male mushroom frog.

상기 단계 4')의 휴식은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가 과배란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다시 난소가 발달될 수 있는 상태로 회복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단계 4')의 휴식은 상기 단계 5')의 과배란의 유도가 다시 가능해지는 상태로 회복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휴식의 기간은 4개월 내지 5개월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휴식의 기간은 5개월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rest of the step 4 ') includes all the steps in which the female ovarian frog induced superovulation is relieved of the stress caused by the ovarian hyperstimulation and restored to a state in which the ovary develops again. That is, the rest of the step 4 ') means a process in which the induction of the superovulation in the step 5') is restored to a state where it can be re-enabled. Preferably, the rest period is 4 to 5 months, and the rest period is 5 month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assist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무당개구리 개체의 선별Screening of mushroom frog individuals

경기도 가평지역에서 채집한 무당개구리를 1년 이상 사육실에서 사육하였다. 생후 2.5년 이상의 암컷 및 수컷 무당개구리 개체의 등 무늬를 디지털 사진으로 기록하고 개별적으로 고유번호를 부여하며, hCG 투여 날짜를 기록한다. 실험 공여 개체 선별시, 각 개체의 사육일지 기록을 확인하고, 상기 개체들 중에서 hCG를 주사한지 최소한 3개월 이상 경과된 개체를 선별하였다.
The larvae collected from Gapyeong area in Gyeonggi - do were kept in the breeding room for more than one year. Record the back marks of the female and male frog frogs over 2.5 years of age as digital photographs, individually number them, and record the date of hCG administration. At the time of selection of the experimental donors, breeding log records of each individual were checked, and individuals whose hCG injected at least 3 months or more were selected from the above individuals.

반복적 과배란 유도Induction of repeated ovulation

<2-1> <2-1> hCGhCG 투여 및  Administration and 과배란Superovulation 유도 Judo

10000IU의 hCG(대성미생물연구소)를 멸균희석액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가 2 IU/㎕ 및 0.1 IU/㎕인 hCG를 준비하고, 개체의 물기를 닦아내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암컷 무당개구리에 주사투여하였다.10000 IU of hCG (Daesung Microbiology Research Institute) was diluted with a sterilizing diluent to prepare hCG having a final concentration of 2 IU / 占 퐇 and 0.1 IU / 占,, wiping off the water of the individual to fix it so as not to slip, The female shaman frogs were injected.

<2-1-1> <2-1-1> 배쪽Abdomen 림프낭Lymphatic sac , 복강, , Abdominal cavity, 등쪽Back 근육 및  Muscle and 등쪽Back 림프낭Lymphatic sac 단일 주사 Single shot

내장 또는 신장 부위를 찌르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24마리의 암컷 무당개구리의 배쪽 림프낭(ventral lymphsac)(n=6), 복강(abdominal cavity)(n=6), 등쪽 근육(dorsal muscle)(n=6) 또는 등쪽 림프낭(dorsal lymphsac)(n=6)에 500 IU의 hCG를 투여하고, hCG가 사육수로 녹아나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사 직후 물기가 없는 수조에 10분간 넣어 두었다.Ventral lymphsac (n = 6), abdominal cavity (n = 6), dorsal muscle (n = 6) of 24 female mushroom frogs selected in Example 1 We administered 500 IU of hCG to the dorsal muscle (n = 6) or dorsal lymphsac (n = 6). To minimize the loss of hCG into the breeding water, I put it.

<2-1-2> <2-1-2> 배쪽Abdomen 림프낭Lymphatic sac , 복강, , Abdominal cavity, 등쪽Back 근육 및  Muscle and 등쪽Back 림프낭Lymphatic sac 이중 주사  Double injection

내장 또는 신장 부위를 찌르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24마리의 암컷 무당개구리의 배쪽 림프낭(ventral lymphsac)(n=6), 복강(abdominal cavity)(n=6), 등쪽 근육(dorsal muscle)(n=6) 또는 등쪽 림프낭(dorsal lymphsac)(n=6)에 10 IU 및 300 IU의 hCG를 24시간 간격으로 순차 투여 하였고, 주사 직후 물기가 없는 수조에 10분간 넣어 두었다.Ventral lymphsac (n = 6), abdominal cavity (n = 6), dorsal muscle (n = 6) of 24 female mushroom frogs selected in Example 1 10 IU and 300 IU of hCG were administered to the dorsal muscle (n = 6) or dorsal lymphsac (n = 6) at intervals of 24 hours. Immediately after the injection, they were placed in a waterless bath for 10 minutes.

<2-2> <2-2> 난자의 수득Obtaining Eggs

상기 <2-1>과 같이 hCG를 주사투여하고 18시간이 경과한 후, 암컷 무당개구리의 복부를 한쪽 겨드랑이 부위에서 항문방향으로 문질러, 멸균증류수로 세척된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인위적으로 산란시키고, 남는 난자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반대쪽 겨드랑이 부위도 같은 방법으로 문질러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산란시켜, 난자를 수득하였다.After 18 hours from the injection of hCG as in <2-1> above, the abdomen of the female shaman frog was rubbed in one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anus, artificially scattered on a slide glass washed with sterilized distilled water, To minimize oocytes, the contralateral armpit area was rubbed in the same manner and scattered on a slide glass to obtain eggs.

<2-3> <2-3> 주사 부위 및 주사 방법에 따른 효과 분석Analysis of effects of injection site and injection method

상기 <2-2>과 같이 수득된 무당개구리의 난자의 질(quality)을 분석하였다. 상기 <2-2>의 총 48마리의 암컷 개체로부터 각기 다른 hCG 주사 부위에 따른 난자 및 수정란의 질을 분석하였다. 총 48마리의 암컷, 1마리의 수컷을 사용하였으며, hCG 주사 후 18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암컷들의 복부를 압박하여 인공적으로 산란을 유도한 다음, 산란된 난자를 동일한 개체 유래의 정자로 인공수정시켜 수정란의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난자의 질(quality)을 분석하였다. 상기 난자의 질을 분석하기 위한 인공수정에 사용되는 정자는 상기 정자의 동질성 확보를 위해 단일 개체의 정소에서 획득한 정자를 사용하여 총 48마리의 암컷에서 유래한 난자를 각각 수정시켰으며, 상기와 같이 수정된 수정란을 대상으로 주사 부위 및 주사 방법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The quality of egg of frog frog obtained as in <2-2> was analyzed. From the total of 48 females of <2-2>, the quality of oocytes and embryos according to different hCG injection sites were analyzed. A total of 48 females and 1 males were used. After 18 hours of hCG injection, the abdomen of the females was pressed to induce spawning artificially, and the spawning eggs were artificially fertilized with the same individual spermatozoa The quality of the eggs was analyzed indirectly by analyzing the state of embryos. Sperm used for artificial fertilization for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oocyte were modified to each oocyte derived from 48 females by using sperm obtained from testes of a single individual to ensure homogeneity of the sperm. The effect of injection site and injection method on fertilized embryos were analyzed.

먼저, 상기 수정란으로 주사 부위에 따른 난자의 질, 동물극 회절, 제 1난할 효율을 분석하였다. 주사 부위에 따른 4군의 암컷 무당개구리에서 인공적으로 산란된 난자 100개를 무작위 선별하여 1차적으로 ①색소 분포 및 형태를 통해 비정상적인 난자의 수를 파악하였다. 그런 다음, ②인공수정을 시킨 후 1시간 경과 시 동물극이 위로 올라오지 않은 난자의 수를 파악하였다. 또한, ③인공수정 후 제 1난할이 진행되지 않는 배아의 수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등쪽 림프낭에 주사한 경우에 가장 많고 건강한 난자가 수득됨을 확인하였다(표 1).First, the egg quality, animal pole diffraction, and first egg scatter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njection site were analyzed with the embryo. We randomly selected 100 artificially scattered oocytes from four groups of female mushroom frogs according to the injection site, and identified the number of abnormal oocytes through the pigment distribution and morphology. Then, ② the number of oocytes that did not rise above the animal pole at 1 hour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③ The number of embryos that did not undergo the first cleavage after artificial fertilization was determ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and healthy eggs were obtained when injected into the dorsal lymphocyte (Table 1).

주사 부위Injection site 난모세포(oocyte)Oocyte 동물극(animal pole)Animal pole 2세포(2-cell)2 cells (2-cell) 배쪽 림프낭Abdominal lymph node 92/100a 92/100 a 87/92b 87/92 b 58/87c 58/87 c 복강Abdominal cavity 85/100a 85/100 a 81/85b 81/85 b 77/81c 77/81 c 등쪽 근육Dorsal muscle 83/100a 83/100 a 66/83b 66/83 b 37/66c 37/66 c 등쪽 림프낭Dorsal lymphocyte 93/100a 93/100 a 91/93b 91/93 b 90/91c 90/91 c a, 무작위 선별한 100개 난자 중 비정상적인 난자의 비율
b, 정상적인 난자 중 인공수정 후 동물극이 위를 향하지 않는 난자의 비율
c, 동물극이 위를 향하는 수정된 배아 중 제 1난할이 진행되지 않은 배아의 비율
a , percentage of abnormal eggs among 100 randomly selected oocytes
b , the percentage of oocytes in which the animal pole does not face upward after normal fertilization
c , percentage of embryos in which the first pole of the embryo has not advanced,

다음으로, 등쪽 림프낭에 단일 주사한 경우와 이중 주사한 경우에 수득되는 평균적인 난자의 수와, 난자가 수정된 후 수정란의 부화율을 비교하였다. 상기 부화율은 수정란의 수에 대비하여, 2세포기, 포배기를 거쳐 부화된 각각의 시점에서의 개체 생존률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그 결과, 난자의 수득률 측면에서는, 이중 주사한 경우에는 개체당 평균적으로 약 190개 이상의 난자가 수득된 반면, 단일 주사한 경우에는 개체당 난자가 평균적으로 약 140개 정도밖에 수득되지 않았다(도 2의 (A)). 또한, 수정란의 부화율의 측면에서는, 이중 주사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약 90 % 이상의 개체가 부화한 반면, 단일 주사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약 75% 정도의 개체만이 부화하였다(도 2의 (B)).Next, we compared the average number of oocytes obtained from the dorsal lymphocyte with single injection and double injection, and the hatching rate of the embryos after fertilization. The hatchability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individual survival rate at each time point hatching through the two-cell aeration and blastocyst, compared to the number of embryos. As a result, from the aspect of the yield of eggs, about 190 eggs or more were obtained on an average per subject in the case of double injection, whereas only about 140 eggs per subject were obtained in a single injection (Fig. 2 (A)). In terms of the hatching rate of the embryo, about 90% or more of the hatching eventually occurred in the case of double injection, whereas in the case of single injection, only about 75% of the hatching eventually occurred (Fig. 2B) ).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등쪽 림프낭에 이중 주사한 경우에 가장 많고 건강한 난자를 수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most and healthy egg can be obtained when the dorsal lymph node is double-injected.

<2-3> <2-3> 반복적 Iterative 과배란Superovulation 유도, 및 휴식 기간의 영향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of induction and rest period

상기 <2-2>와 같이 난자를 산란한 암컷 무당개구리를 휴식기간에 따라 다섯 군으로 나누어 각각 65일, 95일, 120일, 140일 및 170일 동안 휴식을 취하게 하였다. 이 기간 중 주 6회 귀뚜라미 및 밀웜을 각각 2마리/암컷 개체 씩 공급하였으며, 먹이공급 시 비타민 및 칼슘 파우더를 함게 공급하였다. 사육습도는 80% 이상으로, 사육온도는 22℃로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2-1> 및 <2-2>와 같은 방법으로 2차 과배란을 유도하고, 휴식 기간에 따른 산란 수 변화를 세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휴식기간에 따른 난소의 무게와 길이를 측정하여 그 비율을 비교하였다.As shown in <2-2> above, female frog frog scattered egg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rest period, and they were rested for 65 days, 95 days, 120 days, 140 days and 170 days respectively. During this period, crickets and wheat worms were fed two times / week for female animals, and vitamin and calcium powder were supplied for food supply. The breeding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2 ℃. Then, in order to induce secondary ovarian hyperstimulatio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2-1> and <2-2>, an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pawning according to the resting period, the ovarian weight and length were measured And the ratio was compared.

그 결과, 과배란이 유도된 시점에서 휴식 기간이 120일 및 140일인 군의 무당개구리 개체들이 가장 높은 제중 및 체장 대비 난소 무게의 비율을 보였다(표 2).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4개월 내지 5개월의 기간동안 휴식을 취한 개체에서 난소가 건강하게 발달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at the induction of ovarian hyperstimulation, mushroom frog individuals in the resting period of 120 days and 140 days showed the highest ratio of ovarian weight to body weight (Table 2).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ovaries develop well in the individuals who have rested for 4 to 5 months.

회복기간Recovery period
(일)(Work)
길이 (mm)Length (mm) 무게 (g)Weight (g) 난소무게 (g)Ovarian weight (g) 무게/길이Weight / length
*100* 100
난소무게/무게Ovary Weight / Weight
*100* 100
난소무게/길이Ovarian weight / length
*100* 100
6565 41.9541.95 10.0310.03 0.640.64 23.9123.91 6.346.34 1.511.51 9595 44.0544.05 8.168.16 0.830.83 18.5218.52 10.1210.12 1.871.87 120120 45.0545.05 9.619.61 1.061.06 19.0019.00 10.2110.21 2.352.35 140140 48.148.1 10.5410.54 1.221.22 21.9121.91 11.5911.59 2.542.54 170170 42.8542.85 7.217.21 0.510.51 16.8316.83 7.077.07 1.191.19

또한, 별도로 상기 <2-2>와 같이 난자를 산란한 암컷 무당개구리를 휴식기간에 따라 90∼120일의 휴식기간을 갖는 군, 121∼150일의 휴식기간을 갖는 군, 151∼180일의 휴식기간을 갖는 군, 180일 초과의 휴식기간을 갖는 군으로 나누었다. 상기와 같이 세부적으로 나누어진 4개의 군을 다시 두 군씩 묶어 각각 90~150일 군(제1군) 및 150일 초과 군(제2군) 동안 휴식을 취하게 한 다음, 상기 <2-1> 및 <2-2>와 같은 방법으로 2차 과배란을 유도하였다. 2차 과배란이 유도된 상기 두 군의 무당개구리를 다시 각각 2차 휴식시키고, 3차 과배란을 유도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네 군에서 산란된 난자의 수를 비교·분석하였다. In addition, the female frog frog having spawned eggs as described above in <2-2> was divided into a group having a rest period of 90 to 120 days, a group having a rest period of 121 to 150 days, a group having a rest period of 151 to 180 days Group with rest period, and group with rest period exceeding 180 days. Each of the four groups divid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was grouped into two groups and rested for 90 to 150 days (Group 1) and 150 days (Group 2) And <2-2>, respectively. The second group of non - frog frogs which were induced by the second overhaul were again rested for the second time and the third overgrowth was induced. Then, the number of eggs laid out in the four groups was compared and analyzed.

그 결과, 제1군의 경우 제2군에 비해 처음에는 더 적은 난자가 유도되었지만, 과배란의 유도가 반복됨에 따라 유도되는 난자의 증가폭이 더 커서, 3차 과배란 유도 시에는 산란되는 난자의 수가 제1군을 넘어섰다(도 3). 또한, 제1군의 개체들 중에서도 121∼150일의 휴식기간을 갖는 실험군(그룹 C 및 D)이 90∼120일의 휴식기간을 갖는 실험군(그룹 A 및 B)보다 더 많은 수의 난자를 산란하였다(도 4).
As a result, in the first group, fewer oocytes were induced at first than in the second group, bu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ocytes induced by repeated induction of superovulation was larger, 1 group (Fig. 3). In addition, among the individuals of the first group, the experiment group (groups C and D) having the rest period of 121 to 150 days scattered more eggs than the experiment group (groups A and B) having the rest period of 90 to 120 days (Fig. 4).

반복적 수정란 생산Repeated embryo production

<3-1> <3-1> 자연 교배 (Natural Breeding NaturalNatural MatingMating ))

<3-1-1> <3-1-1> 정자 형성 유도Inducing spermatogenesis

10000IU의 hCG(대성미생물연구소)를 멸균희석액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가 2 IU/㎕ 및 0.1 IU/㎕인 hCG를 준비하고, 개체의 물기를 닦아내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수컷 무당개구리에 300 IU의 hCG를 등쪽 림프낭에 투여하고, hCG가 사육수로 녹아나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사 직후 물기가 없는 수조에 10분간 넣어 두었다.10000 IU of hCG (Daesung Microbiology Research Institute) was diluted with a sterilizing diluent to prepare hCG having a final concentration of 2 IU / 占 퐇 and 0.1 IU / 占,, wiping off the water of the individual to fix it so as not to slip, 300IU of hCG was injected into the dorsal lymphocyte to the male frog frog and placed in a waterless tank for 1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injection to minimize the dissolution of hCG into the breeding water.

<3-1-2> <3-1-2> 포접Enclosure 유도 및 수정란의 수득 Derivation of induction and embryo

각각 별개의 수조에서, 상기 <3-1-1>와 같이 정자 형성을 유도한 수컷 개체와, 상기 <2-1-2> 및 <2-1-4>와 같이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개체를, 착란용 구조물이 구비된 수조에 넣은 후, 22 ℃의 온도로 맞춰진 배양기에서 12시간의 명암주기로 산란환경을 형성해 주었다. 수조의 크기는 개체의 크기에 따라 하기 표 3과 같이 달리해 주었다.Male individuals inducing spermatogenesis as in the above <3-1-1> and female animals induced with superovulation such as <2-1-2> and <2-1-4> in separate water tanks , A confluent structure, and then formed a scattering environment with a light-dark cycle of 12 hours in an incubator set at a temperature of 22 ° C. The size of the water tank was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as shown in Table 3 below.

개체 크기 (g)Object Size (g) 수조 크기 (가로×세로×수위)Tank size (width × length × water level) < 5<5 20 ㎝ × 20 ㎝ × 4~5 ㎝20 cm x 20 cm x 4-5 cm 5 ~ 155 to 15 30 ㎝ × 40 ㎝ × 4~5 ㎝30 cm x 40 cm x 4-5 cm > 15> 15 40 ㎝ × 70 ㎝ × 4~5 ㎝40 cm x 70 cm x 4-5 cm

그 결과, 암수의 포접에 의하여 18시간이 경과하면서부터 암컷 무당개구리가 20 내지 30개의 난자를 산란하기 시작하였고, 자연 교배에 의한 수정이 일어남을 확인한 후, 생성된 무당개구리의 수정란을 수득하였다.As a result, from the time when 18 hours had elapsed due to the inclusion of male and female, female mushroom frog started to scatter 20 to 30 oocytes, and after confirming that fertilization by natural crossing occurred, the embryo of the mushroom frog produced was obtained.

<3-1-3> <3-1-3> 착란용 구조물의 종류에 따른 효과Effect according to kind of confusion structure

착란용 구조물의 종류에 따른 산란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3-1-2>와 같이 암수의 포접을 유도하되, 수조 내에 포함된 착란용 구조물의 종류를 각각 평균 공극 크기가 1.18 ㎜ 및 0.2 ㎜인 스펀지, 및 볏짚으로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In order to compare the scatter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ype of confusion structure, induction of male and female shelling was performed as in <3-1-2>, and the types of confusion structures contained in the water bath were classified as 1.18 mm and 0.2 Mm sponge, and rice straw.

그 결과, 수정란의 회수 용이성 및 재사용 시 세척의 용이성 면에서 평균 공극 크기가 1.18 ㎜ 인 스펀지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to use a sponge having an average pore size of 1.18 ㎜ in terms of ease of recovery of embryo and ease of washing in reuse.

<3-1-4> <3-1-4> 수정란의 배양Culture of embryos

상기 <3-1-2>에서 수득된 수정란을 22 ℃ 내지 23 ℃의 온도로 맞춰진 배양기에서 12시간의 명암주기로 배양하였다. 배양액의 경우, 포배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0.1X MMR을 이용하였고, 포배단계 이후부터는 0.3X MMR을 이용하였다. 배양액은 하루에 한번 교체해주며, 배양액 교체 시 젤리층이 곰팡이 등에 의해 흰색으로 변한 죽은 배아는 제거하며 다른 배아의 오염을 막았다. 또한, 젤리층이 흰색으로 변하였으나 내부의 개체가 살아서 움직이는 경우에는 배아의 젤리 층을 벗겨주었다.The embryo obtained in the above <3-1-2> was cultured in a darkness period of 12 hours in an incubator adjusted to a temperature of 22 ° C to 23 ° C. For culture, 0.1X MMR was used until the blast phase was reached, and 0.3X MMR was used after blastocyst stage. The culture medium was changed once a day, and when replacing the culture medium, the dead jelly layer turned white due to mold and so forth was removed and the contamination of other embryos was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jelly layer turned white, the jelly layer of the embryo was peeled off when the inside of the animal was alive and moving.

<3-2> <3-2> InIn VitroVitro 수정 ( Modified ( InIn VitroVitro fertilizationfertilization , , IVFIVF ))

<3-2-1> <3-2-1> 정소 축출Trial removal

상기 <3-1-1>과 같이 정자의 형성을 유도한지 18시간이 경과된 수컷 무당개구리 개체의 내피와 내피를 절개하고, 두 개의 막 및 복부의 내장을 제거하여 신장 사이의 정소를 적출하였다.The endothelium and endothelium of a male mushroom frog which had been elongated 18 hours after inducing spermatogenesis were dissected as described in <3-1-1>, and the intestines of the two membranes and abdomen were removed to extract testis between the kidneys .

<3-2-2> <3-2-2> 정자현탁액의 제조Preparation of Sperm Suspension

상기 <3-2-1>에서 적출된 적출된 정소 조직 중에서 hCG의 자극을 제대로 받지 못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작은 정소는 제거하고, 정소 1개당 2 ㎖의 0.1X MMR 또는 10% 스테인버그 용액(steinberg solution)을 처리하여 해부기로 잘게 저며 정자현탁액을 만든다. 만들어진 정자현탁액은 난자에 처리하기 전까지 상온에 정치시켰다.Among the extracted testicular tissues extracted from the above <3-2-1>, a small testis that has not properly received hCG stimulation and was not developed properly was removed, and 2 ml of 0.1X MMR or 10% steinberg solution solution) and finely squeezed with a dissector to make a sperm suspension. The prepared sperm suspension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until it was processed into oocytes.

<3-2-3> <3-2-3> 난자 및 수정란 수득Obtain egg and embryo

상기 <2-1>과 같이 hCG를 주사투여하고 18시간이 경과한 후, 암컷 무당개구리의 복부를 한쪽 겨드랑이 부위에서 항문방향으로 문질러, 멸균증류수로 세척된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인위적으로 산란시키고, 남는 난자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반대쪽 겨드랑이 부위도 같은 방법으로 문질러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산란시켜, 난자를 수득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득된 난자에 상기 <3-2-2>에서 제조한 정자현탁액을 파이펫으로 골고루 뿌려주는 동시에 난자를 단층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정자와 난자의 수정을 유도하였다.After 18 hours from the injection of hCG as in <2-1> above, the abdomen of the female shaman frog was rubbed in one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anus, artificially scattered on a slide glass washed with sterilized distilled water, To minimize oocytes, the contralateral armpit area was rubbed in the same manner and scattered on a slide glass to obtain eggs. The sperm suspension prepared in the above <3-2-2> was uniformly sprayed on the thus obtained oocytes with a pipette, and at the same time, the oocytes were arranged as a single layer to induce the fertilization of sperm and oocytes.

<3-2-4> <3-2-4> 수정란의 배양Culture of embryos

상기 <3-2-3>에서 수득된 수정란을 22 ℃ 내지 23 ℃의 온도로 맞춰진 배양기에서 12시간의 명암주기로 배양하였다. 배양액의 경우, 포배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0.1X MMR을 이용하였고, 포배단계 이후부터는 0.3X MMR을 이용하였다. 배양액은 하루에 한번 교체해주며, 배양액 교체 시 젤리층이 곰팡이 등에 의해 흰색으로 변한 죽은 배아는 제거하며 다른 배아의 오염을 막았다. 또한, 젤리층이 흰색으로 변하였으나 내부의 개체가 살아서 움직이는 경우에는 배아의 젤리 층을 벗겨주었다.
The embryo obtained in the above <3-2-3> was cultured in a darkness period of 12 hours in an incubator adjusted to a temperature of 22 ° C to 23 ° C. For culture, 0.1X MMR was used until the blast phase was reached, and 0.3X MMR was used after blastocyst stage. The culture medium was changed once a day, and when replacing the culture medium, the dead jelly layer turned into white due to fungi, etc., was removed and the contamination of other embryos was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jelly layer turned white, the jelly layer of the embryo was peeled off when the inside of the animal was alive and moving.

자연 교배와 Natural mating and IVFIVF 의 비교Comparison of

같은 개체에서 상기 <3-1>과 같은 방법으로 획득한 수정란과 상기 <3-2>과 같은 방법으로 획득한 수정란의 부화 성공률을 비교하였다.The hatching success rate of the embryo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3-1> and the embryos obtained in <3-2> were compared.

그 결과, IVF에 의하여 획득한 수정란의 부화 성공률은 약 63.4%에 그치는 반면, 자연 교배를 통해 획득한 수정란은 그 부화 성공률이 90.2%에 이르렀다(표 4).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자연 교배에 의하여 획득한 수정란이 IVF에 의하여 획득한 수정란에 비하여 부화성공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the hatching success rate of the embryos obtained by IVF was only about 63.4%, while the hatching success rate of the embryos obtained by natural crossing reached 90.2% (Table 4).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mbryo obtained by natural hybridization had a higher hatching success rate than the embryo obtained by IVF.

개체번호Object number
IVFIVF 자연교배Natural breeding
산란수Scattered water 부화 성공수Successful hatching 부화 성공률Hatching success rate 산란수Scattered water 부화 성공수Successful hatching 부화 성공률Hatching success rate 1One 201201 120120 59.7 59.7 291291 260260 89.3 89.3 22 392392 250250 63.8 63.8 131131 121121 92.4 92.4 33 220220 150150 68.2 68.2 133133 113113 85.0 85.0 44 108108 6767 62.0 62.0 154154 145145 94.2 94.2 평균Average 230 230 147 147 63.4 63.4 177 177 160 160 90.2 90.2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it appropriately.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암컷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에 hCG를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로부터 난자의 산란 및 수정을 유도하여 수정란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를 휴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휴식시킨 암컷 무당개구리에 hCG를 투여하여 다시 과배란을 유도하고, 난자를 산란시켜 다시 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난자의 산란 및 수정은 착란(着卵)용 구조물이 구비된 수조 내에서, 수컷 무당개구리와 상기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 무당개구리의 포접을 유도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착란용 구조물은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
Inducing superovulation by administering hCG to a female bulbous frog ( Bombina orientalis );
Inducing egg scattering and fertilization from the superovulation-induced female mushroom frog to form an embryo;
Obtaining said embryo;
Resting the scattered-induced female mamma frog; And
Administering hCG to the resting female shamanic frog to induce superovulation again, and scattering the egg to obtain an embryo again,
The scattering and correction of the egg is carried out by inducing folding of the male mushroom frog and the female mushroom frog guided by the superovulation in a water tank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concealing the egg, and the structure for confusion is a sponge A method of producing repetitive embryos of a mushroom fro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평균 공극 크기가 0.5 ㎜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당개구리의 반복적 수정란 생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ponge has an average pore size of 0.5 mm to 1.5 mm.
KR1020120149416A 2011-12-30 2012-12-20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ver-ovulating and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btaining fertilized eggs using Bombina orientalis KR1014323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952 2011-12-30
KR20110146952 2011-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177A KR20130079177A (en) 2013-07-10
KR101432387B1 true KR101432387B1 (en) 2014-08-22

Family

ID=4899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416A KR101432387B1 (en) 2011-12-30 2012-12-20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ver-ovulating and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btaining fertilized eggs using Bombina oriental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38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605B1 (en) * 2018-02-26 2021-02-04 대한민국 Methods for Screening Therapeutic Agents for Airway Conduct MucinSecretion Inhibitor Using the Frog Embry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73B1 (en) * 2008-11-17 2009-05-26 (주)보원엔지니어링 A crib using ri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73B1 (en) * 2008-11-17 2009-05-26 (주)보원엔지니어링 A crib using riv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자료1 - 환경부 과제보고서 *
인터넷자료1 - 환경부 과제보고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177A (en)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ennings Bighead carp (Hypophthalmichthys nobilis): biological synopsis
Horváth Egg development (oogenesis) in the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CN106900608A (en) A kind of breeding method of big squama Barb fishes
Krejszeff et al. Artificial reproduction of two different spawn-forms of the chub
CN104872059B (en) A kind of artificial fecundation method of Siam crocodile
Vallainc et al. Producing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fries in captivity from sexually mature adults collected in Sardinian lagoons
ALNAWAFLEH Stimulation of Molting and Ovarian Maturation by Methyl Farnesoate in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
Naiel et al. Paddlefish, Polyodon spathula: Historical, current status and future aquaculture prospects in Russia
Arai et al. Interspecific predation of common Strait of Georgia planktonic coelenterates: laboratory evidence
KR101432387B1 (en)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ver-ovulating and the method for repetitively obtaining fertilized eggs using Bombina orientalis
Ayoola et al. Comparative study of piscine and non-piscine pituitary extract and ovulin for inducing spawning in catfish (Clarias gariepinus)
De Silva et al. Artificial propagation of the indigenous Tor species, empurau (T. tambroides) and semah (T. douronensis), Sarawak, East Malaysia
CN109874707B (en) Method for efficiently creating allooctaploid silver crucian carp
CN109349170B (en) Artificial breeding method for cupfish with round mouth
CN108967280B (en) Artificial propagation method of loaches climbing in lateral ditches
Karim et al. Hormone induced artificial breeding of a commercially important marine finfish, striped mullet (Mugil cephalus L.) in Bangladesh
Taslima et al. Induced breeding and larvae rearing of critically endangered riverine catfish Rita rita (Hamilton)
Forsgren et al. The life history of weedy seadragons, Phyllopteryx taeniolatus (Teleostei: Syngnathidae)
Kucharczyk et al. New experimental incubation unit for eggs of the perch Perca fluviatilis
KAswAGI Mature haploids and their reproductive capacity in Rana rugosa
Abol-Munafi et al. Effects of maturational hormone treatment on spermatogenesis of hybrid catfish (Clarias macrocephalus x C. gariepinus)
Guete-Salazar et al. Spawning, larval culture, settlement and juvenile production of the west Indian Sea egg, Tripneustes ventricosus (Lamarck, 1816), under hatchery conditions
Gigli The effects of salinity on zootechnical performance of spotted seatrout (Cynoscion nebulosus)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Chakraborty et al. Induction of spawning in local sarpunti (Puntius sarana)
Tsadu et al. Induced breeding of Clarias anguillaris with Xenopus leavies (African clawed frog) crude pituitary gl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