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264B1 -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264B1
KR101432264B1 KR1020130156625A KR20130156625A KR101432264B1 KR 101432264 B1 KR101432264 B1 KR 101432264B1 KR 1020130156625 A KR1020130156625 A KR 1020130156625A KR 20130156625 A KR20130156625 A KR 20130156625A KR 101432264 B1 KR101432264 B1 KR 10143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composite material
carbon nanotube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경
정찬영
오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데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데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데소
Priority to KR102013015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4Solid materials, e.g. powdery or gran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는 100 중량부의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에 0.5 내지 5 중량부의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되어 용융 분산된 것으로서, 여기서 지름(D)이 상대적으로 작고 길이(L)이 상대적으로 긴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용융 분산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수지의 방열 특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Composite Improved Heat Dissipat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에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를 가미하여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수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S(Polystyrene) 수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PE(Polyethylene) 수지 등의 고분자(高分子) 수지(樹脂)는 가볍고 녹슬지 않으며 금속과 같은 기계적 성질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성형이 용이하여, 그 용도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이들 수지는 강도·탄성(彈性)뿐만 아니라, 내충격성(耐衝擊性)·내마모성(耐磨耗性)·내열성(耐熱性)·내한성(耐寒性)·내약품성 등도 우수하다. 반면에 이들 수지는 열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열 전도도를 이용해야 하는 방열판 등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예컨대, 최근에 많이 생산되고 있는 엘이디(LED) 조명장치는 그 성능이 매우 우수하지만 한편으로 엘이디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절히 배출하지 못하면 엘이디나 그 구동회로의 열화를 초래하여 수명이 단축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열 전도도가 우수한 방열판을 부착하는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방열판 소재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인데, 열 전도도는 우수하지만 매우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여러 성능에서 우수한 다른 소재, 예컨대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알려진 것처럼 고분자 수지는 만족할만한 방열 특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방열판의 소재로 채택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분자 수지의 방열 특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아직까지 활발한 상황은 아니다. 그 중 하나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38775호는 고분자 기반 방열성 복합소재를 제시하고 있다. 이 복합소재는 주성분으로 고분자 기반의 연속상 수지를 사용하되, 방열 특성을 위하여 방열필러와 분산상 입자를 혼합한 것이다. 방열필러는 연속상 수지와 화학적 결합이 가능하고, 연속상 수지 상에 혼합 분산되고, 분산상 입자는 상기 방열필러와의 상용성이 없어 연속상 수지 및 방열필러와의 혼합시 방열필러와 상분리가 일어나며 사출시 방열필러의 배열방향을 불규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가소성 고분자 수지에 탄소나노튜브를 가미하여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소재는, 100 중량부의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에 0.5 내지 5 중량부의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되어 용융 분산된 것으로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지름(D)이 5 ~ 15 ㎚, 길이(L)가 100 ~ 500 ㎛, 겉보기 부피가 0.02 g/㎤ 이하인 다발형(Bundle)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소재는, 100 중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펠릿(Pellet)에 0.5 내지 5 중량부의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면서, 고분자 수지 분산용 분산제를 함께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30 ~ 300rpm의 회전속도로 15 ~ 30 분 가량 교반하여 상기 펠릿의 표면에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분산제를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착단계를 수행한 혼합물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용융시킨 다음 압출하여 특정 형태의 복합소재를 생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 가소성 고분자 수지의 우수한 장점을 가지면서도 그 방열특성을 개선한 소재를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는 주성분이 되는 고분자 열가소성 수지에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를 혼합된 것으로서, 개별 고분자 수지 자체가 갖는 우수한 성능에 더하여 개선된 방열 특성이 있다.
주성분이 되는 고분자 수지로는 열 가소성 수지가 해당하며,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수지, 폴리아미드(PA: Polyamide), 폴리아세탈(POM: Polyoxymethylene)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폴리술폰(PSF: PolySulFone)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수지, 폴리이미드(PI: Polyimide)수지 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에이비에스(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수지, SAN(Styrene acrylonitrile) 수지, SBS(Styrene-butadiene-styrene) 수지, 아크릴(Acrylic) 수지와 같은 일반 플라스틱도 해당한다. 나아가, 이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 개의 수지가 중합된 형태의 수지도 가능하다. 이하, 간단히 고분자 수지라 한다.
복합소재는 100 중량부의 고분자 수지에 0.5 내지 5 중량부의 열 전도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켜 합성한다. 탄소나노튜브는 그 크기적 특성, 즉 지름(D)과 길이(L)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출원인의 많은 실험 결과에 의하면 튜브의 지름(D)이 작고 그 장방향의 길이(L)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결과
아래 표 1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복합소재로 가공한 판상의 성형물에서의 열 전도도(W/mk)를 검사한 표로서, 지름(D)이 동일하고 길이(L)가 서로 다른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열 전도도가 높을수록 방열 특성이 좋은 것이다.
No D
(㎚)
L
(㎛)
농도
(중량부)
겉보기부피
(g/㎤)
In-plane
(W/mk)
Through-plane
(W/mk)
1 8 ~ 10 25 ~ 50 2 0.01 0.28 0.19
2 8 ~ 10 300 ~ 500 2 0.03~0.04 2.33 0.03
3 8 ~ 10 5 ~ 20 2 0.04 0.40 0.20
4 8 ~ 10 100 ~ 200 2 0.01 2.55 0.06
5 8 ~ 10 1 ~ 25 2 0.03~0.05 2.43 0.03
6 8 ~ 10 100 ~ 500 0.8 0.01~0.012 2.26 0.04
7 8 ~ 10 50 ~ 100 2 2.61 0.06
여기서, D, L 및 겉보기 부피는 탄소나노튜브의 직경, 길이 및 겉보기 부피를 의미하며, 농도는 100 중량부의 고분자 수지에 혼합된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부를 나타낸다. 면의 넓이와 두께로 표현될 수 있는 판 상의 가공물을 고려할 때, In-plain은 그 면에 수평한 방향으로의 열전도도이고, Through-plain은 그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열전도도이다. 예컨대, 방열판은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방법으로 방열을 하는 수단이므로 방열판 내에서 열은 방열판의 외면을 따라 빠르게 전도될 필요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복합소재로 방열판을 제작할 때는 In-plane 값이 더 중요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지름(D)이 8 ~ 10 ㎚이면서, 길이(L)가 100 ~ 200 ㎛ (시료 4)이거나 50 ~ 100 ㎛(시료 7)인 탄소나노튜브의 In-plain 열전달 성능이 다른 것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6번 시료는 탄소나노튜브의 농도가 0.8 중량부로서 다른 시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혼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In-plain 열전달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전처리>
혼합 단계: S101
우선, 열가소성 수지 펠릿(Pellet) 100 중량부에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다. 이 혼합물에 분산용 고분자 분산제 일정량을 함께 혼합한다. 혼합되는 탄소나노튜브로는 지름(D)이 5 ~ 15 ㎚, 길이(L)가 100 ~ 500 ㎛, 겉보기 부피가 0.02 g/㎤ 이하인 다발형(Bundle)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 단계: S103
혼합물을 30 ~ 300rpm의 회전속도로 15 ~ 30 분 가량 교반하여 펠릿의 표면온도를 40 ℃이상 상승시킨다. 펠릿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면, 혼합된 탄소나노튜브가 분산제와 함께 펠릿의 표면에 흡착되어 코팅 형태의 얇은 막을 형성하게 된다.
< 이축압출기 ( Twin - Screw Extruder ) 내에서 용융 분산: S105 >
전처리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용융시킨 다음 압출하여 특정 형태의 복합소재를 최종적으로 생산한다. 압출기의 온도는 투입된 고분자 수지의 용융온도에 의존한다. 이축 압출기는 적어도 1개소 이상의 혼련부(Kneading Block)가 포함된 스크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방열 특성이 개선된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100 중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펠릿(Pellet)에 0.5 내지 5 중량부의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면서, 고분자 분산제를 함께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30 ~ 300 rpm의 회전속도로 15 ~ 30 분 가량 교반하여 상기 펠릿의 표면에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분산제를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착단계를 수행한 혼합물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용융시킨 다음 압출하여 특정 형태의 복합소재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지름(D)이 5 ~ 15 ㎚, 길이(L)가 100 ~ 500 ㎛, 겉보기 부피가 0.02 g/㎤ 이하이고 다발형(Bund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소재 제조방법.
  3. 삭제
KR1020130156625A 2013-12-16 2013-12-16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625A KR101432264B1 (ko) 2013-12-16 2013-12-16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625A KR101432264B1 (ko) 2013-12-16 2013-12-16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264B1 true KR101432264B1 (ko) 2014-08-21

Family

ID=5175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625A KR101432264B1 (ko) 2013-12-16 2013-12-16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2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813B1 (ko) * 2015-03-31 2015-10-06 주식회사 아데소 우수한 열전도도를 갖는 방열성 고분자 복합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이루어진 방열판
KR101652499B1 (ko) * 2015-03-31 2016-08-30 주식회사 아데소 방열성 고분자 복합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이루어진 방열판
KR101770219B1 (ko) * 2016-03-11 2017-08-22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항균 방열 스마트웨어
WO2020111849A1 (ko) * 2018-11-30 2020-06-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반전도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470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효성 열가소성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470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효성 열가소성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813B1 (ko) * 2015-03-31 2015-10-06 주식회사 아데소 우수한 열전도도를 갖는 방열성 고분자 복합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이루어진 방열판
KR101652499B1 (ko) * 2015-03-31 2016-08-30 주식회사 아데소 방열성 고분자 복합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이루어진 방열판
KR101770219B1 (ko) * 2016-03-11 2017-08-22 주식회사 대신테크젠 항균 방열 스마트웨어
WO2020111849A1 (ko) * 2018-11-30 2020-06-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반전도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ng et al. Enhanced through‐plane thermal conductivity of polyamide 6 composites with vertical alignment of boron nitride achieved by fused deposition modeling
KR101432264B1 (ko) 방열성능을 개선한 고분자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00500B1 (ko) 전자파 차폐 및 방열 복합재 조성물
WO2014047249A1 (en) Methods for making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nitride
TWI454519B (zh) 高度熱傳導可模製的熱塑性複合物及組合物
US8946333B2 (en) Thermally conductive plastic compositions,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rmally conductive plastics
JP6789220B2 (ja) 熱伝導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熱伝導性プラスチ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押出装置および方法
CN101568599B (zh) 导热树脂组合物和塑料制品
Wieme et al. The relevance of material and processing parameters o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rmoplastic composites
KR2017009004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품
KR101557813B1 (ko) 우수한 열전도도를 갖는 방열성 고분자 복합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이루어진 방열판
JP2006328352A (ja) 絶縁性熱伝導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6204570A (ja) 熱伝導性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Via et al. Electrical conductivity modeling of carbon black/polycarbonate, carbon nanotube/polycarbonate, and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polycarbonate composites
KR20180045746A (ko) 3d 프린터용 고방열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1911331B1 (ko) 방사율이 개선된 사출성형 방열소재 제조방법
KR101790707B1 (ko) 전도성 마스터 배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
KR101581499B1 (ko) 고분자 수지용 방열재, 방열 수지 조성물, 플라스틱 방열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478819B1 (ko) 전기절연성 및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60095519A (ko) 탄소나노튜브 기반 하이브리드 방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6168851B2 (ja) 放熱樹脂成形体
KR101977125B1 (ko) Led 조명장치용 탄소계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1657338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제조 방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KR20180083589A (ko) 3d 프린트용 방열 플라스틱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9078B1 (ko) 방열구조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