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58B1 - Power connecting device, standby power cutting method and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 - Google Patents

Power connecting device, standby power cutting method and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058B1
KR101432058B1 KR1020130024871A KR20130024871A KR101432058B1 KR 101432058 B1 KR101432058 B1 KR 101432058B1 KR 1020130024871 A KR1020130024871 A KR 1020130024871A KR 20130024871 A KR20130024871 A KR 20130024871A KR 101432058 B1 KR101432058 B1 KR 10143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ser
control signal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웅
장재훈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0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0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tandby power blocking method of a power connecting device including an outlet and a connection part which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he standby power block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communicating with a master devic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utlet to the connection part if a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ted from the master device; and electrically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part from the outlet if a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ted from the master device.

Description

전원연결장치, 대기 전력 차단 방법 및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POWER CONNECTING DEVICE, STANDBY POWER CUTTING METHOD AND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necting apparatus, a standby power cut-off method, and a standby power cut-

본 발명은 전원연결장치, 대기 전력 차단 방법 및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력 포트를 상시 전력 포트와 대기 전력 차단 포트로 구분하고 무선통신제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퇴근 여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더 이상 전원연결장치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 전력 차단포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연결장치, 대기 전력 차단 방법 및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nection device, a standby power cutoff method, and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More particularly, And disconnects the power supplied to the standby power shut-off port when the user is determined not to use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ng device any longer, a standby power cut-off method, and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

대기 전력이란, 기기의 동작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를 말한다. Standby power refers to the electrical energy consumed by the user while he or she is unconscious,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최근 리모컨으로 동작되고,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전자제품의 증가와 함께 대기 전력 소비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복사기나 비디오 레코더는 전체 사용전력의 80%가 대기 전력으로 추정된다. 또한,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되는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나 대부분의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세탁기, 에어컨, 텔레비젼, DVD플레이어, 전자레인지, 휴대전화충전기 등의 전자 장치는 대기 전력 소비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ectronic appliances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which is operated by a remote control and which indicates the operating state, and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is also increasing. Particularly, 80% of the total used power of the copying machine or the video recorder is estimated as standby power. In addition,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monitors, printers, facsimiles, and washing machines widely used in offices, air conditioners, televisions, DVD players, microwave ovens, and cellular phone chargers, which are widely used in offices, .

국제에너지기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들의 경우 가구당 전력소비량의 10%인 60와트(W)가 대기 전력일 것으로 추정한다. 미국은 대기 전력의 비율이 5%로 적은 편이지만 이로 인한 비용은 매년 약 13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estimates that 60 per cent (W) of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per household will be standby power for OECD member countries. The United States has a low standby power ratio of 5%, but the cost is estimated to be about $ 1.3 billion per year.

이처럼 심각한 대기 전력 문제해결을 위해 국제에너지기구는 2010년까지 모든 전자제품의 대기 전력을 1와트 이하로 줄이도록 세계 각국에 권고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serious standby power problem,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recommended to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to reduce the standby power of all electronic products to less than 1 watt by 2010.

이와 같은 대기 전력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전자 장치의 생산 단계에서부터 대기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대기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 하는 방법일 뿐,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될 수 없었다.There is a method that can minimize the standby power from the production stage of the electronic device 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standby power. However, this is a method of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the standby power, and a fundamental solution It could not be the way.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플러그를 뽑아두거나, 전자 장치의 플러그가 연결된 멀티탭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이 있었다. 멀티탭의 전원을 차단하면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As a most effective method for blocking the standby power, there has been a method of pulling out a plug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in use or shutting off the power of the multi-tab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If you turn off the power of the multi-tap, it will have the same effect as pulling the plug from the outlet.

그러나 대기 전력 소모를 없애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플러그를 뽑아 두는 방법은 사용자가 불필요한 전자 장치가 무엇인지 판단해야 하고 다시 전자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플러그를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eliminate standby power consumption, the method of unplugging the electronic device requires the user to determine what the unnecessary electronic device is and there is a need to connect the plug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to be used again.

또한, 멀티탭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다수의 전자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전자 장치의 전원도 차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ethod of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multi-tap, sinc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of an electronic device to be supplied always is cut off.

예를 들어,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는 냉장고와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레인지가 하나의 멀티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대기 전력 차단을 위해 멀티탭 전원을 차단하면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는 냉장고의 전원도 차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when a refrigerator requiring constant power supply and a microwave oven that does not require constant power supply are connected to one multi-tap, if the multi-tap power is cut off for standby power interruption, The power of the refrigerator is also cut off.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플러그를 뽑지 않도록 하면서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장치에 대해서만 대기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need for a power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hutting off standby power only for an electronic device which does not require a power supply at all times while preventing the user from directly unplugging the plug.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공급 장치의 복수의 전력 포트를 상시 전력 포트와 대기 전력 차단 포트로 구분하고 무선통신제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퇴근 여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더 이상 전원연결장치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 전력 차단포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및 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vide a plurality of power ports of a power supply into a normal power port and a standby power cutoff por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commute to or from a work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Power interruption port, and a system for shutting off 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전원에 연결되는 연결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콘센트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콘센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마스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콘센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powe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receptacl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providing an electric signal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external device, A switch for switc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receptacle unit and the socket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unit and the receptacle unit when a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and controlling the switch to sh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when a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이때, 전원연결장치는 사용자 별로 등록된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가 고유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경우에만 전기적 연결을 차단 또는 연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registered for each user, and the control unit may block or connect the electrical connection only when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corresponds to a unique identifier .

또한, 전원연결장치의 제어부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된 때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전원연결장치의 콘센트부는, 연결부와 위치를 통해 연결되어,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콘센트 및 전원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of the power connection unit may count the time from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is input, and to control the switch to c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preset time , The receptacle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receptac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via the position and switchable by the switch and at least one second receptacle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원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콘센트를 포함하는 전원연결장치의 대기 전력 차단 방법은, 마스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부 및 콘센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콘센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standby power cut-off method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connection unit and the receptacl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device;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And disconnec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when a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이때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된 때로부터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카운팅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interrup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comprises the step of counting the time from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ted and the step of interrup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time . ≪ / RTI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은, 사용자 별로 대기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마스터 장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연결되는 전원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전원연결장치는, 전원에 연결되는 연결부, 콘센트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센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마스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부와 콘센트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ter device for managing standby power for each user and a power connection device to which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connected, A switch for switc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ocket part, a communication par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device,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part and the receptacle part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ted from the master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to c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한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의 마스터 장치는, 사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사용자 식별자 별로 매칭되는 전원연결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출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터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에 매칭되는 전원연결장치로,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ster device of 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a user enters or exit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power connection device matched for each user identifier, A master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work and generating a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user is sensed to be at work and a power connection unit for matching the identifier of the user, And a master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또한,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성하는 마스터 장치의 마스터 제어부는,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퇴장이 감지되고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ter control unit of the master device constituting the standby power cut-off system determines that the user is leaving when the user's exi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nd the user's position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Signal can be generated.

그리고,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성하는 마스터 장치의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사용자의 퇴근이 감지된 경우, 사용자 식별자에 매칭되는 전원연결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며, 전기 장치가 비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만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master control unit of the master device constituting the standby power cut-off system determines whether or not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matched with the user identifier is activated when the user's work is detected, The second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only in the inactive stat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 및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은, 무선통신제어를 기반으로 사용자 출퇴근 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불필요한 대기 전력만을 차단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nd the standby power cut-off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user commute to work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nd blocking unnecessary standby power,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외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200)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 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3은 도 12와 같은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 사용되는 마스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timing chart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structure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pplication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standby power cutoff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master device used in 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as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은 마스터 장치(100)와 슬레이브 장치(200)로 구성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tandby power cut-off system is composed of a master device 100 and a slave device 200.

마스터 장치(100)는 스마트인식기능에 의해 사용자의 출입을 판별하고,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하고, 출입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사용자의 ID 카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직접 출입 정보를 입력하게 하거나, 사용자의 지문 또는 홍채와 같은 신체 정보를 통해 사용자 출입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The master device 100 can recognize the entrance / exit of the user by the smart recognition function, recognize the entrance / exit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entrance / exit information to the slave device 200. The master device recognizes the user's ID card and recognizes the user's acces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user can directly input access information, or the user access information Or the like.

슬레이브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전송받아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 전력을 차단한다.The slave device 200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master device 100, and disconnects unnecessary standby power b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user by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ower source.

이때 슬레이브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100)와 무선랜(Wireless Lan), HomeRF(Home Radio Frequency), IEEE1394, PLC(Power Line Communication), Bluetooth, 홈 PNA, RF(Radio Frequency), 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lav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100 through a wireless LAN, HomeRF, IEEE1394, PLC, Bluetooth, home PNA, RF, Zigbee,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or the like.

사용자는 슬레이브 장치(200)를 콘센트나 멀티탭과 같은 전원연결장치에 연결하고, 전자 장치를 슬레이브 장치(200)에 연결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connect the slave device 200 to a power connection device such as a socket or a multi-tap, and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slave device 200. [

슬레이브 장치(200)에는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장치 또는 전원연결장치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가정집의 경우 대기 전력 소모가 크고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TV, 셋톱 박스, 컴퓨터 등이 연결될 수 있다.The slave device 200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or a power connection device which does not require a constant power supply. For example, a home can be connected to a TV, a set-top box, a computer, etc., which consumes a large amount of standby power and does not require a constant power supply.

또한, 슬레이브 장치(200)에 멀티탭과 같은 전원연결장치를 연결하고, 멀티탭에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수의 전자 장치를 연결한 후 슬레이브 장치(200)가 전원과의 연결을 차단 시킴으로써 대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The slave device 200 is connected to a power connection device such as a power strip, and the slave device 200 disconnects the power source from the power source after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t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minimizes power consumption.

슬레이브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출입 정보가 입력되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거나 연결할 수 있으나,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다.The slave device 200 may block or connect the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100, but may electrically connect or disconnect the devic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is exceeded.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슬레이브 장치(200)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퇴근 정보가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면 슬레이브 장치(200)는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슬레이브 장치(200)와 연결된 전자 장치 또는 전원연결장치의 대기 전력을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사무실 출입 기록만으로 사용자가 퇴근하였는지 여부를 명확히 할 수 없으므로 마지막 출입 정보가 전송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하면 슬레이브 장치가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대기 전력을 없앨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lave device 200 is used in the office, when the user's worker's ho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100, the slave device 200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200, The standby power of the connection device can be eliminated.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to clarify whether or not the user has left the office by only entering and exiting the office, the slave device can interrupt the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last access information was transmitted.

한편, 도 1에서는 마스터 장치(100)에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200)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마스터 장치(100)에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200)가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1, one slave device 200 is shown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100, but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200 may be connected to one master device 100. FIG.

이때 슬레이브 장치(200)는 고유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고유의 식별자는 각각의 슬레이브 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면, 고유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가 사용하는 슬레이브 장치(200)만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lave device 200 may include a unique identifier, and the unique identifier corresponds to the user information that uses each slave device 200. Whe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is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100, only the slave device 200 used by a specific user can be controlled using a unique identifier.

예를 들어, 사무실 공간에 출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마스터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고, 다수의 사용자가 고유의 식별자가 포함된 슬레이브 장치(200)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For example, a case will be exemplified in which a master device 100 for inputting fingerprint information of a user is installed to enter and leave an office space, and a plurality of users use a slave device 200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

특정 사용자가 사무실 공간에 들어오기 위하여 자신의 지문 정보를 마스터 장치(100)에 입력하면, 마스터 장치(200)는 슬레이브 장치(200)에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의 지문 정보와 슬레이브 장치에 포함된 고유의 식별자가 대응되므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고유의 식별자를 갖는 슬레이브 장치(200)만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user enters his or her fingerprint information into the master device 100 to enter the office space, the master device 200 transmits the user's access information to the slave device 200. [ At this time, sinc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s to the unique identifier included in the slave device, only the slave device 200 having the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can electrically connect or dis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이와 같은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활용하면, 사용자가 불필요한 전자 장치의 플러그를 뽑아두거나, 멀티탭의 전원을 차단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대기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Utilizing such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ha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shut off the standby power without removing the plug of the unnecessary electronic device or cutting off the power of the multi-tab.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nec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연결장치(200)는 연결부(210), 콘센트부(220), 통신부(230), 스위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210, a receptacle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nd a switch 240. [

연결부(210)는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연결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connection unit 21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supplies power to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

연결부(210)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연결장치(210)에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원 입력선(미도시)와 플러그(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210 may include a power input line (not shown) and a plug (not shown) to supply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and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unit 210.

플러그는 외부의 콘센트나 멀티탭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plug supplies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200 as a portion directly connected to an outlet or an electrical outlet.

전원 입력선은 외부 콘센트나 멀티탭이 전원연결장치(200)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이를 연결하기 위한 전선으로, 전원연결장치(200)의 사용 태양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power input line is an electric wire for connecting an external socket or a power strip when the power strip 200 is far away from the power socket 200. The length of the power input lin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age of the power socket 200.

콘센트부(22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제공한다.The receptacle 2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provides an electric signal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to an external device.

전원연결장치(200)는 복수의 콘센트부(220)를 구비하여 상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복수의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원연결장치(200)에 멀티탭을 연결하고 멀티탭에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apparatuses that do not require constant power by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220. Or may be realized by connecting a multi-tap to the power connecting device 200 and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to the multi-tap.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200)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전송받아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연결장치(200)의 콘센트부(220)에는 상시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장치나 멀티탭이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n electronic device or a multi-tap can b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220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which does not require power supply at all times.

통신부(230)는 마스터 장치(000)와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device (000).

통신부(230)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제2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receive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전원연결장치(200)가 있는 공간에 들어올 때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전원연결장치(200)가 있는 공간으로부터 나갈 때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input when the user enters the space wher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is present,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As shown in FIG.

따라서, 통신부(230)가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연결장치(200)가 전원을 연결하여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230 receives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power connection unit 200 may connect the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unit 200.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power is cut off and the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ng device 200 is cut off.

한편, 통신부(230)는 무선랜, HomeRF(Home Radio Frequency), IEEE1394, 홈 PNA, RF(Radio Frequency),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등의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in a manner of a wireless LAN, a home radio frequency (RF), an IEEE 1394, a home PNA, a radio frequency (RF), or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통신부(230)가 전원연결장치(200)에 포함되는 경우로 한정하였으나,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통신부(230)가 외부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is included in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in the course of the invention.

스위치(240)는 연결부와 콘센트부(2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한다.The switch 240 switch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and the receptacle 220.

스위치(240) 사용자 출입 정보에 대응하여 연결부(210)와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한다.The switch 240 switch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unit 21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in response to user access information.

스위치(240)는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부(210)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대기 전력 소모를 없앨 수 있다.The switch 2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10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100 or may be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unit 210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Consumption can be eliminated.

한편, 스위치(240)가 연결부(210)로부터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시키는 경우, 접점에 과도한 전류가 흘러 스파크에 의한 화재 발생의 염려 및 스위치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witch 240 physically connects or disconnects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from the connection part 210, an excessive current flows to the contact, which may cause a fire due to the spark, There may be problems.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240)는 릴레이 회로를 포함하여 작은 전류로 전자 장치에 인가되는 큰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레이 회로를 이용하여 스위치(240)를 구현하면, 과도한 전류에 의한 스위치(240)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 발생의 위험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witch 240 includes a relay circuit to control a larg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small current. If the switch 240 is implemented using the relay circuit, damage to the switch 240 due to excessive current can be prevented, and the risk of fire occurrence can be minimized.

제어부(250)는 전원연결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제어부(250)는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부(210)와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 시키고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부(210)로부터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차단시켜 대기 전력을 없앨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electrically connects the connection unit 210 and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ted from the master device 100.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The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 can be turned off to eliminate standby power.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전원연결장치(200)가 있는 공간에 들어올 때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전원연결장치(200)가 있는 공간으로부터 나갈 때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input when the user enters the space wher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is present,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It may be a signal inputted when leaving.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스위치(240)를 제어하여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50 may control the switch 240 to electrically connect or dis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이때 스위치(240)는 릴레이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50)는 릴레이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연결장치(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witch 240 may be configured as a relay circuit, and 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the relay circuit to electrically connect or disconnect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한편, 전원연결장치(20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not shown).

저장부는 고유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정보가 고유의 식별자에 대응되면 제어부(250)가 스위치(240)를 제어하여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The storage unit stores a unique identifier. When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corresponds to a unique identifier,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switch 240 to electrically connect or dis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위와 같이, 전원연결장치(200)가 고유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고유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전송될 때만 전원연결장치(200)를 제어하면, 마스터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원연결장치(200) 중 특정 전원연결장치(200)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stores a unique identifier and controls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only when the user's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nique identifier is transmitted,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100 There is an effect that only the specific power connection device 200 among the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devices 200 can be controlled.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3 and 4 are timing diagrams for explaining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슬레이브 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100 through a first control signal.

마스터 장치(100)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획득한다(S310). 마스터 장치(100)는 사용자의 ID 카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직접 출입 정보를 입력하게 하거나, 사용자의 지문 또는 홍채와 같은 신체 정보를 통해 사용자 출입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The master device 100 acquires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S310). The master device 100 recognizes the ID card of the user and recognizes the user's acces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input access information or to use the fingerprint or the body information Or may be a device that recognizes user access information.

마스터 장치(100)는 제1 제어 신호를 슬레이브 장치(200)에 전송한다(S320). 슬레이브 장치(200)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슬레이브 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330).The master device 100 transmits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slave device 200 (S320). The slave device 200 controls the switch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200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S330).

도 4는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전원으로부터 슬레이브 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100 to c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200 from the power source.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터 장치(100)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획득한다(S410). 마스터 장치(100)는 사용자가 슬레이브 장치(200)가 있는 장소로부터 나가는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제어신호를 슬레이브 장치(200)에 전송한다(S420).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master device 100 acquires access information of a user (S410). The master device 100 transmits to the slave device 200 a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exits from the place where the slave device 200 is located (S420).

슬레이브 장치(200)에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바로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나,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된 때로부터 시간을 카운팅 하여(S430),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S440).However,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the time is counted from the time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ted (S430). If the time exceeds the preset time, the electrical connection (S440).

사용자가 출입 정보를 마스터 장치(100)에 입력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슬레이브 장치(200)가 있는 장소로 되돌아왔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슬레이브 장치에 연결된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 사용자 의사에 맞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Even if the user has returned to the place where the slave device 200 is loca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user entered the access information into the master device 100, It may not be righ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외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structure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연결장치(200)의 외부는 플러그(510), 콘센트(520) 및 안테나(530)로 구성될 수 있다.5, the outside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composed of a plug 510, a receptacle 520, and an antenna 530. As shown in Fig.

플러그(510)는 외부 콘센트나 다른 멀티 탭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플러그(510)가 전원연결장치(200)의 몸체에 바로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별도의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콘센트 또는 멀티탭과 전원연결장치(200)와 연결하고자 하는 전자 장치가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전원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The plug 51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outlet or other multi-tap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g 51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body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but it may be connected by a separate power line. A power outlet may be used to connect a power outlet or an electronic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200 and the power strip.

콘센트(520)에는 전원을 공급 받고자 하는 전자 장치나 다른 멀티탭이 연결될 수 있다.The outlet 520 may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or other multi-tap to receive power.

전원연결장치(200)는 사용자 출입 정보를 수신받아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므로, 전원연결장치(200)에는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장치나 멀티탭이 연결되어야 한다.Sinc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receives the user access information and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an electronic device or a multi-tap that does not require the power supply at all times should b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대기 전력 소모 비율이 큰 세탁기, 에어컨, 텔레비젼, DVD플레이어, 전자레인지, 휴대전화충전기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퇴근 후 사용하지 않는 개인용 PC,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등의 사무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When used at home, a washing machine with a high standby power consumption ratio, an air conditioner, a television, a DVD player, a microwave oven, and a mobile phone charger may be connected. Also, when used in an office, office equipment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copier, a printer, and a multifunction peripheral that the user does not use after work can be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콘센트(520)가 1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콘센트(520)가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outlet 520 is shown. However, a plurality of outlets 520 may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또한, 콘센트(520)에 다른 멀티탭을 연결하고, 그 멀티탭에 대기 전력 소모가 큰 전자 장치를 연결할 수도 있다. 멀티탭의 전원을 차단하면 전자 장치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아두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another multi-tap to the receptacle 520 and connect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large standby power consumption to the multi-tap.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multi-tap, standby power can be shut off since the same effect as pulling the plug of the electronic device out of the outlet can be achieved.

안테나(530)은 마스터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The antenna 53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device 100.

안테나(530)는 사용자 출입 정보에 따라 마스터 장치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antenna 530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master device according to user access information.

본 실시 예에서 안테나(530)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는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ntenna 530 protrudes to the outside, but the antenna 530 may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또한, 안테나(530)가 전원연결장치(200) 몸체에 부착시키지 않고 통신선으로 연결하여 마스터 장치와 통신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곳에 위치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530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without attaching the antenna 530 to the body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so that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device is performed smoothly.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연결장치(200)를 외부 전원에 연결하고 콘센트(520)에 전자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사용자 출입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므로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connectin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outlet 520, power is automatically shut off according to user access information, so that standby power can be minimized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200)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pplication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멀티탭은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전원연결장치(200)가 제1 멀티탭(620)에 연결되며, 제2 멀티탭(630)이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것을 예로 든다.The first power strip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trip 620 and the second power strip 2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trip 200.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한편, 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멀티탭(620) 및 제2 멀티탭(630)에 다수의 전자장치가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든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ase wher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multi-tap 620 and the second multi-tap 63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멀티탭(620)에 연결되는 전자 장치는 전원연결장치(200)의 동작과 무관하게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는 전화기, 냉장고 등이 연결된다.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multi-tap 620 receives power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so that a telephone, a refrigerator, or the like that requires constant power supply is connected.

그러나,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되는 제2 멀티탭(630)은 사용자의 출입 정보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멀티탭(630)에는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기 전력 소모가 큰 전자 장치들이 연결된다.However, the second multi-tap 630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ng apparatus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electrically disconnected according to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ly, the second multi-tap 63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s which do not require the constant power supply and consume a large amount of standby power.

전원연결장치(610)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사용자가 제2 멀티탭(630)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거라고 판단되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대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The power connection unit 610 receives a signal from the master device, and if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multi-tap 630 is not to be used,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cut off to minimize standby power consumption.

예를 들어, 전원연결장치(200)가 각종 사무기기가 있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경우,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퇴근 정보가 입력되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제2 멀티탭(630)에 연결된 전자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connecting device 200 is used in an office having various office equipment, if the user's home work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100, the electronic device is disconnect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ion, Thereb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ource.

이때, 제1 멀티탭(620)은 전원연결장치(200)의 차단 동작과 무관하게 제1 멀티탭(620)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상시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자 장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multi-tap 620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multi-tap 620 regardless of the cut-off operation of the power connecting device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반면,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출근 정보가 입력되면 전원연결장치(610)는 제2 멀티탭을 제1 멀티탭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work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100, the power connection device 610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multi-tap to the first multi-tap to supply power.

따라서, 전원연결장치(200)를 사용하면 불필요하게 대기 전력을 소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해서만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power connecting device 200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cut off only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sumes standby power unnecessaril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사무실 공간을 사용하는 세 명의 사용자가 있고 각 사용자에 대응되는 고유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원연결장치(200-1, 200-2, 200-3)가 있는 경우를 예로 든다.In this embodiment, there is an example in which there are three users using one office space and power connection devices 200-1, 200-2, and 200-3 including unique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each user.

한편, 전원연결장치(200-1, 200-2, 200-3)에는 상시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100)에 사무실 출입 정보를 입력하면, 마스터 장치(100)는 이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200)인 전원연결장치 (200-1, 200-2, 200-3)에 전송한다. 전원연결장치(200)는 출입 정보에 대응하여 전원연결장치(200)에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power supply at all times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200-1, 200-2, and 200-3. When the user inputs office entrance information to the master device 100, the master device 100 transmits this information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200-1, 200-2, and 200-3, which are the slave devices 200. [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electrically connects or disconnects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in response to access information.

또한, 전원연결장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고유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전원연결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경우에만 전기적 연결 또는 차단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ower connection device may include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herefore, only whe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100 corresponds to a unique identifier stored in the power connection device, the connection or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performed.

예를 들어 사용자 A(710)가 퇴근 정보를 마스터 장치(100)에 입력하면, 마스터 장치(100)는 사용자 A(710)의 퇴근 정보를 전원연결장치에 전송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 710 inputs the leaving information to the master device 100, the master device 100 transmits the leaving information of the user A 710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사용자 A(710)의 퇴근 정보를 전송받은 전원연결장치는, 전원연결장치에 저장된 고유의 식별자와 사용자 A(710)와 대응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고유의 식별자와 사용자 정보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전기적 연결 또는 차단 동작을 수행한다.The power connection device having received the worker information of the user A 710 determines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unique identifier stored in the power connection device and the user A 710. At this time, an electrical connection or a b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when the unique identifier and the user inform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본 실시 예에서 전원연결장치 A'(200-1)이 사용자 A(710)에 대응되는 고유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A(710)의 출입정보에 전원연결장치 A'(200-1)만 동작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ower connection A '200-1 stores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ser A 710, the power connection A' 200-1 is connected to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 710, Only.

즉, 사용자 A(710)가 마스터 장치(100)에 퇴근 정보를 입력하면, 마스터 장치(100)는 전원연결장치(200-1, 200-2, 200-3)에 위 정보를 전송하나, 사용자 A(710)에 대응되는 고유의 식별자는 전원연결장치 A'(200-1)만이 저장하고 있으므로 전원연결장치 A'(200-1)만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대기 전력을 소모한다.That is, when the user A 710 inputs the leaving information to the master device 100, the master device 100 transmits the above information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200-1, 200-2, and 200-3, Only the power connection unit A '200-1 stores the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A 710, so that only the power connection unit A' 200-1 blocks the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sumes standby power.

마찬가지로, 사용자 B(720)의 출입 정보에 대해서는 전원연결장치 B'(200-2)만 동작하고, 사용자 C(730)의 출입 정보에 대해서는 전원연결장치 C'(200-3)만 동작한다.Similarly, only the power connection unit B '200-2 operates for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B 720, and only the power connection unit C' 200-3 operates for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C 730.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마스터 장치(100)에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인 전원연결장치(200-1, 200-2, 200-3)를 연결하고, 사용자에 대응되는 고유의 식별자를 갖는 전원연결장치만 동작하게 하면, 불필요한 대기 전력을 소모하는 전자 장치를 식별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200-1, 200-2, and 200-3, which are slave devices, to one master device 100 and to provide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sumes unnecessary standby power and to shut off the power supply.

한편, 상술한 도 5 및 도 6과 같은 실시 예에서는 전원연결장치가 멀티 탭들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전원연결장치 자체가 멀티 탭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5 and 6, the power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multi-tabs. However, the power connection unit itself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tap.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andby power cutoff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원연결장치(200)는 통신부(230)를 통해 마스터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S810).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S820), 제어부(250)는 스위치(240)를 제어하여 연결부(210)와 콘센트(2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830).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 communicates with the master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S810).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100 in step S820,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switch 24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nection unit 210 and the receptacle 220 in step S830.

반면, 전원연결장치(200)에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S840), 제어부(250)는 스위치(240)르 제어하여 연결부(210)와 콘센트(2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in step S840,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switch 240 to c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art 210 and the socket 220. [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연결부(210)와 콘센트(2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면, 불필요한 대기전력 소모를 없앨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unit 2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22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100, unnecessary standby power consumption can be eliminat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andby power cutoff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연결부(210)와 콘센트(22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경우만을 예로 든다.In this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t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ocket 220 is cut off is exemplified.

전원연결장치(200)가 마스터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S910)하는 도중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S920), 제어부(250)는 입력된 제어 신호가 제2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20).If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ted during the communication of the power connection unit 200 with the master device 100 in step S910, the control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control signal is the second signal (S920).

이때 제어부(250)는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된 때로부터 시간을 카운팅(S930)하여, 카운팅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스위치(240)를 제어한다(S940).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50 counts the time from the input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S930), and controls the switch 240 to c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time (S940).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만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면, 사용자가 전기적 차단을 원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일시적으로 사무 공간을 떠나 있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전원연결장치가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cut off only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input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if the user does not want to c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for example, even though the user temporarily leaves the office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apparatus is disconnect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ion.

도 10은 멀티 탭 형태로 구현된 전원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에 따르면, 연결부(210)는 외부의 전원(10)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연결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shows a configuration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implemented in a multi-tap form. 10, the connection unit 210 may include a connector and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10.

그리고, 복수의 콘센트부(220-1, 220-2)가 마련되며, 그 연결부(210) 및 콘센트부(220-1, 220-2) 사이에는 스위치(240)가 배치된다. 스위치(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오픈 또는 클로즈된다.A plurality of receptacles 220-1 and 220-2 are provided and a switch 240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210 and the receptacles 220-1 and 220-2. The switch 240 is opened or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제어부(250)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출근을 할 경우에는 제어부(250)는 연결부(210) 및 콘센트부(220-1, 220-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콘센트부(220-1, 220-2)에 연결된 각종 전기 장치들에 대해 대기 전력을 제공한다. 반면, 사용자가 퇴근을 할 경우에는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 대기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40 according to various control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at is, when the user goes to work, the control unit 250 electrically connects the connection unit 210 and the receptacles 220-1 and 220-2. Accordingly, standby power is provided to various electric devices connected to the receptacles 220-1 and 220-2.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leaves the home,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cut off. Thus, standby power can be saved.

도 11은 전원연결장치의 또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11에 따르면, 하나의 전원연결장치가 복수의 콘센트 패스(path)를 포함한다. 도 11에서는 첫 번째 콘센트 패스에는 스위치(240)가 배치되고, 두 번째 콘센트 패스에는 스위치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스위치(240)가 배치된 콘센트 패스에 배치된 제1 콘센트(221)들로 제공되는 전기 신호는 스위치(24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반면, 두 번째 콘센트 패스에 배치된 제2 콘센트(222)들은 전원과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50)가 스위치를 오프시키더라도, 제2 콘센트(222)들에 연결된 전기 장치들에 대해서는 전원이 그대로 공급될 수 있다. 11 shows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Fig. 11, one power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outlet paths. In Fig. 11, the switch 240 is disposed in the first outlet path, and no switch is disposed in the second outlet path. Accordingly, the electric signal provided to the first outlets 221 disposed in the outlet path where the switch 240 is disposed can be controlled on / off by the switch 240. [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ceptacles 222 disposed in the second receptacle path can be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ccordingly, even if the control unit 250 turns off the switch, the electric devices connected to the second receptacles 222 can be supplied with power as it is.

도 11과 같이 전원연결장치가 구성되면, 사용자는 대기 전력 소모를 제어하고자 하는 PC나 TV 등과 전기 장치들은 제1 콘센트(221)에 연결하고, 항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서버 장치나, 팩시밀리, 전화기, 충전기 등과 같은 전기 장치들은 제2 콘센트(222)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장치들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11, a user connects a PC, a TV, or the like, which intends to control standby power consumption, and electric devices to a first outlet 221, and a server device, a facsimile, a telephone, , A charger, etc.,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ceptacle 222. [ Thus, standby power consumption can be selectively reduced only for necessary devices.

한편, 마스터 장치(100) 및 전원연결장치(200)는 하나의 자동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령, 마스터 장치(100)는 가정이나 사무소, 연구실 들과 같은 한정된 공간 내의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aster device 100 and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one automated network system. For example, the master device 100 may provide a network ser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lectrical devices within a confined space, such as a home, an office, or a laboratory.

도 12는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마스터 장치(100) 및 복수의 전원연결장치(200-1 ~ 200-n)를 포함한다.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such a network system. 12, the network system includes a master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devices 200-1 to 200-n.

마스터 장치(100)는 도어 락 시스템(20)과 연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태그를 도어락 시스템(20)에 태깅하게 되면, 도어락 시스템(20)은 사용자 태그 정보를 마스터 장치(1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도어락 시스템(2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RFID 방식으로 사용자의 태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하며, 태깅이란 사용자가 태그가 부착된 카드나 단말 장치 등을 리더기로 가져다 대는 행동을 의미한다. The master device 10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door lock system 20. That is, if the user tags the tag owned by the user in the door lock system 20, the door lock system 20 can transmit the user tag information to the master device 100. The door lock system 20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user's tag using an RFID method such a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eans operation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using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2.45 GHz, Means an action of bringing a card or a terminal device, etc., to the reader.

태깅이 이루어지면, 마스터 장치(100)는 사용자 태그 정보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 정보를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에는 도어를 오픈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도어락 시스템(20)에 전송하고, 미등록된 사용자의 경우에는 비쥬얼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출입이 제한된다는 점을 통지할 수 있다. When tagging is performed, the master device 100 compares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tag information with pre-registered user information. As a result of comparison, if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door may be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system 20, and in the case of an unregistered user, a visual message or a voice message may be output to inform that the access is limited .

마스터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매칭된 전원연결장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즉, 마스터 장치(100)는 그 시스템이 구현된 환경 내에서 근무하는 각 사용자 별로 전원연결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칭된 정보를 이용하여, 입장한 사용자에 매칭되는 전원연결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If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the master device 100 confirms information on the power connection device matched to the user. That is, the master device 100 ma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for each user working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ystem is implemented by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ower connection device matched to the user who has entered using the matched information.

각 전원연결장치(200-1, 200-2, ... , 200-n)에는 다양한 외부 장치(300-1 ~ 300-m)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C, 랩탑 컴퓨터, 어댑터, 히터, 선풍기, TV 등과 같은 다양한 전기 장치들이 사용자 별로 매칭된 전원연결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Various external devices 300-1 to 300-m can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ower connection devices 200-1, 200-2, ..., 200-n. Specifically, various electric devices such as a PC, a laptop computer, an adapter, a heater, a fan, a TV, and the like are supplied with power from a user-specific power connection device.

마스터 장치(100)는 사용자 A가 입장하였다고 판단되면, 그 사용자 A에 대응되는 전원연결장치를 탐색한다. 탐색 결과 전원연결장치 2(200-2)가 매칭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원연결장치 2(200-2)로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원연결장치 2(200-2)는 각 콘센트부를 전원과 연결시켜, 각 콘센트부에 연결된 전기 장치(300-3, 300-4, 300-5)로 전기 신호를 공급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 has entered, the master device 100 searches for a power connec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2 is matched, the first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2.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2 (200-2) connects each receptacle section with the power supply, and supplies electrical signals to the electrical apparatuses 300-3, 300-4 and 300-5 connected to the receptacle sections.

반면, 사용자 A가 퇴장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원연결장치 2(200-2)에 대해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원연결장치 2(200-2)는 콘센트부 및 연결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 has exite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00-2. Thus,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2 (200-2)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receptacle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마스터 장치(100)의 동작은 실시 예에 따라 좀 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스터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master device 10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aster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3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100)는 감지부(110), 마스터 제어부(120), 마스터 통신부(130),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master device 100 includes a sensing unit 110, a master control unit 120, a master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storage unit 140.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2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락 시스템(20)과 연동하는 경우, 감지부(110)는 도어락 시스템(20)으로부터 사용자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마스터 제어부(120)로 제공한다.The sens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or exits. 12, the sensing unit 110 receives the user tag information from the door lock system 20 and provides the received user tag information to the master controller 120. In addition,

마스터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출근 또는 퇴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도어락 시스템(20)이 도어 바깥에 설치된 입장용 리더와 실내에 설치된 퇴장용 리더와 같이 두 종류의 리더를 포함하는 경우, 입장용 리더에서 태깅이 이루어지면 입장으로 판단하고, 퇴장용 리더에서 태깅이 이루어지면 퇴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master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going to work or leaving the hom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110. [ For example, when the door lock system 20 includes two types of readers, that is, an entry reader installed outside the door and a reader for leaving the room, it is determined that entry is made when the entry reader is tagged, If the tagging is done, it can be judged to be exited.

또는, 입장용 리더 및 퇴장용 리더가 구분되지 않는 경우에는, 태깅 시간에 따라 입장인지 퇴장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제1 시간 범위(예를 들어 오전 7:00 ~ 오전 11:00) 내에 태깅이 이루어지면 입장으로 판단하고, 제2 시간 범위(예를 들어 오후 4:00 ~ 11:00)내에 태깅이 이루어지면 퇴장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entry reader and the exit reader are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entry or exit is based on the tagging time. That is, if tagging is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time range (for example, 7:00 am to 11:00 am), it is determined that the entry is in the second time range (for example, 4:00 to 11:00 pm) If the tagging is done, it may be judged to be the exit.

또는, 태깅과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터치나, 버튼 조작 등에 의해 입장과 퇴장을 구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entry and exit can be distinguished by a touch made in parallel with tagging, by button operation, or the like.

마스터 제어부(120)는 출근으로 판단되면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퇴근으로 판단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master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o be on the way to work,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o be off work.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의도에 반하여 전원을 연결하거나 차단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터 제어부(120)의 판단 시점을 태깅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만큼 딜레이시킬 수도 있다. 가령, 태깅이 한 번 이루어진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후속 태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최종 태깅 시점에서 사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에 의해 사용자의 퇴장이 감지되면, 카운터를 제어하여 타임 카운팅을 개시한다. 그리고 카운팅된 시간과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비교한다. 임계 시간은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3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3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장이 감지되지 않으면 마스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lay the determination time of the master control unit 120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agging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power supply from being connected or cut off against the intention of the user. For example, if subsequent tagging is not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agging is onc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entry or exit at the time of the last tagging. Specifically, when the user's exit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10, the master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counter to start time counting. And compares the counted tim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The threshold tim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ystem. For example, if it is set to 3 hours, if the user's position is not detected for 3 hours, the master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left work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저장부(140)에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마스터 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140)는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식별자 및 각 사용자 식별자에 매칭되는 전원연결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operating the standby power shutdown system, a program for operating the master device, various data,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identifier for users using the corresponding system and information about a power connection device matching each user identifier.

마스터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 시스템에 태깅한 사용자의 식별자에 매칭되는 전원연결장치를 탐색한다. 그리고, 마스터 통신부(130)를 통해서, 탐색된 전원연결장치로 각종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master control unit 120 searches for a power connection device matching the identifier of the user tagged in the door lock system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 Through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130, various control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the searched power connection apparatus.

마스터 통신부(13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장치들에는 전원연결장치(200-1 ~ 200-n) 뿐만 아니라, 그 전원연결장치들에 연결되는 전기 장치(300-1 ~ 300-m)들도 포함될 수 있다.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slave devices using one of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Bluetooth,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can do. The slave devices may include not only the power connecting devices 200-1 to 200-n but also the electric devices 300-1 to 300-m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ng devices.

마스터 제어부(120)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마스터 통신부(130)를 통해 전송하여, 각 전원연결장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aster control unit 120 may transmit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through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130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each power connection unit.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퇴근 여부뿐만 아니라 그 사용자가 사용하던 전기 장치의 활성화 여부까지 고려하여, 전력 차단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PC에서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퇴장을 한 경우, 전원연결장치에서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면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예방하기 위하여, 마스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퇴근 상태가 감지되더라도 전기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 전력 차단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o turn off the power in consideration of not only whether the user is leaving the home, but also whether the electric device used by the user is activated. That is, if the user leaves the computer without storing important data on his / her PC, data is not stored when the power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connection device. In order to prevent such a case, the master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or deactivate the electric device even if the user's operation state is detected.

가령, 마스터 제어부(120)는 연결된 각 슬레이브 장치들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퀘어리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 캐스팅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슬레이브 장치들의 경우, 퀘어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만, 비활성화 상태(가령, 턴 오프 상태, 에러 상태)의 슬레이브 장치들은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마스터 제어부(120)는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해당 전기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ster control unit 120 may periodically broadcast or multicake a queried signal to each slave device connected thereto. In the activated slave devices, slave devices in the inactive state (e.g., turn-off state, error state) can not transmit the response signal while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queried signal. Accordingly, the master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electric device is in the active state or the inactive state according to whether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마스터 제어부(120)는 퇴장한 사용자가 사용하던 전기 장치가 비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만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저장하지 않은 데이터가 의도치 않게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master control unit 120 can generate the second control signal only when the electric device used by the user who has exited is in an inactive state.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ded deletion of data that is not stored by the user.

한편, 도 12에서는 도어락 시스템과 연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반드시 도어락 시스템과 연동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출입 문이나, 사용자의 자리 등과 같은 위치에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마련된 경우에는, 그 센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대기 전력 차단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12, 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does not necessarily cooperate with the door lock system. That is, in the case where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user's access is provided at a position such as an entrance door, a user's seat,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the standby power is blocked based on the sensed value of the sensor.

특히, 사용자의 PC에 설치되는 웹캠이나 CCTV 등과 같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즉, 오랜 시간 외근을 하거나, 퇴근을 하는 경우 등과 같이 사용 의도가 없다고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대기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an be determined using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webcam or a CCTV installed in the user's PC. In this way, the standby power cut-off system can grasp the intention of the user in various ways, that is, whe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use such as a long time outing or leaving work, So that standby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대기 전력 차단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원연결장치나 마스터 장치 등에 연결되거나 탑재되어, 해당 장치에서 상술한 대기 전력 차단 방법을 실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andby power cutoff method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coded by software and stored in a non-volatile readable medium. Such non-transiently readable media may be attached or mounted to various types of power connection or master device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to assist in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standby power interruption method in the device.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마스터 장치 200 :슬레이브 장치
210 : 연결부 220 : 콘센트부
230 : 통신부 240 : 스위치
250 : 제어부
100: master device 200: slave device
210: connection part 220:
230: communication unit 240: switch
250:

Claims (10)

전원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전원에 연결되는 연결부;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콘센트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콘센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마스터 장치와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콘센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며 카운팅된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스위치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콘센트 및
상기 전원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콘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 연결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사용자가 들어올 때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나갈 때 전송되는 신호인, 전원 연결 장치.
I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 connection to a power source;
A receptacle connectable to an external device and providing an electrical signal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A switch for switc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receptacle por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ZigBee manner with the master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unit and the receptacle unit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ted from the master device, counting the elapsed time from the input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to sh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ime,
The socket-
At least one first receptac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via the switch and switchable by the switch,
And at least one second receptacle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Wherei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when a user enters a space wher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is installed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when the user leaves the spac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별로 등록된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상기 고유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경우에만 상기 전기적 연결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orage unit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registered for each user,
Wherein,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disconnected or connected only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corresponds to the unique identifi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원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콘센트를 포함하는 전원 연결 장치의 대기 전력 차단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와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콘센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며 카운팅된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콘센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 연결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사용자가 들어올 때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나갈 때 전송되는 신호인, 대기 전력 차단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standby power cut-off method for a power connection comprising a connection and a receptacl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ZigBee manner with the master devic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unit and the receptacle when a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Counts a time elapsed from the input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and interrupt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outlet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when a user enters a space wher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is installed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when the user leaves the space, .
삭제delete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별로 대기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마스터 장치;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연결되는 전원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연결장치는,
전원에 연결되는 연결부;
콘센트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콘센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마스터 장치와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콘센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며 카운팅된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스위치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콘센트 및 상기 전원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콘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 연결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사용자가 들어올 때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나갈 때 전송되는 신호인,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comprising:
A master device for managing standby power for each user;
And a power connection device to which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connected,
The power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to a power source;
A receptacle;
A switch for switc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receptacle por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ZigBee manner with the master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unit and the receptacle unit when a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counting a time elapsed from the input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ster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to sh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ime,
The socket-
At least one first receptac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via the switch and switchable by the switch and at least one second receptacle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Wherei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when a user enters a space wher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is installed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when the user leaves the space,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사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사용자 식별자 별로 매칭되는 전원연결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출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터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에 매칭되는 전원연결장치로,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aster device compris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user enters or exit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power connection device matched for each user identifier;
A master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work and generat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user is sensed that the user is off,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And a master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power connection unit matching the identifier of the user.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나간 후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매칭되는 전원 연결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기 장치가 비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aster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at least one electrical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matched with the user identifier is activated if the critical time elapses after the user leaves the space; 2 < / RTI > control signal.
KR1020130024871A 2013-03-08 2013-03-08 Power connecting device, standby power cutting method and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 KR101432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871A KR101432058B1 (en) 2013-03-08 2013-03-08 Power connecting device, standby power cutting method and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871A KR101432058B1 (en) 2013-03-08 2013-03-08 Power connecting device, standby power cutting method and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058B1 true KR101432058B1 (en) 2014-08-21

Family

ID=5175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871A KR101432058B1 (en) 2013-03-08 2013-03-08 Power connecting device, standby power cutting method and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0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538B1 (en)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희원정보통신 Eco-friendly wireless multi-tap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393A (en) * 2009-01-13 2010-07-22 (주)엘스윈 Power saving outlet device capable of remote power control
KR100980626B1 (en) 2010-05-25 2010-09-07 주식회사 조일에너지 Adaptive multi-tab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over-power and standby-power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KR20100108767A (en) * 2009-03-30 2010-10-08 씨앤디아이(주) System for cutting standby power using rf wireless communication and standby power cutting concent and method thereof
KR20120063140A (en) * 2010-12-07 2012-06-15 오성훈 Power concent control system using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393A (en) * 2009-01-13 2010-07-22 (주)엘스윈 Power saving outlet device capable of remote power control
KR20100108767A (en) * 2009-03-30 2010-10-08 씨앤디아이(주) System for cutting standby power using rf wireless communication and standby power cutting concent and method thereof
KR100980626B1 (en) 2010-05-25 2010-09-07 주식회사 조일에너지 Adaptive multi-tab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over-power and standby-power and method for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KR20120063140A (en) * 2010-12-07 2012-06-15 오성훈 Power concent control system using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538B1 (en)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희원정보통신 Eco-friendly wireless multi-tap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642B1 (en) Stand by electric power intercep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006818B1 (en) Apparatus that decreasing standby power of electronic appliance and receptacle
RU2419932C1 (en) Plug device
KR101877913B1 (en) Electric outlet detecting electrica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using thereof
US20160050695A1 (en) Method for detecting manipulation by a user of a device provided with a comunication tag,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KR100927337B1 (en) Rfid plug socket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1211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KR101432058B1 (en) Power connecting device, standby power cutting method and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
KR100880914B1 (en) Remote Controlled Multi-Outlet Circuit
JP6340697B2 (en) Remote monitoring method, remote monitoring system, first communication devic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server device
KR101428961B1 (en) Integrated energy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build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118250A (en)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KR100868706B1 (en) Power-saving system having rfid reader and power saving control device
TWI482385B (en) Power control system
KR101123735B1 (en)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218298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Room Key with Card Type and Room Control System
JP2011160149A (en) Power contro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KR102109801B1 (en) Apparatus of smart socket
KR20210081202A (en) Socket device and socke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471831B1 (en) Smart socket apparatus for decreasing and real recovery standby power
KR20160028893A (en) A multi outlet device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electric appliances with master and slave relationship
KR20160062958A (en) Smart power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block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56538B1 (en) Eco-friendly wireless multi-tap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KR101593667B1 (en) Electric Outlet for Breaking Standby Power Operated by Voice Recognition
KR101110960B1 (en) The device and system to block standby power ndividu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