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958A - Smart power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block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power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block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958A
KR20160062958A KR1020140166317A KR20140166317A KR20160062958A KR 20160062958 A KR20160062958 A KR 20160062958A KR 1020140166317 A KR1020140166317 A KR 1020140166317A KR 20140166317 A KR20140166317 A KR 20140166317A KR 20160062958 A KR20160062958 A KR 20160062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ster device
information
slave
sla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웅
장재훈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싸이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싸이토피아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2958A/en
Publication of KR2016006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9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02J13/000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involved in a protection syste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4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s being or involv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bstract

A power control system comprises: a first master device configured to determine access information of a user based on obtained user information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obtained; a second master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ransmit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slave device; and at least one slave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on/off of power based on information with respect to whether the user accesse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and pre-stored user ID information.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스마트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SMART POWER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BLOCK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ower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근태 시스템과 같은 마스터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출/퇴근에 따라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터 장치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가 전자 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shutting off standby power by a user through a master device such as a time and attend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 slave device can control on / off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on the basis of the control signal.

대기 전력이란, 기기의 동작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를 말한다. 최근 리모컨으로 동작되고,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전자제품의 증가와 함께 대기 전력 소비도 늘어나는 추세 이다. 특히, 복사기나 비디오 레코더는 전체 사용전력의 80%가 대기 전력으로 추정된다. 또한,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되는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나 대부분의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세탁기, 에어컨, 텔레비젼, DVD플레이어, 전자레인지, 휴대전화충전기 등의 전자 기기는 대기 전력 소비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Standby power refers to the electrical energy consumed by the user while he or she is unconscious,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ectronic appliances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which is operated by a remote control and which indicates the operating state, and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is also increasing. Particularly, 80% of the total used power of the copying machine or the video recorder is estimated as standby power. In addition, electronic appliances such as computers, monitors, printers, facsimiles, and washing machines widely used in offices, air conditioners, televisions, DVD players, microwave ovens, mobile phone chargers, .

국제에너지기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들의 경우 가구당 전력소비량의 10%인 60와트(W)가 대기 전력일 것으로 추정한다. 미국은 대기 전력의 비율이 5%로 적은 편이지만 이로 인한 비용은 매년 약 13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심각한 대기 전력 문제해결을 위해 국제에너지기구는 2010년까지 모든 전자제품의 대기 전력을 1와트 이하로 줄이도록 세계 각국에 권고하였다.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estimates that 60 per cent (W) of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per household will be standby power for OECD member countries. The United States has a low standby power ratio of 5%, but the cost is estimated to be about $ 1.3 billion per year. In order to solve such a serious standby power problem,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recommended to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to reduce the standby power of all electronic products to less than 1 watt by 2010.

이와 같은 대기 전력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전자 기기의 생산 단계에서부터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대기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일 뿐,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될 수 없었다.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전자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플러그를 뽑아두거나, 전자 기기의 플러그가 연결된 멀티탭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이 있었다. 멀티탭의 전원을 차단하면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standby power, there is a method that can be designed to minimize the standby power from the production stage of the electronic device. However, this is a method of minimiz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It could not be the way. As a most effective method for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there has been a method of disconnecting the plug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in use, or disconnecting the power of the multi-plug connected to the plug of the electronic device. If you turn off the power of the multi-tap, it will have the same effect as pulling the plug from the outlet.

그러나 대기 전력 소모를 없애기 위하여 전자 기기의 플러그를 뽑아 두는 방법은 사용자가 불필요한 전자 기기가 무엇인지 판단해야 하고 다시 전자 기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플러그를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eliminat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the method of unplugging the electronic device requires the user to determine what the unnecessary electronic device is and there is a need to connect the plug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to be used again.

또한, 멀티탭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다수의 전자 기기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전자 기기의 전원도 차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는 냉장고와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레인지가 하나의 멀티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대기 전력 차단을 위해 멀티탭 전원을 차단하면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는 냉장고의 전원도 차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shutting off the power of the multi-tap, since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apparatuses are conn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of the electronic apparatuses to which the power is always supplied is also cut off. For example, when a refrigerator requiring constant power supply and a microwave oven that does not require constant power supply are connected to one multi-tap, if the multi-tap power is cut off for standby power interruption, The power of the refrigerator is also cut off.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플러그를 뽑지 않도록 하면서 상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기기에 대해서만 대기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need for a power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hutting off standby power only for an electronic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power supply at all times while preventing the user from directly unplugging the plu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태 시스템과 같은 마스터 장치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가 전자 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전원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ave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on / off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user is determined to be accessed through a master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하는 제1 마스터 장치, 상기 제1 마스터 장치부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는 제2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출입 여정보 및 기 저장된 사용자 ID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first master device for determining access information of a user based on acquired user information when user information is acquired; A second master device for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to the slave device and a second master device for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and pre- And at least one slave device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power supply based on the slave device.

그리고,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 중 하나에 대해 사용자 ID가 등록된 경우, 상기 등록된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사용자 ID를 전송하고, 상기 등록된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사용자 ID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master device transmits the user ID to the registered slave device when the user ID is registered in one of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s, and the registered slave device stores the user ID .

또한, 전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ID 등록 기능을 수행하는 ID 등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ID 등록 장치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 ID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D registration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 and performing an ID registration function for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 And stores the registered user ID through the ID registration device.

그리고, 상기 제1 마스터 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제2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aster device includes a user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user information,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first master device to the second master device.

또한,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는, 상기 제1 마스터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로 브로드케스팅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사용자 ID를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ast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user access information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broadcast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registering a user ID for the user.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전원을 슬레이브 장치로 공급하는 콘센트부, 사용자 ID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부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및The slav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broadcas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a receptacle for supplying power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slave de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ser ID, A switching unit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receptacle to control power supply of the apparatus;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ID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based on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user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그리고, 상기 콘센트부는, 현재 슬레이브 장치의 전원 공급에 대한 온/오프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receptacle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indicating on / off information of power supply of the current slave devic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마스터 장치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터 장치가,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터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제2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기 저장된 사용자 ID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cquiring user information from a first master device; receiving, by the first master device, Accessing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second master device, the first master device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second master device, the second master device transmitting at least one And controlling the power on / off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 is in or out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and pre-stored user ID information .

그리고,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사용자 카드가 태깅된 경우, 상기 태깅된 사용자 카드의 사용자 ID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제2 마스터 장치의 등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터 장치의 등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등록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장치의 등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장치의 등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ID 정보를 전송하고,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장치는 수신된 사용자 ID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aster device displays a user ID of the tagged user card when the user card is tagged. The second master device displays a guide message to select a registration button of the second master device Selecting, when the register button of the second master device is selected, the second master device selecting a guide message to select a register button of a slave device to be registered; registering a registration button of the slave device to be registered The slave device to be registered transmits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master device, the second master device transmits user ID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and displays a registration completion message The slave device to be registered stores the received user ID information, Can.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제1 마스터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터 장치로부터 판단된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마스터 장치가 상기 수신된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슬레이브 장치의 전원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가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control system including: a first master device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user enters or exits, based on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ccess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has been determine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managing power of the slave device based on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second master device has received or not received; And controlling the slave device to turn on / off the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근태 시스템과 같은 마스터 장치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가 전자 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lave device can control the on / off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judged through the master device such as the T &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마스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마스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마스터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마스터 장치에 슬레이브 장치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1 is a system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mas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mas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using a second mas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la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n appearance of a sla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F are views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slave device in a second mas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마스터 장치(200), 제2 마스터 장치(300) 및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may include a first master device 200, a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1 마스터 장치(20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제1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는 제2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기저장된 사용자 ID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acquired, the first master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may receive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nd may transmit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to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Thereafter,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can control power on / off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200 and the previously stored user ID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중 하나에 대해 사용자 ID가 등록된 경우, 제2 마스터 장치(300)는 등록된 슬레이브 장치에 사용자 ID를 전송하고, 등록된 슬레이브 장치는 사용자 ID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ID 등록 기능을 수행하는 ID 등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는 ID 등록 장치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 ID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Specifically, when a user ID is registered for one of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s 410 to 430,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transmits the user ID to the registered slave device, and the registered slave device receives the user ID Can be sto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D registering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and performing ID registration for at least one slave device .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slave devices 410 to 430 may store the registered user ID through the ID registration devic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F.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마스터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는 획득부(210), 판단부(220), 인식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first master device includes an acquisition unit 210, a determination unit 220, a recognition unit 230, and a communication unit 2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획득부(210)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부(210)는 사용자의 ID 카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게 하거나, 사용자의 지문 또는 홍채와 같은 신체 정보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quiring unit 210 may acquire user information. The acquisition unit 210 recognizes the ID card of the user and recognizes the user's acc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acquisition unit 210 may allow the user to directly input user information, Lt; RTI ID = 0.0 > user information. ≪ / RTI >

그 후, 인식부(23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 ex. 지문 또는 홍채)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A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Then, the recognition unit 230 can recognize that the user is A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e.g., fingerprint or iris).

판단부(240)는 인식된 사용자 A의 출입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기저장된 마지막 출입 정보가 오후 10 시이고, 인식된 사용자 A의 현재 출입 정보가 오전 8시인 경우, 판단부(240)는 '사용자 A가 오전 8시에 출근' 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40 can determine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user A. For example, if the pre-stored last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 is 10:00 PM and the current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user A is 8:00 AM, the determination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user A is going to work at 8:00 am can do.

그 후, 통신부(240)는 판단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ex. 사용자 A 오전 8시 출근)를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40)는 유/무선 인터넷에 의해 제2 마스터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기기 또는 제2 마스터 장치(300)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n, the communication unit 240 can transmit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user (e.g., the user A's 8:00 AM work)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240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via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The communication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a second master using one of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Bluetooth,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And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s 30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마스터 장치(200)는 도어락 시스템(20)과 연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태그를 도어락 시스템(20)에 태깅하게되면, 도어락 시스템(20)은 사용자 태그 정보를 제1 마스터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도어락 시스템(2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RFID 방식으로 사용자의 태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하며, 태깅이란 사용자가 태그가 부착된 카드나 단말 장치 등을 리더기로 가져다 대는 행동을 의미한다. 태깅이 이루어지면,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 태그 정보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 정보를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에는 도어를 오픈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도어락 시스템(20)에 전송하고, 미등록된 사용자의 경우에는 비쥬얼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출입이 제한된다는 점을 통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ster device 20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door lock system 20. That is, if the user tags the tag owned by the user in the door lock system 20, the door lock system 20 can transmit the user tag information to the first master device 200. The door lock system 20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user's tag using an RFID method such a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eans operation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using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2.45 GHz, Means an action of bringing a card or a terminal device, etc., to the reader. When tagging is performed, the first master device 200 compares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tag information with previously registered user information. As a result of comparison, if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door may be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system 20, and in the case of an unregistered user, a visual message or a voice message may be output to inform that the access is limited .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제1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판단된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로 전송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to the slave devices 410 through 430.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이예에 따른, 제2 마스터 장치(3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제1 통신부(310), 제어부(320), 제2 통신부(330), 버튼부(340), RFID(350) 및 디스플레이부(360)를 포함한다.FIG. 3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cond master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 control unit 32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a button unit 340, an RFID 350, and a display unit 360 ).

제1 통신부(310)는 제1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정보(ex. 사용자 A 오전 8시 출근)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부(310)는 유/무선 인터넷에 의해 제1 마스터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부(310)는 상술한 제1 마스터 장치(200)의 통신부(24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can receive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200 (ex. 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200 via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munication unit 240 of the first master device 200 described above.

제2 통신부(320)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ex. 사용자 A 오전 8시 출근)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로 브로드케스팅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부(320)는 지그비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부(320)는 지그비 통신 방식 외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can broadcast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e.g., the user A at 8 am) to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 410 to 430. At this tim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can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slave devices 410 to 420 in a ZigBee manne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can perform communication usi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other than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버튼부(340)는 제2 마스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때, 버튼부(340)는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 할 뿐,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부(340)는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사용자 ID를 등록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button unit 340 receives various user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second master device. At this time, the button unit 340 may be implemented as a button, but it may be realized as a touch screen only by way of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unit 340 may receive various user commands for registering a user ID for the slave device.

RFID(350)는 사용자 카드의 데이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RFID TAG(380)에 사용자가 카드를 태깅할 경우, RFID(350)는 사용자 카드의 데이터 정보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태깅된 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RFID 350 can read the data information of the user card. 3B, when the user tags the card in the RFID tag 380, the RFID 350 reads the data information of the user card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350 Lt; RTI ID = 0.0 > tagged < / RTI >

디스플레이부(36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사용자 ID를 등록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태깅한 Card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display unit 36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for registering a user ID for the slave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a card tagged by a user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3B.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제어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사용자 ID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가 RFID TAG(380)에 카드를 태깅할 경우,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부(350)에 태깅된 사용자 카드의 사용자 ID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부(350)에 등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등록버튼(350)을 입력할 경우, 제어부(290)는 슬레이브 장치의 등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에서 등록 버튼(510, 560)을 선택할 경우, 슬레이브 장치는 등록 요청 신호를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터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사용자 ID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고 등록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20 may register a user ID for at least one slave device. 3B, when the user tags the card in the RFID tag 380, the control unit 320 displays the user ID of the user card tagged on the display unit 350 (step < RTI ID = 0.0 > . When the user inputs the registration button 350, the controller 290 instructs the display unit 350 to select a register button of the slave device Message can be displayed. 5A and 5B, when the user selects the registration buttons 510 and 560 in at least one slave device, the slave device may transmit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20 of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may transmit the user ID information to the slave device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350 to display the registration completion message.

상술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장치는 제2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 및 기 저장된 사용자 ID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장치는 ON/OFF 버튼(540, 590)의 입력을 통해 전원의 온/오프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lave device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power on / off based on the user's acces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200 and the previously stored user ID information. 5A and 5B, the slave device may manually control on / off of the power source through the inputs of the ON / OFF buttons 540 and 59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장치는 통신부(440), 콘센트부(450), 제어부(460), 저장부(470) 및 스위칭부(480)를 포함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la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slave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40, a receptacle 450, a control unit 460, a storage unit 470, and a switching unit 480.

통신부(440)는 제2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40)는 제2 마스터 장치(200)와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그비 통신 방식 외의 다양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40 can receive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broadcas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200. [ The communication unit 440 may perform the Zigbe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200 and may perform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s other than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통신부(440)가 슬레이브 장치에 포함되는 경우로 한정하였으나,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통신부(440)가 외부에 연결되는 형대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communication unit 440 is included in the slave devic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440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in the course of the invention.

콘센트부(450)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제공한다. 이때, 콘센트부(45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장치의 전원 공급에 대한 온/오프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530, 540,580,5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슬레이브 장치의 등록을 위하여 사용자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등록 버튼((510, 570)을 누를 경우, 슬레이브 장치는 통신부(440)를 통해 제2 마스터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ID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460)는 저장부(470)에 사용자 ID를 저장하고 태양 모양의 LED 램프 아이콘 중 우측 아이콘 램프가 약 5초 정도 온 상태 또는 5회 깜박거리도록 하여 등록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장치의 등록 알림을 위한 실시 예는 상술하는 예에 한정됨 없이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정이 가능하다. The receptacle part 45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provides an electric signal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to an external device. 5A and 5B, the receptacle 450 may include output units 530, 540, 580, and 590 that indicate on / off information on power supply of the slave device. 5A and 5B, when the user presses the registration button 510 or 570 shown in FIG. 5A or 5B for registering the slave device, the slave device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The control unit 460 stores the user ID in the storage unit 470 and the right icon lamp of the sun-shaped LED lamp icon is turned on for about 5 seconds or 5 times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ompletion of the registration by blinking. Embodiments for registration notification of the slave devic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various changes can be set by user setting.

슬레이브 장치는 복수의 콘센트부(450)를 구비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슬레이브 장치에 멀티탭을 연결하고 멀티탭에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형대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lave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ceptacles 450 to connect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lternatively, a multi-tap may b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multi-tap.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전송 받아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지적 연결을 차단하여 전자 기기의 전원을 OFF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장치의 콘센트부(450)에는 상시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기기나 멀티탭이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lav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power of the user's access information and turn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by blocking the battery connection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n electronic device or a multi-tap that does not require power supply at all times can b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450 of the slave device.

스위칭부(480)는 연결부(미도시)와 콘센트부(45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한다. 이때, 연결부(미도시)는 전원에 연결되어 슬레이브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switching unit 480 switch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unit (not shown) and the receptacle 45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slave device.

스위칭부(480)는 사용자 출입 정보에 대응하여 연결부(미도시)와 슬레이브 장치에 연결된 외부 전자 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한다.The switching unit 480 switch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connection unit (not shown)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in response to user access information.

스위칭부(480)는 제2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연결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 전자 기기의 전원을 ON 하거나,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외부 전자 기기의 전원을 OFF할 수 있다.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200, the switching unit 4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unit (not shown) to turn the power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n or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

한편, 스위칭부(480)가 연결부로부터 슬레이브 장치에 연결된 전자 기기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시키는 경우, 접점에 과도한 전류가 흘러 스파크에 의한 화재 발생의 염려 및 스위치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witching unit 480 physically connects or disconnects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from the connection unit, excessive current may flow to the contact, which may cause a fear of fire due to the spark and damage of the switch .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칭부(480)는 릴레이 회로를 포함하여 작은 전류로 전자 기기에 인가되는 큰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레이 회로를 이용하여 스위칭부(480)를 구현하면, 과도한 전류에 의한 스위칭부(48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 발생의 위험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switching unit 480 may include a relay circuit to control a larg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small current. When the switching unit 480 is implemented using the relay circuit, the switching unit 48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excessive current, and the risk of fire can be minimized.

저장부(470)는 슬레이브 장치의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2 마스터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ID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470)에 저장된 사용자 ID와 슬레이브 장치의 고유 식별자가 서로 대응될 경우, 제어부(460)는 스위칭부(480)를 제어하여 슬레이브 장치에 연결된 전자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70 stores a unique identifier of the slave device and may store a user ID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 At this time, if the user I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0 corresponds to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slave device, the controller 460 may control the switching unit 480 to electrically connect or dis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

제어부(460)는 슬레이브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4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lave device.

제어부(460)는 사용자의 출입 정보 및 저장부(470)에 저장된 사용자 ID 정보를 바탕으로 스위칭부(48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60 may control the switching unit 480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user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0.

제어부(460)는 제2 마스터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출입 정보가 입력되면 연결부(미도시)와 슬레이브 장치에 연결된 전자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자 기기의 전원을 ON 시키거나 또는 전자 기기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켜 전자 기기의 전원을 OFF 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access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the control unit 460 electrically connects the connection unit (not shown) and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to turn on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turned off.

구체적으로, 제어부(460) 스위칭부(480)를 제어하여 슬레이브 장치에 연결된 전자 기기의 전원을 ON 시키거나 또는 OFF 시킬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480)는 릴레이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460)는 릴레이 회로를 제어하여 슬레이브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여 전자 기기의 ON/OFF 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저장부(470)에 기저장된 슬레이브 장치의 고유 식별자와 제2 마스터 장치(300)로 부터 전송된 사용자 ID 정보와 대응될 경우, 제어부(460)는 스위칭부(480)를 제어하여 장자 장치의 ON/OFF을 제어할 수 도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60 controls the switching unit 480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480 may be configured as a relay circuit, and the control unit 460 may control ON / OFF of the electronic device by electricall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slave device by controlling the relay circuit. If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slave devic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0 and the user I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orrespond to each other, (480) to control ON / OFF of the first apparatus.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슬레이브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ON/OFF 제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N / OFF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lav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F,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200), 한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마스터 장치(20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한 후, 판단된 출입 정보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 공간에 출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제1 마스터 장치(200)가 설치되어 있고, 다수의 사용자가 고유의 식별자가 포함된 슬레이브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특정 사용자가 사무실 공간에 들어오기 위하여 자신의 지문 정보를 제1 마스터 장치(200)에 입력하면, 입력된 지문 정보를 통해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 A가 오전 8시에 사무실에 출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 A가 오전 8시 출근' 정보를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사용자 A가 오전 8시 출근'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터 장치(300)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과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는 저장부에 기저장된 사용자 ID 정보 및 수신된 '사용자 A가 오전 8시 출근'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중 슬레이브 장치 1(410)의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가 A,B,C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슬레이브 장치1(410)는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A에 대한 정보와 수신된 '사용자 A가 오전 8시 출근'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A에 대한 정보과 수신된 사용자 A의 출근 정보가 대응될 경우,슬레이브 장치 1(410)은 전기적으로 차단된 전자 기기를 다시 연결하여 전자 기기의 상태를 OFF에서 ON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슬레이브 장치 2 및 3은 저장된 사용자 중 A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슬레이브 장치 2 및 3과 전기적으로 차단된 전자 기기의 상태를 OFF로 유지할 수 있다.6A, when a first master device 200, a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exist, the first master device 200,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The master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user's access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 the determined access information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first master device 200 for inputting fingerprint information of a user is installed in an office space, and a plurality of users use a slave device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When a specific user enters his / her fingerprint information into the first master device 200 to enter the office space, the first master device 200 transmit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to the first master device 200 . Thereafter, the first master device 200 may transmit the 'user A arrives at 8 am' information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t this time,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may receive the 'user A arrives at 8 am'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hrough 430. At this time,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in a Zigbee manner.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can control on / off of the electronic device by using the user I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received 'user A's morning work at 8 am' information. Specifically, when the user A, B, and C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slave device 1 410 among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are registered, the slave device 1 410 stores the user A Can be compared with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user A arrives at 8 am'. At this time,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A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arrival of the user A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slave device 1 410 can switch th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OFF to ON by reconnecting the electrically disconnected electronic device. The slave devices 2 and 3 can keep th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slave devices 2 and 3 OFF when the stored user A is not inclu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200), 복수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가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20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한 후, 판단된 출입 정보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복수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가 사무실 공간에 들어오기 위하여 자신의 지문 정보를 제1 마스터 장치(200)에 입력하면,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무실에 출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A가 오전 8시 출근'정보 두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는 '사용자 A가 오전 8시 출근'정보를 수신하여 중복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슬레이브 장치 1 및 2(410, 420)에 사용자 A의 출근 정보를 전송하고, 슬레이브 장치 3(430)에 사용자 A의 출근 정보를 나누어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 복수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와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6B, when a first master device 200, a plurality of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exis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aster device 200 determines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and then determines the access information to be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master devices 300 in the wire / Can be transmitted sequenti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when the user A inputs his or her fingerprint information to the first master device 200 to enter the office space, the first master device 200 enters / exits the office , And can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two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of 'user A arrives at 8 am'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two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can receive the 'user A's 8 o'clock morning work' information and transmit them to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work information of the user A to the slave devices 1 and 2 (410, 420) of one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to transmit the work information of the user A to the slave device 3 have. This can be changed by user setting.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can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in a Zigbee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200), 복수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된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복수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는 복수 개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과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 상호간 지그비 방식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터 장치(200)가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사용자 출근 정보를 전송한 후,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사용자 출근 정보를 제2 마스터 장치(350)로 재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마스터 장치(200)가 제2 마스터 장치(350)로 출근 정보를 전송한 후,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재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마스터 장치(300, 350)가 복수개의 슬레이브 장치(310 내지 330)로 사용자 출근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6C, when a first master device 200, a plurality of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exist, The first master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entering or exiting, and may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entrance / exit to the plurality of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can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in a ZigBee mann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may b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a Zigbee manner. For example, after the first master device 200 transmits user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retransmits the user's attendance information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50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200 may transmit the arrival information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50 and then re-transmit the arrival information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The manner in which the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transmit the user's arrival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310 to 330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 복수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 및 복수 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마스터 장치(20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한 후, 판단된 출입 정보를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사용자 출입 정보를 수신하여 다른 제2 마스터 장치(3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350)은 상호간 통신 가능하며,수신된 출입 정보를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출입 정보를 제2 마스터 장치(350)로 전송한 후, 제2 마스터 장치(350)는 수신된 사용자 출입 정보를 다른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200)와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마스터 장치(300,350)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는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마스터 장치(200)와 제2 마스터 장치(300) 상호간, 제2 마스터 장치(300)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상호간은 MESH(컴퓨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는 네트워크 형태)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상호간도 MESH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선통신망보다 넓은 지역에서도 제1 마스터 장치(200), 제2 마스터 장치(300) 및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은 상호간 원활하게 통신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6D, when there is a first master device, a plurality of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user access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 the determined access information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an receive the user access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another second master device 35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cond master devices 300 and 35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At this time, after the determined acc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50, the second master device 350 may transmit the received user access information to another second master device 30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350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hrough 43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MESH Or a network in which information is exchanged and transmitted) may be used to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network. Also,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 MESH network. Accordingly, the first master device 200,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can perform communication smoothly even in a wider area than the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 한 개의 제2 마스터 장치(300)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마스터 장치(200)와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마스터 장치(300)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는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d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200)와 제2 마스터 장치(300) 상호간, 제2 마스터 장치(300)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상호간은 MESH(컴퓨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는 네트워크 형태)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상호간도 MESH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6E, when a first master device, a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exist, the first master device 300,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have. 6D, between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between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lso,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using a MESH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ID 등록 기능을 수행하는 ID 등록 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는 ID 등록 장치(600)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 ID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ID 등록 장치(600)에 카드를 태깅한 경우, ID 등록 장치(600)는 태깅된 사용자 카드의 사용자 ID를 표시하고 등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ID 등록 장치(600)를 통해 등록 버튼을 선택한 후, 슬레이브 장치의 등록 버튼을 선택할 경우, ID 등록 장치(600) 또는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사용자 ID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ID 등록 장치(600)는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200)와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마스터 장치(300)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는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마스터 장치(200)와 제2 마스터 장치(300) 상호간, 제2 마스터 장치(300)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상호간은 MESH(컴퓨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는 네트워크 형태)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 상호간도 MESH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선통신망보다 넓은 지역에서도 제1 마스터 장치(200), 제2 마스터 장치(300) 및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410 내지 430)은 상호간 원활하게 통신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F, in the power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and an ID registration function for at least one slave device And an ID registration apparatus 600 for performing the ID registration process.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slave devices 410 to 430 can store the registered user ID through the ID registration device 6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has tagged the card in the ID registration apparatus 600, the ID registration apparatus 600 can display a user ID of the tagged user card and display a guidance message to select the registration button. 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the registration button of the slave device after selecting the registration button through the ID registration device 600, the ID registration device 600 or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transmits the user ID information to the slave device . At this time, the ID registration apparatus 600 can display a registration completion messag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 Can perform communication using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hrough 43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MESH Or a network in which information is exchanged and transmitted) may be used to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network. Also,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 MESH network. Accordingly, the first master device 200,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and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410 to 430 can perform communication smoothly even in a wider area than the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를 3개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됨 없이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로 다양하게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또한, ID 등록 장치(600)은 도 6a 내지 도6e에 도시된 전원 제어 시스템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lave devices are set to thre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ID registration device 600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to the power control system shown in Figs. 6A to 6E.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 7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S71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의 ID 카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게 하거나, 사용자의 지문 또는 홍채와 같은 신체 정보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7,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cquires user information (S710). 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ster device 200 recognizes the user's ID card and recognizes the user's acces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 A device for acquiring user information through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a fingerprint or iris of a user.

그 후,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 출입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S720). 구체적으로, 제1 마스터 장치(20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 ex. 지문 또는 홍채)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A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인식된 사용자 A의 출입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기저장된 마지막 출입 정보가 오후 10 시이고, 인식된 사용자 A의 현재 출입 정보가 오전 8시인 경우,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 A가 오전 8시에 출근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first master device 200 can determine user access information (S720). Specifically, the first master device 200 can recognize that the user is A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e.g., fingerprint or iris). Then, the first master device 200 can determine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user A. For example, if the last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 is 10:00 PM and the current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user A is 8:00 AM, the first master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user A has arrived at 8:00 am can do.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 출입 정보(ex. 사용자 A의 현재 출입 정보가 오전 8시)를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730).The first master device 200 may transmit user access information (e.g., the current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 at 8:00 am)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S730).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S740).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는 수신된 사용자 출입 정보 및 기 저장된 ID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 전원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S760).The second master device 300 may transmit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at least one slave device 400 (S740).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slave devices can control ON / OFF o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eceived user access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ID information (S760).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마스터 장치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 등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8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slave device registration operation through a second mas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마스터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 카드를 태깅할 수 이다(S810).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RFID TAG(380)에 카드를 태깅할 경우, 제2 마스터 장치(300)는 태깅된 사용자 카드의 사용자 ID를 표시할 수 있다(S820.)As illustrated in FIG. 8, the user can tag the user card through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S810). As shown in FIG. 3B, when the user tags the card in the RFID TAG 380,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may display the user ID of the tagged user card (S820.).

그 후, 제2 마스터 장치(300)는 등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830).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등록 버튼(360)를 입력할 경우, 제2 마스터 장치(300) 슬레이브 장치의 동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may display a guidance message to select a registration button (S830). As shown in FIG. 3B, when the user inputs the register button 360,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an display a guide message to select a register button of the slave device.

이때, 사용자가 슬레이브 장치의 동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선택(S850)할 경우, 사용자는 슬레이브 장치(400)에 구비된 등록 버튼(도 5a의 510, 도 5b의 560)을 선택 입력할 수 있다(S860).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a guidance message to select the register button of the slave device (S850), the user can select the register button (510 of FIG. 5A, 560 of FIG. 5B) (S860).

슬레이브 장치(400)는 등록 요청 신호를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870).The slave device 400 may transmit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S870).

그 후,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슬레이브 장치(400)로 사용자 ID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80).Thereafter,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may transmit the user ID information to the slave device 400 (S880).

슬레이브 장치(400)는 사용자 ID를 전송(S890)하고, 제2 마스터 장치(300)는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900).The slave device 400 transmits the user ID (S890),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an display the registration completion message (S900).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제1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판단된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슬레이브 장치(400)의 전원을 관리(410 내지 430)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슬레이브 장치(400)와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제1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기초하여 사용자가 출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장치(400)로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ster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or exits based on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entrance / exit determined by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nd manages the power of the slave device 40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o 430). At this time,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slave device 400 in a ZigBee manner. Specifically,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work based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 second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At this time,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may transmit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lave device 400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그 후, 슬레이브 장치(400)는 제2 마스터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400)와 연결된 전자기기(410 내지 430)의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slave device 400 may control the power on / off of the electronic devices 410 to 430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4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제1 마스터 장치(200)가 아닌 외부기기로부터 직접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하여 슬레이브 장치(400)의 전원을 관리(410 내지 430)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or exits based on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directly from an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first master device 200, (410 to 430) of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마스터 장치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이다. 9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a slave device through a second mas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a plurality of slave devices.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S910). 이때, 제1 마스터 장치(200)는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출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20). 이때, 제1 마스터 장치(200)는 판단된 사용자 출입 정보를 제2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930).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cquires user information (S910). At this time, the first master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or exit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S920). At this time, the first master device 200 may transmit the determined user access information to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S930).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장치를 판단하고 수신된 출입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940).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제1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기초하여 사용자가 출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determines a slave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us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S94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generates the first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work based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200, And if it is sensed,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이때, 제2 마스터 장치(300)는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장치(400)로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950). At this time, the second master device 300 may transmit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lave device 400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S950).

슬레이브 장치(4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 기기 전원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S960).
The slave device 400 can control ON / OFF of the electronic device power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960).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program code for perform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전원 제어 시스템 200 : 제1 마스터장치
210 : 획득부 220 : 제어부
230 : 인식부 240 : 통신부
310 : 제1 통신부 320 : 제2 통신부
340 : 버튼부 350 : 디스플레이부
100: power supply control system 200: first master device
210: acquiring unit 220:
230: recognition unit 240: communication unit
310: first communication unit 320: second communication unit
340: button unit 350: display unit

Claims (10)

전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하는 제1 마스터 장치;
상기 제1 마스터 장치부터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는 제2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 및 기 저장된 사용자 ID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 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In a power control system,
A first master device for determin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acquired;
A second master device for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to the slave device; And
At least one slave device for controlling on / off of a power supply based on user access information and pre-stored user I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 중 하나에 대해 사용자 ID가 등록된 경우, 상기 등록된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사용자 ID를 전송하고,
상기 등록된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사용자 ID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aster device comprises:
When the user ID is registered in one of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s, transmitting the user ID to the registered slave device,
And the registered slave device stores the user 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ID 등록 기능을 수행하는 ID 등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ID 등록 장치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 ID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D registering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 and performing an ID registration function for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
Wherein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 comprises:
And stores the user ID registered through the ID registr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터 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제2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ster device comprises:
A user information acquiring unit acquiring user information;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 based on the obtained user information;
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user to a second master device;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는,
상기 제1 마스터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로 브로드케스팅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사용자 ID를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aster device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of a user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broadcast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at least one slave device; And
And a controller for registering a user ID for the slav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전원을 슬레이브 장치로 공급하는 콘센트부;
사용자 ID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부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ID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ave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broadcas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A socket for supplying power from outside to the slave de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user ID; And
A switching unit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receptacle to control power supply of the slave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based on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user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는,
현재 슬레이브 장치의 전원 공급에 대한 온/오프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ocket-
And an output unit for indicating on / off information about power supply of the current slave device.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마스터 장치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터 장치가,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터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제2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수신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기 저장된 사용자 ID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In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 first master device acquiring user information;
Determining, by the first master devic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obtained user information;
The first master device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second master device;
The second master device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to at least one slave device; And
And controlling on / off of a power source based on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user is out of the slave devi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and the previously stored user ID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사용자 카드가 태깅된 경우, 상기 태깅된 사용자 카드의 사용자 ID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제2 마스터 장치의 등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터 장치의 등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등록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장치의 등록 버튼을 선택하라는 안내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장치의 등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터 장치가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ID 정보를 전송하고,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장치는 수신된 사용자 ID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master device displaying the user ID of the tagged user card if the user card is tagged;
Displaying a guide message for the second master device to select a registration button of the second master device;
Selecting a guide message to select a registration button of a slave device to be registered when the register button of the second master device is selected;
When the register button of the slave device to be registered is selected, the slave device to register transmits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master device;
The second master device transmitting user ID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and displaying a registration completion message;
And storing the received user ID information in the slave device to be registered.
전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제1 마스터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터 장치로부터 판단된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마스터 장치가 상기 수신된 출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슬레이브 장치의 전원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가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방법.
In a power control system,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master device enters or exits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managing power of the slave device based on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second master device has entered or exiting the slave device; And
And controlling the slave device to turn on / off the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KR1020140166317A 2014-11-26 2014-11-26 Smart power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block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629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17A KR20160062958A (en) 2014-11-26 2014-11-26 Smart power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block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17A KR20160062958A (en) 2014-11-26 2014-11-26 Smart power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block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958A true KR20160062958A (en) 2016-06-03

Family

ID=5619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317A KR20160062958A (en) 2014-11-26 2014-11-26 Smart power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block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295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0852B2 (en) Remote control device,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866892B2 (en) IR pairing for RF4CE remote controls
KR101784990B1 (en) Home autom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face recognition
US9519939B2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US949757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portable terminal,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server
US20150325118A1 (en) Remote control adapter and adaptation method
US11258269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 management
KR101788770B1 (en) Metho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mart home power supply
WO2013132750A1 (en) Operation setting system for home electrical appliance
CN104683436B (e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system
JP6181486B2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50005800A (en) Remote controlled home appliance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for managing of home appliances therefor
KR101428961B1 (en) Integrated energy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build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2413295B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matching remote controller in double-channel television
KR20160062958A (en) Smart power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block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6060666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device
KR101218298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Room Key with Card Type and Room Control System
US9608837B1 (en) Method for using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home network
KR20170112361A (en) Smart home network system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432058B1 (en) Power connecting device, standby power cutting method and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
CN113825004A (en) Multi-screen shar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conten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101334059B1 (en) Standby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17066A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12053B1 (en) Remote controller and communicating device with remote controller
GB2563749A (en) Home automation control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