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647B1 - 회전식 도비, 이러한 도비를 포함하는 직기, 및 이러한도비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식 도비, 이러한 도비를 포함하는 직기, 및 이러한도비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647B1
KR101431647B1 KR1020070034680A KR20070034680A KR101431647B1 KR 101431647 B1 KR101431647 B1 KR 101431647B1 KR 1020070034680 A KR1020070034680 A KR 1020070034680A KR 20070034680 A KR20070034680 A KR 20070034680A KR 101431647 B1 KR101431647 B1 KR 101431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rive
actuator
bias means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138A (ko
Inventor
쟝-삐에르 빠쥬
로베르 노썽티
빌리 걀리네티
Original Assignee
스또블리 파베르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또블리 파베르쥬 filed Critical 스또블리 파베르쥬
Publication of KR2007010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03C1/1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 D03C1/16Arrangements of dobby in relation to loo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03C1/1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비는 회전 상태에서 액튜에이터 요소(4)와 구동 요소(8)를 연결하기 위한 2개의 제어된 래치(10, 11)를 포함한다.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로 인하여, 각각의 래치(10, 11)는 각 표면(103, 113)이 구동 요소(8)의 어깨부(84a, 84b)에 맞물리게 되는 구조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의 작용에 대하여 상기 래치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며, 이것은 상기 제 2 래치(11) 상에서 간접적으로 작용하며 상기 제 1 래치(10)상에서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에 대하여 제 1 래치(10)를 이동(C14)시키며, 제 2 래치는 표면(113)이 구동 요소(8)의 제 2 어깨부(84b)에 맞물리는 구조로 유지된다.

Description

회전식 도비, 이러한 도비를 포함하는 직기, 및 이러한 도비를 제어하는 방법 {A rotary dobby, a loom including such a dobby, and a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dob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직기의 원리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II의 상세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3은 구동 요소와 도비의 액튜에이터 요소를 분리하는 제 1 단계동안 도 2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2 분리 단계동안의 도 2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5는 구동 요소와 액튜에이터 요소간의 상대적인 운동동안의 도 2의 유사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비에 대한 도 3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비에 대한 도 3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비에 대한 도 3에 유사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직기용 회전식 도비와 이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도비가 장착되는 부품 및 이러한 도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EP-A-1 111 106에 의하면, 헤들 프레임에 연결되는 스윙 링크를 작동시키는 액튜에이터 요소를 형성하는 편심기에 구동 디스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2개의 압축 래치를 회전식 도비에 고정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전체적인 이러한 장치는 만족스럽다.
리프팅 유닛이 도비의 메인 샤프트의 회전 운동에 연결될 때, 디스크와 편심기간에 전달되는 힘은 하나의 래치로부터 다른 것으로 변환되어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래치는 상기 리프팅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송하며, 다른 것은 상기 리프팅 유닛에 의해 상기 메신 샤프트로 복귀되는 에너지에 대응되는 복원력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래치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운동에서의 구동 상태 동안에, 즉 연결된 프레임의 속도와 가속이 동일한 싸인을 가질 때, 작동한다. 구동된 래치는 상기 메인 샤프트로부터의 운동의 구동 단계동안에, 즉 프레임의 가속과 속력이 서로 다른 싸인으로 될 때 로딩된다. 연결된 프레임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완전한 1회전에서 진행 및 복귀 운동을 행하게 된다. 메인 샤프트가 2개의 극단 위치의 근접부에서 선택된 범위로 도달하게 될 때 상기 메인 샤프트의 운동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 범위는 구동 단계 또는 피동 단계동안에 각각 작동하는 래치들간에 전달되는 힘에 대응하게 된다.
리프팅 유닛이 운동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래치는 구동 디스크의 대응 노치에서 맞물리게 되며 상기 디스크의 대응 표면에 대하여 견디게 된다. 리프팅 유닛을 정지시키는 것이 적절할 때에, 피동 상태동안에 작동하는 래치가 무거운 하중이 걸리게 되더라도 상기 선택 장치는 상기 노치로부터 래치를 분리하기 위하여 래치상에서 작동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판독기 아암은 상기 래치상에서 역동적이고 신속하게 작동할 필요가 있게 되며, 전달되는 집중적인 힘을 수용하도록 치수가 설정되는 래치 상에서 작동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 결과, 래치 제어 요소는 큰 관성을 나타내게 되며 그것은 공지의 도비의 작동 속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작동 속도가 공지의 도비의 것에 비교하여 추가적으로 증가되며 그 작동이 신뢰할 수 있도록 계속되는 새로운 회전식 도비를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제한에 대하여 특별히 응답하는 것을 구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직기용 회전식 도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각각의 리프팅 유닛을 위한 직기용 회전식 도비는,
헤들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도비의 메인 샤프트상에서 헐겁게 장착된 액튜에이터 요소에 관련된 스윙부와;
상기 메인 샤프트로써 회전하도록 구속되어진 구동 요소와;
회전상태에 있는 액튜에이터 요소와 구동 요소를 연결하는 2개의 제어된 래치로서, 각각의 래치는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상에 장착되며, 제 1 래치에는 상기 구동 요소의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표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 1 표면이 제공되며, 이러한 제 1 표면은 상기 구동 요소로부터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제 2 래치에는 상기 구동 요소의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표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 2 표면이 제공되며, 이러한 제 2 표면들은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로부터 상기 구동 요소로 복원력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2개의 제어된 래치와;
각각의 베어링 표면들이 구동 요소의 대응 표면에 맞물리는 구조를 향하여 각각의 래치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bias)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제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작동에 대하여 래치를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비는,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이 직접 제1 래치상에서 작용하며, 제 2 래치상에서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며, 제어 수단은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작용에 대하여 제 1 래치를 이동시키기에 적절하며 제 2 래치는 그 베어링 표면이 구동 요소의 제 2 표면에 맞물리게 되는 구조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 수단을 통하여 메인 샤프트의 구동력이 액튜에이터 요소와 헤들 프레임 요소에 전달되는 제 1 래치만을 직접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반면에 부하가 걸린 제 2 래치는 도비가 구동 단계를 통과할 때까지 메인 샤프트로부터 구동을 수용하는 피동 단계에 있게 되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된 다. 제 2 래치는 구동 요소의 대응 표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특징은 바람직하지만 강제적이지는 않으며, 이러한 도비는 하기의 특징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은 제 1 래치를 통하여 제 2 래치상에서 작동한다.
. 그것은 제 2 래치상에서 작용되지만 제 1 래치상에서는 작용되지 않는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여, 구동 요소의 대응하는 제 2 표면으로부터 제 2 래치의 베어링 표면을 분리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
.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작동에 대하여 그것을 이동시키는 힘을 가하는 제 1 래치상에서 직접 작동하는 이동 부재와, 우선 상기 이동 부재 또는 제 1 래치와 그 다음으로 제 2 래치간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 탄성력 전달 수단은 스프링 또는 스프링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 탄성력 전달 수단은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제 2 래치 사이에 배치된다.
. 탄성력 전달 수단은 제 1 래치와 제 2 래치 사이에 배치된다.
.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작동에 대하여 그것을 이동시키는 힘을 가하도록 제 1 래치상에 직접 작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구동 요소의 대응하는 제 2 표면으로부터 그 베어링 표면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제 2 래치를 바이어스하는 부가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며, 이러한 부가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제 1 래치의 이동으로 인하여, 제 2 래치가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작동을 받게되지 않을 때에만 구동 요소의 대응하는 제 2 표면으로부터 제 2 래치의 베어링 표면을 분리하기에 적절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하여 반경을 따라 병진 운동하며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상에 장착되는 푸셔(pusher)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도비가 장착된 제직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직기는 기존의 상태에서의 속도보다는 빠른 속도로 작동할 수 있다.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은 전술한 도비에 속하는, "도비 리프팅 유닛"으로 지칭되기도 하며, 액튜에이터 요소, 편심기상에 장착되는 링크, 상기 링크와 헤들 프레임 사이의 연결부를 제공하는 피봇 아암을 포함하는 부품을 제공한다. 부품은 도비를 위한 스페어 부품으로 기능하도록 전술한 래치가 제공된 기능적인 유닛으로서 장착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도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구동 요소와 액튜에이터 요소의 분리동안에,
a) 상기 제 2 래치상에서 직접 작동하지 않고, 상기 구동 요소의 대응하는 제 1 표면으로부터 그 베어링 표면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작동에 대하여 제 1 래치상에서 작동이 일어나며;
b) 부가 수단은 상기 구동 요소의 대응하는 제 2 표면으로부터 그 베어링 표면을 분리하는 제 2 래치상에서 작동라는 것이 허락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구동 요소와 액튜에이터 요소간의 회전식 분 리는 상기 도비의 메인 샤프트와 구동 요소가 180도의 각 행정의 끝부분에서 여전히 움직이는 동안에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2 래치는 부가 수단의 영향하에 자동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은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의 원리와 그 제어방법에 따른 도비의 4가지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을 통하여 명확하게 되며, 그 주어진 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도비(R)는 매 절단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속적인 회전 운동으로 구동되는 메인 샤프트(1)를 포함한다 . 상기 샤프트(1)는 제직기(M)의 리프팅 유닛(3) 또는 헤들 프레임의 숫자에 동인한 숫자의 베어링 시리즈(2)를 수용한다. 각각의 베어링(2)은 그 상부에 헐겁게 장착되며 제 2 베어링(2')상에서 그에 대하여 헐겁게 장착된 스윙부(5)의 개구를 구비하는 편심기와 같은 액튜에이터 요소(4)를 구비한다. 상기 스윙부(5)의 자유 단부(51)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화살표(F1)에 의해 나타내어진 수직 진동 운동하면서 헤들 프레임(3)을 수직하게 이동시키도록 링크(61)를 통하여 작동하는 피봇 아암(6)에 연결되며, 상기 헤들 프레임(3)은 도시 내용을 명확하게 하도록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샤프트(1)의 회전축은 X1으로 표시된다.
2개의 액튜에이터 요소(4)들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1)는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상기 샤프트(1)의 주변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길이방향 그루브(1a)에서 맞물린 2개의 치형(81)이 제공된 중앙 개구부를 가진 구동 요소(8)와 회전하도록 구속된다. 상기 구동 요소(8)의 주변 모서리(82)에는 상기 구동 요소(8)의 모서리 표면의 두께로 형성된 4개의 어깨부(84a, 84b, 84c, 84d)를 형성하는 4개의 노치가 제공된다.
2개의 래치(10, 11)는 각 래치(10, 11)를 위하여 피봇축(X10, X1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에 고정된 각각의 2개의 핀(12a, 12b)에 대하여 힌지된다.
상기 래치(10)는 축(X10)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 표면(103)이 어깨부(84a, 84c) 중 하나에 대하여 견디게 되는 방식으로 두개의 노치(83)에서 맞물리게 되는 단부(102)를 구비하는 제 1 아암(101)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10)는 제 2 반경방향 아암(104)을 포함하며, 아암의 단부(105)는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상에 장착된 슬라이더 또는 푸셔(13)의 단부(131)에 형성되거나 이중 화살표(F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축(X1)에 대하여 반경(D1)을 따라 양방향으로 병진운동하는 포크에서 연결된다.
제 2 래치(11)는 축(X11)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어깨부(84b, 84d) 및 푸셔(13)와 각각 함께 작동하는 각각의 단부(112, 115)를 구비하는 2개의 아암(111, 114)을 포함하며, 제 1 래치(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구동 요소(8)가 도 1 및 2에 도시된 화살표(F8)의 방향으로 샤프트(1)에 의해 구동될 때, 상기 표면(103)과 어깨부(84a)는 상기 구동 요소(8)로부터 액튜에이터 요소(4)로 구동력(F3)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축(X1)에 대하여 180도 회전하는 샤프트(1)의 단부에서, 상기 리프팅 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제동 에너지에 대응하는 복원력(F4)은 어깨부(84b) 상에서 지지되는 표면(113)에 의해 액튜에이터 요소(4)로 전달된다. 상기 래치가 다른 두개의 노치(83)에서 맞물릴 때, 동일한 사항이 우선 표면(103)과 어깨부(84c) 및 그 다음으로 표면(113)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각각 적용된다.
상기 슬라이더 또는 푸셔(13)는 도 1의 2개의 화살표 16에 의해 나타내어진 판독기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진동 레버(14, 15)의 팁(141, 151)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14, 15)는 상기 판독기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기 푸셔(13)에 팁(141, 151)을 맞물리게 강제하는 2개의 복귀 스프링(17)의 작동을 받게 된다.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는 상기 치형(42, 52)을 맞물리게 하도록 강제하는 탄성 수단(미도시)의 작용(F5)을 받으며 상기 스윙부(5)상의 축(X53)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장착된 아암(53)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 대응 치형(52)에 맞물리는 치형(42)이 제공된 2개의 탭(41)을 구비한다. 이러한 탭(41)과 아암(53)은 2개의 고정 지점 장치를 형성하는데, 그 중 하나는 상기 샤프트(1)가 그 개략적으로 대향하는 2개의 정지 위치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도달할 때 자동적으로 맞물리게 되며,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가 래치(10, 11)에 의해 상기 구동 요소(8)로부터 구동하에 정지 위치를 떠나게 될 때 자동적으로 분리된다.
커버(1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의 면(43)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액튜에이터 요소(4)상에 장착된다. 도면 부호 10 내지 13의 요소들은 상기 커버(18) 및 면(43) 사이에 수용된다.
압축 스프링(19)은 상기 면(43) 및 커버(18)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프링(19)은 푸셔(19')와 함께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이루어 상기 래치(10)의 상기 아암(101)상에 탄성력(F19)를 가하여, 이러한 노치가 단부(102)에 등록되게 될 때 노치(83)에서 아암(101)의 단부(102)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아암(104)이 축(X1)으로부터 푸셔를 멀리 이동시키도록 푸셔(13)의 측방향 탭(132)상에 힘(F104)를 가하는 방향으로 힘(F19)는 축(X10)에 대하여 토오크(C19)를 래치(10)에 가하게 된다. 상기 단부(105, 115)를 감싸는 상기 푸셔(13)의 단부(131)의 형상이 주어져서, 상기 래치(10)가 토오크(C19)의 영향하에 회전하는 방향으로 대응 방향으로 축(X11)에 대하여 래치(11)가 회전하게 하는 힘(F131)의 형태로 레버(11)의 아암(114)에 힘(F104)이 전달된다. 달리 말하면, 힘(F131)에 기인한 토오크(C'19)는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레버(111)를 구동하여, 노치(83)에서 일정 위치에 단부(112)를 가져와서 지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스프링(19) 및 푸셔(19')는 상기 래치(10) 상에서 직접 작용하며 도 2의 구성으로서 어깨부(84a, 84b)에 표면(103, 113)을 맞물리게 하도록 상기 래치(10) 및 푸셔(13)를 경유하여 래치(11) 상에서 간접적으로 작용하거나, 도 1의 하부에서 보이게 되는 노치(83)와 래치가 함께 작동할 때 어깨부(84c, 84d)에 표면(103, 113)이 맞물리게 하도록 래치(11)상에서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의 감속의 끝부분에서 그리고 그것이 완전히 정지하게 되기 전에, 축(X1)을 향하여 상기 푸셔(13)를 이동시키는 힘(F14)를 가함으로써 상기 레버(14)의 팁(141)을 통하여 상기 푸셔(13)상에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부(105)를 수용하는 오목한 구간을 형성하도록 푸셔(13)의 단부(131)와 함게 작동하는 탭(132)은 상기 샤프트(1)를 향하여 배향된 힘(F132)을 상기 단부에 가하게 된다. 이러한 힘은 그것이 미리 맞물리게 되는 상기 노치(83)로부터 그 단부(102)를 분리하도록 일방향으로 제 1 래치(10)가 회전하게 하는 축(X10)에 대하여 토오크(C14)를 일으킨다. 이러한 조작은 상기 샤프트(1)가 감속되는 상태 동안에 래치(10)에 부하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신속하게 행해진다. 환언하면, 표면(103)과 어깨부(84a)간의 접촉압은 거의 0이 된다. 토오크(C14) 영향하의 래치(10)의 작동은 탄성력(F19)에 대하여 발생하게 된다.
표면(113)과 어깨부(84b)간의 접촉압력은 높다. 상기 래치(11)은 상기 푸셔(13)의 단부(131) 상에서 단순하게 지지된다. 상기 단부(115)에 인접하게, 상기 푸셔(13)의 탭(132)에 균등한 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힘(F132)에 균등한 어떠한 힘도 아암(114)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상기 래치(11)는 래치(10)가 힘(F14)의 영향하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그 표면(113)이 어깨부(84b)에 맞물리게 되는 구조로 남게 된다.
탭(133)은 탭(132)를 가지는 측에 반대방향에서 푸셔(13)의 측상에 배치된다. 압축 스프링(20) 및 푸셔(20')는 탭(133) 및 단부(115) 사이에 배치된다. 압축 스프링은 축(X11)에 대하여 상기 래치(11) 상에 토오크(C20)을 가하는 탄성력(F20)을 가하도록 푸셔(20')를 경유하여 단부(115) 상에서 작용하여, 상기 어깨부(84b)로부터 그 표면(113)을 분리하는 방향에서 축(X11)에 대하여 래치가 회동하게 한다.
상기 스프링(20)의 경직도는 샤프트(1)가 감속되는 동안에 표면(113, 84b)들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마찰력(F0)을 토오크(C20)가 극복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상기 구동 요소(8)에 의해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에 전달된 복원력의 크기로 인하여 마찰력(F0)이 강렬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구동 요소(8) 및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가 정지하자마자, 상기 샤프트(1)가 절반 회전한 후에, 상기 토오크(C20)는 미리 수용되는 노치(83)로부터 단부(112)를 분리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래치(10, 11)를 연속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에 의해 형성된 바와 같이, 스윙부(5)를 작동시키기 위한 요소로부터, 상기 구동 요소(8)에 의해 구성된, 구동 요소의 완전한 분리가 나타나게 된다.
전술한 사항으로부터, 힘(F14)은 리프팅 유닛의 이른 정지 위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1)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푸셔(13)에 가해질 수 있다는 구성이 뒤따른다. 상기 구동 요소와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 간의 분리는 정시에 약간 오프셋되며 각각 하기에 대응하는 2개의 단계에서 발생하게 된다.
a) 분리되는 래치(10)와;
b) 분리되는 래치(11).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로부터 상기 구동 요소(8)를 분리하기 위하여 이동되는 부품의 갯수는 작으므로, 높은 작동 속도가 달성되고 도비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하게 된다. 분리 작동의 끝부분에서, 도비를 구성하는 부품은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가 구동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어깨부(84c, 84d)가 도 3의 어깨부(84a, 84b)의 구조로 각각 오게되도록 구동 요소(8)가 화살표(F8)의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종동하게 되는, 도 4의 구성에 있게 된다. 힘(F14)이 제거되면, 상기 판독기 장치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어깨부(84c, 84d)에 의해 경계가 지워진 노치(83)가 단부(102, 112)에 등록될 때, 상기 스프링(19)의 작용(F19)의 영향하에서 상기 래치(10, 11)는 노치(83)에서 맞물리게 된다.
특히, 편사가 파손된 후에, 도비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푸셔(13)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상기 샤프트(1)의 회전 속도는 전방으로 향한 작동시보다 느리게 되어, 상기 래치(10)의 분리에 비교하여 상기 래치(11)을 분리하는데 걸리는 약간의 지연은 해롭지는 않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요소(8)가 도 3의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샤프트(1)가 180도 회전한 후에, 그리고 상기 힘(F14)가 판독 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래치(10)의 아암(101)의 단부(102)는 상기 래치(11)의 아암(111)과 동시에 대응하는 노치(83)로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떠있는 동안, 즉 스윙부(5)가 그 고정 위치를 잃고 정해지지 않은 각 위치에 있는 상황동안에, 상기 래치(10)는 대응 노치(83)에서 그 자체로 연결되게 되는 어떠한 위험도 감수하지 않게 된다. 상기 래치는 상기 샤프트(1)의 속도가 작은 경우에 발생하듯이 노치(83)에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10, 11) 또는 상기 구동 요소(8)를 손상시킬 위험이 없다.
위치(191)는 도면부호 19와 19'로 각각 표시된 구성요소에 유사한 푸셔 및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하여 래치(11)의 주변에 제공된다. 따라서, 만약 상기 샤프트(1)와 상기 구동 요소(8)가 화살표(F8)의 반대 방향에서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래치(10, 11)의 분리의 순서와 기능을 뒤집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래치들은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그것은 상기 스프링 및 푸셔를 상기 위치(191)에 장착하고 상기 푸셔(13)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하여 상기 스프링(20)은 상기 래치(10) 옆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에 유사한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다. 스프링(19) 및 푸셔(19')는 노치(83)의 아암의 단부(102)에 맞물리도록 상기 래치(10)상에 탄성력(F19)를 가한다. 이러한 힘은 그 아암(104, 114)의 단부(105, 115)들 간의 접촉에 의해 상기 래치(11)에 전송된다. 상기 구동 요소(8)는 화살표(F8)의 반향으로 샤프트(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래치(10)는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에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래치(11)는 복원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부가 스프링(20) 및 관련 푸셔(20')가 상기 푸셔 또는 슬라이드(13)의 부분과 래치(11) 사이가 아니라 상기 래치(11)의 아암(114) 및 액튜에이터 요소(4)에 의해 운송되는 고정 접촉부(45) 사이에서 삽입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분리력(F14)이 상기 샤프트(1)의 회전축에 대하여 반경(D1)을 따라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에 대하여 이동하게 되는 푸셔(13)상에 가해질 때, 상기 푸셔(13)의 단부(131)는 이러한 힘을 힘(F132)의 형태로 상기 래치(10)의 상기 아암(104)에 전달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래치(10)에 전달되고 이전에 연결된 노치(83)에 대하여 상기 아암(101)을 분리하는 대응 토오크(C14)를 유도하게 된다. 상기 래치(11)의 아암(111)은 상기 노치(83)와 분리되어, 상기 스프링(20)으로부터 탄성력(F20)에 기인한 래치(11)의 회동축(X11)에 대하여 토오크(C20)의 영향하에서, 그것은 연결되어, 상기 표면(113) 및 상기 어깨부(84b)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존재하는 마찰력(F0)은 상기 토오크(C20)에 의해 극복된다.
추가적인 위치(191, 201)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19, 20)은 화살표(F8)에 반대 방향에서 전방으로 회전하는 구동 요소(8)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서 그 푸셔(19' 20') 과 함께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의 요소에 유사한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다. 전술한 방와 같이, 스프링(19) 및 푸셔(19')는 노치에 그것을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래치(10)상에 탄성력(F19)를 가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제 1 래치(10) 및 제 2 래치(11)간의 연결부가 상기 래치(11)의 아암(114)로 스태플(21)에 의해 고정되는 일반적으로 C형상의 스프링 블레이드에 의해 구현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래치(10)의 아암(104)의 단부(105)는 상기 스프링(20)의 만곡된 단부(202)에 대하여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20)은 그 브랜치가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더 가깝게 배치된 구조가 됨으로써 상기 토오크(C19)를 상기 래치(11)로 전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 또는 푸셔(13)는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상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1)의 회전축에 대하여 반경(D1)을 따라 병진운동할 수 있게 된다.
분리력(F14)이 상기 푸셔(13)상에 가해질 때, 이러한 힘은 상기 래치(11)에 바로 전달되지 않고 힘(F19)에 대하여 상기 래치(10)의 아암(104)에 전달된다. 상기 래치(11)는 그 표면(113)에 가해지는 복원력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힘(F4)은 스프링(20)의 만곡된 단부(202)에 대하여 지지되는 아암(104)의 단부(105)에 의해 상기 래치(11)에 전달되어, 상기 스프링(20)의 브랜치는 유도된 힘(F'14')의 영향하에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힘(F'14)은 상기 스프링(20)의 경직도에 따라 정해지는 량의 탄성력(F20)의 형태로 상기 아암(114)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힘(F20)은 상기 노치(83)로부터 그 단부(112)를 분리하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축(X11)에 대하여 토오크(C20)을 유도한다. 힘(F20)의 특성에 따라, 토오크(C20)는 그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상기 래치(11)는 마찰력(F0)이 탄성력(F20)보다 큰 조건에서는 상기 어깨부(84b)에 대하여 그 표면(113)을 통하여 맞물린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구동 요소(8)의 전방 회전 방향이 화살표(F8)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 대하여 반대로될 경우, 그것은 상기 푸셔(13)를 주위로 회전시키고 상기 래치(10, 11)를 교체하기에 충분하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에 유사한 구성의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번호가 부여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는 푸셔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 3 실시예와 구별된다. 스윙 레버(14) 또는 이에 균등한 요소는 상기 래치(10)의 아암(104)의 단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팁(141)을 통하여 지지하게 된다. 압축 스프링(20) 및 푸셔(20')는 상기 래치(11)의 아암(114) 및 상기 샤프트(12b) 주위에 배치된 상기 래치의 중앙부(117) 사이의 연결 구간(116) 및 상기 아암(104)의 단부(105) 사이에 배치된다.
푸셔(19')에 의해, 스프링(19)은 상기 래치(10)의 아암(101)상에 메인 힘(F19)을 가하여,상기 래치(10, 11)의 상기 아암(101)의 단부의 표면(103, 113)들은 상기 구동 요소(8)에서 상기 어깨부(84a, 84b) 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스프링(19) 및 상기 푸셔(19')는 상기 래치(10) 상에서 직접 작용한다. 그들은 상기 래치(11)의 아암(114)의 단부(115)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는 래치(10)의 반경방향 제3 아암(106)의 단부(107)를 경유하여 상기 래치(11) 상에서 작용한다. 분리하는 동안에, 힘(F14)은 상기 스프링(20)을 경유하여 상기 아암(104)로 직접 전달되고 상기 아암(114)으로 전달된다.
어떠한 실시예에서도, 표면(103)이 대응하는 어깨부(84a, 84c)에 맞물리게 되는 구조를 향하여 제 1 래치(10)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수단이며 도면부호 19, 19' 로 표시된 수단은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으로 지칭된다.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은 상기 제 2 래치(11) 상에서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그 표면(113)은 대응하는 어깨부(84b, 84d)에 맞물리게 된다. 우선 제 2 도비(11) 그리고 그 다음으로 제 1 래치(10)의 제어수단(13 및/또는 14)들 간의 기계적인 분리로 인하여, 상기 제 2 래치는 제 1 래치가 분리되더라도 대응하는 노치(83)에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하여 제 1 래치는 분리되어, 디스크로 구성된 구동 요소(8)는 완전히 정지하기 전에 감속되게 된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반회전마다 정지하지 않지만 선택된 각도 구간에 도달시에 감속되는 메인 샤프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직기의 작 동 속도는 증가하게 된다.

Claims (12)

  1. 직기(M)용 회전식 도비(R)로서, 각각의 리프팅 유닛을 위하여,
    . 상기 도비의 메인 샤프트(1) 상에 장착된 액튜에이터 요소(4)에 관련되며 헤들 프레임(3)에 연계된 스윙부(5)와,
    .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속된 구동 요소(8)와,
    . 회전상태에서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와 상기 구동 요소(8)를 연결하는 2개의 제어된 래치(10, 11)로서, 각각의 래치는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상에 장착되며, 제 1 래치(10)에는 상기 구동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제 1 어깨부(84a, 84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 제 1 표면(103)이 제공되며, 이러한 제 1 표면은 상기 구동 요소(8)로부터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로 구동력(F3)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103/84a, 103/84c)를 형성하며, 제 2 래치(11)에는 상기 구동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제 2 어깨부(84b, 84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 제 2 표면(113)이 제공되며, 이러한 제 2 표면은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로부터 상기 구동 요소로 복원력(F4)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113/84b, 113/84d)를 형성하는, 2개의 제어된 래치(10, 11)와,
    . 제 1 표면(103) 및 제 2 표면(113) 각각이 상기 구동 요소(8)의 대응하는 어깨부(84a-84d)에 맞물리는 구조를 향하여 각각의 상기 래치(10, 11)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과,
    .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의 작용(F19)에 대하여 상기 래치를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13-15)을 포함하는 회전식 도비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은 제 1 래치(10) 상에서 직접적으로(F19) 작용하며, 상기 제 2 래치(11)상에서 간접적으로(F104, F131) 작용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의 작용(F19)에 대하여 제 1 래치를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제 2 래치는 제 2 표면(113)이 상기 구동 요소(8)의 제 2 어깨부(84b, 84d)에 맞물리는 구조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식 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은 상기 제 1 래치(10)를 통하여 상기 제 2 래치(11) 상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식 도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치(11)상에서는 작용하지만 상기 제 1 래치(10) 상에서는 작용하지 않는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20, 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구동 요소(8)의 대응하는 제 2 어깨부(84b, 84d)으로부터 상기 제 2 래치의 제 2 표면(113)을 분리하는 힘(F20)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식 도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의 작용(F19)에 대하여 그것을 이동시키도록 힘(F132, F14)을 가하는 제 1 래치(10) 상에 직접 작용하는 이동 부재(13, 14)와;
    우선 상기 이동 부재(13) 또는 제 1 래치(10)와 그 다음으로 제 2 래치(11) 사이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20, 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식 도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은 스프링 또는 스프링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식 도비.
  6.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20, 20')은 상기 이동 부재(13) 및 제 2 래치(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식 도비.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20)은 상기 제 1 래치(10) 및 상기 제 2 래치(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식 도비.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의 작용(F19)에 대하여 그것을 이동시키도록 힘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래치(10)상에 직접 작용하는 이동 부재(13)와;
    . 상기 구동 요소(8)의 대응하는 제 2 어깨부(84b, 84d)로부터 제 2 표면(113)을 분리하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래치(11)를 편향시키는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20, 20')으로서, 이러한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이동 부재(13)에 의해 가해지는 힘(F14)에 대한 제 1 래치(10)의 운동(C13)으로 인하여, 제 2 래치가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운동을 받지 않을 때에만 상기 구동 요소의 대응하는 제 2 표면으로부터 제 2 래치의 제 2 표면을 분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식 도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상에 장착되는 푸셔(13)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메인 샤프트(1)의 회전축(X1)에 대하여 반경(D1)을 따라 병진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식 도비.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비(R)가 장착된 제직기(M).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비에 속하는 부품으로서, 상기 부품은 액튜에이터 요소(4)를 형성하는 편심부, 상기 편심부에 장착되는 스윙부(5), 및 상기 스윙부 및 헤들 프레임(3)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는 피봇 아암(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비에 속하는 부품.
  12. 리프팅 유닛을 위한 회전식 도비(R)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도비는,
    . 상기 도비의 메인 샤프트(1) 상에 장착되는 액튜에이터 요소(4)에 관련되며 헤들 프레임(3)에 연계된 스윙부(5)와,
    .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속된 구동 요소(8)와,
    . 회전상태에서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와 상기 구동 요소(8)를 연결하는 2개의 제어된 래치(10, 11)로서, 각각의 래치는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상에 장착되며, 제 1 래치(10)에는 상기 구동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제 1 어깨부(84a, 84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 제 1 표면(103)이 제공되며, 이러한 제 1 표면은 상기 구동 요소로부터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로 구동력(F3)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103/84a, 103/84c)를 형성하며, 제 2 래치(11)에는 상기 구동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제 2 어깨부(84b, 84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 제 2 표면(113)이 제공되며, 이러한 제 2 표면은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로부터 상기 구동 요소로 복원력(F4)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113/84b, 113/84d)를 형성하는, 2개의 제어된 래치(10, 11)와,
    . 제 1 표면(103)과 제 2 표면(113) 각각이 상기 구동 요소(8)의 대응하는 어깨부(84a-84d)에 맞물리는 구조를 향하여 각각의 상기 래치(10, 11)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과,
    .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의 작용(F19)에 대하여 상기 래치를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13-15)을 포함하는 회전식 도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 요소(4)로부터 상기 구동 요소(8)를 분리하는 동안에,
    a) 작용(F14)은 제 2 래치(11) 상에 직접 작용하지 않고서, 상기 구동 요소(8)의 대응하는 제 1 어깨부(84a, 84c)로부터 제 1 표면(103)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탄성 바이어스 수단(19. 19')의 작용(F19)에 대하여 상기 제 1 래치(10)상에 작용되며,
    b) 제 2 탄성 바이어스 수단(20, 20')은 상기 구동 요소(8)의 대응하는 제 2 어깨부(84b, 84d)로부터 제 2 표면(113)을 분리하도록 상기 제 2 래치(11) 상에 작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도비 제어방법.
KR1020070034680A 2006-04-11 2007-04-09 회전식 도비, 이러한 도비를 포함하는 직기, 및 이러한도비를 제어하는 방법 KR101431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3203 2006-04-11
FR0603203A FR2899602B1 (fr) 2006-04-11 2006-04-11 Ratiere rotative, metier a tisser comprenant une telle ratiere et procede de commande d'une telle ratie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138A KR20070101138A (ko) 2007-10-16
KR101431647B1 true KR101431647B1 (ko) 2014-08-20

Family

ID=3699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680A KR101431647B1 (ko) 2006-04-11 2007-04-09 회전식 도비, 이러한 도비를 포함하는 직기, 및 이러한도비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80274B2 (ko)
EP (1) EP1845181B1 (ko)
JP (1) JP4922811B2 (ko)
KR (1) KR101431647B1 (ko)
CN (1) CN101054748B (ko)
AT (1) ATE448339T1 (ko)
BR (1) BRPI0702003B8 (ko)
DE (1) DE602007003130D1 (ko)
FR (1) FR2899602B1 (ko)
RU (1) RU241969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4297B1 (fr) 2009-04-10 2011-04-08 Staubli Sa Ets Dispositif d'assemblage, ensemble de deux pieces assemblees par un tel dispositif et lame de machine de formation de la foule comprenant un tel ensemble
CN101709525B (zh) * 2009-11-19 2011-04-13 常熟纺织机械厂有限公司 旋转式电子多臂机的三开口开口机构
FR2957366B1 (fr) * 2010-03-12 2012-04-13 Staubli Sa Ets Ratiere rotative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ratiere
FR2968317A1 (fr) 2010-12-06 2012-06-08 Staubli Sa Ets Dispositif de selection pour le controle d'une ratiere, ensemble de selection et ratiere controlee par un tel dispositif de selection
FR3080118B1 (fr) * 2018-04-16 2020-05-01 Staubli Faverges Ratiere rotative et metier a tis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2039A (en) * 1979-03-08 1980-09-19 Kaiser Gmbh & Co Kg Johann Drive apparatus for loom heald shaft
JPS61146837A (ja) * 1984-12-18 1986-07-04 シユトイブリ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回転式ドビー機のための同期連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4834A (en) * 1990-05-18 1993-06-01 S.A. Des Etablissments Staubli Process for assembling the actuation elements of a rotating dobby
FR2662710B1 (fr) * 1990-05-31 1992-08-28 Staubli Sa Ets Unite electro-magnetique pour la commande des ratieres et autres mecaniques de tissage.
IT1254219B (it) * 1992-02-25 1995-09-14 Eccentrico perfezionato per ratiera rotativa
IT1260291B (it) * 1992-12-18 1996-04-03 Lucio Burigana Ratiera rotativa
FR2757883B1 (fr) * 1996-12-31 1999-02-19 Staubli Sa Ets Ratiere rotative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ratiere
FR2757882B1 (fr) * 1996-12-31 1999-02-19 Staubli Sa Ets Ratiere rotative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ratiere
FR2802218B1 (fr) * 1999-12-14 2002-01-11 Staubli Sa Ets Ratiere rotative pour metier a tisser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ratiere
FR2842538B1 (fr) * 2002-07-16 2004-10-29 Staubli Sa Ets Ratiere rotative pour metier a tisser,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ratiere
ITMI20022695A1 (it) * 2002-12-19 2004-06-20 Fimtextile Spa Dispositivo per attuare la programmazione di ratiere rotative in macchine di tessitura
DE10343377B3 (de) * 2003-09-17 2005-04-28 Groz Beckert Kg Schaftantrieb für Webmaschinenschäf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2039A (en) * 1979-03-08 1980-09-19 Kaiser Gmbh & Co Kg Johann Drive apparatus for loom heald shaft
JPS61146837A (ja) * 1984-12-18 1986-07-04 シユトイブリ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回転式ドビー機のための同期連動機構
US4730641A (en) * 1984-12-18 1988-03-15 Staeubli Ltd. Rotational dob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02003B8 (pt) 2017-05-16
ATE448339T1 (de) 2009-11-15
BRPI0702003B1 (pt) 2016-11-21
DE602007003130D1 (de) 2009-12-24
JP4922811B2 (ja) 2012-04-25
RU2007113375A (ru) 2008-11-10
FR2899602A1 (fr) 2007-10-12
FR2899602B1 (fr) 2008-05-23
BRPI0702003A (pt) 2007-12-11
EP1845181B1 (fr) 2009-11-11
JP2007277799A (ja) 2007-10-25
CN101054748B (zh) 2011-10-05
US7980274B2 (en) 2011-07-19
US20070246950A1 (en) 2007-10-25
KR20070101138A (ko) 2007-10-16
EP1845181A1 (fr) 2007-10-17
CN101054748A (zh) 2007-10-17
RU2419693C2 (ru) 201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647B1 (ko) 회전식 도비, 이러한 도비를 포함하는 직기, 및 이러한도비를 제어하는 방법
EP3553805B1 (en) Dual power automatic transfer switch mechanism
KR101002686B1 (ko) 직기용 회전식 도비 및 이러한 도비가 장착된 직기
KR960012834B1 (ko)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방법 및 장치
US4544000A (en) Synchronized rotating dobby for weaving looms
CS209826B2 (en) Needle ribbon weawing machine
US4444225A (en) Rotating dobbies
JPH0413458B2 (ko)
CN1287027C (zh) 织造机构和织机的转动连接传动轴所用的联轴节
US4244399A (en) Shed locating device for dobbies
CN1101866C (zh) 将织造机构和织机的驱动轴旋转地连接在一起的联轴器
EP1245707B1 (en) Multi-position front clutch having a locking device of the movable element in a control drive of a weaving loom
US4422480A (en) Loom-heddle selector
JP4248554B2 (ja) 織機のヘルドシャフトのためのシャフトドライブ
JP4412997B2 (ja) ドビーおよびドビーを備えた織機
SU1548289A1 (ru) Ротационна ремизоподъемна каретка к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CN101421452A (zh) 用于使织机运行的方法和驱动装置
EP0882821B1 (en) Programming device for rotary dobbies in weaving machines
US3483899A (en) Batten lifting mechanism for loom
SU315728A1 (ru) Ремизоподъемный механизм к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