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181B1 - 골무형 안전칼 - Google Patents
골무형 안전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1181B1 KR101431181B1 KR1020120131751A KR20120131751A KR101431181B1 KR 101431181 B1 KR101431181 B1 KR 101431181B1 KR 1020120131751 A KR1020120131751 A KR 1020120131751A KR 20120131751 A KR20120131751 A KR 20120131751A KR 101431181 B1 KR101431181 B1 KR 1014311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ife
- button
- present
- safety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26B27/007—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with handles specific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human hand or finger, e.g. thim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무형 안전칼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무형 안전칼은, 골무형 구조에 칼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후 칼의 사용 유무에 따라 칼을 작업 가능한 상태 또는 보관 중인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골무형 구조를 끼고 있는 작업자의 한 손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골무형 구조에 결합 되어 있는 칼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업용 그물을 수리하는 작업과 같이 틈틈이 자르기를 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 도중에 자르기를 위한 칼의 행방이 묘연해질 염려가 없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무형 안전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무형 구조에 작업용 칼을 결합한 골무형 안전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실이나 끈을 자를 때 주로 가위를 사용한다.
또한, 어업용 그물을 수리하는 작업과 같이 틈틈이 자르기를 하는 작업의 경우, 틈틈이 자르기를 할 때 자르기 이외의 주된 일을 하던 동작을 멈추고 가위를 이용하여 자르기를 한다.
이후, 작업자는 가위를 이용한 자르기를 완료하면 손에 들려 있던 가위를 다시 손에서 내려 논 다음 종전에 하던 주된 일을 하기 위한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어업용 그물을 수리하는 작업과 같이 틈틈이 자르기를 하는 작업은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작업 수행 시간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작업 중에 가위 행방이 묘연해질 경우에는 작업 중단으로 이어지는 불편함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무형 구조에 칼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후, 칼의 사용 유무에 따라 칼을 작업 가능한 상태 또는 보관 중인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하는 골무형 안전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무형 구조를 끼고 있는 작업자의 한 손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골무형 구조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된 칼을 제어하기 위한 골무형 안전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골무형 안전칼은 골무형 구조 및 상기 골무형 구조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된 후 작업자의 한 손에 의한 사용 설정에 따라 칼날을 칼집 외부에 노출하여 작업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거나 상기 칼날을 칼집 내부에 넣어 작업 중 일시적 보관 상태로 전환되는 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자의 한 손에 의한 사용 설정은 상기 칼의 외 측에 위치한 칼 사용 버튼 및 칼 보관 버튼을 통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 사용 버튼은 상기 골무형 구조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칼에 구비되고, 상기 칼 보관 버튼은 상기 골무형 구조에 끼워지는 손가락의 손바닥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칼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 사용 버튼 및 상기 칼 보관 버튼은 기 정해진 규격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자의 한 손에 의한 사용 설정은 상기 칼의 외 측에 위치한 단일의 칼 사용/보관 버튼을 통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 사용/보관 버튼의 눌려진 정도에 따라 상기 칼날의 외부 노출 정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골무형 구조에 칼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후 칼의 사용 유무에 따라 칼을 작업 가능한 상태 또는 보관 중인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골무형 구조를 끼고 있는 작업자의 한 손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골무형 구조에 결합 되어 있는 칼을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업용 그물을 수리하는 작업과 같이 틈틈이 자르기를 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 도중에 자르기를 위한 칼의 행방이 묘연해질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작업 가능한 상태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작업 시 보관 중인 상태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칼 부분에 대한 측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2b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칼 부분에 대한 측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배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칼 이동 방식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작업 가능한 상태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작업 시 보관 중인 상태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칼 부분에 대한 측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2b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칼 부분에 대한 측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배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의 칼 이동 방식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100)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 안전칼(100)은 골무형 구조(110)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골무형 안전칼(100)은 골무형 구조(110)에 칼(1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후, 칼(120)의 사용 유무에 따라 칼(120)을 작업 가능한 상태 또는 보관 중인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 안전칼(100)을 자르기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칼(120)집의 일 측에 위치한 칼 사용 버튼(125)을 사용하여 칼(120)집 내부에 보관 중인 칼날(127)을 칼(120)집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로 고정함에 따라, 골무형 안전칼(100)을 작업 가능한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반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 안전칼(100)을 작업 중 일시적으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칼(120)집의 다른 일 측에 위치한 칼 보관 버튼(123)을 사용하여 칼(120)집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칼날(127)을 칼(120)집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로 고정함에 따라, 골무형 안전칼(100)을 작업 중에 일시적으로 보관 중인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100)의 칼(120) 부분에 대한 측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 안전칼(100)을 작업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칼(120)을 이루는 형상의 일 측에 구비된 칼 사용 버튼(125)을 작업자가 누름으로써 칼 사용 버튼(125)의 이동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는 칼날(127) 및 기타 형상물(예: 칼 보관 버튼(123), 연결축 및 고정 돌기(129) 등)도 칼 사용 버튼(125)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칼 사용 버튼(125)의 눌림이 완료되면, 함께 연결된 칼날(127) 또한 칼(120)집 내부에서 칼(120)집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칼날(127) 노출 상태를 지속하기 위해 칼(120)집 내부에 숨겨져 있던 칼 보관 버튼(123)이 제1 홈(124)에 체결된 후 칼 보관 버튼(123)의 끝단이 제1 홈(124)을 관통하여 칼(120)집 외부에 노출되면서, 칼 보관 버튼(123)의 일 측과 연결축을 통해 연결된 고정 돌기(129)가 제2 홈(122)에 체결된다.
또한, 칼 사용 버튼(125)의 위치, 구조 형상 및 칼(120)집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 크기는 기 정해진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칼 사용 버튼(125)에 대한 규격이라 함은 골무형 구조(110)를 작업자의 손가락에 끼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골무형 안전칼(100)을 작업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때 골무형 구조(110)를 끼우고 있는 손가락의 접힘 동작에 의해 칼 사용 버튼(125)이 용이하게 눌려져 골무형 안전칼(100)이 작업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칼 사용 버튼(125)과 관련된 일련의 규격을 일컫는다.
도 3b는 도 2b에 도시된 골무형 안전칼(100)의 칼(120) 부분에 대한 측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 안전칼(100)을 작업 시 일시 보관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칼(120)을 이루는 형상의 다른 일 측에 구비된 칼 보관 버튼(123)을 작업자가 누름으로써 칼 보관 버튼(123)이 제1 홈(12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칼 보관 버튼(123)의 눌림에 의해 칼 보관 버튼(123)의 일 측과 연결된 연결 축(126) 또한 눌려져 제2 홈(122)에 체결되어 있던 고정 돌기(129)가 제2 홈(12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이전의 칼 사용 버튼(125)의 눌림에 의해 스프링(128) 압축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칼날(127) 및 기타 형상물(예: 칼 보관 버튼(123), 칼 사용 버튼(125), 연결축 및 고정 돌기(129) 등)이 모두 탄성 복원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칼 사용 버튼(125)이 재차 칼(120)집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칼 보관 버튼(123)의 위치, 구조 형상 및 칼(120)집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 크기는 기 정해진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칼 보관 버튼(123)에 대한 규격이라 함은 골무형 구조(110)를 작업자의 손가락에 끼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골무형 안전칼(100)을 작업 시 일시 보관을 위한 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때 칼날(127)이 노출 중인 상태를 감안하여 안전하게 칼(120)집 내부로 칼날(127)을 집어 넣기 위한 칼 보관 버튼(123)과 관련된 일련의 규격을 일컫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골무형 구조(110)를 끼고 있는 작업자의 한 손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골무형 구조(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된 칼(120)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20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 안전칼(200)은 골무형 구조(210)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의 골무형 안전칼(200)은 골무형 구조(210)에 칼(2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후, 칼(220)의 사용 유무에 따라 칼(220)을 단일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칼 보관/사용 버튼(221)을 이용하여 작업 가능한 상태 또는 보관 중인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상기 골무형 안전칼(200)을 자르기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칼집의 일 측에 위치한 칼 보관/사용 버튼(221)을 사용하여 칼집 내부에 보관 중인 칼날을 칼집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로 고정함에 따라, 골무형 안전칼(200)을 작업 가능한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칼 보관/사용 버튼(221)이 칼집 내부로 눌려지지 아니한 상태인 경우, 칼날과 연결된 칼날 지지 구조물(222)의 슬라이딩 면과 칼 보관/사용 버튼(221)이 맞닿지 않게 되어 상기 칼날 지지 구조물(222)의 끝단에 체결된 스프링이 최장으로 탄성 복원 작동을 하게 됨에 따라, 칼날이 칼집 외부에 노출된다.
반대로, 상기 골무형 안전칼(200)을 작업 중 일시적으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칼집의 일 측에 위치한 칼 보관/사용 버튼(221)을 사용하여 칼집 외부에 노출 중인 칼날을 칼집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로 고정함에 따라, 골무형 안전칼(200)을 작업 시 일시 보관을 위한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칼 보관/사용 버튼(221)이 칼집 내부로 눌려지면, 칼날과 연결된 칼날 지지 구조물(222)의 슬라이딩 면과 칼 보관/사용 버튼(221)이 맞닿게 되어 칼 보관/사용 버튼(221)의 눌려진 정도에 따라 칼날 지지 구조물(222)이 이동됨에 따라, 칼날이 칼집 내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골무형 안전칼(3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 안전칼(300)은 골무형 구조(310) 및 골무형 구조보다 길이가 일정 정도 긴 칼(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칼(320)은 작업 용도에 따라 긴 칼날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 또는 장착되는 손가락 부위 등을 고려하여 길이 또는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을 예로 할 경우 골무형 안전칼(100)은 작업 용도에 따라 칼날(127)의 형상이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칼집에서 작업에 맞는 칼날(127)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무형 구조에 칼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후, 칼의 사용 유무에 따라 칼을 작업 가능한 상태 또는 보관 중인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200, 300: 골무형 안전칼 110, 210, 310: 골무형 구조
120, 220, 320: 칼 121: 칼 하우징
122: 제2 홈 123: 칼 보관 버튼
124: 제1 홈 125: 칼 사용 버튼
126: 연결 축 127: 칼날
128: 스프링 129: 고정 돌기
221, 321: 칼 보관/사용 버튼 222: 칼날 지지 구조물
120, 220, 320: 칼 121: 칼 하우징
122: 제2 홈 123: 칼 보관 버튼
124: 제1 홈 125: 칼 사용 버튼
126: 연결 축 127: 칼날
128: 스프링 129: 고정 돌기
221, 321: 칼 보관/사용 버튼 222: 칼날 지지 구조물
Claims (6)
- 골무형 구조; 및
상기 골무형 구조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된 후 작업자의 한 손에 의한 사용 설정에 따라 칼날을 칼집 외부에 노출하여 작업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거나 상기 칼날을 칼집 내부에 넣어 작업 중 일시적 보관 상태로 전환되는 칼;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의 한 손에 의한 사용 설정은 상기 칼의 외 측에 위치한 칼 사용 버튼 및 칼 보관 버튼을 통해 실행되며,
상기 칼 사용 버튼은 상기 골무형 구조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칼에 구비되고, 상기 칼 보관 버튼은 상기 골무형 구조에 끼워지는 손가락의 손바닥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칼에 구비되는 골무형 안전칼.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칼 사용 버튼 및 상기 칼 보관 버튼은 기 정해진 규격으로 구비되는 골무형 안전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의 한 손에 의한 사용 설정은 상기 칼의 외 측에 위치한 단일의 칼 사용/보관 버튼을 통해 실행되는 골무형 안전칼.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칼 사용/보관 버튼의 눌려진 정도에 따라 상기 칼날의 외부 노출 정도가 조절되는 골무형 안전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1751A KR101431181B1 (ko) | 2012-11-20 | 2012-11-20 | 골무형 안전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1751A KR101431181B1 (ko) | 2012-11-20 | 2012-11-20 | 골무형 안전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4429A KR20140064429A (ko) | 2014-05-28 |
KR101431181B1 true KR101431181B1 (ko) | 2014-08-20 |
Family
ID=5089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1751A KR101431181B1 (ko) | 2012-11-20 | 2012-11-20 | 골무형 안전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118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212Y1 (ko) * | 2014-09-17 | 2015-02-09 | 안영진 | 엄지칼 |
KR101963979B1 (ko) | 2017-11-15 | 2019-03-29 | 주식회사 제이링 | 손가락 커터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095Y1 (ko) | 1999-11-18 | 2000-05-15 | 손헌광 | 골무절단 칼 |
KR200437260Y1 (ko) | 2007-01-19 | 2007-11-19 | 윤재영 | 반지칼 |
-
2012
- 2012-11-20 KR KR1020120131751A patent/KR1014311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095Y1 (ko) | 1999-11-18 | 2000-05-15 | 손헌광 | 골무절단 칼 |
KR200437260Y1 (ko) | 2007-01-19 | 2007-11-19 | 윤재영 | 반지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4429A (ko) | 2014-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15760B2 (en) | Throttle lockout with dissimilar action | |
US10586665B2 (en) | Electric power tool | |
KR101431181B1 (ko) | 골무형 안전칼 | |
CN102729262A (zh) | 安全刀 | |
CN106514568B (zh) | 用于起动带有电动机的手引导式工作器械的方法 | |
CN202825860U (zh) | 一种美工刀 | |
JP5280674B2 (ja) | 手持ち式打ち込み装置 | |
JP5281093B2 (ja) | ペンシル | |
US3563513A (en) | Stapler remover attachments for stapling machines | |
EP3287238A1 (en) | Trigger assembly for a pneumatic tool | |
EP2978355A1 (en) | Scraper hand tool | |
US9162352B2 (en) | Hand-guided apparatus with an operating lever | |
US20100107421A1 (en) | Convertible cutting instrument | |
TW200716330A (en) | Power tool for punching operation | |
US20070245569A1 (en) | Belt cutter with safety retractable blades | |
JP4484942B1 (ja) | マイクロフォン装置 | |
KR101379083B1 (ko) | 채혈기 | |
CN110125882B (zh) | 用于电驱动式园林工具的开关装置 | |
EP1040752A3 (en) | Foot operated cutting device | |
CN207522533U (zh) | 控制组件及动力工具 | |
CN101633062B (zh) | 用于台锯的切割完成致动器 | |
KR20170141619A (ko) | 원예용 결속기 | |
US20120187617A1 (en) | Finger pinch preventing hand-held quick-clamping device | |
KR200476212Y1 (ko) | 엄지칼 | |
KR20110086889A (ko) | 조각도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