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034B1 - 유체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유체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034B1
KR101431034B1 KR1020130051849A KR20130051849A KR101431034B1 KR 101431034 B1 KR101431034 B1 KR 101431034B1 KR 1020130051849 A KR1020130051849 A KR 1020130051849A KR 20130051849 A KR20130051849 A KR 20130051849A KR 101431034 B1 KR101431034 B1 KR 101431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od
shaft
split shaft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지현
한상빈
이태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5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관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판을 통해 상기 배관 내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체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판과 함께 이동가능하며, 상기 배관의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이동시키는 밸브조절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서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조절밸브{FLUID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유체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유량을 조절하는 차단판에 연결되어 차단판을 승강하는 굴절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하는 유체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내의 여러 설비들은 가스 또는 오일이나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를 설비로 이송하기 위해 많은 수의 이송관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이송관에는 필요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기 위한 많은 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유틸리티(utility) 공급 밸브는 각 공장 조업에 필요한 각종 가스, 냉각수, 유체 등의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배관에 설치되어 유틸리티의 공급을 제어한다.
공장 설비에서는 조업을 위하여 가스, 냉각수, 유체 등의 각종 유틸리티를 필요로 하며, 각종 유틸리티를 저장하고 있는 유틸리티 저장 탱크에서 유틸리티를 메인 배관을 통해 공급하고, 메인 배관에서 유틸리티를 필요로 하는 다수의 현장 설비에 지관을 인출하여 메인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틸리티를 필요로 하는 현장 설비에 공급함으로써 조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유틸리티 공급 시스템에서 메인 배관 및 지관을 통한 유틸리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틸리티 공급 밸브가 사용되고 있으며, 지관 후공정에서 이상 발생시 유틸리티 공급 밸브를 폐쇄하여 유틸리티의 공급을 차단하고 후공정 정비 및 설비 교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반적인 유틸리티 공급 밸브는 배관 측에 결합되는 밸브 케이스와 지관 측에 결합되는 밸브 케이스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밸브 케이스 내부에 유틸리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차단판이 설치되어 있다. 차단판은 나사결합된 나사축에 연결되어 관로의 유체 통과량을 제어하며, 회전축은 외부로 길게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장의 공간 협소에 의해 밸브의 설치가 곤란하다. 또한, 돌출된 나사축에 의하여 주변 설비 및 작업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나사축의 파손으로 밸브의 적절한 제어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854364호. 2008. 09. 02.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배관에 설치되는 유체조절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조절밸브의 미사용시 나사 회전축의 위치를 굴절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관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판을 통해 상기 배관 내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체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판과 함께 이동가능하며, 상기 배관의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이동시키는 밸브조절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서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축을 구비한다.
상기 분할축은, 상기 차단판에 연결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된 상부홈 및 상기 상부홈과 연통되는 하부이동홀을 가지는 하부분할축; 상기 하부분할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하부홈 및 상기 하부홈과 연통되는 상부이동홀을 가지는 상부분할축을 구비하며, 상기 유체조절밸브는, 상기 상부분할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분할축 상에서 회전가능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을 가지는 로드핸들; 상기 관통홀에 체결가능한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상부이동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로드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이동홀을 따라 승강가능한 나사로드; 상기 하부홈의 바닥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나사로드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나사로드와 함께 승강가능한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홈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대기위치 및 상기 하부홈의 상단에 위치하는 작동위치로 전환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로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홈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홈은 상부에 위치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가이드홈을 가지며, 상기 상부분할축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가능한 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 및 상기 삽입돌기는 하부를 향해 오목한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이동로드는 신축가능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상부분할축 및 상기 하부분할축은 상기 로드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보 체결되는 체결위치 및 상호 분리되어 절곡가능한 해제위치로 전환가능하며,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작동위치로 전환가능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대기위치로 전환가능할 수 있다.
상기 유체조절밸브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배치된 원통 형상의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체조절밸브의 나사 회전축의 굴절을 통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밸브를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체조절밸브의 미사용시, 나사 회전축의 위치를 굴절시켜 보관함으로써 작업자나 설비들이 이동하면서 나사 회전축의 파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체조절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유체조절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도 3에 도시한 유체조절밸브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체를 흐르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위해 유로를 개폐하는 기기의 총칭으로, 이하에서는 외부 나사식인 회전축의 이동에 의해 차단판의 위치를 변화하여 배관 상에 흐르는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글로브 밸브, 게이트 밸브, 다이어프램 밸브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체조절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배관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판(디스크)(도시안함)을 통해 배관(3) 내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체조절밸브(100)는, 차단판을 내장하는 바디(11), 차단판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된 바깥나사식 회전축(20), 회전축(20)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밸브조절핸들(18), 그리고 바디(11)와 밸브조절핸들(18) 사이에 밸브조절핸들(18)이 회전가능하도록 연장되는 하부브라켓(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밸브조절핸들(18)을 회전시키면 회전축(20) 및 회전축(20)에 연결된 차단판이 승강하며, 이에 따라 차단판은 배관(3) 내의 유동을 조절한다.
일반적인 유체조절밸브(100)는 바디(11)의 상측으로 하부브라켓(14)이 고정 설치되고, 하부브라켓(14)의 상단에 밸브조절핸들(18)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축(20)은 회전축(20)의 하단에 바디(11) 내장의 차단판이 고정된 상태로 상측으로 연장되고, 하부브라켓(14)을 지나 밸브조절핸들(18)의 중앙을 나선형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밸브조절핸들(18)은 회전시키면 회전축(20)이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바디(11)의 유체 통로에 내장된 차단판이 이동하면서 유체조절밸브(100)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유체조절밸브(100)는 산업활동에 사용하는 각종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배관(3) 상에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다. 유체조절밸브(100)에는 밸브조절핸들(18)이 설치되어 밸브조절핸들(18)을 회전함에 따라 유체 흐름의 양을 제어하며, 이때 차단판에 연결되어 밸브조절핸들(18)을 회전함으로써 승강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20)이 외부로 길게 돌출된다. 회전축(20)의 하단부에는 차단판이 연결되며, 회전축(20)의 승강에 따라 차단판도 함께 승강하여 배관(3) 내부의 유체 유량을 조절한다.
즉, 밸브조절핸들(18)을 회전하여 회전축(20)이 하강하여 배관(3)을 폐쇄하며, 회전축(20)이 상승하면 배관(3)이 개방되는 구조로 작동된다. 따라서, 회전축(20)이 외부로 길게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장의 공간 협소에 의한 유체조절밸브(100)의 설치가 곤란하고, 돌출된 회전축(20)에 의해 주변 설비 및 작업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회전축(20)의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나사 회전축(20)의 굴절을 통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가능한 유체조절밸브(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유체조절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0)은 배관(3)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판(도시안함)에 연결되며, 밸브조절핸들(18)의 회전에 의해 차단판을 승강하여 배관(3)에 흐르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축(20)은 차단판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배관(3)의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회전축(20)은 하부분할축(30), 연장분할축(40) 및 상부분할축(50)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20)은 사용자의 사용 의도에 따라 그 개수는 증감할 수 있다. 또한, 하부분할축(30)과 연장분할축(40) 및 상부분할축(5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서로 같은 크기의 단면적을 가진다.
하부분할축(30)은 하부에 차단판이 연결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며, 연장분할축(40)이 삽입가능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된 상부삽입홈(37)을 가진다. 또한, 상부삽입홈(37)의 하부에는 상부삽입홈(37)과 연통되는 상부가이드홈(39)이 형성되며, 상부가이드홈(39)의 하부에는 하부이동홀(도시안함)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분할축(40)은 하부분할축(3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며, 하부분할축(30)을 향해 이동하여 하부분할축(3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삽입홈(37)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다. 연장분할축(40)의 하부에는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하부연장홈(42)이 형성되며, 연장분할축(40)과 하부분할축(30)이 결합할 경우, 하부연장홈(42)과 상부가이드홈(39)은 서로 대칭되어 연통된다. 연장분할축(40)의 하부에는 상부삽입홈(37)에 삽입가능한 하부삽입돌기(44)가 형성되며, 상부삽입홈(37) 및 하부삽입돌기(44)는 하부를 향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연장분할축(40)의 상부에는 하부분할축(30)의 상부와 마찬가지로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의 연장삽입홈(47)이 형성되며, 연장삽입홈(47)의 하부에는 연장삽입홈(47)과 연통되는 연장가이드홈(49)이 형성된다. 또한, 연장가이드홈(49)과 하부연장홈(42) 사이에는 연장하부이동홀(도시안함)이 형성된다. 상부분할축(50)은 연장분할축(40)의 상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연장분할축(40)을 향해 이동하여 연장분할축(40)의 상부에 형성된 연장삽입홈(47)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다.
상부분할축(50)은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하부홈(52)이 형성되며, 하부홈(52)은 상부분할축(50)과 연장분할축(40)이 결합할 경우, 하부홈(52)과 연장가이드홈(47)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연통된다. 상부분할축(50)의 하부에는 연장삽입홈(47)에 삽입가능한 상부삽입돌기(54)가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부삽입돌기(54) 및 연장삽입홈(47)는 하부를 향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하부홈(52)의 상부에는 상부이동홀(도시안함)이 형성된다.
상부분할축(50)의 상부에는 상부브라켓(84)이 고정설치되며, 상부브라켓(84)의 상단에 로드핸들(8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로드핸들(8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85)을 가지며, 나사로드(71)는 관통홀(85) 및 상부이동홀에 삽입되어 로드핸들(80)의 회전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나사로드(71)의 하부에는 연장상부이동로드(72)가 연결되며, 연장상부이동로드(72)의 하단부에는 상부고정부재(62)가 연결된다. 상부고정부재(62)는 연장가이드홈(49)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로드핸들(80)의 회전에 의해 나사로드(71)가 상승할 경우 상부고정부재(62)는 연장가이드홈(49) 및 하부홈(5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부분할축과 연장분할축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홈(52)과 연장가이드홈(49) 상에는 상부탄성부재(57) 및 상부고정부재(62)가 배치되며, 상부탄성부재(57)는 연장상부이동로드(72)에 연결된 상부고정부재(62)가 상승함에 따라 수축하여 상부고정부재(62)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부고정부재(62)의 하부에는 연장하부이동로드(73)가 연결되며, 연장하부이동로드(72)는 하부에는 하부고정부재(61)가 고정설치된다. 상부고정부재(62)와 마찬가지로 하부고정부재(61)는 상부가이드홈(39)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연장하부이동로드(73)가 상승할 경우 하부고정부재(61)는 상부가이드홈(39) 및 하부연장홈(4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하부분할축(30)과 연장분할축(4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연장홈(42)과 상부가이드홈(39) 상에는 하부탄성부재(56)와 하부고정부재(61)가 배치되며, 연장하부이동로드(73)가 상승함에 따라 연장하부이동로드(73)에 연결된 하부고정부재(61)가 상승함에 따라 수축하여 하부고정부재(61)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하부고정부재(61)의 하부에는 하부이동로드(74)가 연결되며, 하부이동로드(74)는 상부가이드홈(39)의 바닥면 또는 상부가이드홈(39)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이동로드(도시안함)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장상부이동로드(72), 연장하부이동로드(73) 및 하부이동로드(74)는 플렉서블한 고무재질일 수 있으며, 나사로드(71)가 로드핸들(80)에 의해 회전하여 상승할 경우, 함께 상승하여 하부분할축(30)과 연장분할축(40), 그리고 상부분할축(50)을 일체형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함께 상승한다.
보호커버(90)는 로드핸들(80)과 밸브조절핸들(18) 사이에 설치되며, 하부분할축(30)과 연장 및 상부분할축(40, 50)이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회전축(20) 상에 부착된 이물질이 배관(3)을 향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호커버(90)는 회전축(20)의 오염 및 녹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로드핸들(80)과 밸브조절핸들(18) 사이에 절첩된 주름진 형상의 벨로스(bellows)일 수 있다. 보호커버(90)는 로드핸들(80)과 밸브조절핸들(18) 사이에 회전축을 감싸도록 탈착 가능한 원통 형상이며, 오염 시 교환 가능하다.
로드핸들(80)을 회전하여 나사로드(71)가 상승할 경우, 연장가이드홈(49) 및 상부가이드홈(49)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57, 56)를 향해 이동하며, 상부 및 하부탄성부재(57, 56)는 각각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에 의해 수축되어 탄성력을 가진다. 한편, 나사로드(71) 및 연장상부이동로드(72), 연장하부이동로드(73)가 각각 상승함에 따라 연장분할축(40) 및 상부분할축(50)은 각각 상부삽입홈(37) 및 연장삽입홈(47)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는 상부분할축(50)과 연장분할축(40) 및 연장분할축(40) 및 하부분할축(30) 사이의 경계면에 배치되어 서로 견고히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분할축(30)과 연장분할축(40), 그리고 연장분할축(40)과 상부분할축(50)이 결합된 상태('작동위치')에서 유체조절핸들(18)을 회전하여 차단판의 위치를 제어가능하며, 차단판의 위치 제어가 완료된 이후에는 로드핸들(80)을 반대로 회전하여 나사로드(71)를 하강시킴으로써 나사로드(71)와 연결된 연장상부이동로드(72) 및 연장하부이동로드(73)에 각각 고정설치된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 또한 함께 하강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탄성부재(57, 56)는 각각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를 향해 팽창하며, 상부분할축(50)과 연장분할축(40), 그리고 연장분할축(40)과 하부분할축(30)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다.
즉, 하부분할축(30) 상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연장분할축(40) 및 상부분할축(50)은 로드핸들(80)을 회전하여 나사로드(71) 및 연장상부이동로드(72), 연장하부이동로드(73)를 함께 상승시켜 일체형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분할축들(30, 40, 50)이 회전축(2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유량조절핸들(18)를 회전하여 배관(3)의 유량을 제어 가능하며, 배관(3)의 유량의 조절을 마친 후에는 로드핸들(8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로드(71) 및 연장상부이동로드(72), 연장하부이동로드(73)를 함께 하강시켜 각각 분리됨으로써 상부분할축(50)과 연장분할축(40)은 자중에 의해 굴절될 수 있다. 이어지는 도면과 함께 유체조절밸브(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는 도 1에 도시한 유체조절밸브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회전축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작동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나사로드를 하강하여 회전축을 각각의 분할축으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각각의 분할축이 서로 이격되는 대기위치에서 굴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로드(71)는 로드핸들(80)의 회전함으로써 상부분할축(50)에 형성된 상부이동홀을 따라 상승하며, 나사로드(71)의 하부에 연결된 연장상부이동로드(72)와 연장하부이동로드(73)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는 연장가이드홈(49) 및 상부가이드홈(39)을 따라 함께 상승한다. 따라서, 상부분할축과(50) 연장분할축(40), 그리고 연장분할축(40)과 하부분할축(30)은 각각 연장삽입홈(47) 및 상부삽입홈(37)에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가 상승함에 따라 상부 및 하부탄성부재(57, 56)는 수축되며,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는 상부분할축(50)과 연장분할축(40), 그리고 연장분할축(40)과 하부분할축(30) 사이의 경계면 상에 배치되어 각각 견고히 결합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이처럼 하부분할축(30), 연장분할축(40) 그리고 상부분할축(50)이 서로 결합된 상태('작동위치')에서는 밸브조절핸들(18)을 회전시켜 배관(3) 상의 차단판의 위치를 제어하여 유체의 유동량을 설정할 수 있다. 유체량의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핸들(8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로드(71)를 하강한다. 나사로드(71)가 하강함에 따라 나사로드(71)의 하부에 연결된 연장상부이동로드(72) 및 연장하부이동로드(73)는 하강하며, 연장상부이동로드(72) 및 연장하부이동로드(73) 상에 고정설치된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 또한 연장가이드홈(49) 및 상부가이드홈(39)을 따라 함께 하강한다. 따라서, 하부삽입돌기(44)는 상부삽입홈(37)으로부터 이탈되며, 상부삽입돌기(54) 또한 연장삽입홈(47)으로부터 이탈되어 상부분할축(50), 연장분할축(40), 그리고 하부분할축(30)은 서로 이격되어 분리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62, 61)가 연장가이드홈(49) 및 상부가이드홈(39)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나사로드(71)를 하강시키면 상부분할축(50) 및 연장분할축(40)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굴절된다. 다시 말해, 하부분할축(30)과 연장분할축(40) 그리고, 연장분할축(40)과 상부분할축(50)는 각각 연장하부이동로드(73)와 연장상부이동로드(72)에 의해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이격되어 하부로 굴절된다.
즉, 본 발명은 밸브조절핸들(30)을 회전하여 회전축(20) 및 하나 이상의 분할축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하여 배관(3)을 폐쇄 가능하며, 배관(3)의 유량 제어가 완료되 이후에는 상부분할축(50) 및 연장분할축(40)을 하부분할축(30)으로부터 굴절시킴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가능한 유체조절밸브(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돌출된 회전축(20)에 의해 주변 설비 및 작업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로드핸들(80)과 밸브조절핸들(18) 사이에 보호커버(90)를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격리시켜 이물질이 배관(3)을 향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회전축(20)의 오염 및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3 : 배관 11 : 바디
14 : 하부브레킷 18 : 밸브조절핸들
20 : 회전축 30 : 밸브조절핸들
35 : 상부홈 37 : 상부삽입홈
39 : 상부가이드홈 40 : 연장분할축
42 : 상부연장홈 44 : 하부삽입돌기
50 : 상부분할축 52 : 하부홈
54 : 상부삽입돌기 56 : 하부탄성부재
57 : 상부탄성부재 61 : 하부고정부재
62 : 상부고정부재 71 : 나사로드
72 : 연장상부이동로드 73 : 연장하부이동로드
74 : 하부이동로드 80 : 로드핸들
84 : 상부브레킷 85 : 관통홀
90 : 보호커버 100 : 유체조절밸브

Claims (8)

  1. 배관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판을 통해 상기 배관 내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체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판과 함께 이동가능하며, 상기 배관의 외부로 연장되어 서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축을 구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이동시키는 밸브조절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축은,
    상기 차단판에 연결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된 상부홈 및 상기 상부홈과 연통되는 하부이동홀을 가지는 하부분할축; 및
    상기 하부분할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하부홈 및 상기 하부홈과 연통되는 상부이동홀을 가지는 상부분할축을 구비하되,
    상기 유체조절밸브는,
    상기 상부분할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분할축 상에서 회전가능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을 가지는 로드핸들;
    상기 관통홀에 체결가능한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상부이동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로드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이동홀을 따라 승강가능한 나사로드; 및
    상기 하부홈의 바닥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나사로드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나사로드와 함께 승강가능한 이동로드를 포함하는, 유체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조절밸브는,
    상기 이동로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홈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대기위치 및 상기 하부홈의 상단에 위치하는 작동위치로 전환가능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체조절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홈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체조절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은 상부에 위치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가이드홈을 가지며,
    상기 상부분할축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가능한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유체조절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및 상기 삽입돌기는 하부를 향해 오목한 반구 형상인, 유체조절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는 신축가능한 재질인, 유체조절밸브.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분할축 및 상기 하부분할축은 상기 로드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보 체결되는 체결위치 및 상호 분리되어 절곡가능한 해제위치로 전환가능하며,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작동위치로 전환가능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대기위치로 전환가능한, 유체조절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조절밸브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배치된 원통 형상의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유체조절밸브.
KR1020130051849A 2013-05-08 2013-05-08 유체조절밸브 KR101431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849A KR101431034B1 (ko) 2013-05-08 2013-05-08 유체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849A KR101431034B1 (ko) 2013-05-08 2013-05-08 유체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034B1 true KR101431034B1 (ko) 2014-08-18

Family

ID=5175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849A KR101431034B1 (ko) 2013-05-08 2013-05-08 유체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0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1714U (ko) * 1974-02-21 1975-09-11
JPS6113079U (ja) * 1984-06-29 1986-01-25 北海道内田鍛工株式会社 止水栓の開閉用工具
JPS61148981U (ko) * 1985-03-07 1986-09-13
JPS6411487U (ko) * 1987-07-10 1989-01-20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1714U (ko) * 1974-02-21 1975-09-11
JPS6113079U (ja) * 1984-06-29 1986-01-25 北海道内田鍛工株式会社 止水栓の開閉用工具
JPS61148981U (ko) * 1985-03-07 1986-09-13
JPS6411487U (ko) * 1987-07-10 198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994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KR101187043B1 (ko) 급수용 감압밸브
EP2564093B1 (en) Ball valve seal assembly and ball valve comprising same
US8985137B2 (en) Mounting assemblies for use with fluid control devices
BR112013030030B1 (pt) reguladores de pressão de fluido de pressão balanceada
CN105090528B (zh) 用于接近和对准密封盘的方法及装置
CN104412018A (zh) 组装式高压流量控制阀
US10281052B2 (en) Valve stem and valve core assembly and valve comprising the assembly
KR101431034B1 (ko) 유체조절밸브
KR101770787B1 (ko) 양방향 스프링 개폐밸브
RU2619435C1 (ru) Клапан регулирующий прямоточный
JP2021039722A (ja) 減圧弁およびその並列配管構造
WO2013112731A1 (en) Bellows valve and double valve body incorporating the same
CN107061764B (zh) 瞬间关断阀
KR20170000855U (ko) 압력 조절부재가 구비된 과압 방지 장치
KR20110115396A (ko) 유량 조절용 볼 밸브
US10190697B2 (en) Stuffing box lug
CA3056069A1 (en) Valve body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stem guides
US9500284B2 (en) Gate valve
RU2520729C2 (ru) Клапан регулирующий осесимметричный с верхним фланцевым разъемом
CN109237093B (zh) 一种水管阀门
CN105822823A (zh) 一种流量调节阀门手轮及具有该手轮的温控阀和分水器
EP2157342A1 (en)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utlets of a fluid distributor valve
KR101378209B1 (ko) 수동핸들기어장치가 장착된 회전식 양방향 공기구동형 제어밸브
JP6021194B2 (ja) 2次側戻り水対策用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