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860B1 - 순환 유동층 보일러 - Google Patents

순환 유동층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860B1
KR101430860B1 KR1020130003790A KR20130003790A KR101430860B1 KR 101430860 B1 KR101430860 B1 KR 101430860B1 KR 1020130003790 A KR1020130003790 A KR 1020130003790A KR 20130003790 A KR20130003790 A KR 20130003790A KR 101430860 B1 KR101430860 B1 KR 10143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particles
heat exchange
separator
gas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769A (ko
Inventor
최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8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02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 F23C10/04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0Inlets for fluidisation air, e.g. grids; Bott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8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30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bed or the amount of material in the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206/00Fluidised bed combustion
    • F23C2206/10Circulating fluidised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Abstract

열교환부의 열 교환 효율을 신속히 그리고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 교환 효율을 소정 범위 내로 항상 유지할 수 있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유동화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로, 상기 유동화된 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배가스 및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연소로로부터 받아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 및 상기 분리기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연소로로 복귀시키는 리턴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리턴 시스템은 상기 분리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교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상기 분리기로부터 상기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순환 유동층 보일러{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본 발명은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열교환부의 열 교환 효율을 신속히 그리고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 교환 효율을 소정 범위 내로 항상 유지할 수 있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유동층 연소 방식은 화석 연료, 바이오매스 연료 등과 같은 고형 연료를 모래 및/또는 회재(ash)와 같은 층(bed) 물질과 함께 연소로 내에서 유동시키면서 연소시키는 방식이다.
연소로 내로 유동화 가스가 분사됨으로써 상기 고형 연료와 층 물질이 유동화되면서 연소로 전역에서 균일하고 빠르게 혼합된다. 이렇게 유동화된 고형 연료 및 층 물질이 연소되면서 고온의 연소가스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연소가스는 가열된 공기와 함께 상기 연소로로부터 배출된다. 연소로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열된 공기 및 고온의 연소가스의 혼합물[이하, '배가스(flue gas)'로 칭함]은 증기터빈을 구동시키기 위한 증기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전형적으로, 유동층 보일러에서 열 교환은 연소로 및 고온의 배가스가 통과하는 대류 섹션(convection section)에서 각각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로의 벽들이 핀들(fins)에 의해 서로 결합된 튜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들을 통해 흐르는 액체가 상기 연소로 내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한다.
유동층 연소 방식은, 연소 반응이 빠르고, 일반 화력 연소 방식에 비해 조업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이 적다는 장점을 갖는다.
순환 유동층 연소 방식은 배가스와 함께 연소로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입자들을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연소로로 복귀시키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연소로, 상기 연소로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는 분리기, 및 상기 분리기에서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고체 입자들의 순환을 위한 리턴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리턴 덕트는 상기 연소로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를 통해 상기 연소로와 유체 연통한다. 상기 분리기와 상기 리턴 덕트는 입자 순환 시스템을 구성한다.
미국 특허 제4,716,856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는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외부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입자 순환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리턴 덕트와 연소로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열교환부 내에 상기 리턴 덕트로부터 제공되는 고체 입자들의 유동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열교환부 내에 배치된 관들을 통해 흐르는 액체가 상기 유동화된 고체 입자들의 열을 흡수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외부 열교환부에서 이루어지는 열 교환의 정도는, 연소로로부터 배출된 후 상기 입자 분리기 및 리턴 덕트를 거쳐 상기 외부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에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즉, '낮은 부하' 조건의 경우), 상기 외부 열교환부를 통해 회수되는 열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원하는 열 교환 효율을 얻을 수 없다.
반대로, 상기 외부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이 상기 외부 열교환부의 열 교환 능력을 초과할 정도로 너무 많은 경우(즉, '높은 부하' 조건의 경우)에는, 열 교환에 실제로 기여하지 않는 고체 입자들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열교환부의 열 교환 효율을 신속히 그리고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 교환 효율을 소정 범위 내로 항상 유지할 수 있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된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그러한 기술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이점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특정된 구조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유동화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로; 상기 유동화된 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배가스 및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연소로로부터 받아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 및 상기 분리기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연소로로 복귀시키는 리턴 시스템을 포함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리턴 시스템은, 상기 분리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교환부;상기 열교환부 내로 유동화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 공급부; 상기 열교환부에서 냉각된 상기 고체 입자들이 상기 연소로로 복귀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귀 파이프; 및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상기 분리기로부터 상기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교환부에 흐르는 열교환 매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 및 상기 온도계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높아져서 상기 열교환부의 열교환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열교환부에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유량이 감소되고, 상기 연소로로 복귀하는 입자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일반적 서술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열교환부의 열 교환 효율을 신속히 그리고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 교환 효율을 소정 범위 내로 항상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다양한 응용들에 활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연소로(100) 및 입자 순환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상기 연소로(100)는 전방 벽(110a), 후방 벽(110b),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측면 벽들을 포함한다. 상기 연소로(100)는 그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지붕(110c) 및 바닥(110d)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연소로(100)는 상기 바닥(110d) 위에 상기 바닥(110a)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플레이트(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20)에는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노즐들(130)이 상기 플레이트(120) 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20)와 상기 바닥(110a) 사이의 공간은 가스실(140)을 구성하며, 외부의 가스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가스실(140)로 유동화 가스가 공급된다.
연료 공급부(150)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 내에 화석 연료, 바이오매스 연료 등과 같은 고형 연료가 공급된다. 고형 연료 외에도 석회석 등과 같은 특정 흡착제가 상기 연소로(10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흡착제는 상기 고형 연료와 함께 상기 연료 공급부(150)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 내로 주입되거나 또는 다른 독립적 통로를 통해 상기 고형 연료와는 별도로 상기 연소로(10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연소로(100) 내로 주입된 고형 연료 및 흡착제는 상기 연소로(100) 하부의 노즐들(130)들로부터 위로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유동화된다. 버너(미도시)에 의해 상기 고형 연료의 연소가 시작되고, 상기 유동화 가스는 상기 고형 연료의 연소를 더욱 촉진시킨다.
상기 고형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 가스와 상기 연소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혼합물(이하, '배가스'로 칭함)은 대류 현상에 의해 상기 연소로(100) 내에서 위로 상승하면서 상기 고형 연료와 흡착제를 포함하는 고체 입자들의 일부를 포획하고, 이들과 함께 상기 연소로(100) 상부, 예를 들어 후방 벽(110b)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연소로(100)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연소로(100)의 벽들(110a, 110b)은 핀들(fins)에 의해 서로 결합된 튜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들을 통해 흐르는 액체와 상기 연소로(100) 내의 배가스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소로(100) 밖으로 배출된 배가스 및 고체 입자들 중 상기 고체 입자들은 상기 입자 순환 시스템(200)을 통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자 순환 시스템(200)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자 순환 시스템(200)은 상기 연소로(100) 밖으로 배출되는 배가스 및 고체 입자들을 받아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210), 및 상기 분리기(210)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시키는 리턴 시스템(230)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기(210)는 덕트(220)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덕트(220)는 상기 연소로(100)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분리기(210)의 유입구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분리기(210)는 그 하부에 구배부(tapered portion)(210a)을 갖는다.
상기 연소로(100)로부터 덕트(220)를 통해 상기 분리기(210) 내로 유입된 배가스 및 고체 입자들은 상기 분리기(210)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분리된 상기 배가스는 상기 분리기(210)의 바로 위에 위치한 덕트(300)를 통해 열 회수부 및/또는 가스 터빈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리기(210)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고체 입자들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면서 상기 구배부(210a)를 통과한 후 상기 리턴 시스템(230)으로 유입된다.
상기 리턴 시스템(230)은, 리턴 덕트(231),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과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232),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해 상기 분리기(2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교환부(234), 상기 열교환부(234) 내로 유동화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 공급부(235), 및 상기 열교환부(234)에서 열을 빼앗긴(즉, 냉각된) 상기 고체 입자들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귀 파이프(23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턴 시스템(230)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기(210)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기(210)와 상기 열교환부(234) 사이에 배치된 리턴 덕트(231)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연소로(100)에 연결된 오버플로우 파이프(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233)는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과하는 고체 입자들의 일부를 상기 연소로(100)로 직접 복귀시킨다.
상기 밸브(232)를 조절하여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과하는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233)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어질 것이다. 반대로, 상기 밸브(232)를 조절하여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과하는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233)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은 상대적으로 많아질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234)는,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해 상기 분리기(210)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입자들이 유입되는 챔버(234a), 및 상기 챔버(234a) 내에 위치하는 튜브(234b)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234b)를 따라 열교환 매체(예를 들어, 물)가 흐르면서, 상기 챔버(234a) 내로 유입된 고체 입자들과 상기 열교환 매체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리턴 시스템(230)의 상기 제1 가스 공급부(235)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가스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유동화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실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실의 상부에는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위치하고,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노즐들이 상기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스실로 공급된 유동화 가스는 상기 노즐들을 통해 상기 챔버(234a) 내로 위로 분출되면서 상기 챔버(234a) 내로 유입된 고체 입자들을 유동화시키고, 그 결과, 상기 고체 입자들과 상기 열교환 매체 사이의 열 교환이 촉진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234)에서 이루어지는 열 교환의 정도는, 상기 연소로(100)로부터 배출된 후 상기 분리기(210) 및 리턴 덕트(231)를 거쳐 상기 챔버(234a)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챔버(234a)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즉, '낮은 부하' 조건의 경우), 낮은 열 교환 효율로 인해 단위 시간당 충분한 양의 열을 상기 열교환부(234)를 통해 회수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자 순환 시스템(200)은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해 상기 분리기(210)로부터 상기 열교환부(234)로 유입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2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24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232b)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열교환 매체(예를 들어, 증기)의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온도계(241), 및 상기 온도계(24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232)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42)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계(24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242)는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과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밸브(232)를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233)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어질 것이다.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해 상기 챔버(234a) 내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열교환부(234)의 열 교환 효율이 증가한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240)는 상기 열교환부(234)를 통해 원하는 만큼의 열이 회수되지 않을 경우 상기 챔버(234a)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을 늘림으로써 상기 열교환부(234)의 열 교환 효율을 증가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234)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이 상기 열교환부(232)의 열 교환 능력을 초과할 정도로 너무 많은 경우(즉, '높은 부하' 조건의 경우)에는, 열 교환에 실제로 기여하지 않는 고체 입자들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는, 어떤 응용에 따라서는 열교환부(234)에 의해 상기 고체 입자들로부터 회수되는 열의 양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말아야 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계(24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2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242)는 상기 리턴 덕트(231)를 통과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이 적어지도록 상기 밸브(23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233)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은 상대적으로 많아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열교환부의 열 교환 효율이 신속히 그리고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상기 열 교환 효율이 소정 범위 내로 항상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되어야 할 열 교환 효율의 범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응용들에 본 발명의 순환 유동층 보일러가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자 순환 시스템(400)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자 순환 시스템(400)은 상기 연소로(100) 밖으로 배출되는 배가스 및 고체 입자들을 받아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410), 및 상기 분리기(410)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시키는 리턴 시스템(430)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기(410)는 덕트(420)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덕트(420)는 상기 연소로(100)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분리기(410)의 유입구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분리기(410)는 그 하부에 구배부(410a)를 갖는다.
상기 연소로(100)로부터 덕트(420)를 통해 상기 분리기(410) 내로 유입된 배가스 및 고체 입자들은 상기 분리기(410)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분리된 상기 배가스는 상기 분리기(410)의 바로 위에 위치한 덕트(300)를 통해 열 회수부 및/또는 가스 터빈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리기(410)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고체 입자들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면서 상기 구배부(410a)를 통과한 후 상기 리턴 시스템(430)으로 유입된다.
상기 리턴 시스템(430)은, 상기 분리기(410)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리턴 덕트(431), 상기 리턴 덕트(431)를 통해 상기 분리기(4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교환부(435), 상기 열교환부(435) 내로 유동화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 공급부(436), 및 상기 열교환부(435)에서 냉각된 상기 고체 입자들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귀 파이프(43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리턴 시스템(430)은, 상기 리턴 덕트(431) 및 열교환부(435) 사이의 루프 씰(loop seal)(432), 및 상기 루프 씰(432) 내로 가스를 분출하는 제2 가스 공급부(4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루프 씰(432)은 상기 리턴 덕트(431)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열교환부(435)로 전달하며, 고체 입자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 가스 공급부(433)로부터 상기 루프 씰(432) 내로 가스가 분출됨으로써 상기 열교환부(435)로의 고체 입자들 흐름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 시스템(43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턴 덕트(431)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연소로(100)에 연결된 오버플로우 파이프(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434)는 상기 리턴 덕트(431)를 통과하는 고체 입자들의 일부를 상기 연소로(100)로 직접 복귀시킨다.
상기 제2 가스 공급부(433)로부터 상기 루프 씰(432) 내로 분출되는 가스의 속도 또는 유량이 증가하면, 상기 열교환부(435)로 제공되는 고체 입자들의 유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434)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은 감소할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제2 가스 공급부(433)로부터 상기 루프 씰(432) 내로 분출되는 가스의 속도 또는 유량이 감소하면, 상기 열교환부(435)로 제공되는 고체 입자들의 유량이 감소함과 동시에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434)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은 증가할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435)는, 상기 리턴 덕트(431) 및 루프 씰(432)를 통해 상기 분리기(410)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입자들이 유입되는 챔버(435a), 및 상기 챔버(435a) 내에 위치하는 튜브(435b)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435b)를 따라 열교환 매체(예를 들어, 물)가 흐르면서, 상기 챔버(435a) 내로 유입된 고체 입자들과 상기 열교환 매체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리턴 시스템(430)의 상기 제1 가스 공급부(436)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가스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유동화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실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실의 상부에는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위치하고,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노즐들이 상기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스실로 공급된 유동화 가스는 상기 노즐들을 통해 상기 챔버(435a) 내로 위로 분출되면서 상기 챔버(435a) 내로 유입된 고체 입자들을 유동화시키고, 그 결과, 상기 고체 입자들과 상기 열교환 매체 사이의 열 교환이 촉진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435)에서 이루어지는 열 교환의 정도는, 상기 연소로(100)로부터 배출된 후 상기 분리기(410), 리턴 덕트(431), 및 루프 씰(4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챔버(435a)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챔버(435a)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즉, '낮은 부하' 조건의 경우), 낮은 열 교환 효율로 인해 단위 시간당 충분한 양의 열이 상기 열교환부(435)를 통해 회수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자 순환 시스템(400)은 상기 리턴 덕트(431) 및 루프 씰(432)을 통해 상기 분리기(410)로부터 상기 열교환부(435)로 유입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4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44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435b)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열교환 매체(예를 들어, 증기)의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온도계(441), 상기 제2 가스 공급부(433)를 통해 상기 루프 씰(432)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443), 및 상기 온도계(44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443)를 제어하는 프로세서(442)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계(44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442)는 상기 제2 가스 공급부(433)를 통해 상기 루프 씰(432)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밸브(442)를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434)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어질 것이다. 상기 챔버(435a) 내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열교환부(435)의 열 교환 효율이 증가한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440)는 상기 열교환부(435)를 통해 원하는 만큼의 열이 회수되지 않을 경우 상기 챔버(435a)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을 늘림으로써 상기 열교환부(435)의 열 교환 효율을 증가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435)로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이 상기 열교환부(435)의 열 교환 능력을 초과할 정도로 너무 많은 경우(즉, '높은 부하' 조건의 경우)에는, 열 교환에 실제로 기여하지 않는 고체 입자들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는, 어떤 응용에 따라서는 열교환부(435)에 의해 상기 고체 입자들로부터 회수되는 열의 양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말아야 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계(44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2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442)는 상기 루프 씰(432)로부터 상기 챔버(435a)로 전달되는 고체 입자들의 유량이 적어지도록 상기 밸브(44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434)를 통해 상기 연소로(100)로 복귀하는 고체 입자들의 양은 상대적으로 많아질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열교환부의 열 교환 효율을 신속히 그리고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 교환 효율을 소정 범위 내로 항상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들에 활용될 수 있다.
100: 연소로 200, 400: 입자 순환 시스템
210, 410: 분리기 220, 420: 덕트
230, 430: 리턴 시스템 240, 440: 제어부
300: 덕트

Claims (5)

  1. 유동화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로;
    상기 유동화된 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배가스 및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연소로로부터 받아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 및
    상기 분리기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연소로로 복귀시키는 리턴 시스템을 포함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리턴 시스템은,
    상기 분리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 내로 유동화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 공급부;
    상기 열교환부에서 냉각된 상기 고체 입자들이 상기 연소로로 복귀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귀 파이프; 및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상기 분리기로부터 상기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교환부에 흐르는 열교환 매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 및
    상기 온도계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높아져서 상기 열교환부의 열교환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열교환부에 유입되는 고체 입자들의 유량이 감소되고, 상기 연소로로 복귀하는 입자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시스템은 상기 분리기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기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된 리턴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리턴 덕트를 통과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을 조절하며,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분리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이 유입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 매체가 흐르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시스템은 상기 리턴 덕트를 통과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일부를 상기 연소로로 직접 복귀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계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열교환 매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턴 덕트를 통과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유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시스템은,
    상기 분리기에 의해 상기 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입자들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리턴 덕트;
    상기 리턴 덕트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을 상기 열교환부로 전달하는 루프 씰(loop seal); 및
    상기 루프 씰 내에서 상기 고체 입자들의 상기 열교환부로의 흐름을 촉진하는 가스를 분출하는 제2 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시스템은 상기 리턴 덕트를 통과하는 상기 고체 입자들의 일부를 상기 연소로로 직접 복귀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KR1020130003790A 2013-01-14 2013-01-14 순환 유동층 보일러 KR10143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790A KR101430860B1 (ko) 2013-01-14 2013-01-14 순환 유동층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790A KR101430860B1 (ko) 2013-01-14 2013-01-14 순환 유동층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769A KR20140093769A (ko) 2014-07-29
KR101430860B1 true KR101430860B1 (ko) 2014-08-18

Family

ID=5173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790A KR101430860B1 (ko) 2013-01-14 2013-01-14 순환 유동층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537B1 (ko) * 2015-10-30 2018-0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액체금속을 이용한 유동층 보일러 및 이의 운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663B1 (ko) * 2015-03-09 2020-06-19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 주식회사 가동식 위어가 구비된 열교환기를 갖는 순환유동층보일러
KR101895382B1 (ko) * 2017-01-02 2018-09-05 현대건설 주식회사 순환유동층 보일러 시스템
KR101957121B1 (ko) * 2017-10-16 2019-03-14 한국전력공사 순환유동층 보일러
CN111706856B (zh) * 2020-06-15 2021-05-07 上海交通大学 适用于高温的偏置式回料控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293A (ko) * 1996-12-23 2000-10-25 아더 이. 포니어, 2세 대형 순환 유동층 증기 발생기용 제어 시스템
JP2001041414A (ja) * 1999-07-26 2001-02-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循環流動層燃焼装置の炉内温度制御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293A (ko) * 1996-12-23 2000-10-25 아더 이. 포니어, 2세 대형 순환 유동층 증기 발생기용 제어 시스템
JP2001041414A (ja) * 1999-07-26 2001-02-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循環流動層燃焼装置の炉内温度制御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537B1 (ko) * 2015-10-30 2018-0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액체금속을 이용한 유동층 보일러 및 이의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769A (ko) 201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860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CN103562635B (zh) 具有用于热固体流的两个外部热交换器的循环式流化床锅炉
TWI417488B (zh) 鍋爐系統
JP5349606B2 (ja) 循環流動床ボイラ
JP6207279B2 (ja) 熱交換器一体型燃焼炉
US20160377351A1 (en) Heat exchange apparatus for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s
KR20120085443A (ko) 화목보일러
KR101898077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
CA2693346A1 (en) Integral waterwall external heat exchangers
KR101942247B1 (ko) 유동층연소로와 싸이클론 사이의 고체흐름을 조절하는 유속조절유닛을 갖는 순환유동층 보일러 및 그 작동방법
TW200938772A (en) Moving bed heat exchanger for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US20120061481A1 (en) Device for providing reverse heating and method of reverse heating
KR101287693B1 (ko) 하이브리드 보일러
WO2012101324A1 (en) Method to enhance operation of circulating mass reactor and reactor to carry out such method
KR101428359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KR20140093768A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KR20160095240A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용 열교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KR20140105061A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CN104566977B (zh) 一种双流化床导热油加热炉
JP5748784B2 (ja) 流動層反応器装置
JP7010676B2 (ja) 流動床炉
KR102166180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CN105180161B (zh) 一种带内置换热器的多布风板流化床锅炉
CN101311626A (zh) 整体式流化床灰冷却器
KR20140104681A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