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367B1 - 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 Google Patents

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367B1
KR101430367B1 KR1020130083391A KR20130083391A KR101430367B1 KR 101430367 B1 KR101430367 B1 KR 101430367B1 KR 1020130083391 A KR1020130083391 A KR 1020130083391A KR 20130083391 A KR20130083391 A KR 20130083391A KR 101430367 B1 KR101430367 B1 KR 10143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d
support
support b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준상
Original Assignee
조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상 filed Critical 조준상
Priority to KR102013008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3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A 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er box having a cargo insertion hole formed thereon; a cover fixated onto the cargo insertion hole to be openable; and a rotation stand for connecting one or both sides of the loader box, while placing the cover toward a direction selected among both sides, thus opening the cover toward one direction.

Description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과 덮개를 연결하는 회전거치대를 이용해 덮개를 양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거치시킴으로써, 덮개의 개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덮개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which can freely select an open position of a lid by rotationally mounting the lid in any one of two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trailer for carrying a cargo, which can keep the lid in an opened state, thereby ensuring ease of use.

일반적으로,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견인 차량의 후방에 연결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Generally, a cargo carrying cargo trailer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moving in a state connected to the rear of a towing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는,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화물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함과, 적재함의 전방에 설치되어 견인 차량에 연결되는 연결장치 및, 적재함의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 등으로 구성된다.The cargo carrying cargo trailer is composed of a loading box provided with a wheel at the bottom and a cargo loading space, a connecting devic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loading car and connected to the towing vehicle,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ading port of the loading car.

또한, 종래의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는 덮개를 적재함의 화물 투입구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잠금장치 등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comprises a separate locking device for coupling the lid to the loading port of the loading box.

이와 같은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는, 덮개를 완전히 분리시키거나 덮개를 일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개방시키고 있으며, 개방된 투입구를 통해 화물을 적재하거나 외부로 빼낼 수 있다.Such a cargo carrying cargo trailer is open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id is completely separated or the lid is pivoted in one direction, and the cargo can be loaded or unloaded through the open inlet.

그런데, 종래의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는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지 동작을 통해 적재함으로부터 덮개를 결합 및 분리시켜야 하므로 개폐 과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argo trail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is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because the cover must be engaged and disengaged from the loading box through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locking device.

그리고, 덮개를 일 방향으로 회동 개폐하는 방식은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이 정해져 있어(경첩 등이 고정적으로 설치됨), 화물이 투입되는 방향으로 적재함의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화물을 투입 방향으로 이동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 system in which the lid is pivotally opened and closed in one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is opened is determined (a hinge or the like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position of the luggage compartment is ch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uggage is loaded or the luggage is mov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re is a hassle.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함과 덮개를 연결하는 회전거치대를 이용해 덮개를 양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거치시킴으로써, 경첩 등과 같은 고정형 회전구조가 아니므로 덮개의 개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덮개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reely select a position where the lid is opened because the lid is rotatably mounted in any one of the two directions by using a rotation restraint connecting the lid and the lid so that the lid is not a fixed rotation structure such as a hinge,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덮개의 지지바와 적재함의 지지홀더 간의 착탈 구조를 이용하여 덮개의 개폐 상태를 가변 함으로써, 덮개의 개폐 상태를 쉽고 빠르게 가변할 수 있고, 개방된 덮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d for a lid, which can easily and quickly change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lid by changing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lid by using a detachable structure between the support of the lid and the support holder of the luggage compart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go trailer capable of carrying a cargo.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는, 상부에 화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적재함과, 상기 화물 투입구에 개폐가능하게 안착되는 덮개 및, 상기 적재함과 덮개의 일측 또는 양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덮개를 양 방향 중 선택한 방향으로 회전 거치시켜, 상기 덮개를 일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회전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comprises a cargo loading slot in which a cargo loading slot is formed, a cover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seated in the cargo loading slot, and one or both sides of the cargo loading / And a rotary table for rotating and mounting the cover in a selected direction in both directions to open the cover in one direction.

여기서, 상기 덮개의 양측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바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바가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홀더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or more supporting bars are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lid, and one or more supporting holders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so that the supporting bars can be inserted and removed correspondingly.

또한, 상기 지지홀더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파지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holder so that the support bar can be inserted therein, and a pair of gripping end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덮개의 개방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파지단은 상기 지지바를 탄성력에 의해 파지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방향을 향해 곡선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이다.The support bar has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id, and the pair of support ends are bent in a curved shape toward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bar can be held by elastic force Is a freight cargo trailer.

또한, 상기 회전거치대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하단이 양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상단에 양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덮개의 일측에 상단이 양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에 설치되며, 상기 제2링크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시키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ry cradl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nk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box so that a lower end thereof is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and a second link rotatably hinged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link in both directions, A second link rotatably hinged in both directions and an engaging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link and selectively engag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링크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링크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제1링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may include a stopper installed on the first link so as to selectively engag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first link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provided in pairs so as to be rotatable in dir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engaging member can selectively position the lower end of any one of the second links.

또한, 상기 회전거치대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 상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제1링크의 하단이 수평으로 축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링크의 상단에는 상기 덮개의 일측 하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제2링크의 상단이 수평으로 축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ry cradle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loading box by a coupling member and having a lower end of the first link horizon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thereof,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being horizontally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member.

본 발명은 적재함과 덮개를 연결하는 회전거치대를 이용해 덮개를 양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거치시킴으로써, 경첩 등에 의한 회전구조가 아니므로 덮개의 개방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화물이 투입되는 방향이 일 방향으로 제한적이지 않으며, 덮개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Since the lid is rotatably mounted in any one of the two directions by using a rotation stand for connecting the lid and the lid, the lid can be opened so that the lid can be opened. It is not limited in one direction, and the lid can be kept open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ensured.

또한, 덮개의 지지바와 적재함의 지지홀더 간의 착탈 구조를 이용하여 덮개의 개폐 상태를 가변함으로써, 덮개의 개폐 상태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고, 개방된 덮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덮개 회전용 경첩 없이도 덮개의 개폐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urther, by changing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lid by using the attaching / detaching structure between the support of the lid and the support holder of the luggage compartment,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lid can be easily changed, the opening of the li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lid can be freely selected without a hin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의 회전거치대를 이용해 덮개를 일 방향으로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의 회전거치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의 회전거치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의 회전거치대를 한 쌍으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의 회전거치대를 한 쌍으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의 지지바와 지지홀더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in one direction by using a rotation cradle of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rotation restraint of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etails of a rotation cradle of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rotation holders of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ir of rotary cradles of a cargo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bar and a support holder of the cargo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는 적재함(100)과, 덮개(200) 및, 회전거치대(300)를 포함한다.1 to 4, a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box 100, a cover 200, and a rotating mount 300.

먼저, 상기 적재함(100)은 차량(승용차 등)에 연결된 상태에서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First, the loading box 100 is used for carrying cargo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vehicle (passenger car, etc.).

여기서, 상기 적재함(100)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함 체 형상을 갖는다.Here, the loading box 100 has a hollow shape in which a space is formed therein so as to load cargo.

그리고, 상기 적재함(100)은 상부에 화물을 투입하기 위한 화물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100)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110)가 설치된다.A loading port for loading cargo is formed in the loading box 100, and a wheel 110 for moving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100.

또한, 상기 적재함(100)의 전방에는 차량(미 도시)의 후방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2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connecting member 120 for connecting to the rear of a vehicle (not show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loading box 100.

한편,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에는 화물을 내부로 투입시키기 위한 도어(미도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oor (not shown) for introducing the cargo into the interior of the loading box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덮개(200)는, 적재함(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후술 될 회전거치대(300)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개방된다.The lid 200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100 and opened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by the rotation rest 30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덮개(200)의 좌측과 우측 면에는 후술 될 지지홀더(220)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바(210)가 돌출 형성된다.One or a plurality of support bars 210 supported by the support holder 220 to be described later are protrud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d 200.

상기 지지바(21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support bar 210 may be formed into a beam shape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여기서, 상기 지지바(210)는 도 1 및 도 8에서처럼 중심 부위를 기준으로 양단이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support bar 210 may have a "C" shape in which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210 are bent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as shown in FIGS.

그리고, 상기 지지바(210)의 양단은 덮개(200)의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support bar 210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lid 2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는 후술 될 지지홀더(2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덮개(200)의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may protrude laterally of the lid 200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holder 22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는 덮개(200)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원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may have a circular beam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id 200.

여기서, 상기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는 후술 될 지지홀더(220)의 삽입홈(221)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He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 of the support holde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이와 같은 상기 지지바(210)는, 도 2에서처럼 덮개(200)의 양측에 각각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다.2, two support bars 21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200 as shown in FIG. 2. However, the number of the support bars 210 can be variously adjusted as needed.

아울러, 적재함(100)의 좌측과 우측에는 전술한 지지바(210)들이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홀더(220)가 설치된다.In addition, one or a plurality of support holders 220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ing box 100 so that the support bars 21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in a corresponding manner.

상기 지지홀더(220)는, 상기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 및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support holder 220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from below and can be manufactured using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material.

여기서, 상기 지지홀더(220)의 상단에는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가 상부에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삽입홈(22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An insertion groove 2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holder 220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upper portion.

상기 삽입홈(221)은, 전술한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가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적재함(100)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221 may have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100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may be inserted and removed correspondingly.

그리고, 상기 삽입홈(221)의 상면은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가 흔들림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21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so as to be rotated without shaking.

또한, 상기 지지홀더(220)의 상단에는 삽입홈(221)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파지단(2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holder 220, a pair of gripping ends 22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221.

상기 파지단(222)들은, 상기 삽입홈(221)에 삽입된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양측에서 파지한다.The gripping ends 222 grip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 from both sides.

이때, 상기 파지단(222)들은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양측에서 탄성력에 의해 가압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ipping ends 222 can suppor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by elastic force from both sides.

이를 위해, 상기 파지단(222)들은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넓은 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곡면을 이룰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gripping ends 222 may be curved in dir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cover a central area of the support bar 210 in a wide area.

그리고, 상기 파지단(222)들의 내면과 삽입홈(221)의 상면은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대응되는 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ends 22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21 may have a corresponding circular shape so as to cover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예를 들어,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삽입홈(221)에 삽입하는 경우, 파지단(222)들의 사이로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가 삽입된다.For example, whe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is inserted between the grip ends 222.

이때, 상기 파지단(222)들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양측에서 파지한다.At this time, the gripping ends 222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n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an elastic force, thereby gripp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from both sides.

이 상태에서는,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파지단(222)들이 파지하게 되므로, 지지바(210)가 상부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In this state, since the gripping ends 222 grip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the support bar 210 is not easily separated upward.

이와 같은 지지홀더(220)들은, 도 2에서처럼 전술한 지지바(210)들과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Such support holders 220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above-described support bars 210 as shown in FIG.

따라서, 적재함(100)의 상부에 덮개(20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지지바(210)들의 중심 부위가 지지홀더(220)들의 삽입홈(22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된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s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 of the support holder 220 while the lid 20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100. [

뿐만 아니라, 덮개(200)의 좌측 및 우측 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덮개(200)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230)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d 200 are provided with a handle 2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200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fter the user grasps with the hand.

상기 손잡이(23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handle 230 can be formed into a beam shape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여기서, 상기 손잡이(230)는 도 1에서처럼 지지바(210)와 동일하게 중심 부위를 기준으로 양단이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handle 230 may have a 'C' shape in which both ends of the handle 230 are bent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as in the support bar 210,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손잡이(230)의 절곡된 양단은 덮개(200)의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bent ends of the handle 230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lid 2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손잡이(230)의 중심 부위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덮개(200)의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portion of the handle 230 may protrude laterally of the lid 200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hand.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230)는, 도 2에서처럼 덮개(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지지바(210)들의 사이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The handle 230 may be installed between two support bars 2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id 20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손잡이(230)의 절곡된 양단은 덮개(20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folded both ends of the handle 2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lid 200.

이를 위해, 덮개(200)의 양 측면에는 손잡이(230)의 양단을 대응되게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한 쌍의 체결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pair of fastening holes 24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d 200 so as to mate both ends of the handle 230 with male and female.

이와 다르게, 상기 손잡이(230)의 양단에는 체결부재(미 도시)를 이용해 덮개(200)의 측면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결합판(미 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n engaging plate (not shown)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side surface of the lid 200 may be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230 using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회전거치대(300)는, 도 4와 도 5에서처럼 적재함(100)과 덮개(20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The rotary cradle 300 rotatably connects the front or rear of the lid 200 with the loading box 100 as shown in Figs. 4 and 5.

물론, 상기 회전거치대(300)는 적재함(100)과 덮개(20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함께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rotary cradle 30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lid 100 and the lid 200 together.

이와 같은 상기 회전거치대(300)는, 적재함(100)을 기준으로 덮개(200)를 좌우 방향 중 선택한 방향으로 회전 위치시킨다.The rotary cradle 300 rotates the cover 200 in a selected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ading box 100.

이를 위해, 상기 회전거치대(300)는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 및, 걸림부재(330)로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rotary mount 300 may include a first link 310, a second link 320, and a locking member 330.

상기 제1링크(310)는, 적재함(100)의 전방 또는 후방측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The first link 310 is rotatably hinged to the front or rear upper end of the loading box 100. [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310)는 덮개(200)가 개방되는 좌우 방향으로 선택적인 회동이 가능하다.In this state, the first link 310 is selectively rotat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which the lid 200 is opened.

여기서, 상기 제1링크(310)의 내부에는 후술 될 걸림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link 310 may have a space in which the latching member 330 may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제1링크(310)는 제1결합부재(340)에 의해 적재함(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link 3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loading box 100 by a first engaging member 340.

상기 제1결합부재(340)는, 별도의 체결부재(B)에 의해 적재함(1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member 34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upper side of the loading box 100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B. [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재(340)의 상단에는 제1링크(310)의 하단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축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first link 310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engagement member 34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제2링크(320)는, 제1링크(310)와 덮개(2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1링크(310)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The second link 320 connects the first link 310 and the cover 200 and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310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2링크(320)의 상단은 덮개(200)의 전방 또는 후방측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lid 2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이 상태에서, 상기 제2링크(320)는 덮개(200)가 개방되는 좌우 방향으로 선택적인 회동이 가능하다.In this state, the second link 320 can selectively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which the lid 200 is opened.

특히, 상기 제2링크(320)의 하단에는 후술 될 스토퍼(331)의 상단이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걸림홈(321)을 오목하게 형성시킨다.In particular,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320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321 so that the upper end of a stopper 3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latched.

그리고, 상기 제2링크(320)의 하단에는 스토퍼(331)의 상단을 하부로 누르면서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331)의 상단이 걸림홈(3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322)이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32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32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31 can be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321 by an elastic force while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31 downward. have.

상기 경사면(322)은, 상기 걸림홈(321)을 기준으로 제2링크(320)가 상부로 펼쳐지는 회동 방향에 형성시킬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322 may be formed in a pivoting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link 320 is upwardly extended with respect to the latching groove 321.

이와 같은 제2링크(320)는, 제2결합부재(350)에 의해 덮개(200)의 일측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link 3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200 by the second engaging member 350.

상기 제2결합부재(350)는, 덮개(200)의 일측 하단에 별도의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member 3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lid 200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B. [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재(350)의 하단에는 제2링크(320)의 상단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축 결합된다.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320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35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걸림부재(330)는, 제1링크(310)들의 공간부 내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제2링크(320)들 중 어느 하나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시킨다.The engaging member 330 selectively engages the lower end of any one of the second links 320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member 330 i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first links 310, respectively.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재(330)는 스토퍼(331) 및, 탄성부재(332)로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latching member 330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331 and an elastic member 332.

상기 스토퍼(331)는, 제1링크(310)의 공간부 내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The stopper 331 i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first link 31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여기서, 상기 스토퍼(331)의 양단은 제1링크(310)들의 양측에 슬라이드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Both ends of the stopper 331 are slid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links 310.

그리고, 전술한 제1링크(310)의 양측에는 스토퍼(331)의 양단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311)이 수평으로 관통형성된다.On both sides of the first link 310, a guide hole 311 is formed horizontally so that both ends of the stopper 331 can be slidably engaged.

상기 가이드홀(311)은, 스토퍼(331)가 승강할 수 있도록 제1링크(310)의 종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다.The guide hole 311 has a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nk 310 so that the stopper 331 can move up and down.

즉, 상기 스토퍼(331)는 승강 동작에 의해 제2링크(320)의 하단을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topper 331 can hang or ha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320 by the lifting operation.

예를 들면, 제2링크(320)의 하단이 스토퍼(331)의 상단에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제2링크(320)들의 경사면(322)이 스토퍼(331)의 상단을 하방으로 누른다.For example, wh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320 is pivo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31, the inclined surface 322 of the second links 320 pushes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31 downward.

그리고, 상기 스토퍼(331)는 경사면(322)의 누름 동작에 의해 하강한 후, 경사면(322)이 끝나는 지점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걸림홈(321)에 삽입된다.The stopper 331 is lowered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322 and the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321 while being raised by the elastic force at a position where the inclined surface 322 ends.

이때, 상기 스토퍼(331)의 상단은 제2링크(320)의 걸림홈(321)에 걸림 위치되므로, 제2링크(320)가 상부로 펼쳐진 상태로 덮개(200)를 개방된 상태로 지지한다.At this time, since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31 is latched in the latching groove 321 of the second link 320, the lid 200 is held in an opened state with the second link 320 spreading upward .

탄성부재(332)는, 제1링크(310)들의 공간부 내에 각각 설치되어 스토퍼(331)의 하단을 압축력에 의해 탄성 지지한다.The elastic members 332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s of the first links 310 and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ends of the stoppers 331 by a compressive force.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32)는 압축력을 제공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elastic member 332 may use a coil spring to provide a compressive force.

그리고, 전술한 제1링크(310)의 공간부 내에는 탄성부재(332)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재(333)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member 333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332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first link 310 described above.

즉, 상기 안착부재(333)에 걸림 지지된 탄성부재(322)의 압축력에 의해 스토퍼(331)가 상승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stopper 331 can be raised by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22 held by the seating member 333.

한편, 상기한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는 도 6과 도 7에서처럼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 쌍으로 설치할 수 있다.6 and 7, the first link 310 and the second link 320 may be pivot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그리고, 걸림부재(330)는 제2링크(320)들 중 어느 하나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atching member 330 can selectively position the lower end of any one of the second links 320.

여기서, 상기 제1링크(310)들은 덮개(200)가 개방되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링크(320)들은 제1링크(310)들과 연동하면서 덮개(200)와 함께 회동 위치된다.The first links 31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200 is opened and the second links 320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lid 200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links 310, do.

이때, 상기 제2링크(320)들 중 덮개(200)의 개방 부위에 위치된 제2링크(320)는 반대되는 제2링크(320)보다 더 큰 각으로 펼쳐진다.At this time, the second link 320 located at the opening portion of the cover 200 among the second links 320 is extended at a larger angle than the opposite second link 320.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2링크(320)들 중 덮개(200)의 개방 부위에 위치된 제2링크(320)의 걸림홈(321)에 스토퍼(331)의 상단이 걸림 위치되므로, 덮개(200)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거치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31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groove 321 of the second link 320 located at the opening of the lid 200 among the second links 320, ) Are mounted with one side being opened.

그리고, 덮개(200)의 개방 부위와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된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는 상대적으로 좁은 각으로 펼쳐진다.The first link 310 and the second link 320, which are located opposite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cover 200, are spread at a relatively narrow angle.

특히, 전술한 적재함(100)의 좌측과 우측에는 전술한 지지바(210)들이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홀더(220)가 설치된다.In particular, one or a plurality of support holders 220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ing box 100 so that the support bars 21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in a corresponding manner.

상기 지지홀더(220)는, 상기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support holder 220 is for suppor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from below, and can be manufactured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metal material.

여기서, 상기 지지홀더(220)의 상단에는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가 상부에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삽입홈(22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An insertion groove 2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holder 220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upper portion.

상기 삽입홈(221)은, 전술한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가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적재함(100)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221 may have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100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may be inserted and removed correspondingly.

그리고, 상기 삽입홈(221)의 상면은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가 흔들림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바(210)와 대응되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21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bar 210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ing bar 210 may be rotated without shaking.

또한, 상기 지지홀더(220)의 상단에는 삽입홈(221)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파지단(2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holder 220, a pair of gripping ends 22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221.

상기 한 쌍의 파지단(222)은, 상기 삽입홈(221)에 삽입된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양측에서 파지한다.The pair of gripping ends 222 grip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221 from both sides.

이때, 상기 한 쌍의 파지단(222)은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탄성력에 의해 가압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grip stages 222 can press-suppor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by an elastic force.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파지단(222)은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곡면을 이룰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pair of grip stages 222 may be curved in dir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cover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그리고, 상기 파지단(222)들의 내면과 삽입홈(221)의 상면은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와 대응되는 원을 이룰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ends 22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21 may have a circle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예를 들어,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삽입홈(221)에 삽입하는 경우, 파지단(222)들의 사이로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가 삽입된다.For example, whe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is inserted between the grip ends 222.

이때, 상기 파지단(222)들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진 후,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양측에서 파지한다.At this time, the gripping ends 222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n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an elastic force, thereby gripp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from both sides.

이 상태에서는, 지지바(210)의 중심 부위를 파지단(222)들이 파지하게 되므로, 지지바(210)가 상부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In this state, since the gripping ends 222 grip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210, the support bar 210 is not easily separated upward.

이와 같은 지지홀더(220)들은, 도 2에서처럼 전술한 지지바(210)들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Such support holders 220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s as the above-described support bars 210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적재함(100)의 상부를 덮개(200)가 차단한 상태에서는 지지바(210)들의 중심 부위가 지지홀더(220)들의 삽입홈(221) 내에 삽입된다.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lid 200 is cut off from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100, the central parts of the supporting bars 21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221 of the support holders 220.

그리고, 제1링크(310)들의 상단과 제2링크(320)들의 하단이 좌우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절첩된다.
The upper ends of the first links 310 and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links 320 are fol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의 개폐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argo trailer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예를 들어, 적재함(100)에 안착된 덮개(200)의 우측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하는 방향의 손잡이(230)를 잡고 상부로 들어올린다.For example, when the right side of the lid 200 seated in the loading box 100 is to be opened, the user holds the handle 230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lifts it up.

이때, 덮개(200)의 우측에 설치된 지지바(210)는 적재함(100)의 우측에 설치된 지지홀더(220)로부터 분리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bar 210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lid 20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holder 220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ading box 100.

그리고, 상기 덮개(200)의 좌측에 설치된 지지바(210)는 적재함(100)의 좌측에 설치된 지지홀더(220)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한다.The support bar 210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lid 200 rotate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holder 220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loading box 100.

이와 동시에, 절첩되어 있던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는 상부로 펼쳐지면서 덮개(200)와 동일 방향으로 회동된다.At the same time, the folded first link 310 and the second link 320 are folded upward and pivo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id 200.

이때,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는 덮개(200)의 개방 각만큼 펼쳐지며, 상기 제2링크(32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홈(321)이 스토퍼(331)의 상단에 걸림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link 310 and the second link 320 are extended by the opening angle of the lid 200, and the engagement groove 32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320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31 Lt; / RTI >

또한, 상기 제2링크(32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홈(221)은 스토퍼(331)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위치된다.The insertion groove 22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32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31.

이 상태에서는, 덮개(200)가 일 방향을 개방한 상태로 경사지게 거치되므로, 사용자는 덮개(200)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화물을 집어넣거나 빼낼 수 있다.In this state, since the lid 200 is inclinedly opened in one direction, the user can load or unload the luggage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lid 200. [

이후, 적재함(100)의 상부에 덮개(200)를 덮고자할 경우, 사용자는 스토퍼(331)를 하강시켜 걸림홈(321)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를 원래의 상태로 절첩시킬 수 있다.The user then removes the stopper 331 from the latching groove 321 and then moves the first link 310 and the second link 320 ) Can be folded to the original stat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적재함(100)과 덮개(200)를 연결하는 회전거치대(300)를 이용해 덮개(200)를 양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거치시킴으로써, 덮개(200)의 개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200 is rotatably mounted in either one of the directions by using the rotary mount 300 connecting the lid 100 and the lid 200,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ensured.

또한, 덮개(200)의 지지바(210)와 적재함(100)의 지지홀더(220) 간의 착탈 구조를 이용하여 덮개(200)의 개폐 상태를 가변함으로써, 덮개(200)의 개폐 상태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고, 개방된 덮개(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lid 200 can be easily changed by using the attachment / detachment structure between the support bar 210 of the lid 200 and the support holder 220 of the loading box 100, And the flow of the open lid 200 can be prevent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cargo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적재함 110: 바퀴
120: 연결부재 200: 덮개
210: 지지바 220: 지지홀더
221: 삽입홈 222: 파지단
230: 손잡이 240: 체결홀
300: 회전거치대 310: 제1링크
311: 가이드홀 320: 제2링크
321: 걸림홈 322: 경사면
330: 걸림부재 331: 스토퍼
332: 탄성부재 333: 안착부재
340: 제1결합부재 350: 제2결합부재
B: 체결부재
100: Loader 110: Wheel
120: connecting member 200: cover
210: support bar 220: support holder
221: insertion groove 222:
230: handle 240: fastening hole
300: rotating mount 310: first link
311: guide hole 320: second link
321: latching groove 322: inclined surface
330: engaging member 331: stopper
332: elastic member 333:
340: first engagement member 350: second engagement member
B: fastening member

Claims (8)

상부에 화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적재함;
상기 화물 투입구에 개폐가능하게 안착되는 덮개; 및
상기 적재함과 덮개의 일측 또는 양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덮개를 양 방향 중 선택한 방향으로 회전 거치시켜, 상기 덮개를 일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회전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
A loading box on which a cargo loading port is formed;
A cover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seated in the loading port; And
And a rotation cradle for pivotally connecting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d to the lid and rotating the lid in a selected direction of both directions to open the lid in one direc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양측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바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바가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홀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cover,
One or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support holders to allow the support bars to be inserted and removed correspondingly. ≪ RTI ID = 0.0 ><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파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
3. The method of claim 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holder,
Wherein the support ba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to allow insertion of the support bar, and a pair of gripping end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덮개의 개방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파지단은,
상기 지지바를 탄성력에 의해 파지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방향을 향해 곡선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bar comprises:
The cover has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over,
Wherein the pair of gripping ends are provided with a pair of opposite ends,
Wherein the support bars are bent in a curved shape in dir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bars can be gripped by an elas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거치대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하단이 양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상단에 양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덮개의 일측에 상단이 양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에 설치되며, 상기 제2링크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시키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cradle,
A first link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box in such a manner that a lower end thereof is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A second link rotatably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link so as to be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and hing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id so as to be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And an engaging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link for selectively engag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링크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링크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제1링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stopper which is installed on the first link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which selectively engage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respectively on the first link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rotatab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rein,
And a lower end of one of the second links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거치대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 상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제1링크의 하단이 수평으로 축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링크의 상단에는,
상기 덮개의 일측 하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측단에 상기 제2링크의 상단이 수평으로 축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카고 트레일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ng cradle,
And a first engag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loading box by a fastening member and having a lower end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nk,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at one side by a fastening member and having an upper end horizon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at a side end thereof.
KR1020130083391A 2013-07-16 2013-07-16 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KR101430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91A KR101430367B1 (en) 2013-07-16 2013-07-16 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91A KR101430367B1 (en) 2013-07-16 2013-07-16 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367B1 true KR101430367B1 (en) 2014-08-13

Family

ID=5175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391A KR101430367B1 (en) 2013-07-16 2013-07-16 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3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07B1 (en) * 2015-04-20 2016-05-12 주식회사 에스아이테크 Sealed Cargo Box Cover Opening and Closing as possible Left and Righ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853B1 (en) 2005-09-05 2007-03-12 첨단기어공업주식회사 Automatic covering apparatus for cargo tru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853B1 (en) 2005-09-05 2007-03-12 첨단기어공업주식회사 Automatic covering apparatus for cargo tru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07B1 (en) * 2015-04-20 2016-05-12 주식회사 에스아이테크 Sealed Cargo Box Cover Opening and Closing as possible Left and R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1865B2 (en) Cargo management system for use with motor vehicles
US6877807B2 (en) Vehicular under-seat compartment mechanism
CN102765342B (en) The clamping device of beverage container
JP4216147B2 (en) Vehicle seat
US7708329B2 (en) Stowable stor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EP1153795A1 (en) Luggage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030107228A1 (en) Center console of vehicle
US8011710B2 (en) Fixture element,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for holding a receptacle
US20080001052A1 (en) User adjustable storage arrangement
EP1583685A4 (en) Vehicle cargo management apparatus having movable cargo support arm
JP2015510853A (en)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JP2009521355A (en) Luggage placement device for vehicles
JP2004505848A (en) System for storing luggage in a vehicle
KR101430367B1 (en) Cargo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CN210707177U (en) A put thing device and car for car copilot instrument board
KR20170003487U (en) Tool box
JP4761304B2 (en) Operation member arrangement structure for vehicle seat
JP2003237452A (en)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
KR101760336B1 (en) Multipurpose carrier
JP2016049938A (en)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for vehicle
JP2002087166A (en) Luggage floor device of car
US9340221B1 (en) Hand truck
JP4001854B2 (en) Vehicle table device
KR20140011834A (en) Article storage device of vehilce
JP2001080422A (en) Console box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