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610B1 -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 Google Patents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610B1
KR101429610B1 KR1020140042139A KR20140042139A KR101429610B1 KR 101429610 B1 KR101429610 B1 KR 101429610B1 KR 1020140042139 A KR1020140042139 A KR 1020140042139A KR 20140042139 A KR20140042139 A KR 20140042139A KR 101429610 B1 KR101429610 B1 KR 10142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ushing body
epoxy
connection terminal
fus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진
Original Assignee
대원계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계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계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12Adaptation for built-in fuse
    • H01H31/122Fuses mounted on, or constituting the movable contact parts of, the switch
    • H01H31/127Drop-out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가 개시된다. 공기절연 폐쇄형 배전반에 구비되는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에 있어서, 고강도 에폭시 수지에 의해 액상 주형 방식으로 부싱 타입으로 성형되면서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전력 입출용 전력모선 접속을 위한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와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가 구비된 에폭시 부싱 바디; 에폭시 부싱 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 및 슬라이딩 콘택트; 퓨즈링크를 조립하여 에폭시 부싱 몸체의 입출구를 통해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 및 슬라이딩 콘택트에 접촉하는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 에폭시 부싱 바디의 측벽 내부에 설치되어 퓨즈링크의 통전 여부를 감지하는 전압 감지 기능 센서; 공기절연 폐쇄형 배전반의 도어 외면에 구비되며 센서 배선용 터미널을 통해 전압 감지 기능 센서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2차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LED 소자를 점등시키는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를 구비하고,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는 에폭시 부싱 바디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고,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는 에폭시 부싱 바디의 측벽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HIGH VOLTAGE SOLID INSULATION BUSHING TYPE FUSE HOLDER BASE}
본 발명은 전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파워 퓨즈가 결합되는 퓨즈홀더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퓨즈 홀더 베이스를 고강도 에폭시수지 절연재로 성형 부싱 타입(bushing type)으로 제작하여, 파워퓨즈링크를 내부에 탈착식으로 수납할 수 있게 이루어진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력 공급 장치에서는 배전반을 필수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배전반에는 부하측의 단락이나 지락시의 사고전류를 차단하여 전원 측으로 사고가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전반 내부의 기기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파워퓨즈(power fuse)가 설치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814682에 개시된 기존의 에폭시몰드 실린더형 퓨즈홀더 베이스(epoxymold cylinder type fuse holder base)는 에폭시몰드 고정형 퓨즈홀더, 가동형 퓨즈홀더를 구비하고, 가동형 퓨즈홀더를 고정형 퓨즈홀더에 밀어 넣어 장착하면 가동형 퓨즈홀더는 고정형 퓨즈홀더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형 튤립형 콘택트(fixed turip contact) 및 슬라이딩 콘택트(sliding contact)에 접촉하고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 및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 간의 퓨즈링크(fuse link)에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에폭시몰드 실린더형 퓨즈홀더 베이스는 가동형 퓨즈 홀더 및 고정형 퓨즈 홀더가 에폭시 수지로 성형되어 실린더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에폭시 실린더 내부에 장착된 퓨즈링크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아아크(arc)나 파편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인접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퓨즈링크의 충전부가 절연물인 고정형 퓨즈홀더 내부에 위치하므로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퓨즈링크의 슬라이드식 탈착으로 기존의 고정형 퓨즈홀더에서와 같은 탈착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하여 에폭시 부싱 바디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원용 부하 개폐기를 배전반의 하단에 설치하여도 무방하게 되어 배전반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즉, 배전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이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10-0814682의 에폭시몰드 실린더형 퓨즈홀더 베이스는 퓨즈링크 폭발사고로 인한 인접 기기의 2차 사고나 피해를 방지하고 배전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배전반 자체의 소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런데, 폐쇄형 배전반은 평시에 그 도어(door)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운용되는데, 폐쇄형 배전반의 경우 도어가 닫히면 내부에 장착된 파워퓨즈의 통전 여부나 용단 여부를 알 수 없게 된다. 폐쇄형 배전반의 도어를 열지 않고서는 파워퓨즈의 통전 상태나 용단 여부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장시간 파워퓨즈를 교체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퓨즈링크가 폭발하거나 용단되어도 사용자는 장시간 이를 인지하지 못한 채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한 퓨즈링크의 교체가 즉시 이루어지지 못한채 배전 프로세스에 차질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폐쇄형 배전반 내에 설치된 퓨즈홀더 베이스의 경우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원격지나 그 외부에서도 그 교체 필요 여부를 인지하고 교체 작업을 하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나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10-0814682
본 발명은 폐쇄형 배전반 내에 설치된 퓨즈홀더 베이스의 경우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원격지나 그 외부에서도 그 교체 필요 여부를 인지하고 교체 작업을 하도록 하는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공기절연 폐쇄형 배전반에 구비되는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high voltage solid insulation bushing type fuse holder base)에 있어서, 고강도 에폭시(epoxy) 수지에 의해 액상 주형 방식으로 부싱 타입(bushing type)으로 성형되면서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전력 입출용 전력모선 접속을 위한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와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가 구비된 에폭시 부싱 바디(epoxy bushing body);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 및 슬라이딩 콘택트; 퓨즈링크를 조립하여 상기 에폭시 부싱 몸체의 입출구를 통해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상기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 및 슬라이딩 콘택트에 접촉하는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slide contact assembly);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의 측벽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퓨즈링크의 통전 여부를 감지하는 전압 감지 기능 센서(voltage detector); 상기 공기절연 폐쇄형 배전반의 도어(door) 외면에 구비되며 센서 배선용 터미널을 통해 상기 전압 감지 기능 센서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2차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점등시키는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voltage indicator controller-3, VIC-3)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는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는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의 측벽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는, 상기 전압 감지 기능 센서에 구비된 제1 전압 분배식 저항의 임피던스와 상기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에 구비된 제2 전압 분배식 저항의 임피던스의 비율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퓨즈링크의 정격 전압(Un) 대비 동작 전압(Ud)이 상기 LED 소자의 동작 전압 범위 내에 적어도 일부가 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는, 손잡이의 내부에 적색의 스트라이크 핀과 리턴 스프링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트라이크 핀은, 기 압축되어 있던 리턴 스프링이 상기 퓨즈링크의 용단시 복원되어 밖으로 이동되면서 적색이 노출되어 상기 퓨즈링크의 용단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 및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는,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에 몰딩(molding)되어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는 폐쇄형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도어(door)가 닫힌 상태에서도 퓨즈링크와 연결된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를 통해 퓨즈링크의 통전 여부를 LED 소자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폐쇄형 배전반의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나 그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퓨즈링크의 상태를 점검하고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에폭시 부싱 바디가 고강도 에폭시 수지로 성형, 부싱(bushing) 형태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에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의 피복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에폭시 부싱 내부에 장착된 퓨즈링크가 폭발되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아아크나 파편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인접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부싱 바디는 퓨즈링크의 충전부가 절연물인 고정형 퓨즈홀더 내부에 위치하므로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퓨즈링크의 슬라이드식 탈착으로 기존의 고정형 퓨즈홀더에서와 같은 탈착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하여 에폭시 부싱 바디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원용 부하 개폐기를 배전반의 하단에 설치하여도 무방하게 되어 배전반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에폭시 부싱 바디에 전압 감지 기능 센서를 설치하여 퓨즈링크의 용단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전압 감지 기능 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타 보호기기와 연동시킬 수 있어 전기적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의 실물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의 제1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감지 기능 센서 및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의 회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의 제2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의 제3 측단면도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의 실물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의 실물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의 제1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감지 기능 센서 및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의 회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의 제2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의 제3 측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의 실물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는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와 본체인 에폭시 부싱 바디(1)로 구분되며, 퓨즈링크(31)를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는 퓨즈 가이딩 핸들(29)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도체인 알루미늄으로 정밀하게 가공되었고, 구리 및 은으로 이루어진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16)는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된 튤립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에폭시 부싱 바디(1)의 내부에서 퓨즈링크(31)의 발열에 의한 과도한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구(6)가 구비되어 있고, 본체인 에폭시 부싱 바디(1)와 조립을 위한 베이스 조립 홀(28)이 구비되어있다.
에폭시 부싱 바디(1)는 고강도 에폭시수지 절연재에 의해 부싱 타입(bushing type)으로 성형되면서 내부에는 퓨즈링크(31)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며 퓨즈링크 어셈블리 입출구(4)가 마련되어있고 내부공간 안쪽에는 알루미늄 도체로 가공된 베이스 고정형 홀더가 에폭시 수지 절연재에 의해 몰딩 되어있으며, 알루미늄 도체로 이루어진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16)와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7)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16)는 슬릿이 형성된 튤립 형상으로 이루어져 구리와 은도금에 의해 콘택트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공간 앞쪽에 있는 원통형의 슬라이딩 콘택트(26)는 에폭시 부싱 바디(1)에 몰딩 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에폭시 부싱 바디(1) 외부에는 슬라이딩 콘택트(26)에 연결된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9)가 배치 되어있으며 에폭시 몰딩으로 성형된 에폭시 부싱 바디(1) 안에 전압 감지 기능 센서(11)와 센서 배선용 터미널(12)이 설치되어있어 센서의 전기적인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퓨즈링크(31)의 용단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부싱 바디(1)는 나아가 다른 보호기기와 연동시켜 전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에 장착된 퓨즈링크(31) 삽입시 퓨즈 가이딩 핸들(29)에 의해 안내되어 정확한 위치에 접촉되며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와 조립을 위한` 스터드 너트(15)가 에폭시 부싱 바디(1)에 몰딩 되어있어 조임에 의한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며, 하나로 조립된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를 삽입할 때 슬라이딩 스톱퍼(14) 돌출턱으로 몰딩되어 있어 무리하게 퓨즈링크(31)를 삽입하여도 타 기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정위치에 접촉할 수 있다.
에폭시 부싱 바디(1)의 외부에는 퓨즈링크(31) 발열시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에폭시 부싱 바딩 방열애관(2)이 몰딩 되어있고,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7)옆에는 퓨즈링크(31) 과도한 온도상승에 의한 발열시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가 구비되어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퓨즈홀더 베이스를 폐쇄형 배전반에 설치시 간편하고 안전하게 하기 위해 판넬조립평면 양 옆에는 애관으로 된 돌출턱이 있어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있으며, 폐쇄형 배전반의 판넬에 설치할 때 인서트 너트가 에폭시 부싱 바디(1)에 몰딩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를 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1)에 퓨즈링크(31) 설치를 위한 퓨즈링크 어셈블리 입출구(4)가 구비되어 상기 퓨즈링크를 삽입구에 밀어 넣으면 퓨즈 튜립 콘택트(22)에 의해 접촉이 되며,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16)의 둘레에 콘택트 압축 스프링(17) 탄성체로 이루어진 탄성지지체가 감겨져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16)를 탄력적으로 안쪽으로 오므려 줌으로써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지게 한다.
퓨즈 가이딩 핸들(29)은 에폭시 부싱 바디(1)의 내부 퓨즈링크 설치 공간의 원형과 같은 규격으로 제작되어있다.
퓨즈링크(31)는 길이는 같으나 용량에 따라 굵기가 다르므로 퓨즈 가이딩 핸들(29)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퓨즈링크(31)는 내부에 규소가루가 삽입되어 있으면서 중량이 있으므로 가이딩핸들 스터드 볼트(30)를 시계방향으로 조이면 바이스 클램프(24)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퓨즈링크(31)를 조여 주어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와 퓨즈링크(31)가 하나로 조립되고, 이렇게 퓨즈링크(31)를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의 퓨즈링크(31) 상단에 퓨즈 가이딩 핸들(29)을 끼워 넣어 가이딩핸들 스터드 볼트(3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고정시킨다. 퓨즈 가이딩 핸들(29) 사용은 고정베이스 설치공간 원형과 같으므로 정확한 센터를 유지하게 된다.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와 퓨즈링크(31)가 하나로 조립된 상태에서 퓨즈링크 어셈블리 입출구(4)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핸들(19)이 설치되어 있어 에폭시 부싱 바디(1)의 삽입공간에 정확한 센터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에폭시 부싱 바디(1) 입구부터 퓨즈 가이딩 핸들(29)의 안내를 받아 접촉위치인 베이스 내부의 슬라이딩 콘택트(26)를 지나 1차 접촉위치 베이스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16)에 의해 접촉이 되며, 콘택트 둘레에 콘택트 압축 스프링(17) 탄성체로 이루어진 탄성지지체에 감겨져 콘택트를 탄력적으로 안쪽으로 오므려 주므로 접촉이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2차 콘택트인 슬라이딩 콘택트(26) 접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1,2차 전력모선 접속 단자(7,9)에 자동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에폭시 부싱 바디(1)와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 조립은 베이스에 몰딩되어 있는 스터드 너트(15)에 의해 볼트를 끼워 넣고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완전 조립이 된다.
또한,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에는 스트라이크 핀(20)이 슬라이딩 핸들(19)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으나 퓨즈링크(31)가 용단 되었을 때 기계적으로 적색으로 된 스트라이크 핀(20)이 평면바닥에서 밑으로 내려오므로 육안으로 퓨즈링크(31) 용단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정상적인 퓨즈링크(31)를 교환하면 리턴 스프링(21)에 의해 적색으로 된 스트라이크 핀(20)이 자동으로 원위치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전반에 이상 전류가 흐르거나 분전반의 내외부에서 문제가 생긴 경우에 퓨즈링크(131)의 퓨즈가 용단되면, 퓨즈링크(31)의 하단에 장착되어 퓨즈링크(31)의 하단 쪽으로 돌출되는 퓨즈링크(31)의 스트라이크 핀(20)과 연계 작동하여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18)의 스트라이크 핀(20)이 리턴 스프링(21)의 탄력을 이기고 바깥으로 밀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워퓨즈에서는 퓨즈링크(31)를 에폭시 부싱 바디(1)속에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도 퓨즈의 용단을 스트라이크 핀(20)을 통하여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부싱 바디(1)에는, 퓨즈링크(31)가 장착되는 에폭시 부싱 바디(1)로써 고강도 에폭시 지절연제로 성형되어있어 기계적, 전기적 충격에도 견고하며, 사용중에 부분 방전등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부의 퓨즈링크(31) 사고시 폭발에도 외부로 영향이 미치지 않는 에폭시 수지 절연물이므로 기존 제품의 비해 외부의 절연이격거리가 현저히 축소되며 설치방법은 수평,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배전반 기기설치에 비해 효율적으로 기기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까지 부하개폐기(LBS, ASS, 기타)가 배전반 내부 상단에 배치되어있어 인입 케이블의 케이블종단접속재에서 부스바로 상단까지 배선되므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상단부에 인입부가 통전되어 있어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몰드 실린더형 퓨즈홀더베이스를 사용하면 부하개폐기가 하단부에 설치되므로 위와 같은 위험요소가 해소되면서 배전반에 차지하는 면적이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퓨즈홀더 베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배전반을 기존의 크기보다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에서 차지하는 배전반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당한 경제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전압 감지 기능 센서(11)와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voltage indicator controller-3, VIC-3)가 도시되어 있다.
전압 감지 기능 센서(11)는 에폭시 부싱 바디(1)의 측벽 내부에 설치되어 퓨즈링크(31)의 통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는 공기절연 폐쇄형 배전반의 도어(door) 외면에 구비되며 센서 배선용 터미널(12)을 통해 전압 감지 기능 센서(11)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2차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공기절연 폐쇄형 배전반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그 내부에 설치된 퓨즈링크(31)의 통전 상태나 용단 여부를 배전반의 외부나 원격지에서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그 퓨즈링크(31)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압 감지 기능 센서(11)에 구비된 제1 전압 분배식 저항의 임피던스와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에 구비된 제2 전압 분배식 저항의 임피던스의 비율에 의해 형성되는 퓨즈링크(31)의 정격 전압(Un) 대비 동작 전압(Ud)이 LED 소자의 동작 전압 범위 내에 적어도 일부가 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압 감지 기능 센서(11)와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는 전압 분배의 원리에 따라 각각 전압 감지 기능 센서(11)의 내부 저항인 Z1과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의 입력 임피던스인 Z2의 비율대로 1차 전압과 2차 전압이 형성된다.
여기서 퓨즈링크(31)의 정격 전압(Un)이 22.9 kV라고 하면, 동작 개시 전압(Ut)은 IEC61243-5에 의거하여 0.15Un이상 0.40Un이하로 형성된다. 즉, 3.5 kV 내지 9.1 kV의 전압 범위에서 동작하게 된다.
동작 개시 전압(Ut)의 전압 범위에 따른 전압 범위(Ud)는 전압 분배의 원리에 따라 형성되는데, Z1과 Z2를 각각 300 MΩ 및 6 MΩ이라고 하면, 전압 범위(Ud)는 각각 69 V 내지 178 V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만약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의 입력 전압 범위가 0-130 VAC라고 한다면, 전압 범위(Ud)는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의 입력 전압 범위 내에서 겹치므로, 도어 외부에 구비된 LED 소자가 동작하여 발광하게 된다.
이에, LED 소자가 발광하면 퓨즈링크(31)의 정상적인 통전 상태를 나타내고 LED 소자가 소등되면 퓨즈링크(31)는 용단 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에폭시 부싱 바디(eposy bushing body)
2: 에폭시 부싱 바디 방열애관 3: 2차 터미널 방열애관
4: 퓨즈링크 어셈블리 입출구(fixed gate)
5: 1차 평면단자부 6: 방열구
7: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primary terminal)
8: 2차 전력모선도체
9: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secondary terminal)
10: 판넬설치 인서트 너트(insert nut M12)
11: 전압감지기능센서(voltage detectorsensor)
12: 센서 배선용 터미널(VD wiring terminal)
13: 바디 도체 접속부(body conductor connection)
14: 슬라이딩 스톱퍼(sliding stopper)
15: 스터드 너트(stud nut M8)
16: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fixed turip contact)
17: 콘택트 압축 스프링(spring hooking insert)
18: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slide contact assembly)
19: 슬라이딩 핸들(sliding handle)
20: 스트라이크 핀(strike pin)
21: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
22: 퓨즈 튜립 콘택트(fuse turip contact)
23: 콘택트 압축 스프링(spring hooking insert)
23: 콘택트 압축 스프링 (spring hooking insert)
24: 바이스 클램프(Vice & Clamp)
25: 바이스클램프 압축 스터드 볼트(stud bold )
26: 슬라이딩 콘택트(I-core band holder body contact)
27: 게이트 홀(Gate Hole) 28: 베이스 조립 홀(바디와 결합)
29: 퓨즈 가이딩 핸들(fuse guiding handle)
30: 가이딩핸들 스터드 볼트 31: 퓨즈링크(fuse link)

Claims (4)

  1. 공기절연 폐쇄형 배전반에 구비되는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high voltage solid insulation bushing type fuse holder base)에 있어서,
    고강도 에폭시(epoxy) 수지에 의해 액상 주형 방식으로 부싱 타입(bushing type)으로 성형되면서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전력 입출용 전력모선 접속을 위한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와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가 구비된 에폭시 부싱 바디(epoxy bushing body);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 및 슬라이딩 콘택트;
    퓨즈링크를 조립하여 상기 에폭시 부싱 몸체의 입출구를 통해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상기 고정형 튜립형 콘택트 및 슬라이딩 콘택트에 접촉하는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slide contact assembly);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의 측벽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퓨즈링크의 통전 여부를 감지하는 전압 감지 기능 센서(voltage detector);
    상기 공기절연 폐쇄형 배전반의 도어(door) 외면에 구비되며 센서 배선용 터미널을 통해 상기 전압 감지 기능 센서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2차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점등시키는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voltage indicator controller-3, VIC-3)를 구비하고,
    상기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는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는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의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는,
    상기 전압 감지 기능 센서에 구비된 제1 전압 분배식 저항의 임피던스와 상기 전압 감지 표시 제어기에 구비된 제2 전압 분배식 저항의 임피던스의 비율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퓨즈링크의 정격 전압(Un) 대비 동작 전압(Ud)이 상기 LED 소자의 동작 전압 범위 내에 적어도 일부가 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콘택트 어셈블리는,
    손잡이의 내부에 적색의 스트라이크 핀과 리턴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트라이크 핀은,
    기 압축되어 있던 리턴 스프링이 상기 퓨즈링크의 용단시 복원되어 밖으로 이동되면서 적색이 노출되어 상기 퓨즈링크의 용단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전력모선 접속단자 및 2차 전력모선 접속단자는,
    상기 에폭시 부싱 바디에 몰딩(molding)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KR1020140042139A 2014-04-09 2014-04-09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KR10142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139A KR101429610B1 (ko) 2014-04-09 2014-04-09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139A KR101429610B1 (ko) 2014-04-09 2014-04-09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610B1 true KR101429610B1 (ko) 2014-08-14

Family

ID=5175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139A KR101429610B1 (ko) 2014-04-09 2014-04-09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6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76U (ko) * 1996-11-01 1998-08-05 배순훈 차량용 전장품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KR19990084791A (ko) * 1998-05-11 1999-12-06 이종수 전력퓨즈 수납지지장치
JP2005019133A (ja) 2003-06-25 2005-01-20 Toshiba Corp ヒューズ溶断検出装置
KR100814682B1 (ko) 2007-11-26 2008-03-18 대원계전주식회사 에폭시몰드 실린더형 퓨즈홀더 베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76U (ko) * 1996-11-01 1998-08-05 배순훈 차량용 전장품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KR19990084791A (ko) * 1998-05-11 1999-12-06 이종수 전력퓨즈 수납지지장치
JP2005019133A (ja) 2003-06-25 2005-01-20 Toshiba Corp ヒューズ溶断検出装置
KR100814682B1 (ko) 2007-11-26 2008-03-18 대원계전주식회사 에폭시몰드 실린더형 퓨즈홀더 베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93991A1 (en) High Voltage Sensing Capacitor and Indicator Device
US7109877B2 (en) Faul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9362075B2 (en) Cover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US10271440B2 (en) Multi-chamber GFCI housing apparatus
MX2008003024A (es) Dispositivo de distribucion electrica que incluye proteccion para condiciones de sobre-calentamiento.
MX2011006814A (es) Abertura visible para ensamble de mecanismos de control.
US20180220541A1 (en) Multi-Chamber GFCI Housing Apparatus
US20130106567A1 (e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CN113692630A (zh) 用于易爆环境合规的电路保护装置、系统和方法
US3246110A (en) Explosion proof switches including indicating means
EP3163694A1 (e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KR100814682B1 (ko) 에폭시몰드 실린더형 퓨즈홀더 베이스
KR101429610B1 (ko) 고압 고체절연 부싱형 퓨즈홀더 베이스
AU2005234093A1 (en) Switchgear
US9230766B2 (en) Breaker secondary terminal block isolation chamber
US8525061B2 (en) Self-pressurized arc diverter
KR101729688B1 (ko)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CN109637912B (zh) 熔断器
KR101854149B1 (ko) 일체형 특고압 수전설비
US10825633B2 (en) Circuit board arrangement having electrical leads for holding an electrical fuse
US2795766A (en) Terminal construction for circuit breaker
KR102106997B1 (ko) 서지보호기
US9899165B2 (en) Safety test switch
CN107968348B (zh) 气体绝缘开关柜
KR101283642B1 (ko) 절연 리드선이 부착된 피뢰기 일체형 컷 아웃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