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264B1 - 튀김 장치 - Google Patents

튀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264B1
KR101429264B1 KR1020130047708A KR20130047708A KR101429264B1 KR 101429264 B1 KR101429264 B1 KR 101429264B1 KR 1020130047708 A KR1020130047708 A KR 1020130047708A KR 20130047708 A KR20130047708 A KR 20130047708A KR 101429264 B1 KR101429264 B1 KR 10142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ace
combustion gas
coupl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기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성산업 filed Critical (주)기성산업
Priority to KR102013004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를 이용하여 기름을 가열하는 튀김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기름통의 내부를 전후로 가로지르는 중앙관과, 상기 중앙관의 좌우측에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관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부관들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각 상기 측부관의 전방에 전방공간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부들, 상기 중앙관의 전방 입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버너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서 노출된 상기 중앙관 후단과 상기 측부관들의 후단에 걸쳐 후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커버부, 상기 측부관의 내부를 상부통로와 하부통로로 구획하는 관로경계부재 및 상기 후방공간 내부를, 상기 중앙관과 상기 하부통로들이 연통되는 내공간과, 상기 하부통로와 상기 배기구를 연통시키는 외공간으로 구획하는 후방경계부재를 포함하는 튀김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튀김 장치{Frying machine}
본 발명은 버너를 이용하여 기름을 가열하는 튀김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업소용 튀김장치 중 하나는 가스버너를 이용하여 튀김용 기름을 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튀김장치에 담긴 기름통 안에 기름을 넣고, 버너의 화기를 이용하여 기름통 안의 기름을 적정 온도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버너의 연소열을 효과적으로 기름통 안의 기름에 전달하고자 종래의 기술에서는 연소열이 통과하는 배관을 기름통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즉, 버너의 열기는 기름통을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배관을 가열하는 것이고, 가열된 배관에 의해 기름통 안의 기름이 직접 가열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기름의 내부에 배관이 넓은 면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버너로 기름통을 가열하는 방식보다는, 버너의 화기가 효율적으로 기름에 전달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기름 안에 노출되는 배관의 면적을 더욱 늘리고자 배관 자체를 수차례 굴곡시키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굴곡진 배관은 튀김 장치의 단속적 사용에 의해 팽창과 수축하는데 피로에 의한 수명 단축이 문제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기름통을 가로지르는 단순한 직선형 배관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버너의 화기가 일방향으로 소통함에 따라 열 회수율이 나빠지는 단점이 예상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9-0003696호 (1989.06.02)
본 발명은 버너의 화기를 튀김 장치에 담기는 기름에 효과적으로 전달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기름통의 내부를 전후로 가로지르는 중앙관과, 상기 중앙관의 좌우측에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관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부관들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각 상기 측부관의 전방에 전방공간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부들, 상기 중앙관의 전방 입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버너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서 노출된 상기 중앙관 후단과 상기 측부관들의 후단에 걸쳐 후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커버부, 상기 측부관의 내부를 상부통로와 하부통로로 구획하는 관로경계부재 및 상기 후방공간 내부를, 상기 중앙관과 상기 하부통로들이 연통되는 내공간과, 상기 하부통로와 상기 배기구를 연통시키는 외공간으로 구획하는 후방경계부재를 포함하는 튀김 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관로경계부재의 끝단부는 상기 후방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경계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경계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관의 후단을 중심을 기준으로 내공간을 좌우로 양분하는 수직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판에는 상기 중앙관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개방된 상기 하부 통로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안내판이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관로경계부재는 상기 측부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통로와 상기 하부통로를 구획하는 가로판 및 상기 가로판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통로 또는 상기 하부통로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흐름저항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저항판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판들에는 상기 측부관을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상기 저항판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지그재로로 유동시키는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너부는 가스공급부, 상기 가스공급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점화플러그 및 상기 가스공급부와 점화플러그가 결합되며, 상기 중앙관 둘레를 형성하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가스를 측부관에 원활하게 유입시켜 측부관을 통한 기름의 가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짧은 시간 내에 기름통에 담긴 기름을 요구하는 온도로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가스의 정체를 저감하여 연소가의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좋아진다.
관로경계부재를 후방경계부재에 고정시킴으로써 측부관 내부에 관로경계부재를 직접 고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그에 따라 조립성이 개선되고, 연소가스의 이동경로를 보다 확실하게 구획할 수 있어 흐름성이 나빠지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판은 중앙관에서 토출되는 연소가스를 좌측과 우측의 측부관에 양분하여 유동시키게 하는 것이다. 또 흐름안내판은 내공간에 정체되는 연소가스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연소가스의 흐름성이 개선된다.
관로경계부재의 저항판은 측부관 내부에서 연소가스에 난류를 발생시켜 측부관을 통한 기름의 가열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가스공급부와 점화플러그를 고정하는 고정브래킷은, 버너부의 중심과 중앙관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버너부를 설치하기가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를 정방에서 바라본 대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후방을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후방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요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부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관로경계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튀김 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 장치(100)는 지상 면에 세워지는 본체부(1)를 구비한다. 본체부(1)에는 상부로 개방된 기름통(11)이 구비된다. 기름통(11)을 지면과 이격되게 세우기 위하여 프레임으로 짜여진 구조물이 구비되어 있다. 구조물의 하부에는 기름통에 채워지는 기름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수단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기름통(11)의 상부에는 튀김망, 주방기구 거치대 등의 부가 설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설비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기름통(11)의 내부를 전후로 가로지는 중앙관(12)과, 이 중앙관(12)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이격되어 있는 측부관들(13)이 구비된다. 중앙관(12)과 측부관(13)은 서로 사실상 평행하게 배치된다.
중앙관(12)과 측부관(13)은 속이 빈 관체의 형상으로 기름통(11)을 전후로 관통하게끔 설치되어 있다. 중앙관(12)과 측부관들(13)은 사실상 같은 높이에 설치된다. 그러나 중앙관의 높이와 측부관들의 높이는 다소 차이날 수도 있다.
도 1에서 본체부(1)의 전면부에는 개방된 중앙관(12)과 측부관(13)이 개방된 상태로 장착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중앙관(12)과 측부관(13)은 본체부(1)의 전면에서 함몰된 위치에 놓이는 기름통(11)의 전면까지 관통하고 있다.
본체부(1)의 전면부에 노출되는 중앙관(12)의 전방 입구에는 버너부(2)가 장착된다. 버너부(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외기를 섞어 토출하는 가스공급부(21), 가스공급부(21)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토출된 연료가스를 점화하는 점화플러그(22) 및 가스공급부(21)와 점화플러그(22)가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부(1)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23)을 포함한다.
고정브래킷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중앙관 주변에 고정된다. 본체부에 브래킷이 고정되면, 가스공급부의 가스 토출구와 점화플러그의 점화선이 중앙관의 전방 입구 측에 위치하게 된다. 연료가스를 주입하면서 점화플러그를 작동시킴으로써 연료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다.
고정브래킷(23)을 사용함으로써 가스공급부(21)와 점화플러그(22)를 포함한 버너부(2)를 유닛화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12)의 원형 단면과 대등한 사이즈를 가지는 가스공급부(21)의 가스 토출구를 중앙관(12)의 내부 중심과 일치시키며 고정하기가 용이하게 되어, 조립성이 개선된다.
본체부(1)의 전면부에서 노출되는 각각의 측부관(13) 전방에는 전방커버부(3)가 결합된다. 전방커버부(3)는 내부가 함몰되게 형성된 구조물로, 판재의 가장자리를 상자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전방커버부(3)의 둘레가 측부관(13)의 전방 둘레를 형성하는 본체부(1)의 전면부에 볼트나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전방커버부(3)가 본체부(1)의 전면부에 고정됨으로써 측부관(13)의 전방 측에는 막혀진 전방공간(31)이 형성된다(도 7 참고).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버너부와 전방커버부들을 가려 덮는 덮개패널이 본체부의 전면에 고정되어 외관미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체부(1)의 후방에서 살펴보면, 본체부(1)의 전면부와 마찬가지로, 중앙관(12)과 측부관(13)은 본체부(1)의 후면보다 함몰된 위치에 놓이는 기름통(11)의 후면까지 관통하고 있다.
후방커버부(4)는 본체부(1)의 후면부에서 노출되는 중앙관(12)의 후단과 측부관들(13)의 후단에 걸쳐 가리도록 본체부(1)의 후면부에 결합된다.
후방커버부(4)는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상자 형태로, 후방커버부(4)의 둘레가 본체부(1)의 후면부에 결합됨으로서 기름통(11)의 외벽과는 일정 거리 이격되고, 이로써 후방공간(41)이 형성된다(도 7 참고).
이 후방커버부(4)의 면적은 이격 배치된 중앙관(12)과 측부관(13)의 개방된 후단들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큰 것이다. 따라서 후방공간(41) 안에는 중앙관(12)의 후단과 측부관들(13)의 후단 모두가 포함된다.
후방커버부(4)의 상면에는 배기구(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구(42)에는 연통(200)이 결합되며, 버너부에서 공급된 연소가스가 최종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한편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측부관(13)의 원통형 내부를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통로(131)와 하부통로(132)로 구획하는 관로경계부재(5)가 구비된다.
관로경계부재(5)는 측부관(13)의 길이 방향에 따라 내부에 삽입되어, 측부관 내부 통로를 상하로 구획하는 가로판(51)과, 가로판(51)에 사실상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부통로(131)나 하부통로(132)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흐름저항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저항판(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항판(52)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후방공간(41)의 내부에는 후방경계부재(6)가 구비된다. 이 후방경계부재(6)는 후방공간(41)을 내공간(411)과 외공간(412)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긴 판재를 적당히 굴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내공간(411)은 중앙관(12)의 후단과 측부관의 하부통로(132)가 연통되는 공간이고, 외공간(412)은 측부관의 상부통로(131)와 배기구(42)가 연통되는 공간이다. 도 4에서 내공간(411)은 좌우로 갈수록 점차 상하 폭이 짧아지게 형성되어 대략 마름모 형상이다. 한편, 외공간(412)은 내공간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후방경계부재(6)와 후방커버부(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내공간(411) 내의 연소가스는 측부관의 하부통로(132)를 통과한 다음 다시 측부관의 상부통로(131)를 통과한 후 배기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를 참고하면, 관로경계부재(5)의 끝단부는 후방공간(41)의 내부로 연장되고, 이 끝단부가 후방경계부재(6)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관로경계부재(5)의 가로판(51)이 측부관의 후단보다 길게 연장되어 후방경계부재(6)에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 경우 별도로 측부관의 내부에 가로판을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만일 후방경계부재에 가로판을 고정하지 않는다면, 측부관의 내부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부분으로 측부관을 관통하는 볼트나 리벳을 사용할 수 없고 용접하여 가로판을 고정해야 하는데, 측부관 내부에서 가로판 용접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작에 큰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가로판(51)을 후방경계부재(6)에 고정시킴으로써 이러한 제작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내공간(411)과 외공간(412)을 구획하는 후방경계부재(6)에 가로판(51)이 고정됨에 따라, 측부관 내의 상,하부통로와 내,외공간이 저절로 명확히 구획되는 장점이 있다.
만일 가로판과 후방경계부재가 서로 결합하지 않는다면 설계오차나 제작오차에 의해 가로판과 후방경계부재의 높낮이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가 어렵고, 어긋난 가로판과 후방경계부재 사이의 틈을 통해 측부관의 상,하통로를 이동하는 연소가스의 흐름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가로판(51)을 후방경계부재(6)에 고정시킴으로써 전술한 틈이 발생할 소지를 없애고, 연소가스의 흐름성 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한 장점이 있다.
더하여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관로경계부재(5)와 후방경계부재(6)는 본체부(1)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있다.
도 2와 도 4를 참고하여 후방경계부재(6)를 자세히 살펴본다.
후방경계부재(6)는 좌측과 우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작아지는 마름모형으로 그 중앙에는 중앙관의 후단이 위치된다. 또한 좌측과 우측에는 각 측부관의 하부통로(132)와 연통된다.
후방경계부재(6)의 내부에는 내공간(411)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관(12)을 중심을 기준으로 내공간(411)을 좌우로 양분하는 수직판(61)이 구비된다.
이 수직판(61)에 의해 내공간(411)은 좌측의 하부통로(132)와 연결되는 공간과 우측의 하부통로(132)와 연통되는 공간으로 나뉘게 된다. 중앙관(12)에서 토출되는 연소 가스는 수직판(61)에 의해 양분되어 좌측과 우측 각각으로 흐르며, 각각의 하부통로(132)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수직판(61)에 의해 중앙관(12)의 후단이 반원으로 나뉘고 그에 따라 연소가스도 반반으로 나뉘게 된다. 양분된 연소가스의 동등한 유량이 좌우측의 하부통로(132)로 들어가게 되어, 양 측부관(13)에 동등한 열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판(61)은 내공간(411)의 중앙 부분에서 연소가스가 와류를 일으키며 정체되는 것을 저감한다.
더하여, 수직판(61)에는 중앙관(12)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좌측과 우측의 하부 통로로 각기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안내판(62)이 결합되어 있다. 흐름안내판(62)은 내공간의 마름모꼴 형상을 따라 수직판(61)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흐름안내판(62)의 끝단부는 하부통로(132)를 향하도록 절곡되거나 굴곡되어 있어 연소가스가 하부통로(132)의 내부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돕는다.
특히 복수의 흐름안내판(62)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연소가스가 내공간(411)에서 난류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층류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하부통로(132)로 유입되게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조립된 튀김 장치의 내부 구조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중앙관(12)의 전방 입구에는 버너부(2)가 연결되어 있고, 후단은 후방경계부재(6)에 의해 갇힌 내공간(411)에 연통되어 있다. 버너부(2)의 작동으로 발생한 화기는 중앙관(12)을 통과한 후 내공간(411)으로 유입된다. 그 과정 중에 가열된 중앙관(12)에 의해 기름통(11)에 채워지는 기름이 가열된다.
중앙관(12)의 후단에서 빠져나온 연소가스는 내공간(411)의 출입구인 측부관들(13)의 하부통로(132)로 나뉘어 본체부(1)의 정면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수직판(61)에 의해 중앙관에서 토출되는 연소가스는 양분되고, 이어 좌측과 우측의 하부통로(132)로 대등하게 나뉘어져 유입된다. 또한 흐름안내판(62)에 의해 내공간(411)에서 정체되는 연소가스를 최소한 상태에서 거의 모든 연소가스가 연속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한편 좌측과 우측의 각 측부관(13)의 하부통로(132)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측부관(13)의 전방으로 토출되고, 본체부(1)의 전면부에 결합된 전방커버부(3)가 형성하는 전방공간(31)에서 진행 방향이 전환되어 상부통로(131)로 이동하게 된다. 도 7에는 이러한 하부통로(132)와 상부통로(131)의 흐름 방향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전방커버부(3)는 함몰된 홈을 가지는 대신에 본체부(1)의 전면에 접하는 평탄한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소가스가 하부통로에서 상부통로로 방향 전환되는 공간인 전방공간은 측부관의 내부에 형성된다.
전방공간(31)을 거친 연소가스는 상부통로(131)를 거쳐 외공간(412)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측부관(13)의 내부를 재차 통과하는 연소가스에 의해 기름통(11) 내부의 기름이 가열된다.
나아가 관로경계부재(5)에 구비된 복수의 저항판(52)에 의해 측부관(13)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유속을 늦출 수 있다.
이러한 저항판(52)의 하나의 예가, 도 8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저항판(52)에는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통과홀(52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과홀(521)은 반원형 단면의 반 정도를 차지하는 면적의 부채꼴 형상의 것과, 몇몇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것들이 있다.
복수로 구비된 저항판(52)에서 이 부채꼴형상의 통과홀(521)은 저항판(52)의 전후 순서에 따라 좌우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연소가스는 단면적이 큰 부채꼴형상의 통과홀(521)을 지나며 저항판을 통과하는데, 이웃하는 저항판(52)에서 각 부채꼴형상의 통과홀(521)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연소가스는 각 저항판(5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지그재로로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부채꼴형상의 통과홀(521)의 반대측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통과홀들은 연소가스가 정체되지 않게 하는 데 주요하다. 만일 측부관의 내부에서 더 큰 난류 흐름을 얻기 위하여 부채꼴형상의 통과홀만을 사용한다면, 관로를 막는 저항판과 측부관의 내벽면 사이의 구석진 공간에서 연소가스가 정체된다. 그에 따라 연소가스에 함유된 그을음 등 분진 등이 쉽게 쌓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외공간(412)의 연소가스는 이후 배기구(42)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기름통(11)에 담긴 기름은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경로에 따라 중앙관(12)과 측부관(13)에 의해 가열된다. 더하여 전방공간(31)과 후방공간(41)을 유동하는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기름통(11)의 외벽면을 통해서도 가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가스를 측부관에 원활하게 유입시켜 측부관을 통한 기름의 가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름을 신속하게 데울 수 있어 열 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소가스의 정체를 저감하여 전방커버부나 후방커버부와 같이 연소가스의 방향이 크게 전환되는 부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갖는다.
100 : 튀김 장치
1 : 본체부 11 : 기름통 12 : 중앙관
13 : 측부관 131 : 상부통로 132 : 하부통로
2 : 버너부 21 : 가스공급부 22 : 점화플러그 23 : 고정브래킷
3 : 전방커버부 31 : 전방공간
4 : 후방커버부 41 : 후방공간 411 : 내공간 412 : 외공간 42 : 배기구
5 : 관로경계부재 51 : 가로판 52 : 저항판 521 : 통과홀
6 : 후방경계부재 61 : 수직판 62 : 흐름안내판
200 : 연통

Claims (6)

  1. 기름통의 내부를 전후로 가로지르는 중앙관과, 상기 중앙관의 좌우측에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관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부관들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각 상기 측부관의 전방에 전방공간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부들,
    상기 중앙관의 전방 입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버너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서 노출된 상기 중앙관 후단과 상기 측부관들의 후단에 걸쳐 후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커버부,
    상기 측부관의 내부를 상부통로와 하부통로로 구획하는 관로경계부재 및
    상기 후방공간 내부를, 상기 중앙관과 상기 하부통로들이 연통되는 내공간과, 상기 하부통로와 상기 배기구를 연통시키는 외공간으로 구획하는 후방경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경계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관의 후단을 중심을 기준으로 내공간을 좌우로 양분하는 수직판이 구비되어 있는 튀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수직판에는 상기 중앙관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개방된 상기 하부 통로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안내판이 결합되어 있는 튀김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관로경계부재는
    상기 측부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통로와 상기 하부통로를 구획하는 가로판,
    상기 가로판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통로 또는 상기 하부통로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흐름저항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저항판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판들에는 상기 측부관을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상기 저항판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지그재로로 유동시키는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튀김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버너부는
    가스공급부,
    상기 가스공급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점화플러그 및
    상기 가스공급부와 점화플러그가 결합되며, 상기 중앙관 둘레를 형성하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튀김 장치.
KR1020130047708A 2013-04-29 2013-04-29 튀김 장치 KR10142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08A KR101429264B1 (ko) 2013-04-29 2013-04-29 튀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08A KR101429264B1 (ko) 2013-04-29 2013-04-29 튀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264B1 true KR101429264B1 (ko) 2014-08-12

Family

ID=5175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708A KR101429264B1 (ko) 2013-04-29 2013-04-29 튀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2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294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화인 튀김기용 열교환기
KR20080028708A (ko) * 2006-09-27 2008-04-01 화이버텍 (주) 가열효율 개선을 위한 튀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294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화인 튀김기용 열교환기
KR20080028708A (ko) * 2006-09-27 2008-04-01 화이버텍 (주) 가열효율 개선을 위한 튀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7565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пособ 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и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110079636A (ko) 복사 튜브 버너용 복열 장치
US9188343B2 (en) Oven appliance and a gas burner assembly for the same
KR101576698B1 (ko) 오븐용 가스버너
KR101429264B1 (ko) 튀김 장치
KR101266325B1 (ko) 가스 튀김기
CA2499244C (en) Boiler and burner apparatus
US6152022A (en) Burner mounting assembly for a deep fat fryer
JP6534811B2 (ja) 燃焼装置
CA2843663C (en) Continuous flow multi stage gas contact water heater
US10478017B1 (en) Cooking apparatus utilizing gaseous fuel
KR101068272B1 (ko) 노통 수관식 보일러
KR100986637B1 (ko) 소형화 및 열효율이 향상된 이중주관식 보일러
JP6336379B2 (ja) 燃焼装置
JP4713539B2 (ja) アスファルト乳剤散布装置における乳剤タンクの加熱装置
KR102480507B1 (ko) 가스튀김기
KR101607239B1 (ko) 이중관식 보일러
US1477505A (en) Gas stove
KR102115592B1 (ko) 수유식 튀김장치
JP2012254242A (ja) 両面焼きグリル
JP2010539426A5 (ko)
KR20180025609A (ko) 버너 열 교환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KR20230134838A (ko) 구이기구의 화염통로 장치
RU2455564C1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для печей
JP6596322B2 (ja) 液体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