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927B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927B1
KR101428927B1 KR1020130067817A KR20130067817A KR101428927B1 KR 101428927 B1 KR101428927 B1 KR 101428927B1 KR 1020130067817 A KR1020130067817 A KR 1020130067817A KR 20130067817 A KR20130067817 A KR 20130067817A KR 101428927 B1 KR101428927 B1 KR 10142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crew
plate
metal spher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9803A (en
Inventor
미노루 지카마와리
히데아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3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7Casings or frame structures for hydraul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이 배치되는 환경에 관계없이, 양 유닛을 적절히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을 나란히 배치하여, 제 1 금속구(40)와 제 2 금속구(70)를 결합시켰을 때에, 제 2 측면판{74(76)}의 외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통 구멍{82(86)} 및 제 1 나사 구멍{52(56)}에 나사를 끼울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측면판{44(46)}의 내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1 관통 구멍{50(54)} 및 제 2 나사 구멍{80(84)}에 나사를 끼울 수 있다. 따라서, 한쪽의 제 2 측면판(74)의 외측 방향(다른 쪽의 제 1 측면판(46)의 내측 방향이기도 함)으로부터의 작업에 의해, 한쪽의 제 2 측면판(74)과 한쪽의 제 1 측면판(44)을 나사 고정해서 연결하고, 또한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46)과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을 나사 고정해서 연결할 수 있다.
[PROBLEMS]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appropriately connecting and fixing both units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disposed.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when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74 The screw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82 (86 (86)) and the first screw hole 52 (56) through which the first side plate 44 (46) The screw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50 (54)} and the second screw hole {80 (84)}. Therefore, by the operation from the outer direction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74 (also the inner direction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46), the one side second side plate 74 and the one side The first side plate 46 and the second side plate 76 on the other side can be screwed and connected.

Description

연결구{CONNECTOR}Connections {CONNECTOR}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저탕(貯湯) 탱크를 구비하는 탱크 유닛과, 열원기를 구비하는 열원기 유닛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tank unit having a hot water tank and a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and fixing a heat source unit having a heat source.

히트 펌프 등으로 가열한 온수를 저탕 탱크에 저탕해 두고, 저탕해 둔 온수를 필요 시에 필요 개소에 공급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저탕 탱크로부터 송출되는 온수를 열원기로 가열해서 공급하는 급탕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저탕 탱크를 구비하는 탱크 유닛과, 열원기를 구비하는 열원기 유닛을 결합시킨 급탕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나란히 배치된 탱크 유닛의 케이싱의 상면과, 열원기 유닛의 케이싱의 상면에 걸쳐서 연결 금속구를 배치하여, 연결 금속구의 한쪽의 단부를 탱크 유닛의 케이싱에 고정하고, 연결 금속구의 다른 쪽의 단부를 열원기 유닛의 케이싱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양 유닛을 연결 고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Hot water heated by a heat pump or the like is stored in a storage tank, hot water which has been stored is supplied to a necessary portion when necessary, and hot water supplied by heating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to a heat source It is known.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hot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a tank unit having a storage tank and a heat source unit having a heat source are combined. In Patent Document 1, a connecting metal sphere is dispos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of the tank unit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of the heat source uni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tal sphere is fixed to the casing of the tank uni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casing of the heat source unit, thereby connecting and fixing both units.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1-15812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158129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을 나란히 배치했을 때에,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의 위쪽에 충분한 작업 공간이 없는 경우, 연결 금속구를 적절히 배치할 수 없어, 양 유닛을 적절히 연결 고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이 배치되는 환경에 관계없이, 양 유닛을 적절히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In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1, when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side by side, when there is not enough working space above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the connection metal sphere can not be arranged properly, And it becomes difficult to fix it. In this specification, a technique is provided for properly fixing both units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결구는, 저탕 탱크를 구비하는 탱크 유닛과, 열원기를 구비하는 열원기 유닛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이다. 연결구는,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 중 한쪽의 유닛에 부착되는 제 1 금속구와,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 중 다른 쪽의 유닛에 부착되는 제 2 금속구를 구비한다. 제 1 금속구는, 한쪽의 유닛 중, 다른 쪽의 유닛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부착되는 제 1 배면판과, 제 1 배면판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제 1 측면판을 구비한다. 1쌍의 제 1 측면판에는 각각 제 1 관통 구멍과 제 1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제 2 금속구는, 다른 쪽의 유닛 중, 한쪽의 유닛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부착되는 제 2 배면판과, 제 2 배면판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제 2 측면판을 구비한다. 1쌍의 제 2 측면판에는 각각 제 2 관통 구멍과 제 2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을 나란히 배치하여, 제 1 금속구와 제 2 금속구를 결합시키면, 1쌍의 제 1 측면판의 외측면이, 각각 1쌍의 제 2 측면판의 내측면과 겹쳐지고, 제 1 관통 구멍은 제 2 나사 구멍과 연이어 통하고, 제 1 나사 구멍은 제 2 관통 구멍과 연이어 통하고, 제 2 측면판의 외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통 구멍 및 제 1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측면판의 내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1 관통 구멍 및 제 2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다. The connecto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d fixing a tank unit having a storage tank and a heat source unit having a heat source. The connector has a first metal sphere attached to one of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nd a second metal sphere attached to the other of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The first metal sphere has a first back plate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one of the units facing the other unit, and a pair of second metal plates continuously formed on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back plate, And one side plate. The pair of first side plates are each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and a first screw hole. The second metal sphere includes a second back plate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other unit opposite to the one unit and a pair of second metal plates continuously formed on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back plate, Two side plates are provided. And a second through hole and a second screw hole are formed in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respectively. When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first metal sphere and the second metal sphere are engaged,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 plates overlap wi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 plates, The first through hol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crew hole, the first screw hol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first screw hole communic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are screwed And a screw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screw hole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plate.

상기한 제 1 나사 구멍 및 제 2 나사 구멍은, 나사(수나사)의 축부를 끼울 수 있는 나사 구멍이다. 또, 상기한 제 1 관통 구멍 및 제 2 관통 구멍은, 나사의 축부를 삽입 가능하며, 나사의 머리부는 삽입 불가능한 관통 구멍이다. The first screw hole and the second screw hole are screw holes in which a shaft portion of a screw (male screw) can be inserted. The above-mentioned first through hole and second through hole can be inserted into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is a non-insertable through hole.

상기한 연결구에 의하면,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을 나란히 배치하여, 제 1 금속구와 제 2 금속구를 결합시켰을 때에, 제 2 측면판의 외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통 구멍 및 제 1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측면판의 내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1 관통 구멍 및 제 2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다. 따라서,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 방향(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의 내측 방향이기도 함)으로부터의 작업에 의해, 한쪽의 제 2 측면판과 한쪽의 제 1 측면판을 나사 고정해서 연결하고, 또한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과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을 나사 고정해서 연결할 수 있다. 즉, 가령 주위의 작업 공간이 적은 장소에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이 배치되는 경우이어도,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 방향으로부터의 작업에 의해, 양 유닛을 연결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nector described above,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when the first metal sphere and the second metal sphere are combine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first screw hole The screw can be inserted and the screw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screw hole communicating successively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plate. Therefore, by the operation from the outer direction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also the inner direction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and one of the first side plates are screwed and connected , And the first side plate on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side plate on the other side can be screwed and connected. That is, even in the case where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disposed in a place where the work space around them is small, both units can be connected and fixed by an operation from the outside direction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또, 상기와 상이한 연결 패턴을 채택할 수도 있다. 즉,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 방향으로부터의 작업에 의해, 한쪽의 제 2 측면판과 한쪽의 제 1 측면판을 나사 고정해서 연결하고, 또한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 방향으로부터의 작업에 의해,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과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을 나사 고정해서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연결구에 의하면,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이 배치되는 환경에 관계없이, 제 1 금속구와 제 2 금속구를 적절히 연결하여, 양 유닛을 적절히 연결 고정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nection pattern different from the above. That is, by the operation from the outward direction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and one of the first side plates are screwed and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ide plates The second side plate o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side plate on the other side may be screwed and connected by the opera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connector, the first metal sphere and the second metal sphere can be appropriately connected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so that both units can be appropriately connected and fixed.

도 1은 급탕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연결구를 결합시킨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전도(傳倒) 방지 금속구를 부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예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 2 실시예의 연결구를 결합시킨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t water supply system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 of the first embodiment is engaged;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tal stopper is attache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combined. Fig.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을 열기(列記)해 둔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기술 요소는, 각각 독립한 기술 요소로서, 단독으로 혹은 각종 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며, 출원 시 청구항 기재의 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in features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lumn). In addition, the technical elements described below are independent technical elements and exert their technical merit either individually or in various combinations, and are not limited to combinations of claim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특징 1) 한쪽의 제 1 측면판에는 제 1 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에는 제 1 절결부가 더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한쪽의 제 2 측면판에는 제 2 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에는 제 2 절결부가 더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을 나란히 배치하여, 제 1 금속구와 제 2 금속구를 결합시키면,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가 연이어 통해서 연통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절결부와 제 2 절결부가 연이어 통해서 연통 절결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연통 개구부는,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 및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연통 절결부는, 한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 및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으로부터 연통 개구부를 통해서,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과, 제 1 관통 구멍과 연이어 통하는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고,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으로부터 연통 절결부를 통해서, 한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과, 제 1 관통 구멍과 연이어 통하는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어도 좋다. (Feature 1) A first opening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of the first side plates, and a first notch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ther side plate. Further, a second opening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and a second notch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ther side plate. When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first metal sphere and the second metal sphere are coupled, a communication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in succession, and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A communication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successively. The communication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1 through hole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the one second side face plate. A screw is screw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The first through hole of one of the first side plat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through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Screws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상기한 제 1 개구부, 제 2 개구부, 및 연통 개구부는, 각각 나사(수나사)의 축부와 머리부를 모두 삽입 가능한 개구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 1 절결부, 제 2 절결부, 및 연통 절결부도, 각각 나사(수나사)의 축부와 머리부를 모두 삽입 가능한 절결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opening,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are the openings into which both the shaft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male thread)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utout portion, the second cutout portion, and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are notches that can insert both the shaft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male thread).

이 구성에 의하면,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을 나란히 배치하여, 제 1 금속구와 제 2 금속구를 결합시켰을 때에,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으로부터 연통 개구부를 통해서,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과, 제 1 관통 구멍과 연이어 통하는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고,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으로부터 연통 절결부를 통해서, 한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과, 제 1 관통 구멍과 연이어 통하는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 방향(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의 내측 방향이기도 함)으로부터 작업을 행할 경우에, 연통 개구부에 공구를 삽입시키면,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과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을 나사 고정 가능한 위치에 나사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 부담이 적어진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first metal sphere and the second metal spher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from the outside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the other side surface plat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screw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through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The screw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tool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opening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from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also the inside direction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the other first side plate And the screw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ide plate can be screwed. Therefore, positioning of the screw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burden on the work can be reduced.

또, 예를 들면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 방향(한쪽의 제 1 측면판의 내측 방향이기도 함)으로부터 작업을 행할 경우에, 연통 절결부를 따라 공구를 삽입시키면, 한쪽의 제 1 측면판과 한쪽의 제 2 측면판을 나사 고정 가능한 위치에 나사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나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 부담이 적어진다.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tool is inserted along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from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other side plate (also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late on one side)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screw at a position where the plate and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can be screwed. Therefore, even in this case, positioning of the screw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burden on the work can be reduced.

(특징 2) 제 1 금속구와 제 2 금속구 중 적어도 한쪽이,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전도 방지 금속구의 일부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구비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정부에 전도 방지 금속구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탱크 유닛 또는 열원기 유닛에 전도 방지 금속구를 부착하기 위한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Feature 2) At least one of the first metal sphere and the second metal sphere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a part of the metal wire to prevent the conduc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etal stopper can be fixed to the fixing portion, processing for attaching the metal stopper to the tank unit or the heat source unit is not required.

(제 1 실시예)(Embodiment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히트 펌프 등으로 가열한 온수를 저탕 탱크에 저탕해 두고, 저탕해 둔 온수를 필요 시에 필요 개소에 공급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저탕 탱크로부터 송출되는 온수를 열원기로 가열해서 공급하는 급탕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열원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열원기 유닛(10)과, 저탕 탱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탱크 유닛(20)을 구비한다. 열원기 유닛(10)은 케이싱(12) 내에 열원기를 수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탱크 유닛(20)은 케이싱(22) 내에 저탕 탱크를 수용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in the hot water supply system 2 of this embodiment, hot water heated by a heat pump or the like is stored in a storage tank, hot water which has been stored is supplied to a necessary portion when necessary, , And a hot water supply system which heats hot water sent out from the storage tank to a heat source and supplies it. The hot water supply system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eat source unit 10 having a heat source unit (not shown) and a tank unit 20 having a storage tank (not shown). The heat source unit (10) accommodates a heat source in the casing (12). Likewise, the tank unit 20 accommodates a holding tank in the casing 22.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에서는,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은, 양 유닛(10, 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구(30)(제 1 금속구(40) 및 제 2 금속구(70))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in the hot water supply system 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orts 30 (the first metal port 40 and the second metal port 70) provided between the both units 10 and 20 The connection is fixed.

도 2를 참조해서,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의 일부의 판 부재, 및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의 일부의 판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에서는, 설치대(4) 상에 고정된 탱크 유닛(20)의 옆쪽에, 열원기 유닛(10)이 배치된다.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 중, 탱크 유닛(20)과 대향하는 측의 면의 상단부에는 제 1 금속구(40)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 중, 열원기 유닛(10)과 대향하는 측의 면의 상단부에는 제 2 금속구(70)가 부착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oupling structure of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will be described. 2, a plate member of a part of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and a plate member of a part of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are omitted. 2, the heat source unit 1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ank unit 20 fixed on the mounting table 4 in the hot water supply system 2 of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metal sphere 4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on the side facing the tank unit 20. On the other hand, a second metal orifice 7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on the side facing the heat source unit 10.

또한,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 중, 탱크 유닛(20)과 대향하는 측의 면의 높이 방향 중앙 부근과,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 중, 열원기 유닛(10)과 대향하는 측의 면의 높이 방향 중앙 부근에는, 각각 결합 금속구(100)가 부착되어 있다. The center of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side facing the tank unit 20 and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surfac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metal plate 100. [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을 나란히 배치하여, 양 유닛(10, 2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각 작업을 행한다. 우선, 열원기 유닛(10)을 탱크 유닛(20)의 옆에 배치하여, 열원기 유닛(10)의 하단부를 설치대(4)에 고정한다. 또한,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에 부착된 상기 결합 금속구(도시 생략)와,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에 부착된 상기 결합 금속구(100)를 결합시켜 연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 금속구(100)끼리의 상세한 연결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에 부착된 제 1 금속구(40)와,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에 부착된 제 2 금속구(70)를 결합시키고, 소정 개소에 있어서 나사 고정을 행하여, 제 1 금속구(40)와 제 2 금속구(70)를 연결한다. 또한, 제 1 금속구(40)와 제 2 금속구(70)의 결합 구조, 및 제 1 금속구(40)와 제 2 금속구(70)의 연결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의 각 작업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양 유닛(10, 20)이 연결 고정되어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도 1 참조)이 완성된다.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dispose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side by side so as to connect and fix the both units 10 and 20, the following respective operations are performed. First, the heat source unit 10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tank unit 20, and the lower end of the heat source unit 10 is fixed to the mounting table 4. [ The coupling metal ball (not shown) attached to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coupling metal ball 100 attached to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are connected d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onding metal spheres 100 is omitted. The first metal sphere 40 attached to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is combined with the second metal sphere 70 attached to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And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are connecte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and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By performing each of the above operations, both units 10 and 20 are connected and fixed to complete the hot water supply system 2 (see Fig. 1) of the present embodiment.

계속해서, 도 3, 도 4를 참조해서, 상기한 연결구(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구(30)는, 열원기 유닛(10)에 부착되는 금속구인 제 1 금속구(40)와, 탱크 유닛(20)에 부착되는 금속구인 제 2 금속구(70)를 구비한다. 3 and 4, the connecto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irst metal sphere 40, which is a metal sphere attached to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which is a metal sphere attached to the tank unit 20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구(40)는, 제 1 배면판(42)과, 1쌍의 제 1 측면판(44, 46)과, 제 1 상면판(48)을 구비한다. 3, the first metal sphere 40 includes a first back plate 42, a pair of first side plates 44 and 46, and a first top plate 48. As shown in Fig.

제 1 배면판(42)은,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 중, 탱크 유닛(20)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제 1 배면판(42)에는 2개의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43)은, 나사의 축부가 삽입 가능하며, 나사의 머리부가 삽입 불가능한 구멍이다. 이것에 의해, 제 1 배면판(42)을,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 중, 탱크 유닛(20)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고정할 수 있다. The first back plate 42 is a portion of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which is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casing 12 facing the tank unit 20. Two holes 43 are formed in the first back plate 42. The hole 43 is a hole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can not be inser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fix the first back plate 42 to the surface of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that faces the tank unit 20.

1쌍의 제 1 측면판(44, 46)은, 제 1 배면판(4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1 측면판(44, 46)은 모두 제 1 배면판(42)에 대해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제 1 측면판(44)에는 제 1 나사 구멍(52)과 제 1 관통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46)에도 마찬가지로 제 1 나사 구멍(56)과 제 1 관통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나사 구멍(52, 56)은 나사(수나사)의 축부를 끼울 수 있는 나사 구멍이다. 또, 제 1 관통 구멍(50, 54)은 나사의 축부가 삽입 가능하고, 나사의 머리부가 삽입 불가능한 관통 구멍이다. The pair of first side plates 44 and 46 are portions formed continuously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back plate 42 and oppose each other. The first side plates (44, 46) are all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ck plate (42). A first screw hole (52) and a first through hole (50) are formed in one of the first side plates (44). A first screw hole 56 and a first through hole 54 are likewise formed in the other first side plate 46. Here, the first screw holes 52 and 56 are screw holes in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male screw) can be inserted. The first through holes (50, 54) ar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can not be inserted.

제 1 상면판(48)은 제 1 배면판(42)의 상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제 1 상면판(48)도 제 1 배면판(42)에 대해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상면판(48)의 단부는 아래쪽을 향해서 꺾여 있다. 제 1 상면판(48)에는 2개의 나사 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58)은 나사의 축부를 끼울 수 있는 나사 구멍이다.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48 is a portion formed continuously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ack plate 42.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48 is also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ar surface plate 42.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48 is bent downward. Two screw holes 58 are formed in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48. The screw hole 58 is a screw hole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제 2 금속구(70)는, 제 2 배면판(72)과, 1쌍의 제 2 측면판(74, 76)과, 제 2 상면판(78)을 구비한다. The second metal ball 70 includes a second back plate 72,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74 and 76, and a second top plate 78.

제 2 배면판(72)은,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 중, 열원기 유닛(10)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제 2 배면판(72)에도,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구멍을 통해서 나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제 2 배면판(72)을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에 고정할 수 있다. The second back plate 72 is a portion of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which is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casing 22 opposite to the heat source unit 10. The second back plate 72 is also provided with a hole (not shown). The second back plate 72 can be fixed to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by screwing through the hole.

1쌍의 제 2 측면판(74, 76)은, 제 2 배면판(7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2 측면판(74, 76)은 모두 제 2 배면판(72)에 대해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제 2 측면판(74)에는 제 2 나사 구멍(80)과, 제 2 관통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에도 마찬가지로 제 2 나사 구멍(84)과 제 2 관통 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나사 구멍(80, 84)은 나사(수나사)의 축부를 끼울 수 있는 나사 구멍이다. 또, 제 2 관통 구멍(82, 86)은 나사의 축부가 삽입 가능하고, 나사의 머리부가 삽입 불가능한 관통 구멍이다. 또한, 제 2 측면판(74, 76)의 단부에는 각각 리브(75, 7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74 and 76 are portions formed continuously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back plate 72 and face each other. The second side plates 74 and 76 are all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back plate 72. A second screw hole (80) and a second through hole (82) are formed in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74). A second screw hole 84 and a second through hole 86 are likewise formed in the second side plate 76 on the other side. Here, the second screw holes 80 and 84 are screw holes capable of fitting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male screw). The second through holes 82 and 86 are through holes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can not be inserted. Ribs 75 and 77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ends of the second side plates 74 and 76, respectively.

제 2 상면판(78)은 제 2 배면판(72)의 상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제 2 상면판(78)도 제 2 배면판(72)에 대해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상면판(78)의 길이 방향 3개소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에는 각각 나사 구멍(89)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89)은 나사의 축부를 끼울 수 있는 나사 구멍이다. 제 2 상면판(78)의 볼록부 이외의 부분(평면 부분)에는 2개의 관통 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88)은 나사의 축부가 삽입 가능하고, 나사의 머리부가 삽입 불가능한 관통 구멍이다.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is a portion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ar surface plate 72.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is also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ear surface plate 72. Convex portions are formed at three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 Screw holes 89 are formed in the projections. The screw hole 89 is a screw hole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Two through holes 88 are formed in a portion (planar portion) other than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The through hole 88 is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can not be inserted.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구(40)와 제 2 금속구(70)를 결합하면, 제 1 금속구(40)의 1쌍의 제 1 측면판(44, 46)의 외측면이, 각각 제 2 금속구(70)의 1쌍의 제 2 측면판(74, 76)의 내측면과 겹쳐진다. 이때, 한쪽의 제 2 측면판(74)의 제 2 관통 구멍(82)과, 한쪽의 제 1 측면판(44)의 제 1 나사 구멍(52)이 연이어 통한다(도 3 참조). 또, 한쪽의 제 2 측면판(74)의 제 2 나사 구멍(80)과, 한쪽의 제 1 측면판(44)의 제 1 관통 구멍(50)이 연이어 통한다(도 3 참조).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의 제 2 관통 구멍(86)과,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46)의 제 1 나사 구멍(56)이 연이어 통한다(도 3 참조). 또,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의 제 2 나사 구멍(84)과,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46)의 제 1 관통 구멍(54)이 연이어 통한다(도 3 참조).4, when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are combined, the outer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side plates 44, 46 of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74 and 76 of the second metal spheres 7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econd through hole 82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74 and the first screw hole 52 of the first side plate 44 of one 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ee FIG. 3). The second screw hole 80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74 and the first through hole 50 of the first side plate 44 of one 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ee Fig. 3). Similarly, the second through hole 86 of the second side plate 76 on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crew hole 56 of the other side plate 46 (see FIG. 3). The second screw hole 84 of the second side plate 76 on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hole 54 of the other side plate 46 (see FIG. 3).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구(40)와 제 2 금속구(70)를 결합시키면, 제 1 금속구(40)의 제 1 상면판(48)의 외측면(도면 중 상면)이, 제 2 금속구(70)의 제 2 상면판(78)의 내측면(도면 중 하면)과 겹쳐진다. 이때, 제 2 상면판(78)의 2개의 관통 구멍(88)은, 각각 제 1 상면판(48)의 나사 구멍(58)과 연이어 통한다(도 3 참조).4, when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are combine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48 of the first metal sphere 40 Is overlapped with the inner surface (lower surface in the figur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of the second metal sphere 7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two through holes 88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communicate with the screw holes 58 of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48 (see Fig.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구(30)에서는, 결합시킨 제 1 금속구(40)와 제 2 금속구(70)를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패턴이 존재한다. 이하, 각 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 중의 A1, A2, B1, B2, C1, C2의 각 화살표는, 나사 고정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As shown in Fig. 4, in the connector 30 of this embodiment, there are a plurality of connection patterns for connecting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which are combined by screwing. Each patter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arrows A1, A2, B1, B2, C1, and C2 in FIG. 4 indicate the screwing direction.

(제 1 패턴; A1, A2)(First patterns A1 and A2)

제 1 패턴에서는, 도 4의 화살표(A1, 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한다. 즉, 제 1 패턴에서는, 한쪽의 제 2 측면판(74)의 외측 방향(다른 쪽의 제 1 측면판(46)의 내측 방향이기도 함)으로부터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한다. 이 경우, 우선 화살표(A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제 2 측면판(74)의 외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통 구멍(82) 및 제 1 나사 구멍(52)(도 3 참조)에 나사를 끼워서, 한쪽의 제 2 측면판(74)과 한쪽의 제 1 측면판(44)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또한 화살표(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제 2 측면판(74)의 외측(즉,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46)의 내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1 관통 구멍(54) 및 제 2 나사 구멍(84)(도 3 참조)에 나사를 끼워서,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46)과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이때, 연결구(30)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개구부(32)로부터 공구를 삽입해서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한다. 따라서, 가령 주위의 작업 공간이 적은 장소에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이 배치되는 경우이어도, 한쪽의 제 2 측면판(74)의 외측 방향으로부터의 작업에 의해, 양 유닛(10, 2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다. In the first pattern, screw fixation is performed as indicated by arrows A1 and A2 in Fig. That is, in the first pattern, the screw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74 (also the inner direction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46). In this case, as shown by the arrow A1 in the figure, the second through hole 82 and the first screw hole 52 (refer to FIG. 3) which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from the outside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74 are screwed So that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74 and one of the first side plates 44 are connected by screwing. The first through hole 5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4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outside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74 (that is, the inside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46) Screws are inserted into the two screw holes 84 (see FIG. 3), and the other first side plate 46 and the other second side plate 76 are screwed together. At this time, the tool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32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30 to perform the screw fixing operation. Therefore, even in the case where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are disposed in a place where the work space around them is small, by the operation from the outer direction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74, 10 and 20 can be connected and fixed.

(제 2 패턴; B1, B2)(Second pattern: B1, B2)

제 2 패턴에서는, 도 4의 화살표(B1, B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한다. 즉, 제 2 패턴에서는,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의 외측 방향(한쪽의 제 1 측면판(44)의 내측 방향이기도 함)으로부터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한다. 이 경우, 우선 화살표(B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의 외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통 구멍(86) 및 제 1 나사 구멍(56)(도 3 참조)에 나사를 끼워서,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과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46)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또한, 화살표(B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의 외측(즉, 한쪽의 제 1 측면판(44)의 내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1 관통 구멍(50) 및 제 2 나사 구멍(80)(도 3 참조)에 나사를 끼워서, 한쪽의 제 1 측면판(44)과 한쪽의 제 2 측면판(74)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이때, 연결구(30)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개구부(32)로부터 공구를 삽입해서,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한다. 따라서, 주위의 작업 공간이 적은 장소에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이 배치되는 경우이어도,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76)의 외측 방향으로부터의 작업에 의해, 양 유닛(10, 2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다. In the second pattern, the screws are fixed as indicated by the arrows B1 and B2 in Fig. That is, in the second pattern, the screw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outer direction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76 (also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late 44 on one side). In this case, as shown by the arrow B1, the second through hole 86 and the first screw hole 56 (see Fig. 3)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from the outside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76 The other side second side plate 76 and the other side side plate 46 are connected by screwing. As shown by the arrow B2, the first through hole 5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0 are communicated from the outside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76 (that is,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plate 44)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crew hole 80 (see FIG. 3), and one of the first side plates 44 and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74 are connected by screwing. At this time, the tool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32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30, and a screw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refore, even when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are disposed in a place where the work space around them is small, by the operation from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76, 10 and 20 can be connected and fixed.

(제 3 패턴; C1, C2)(Third pattern: C1, C2)

제 3 패턴에서는, 도 4의 화살표(C1, C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한다. 즉, 제 3 패턴에서는, 제 2 상면판(78)의 위쪽으로부터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한다. 이 경우, 화살표(C1, C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이어 통하는 제 2 상면판(78)의 관통 구멍(88) 및 제 1 상면판(48)의 나사 구멍(58)에 나사를 끼워서, 제 2 상면판(78)과 제 1 상면판(48)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의 옆쪽의 작업 공간이 적은 장소에 양 유닛(10, 20)이 배치되는 경우이어도, 제 2 상면판(78)의 위쪽으로부터의 작업에 의해, 양 유닛(10, 2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다. In the third pattern, screw fixation is performed as indicated by arrows C1 and C2 in Fig. That is, in the third pattern, the screw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from above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In this case, as shown by the arrows C1 and C2, screws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88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and the screw holes 58 of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48, The upper surface plate 78 and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48 are connected by screwing. Therefore, even when both the units 10 and 20 are disposed at a place where the working space of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is small, the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second top plate 78 By the operation, both the units 10 and 20 can be connected and fixed.

(제 4 패턴; A1, B1)(Fourth pattern: A1, B1)

제 4 패턴에서는, 도 4의 화살표(A1, B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한다. 화살표(A1, B1)가 나타내는 나사 고정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제 4 패턴에 의한 경우, 연결구(30)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개구부(32)로부터 공구를 삽입해서,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화살표(A2, B2) 참조}. 따라서, 예를 들면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의 옆쪽에 충분히 작업 공간이 있고, 양 유닛(10, 20)의 위쪽에 충분한 작업 공간이 없는 경우 등에는, 제 4 패턴과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양 유닛(10, 2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다. In the fourth pattern, screw fixation is performed as indicated by arrows A1 and B1 in Fig. The screw fixing method indicated by the arrows A1 and B1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ourth pattern,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the tool through the opening 3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30 to perform the screwing operation (see arrows A2 and B2).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re is a sufficient working space on the side of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and there is not enough work space above the units 10 and 20, By screwing, both units 10 and 20 can be connected and fix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구(30)에 의하면,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이 배치되는 환경에 관계없이, 제 1 금속구(40)와 제 2 금속구(70)를 적절히 연결하여, 양 유닛(10, 20)을 적절히 연결 고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necting port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are disposed. So that both units 10 and 20 can be appropriately connected and fix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구(40)와 제 2 금속구(70)가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되어,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연결구(30)의 상부에 전도 방지 금속구(90)를 고정할 수 있다. 5, the first metal orifice 40 and the second metal orifice 70 are connected by screwing so that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onnected state, the conduction preventing metal sphere 90 can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hole 30. [

전도 방지 금속구(9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성형된 판 형상의 금속구이다. 전도 방지 금속구(90)는, 연결구(30)에 고정되는 제 1 부분(92)과, 벽 등의 다른 부재에 고정되는 제 2 부분(9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부분(94)의 길이는 제 1 부분(92)의 길이에 비해서 짧다. 또, 제 2 부분(94)은 제 1 부분(92)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분(92)에는 나사의 축부를 삽입 가능한 2개의 관통 구멍(98)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분(94)에도 나사의 축부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96)이 형성되어 있다. The conduction preventing metal sphere 90 is a plate-like metal sphere formed in a substantially L shape. The anti-falling metal ball 90 has a first portion 92 fixed to the connector 30 and a second portion 94 fixed to another member such as a wall.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94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portion 92. The second portion 94 is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rtion 92. The first portion 92 is formed with two through holes 98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The second portion 94 is also formed with a through hole 96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전도 방지 금속구(90)를 연결구(30)에 부착하는 경우, 우선 제 1 부분(92)을 노출되어 있는 제 2 금속구(70)의 제 2 상면판(78) 위에 배치한다. 이어서, 제 1 부분(92)의 관통 구멍(98)을 제 2 상면판(78)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구멍(89)(도 4 참조)에 위치 맞춤시킨다. 이때, 제 1 부분(92)의 2개의 관통 구멍(98)을, 제 2 상면판(78)에 형성되어 있는 3개의 나사 구멍(89) 중 2개와 위치 맞춤시킨다. 이어서, 연이어 통하는 관통 구멍(98) 및 나사 구멍(89)에 나사를 끼워서, 제 2 금속구(70)와 제 1 부분(92)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전도 방지 금속구(90)가 연결구(3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30)에 의하면, 제 2 상면판(78) 위에 전도 방지 금속구(90)의 제 1 부분(92)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열원기 유닛(10) 또는 탱크 유닛(20)에, 전도 방지 금속구(90)를 부착하기 위한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 2 상면판(78)이 「고정부」의 일례이다. The first portion 92 is first placed on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of the second metal sphere 70 exposed. Then, the through hole 98 of the first portion 92 is aligned with the screw hole 89 (see FIG. 4) formed in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At this time, the two through holes 98 of the first portion 92 are aligned with two of the three screw holes 89 formed in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Then, the second metal sphere 70 and the first portion 92 are connected and fixed by screwing them into the through hole 98 and the screw hole 89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conductive protection metal sphere 90 is fixed to the connector 30. The connection portion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fix the first portion 92 of the conduction preventing metal ball 90 on the second top plate 78 so that the heat source unit 10 or the tank unit 20 ),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process for attaching the anti-tip metal member 90 to the metal member.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78 of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of the " fixing portion ".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연결구(130)가 제 1 실시예의 연결구(30)와는 상이하다. 이하, 본 실시예의 연결구(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6 and 7,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nector 130 is different from the connector 30 in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the connecto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연결구(130)도, 열원기 유닛(10)에 부착되는 금속구인 제 1 금속구(140)와, 탱크 유닛(20)에 부착되는 금속구인 제 2 금속구(170)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1 금속구(140) 및 제 2 금속구(170)는, 그 기본적인 구조는 제 1 실시예의 제 1 금속구(40) 및 제 2 금속구(70)(도 3, 도 4 참조)와 공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제 1 금속구(40) 및 제 2 금속구(70)와 공통되는 설명을 부분적으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The connecto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first metal sphere 140 which is a metal sphere attached to the heat source unit 10 and a second metal sphere 170 which is a metal sphere attached to the tank unit 20. The basic structure of the first metal ball 140 and the second metal ball 170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etal ball 40 and the second metal ball 70 of the first embodiment 4).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common to the first metal sphere 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70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partially omitted.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구(140)는, 제 1 배면판(142)과, 1쌍의 제 1 측면판(144, 146)과, 제 1 상면판(148)을 구비한다. 6, the first metal sphere 140 includes a first back plate 142, a pair of first side plates 144 and 146, and a first top plate 148. The first metal plate 140 has a pair of first side plates 144 and 146,

제 1 배면판(142)은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제 1 배면판(142)에는 2개의 구멍(143)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배면판(142)을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에 고정할 수 있다. The first back plate 142 is a portion attached to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Two holes 143 are formed in the first back plate 142. Thus, the first back plate 142 can be fixed to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1쌍의 제 1 측면판(144, 146)은, 제 1 배면판(14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에는 제 1 나사 구멍(152)과 제 1 관통 구멍(150)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에도, 마찬가지로 제 1 나사 구멍(156)과, 제 1 관통 구멍(1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 1 개구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개구부(151)는, 나사(수나사)의 축부와 머리부를 모두 삽입 가능한 개구부이다. 또,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의 하단부에는 제 1 절결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절결부(155)도 나사의 축부와 머리부를 모두 삽입 가능한 절결부이다. The pair of first side plates 144 and 146 are portions formed continuously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back plate 142 and oppose each other. A first screw hole 152 and a first through hole 150 are formed in the first side plate 144 on one side. A first screw hole 156 and a first through hole 154 are likewise formed in the other side plate 14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151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one of the first side plates 144. The first opening 151 is an opening through which both the shaft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male screw) can be inserted. A first notch 155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146 on the other side. The first cutout portion 155 is also a cutout portion into which both the shaft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제 1 상면판(148)은 제 1 배면판(142)의 상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제 1 상면판(148)에는 2개의 나사 구멍(158)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상면판(148)에는 3개의 관통 구멍(159)이 더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148 is a portion formed continuously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ack plate 142. Two screw holes 158 are formed in the first upper plate 148. Three through holes 159 are further formed in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148.

제 2 금속구(170)는, 제 2 배면판(172)과, 1쌍의 제 2 측면판(174, 176)과, 제 2 상면판(178)을 구비한다. The second metal tool 170 includes a second back plate 172,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174 and 176, and a second top plate 178.

제 2 배면판(172)은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제 2 배면판(172)에도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제 2 배면판(172)을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에 고정할 수 있다. The second back plate 172 is a portion attached to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The second back plate 172 is also provided with a hole not shown so that the second back plate 172 can be fixed to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1쌍의 제 2 측면판(174, 176)은, 제 2 배면판(17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에는 제 2 나사 구멍(180)과 제 2 관통 구멍(182)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에도, 마찬가지로 제 2 나사 구멍(184)과 제 2 관통 구멍(18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 2 개구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개구부(181)도 나사의 축부와 머리부를 모두 삽입 가능한 개구부이다. 또,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하단부에는 제 2 절결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절결부(185)도 나사의 축부와 머리부를 모두 삽입 가능한 절결부이다. 또한, 제 2 측면판(174, 176)의 단부에는 각각 리브(175, 17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174 and 176 are portions formed continuously to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back plate 172 and oppose each other. A second screw hole 180 and a second through hole 182 are formed in the second side plate 174 on one side. Similarly, a second screw hole 184 and a second through hole 186 are formed in the second side plate 176 on the othe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opening 181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174. The second opening portion 181 is an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both the shaft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A second notch 185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176. The second notch 185 is also a cutout portion into which both the shaft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can be inserted. Ribs 175 and 177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ends of the second side plates 174 and 176, respectively.

제 2 상면판(178)은 제 2 배면판(172)의 상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제 2 상면판(178)의 길이 방향 3개소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볼록부에는 나사 구멍(189)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상면판(178)의 볼록부 이외의 부분(평면 부분)에는, 2개의 관통 구멍(188)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is a portion formed continuously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ar surface plate 172. Convex portions are formed at three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and screw holes 189 are formed in the convex portions. Two through holes 188 are formed in a portion (planar portion) other than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구(140)와 제 2 금속구(170)를 결합시키면, 제 1 금속구(140)의 1쌍의 제 1 측면판(144, 146)의 외측면이, 각각 제 2 금속구(170)의 1쌍의 제 2 측면판(174, 176)의 내측면과 겹쳐진다. 이때,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제 2 관통 구멍(182)과,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의 제 1 나사 구멍(152)이 연이어 통한다(도 6 참조). 또,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제 2 나사 구멍(180)과,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의 제 1 관통 구멍(150)이 연이어 통한다(도 6 참조). 또한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제 2 개구부(181)와,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의 제 1 개구부(151)가 연이어 통하여, 연통 개구부(200)가 형성된다. 7, when the first metal sphere 1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17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outer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side plates 144, 146 of the first metal sphere 140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174 and 176 of the second metal sphere 17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econd through hole 182 of the second side plate 174 and the first screw hole 152 of the first side plate 144 of one 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ee FIG. 6). The second screw hole 180 of the second side plate 174 and the first through hole 150 of the first side plate 144 of one 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ee Fig. 6). The second opening 181 of the second side plate 174 and the first opening 151 of the first side plate 144 of one 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communication opening 200.

또,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제 2 관통 구멍(186)과,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의 제 1 나사 구멍(156)이 연이어 통한다(도 6 참조). 또,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제 2 나사 구멍(184)과,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의 제 1 관통 구멍(154)이 연이어 통한다(도 6 참조). 또한,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제 2 절결부(185)와,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의 제 1 절결부(155)가 연이어 통하여, 연통 절결부(202)가 형성된다. The second through hole 186 of the second side face plate 176 and the first screw hole 156 of the other first side face plate 14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ee FIG. 6). The second screw hole 184 of the second side plate 176 and the first through hole 154 of the other side plate 14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ee Fig. 6). The second notch 185 of the second side plate 176 and the first notch 155 of the first side plate 146 of the other 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ng cutout 202, .

연통 개구부(200)는,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의 제 1 관통 구멍(154) 및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제 2 나사 구멍(184)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연통 절결부(202)는,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의 제 1 관통 구멍(150) 및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제 2 나사 구멍(180)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200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through hole 154 of the first side plate 146 and the second screw hole 184 of the other side plate 176 do.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202 is loca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through hole 150 of the first side plate 144 and the second screw hole 180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174 .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구(140)와 제 2 금속구(170)를 결합시키면, 제 1 금속구(140)의 제 1 상면판(148)의 외측면(도면 중 상면)이, 제 2 금속구(170)의 제 2 상면판(178)의 내측면(도면 중 하면)과 겹쳐진다. 이때, 제 2 상면판(178)의 2개의 관통 구멍(188)은 각각 제 1 상면판(148)의 나사 구멍(158)과 연이어 통한다(도 6 참조). 또한, 동시에 제 2 상면판(178)의 3개의 나사 구멍(189)과 제 1 상면판(148)의 3개의 관통 구멍(159)도 연이어 통한다(도 6 참조).7, when the first metal sphere 1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17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op plate 148 of the first metal sphere 140 Overlaps the inner surface (lower surface in the figur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of the second metal sphere 170. [ At this time, the two through holes 188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communicate with the screw holes 158 of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148, respectively (see FIG. 6). At the same time, the three screw holes 189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and the three through holes 159 of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14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ee Fig. 6).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구(130)에서도, 결합시킨 제 1 금속구(140)와 제 2 금속구(170)를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하기 때문에, 복수의 연결 패턴이 존재한다. 이하, 각 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 중의 A3, A4, B3, B4, C3, C4의 각 화살표는, 나사 고정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As shown in Fig. 6, in the connecting hole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onnecting patterns exist because the combined first metal sphere 140 and the second metal sphere 170 are connected by screwing. Each patter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arrows A3, A4, B3, B4, C3 and C4 in Fig. 7 indicate the screwing direction.

(제 1 패턴; A3, A4)(First pattern; A3, A4)

제 1 패턴에서는, 도 7의 화살표(A3, A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한다. 즉, 제 1 패턴에서는,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외측 방향(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의 내측 방향이기도 함)으로부터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한다. 이 경우, 우선 화살표(A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외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통 구멍(182) 및 제 1 나사 구멍(152)(도 6 참조)에 나사를 끼워서, 한쪽의 제 2 측면판(174)과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또한, 화살표(A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외측 방향으로부터 연통 개구부(200)를 통해서,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의 제 1 관통 구멍(154) 및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제 2 나사 구멍(184)(도 6 참조)에 나사를 끼워서,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과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통 개구부(200)는,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의 제 1 관통 구멍(154) 및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제 2 나사 구멍(184)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패턴에서는,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외측 방향으로부터 작업을 행할 경우에, 연통 개구부(200)에 공구를 삽입시키면,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과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을 나사 고정 가능한 위치에 나사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 부담이 적어진다. In the first pattern, screw fixing is performed as indicated by arrows A3 and A4 in Fig. That is, in the first pattern, the screw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one second side face plate 174 (also the inner direction of the other first side face plate 146). In this case, first, as shown by the arrow A3, the second through hole 182 and the first screw hole 152 (see Fig. 6)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the outside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174 are screwed So that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174 and one of the first side plates 144 are connected by screwing. The first through hole 154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146 extends from the outer side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174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200 as shown by the arrow A4, 6) of the second side plate 176 and the second screw hole 184 (see FIG. 6) of the other side plate 176, and the other side plate 146 and the second side plate 176 Are screwed together.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200 is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54 of the first side plate 146 and the second screw hole 184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176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Therefore, in the present pattern, when the tool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200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outside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174, A screw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ide plate 176 can be screwed. Therefore, positioning of the screw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burden on the work can be reduced.

(제 2 패턴; B3, B4)(Second pattern; B3, B4)

제 2 패턴에서는, 도 7의 화살표(B3, B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한다. 즉, 제 2 패턴에서는,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외측 방향(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의 내측 방향이기도 함)으로부터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한다. 이 경우, 우선 화살표(B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외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통 구멍(186) 및 제 1 나사 구멍(156)(도 6 참조)에 나사를 끼워서,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과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146)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또한, 화살표(B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외측(즉,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의 내측)으로부터 연통 절결부(202)를 통해서,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의 제 1 관통 구멍(150) 및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제 2 나사 구멍(180)에 나사를 끼워서, 한쪽의 제 1 측면판(144)과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통 절결부(202)는, 한쪽의 제 1 측면판(144)의 제 1 관통 구멍(150) 및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의 제 2 나사 구멍(180)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패턴에서는,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176)의 외측 방향으로부터 작업을 행할 경우에, 연통 절결부(202)에 공구를 삽입시키면, 한쪽의 제 1 측면판(144)과 한쪽의 제 2 측면판(174)을 나사 고정 가능한 위치에 나사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 부담이 적어진다. In the second pattern, screw fixing is performed as indicated by arrows B3 and B4 in Fig. That is, in the second pattern, the screw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176 (also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44 on one side). In this case, the second through hole 186 and the first screw hole 156 (refer to Fig. 6), which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from the outside of the other second side face plate 176, The other side second side plate 176 and the other side first side plate 146 are connected by screwing. Further, as indicated by the arrow B4,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176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44)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50 of the first side plate 144 and the second screw hole 180 of the one side second side plate 174 so that one side plate 144 and one And the second side plate 174 is connected by screwing.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202 is formed so as to be opposed to the first through hole 150 of the first side plate 144 and the second screw hole 180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174,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the present pattern, when a tool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202 when the work is performed from the outside of the other second side face plate 176, A screw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ide plate 174 can be screwed. Therefore, positioning of the screw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burden on the work can be reduced.

(제 3 패턴; C3, C4)(Third pattern: C3, C4)

제 3 패턴에서는, 도 7의 화살표(C3, C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한다. 즉, 제 3 패턴에서는, 제 2 상면판(178)의 위쪽으로부터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한다. 이 경우, 화살표(C3, C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이어 통하는 제 2 상면판(178)의 관통 구멍(188) 및 제 1 상면판(148)의 나사 구멍(158)에 나사를 끼워서, 제 2 상면판(178)과 제 1 상면판(148)을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한다. In the third pattern, screw fixation is performed as indicated by arrows C3 and C4 in Fig. That is, in the third pattern, the screw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from above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In this case, as shown by the arrows C3 and C4,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88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and the screw hole 158 of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148, The upper surface plate 178 and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148 are connected by screwing.

(제 4 패턴; A3, B3)(Fourth pattern: A3, B3)

제 4 패턴에서는, 도 7의 화살표(A3, B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한다. 화살표(A3, B3)로 나타내는 나사 고정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제 4 패턴에 의한 경우, 연통 개구부(200)나 연통 절결부(202)를 통해서 나사 고정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화살표(A4, B4) 참조}. 따라서, 예를 들면 열원기 유닛(10)과 탱크 유닛(20)의 옆쪽에 충분히 작업 공간이 있고, 양 유닛(10, 20)의 위쪽에 충분한 작업 공간이 없는 경우 등에는, 제 4 패턴과 같이 나사 고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양 유닛(10, 2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다. In the fourth pattern, screw fixation is performed as indicated by arrows A3 and B3 in Fig. The screw fixing method indicated by the arrows A3 and B3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ourth pattern,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screw fixing operation through the communicating opening portion 200 and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202 (see arrows A4 and B4).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re is a sufficient working space on the side of the heat source unit 10 and the tank unit 20 and there is not enough work space above the units 10 and 20, By screwing, both units 10 and 20 can be connected and fix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구(130)에 의해서도,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연결구(30)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결구(130)에 의하면, 연통 개구부(200)나 연통 절결부(202)를 따라 공구를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나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 부담이 적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exhibit the same effect as the connector 30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necto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inserting the tool along the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200 and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202, it is possible to easily position the screw, .

또한, 본 실시예의 연결구(130)에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도 방지 금속구(90)를 고정할 수 있다(도 5 참조). 구체적으로는, 전도 방지 금속구(90)의 제 1 부분(92)의 2개의 관통 구멍(98)을, 제 2 금속구(170)의 제 2 상면판(178)의 3개의 나사 구멍(189)(도 7 참조) 중 2개와 중첩시켜 나사 고정을 행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상면판(178)의 나사 구멍(189)은 제 1 상면판(148)의 관통 구멍(159)과 연이어 통해 있다. 따라서, 나사는 연이어 통하는 각 구멍{전도 방지 금속구(90)의 제 1 부분(92)의 관통 구멍(98), 제 2 상면판(178)의 나사 구멍(189), 및 제 1 상면판(148)의 관통 구멍(159)}에 끼워진다. 이 결과, 전도 방지 금속구(90)의 제 1 부분(92)과, 제 2 금속구(170)의 제 2 상면판(178)이 나사 고정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전도 방지 금속구(90)가 연결구(13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130)에 의해서도, 열원기 유닛(10) 또는 탱크 유닛(20)에, 전도 방지 금속구(90)를 부착하기 위한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 2 상면판(178)이 「고정부」의 일례이다. Also, in the connecto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uction preventing metal sphere 90 can be fix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see Fig. 5). Specifically, the two through holes 98 of the first portion 92 of the anti-scattering metal sphere 90 are inserted into the three screw holes 189 of the second upper plate 178 of the second metal sphere 170 ) (Refer to Fig. 7). As described above, the screw hole 189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59 of the first upper surface plate 148. Therefore,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98 of the first portion 92 of the conduction preventing metal orifice 90, the screw hole 189 of the second top plate 178, and the first top plate 148). As a result, the first portion 92 of the conduction preventing metal sphere 90 and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of the second metal sphere 170 are connected and fixed by screwing. Thereby, the anti-falling metal ball 90 is fixed to the connector 130.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the processing for attaching the conduction preventing metal sphere 90 to the heat source unit 10 or the tank unit 20 by the connecto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upper surface plate 178 of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of the " fixing portion ".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e techniques described in the claims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변형예 1)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연결구{30(130)} 중, 제 1 금속구{40(140)}를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에 고정하고, 제 2 금속구{70(170)}를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에 고정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제 1 금속구{40(140)}를 탱크 유닛(20)의 케이싱(22)에 고정하고, 제 2 금속구{70(170)}를 열원기 유닛(10)의 케이싱(12)에 고정해도 좋다. (Modification Example 1)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first metal sphere 40 (140) among the connection ports 30 (130) is fixed to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The first metal member 40 (140) is fixed to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and the first metal member 40 (140) is fixed to the casing 22 of the tank unit 20 And the second metal member 70 (170) may be fixed to the casing 12 of the heat source unit 10.

(변형예 2)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연결구{30(130)}는, 열원기를 구비하는 열원기 유닛(10)과, 저탕 탱크를 구비하는 탱크 유닛(20)을 결합시킨 급탕 시스템(2)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구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구{30(130)}는, 열원기를 구비하는 열원기 유닛과, 난방용 열매(예를 들면 온수)를 저류(貯留)하기 위한 저탕 탱크를 결합시킨 난방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구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Modification 2)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onnection port 30 (130) includes a heat source unit 10 having a heat source and a tank unit 20 having a storage tank.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port 30 (130) is formed by forming a heating system that combines a heat source unit having a heat source and a storage tank for storing heat for heating (for example, hot water) As shown in Fig.

2 - 급탕 시스템 4 - 설치대
10 - 열원기 유닛 12 - 케이싱
20 - 탱크 유닛 22 - 케이싱
30 - 연결구 32 - 개구부
40 - 제 1 금속구 42 - 제 1 배면판
43 - 구멍 44, 46 - 제 1 측면판
48 - 제 1 상면판 50, 54 - 제 1 관통 구멍
52, 56 - 제 1 나사 구멍 58 - 나사 구멍
70 - 제 2 금속구 72 - 제 2 배면판
74, 76 - 제 2 측면판 75, 77 - 리브
78 - 제 2 상면판 80, 84 - 제 2 나사 구멍
82, 86 - 제 2 관통 구멍 88 - 관통 구멍
89 - 나사 구멍 90 - 전도 방지 금속구
92 - 제 1 부분 94 - 제 2 부분
96 - 관통 구멍 98 - 관통 구멍
100 - 결합 금속구 130 - 연결구
140 - 제 1 금속구 142 - 제 1 배면판
143 - 구멍 144, 146 - 제 1 측면판
148 - 제 1 상면판 150, 154 - 제 1 관통 구멍
151 - 제 1 개구부 152, 156 - 제 1 나사 구멍
155 - 제 1 절결부 158 - 나사 구멍
159 - 관통 구멍 170 - 제 2 금속구
172 - 제 2 배면판 174, 176 - 제 2 측면판
175, 177 - 리프 178 - 제 2 상면판
180, 184 - 제 2 나사 구멍 181 - 제 2 개구부
182, 186 - 제 2 관통 구멍 185 - 제 2 절결부
188 - 관통 구멍 189 - 나사 구멍
200 - 연통 개구부 202 - 연통 절결부
2 - Hot water system 4 - Mounting table
10 - heat source unit 12 - casing
20 - tank unit 22 - casing
30 - Connector 32 - Opening
40 - first metal sphere 42 - first back plate
43 - hole 44, 46 - first side plate
48 - first top plate 50, 54 - first through hole
52, 56 - first screw hole 58 - screw hole
70 - second metal sphere 72 - second back plate
74, 76 - second side plates 75, 77 - ribs
78 - second upper surface plate 80, 84 - second screw hole
82, 86 - second through hole 88 - through hole
89 - Screw hole 90 - Anti-slip metal ball
92 - first part 94 - second part
96 - through hole 98 - through hole
100 - bonded metal spheres 130 -
140 - first metal sphere 142 - first back plate
143 - Hole 144, 146 - First side plate
148 - a first top plate 150, 154 - a first through hole
151 - first opening 152, 156 - first screw hole
155 - Section 1 Corner 158 - Screw Holes
159 - through hole 170 - second metal sphere
172 - second back plate 174, 176 - second side plate
175, 177 - leaf 178 - second top plate
180, 184 - second screw hole 181 - second opening
182, 186 - Second through hole 185 - Second cutout
188 - Through hole 189 - Screw hole
200 - communicating opening 202 - communicating notch

Claims (3)

저탕 탱크를 구비하는 탱크 유닛과, 열원기를 구비하는 열원기 유닛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로서,
연결구는,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 중 한쪽의 유닛에 부착되는 제 1 금속구와;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 중 다른 쪽의 유닛에 부착되는 제 2 금속구;를 구비하고,
제 1 금속구는, 상기 한쪽의 유닛 중 상기 다른 쪽의 유닛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부착되는 제 1 배면판과; 제 1 배면판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제 1 측면판;을 구비하고,
1쌍의 제 1 측면판에는 각각 제 1 관통 구멍과 제 1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제 2 금속구는, 상기 다른 쪽의 유닛 중 상기 한쪽의 유닛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부착되는 제 2 배면판과; 제 2 배면판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제 2 측면판;을 구비하고,
1쌍의 제 2 측면판에는 각각 제 2 관통 구멍과 제 2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을 나란히 배치하여, 제 1 금속구와 제 2 금속구를 결합하면,
1쌍의 제 1 측면판의 외측면이, 각각 1쌍의 제 2 측면판의 내측면과 겹쳐지고,
제 1 관통 구멍은 제 2 나사 구멍과 연이어 통하고,
제 1 나사 구멍은 제 2 관통 구멍과 연이어 통하고,
제 2 측면판의 외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통 구멍 및 제 1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측면판의 내측으로부터, 연이어 통하는 제 1 관통 구멍 및 제 2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d fixing a tank unit having a storage tank and a heat source unit having a heat source,
The connector has a first metal sphere attached to one of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nd a second metal sphere attached to the other of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The first metal sphere includes a first back plate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one of the units facing the other unit; And a pair of first side plates continuously formed on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back plate and opposed to each other,
A pair of first side plates are each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and a first screw hole,
The second metal sphere has a second back plate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other unit facing the one unit; And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continuously form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back plate and opposed to each other,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are each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and a second screw hole,
When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first metal sphere and the second metal sphere are combined,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 plates overlap wi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 plates,
The first through hol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crew hole,
The first screw hol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The screw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first screw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Wherein a screw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screw hole which are communicat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한쪽의 제 1 측면판에는 제 1 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에는 제 1 절결부가 더 형성되고,
한쪽의 제 2 측면판에는 제 2 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에는 제 2 절결부가 더 형성되고,
탱크 유닛과 열원기 유닛을 나란히 배치하여, 제 1 금속구와 제 2 금속구를 결합시키면,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가 연이어 통해서 연통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절결부와 제 2 절결부가 연이어 통해서 연통 절결부가 형성되고,
연통 개구부는,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 및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연통 절결부는, 한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 및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으로부터 연통 개구부를 통해서, 다른 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과, 제 1 관통 구멍과 연이어 통하는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고,
다른 쪽의 제 2 측면판의 외측으로부터 연통 절결부를 통해서, 한쪽의 제 1 측면판의 제 1 관통 구멍과, 제 1 관통 구멍과 연이어 통하는 한쪽의 제 2 측면판의 제 2 나사 구멍에 나사를 끼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ide plate on one side further has a first opening,
The first side plate on the other side further has a first notch,
The second side plate on one side further has a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late on the other side further has a second notch portion,
When the tank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first metal sphere and the second metal sphere are combined,
A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in succession and a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first notch portion and the second notch portion successively,
The communication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ng the first through hole of one of the first side face plates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the one of the second side face plates,
A screw is screw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other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one second side pl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Lt; / RTI >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of on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one of the second side plates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through the communicating cutout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other second side plate And a connecting end which is capable of being insert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1 금속구와 제 2 금속구 중 적어도 한쪽이, 전도(傳倒)를 방지하기 위한 전도 방지 금속구의 일부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metal sphere and the second metal sphere has a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a part of the metal stopper for preventing the metal from falling off.
KR1020130067817A 2012-06-13 2013-06-13 Connector KR1014289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33698A JP2013257084A (en) 2012-06-13 2012-06-13 Connector
JPJP-P-2012-133698 2012-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803A KR20130139803A (en) 2013-12-23
KR101428927B1 true KR101428927B1 (en) 2014-08-08

Family

ID=4995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817A KR101428927B1 (en) 2012-06-13 2013-06-13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257084A (en)
KR (1) KR1014289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6917B2 (en) * 2015-01-06 2018-09-05 リンナイ株式会社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JP6389764B2 (en) * 2015-01-06 2018-09-12 リンナイ株式会社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460A (en) * 1996-09-30 199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ic device mounting structure
JPH10141329A (en) * 1996-11-13 1998-05-26 Nec Corp Fixture and method for fitting indoor equipment using the fixture
JP2001050223A (en) 1999-08-09 2001-02-23 Nec Saitama Ltd Casing mounting fitting
JP2011158129A (en) 2010-01-29 2011-08-18 Gastar Corp Heat source machine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460A (en) * 1996-09-30 199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ic device mounting structure
JPH10141329A (en) * 1996-11-13 1998-05-26 Nec Corp Fixture and method for fitting indoor equipment using the fixture
JP2001050223A (en) 1999-08-09 2001-02-23 Nec Saitama Ltd Casing mounting fitting
JP2011158129A (en) 2010-01-29 2011-08-18 Gastar Corp Heat source machine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803A (en) 2013-12-23
JP2013257084A (en)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0460T3 (en) Device for fixing a connector
KR101428927B1 (en) Connector
WO2017203352A1 (en) Single-ended cooling module rows and assemblies for thermal management of in-line memory modules
US20170150635A1 (en) Server
US10537045B2 (en) Device comprising a tubular cooler and an electronic housing
CN101688690B (en) Connection fitting for a radiator
CN104144591A (en) Cooling device and server cabinet with the same
CN204761925U (en) Water cooling plant that can buckle
CA2956008C (en) Modular assembly
JP4842228B2 (en) Electric valve unit device
CN102135648A (en) Optical fiber protective device
CN103747608A (en) Anti-off movable heat conduction structure
JP7001047B2 (en) Terminal block
CN107681074B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JP3187243U (en) Protective guard for heater
KR20140059544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hot water distributer made of engineering plastic material and hot water distributer having the same
CN208704509U (en) Equalizing plate structure
CN204761926U (en) Water cooling plant of bendable of selling off
JP2016205407A (en) Joint unit and storage shelf
JP7393879B2 (en) movable connector
US20230056377A1 (en) Data processor cartridge
JP7263739B2 (en) Assembled furniture frame
JP2009072466A (en) Washstand cabinet having built-in electric water heater
CZ35822U1 (en) Set for heating water distribution to and from a two-plate or single-plate radiator
TWM517842U (en) Fastener for heat s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