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563B1 - 셀 자투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셀 자투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563B1
KR101428563B1 KR1020130097586A KR20130097586A KR101428563B1 KR 101428563 B1 KR101428563 B1 KR 101428563B1 KR 1020130097586 A KR1020130097586 A KR 1020130097586A KR 20130097586 A KR20130097586 A KR 20130097586A KR 101428563 B1 KR101428563 B1 KR 10142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frame
pusher
tip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Priority to KR102013009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4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tools other than rotary type, e.g. reciproc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얇은 두께의 셀에서 자투리를 분리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두께를 갖는 셀에서 자투리를 분리시에 파손 등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투리를 제거하고, 자투리를 분리하기 이전에 셀의 틀어짐을 감지 및 정렬하여 불량의 요인을 방지하며, 자투리를 분리시에 셀에 발생하는 분력부분을 지지하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는 셀의 틀어짐을 감지 및 정렬하는 얼라인부와, 상기 얼라인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얼라인부와 함께 정렬된 상기 셀의 하면을 흡착하여 상기 셀의 자투리를 분리시에 발생하는 분력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승강에 의해 상기 자투리를 분리하고, 상기 자투리의 지름 폭에 따라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승강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자투리를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자투리 폭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셀의 상면을 가압하는 푸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자투리 제거장치{CELL TAG FOR REMOVING DEVICE}
본 발명의 얇은 두께의 셀에서 자투리를 분리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두께를 갖는 셀에서 자투리를 분리시에 파손 등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투리를 제거하고, 자투리를 분리하기 이전에 셀의 틀어짐을 감지 및 정렬하여 불량의 요인을 방지하며, 자투리를 분리시에 셀에 발생하는 분력부분을 지지하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TFT기판, 칼라필터 기판 등은 원판기판(1)에서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즉, 원판기판(1)에 크랙(C)을 형성한 다음, 충격을 가하여 셀(10)을 분리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TEG'는 원판기판(1)에서 셀(10)과 셀(10) 사이에 존재하는 자투리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원판기판에서 셀을 분리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스크라이버(20)를 이용하여 크랙(C)을 형성한 다음((a) 참조), 크랙(C)이 형성된 부분에 브레이커(30)를 이용하여 셀(10)을 분리한다((b) 참조). 마지막으로 분리된 셀(10)을 피커(40)로 흡착하여 다음공정을 위해 이송한다((c)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크랙이 형성된 원판기판에 충격을 가하여 셀을 분리할 때, 가해진 충격에 의해 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근래들어 소형기기를 위한 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이 경우 원판기판의 두께가 얇아져서 충격에 의한 손상이 더욱 빈번하고, 또한 원판기판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크랙의 형성깊이도 얇아져 셀을 분리하는 것이 더욱 어려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외부에서 이송된 셀의 틀어짐에 의하여 미 정렬된 상태로 자투리를 분리시에 셀의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투리를 분리시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하부가 지탱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분력에 의해 얇은 두께의 셀이 휘어 불량으로 측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얇은 두께를 갖는 셀에서 자투리를 분리시에 파손 등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투리를 제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투리를 분리하기 이전에 셀의 틀어짐을 감지 및 정렬하여 불량의 요인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투리를 분리시에 셀에 발생하는 분력부분을 지지하여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는 셀의 틀어짐을 감지 및 정렬하는 얼라인부와, 상기 얼라인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얼라인부와 함께 정렬된 상기 셀의 하면을 흡착하여 상기 셀의 자투리를 분리시에 발생하는 분력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승강에 의해 상기 자투리를 분리하고, 상기 자투리의 지름 폭에 따라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승강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자투리를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자투리 폭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셀의 상면을 가압하는 푸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베이스와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셀을 촬영하여 틀어짐을 측정 및 정렬하는 감지부재 및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재에 의해 정렬된 상기 셀의 이송을 위해 흡착하는 제1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셀의 모서리 부분을 촬영하여 틀어짐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및 상기 측정센서에 의해 틀어진 상기 셀을 회전에 의해 정렬하는 정렬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얼라인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몸체 상면 양측에 각각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부가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보조프레임과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몸체의 지름 폭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셀의 하면이 안착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는 상부가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설치기둥과, 상기 설치기둥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부가 상기 승강판 하면과 결합하도록 상기 설치기둥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셀이 안착시에 완충작용에 의해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완충관 및 상기 승강판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셀의 하면이 안착하는 제2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부 좌/우측에 서로 마주보게 이웃하도록 구비되고,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푸셔부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부 상부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게 이웃하도록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푸셔부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내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자투리의 하면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분리하는 팁 및 상기 승강몸체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팁이 상승 속도를 제어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면에 상기 푸셔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천공 형성된 설치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팁은 상기 자투리의 길이보다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팁은 상면에 상기 자투리의 하면 모서리에 힘의 작용점이 생성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상부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고정핀과, 일측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과 고정설치되는 하부고정핀 및 상부가 상기 상부고정핀과 결합하고, 하부가 상기 하부고정핀 타측과 결합하며, 탄성 복원이 가능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셔부는 상기 분리부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셔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푸셔프레임 상부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셀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수평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연장프레임 타측에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하부에 상기 셀의 하면을 가압하는 푸셔가 구비된 조절대 및 상기 분리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푸셔프레임 하부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두께를 갖는 셀에서 자투리를 분리시에 파손 등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투리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투리를 분리하기 이전에 셀의 틀어짐을 감지 및 정렬하여 불량의 요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투리를 분리시에 셀에 발생하는 분력부분을 지지하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원판기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 원판기판에서 셀을 분리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의 얼라인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 얼라인부의 측정센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 베이스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 분리부 및 푸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 분리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 자투리 제거장치(이하, 간략히 '제거장치'라 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거장치(1)는 크게 얼라인부(100), 베이스부(200), 분리부(300), 푸셔부(400) 및 제어부(500)의 구성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얼라인부(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B) 등을 통하여 이송된 자투리(T)가 형성된 셀(W)의 틀어짐 정도를 감지하고, 그 틀어짐의 정도에 따라 상기 셀(W)을 회전시켜 정렬하고자 하는 구성으로 이동체(110), 감지부재(120) 및 제1흡착판(130)의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체(110)는 후술하는 감지부재(120) 및 제1흡착판(1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이드레일(220) 외면을 따라 모터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이동체(110)에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셀(W)의 크기에 따라 측정센서(121)가 이동하여 측정 가능하도록 장홈(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부재(120)는 컨베이어(B)로 이송된 셀(W)의 틀어짐 정도를 감지하여 정령하기 위한 구성으로 측정센서(121) 및 정렬모터(123)의 구성을 포함한다.
측정센서(121)는 측정하고자 하는 셀(W)의 각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촬영할 수 있도록 이동체(110)의 장홈(1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과 동시에 상기 셀(W)의 틀어짐 정도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센서(121)는 셀(W)에 형성된 표시부(M) 또는 자투리(T) 끝단의 모서리 부분을 측정센서(121)에 임의로 구비된 기준선(121a)을 기준으로 그 틀어짐 정도를 판단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영역(S) 중앙부에 구비된 임의의 '+'자 나 'ㅡ'자 등의 기준선(121a)을 기준으로 셀(W)의 각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된 표시부(M)와 매치시키거나 자투리(T) 끝단의 모서리 부분을 기준선(121a)과 매치하여 그 틀어짐 정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셀(W)의 형상에 상관없이 측정센서(121)를 이동하여 상기 측정센서(121)에 구비된 임의의 기준선(121a)을 기준으로 표시부(M) 또는 자투리(T) 모서리 형상을 통해 틀어짐 정도를 측정 및 그 틀어짐에 따라 정렬이 용이하여 자투리(T)를 분리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최소화한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체(110)에는 측정센서(121)의 이동을 위해 구동 가능한 모터 등이 설치된다.
정렬모터(123)는 제1흡착판(1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동체(110)에 고정설치되며, 측정센서(121)를 통해 측정된 셀(W)을 회전시켜 정렬한다.
또한 제1흡착판(130)은 이동체(110) 하부에 구비되며, 측정센서(121)를 통해 측정 및 정렬이 완료된 셀(W)의 상면을 승강에 의해 흡착하여 후반 공정단계로 이송가능하게 한다. 제1흡착판(130)은 경우에 따라 측정 이전에 셀(W)을 흡착하여 측정센서(121)로 측정 가능하도록 하여 정렬모터(123)에 의해 상기 셀(W)이 정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때 제1흡착판(130)의 셀(W)을 흡착시에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작용이 가능한 복수의 실린더로 구비되며, 흡착 이후에 측정센서(121)를 통해 틀어짐이 측정 가능하도록 표시부(M)가 간섭되지 않도록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얼라인부(100)는 측정센서(121)를 통해 셀(W)의 틀어짐이 감지된 경우, 정렬모터(123)로 정렬이 이루어진 후에 셀(W)이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정렬모터(123)는 이동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셀(W)이 정렬가능하도록 설계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인이라면 예측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라인부(100)를 통해 이동된 셀(W)을 안착시켜 상기 셀(W)에 형성된 자투리(T)의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210), 가이드레일(220), 보조프레임(230), 이동프레임(240), 구동부재(250) 및 안착부재(2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210)는 지면과 일정 높이를 갖도록 다수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결합으로 사각 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면 지름 폭 중앙부에는 안착부재(260)가 설지될 수 있도록 개구부(211)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레일(220)은 몸체(210) 상부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고정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얼라인부(100)가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레일(220) 양측에는 얼라인부(100)가 수평이동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상면 양측에 각각 스토퍼(2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프레임(230)은 몸체(210) 상면 양측에 각각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이동프레임(240)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때 보조프레임(230) 상면에는 이동프레임(240)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홈(2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프레임(240)은 상부에 분리부(300)가 구비되며, 하면 양측이 각각 한 쌍의 가이드홈(231)에 삽입되며, 구동부재(250)와 결합하여 보조프레임(230)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동프레임(240) 상면에는 모터에 의해 분리부(300)가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동홈(2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재(250)는 몸체(210)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 보조프레임(230)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보조프레임(230) 상부에 구비된 이동프레임(240)이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스크루(251), 연결축(253) 및 구동모터(255)를 포함한다.
스크루(251)는 보조프레임(230)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동프레임(240) 하면과 치(齒) 결합하여 스크루(251)의 회전에 의해 분리부(300)가 결합한 이동프레임(24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연결축(253)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양끝단이 한 쌍의 보조프레임(230) 내부에 삽입되어 스크루(251)와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한다.
구동모터(255)는 연결축(253)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연결축(253)의 회전에 의해 스크루(251)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루(251)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프레임(240)을 이동시킨다.
또한 안착부재(260)는 몸체(210)에 형성된 개구부(211)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셀(W)의 하면이 안착하여 자투리(T)를 분리시에 안정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설치기둥(261), 승강판(263), 완충관(265) 및 제2흡착판(267)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치기둥(261)은 상부가 개방되고,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완충관(265)이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다.
또한 승강판(263)은 설치기둥(261)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되며, 하면이 완충관(265)의 상부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완충관(265)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기둥(261)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2흡착판(267)에 셀(W)의 하면이 안착시에 승강판(263)이 완충작용에 의해 상기 셀(W)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흡착판(267)은 승강판(263)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셀(W)의 하면이 고정안착하여 자투리(T)를 분리시에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흡착판(267)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도 7의 (a)참조)에는 팁(340)을 통해 상방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팁(340)과 자투리(T)와의 힘의 작용점(P) 및 경사각(D1)이 발생하게 되고, 그 힘은 그대로 셀(W)의 지름 폭 중심부로 이동하는 분력이 형성되어 제1흡착판(130)의 흡착력의 절감으로 인해 틈새(D1,D2)가 발생하여 상기 셀(W)이 파손되거나 또는 다시 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2흡착판(267)을 통해 셀(W) 하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도 7의 (b)참조), 상술한 분력이 생겨도 상기 셀(W)이 제1 및 제2흡착판(130,267)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300)는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10) 상면의 상/하/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셀(W)의 크기에 따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투리(T)를 분리하는 구성으로 제1 및 제2프레임(310,320), 승강몸체(330), 팁(340) 및 완충부재(350)의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프레임(310)은 몸체(210) 상면 좌/우측에 서로 마주보게 이웃하도록 구비되며, 하부가 이동프레임(240)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 양측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 보조프레임(230)과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또한 제2프레임(320)은 몸체(210) 상면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게 이웃하도록 구비되며, 하부가 몸체(210)와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본 발명은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을 통해 셀(W)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X,Y축으로 이동하여 상기 셀(W)에 맞게 조정 가능한 것은 물론, 상기 셀(W)에 형성된 자투리(T)의 개수와 상관없이 팁(340)을 통해 분리 가능하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제1 및 제2프레임(310,320)은 각각 상면에 푸셔프레임(410)의 하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홈(311,321)이 천공 형성된다.
또한 승강몸체(330)는 제1 및 제2프레임(310,320)에 구비된 실린더(360)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여 팁(340)을 승강시킨다.
또한 팁(340)은 승강몸체(330)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몸체(330)의 승강에 따라 자투리(T)의 하면과 면 접촉하여 상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자투리(T)를 분리한다. 이때 팁(340)은 자투리(T)의 하면 모서리와 면 접촉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팁(340) 상면에 경사부(34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팁(340)의 상승에 의해 자투리(T)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을 한곳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팁(340)의 길이는 자투리(T)를 분리시에 셀(W)에 잔여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자투리(T)와 같거나 거 길게 형성한다. 즉, 분리하고자 하는 자투리(T)보다 팁(340)이 더 작은 경우에는 상기 자투리(T)를 분리시에 잔여분이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팁(340)의 길이를 자투리(T)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다.(도 10 참조)
또한 완충부재(350)는 팁(340)이 설치된 승강몸체(330) 타측에 탄성 복원 가능하게 구비되어 실린더(360)의 상승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편(351), 상부고정핀(353), 하부고정핀(355) 및 스프링(357)을 포함한다.
고정편(351)은 일측이 승강몸체(330)와 고정 설치되며, 상부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나사조절에 의해 상부고정핀(353)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부고정핀(353)은 고정편(351) 상부에 관통 삽입되며, 하부가 스프링(357)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357)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하부고정핀(355)은 일측이 제1 및 제2프레임(310,320)에 고정하며, 타측이 스프링(357) 하부와 결합한다.
스프링(357)은 상부가 상부고정핀(353)의 하부와 결합하고, 하부가 하부고정핀(355)과 결합하여 탄성 복원에 의해 승강몸체(330)의 상승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푸셔부(400)는 자투리(T)의 폭 길이에 따라 분리부(300)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분리부(300)가 자투리(T)를 절단시에 셀(W)의 상면을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자투리(T)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푸셔프레임(410), 연장프레임(420), 조절대(430) 및 조절부재(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푸셔프레임(410)은 하부가 제1 및 제2프레임(310,320) 상면에 형성된 설치홈(311,321)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310,320) 내부에 구비된 조절부재(440)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푸셔프레임(410)은 상부에 구비되는 연장프레임(420)의 위치가 분리부(300)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푸셔(431)가 셀(W)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프레임(420)은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푸셔프레임(410)의 상부 일측과 결합하고, 타측에는 조절대(430)가 구비된다.
또한 조절대(430)는 연장프레임(420) 타측과 수직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조절대(430) 하부에는 셀(W)의 상면을 가압시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재질의 푸셔(4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부재(440)는 제1 및 제2프레임(310,320) 내부에 각각 구비되며, 푸셔부(400)가 자투리(T)의 지름 폭에 따라 이동하여 셀(W)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투리제거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셀(W)이 턴테이블(B)을 통해 이동시에 틀어지는 현상을 얼라인부(100)의 측정센서(121)와 정렬모터(123)를 통해 상기 셀(W)의 틀어짐 및 정렬이 가능하여 베이스부(200)로 이송시에 자투리(T)를 분리하기가 더욱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얼라인부(100)를 통해 이송된 셀(W)의 자투리(T)를 팁(340)을 통해 분리시에 상기 셀(W)의 지름 폭 중앙부로 가해지는 분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부재(260)가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자투리(T)의 분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제1프레임(310)과 Y축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제2프레임(320)의 분리부(300)를 통해 셀(W)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분리하고자 하는 자투리(T) 하부로 팁(340)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상기 자투리(T)를 분리시에 일일이 팁(340)을 교체하지 않고도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셀(W)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자투리(T)의 개수에 상관없이 작업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자투리(T)를 분리시에 상기 자투리(T)의 지름 폭에 따라 이동하여 셀(W)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푸셔부(400)를 통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팁(340)이 상승하여 자투리(T)를 분리시에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자투리 제거장치
100: 얼라인부 110: 이동체
111: 장홈 120: 감지부재
121: 측정센서 123: 정렬모터
130: 제1흡착판 200: 베이스부
210: 몸체 211: 개구부
220: 가이드레일 221: 스토퍼
230: 보조프레임 231: 가이드홈
240: 이동프레임 241: 이동홈
250: 구동부재 251: 스크루
253: 연결축 255: 구동모터
260: 안착부재 261: 설치기둥
263: 승강판 265: 완충관
267: 제2흡착판 300: 분리부
310: 제1프레임 311: 설치홈
320: 제2프레임 321: 설치홈
330: 승강몸체 340: 팁
341: 경사부 350: 완충부재
351: 고정편 353: 상부고정핀
355: 하부고정핀 357: 스프링
360: 실린더 400: 푸셔부
410: 푸셔프레임 420: 연장프레임
430: 조절대 440: 조절부재
500: 제어부

Claims (11)

  1. 셀의 틀어짐을 감지 및 정렬하는 얼라인부;
    상기 얼라인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얼라인부와 함께 정렬된 상기 셀의 하면을 흡착하여 상기 셀의 자투리를 분리시에 발생하는 분력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승강에 의해 상기 자투리를 분리하고, 상기 자투리의 지름 폭에 따라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승강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자투리를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자투리 폭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셀의 상면을 가압하는 푸셔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베이스와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셀을 촬영하여 틀어짐을 측정 및 정렬하는 감지부재; 및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재에 의해 정렬된 상기 셀의 이송을 위해 흡착하는 제1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셀의 모서리 부분을 촬영하여 틀어짐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및
    상기 측정센서에 의해 틀어진 상기 셀을 회전에 의해 정렬하는 정렬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얼라인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몸체 상면 양측에 각각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부가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한 쌍의 상기 보조프레임과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몸체의 지름 폭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셀의 하면이 안착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부가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설치기둥;
    상기 설치기둥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판;
    상부가 상기 승강판 하면과 결합하도록 상기 설치기둥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셀이 안착시에 완충작용에 의해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완충관; 및
    상기 승강판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셀의 하면이 안착하는 제2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부 좌/우측에 서로 마주보게 이웃하도록 구비되고,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푸셔부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프레임;
    상기 베이스부 상부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게 이웃하도록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푸셔부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 내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몸체;
    상기 승강몸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자투리의 하면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분리하는 팁; 및
    상기 승강몸체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팁이 상승 속도를 제어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각각 상면에 상기 푸셔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천공 형성된 설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상기 자투리의 길이보다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상면에 상기 자투리의 하면 모서리에 힘의 작용점이 생성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부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편;
    상기 고정편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고정핀;
    일측이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고정설치되는 하부고정핀; 및
    상부가 상기 상부고정핀과 결합하고, 하부가 상기 하부고정핀 타측과 결합하며, 탄성 복원이 가능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는
    상기 분리부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셔프레임;
    일측이 상기 푸셔프레임 상부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셀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수평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연장프레임 타측에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하부에 상기 셀의 하면을 가압하는 푸셔가 구비된 조절대; 및
    상기 분리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푸셔프레임 하부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자투리 제거장치.
KR1020130097586A 2013-08-19 2013-08-19 셀 자투리 제거장치 KR10142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586A KR101428563B1 (ko) 2013-08-19 2013-08-19 셀 자투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586A KR101428563B1 (ko) 2013-08-19 2013-08-19 셀 자투리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563B1 true KR101428563B1 (ko) 2014-08-11

Family

ID=5175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586A KR101428563B1 (ko) 2013-08-19 2013-08-19 셀 자투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740A (ko) * 2014-12-03 2016-06-13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셀 자투리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자투리 제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32Y2 (ko) * 1979-01-19 1986-01-16
KR20130009555A (ko) * 2011-07-13 2013-01-23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지지부재 얼라인 장치와 이를 포함한 기판처리시스템, 및 기판지지부재 얼라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32Y2 (ko) * 1979-01-19 1986-01-16
KR20130009555A (ko) * 2011-07-13 2013-01-23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지지부재 얼라인 장치와 이를 포함한 기판처리시스템, 및 기판지지부재 얼라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740A (ko) * 2014-12-03 2016-06-13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셀 자투리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자투리 제거방법
KR101664786B1 (ko) * 2014-12-03 2016-10-12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셀 자투리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자투리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7489B2 (ja) 脆性基板のブレイク方法及び装置
US10220483B2 (en) Substrate grinding device
KR101800169B1 (ko) 패널 상하 반전 장치 및 그 방법
CN109061915B (zh) 一种通用lcd模组点灯自动压接机构
KR102605917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1428563B1 (ko) 셀 자투리 제거장치
JP2003197724A (ja) 貼付けウエハ分離装置および貼付けウエハ分離方法
KR101544285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 장치
KR101493363B1 (ko) 셀 자투리 제거장치
KR101428564B1 (ko) 셀 자투리 제거장치용 셀 안착유닛
KR10084902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CN109824261B (zh) 基板切割装置及基板切割方法
KR102067981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696765B1 (ko)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
KR20180027683A (ko) 글래스 더미 제거 장치
KR101696763B1 (ko)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분단취출장치
KR20190014262A (ko) 유연기판 벤딩장치
KR102067986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568012B1 (ko) 양면 스크라이빙 lcd패널 절단장치
KR102114025B1 (ko) 기판 절단 장치
KR20020065101A (ko) 액정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의 패널수평반송장치
KR20170115636A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1313092B1 (ko) 기판피킹장치 및 방법
KR102282430B1 (ko) 임시 접합 웨이퍼 디본딩장치 및 방법
KR102016479B1 (ko) 기판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