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552B1 -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552B1
KR101428552B1 KR1020120067809A KR20120067809A KR101428552B1 KR 101428552 B1 KR101428552 B1 KR 101428552B1 KR 1020120067809 A KR1020120067809 A KR 1020120067809A KR 20120067809 A KR20120067809 A KR 20120067809A KR 101428552 B1 KR101428552 B1 KR 101428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orn
carbon dioxide
derived
corn resid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540A (ko
Inventor
옥용식
정세희
이상수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5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14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8Prepolymers;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17/32Prepolymers; Macromolecular compounds of natural origin, e.g. cellulos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14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1/00Agricultural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수수 잔유물을 300∼700℃에서 1∼5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CO2)를 저감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옥수수 잔유물을 300∼700℃에서 1∼5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제조한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켜 토양에서 대기 중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킴으써 결과적으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저감시켜 지구 온난화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가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 효과 이외에도 토양유기물로써 토양을 안정화시켜 토양질 개선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농업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Description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Method for reduction for carbon dioxide from soils using biochar derived from corn residue}
본 발명은 옥수수 잔유물(corn residue)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수수 잔유물을 300∼700℃에서 1∼5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를 저감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대기 중 탄소 배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다.
대기 중 탄소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로서 밀림지역에서의 난개발 억제, 나무심기 운동의 확산, 탄소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기계의 사용 등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2009년 기준 세계 8위의 이산화탄소(CO2) 배출 국가로 2012년 이후에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의무이행 및 탄소배출권 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 뿐만 아니라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 시책에 맞추어 이산화탄소의 효율적 경감 및 자연 상태로의 환원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에 대한 내용은 주로 공장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저감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토양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바이오차(biochar, BC)는 바이오매스(biomass)를 열분해시켜 얻은 물질로써 최근에 토양의 탄소 격리, 금속 고정화 및 비옥화와 관련된 다기능 물질로서 인식되고 있는 바이오매스 유래의 블랙 카본이다[1][2]. 바이오차는 제한된 산소 공급 하에서 바이오매스의 열분해에 의해 생산되며[3], 다양한 유형의 바이오매스, 가금류 퇴비, 축산 분뇨, 하수 오니 및 제지 슬러지를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바이오차의 생산에 적용할 수 있다[4].
농업 부산물로부터 기원하는 작물 잔사는 토양에서 식물 영양 주기를 유지하고 토질 또는 작황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공급원일 수 있다. 그러나, 작물 잔사의 과도한 공급은 상기 잔사를 들판에서 직접 태우거나, 바다나 육지에 버릴 때 환경 오염을 또한 유발하여 왔다[5]. 상기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들을 방지하기 위해서 국내에서는 추정상 5.7×105톤의 작물 잔사가 생물연료 또는 생물에너지의 공급원으로 고려되고 있다[6]. 더욱이, 과도한 작물 잔사의 부가가치 바이오차로의 전환은 관련된 환경 문제를 상쇄할 수 있다.
토양에서, 예를 들어 탄소를 격리시키고, 토양 비옥을 증가시키고, 중금속 및 제초제를 고정화하는데 바이오차가 광범위하게 적용된다[7][8]. 바이오차의 가장 중요한 기능들 중 하나는 주변 환경에서 유기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다[9][10]. 중간 내지 높은 표면적을 갖는 구조화된 탄소 기질은 상기 바이오차가 활성탄과 유사하게 유기 오염물질의 흡착제로서 작용하게 한다[11].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바이오차 흡착제의 사용은 활성탄에 비해 광범위한 공급 원료의 입수 가능성 및 활성화 공정의 부재로 인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쉽게 이용 가능하다[12].
선진국의 경우 바이오차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과 토양질 개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농업부문 바이오매스 잠재 발생량이 연간 1164만톤이며, 그 중 옥수수 재배 후 남은 부산물인 옥수수대, 옥수수줄기, 옥수수잎 및 옥수수뿌리 등의 옥수수 잔유물이 약 105만톤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옥수수 잔유물이 주로 사료 및 비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에서 옥수수 잔유물을 재료로 하여 바이오차를 제조하고 이를 토양에 첨가시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켜 토양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토양질 개선 효과가 있어 비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면서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46421호에 바텀애쉬(bottom ash)를 토양에 처리함으로써 온실가스로서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토양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및 아산화질소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온실가스의 저감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방지 및 토양내 탄소저장량의 증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바텀애쉬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토양처리용 온실가스저감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상기 선행기술은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서로 달라 발명의 구성이 서로 다른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옥수수 잔유물을 300∼700℃에서 1∼5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옥수수 잔유물을 300∼700℃에서 1∼5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제조한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켜 토양에서 대기 중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저감시켜 지구 온난화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가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 효과 이외에도 토양유기물로써 토양을 안정화시켜 토양질 개선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농업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토양 1헥타르에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토양(무처리), 토양 1헥타르에 제조예 1에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 10톤(ton)을 첨가한 토양(바이오차) 및 토양 1헥타르에 5cm 크기로 분쇄한 옥수수 잔유물인 옥수수대 10톤(ton)을 처리한 토양(옥수수 잔유물)에 대해 160일 동안 각각의 토양에서 발생하는 누적 이산화탄소(cumulative CO2)를 측정하고 결과치를 합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옥수수 잔유물을 이용하여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옥수수 잔유물을 열분해시켜 바이오차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옥수수 잔유물을 300∼700℃에서 1∼5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옥수수 잔유물을 700℃에서 3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옥수수 잔유물은 옥수수를 제외한 부분, 예를 들면 옥수수대, 옥수수줄기, 옥수수뿌리, 옥수수잎 및 옥수수수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토양 1헥타르(ha)당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 4∼20톤(ton)을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토양 1헥타르(ha)당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 10톤(ton)을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제조예,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옥수수를 수확하고 남은 옥수수 잔유물인 옥수수대를 700℃에서 3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토양 1헥타르(ha, 10000m2)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 10톤(ton)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토양에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처리하였다.
<시험예 1>
토양 1헥타르에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토양(무처리), 토양 1헥타르에 제조예 1에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 10톤(ton)을 첨가한 토양(바이오차) 및 토양 1헥타르에 5cm 크기로 분쇄한 옥수수 잔유물인 옥수수대 10톤(ton)을 처리한 토양(옥수수 잔유물)을 각각 처리하였다.
상기 3개의 토양에 대해 160일 동안 각각의 토양에서 발생하는 누적 이산화탄소(cumulative CO2)를 CO2 detector system(모델명:Li-820, 제조회사:Li-COR, 제조국:미국)에 연결하여 측정하고 결과치를 합산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서처럼 분쇄한 옥수수 잔유물을 처리한 토양(옥수수 잔유물)에서의 누적 이산화탄소는 22.032 cm3 CO2 kg-1 soil임에 비해, 제조예 1에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처리한 토양(바이오차)에서의 누적 이산화탄소는 2.340 cm3 CO2 kg-1 soil으로 나타나 토양에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처리시 단순 옥수수 잔유물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약 90% 저감되어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토양에 처리시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의 저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2>
옥수수를 수확하고 남은 옥수수 잔유물인 옥수수줄기를 600℃에서 4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옥수수를 수확하고 남은 옥수수 잔유물인 옥수수뿌리를 500℃에서 5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토양 1헥타르(ha, 10000m2)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 4톤(ton)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토양에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3>
토양 1헥타르(ha, 10000m2)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 20톤(ton)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토양에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4>
토양 1헥타르(ha, 10000m2)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 10톤(ton)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토양에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처리하였다.
<실시예 5>
토양 1헥타르(ha, 10000m2)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 10톤(ton)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토양에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처리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Uchimiya et al. (2010) Contaminant immobilization and nutrient release by biochar soil amendment:Roles of natural organic matter. Chemosphere. 935-940.
[2] Awad et al. (2012) Effect of polyacrylamide, biopolymer and biochar on decomposition of soil organic matter and plant residues as determined by 14C and enzyme activities. European Journal of Soil Biology. 48:1-10.
[3] Mukherjee et al. (2011) Surface chemistry variations among a series of laboratory-produced biocharas. Geoderma. 247-255.
[4] Sohi et al. (2010) Chapter 2 - A review of biochar and its use and function in soil. Advances in Agronomy. 47-82.
[5] Baoliang chen et al. (2011b) A novel magnetic biochar efficiently sorbs organic pollutants and phosphate. Bioresource . 716-723.
[6] Kim et al. (2010)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lignocelluloses: Status and perspectives in Korea. Bioresoure Technology. 101:4801-4805.
[7] Xinde Cao and Willie Harris. (2010) Properties of dairy-manure-derived biochar pertinent to its potential use in remediation. Bioresource Technology. 5222-5228.
[8] Jha et al. (2010) Biochar in agriculture - prospects and related implications. Current Science. 1218-1225
[9] Baoliang Chen et al. (2011a) A novel magnetic biochar efficiently sorbs organic pollutants and phosphate. Bioresource Technology . 716-723.
[10] Honghua Zhang et al. (2010) Effect of Pinus radiata derived biochars on soil sorption and desorption of phenanthrene. Environmental Pollution. 2821-2825.
[11]Lima et al. (2010) Physicochemical and adsorptive properties of fast-pyrolysis bio-chars and their steam activated counterparts. Journal of Chemical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1515-1521.
[12] Qiu et al. (2009) Effectiveness and mechanisms of dye adsorption on a straw-based biochar. Bioresoure Techonology. 100:5348-5351.
본 발명은 옥수수 잔유물을 300∼700℃에서 1∼5시간 동안 열분해 시켜 제조한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켜 토양에서 대기 중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킴으써 결과적으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저감시켜 지구 온난화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가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 효과 이외에도 토양유기물로써 토양을 안정화시켜 토양질 개선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농업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4)

  1. 옥수수대, 옥수수줄기, 옥수수뿌리, 옥수수잎 및 옥수수수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잔유물을 300∼700℃에서 1∼5시간 동안 열분해시켜 바이오차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를 토양에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토양 1헥타르(ha)당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biochar) 4∼20톤(ton)을 첨가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KR1020120067809A 2012-06-25 2012-06-25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KR101428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09A KR101428552B1 (ko) 2012-06-25 2012-06-25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09A KR101428552B1 (ko) 2012-06-25 2012-06-25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40A KR20140000540A (ko) 2014-01-03
KR101428552B1 true KR101428552B1 (ko) 2014-08-11

Family

ID=5013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809A KR101428552B1 (ko) 2012-06-25 2012-06-25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5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719B1 (ko) * 2015-08-28 2016-04-22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탄소저감형 비탈면 녹화 식생기반재
KR20180022397A (ko) * 2016-08-24 2018-03-06 주식회사 경동아그로 바이오차를 이용한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8383620A (zh) * 2018-04-28 2018-08-10 广州新农科肥业科技有限公司 一种竹子生物炭基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352273B1 (ko) 2021-03-19 2022-01-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저장량과 흡수량 향상을 위한 토양식생결합 식재모듈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1262B (zh) * 2014-03-13 2016-05-18 南京大学 利用水生植物生物炭去除污染水体中铅的方法
KR20160001832A (ko) 2014-06-27 2016-01-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오차를 이용한 토양 중 항생제 이동성 저감 방법
KR101944972B1 (ko) * 2018-07-23 2019-02-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장료용 바이오차 기반 바이오 탄소튜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188B1 (ko) 2019-05-03 2019-11-04 주식회사 원진 하이브리드 바이오차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0527B1 (ko) 2019-12-16 2022-04-27 (주)누보 농업부산물로부터 제조된 블랙카본을 이용한 완효성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934951A (zh) * 2021-03-31 2021-06-11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业新技术研究所 一种生物炭改良湿地土壤碳减排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865A (ko) *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토탈에너지원 바이오매스 부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바이오탄의 제조 방법
KR20120046421A (ko) * 2010-11-02 2012-05-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바텀애쉬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토양처리용 온실가스저감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865A (ko) *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토탈에너지원 바이오매스 부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바이오탄의 제조 방법
KR20120046421A (ko) * 2010-11-02 2012-05-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바텀애쉬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토양처리용 온실가스저감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719B1 (ko) * 2015-08-28 2016-04-22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탄소저감형 비탈면 녹화 식생기반재
KR20180022397A (ko) * 2016-08-24 2018-03-06 주식회사 경동아그로 바이오차를 이용한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8383620A (zh) * 2018-04-28 2018-08-10 广州新农科肥业科技有限公司 一种竹子生物炭基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352273B1 (ko) 2021-03-19 2022-01-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저장량과 흡수량 향상을 위한 토양식생결합 식재모듈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40A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552B1 (ko) 옥수수 잔유물에서 유래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토양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Yuan et al. Review of biochar for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oil: Preparation, application and prospect
Rawat et al. Biochar: a sustainable approach for improving plant growth and soil properties
Brtnicky et al. A critical review of the possible adverse effects of biochar in the soil environment
Wang et al. Biochar production and applications in agro and forestry systems: A review
Amoah-Antwi et al. Restoration of soil quality using biochar and brown coal waste: A review
Hussain et al. Biochar for crop production: potential benefits and risks
Singh et al. Biochar application in management of paddy crop production and methane mitigation
Murtaza et al. Biochar for the management of nutrient impoverished and metal contaminated soils: Preparation, applications, and prospects
Suo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char derived from co-pyrolysis of Enteromorpha prolifera and corn straw and its potential as a soil amendment
Gajić et al. Microcosm study on the decomposability of hydrochars in a Cambisol
Pollard et al. Valorization of cherry pits: Great Lakes agro-industrial waste to mediate Great Lakes water quality
Roy et al. Evaluation of the life cycle of hydrothermally carbonized biomass for energy and horticulture application
Mulabagal et al. Biochar from biomass: a strategy for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soil amendment, power generation, and CO2 utilization
Zhang et al. Research and application of biochar in China
Wang et al. Influence of pyrolysis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and Pb2+ and Cd2+ adsorption potential of tobacco stem biochar
Antonangelo et al. The use of biochar as a soil amendment to reduce potentially toxic metals (PTMs) phytoavailability
Agarwal et al. Biochar-based fertilizers and their applications in plant growth promotion and protection
CN108178709A (zh) 一种水稻吸收汞抑制剂的制备方法及其施用方法
Elkhlifi et al. Potential role of biochar on capturing soil nutrients, carbon sequestration and managing environmental challenges: a review. Sustainability. 2023; 15: 2527
Shin et al. Carbon sequestration in soil cooperated with organic composts and bio-char during corn (Zea mays) cultivation
Bolan et al. Biochar modulating soil biological health: A review
Southavong et al. Effects of pyrolysis temperature and residence time on rice straw-derived biochar for soil application
Lyu et al. Effect of biochar on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 in farmland
Kannan et al. Biochars and Its Implications on Soil Health and Crop Productivity in Semi-Arid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