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162B1 -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162B1
KR101428162B1 KR1020120047756A KR20120047756A KR101428162B1 KR 101428162 B1 KR101428162 B1 KR 101428162B1 KR 1020120047756 A KR1020120047756 A KR 1020120047756A KR 20120047756 A KR20120047756 A KR 20120047756A KR 101428162 B1 KR101428162 B1 KR 10142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current
frequency
curr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109A (ko
Inventor
배수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16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8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conversion of DC into AC, e.g. with chop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전력 공급 장치는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와 상기 교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교류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DETECTING RESONANCE FREQUENCY}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전송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 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전자기 유도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켰을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소형 기기를 중심으로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전력의 전송 거리가 짧은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전자기 유도 이외에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중 공진을 이용한 에너지 전달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공진을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송신 측과 수신 측에 형성된 전기신호가 코일을 통해 무선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진형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을 양산하는 경우, 송신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제품 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송신 코일의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 값이 허용하는 오차가 있고, 송신 코일의 인덕턴스 값도 제품 간에 일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송신 측에서 생성하는 교류 신호의 주파수가 일정하다고 할 경우, 송신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교류 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전력 전송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7728호(2011.04.13. 공개)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제어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 간 전력 전송 효율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별도의 검출장치가 필요 없이 회로 자체에서 검출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전력 공급 장치는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와 상기 교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교류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류, 상기 변환부에 인가되는 전류 및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교류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직류 전류 값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가장 작은 직류 전류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 결합계수가 0인 상태에서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없는 상태에서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류 전력을 소정의 직류 전원으로 조정하는 직류 직류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환부는 푸쉬 풀 타입(push-pull type)의 듀얼 모스펫(Dual MOSFET)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력, 상기 변환부에 인가되는 직류 전력 및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와 상기 교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변환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교류 전력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공진 코일과 공진 결합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교류 전력을 전달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유도 코일부 및 상기 송신 유도 코일과 커플링되어 전달받은 전력을 상기 수신 공진 코일에 전송하는 송신 공진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 공진 코일과 상기 수신 공진 코일은 상기 검출된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상기 송신 공진 코일은 공진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공진 코일에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은 제1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전류 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제2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전류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류 값 및 상기 제2 전류 값이 임계 치 미만 인 경우, 상기 제1 류 값과 상기 제2 전류 값 중 더 작은 전류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계 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전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계 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검출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된 제1 전류 값 및 상기 측정된 제2 전류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제어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 간 전력 전송 효율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별도의 검출장치가 필요 없이 회로 자체에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진형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주파수에 따른 제1 입력 임피던스(Z1)의 크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는 구체적으로 송신 공진 코일(L2)의 공진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력 공급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직류 직류 변환기(120), 전류 센서부(130), 발진기(140), 변환부(150), 저장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0)는 전력 공급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공진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라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후술할 송신 유도 코일부(211) 및 송신 공진 코일부(212)를 포함하지만,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라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송신 공진 코일부(21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직류 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120)는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소정의 전압 값을 갖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직류 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120)는 전원 공급부(11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한 다음, 변환된 교류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고 정류하여 소정의 전압 값을 갖는 직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120)로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 또는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가 사용될 수 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는 입력전압을 받아 필요한 만큼 출력전압을 내보내고, 나머지 전압은 열로 방출하는 변환기이다.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는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를 이용하여 출력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변환기이다.
전류 센서부(130)는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이 변환부(150)에 인가될 때,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에서 전류 센서부(130)는 직류 직류 변환기(130)와 변환부(150)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전원 공급부(110)와 직류 직류 변환기(120)사이, 변환부(150)의 출력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류 센서부(130)는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도 측정할 수 있고, 변환부(150)에서 출력하는 전류의 세기도 측정할 수 있다.
전류 센서부(130)에서 측정되는 전류는 변환부(150)를 거쳐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흐르므로, 후술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에 대응하여 증감한다. 즉, 전류 센서부(130)에서 측정한 전류가 증감하면, 그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도 증감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류 센서부(130)는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변환부(15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근접해 있는 근접거리를 알아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변환부(15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간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를 알아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류 센서부(130)는 상기 감지된 전류의 세기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서 전류 센서부(130)는 제어부(170)와 별도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어부(170)안에 포함될 수도 있다.
발진기(Oscillator)(140)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발진기(Oscillator)(140)에서 생성된 교류 신호는 변환부(150)에 인가된다.
변환부(150)는 직류 직류 변환기(120)로부터 전달받은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150)는 발진기(Oscillator)(140)에서 생성된 교류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교류신호의 증폭량은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120)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변환부(150)는 푸쉬 풀 타입(push-pull type)의 듀얼 모스펫(Dual MOSFET)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력 공급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미리 정해진 직류전압이 변환부(150)에 인가되도록 직류 직류 변환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류 센서부(130)로부터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이 변환부(150)에 인가될 때, 흐르는 전류 값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류 값에 대한 신호를 이용해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 및 발진기(140)에서 출력하는 교류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변환부(150)에서 출력되는 전류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서 출력하는 직류 전원 및 발진기(140)에서 출력하는 교류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변환부(150)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한 신호를 전류 센서부(130)로부터 수신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변환부(15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이용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변환부(150)에 인가되는 전류 값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에 비례한다.
제어부(170)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를 생성하도록 발진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소정의 주파수는 공진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공진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변환부(150)에 인가되는 전류 값,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결합계수 및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서 출력하는 직류 전압을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다. 즉, 저장부(170)에는 상기 3가지 값이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변환부(150)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응되는 결합계수,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서 출력하는 직류전압을 저장부(17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직류전압을 출력하도록 직류 직류 변환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류 센서부(140)가 측정한 전류 값이 임계 치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임계 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전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임계 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된 전류 값이 임계 치 이상이 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상기 측정된 전류 값 이 임계 전류 미만이 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제1 전류 값이 임계 치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이유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에 위치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상기 최소한의 거리이상에 위치한 경우에는 주파수를 변화시켜가면서 전류 값을 측정하더라도 가장 작은 전류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상기 최소한의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한 경우에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방향, 각도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전류 값이 변화하게 되므로, 진정한 의미의 최소 전류 값을 찾을 수 없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미도시)는 제어부(170)의 구성 안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어부(170)와는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검출부(미도시)는 발진기(140)에서 생성되는 교류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전력 공급 장치(100)에 흐르는 전류는 전원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전류, 변환부(150)에 인가되는 전류 및 변환부(150)에서 출력되는 전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검출부(미도시)는 저장부(160)를 검색하여 저장된 전류 값 중 가장 작은 전류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변환부(150)로부터 교류 전력을 공급받는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공진을 이용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후술할 도 2에 도시된 송신부(210)의 구성인 송신 유도 코일부(211) 및 송신 공진 코일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후술할 도 2에 도시된 송신부(210)의 구성 중 송신 유도 코일부(211)만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공진 코일(220)은 수신한 교류전력을 공진을 이용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달한다. 이 때,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수신 공진 코일(310) 및 수신 유도 코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진형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10)은 전력 공급 장치(100),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부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는 도 1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그 구성요소의 기능 또한, 도 1에서 설명한 내용을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송신부(210), 검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210)는 송신 유도 코일부(211), 송신 공진 코일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에서 생성된 전력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되고, 진 현상에 의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공진을 이루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부(320)를 거쳐 부하(400)로 전달된다.
부하(400)는 충전지 또는 기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부하(400)의 부하저항을 RL로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서 부하(4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력을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공진 시의 공진주파수를 갖는 교류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송신부(210)는 송신 유도 코일부(211)와 송신 공진 코일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유도 코일부(211)는 전력 공급 장치(100)와 연결되며, 전력 공급 장치(100)부터 제공받은 전력에 의해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송신 유도 코일부(211)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송신 공진 코일부(212)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되어 흐르게 된다. 송신 공진 코일부(212)로 전달된 전력은 공진에 의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공진 회로를 이루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 전달된다.
임피던스가 매칭된 2개의 LC 회로 사이는 공진에 의해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진에 의한 전력 전송은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보다 더 먼 거리까지 더 높은 효율로 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송신 공진 코일부(212)는 자기장을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수신 공진 코일부(311)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공진 코일부(212)와 수신 공진 코일부(311)는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송신 공진 코일부(212)와 수신 공진 코일부(311)의 공진 결합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전력 전송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에서 품질 지수(Quality Factor)와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부근에 축척할 수 있는 에너지의 지표를 의미할 수 있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동작 주파수(w), 코일의 형상, 치수, 소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식으로는 Q=w*L/R로 표현될 수 있다. L은 코일의 인덕턴스이고, R은 코일자체에서 발생하는 전력손실의 양에 해당하는 저항을 의미한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0에서 무한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송신 측 코일과 수신 측 코일 간 자기적 결합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0에서 1의 범위를 갖는다.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송신 측 코일과 수신 측 코일의 상대적인 위치나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송신 유도 코일부(211)는 송신 유도 코일(L1)과 캐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캐패시터(C1)의 캐패시턴스는 공진주파수 w에서 공진하도록 조절된 값이다.
캐패시터(C1)의 일단은 전력 공급 장치(100)의 일단에 연결되고, 캐패시터(C1)의 타단은 송신 유도 코일(L1)의 일단에 연결된다. 송신 유도 코일(L1)의 타단은 전력 공급 장치(100)의 타단에 연결된다.
송신 공진 코일부(212)는 송신 공진 코일(L2), 캐패시터(C2), 저항(R2)을 포함한다. 송신 공진 코일(L2)은 캐패시터(C2)의 일단에 연결된 일단과 저항(R2)의 일단에 연결된 타단을 포함한다. 저항(R2)의 타단은 캐패시터(C2)의 타단에 연결된다. R2는 송신 공진 코일(L2)에서 전력손실로 발생하는 양을 저항으로 나타낸 것이다. 캐패시터(C2)의 캐패시턴스는 공진주파수 w에서 공진하도록 조절된 값이다.
검출부(220)는 제1 입력 임피던스(Z1)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입력 임피던스(Z1)는 전력 공급 장치(100)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측을 바라본 임피던스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부(310), 정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휴대폰, 마우스, 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내장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수신 공진 코일부(311)와 수신 유도 코일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공진 코일부(311)는 수신 공진 코일(L3), 캐패시터(C3), 저항(R3)을 포함한다. 수신 공진 코일(L3)은 캐패시터(C3)의 일단에 연결된 일단과 저항(R3)의 일단에 연결된 타단을 포함한다. 저항(R3)의 타단은 캐패시터(C2)의 타단에 연결된다. 저항(R3)는 수신 공진 코일(L3)에서 전력손실로 발생하는 량을 저항으로 나타낸 것이다. 캐패시터(C3)의 캐패시턴스는 공진주파수 w에서 공진하도록 조절된 값이다.
수신 유도 코일부(312)는 수신 유도 코일(L4) 및 캐패시터(C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도 코일(L4)의 일단은 캐패시터(C4)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신 유도 코일(L4)의 타단은 정류부(320)의 타단에 연결된다. 캐패시터(C4)의 타단은 정류뷰(320)의 일단에 연결된다. 캐패시터(C4)의 캐패시턴스는 공진주파수 w에서 공진하도록 조절된 값이다.
수신 공진 코일부(311)는 송신 공진 코일부(212)와 공진주파수에서 공진 상태를 유지한다. 즉, 수신 공진 코일부(311)는 송신 공진 코일부(212)와 커플링(coupling)되어 교류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비방사(Non-Radiative) 방식으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유도 코일부(312)는 수신 공진 코일부(311)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 유도 코일부(312)로 수신된 전력은 정류부(320)를 통해 정류되어 부하(400)으로 전달된다.
정류부(320)는 수신 유도 코일부(312)로부터 교류전력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정류부(320)는 정류회로(미도시)와 평활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캐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신 유도 코일부(312)로부터 전달받은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400)에 전달할 수 있다.
평활 회로는 정류 출력을 매끄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평활회로는 캐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다.
부하(400)는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충전지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400)는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부하(4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휴대폰, 노트북, 마우스 등 전력이 필요한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계수를 검출하여 제1 입력 임피던스(Z1)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입력 임피던스(Z1)를 이용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를 검출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는 전력 공급 장치(100)가 출력하는 출력 전류와 동일하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는 도 1에서 설명한 전력 공급 장치(100)의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 인가되는 전류에 비례하기 때문에 이를 검출하여 전력 공급 장치(1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후술할 제3 입력 임피던스(Z3) 및 제2 입력 임피던스(Z2)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검출부(미도시)을 더 두어 검출될 수 있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검출부(220)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제3 입력 임피던스(Z3)는 수신 공진 코일부(311)에서 부하(400)를 바라보았을 때 측정되는 임피던스를 의미할 수 있고,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35957411-pat00001
여기서, w는 송신 공진 코일(L2)와 수신 공진 코일(L3)이 공진할 때의 공진주파수이고, M3는 수신 공진 코일(L3)와 수신 유도 코일(L4)간 상호 인덕턴스를 의미한다. 또한, ZL은 출력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수학식 1]은 주파수 영역을 기준으로 한 수식이고, 이하의 수식들도 주파수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표현하기로 한다.
제2 입력 임피던스(Z2)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바라보았을 때 측정되는 임피던스를 의미하고,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2035957411-pat00002
여기서, M2는 송신 공진 코일(L2)와 수신 공진 코일(L3)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의미하고, C3는 수신 공진 코일부(311)를 등가회로로 변환 시 표현되는 캐패시터를 의미한다. 또한, R3는 수신 공진 코일(L3)에서 전력손실로 발생하는 손실량을 저항으로 나타낸 것이다.
캐패시터(C3), 누설저항(R3)은 고정된 값이나, 상호 인덕턴스 M2는 송신 공진 코일(L2)와 수신 공진 코일(L3)간의 결합계수(K2)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값이다.
결합계수(K2)는 송신 공진 코일(L2)와 수신 공진 코일(L3)간의 전자기적 결합의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1000)의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간의 거리, 방향,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값이다.
제1 입력 임피던스(Z1)는 전력소스(100)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측을 바라보았을 때 측정되는 임피던스를 의미하고,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2035957411-pat00003
여기서, M1은 송신 유도 코일(L1)과 송신 공진 코일(L2)간 상호 인덕턴스를 의미한다.
검출부(220)는 제1 입력 임피던스(Z1)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제1 입력 임피던스(Z1)는 제3 입력 임피던스(Z3)을 [수학식 2]에 대입한 후, 그 결과에 따른 제2 입력 임피던스(Z2)를 [수학식 3]에 대입하여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M1은 송신 유도 코일(L1)과 송신 공진 코일(L2)간 상호 인덕턴스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주파수에 따른 제1 입력 임피던스(Z1)의 크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는 308kH이다.
도 3은 특히, 도 2의 송신 공진 코일(L2)과 수신 공진 코일(L3) 간 결합계수를 0으로 놓았을 경우,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제1 입력 임피던스(Z1)의 크기 변화를 보여준다.
상기 결합계수가 0이라는 것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간 전력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떨어진 거리가 너무 멀어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대표적인 예이다.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제1 입력 임피던스(Z1)의 크기는 도 2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입력 임피던스(Z1)의 크기는 공진 주파수(308kHz)에서 가장 크고, 공진 주파수를 벗어난 범위에서 작아진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인가되는 전압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제1 입력 임피던스(Z1)의 크기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입력되는 입력전류 값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입력되는 입력전류 값이 가장 작을 때, 제1 입력 임피던스(Z1)의 크기가 가장 크므로, 상기 입력전류 값이 가장 작을 때의 주파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가 됨을 알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입력되는 입력전류 값은 전력 공급 장치(100)의 변환부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비례하므로, 변환부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가장 작을 때의 주파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가 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에서는 주파수에 따른 전류 값을 측정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력 공급 장치(100)에 대한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4를 참고하면, 발진기(140)는 제1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를 생성한다(S101). 생성된 교류 신호는 변환부(150)에 인가된다.
그 후, 변환부(150) 는 발진기(14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와 직류 직류 변환기(120)로부터 전달받은 직류 전압을 이용해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S103).
그 후, 전류 센서부(140)는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이 변환부(150)에 인가될 때,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 전류 값을 측정한다(S105).
그 후, 제어부(170)는 측정된 제1 전류 값이 임계 치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107).
일 실시 예에서 임계 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전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임계 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된 전류 값이 임계 치 이상이 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상기 측정된 전류 값 이 임계 전류 미만이 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제1 전류 값이 임계 치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이유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에 위치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상기 최소한의 거리이상에 위치한 경우에는 주파수를 변화시켜가면서 전류 값을 측정하더라도 가장 작은 전류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상기 최소한의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한 경우에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방향, 각도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전류 값이 변화하게 되므로, 진정한 의미의 최소 전류 값을 찾을 수 없다.
만약, 측정된 제1 전류 값이 임계 치 미만 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70)는 저장부에 제1 전류 값을 저장시킨다(S109). 제어부(170)는 제1 주파수와 제1 전류 값을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그 후, 발진기(140)는 제2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를 생성한다(S111). 생성된 교류 신호는 변환부(150)에 인가된다.
그 후, 변환부(150)는 발진기(140)로부터 전달받은 제2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와 직류 직류 변환기(120)로부터 전달받은 직류 전압을 이용해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S113).
그 후, 전류 센서부(140)는 직류 직류 변환기(120)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이 변환부(150)에 인가될 때,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2 전류 값을 측정한다(S115).
그 후, 제어부(170)는 측정된 제2 전류 값이 임계 치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117).
만약, 측정된 제2 전류 값이 임계 치 미만 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70)는 저장부에 제2 전류 값을 저장시킨다(S119). 제어부(170)는 제2 주파수와 제2 전류 값을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70)는 저장된 제1 전류 값이 제2 전류 값보다 큰지를 확인한다(S121).
만약, 제1 전류 값이 제2 전류 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전류 값에 대응하는 제2 주파수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로 설정한다(S123).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설정된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을 이용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제1 전류 값이 임계 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70)는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25).
만약,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전력 공급 장치(100)(1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를 통해 무선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한다(S127).
만약,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7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 전송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신호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달한다(S129).
한편, 측정된 제2 전류 값이 임계 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70)는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25).
만약,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전력 공급 장치(100)(1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를 통해 무선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한다(S127).
만약,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7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제거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고(S129). 그 후,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해 다시 단계 (S101)로 돌아간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제거하라는 메시지는 전력 공급 장치(100) 또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측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류 값이 제2 전류 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전류 값에 대응하는 제1 주파수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로 설정한다(S131).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설정된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을 이용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력 공급 장치
110: 전원 공급부
120: 직류 직류 변환기
130: 전류 센서부
140: 발진기
150: 변환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200: 무선전력 송신장치
210: 송신부
211: 송신 유도 코일부
212: 송신 공진 코일부
220: 검출부
300: 무선전력 수신장치
310: 수신부
311: 수신 공진 코일부
312: 수신 유도 코일부
320: 정류부
400: 부하

Claims (17)

  1.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전력 공급 장치로서,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
    상기 교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교류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류, 상기 변환부에 인가되는 전류 및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직류 전류 값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가장 작은 직류 전류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 결합계수가 0인 상태에서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력을 소정의 직류 전력으로 조정하는 직류 직류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푸쉬 풀 타입(push-pull type)의 듀얼 모스펫(Dual MOSFET)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류, 상기 변환부에 인가되는 전류 및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9. 제1항에 기재된 전력 공급 장치; 및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교류 전력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공진 코일과 공진 결합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교류 전력을 전달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유도 코일부; 및
    상기 송신 유도 코일과 커플링되어 전달받은 전력을 상기 수신 공진 코일에 전송하는 송신 공진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공진 코일과 상기 수신 공진 코일은 상기 검출된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상기 송신 공진 코일은 공진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공진 코일에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12.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전류 값을 측정하는 단계;
    제2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전류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류 값 및 상기 제2 전류 값이 임계 치 미만 인 경우, 상기 제1 류 값과 상기 제2 전류 값 중 더 작은 전류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전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검출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제1 전류 값 및 상기 측정된 제2 전류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에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다수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검출되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 흐르는 다수의 전류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설정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120047756A 2012-05-04 2012-05-04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KR10142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56A KR101428162B1 (ko) 2012-05-04 2012-05-04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56A KR101428162B1 (ko) 2012-05-04 2012-05-04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09A KR20130124109A (ko) 2013-11-13
KR101428162B1 true KR101428162B1 (ko) 2014-09-23

Family

ID=4985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756A KR101428162B1 (ko) 2012-05-04 2012-05-04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797B1 (ko) * 2017-01-03 2021-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동식 레이저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KR102231882B1 (ko) 2019-07-31 2021-03-25 에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효율적인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상호 인덕턴스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2497A (ja) 2009-04-14 2010-11-04 Fujitsu Ten Ltd 無線電力伝送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方法
KR20110137392A (ko) * 2009-04-13 2011-12-22 도요타 지도샤(주) 비접촉 급전 설비, 비접촉 수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392A (ko) * 2009-04-13 2011-12-22 도요타 지도샤(주) 비접촉 급전 설비, 비접촉 수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JP2010252497A (ja) 2009-04-14 2010-11-04 Fujitsu Ten Ltd 無線電力伝送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09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2557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01543059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806592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JP6593661B2 (ja) 無線電力伝送のための送電装置および受電装置ならびに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101349551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방법
JP6087434B2 (ja) 送電装置、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338654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262615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US20140203662A1 (en) Wireless power repeater and method thereof
KR101438880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20140057506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428162B1 (ko)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KR102128487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438883B1 (ko)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KR101896944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305828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822213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20130070450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993230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905882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428181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전력 공급 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393852B1 (ko)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전력 공급 방법
KR101795097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임피던스 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