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772B1 -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772B1
KR101427772B1 KR1020120127082A KR20120127082A KR101427772B1 KR 101427772 B1 KR101427772 B1 KR 101427772B1 KR 1020120127082 A KR1020120127082 A KR 1020120127082A KR 20120127082 A KR20120127082 A KR 20120127082A KR 101427772 B1 KR101427772 B1 KR 10142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solar cell
electrode
sensitized sola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521A (ko
Inventor
전민현
최현광
최윤수
공재석
임영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7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7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전도성층; 및 상기 전도성층 상에 도포되는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기판 상의 요철 부분에 전도성 나노입자를 충진하여 기판의 표면 거칠기를 완화하고, 광흡수층으로의 빛의 투과성을 향상시키며, 기판과 광흡수층 간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고, 소자 내부저항을 감소시켜 광전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 거칠기가 향상되어 이로 인해 광투과성이 개선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는 고가로 치솟는 추세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하여, 풍력에너지, 태양에너지와 같은 친환경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태양에너지는 태양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 태양열 전지와, 태양광에 의해 발생된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를 이용하여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전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광전효과란, 물질 내의 전자가 광에너지에 의해 들뜬 상태가 되어, 전자-정공쌍(electron hole pairs)이 발생되고, 이때의 전자와 정공이 내부 전기장에 의해 각자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광기전력이 발생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층을 형성하는 물질에 따라, 실리콘 태양전지, CdTe 태양전지(CdTe: Cadmium Telluride, 카드뮴, 텔루라이드 화합물), CIGS/CIS 태양전지(CIGS: Copper-Indium-Gallum-Selenide, 구리-인듐-갈륨-셀레늄 화합물, CIS: Copper-Indium-Selenide),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 구분된다. 이 중 실리콘 태양전지는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으로 광전층을 형성한 것으로, 용이하게 취득될 수 있고 인체 유해성이 없는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CIGS/CIS 태양전지는 구리, 인듐, (갈륨), 셀레늄 화합물로 광전층을 형성한 것으로, 최근 공급 부족에 따라 가격이 급등한 인듐을 포함하고 있어 생산원가에 의해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CdTe 태양전지는 카드뮴, 텔루라이드 화합물로 광전층을 형성한 것으로, 희소 원료이면서 공해를 유발하는 카드뮴을 포함하고 있어 대량생산에 용이하지 않고 공해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나노스케일의 입자 표면에 결합된 염료(DYE) 및 전해질(electrolyte)을 이용하여 광전층을 형성한 것이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1991년 스위스 국립 로잔 고등기술원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 연구팀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교하여 용이하게 취득될 수 있고 원가의 재료가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서 제조원가가 낮고, 용이하게 유연성을 갖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은 값비싼 실리콘 태양 전지의 저렴한 대안으로 유망하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 태양 전지에 비해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투명한 전극으로 인해 건물 외벽 유리창이나 유리 온실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광전변환 효율이 낮아서 실제 적용에는 제한이 있는 상황이다.
태양 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은 태양빛의 흡수에 의해 생성된 전자의 양에 비례하므로, 광전변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태양빛의 흡수를 증가시키거나 염료의 흡착량을 높여 전자의 생성량을 늘일 수도 있고, 또는 생성된 여기전자가 전자-홀 재결합에 의해 소멸되는 것을 막아줄 수도 있다.
태양빛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2-0043399호에서는 태양 빛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FTO 글래스 기판과 봉지재 사이에 전도성 물질을 충진한 버퍼층을 형성함으로써 FTO 글래스 기판과 레진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판상에 표면 거칠기를 완화하여 광흡수층으로의 빛의 투과도를 향상시켜 전지 효율을 높이는 발명에 대한 연구에 대하여 알려진 바는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10-2012-0043399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판의 표면 거칠기를 완화한 새로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전도성층; 및 상기 전도성층 상에 도포되는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는 상기 전도성층이 형성된 기판의 요철 부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통해 빛이 입사되며 상기 전도성층은 기판의 전해질을 향한 한쪽 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층은 예를 들면 불소가 도핑된 틴 옥사이드(FTO),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인듐틴옥사이드-은-인듐틴옥사이드(ITO-Ag-ITO), 인듐징크옥사이드-은-인듐징크옥사이드(IZO-Ag-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은-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Ag-IZT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은-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Ag-AZO), SnO2막, TiO2막, ZnO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투명 전도성 산화물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상기 전도성층이 형성된 기판의 표면 요철 부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의하여 기판의 표면 요철 부분에 전도성 나노입자가 충진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종래의 전도성층이 형성된 기판의 경우,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고 있어, 이와 같은 전도성층이 형성된 기판 상부에 염료활성층을 적층할 경우, 상기와 같은 기판 표면의 요철에 의해 전도성층과 염료활성층의 다공질 반도체층의 접착력을 크게 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접착력이 작아짐에 따라, 가열에 의한 전기적 접합 공정에 있어서 크랙(Crack)을 일으켜, 전도성층과 다공질 반도체층이 박리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전도성층이 형성된 기판의 표면 요철 부분에 전도성 나노입자를 충진시켜 전극의 평탄도를 개선함으로써 전도성층이 크랙을 일으킬 우려가 작으므로, 전기적 접촉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작기 때문에 높은 광전변화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그 크기가 1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성 나노입자의 크기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부분에 충진되면서도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이 가능하도록, 염료의 흡수 파장의 1/20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nm이하 일 수 있다. 전도성 나노입자의 크기가 10nm 이하인 경우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가 상기 전도성 산화층이 형성된 기판의 요철 사이를 충진시키면서, 전극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되어 접촉 저항의 감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소자의 안정성 및 접착력의 향상을 동시에 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ITO, FTO, SnO2, TiO2, ZnO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고, 전도성층과 동일한 재료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 입자는 전극을 구성하므로 광투과도와 전기 전도도가 높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경우, 반응성을 고려하여 광전극에 버퍼층을 추가하여 효율을 증가시켰으나, 본 발명의 전도성 나노입자는 광전극과 동일한 재료로 입자의 크기만을 감소 및 특정시켜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표면 요철 부분에 전도성 나노 입자가 충진된 전극은 제곱평균 거칠기가 2.0 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7 이하일 수 있다. 이때 표면 거칠기는 AFM(Atomic Force Microscope)에 의해 측정된 rms(root-mean-square) 값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투과도가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우 투명 전극에 빛의 산란없이 100% 투과된 광선에 대한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전도성 나노입자가 10 nm 인 경우 투과도가 80% 이상으로, 전도성 나노 입자가 20nm인 경우에 비하여 향상된다. 또한 투명 기판상에 증착된 투명전극의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전도성 나노 입자가 10nm인 경우 평균적으로 투과도가 70% 이상으로, 20nm인 경우에 비하여 향상된다(도 4b).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명도전산화막(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Al2O3, 유리, PET, PEN, 폴리아미드, 경화 아크릴 수지, 경화 에폭시 수지, 경화 실리콘 수지, 각종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메타세시스(methathesis) 중합으로 얻어지는 환상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따른 전극; 상대전극인 제2전극; 염료활성층;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기판 준비단계; 상기 기판상에 전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층 상에 나노입자를 도포하여 표면을 평탄화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 위에 적어도 하나의 염료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염료활성층 위에 제2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전도성층 상에 나노입자를 도포하여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닥터블레이드법(doctor blade) 또는 스퍼터링법으로 전극의 전도성층이 형성된 기판상의 요철 부분에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종래 표면 거칠기를 일정한 크기로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식각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전극 위에 염료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있어서, 다공질 반도체층 및 이에 흡착되는 염료를 포함한다. 다공질 반도체층의 재료는 Si, Ti, W, Ni, Pt, Au, ZnO, SnO2 등 일 수 있으며,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0㎚의 미립자 형상일 수 있다. 다공질 반도체층의 두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의 두께로 한다. 다공질 반도체층은 ZnO나 SnO2 등의 페이스트(paste)의 박막을 형성한 후에 예를 들면 300~550℃의 온도로 소성한 조작을 반복할 수 있다. 다공질 반도체를 구성하는 미립자의 표면에 염료를 흡착한다. 염료는 400㎚~1000㎚의 파장에 흡수를 가지는 것이고, 예를 들면 루테늄(ruthenium) 색소,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색소 등의 금속 착체, 시아닌 색소 등의 유기 색소를 들 수가 있다. 흡착의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색소 용액에 다공질 반도체층을 형성한 다공질 도전성 금속층을 담그어 미립자 표면에 색소를 화학 흡착시키는 함침법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요오드, 리튬이온, 이온 액체, t-부틸피리딘(butylpyrid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오드의 경우, 요오드화물 이온 및 요오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산화 환원체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단일 접합형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본 실시예는 이중 접합형 태양전지 및 삼중 접합형 박막 태양전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은 전도성 나노입자를 도포하여 기판의 요철 부분에 전도성 나노 입자가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기판의 표면 거칠기를 완화하고, 그로 인해 광흡수층으로 빛의 투과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기판과 광흡수층 간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켜, 소자 내부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식각을 통한 평탄화 방식과는 달리 기판, 전도성층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공정에 크게 추가하지 않으면서도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층 상에 도포된 전도성 나노입자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전극의 AF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AF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비교예에 따른 전극의 광투과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일 비교예에 따른 전극의 광투과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류밀도-전압을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
투명 전도성 기판으로서 FTO가 코팅된 유리(glass) 기판을 준비하였고, 상기 기판의 전도성면 쪽에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0.25㎠의 면적으로 마스킹하였다.
이어서, 산화티타늄 나노입자(평균입경: 10nm), 바인더용 고분자(에틸셀룰로오스), 및 용매(Terpineol)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페이스트를 상기 투명 전도성 기판 위에 도포(스프레이 코팅)한 후, 기판을 500℃에서 15분간 열처리하여 다공질 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극을 형성시켰다. 이때, 상기 산화티타늄 나노입자 페이스트는 에틸셀룰로오스: 라우르산(Lauric acid): 터피놀(Terpineol): 산화티타늄 나노입자가 1 : 4 : 0.3 : 0.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기판을 감광성 염료[Ru(4,4'-dicarboxy-2,2'-bipyridine)2(NCS)2] 0.3mM을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에 약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다공질막의 표면에 감광성 염료를 흡착시켜 전극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전극 제조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도포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크기가 20 nm 인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
금속산화물 나노입자(평균입경 : 20nm)를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AFM 이미지 및 표면거칠기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에 대하여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고, AFM(원자간력 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E)이미지를 도 2,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을 AFM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비접촉모드(non-contact mode)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면적인 빛의 파장이 투과하는 단위 면적은 1㎛ x 1㎛로 설정하여 특정 범위 내의 거칠기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2465845-pat00001
Figure 112012092465845-pat00002
비교예 1의 경우 상기 표 1에서 표면의 평균제곱 거칠기가 5.525 nm 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표 2에서 1.634nm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보다 70% 이상 표면 거칠기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광투과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2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에 대하여 UV-vis 측정기를 이용하여, 염료의 흡수파장이 400 내지 800nm 범위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도 특성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5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투명전극에 빛의 산란없이 100% 투과된 광선에 대한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의 경우 투과도가 80% 이상으로 비교예 2에 비하여 가시광 영역에서는 10% 이상 향상되었으며, 단파장으로 갈수록 투과도가 향상되어 400nm에서 200% 이상 증가하였다(도 4a). 또한 투명 기판상에 증착된 투명전극의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의 경우 평균적으로 투과도가 70% 이상으로, 비교예 2에 비하여 가시광 영역에서는 10% 이상 향상되었으며, 단파장으로 갈수록 투과도가 향상되어 500nm에서 200% 이상 향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4b).
도 5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극을 사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경우 투과도가 80% 이상으로 비교예 1에 의하여 20% 정도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3> SEM 이미지 측정
상기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에 대하여 SEM이미지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4> 태양 전지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대한 전기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의 전류-전압 은 Keithley와 150W의 제논램프를 탑재하고 표준 실리콘 셀을 이용하여 보정한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 (PEC-L11, PECCELL)를 사용하였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전류밀도-전압 그래프를 나타내며, 광기전 특성들은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전도성 나노입자를 도포한 경우 투과된 광량이 증가하여, 광전류 및 전류밀도가 17% 이상 증가하고, 효율이 10% 이상 향상되었다.
Isc
(mA)
Jsc
(mA/cm2)
Voc
(V)
FF
(%)
CE
(%)
비교예 1 4.16 16.6 0.723 65.6 7.88
실시예 4.88 19.5 0.720 63.3 8.9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전도성층; 및
    상기 전도성층 상에 도포되는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으로,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의 크기가 10nm 이하이고,
    상기 전극의 제곱평균 거칠기가 2.0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투과도가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ITO, FTO, SnO2, TiO2, 및 ZnO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층은 불소가 도핑된 틴 옥사이드(FTO),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인듐틴옥사이드-은-인듐틴옥사이드(ITO-Ag-ITO), 인듐징크옥사이드-은-인듐징크옥사이드(IZO-Ag-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은-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Ag-IZT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은-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Ag-AZ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투명 전도성 산화물로 형성되는 것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Al2O3, 유리, PET, PEN, 폴리아미드, 경화 아크릴 수지, 경화 에폭시 수지, 및 경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극.
  8. 제 1 항에 따른 전극;
    상대전극인 제2전극;
    염료활성층;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KR1020120127082A 2012-11-12 2012-11-12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KR10142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082A KR101427772B1 (ko) 2012-11-12 2012-11-12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082A KR101427772B1 (ko) 2012-11-12 2012-11-12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521A KR20140062521A (ko) 2014-05-26
KR101427772B1 true KR101427772B1 (ko) 2014-08-14

Family

ID=5089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082A KR101427772B1 (ko) 2012-11-12 2012-11-12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541B1 (ko) * 2014-09-23 2016-08-23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322B1 (ko) 2004-02-03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효율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6558B1 (ko) 2005-05-21 2006-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면 평탄화 처리를 한 전극,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전극을 채용한 리튬전지
US20080289685A1 (en) 2007-05-22 2008-11-27 Chii-Chang Chen Thin Film Solar Cell with Rough Surface Layer Formed by Nano/Micro Particle Conductor Balls
KR20120045963A (ko) * 2010-11-01 2012-05-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감응 나노입자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322B1 (ko) 2004-02-03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효율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6558B1 (ko) 2005-05-21 2006-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면 평탄화 처리를 한 전극,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전극을 채용한 리튬전지
US20080289685A1 (en) 2007-05-22 2008-11-27 Chii-Chang Chen Thin Film Solar Cell with Rough Surface Layer Formed by Nano/Micro Particle Conductor Balls
KR20120045963A (ko) * 2010-11-01 2012-05-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감응 나노입자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521A (ko)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u et al. Impact of high charge-collection efficiencies and dark energy-loss processes on transport, recombination,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Zhang et al. Graphene enabled all-weather solar cells for electricity harvest from sun and rain
KR101172361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Seo et al. The fabrication of efficiency-improved W-series interconnect type of module by balancing the performance of single cells
US20120024369A1 (en) Photo-chemical solar cell with nanoneedle electrod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Moon et al. Titanium oxide films prepared by sputtering, sol gel and dip coating methods for photovoltaic application
JP2009009936A (ja) 光電変換装置
KR101427772B1 (ko)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Pramono et al. Organic Solar Cell based on extraction of Papaya (Carica papaya) and jatropha (Ricinus communis) leaves in DSSC (Dye Sensitized Solar Cell)
KR101447618B1 (ko) 광감응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085428A (zh) 一种二氧化钛/石墨烯复合型光阳极及其制备方法
KR101044338B1 (ko) 염료 및 다원자음이온이 흡착된 나노 산화물층을 포함한 음극계 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0160B1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5311094B2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及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114640B2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方法、色素増感型太陽電池及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083390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20120080796A (ko) 다기능 산화물층을 포함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Mandal et al. Recent Advancement on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A Review
CN110600271A (zh) 一种染料敏化太阳能电池组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Toivola Dye-sensitized solar cells on alternative substrates
Shaban et al. Efficiency Performance Effect of TiO 2 Thickness Deposited on FTO Coated Glass Photoanode
CN102347144B (zh) 具有针状电极的光化学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US20230238187A1 (en) Dye-sensitized solar cell that generates and stores energy
KR101082987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Liu et al. A novel solar cell fabricated with spiral photo-electrode for capturing sunlight 3-dimension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