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711B1 -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711B1
KR101427711B1 KR1020130027394A KR20130027394A KR101427711B1 KR 101427711 B1 KR101427711 B1 KR 101427711B1 KR 1020130027394 A KR1020130027394 A KR 1020130027394A KR 20130027394 A KR20130027394 A KR 20130027394A KR 101427711 B1 KR101427711 B1 KR 101427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ial media
highlight
media information
keywor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만
김수현
박호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2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이 개시된다.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with content}
실시예들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들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중계는 TV를 통하여 생중계 되거나 라디오를 통하여 그 상황을 설명하는 형태로 서비스 되어 왔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달에 따라 스포츠 경기의 중계 방식이 다양화되고 있다. 웹 서비스를 이용한 스포츠 문자 중계 서비스,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소셜 캐스트, 일반 유저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한 개인형 실시간 방송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들이 서비스 되어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와 웹을 활용한 스포츠 문자중계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현재 경기 상황을 손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 문자 중계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경기 기록원의 경기 기록을 전달받아 이를 문자 중계용으로 편집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기록원들의 경기 내부에 대한 내용과 핵심 내용에만 국한되는 내용을 제공하게 되어, 실제 TV 중계에서 느낄 수 있는 현장감이나 다양한 이슈, 이야기 거리 등이 제공되지 못하며, 전체적인 게임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는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프로야구 문자 생중계의 화면을 보여준다. 도1a는 MLB의 문자 생중계 서비스이며 도 1b와 도1c는 한국 KBO에서 제공하는 문자 중계서비스의 제공 화면이다. 기존의 문자 중계 서비스는 간단한 그래프의 형태와 문자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중인 야구 경기의 중계하여 주지만, 현재 야구 경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제공되는 정보가 제한적이다. 사용자는 문자 중계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에 흥미로운 내용을 발견하여도 단지 문자와 그래프만으로 상황을 유추해 볼 수 있을 뿐, 실제 중계 화면을 연계하여 확인해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참여를 이끌어내어 야구 중계와 관련한 추가적인 콘텐츠들을 생산해낼 수 없어 사용자들의 다양하고 적극적인 요구들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콘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 및 하이라이트 영상 정보를 콘텐츠와 함께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 하이라이트 영상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소셜 미디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콘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 및 하이라이트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중계되고 있는 생중계 영상을 소셜 미디어에서의 관심도와 사용자의 흥미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와 외부 객체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의 상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셜 미디어 정보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와 함께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와 함께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의 일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컨텐츠는 미디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모든 객체를 그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는 프로야구, 프로축구, 프로농구 등의 스포츠 경기, 드라마, 뉴스, 예능, 영화, 만화, 게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터넷, 공중파 방송, 위성 방송, 유선 방송 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미디어 형태의 객체들은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와 외부 객체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 객체는 사용자 단말(1), 소셜 미디어 서버(10), 동영상 서버(20), 컨텐츠 문자 중계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하이라이트 키워드 또는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만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이라이트 키워드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를 통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은 컨텐츠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컨텐츠를 검색하고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가동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특히 사용자 단말(1)은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 모션센서, 진동기, 스피커, 통신모듈 등이 포함된 스마트폰 또는 경우에 따라 소형의 스마트패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갖춰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 및 운영 체제간에 통신을 제공하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의 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은 다른 객체와 통신할 수 있으며, 통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내부에 탑재될 수 있다.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통신기능이 있다면 유선/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후의 방법의 종류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사용자 단말(1) 내부의 각종 센서 정보, 음성 정보,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외부 객체로 전송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 등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한 소셜 미디어 정보들은 소셜 미디어 서버(10)에 저장된다.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는 소셜 미디어 서버(10)에 접속하여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셜 미디어 서버(10)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마이스페이스(My Space), 싸이월드(cyworld)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일 수 있다.
동영상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 등에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컨텐츠와 연관된 영상 정보가 동영상 서버(10)에 저장된다.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는 동영상 서버(10)에 접속하여 컨텐츠와 연관된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영상 서버(20)는 컨텐츠 실시간 중계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문자 중계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 등에 컨텐츠의 문자 중계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문자 중계 장치(30)는 도1a 내지 도1c와 같이 프로 스포츠 경기에 대한 문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 문자 중계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와 함께 각종 컨텐츠 연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의 상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는 소셜 미디어 수집부(110), 키워드 추출부(120), 영상 추출부(130),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소셜 미디어 수집부(110)는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소셜 미디어 수집부(110)는 소셜 미디어 서버(10)에 접속하여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셜 미디어 수집부(110)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를 통해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API(트위터 등의 API), 태그정보(해쉬태그 등) 등을 통해서도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를 통해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야구 경기 컨텐츠의 경우, "야구", "프로야구", "기아", "SK" 등의 관련 키워드 등을 통해 현재 진행중인 야구 경기와 관련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소셜 미디어 들은 도 4a에서처럼, 시간대에 따라 개수로써 기록될 수 잇다.
키워드 추출부(120)는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키워드 추출부(120)는 피크 판별부(121)와 공통 키워드 판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피크 판별부(121)는 유의미한 시간 구간을 찾기 위하여, 단위 시간당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지를 판별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크 판별부(121)는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의 극대값 중심 구간을 통해서 유의미한 소셜 미디어 정보 구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절대적인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될 수 있지만, 전체 구간에서 수집한 소셜 미디어 정보에 대비한 상대적인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 비율이 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150개를 상회하면서, 극대값인 지점(피크)을 붉은 색 선으로 표시하였다. 나아가, 도 4c와 같이, 피크 좌우로 다른 피크의 극소값이 나올 때까지의 구간을 피크 이벤트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공통 키워드 판별부(122)는 피크 판별부(121)에서 단위 시간당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단위 시간당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된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피크 이벤트 구간 중 일부 구간에 해당하는 소셜 미디어 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텍스트인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최희섭 홈런", "안치홍 적시타", "박정권 홈런"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영상 추출부(130)는 컨텐츠와 연관된 실시간 영상 중, 하이라이트 키워드의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동영상 서버(20)에 접속하여 컨텐츠와 연관된 실시간 영상 중, 하이라이트 키워드가 속해있는 이벤트 구간의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한다. "최희섭 홈런"이라는 하이라이트 키워드가 속하는 피크 이벤트 구간 시간대에 대응되는 영상을 추출한다. 추출된 영상은 최희섭이 홈런을 치는 장면이 표현되어 있다.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140)는 하이라이트 키워드 또는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140)는 하이라이트 키워드의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되는 복수의 하이라이트 영상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140)는 하이라이트 키워드 또는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 하이라이트 키워드의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컨텐츠 문자 중계서버(30)로부터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와 함께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는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우측의 플러스 표시를 클릭하면, 도 5b와 같이, 관련된 소셜 미디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와 함께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되는 복수의 하이라이트 영상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140)가 제공한 하이라이트 영상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하나의 동영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부(150)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와 외부 객체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소셜 미디어 수집부(110), 키워드 추출부(120), 영상 추출부(130),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140)는 외부 객체와 통신할 수도 있지만, 통신부(150)의 지원을 받아 외부 객체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 처리물 또는 외부 객체와의 통신을 통해 얻은 데이터들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 하이라이트 키워드, 하이라이트 영상, 사용자 요청 하이라이트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의 일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소셜 미디어 서버(20)로부터 수집한다(S10). 이 과정에서는 컨텐츠와 연관된 키워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API 또는 태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단위 시간당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인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련 소셜 미디어 정보를 계속 수집하고,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S20), 소셜 미디어 정보의 공통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를 하이라이트 키워드로 지정한다. 이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의 극대값(피크) 중심 구간을 통해서 유의미한 소셜 미디어 정보 구간을 파악할 수 있다. 피크 좌우로 다른 피크의 극소값이 나올 때까지의 구간을 피크 이벤트 구간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추출한 하이라이트 키워드의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한다(S40). 이후, 사용자 단말의 하이라이트 영상 합성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S50), 사용자가 선택한 하이라이트 영상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영상을 생성하고(S60), 하이라이트 키워드, 하이라이트 키워드 관련 소셜 미디어 정보, 하이라이트 영상 등을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와 연결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S70).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사용자 단말
10: 소셜 미디어 서버
20: 동영상 서버
30: 컨텐츠 문자 중계 장치
100: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110: 소셜 미디어 수집부
120: 키워드 추출부
121: 피크 판별부
122: 공통 키워드 판별부
130: 영상 추출부
140: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
150: 통신부
160: 저장부

Claims (13)

  1.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단위 시간당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지 및 상기 단위 시간 내에서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극대값을 갖는지 판별하는 단계;
    단위 시간당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며 상기 단위 시간 내에서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극대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위 시간당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된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 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태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실시간 영상 중,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의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되는 복수의 하이라이트 영상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와 함께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
  7.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단위 시간당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지 및 상기 단위 시간 내에서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극대값을 갖는지 판별하는 단계;
    단위 시간당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며 단위 시간 내에서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극대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위 시간당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된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소셜 미디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기반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단위 시간당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지 및 상기 단위 시간 내에서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극대값을 갖는지 판별하는 피크 판별부; 및 단위 시간당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며 상기 단위 시간 내에서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의 개수가 극대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위 시간당 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된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추출하는 공통 키워드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미디어 수집부는, 상기 소셜 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태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실시간 영상 중,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의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는, 상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되는 복수의 하이라이트 영상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연관 정보 제공부는,
    컨텐츠 문자 중계 정보와 함께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및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와 직접 연관된 소셜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KR1020130027394A 2013-03-14 2013-03-14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427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94A KR101427711B1 (ko) 2013-03-14 2013-03-14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94A KR101427711B1 (ko) 2013-03-14 2013-03-14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711B1 true KR101427711B1 (ko) 2014-08-12

Family

ID=5174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394A KR101427711B1 (ko) 2013-03-14 2013-03-14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411B1 (ko) * 2018-09-07 2019-08-05 대한민국 언어재활을 위한 이미지 콘텐츠 제작 방법
US11368737B2 (en) 2017-11-17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reating partial im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300A (ja) * 2000-05-25 2002-02-15 Fujitsu Ltd 放送受信機,放送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37636A (ko) * 2011-06-07 2012-12-2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문자 중계 방법 및 문자 중계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300A (ja) * 2000-05-25 2002-02-15 Fujitsu Ltd 放送受信機,放送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37636A (ko) * 2011-06-07 2012-12-2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문자 중계 방법 및 문자 중계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8737B2 (en) 2017-11-17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reating partial im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06411B1 (ko) * 2018-09-07 2019-08-05 대한민국 언어재활을 위한 이미지 콘텐츠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5621B2 (en) Video processing for embedded information card localization and content extraction
US120103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easure exposure to streaming media
US20200242781A1 (en) Determining one or more events in content
US9110518B2 (en) System and method in a television system for responding to user-selection of an object in a television program utilizing an alternative communication network
US9219790B1 (en) Determining user engagement with presented media content through mobile device usage
US20170374401A1 (en) Method and systems for enhancing media viewing experiences on multiple devices
US201703321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different users about missed content by tailoring catch-up segments to each different user
US2017025765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lerting users to media events of interest using social media analysis
WO2015090095A1 (zh) 一种信息推送方法、设备和系统
US20110173194A1 (en) Implicit user interest marks in media content
JP7485864B2 (ja) スポーツイベントテレビジョン番組において群衆ノイズの発生を検出するためのオーディオ処理
US201501352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883018B1 (ko) 3d 통신 시스템에서 보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619123B1 (en) Acquiring and sharing content extracted from media content
GB2547750A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media viewing experiences
US116875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media asset from an ambiguous audio indicator
US8898259B2 (en) Bookmarking system
KR101427711B1 (ko) 컨텐츠 연관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24541A (ko) 동영상 컨텐츠 검색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101292087B1 (ko)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물 속성 부가 컨텐츠 전송 방법
KR1021857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101334127B1 (ko)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1697A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200023094A (ko) 간편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101411636B1 (ko) 스마트 티비 기반의 상황 인지를 통한 엔스크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