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689B1 -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689B1
KR101427689B1 KR1020130057913A KR20130057913A KR101427689B1 KR 101427689 B1 KR101427689 B1 KR 101427689B1 KR 1020130057913 A KR1020130057913 A KR 1020130057913A KR 20130057913 A KR20130057913 A KR 20130057913A KR 101427689 B1 KR101427689 B1 KR 101427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t
laser beam
curved substrate
laser head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진
이선필
김영관
반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에스
Priority to KR102013005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69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23K26/0876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 B23K26/0884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in at least in three axial directions, e.g. manipulators, robo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기판에 배치된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프릿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실링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헤드부와,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와, 회전 구동부를 포함한다. 레이저 헤드부는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한다. 제1이송부는 레이저 헤드부를 프릿이 도포된 방향을 따라 이송시킨다. 제2이송부는 프릿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레이저 헤드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송시킨다. 회전 구동부는 곡면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곡면기판의 곡률을 따라 레이저 헤드부를 회전시킨다.

Description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rit sealing of curved substrate}
본 발명은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기판에 도포된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유기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매우 밝으며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휘도, 구동 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여 고화질의 동영상을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활성층인 유기 발광층은 주위의 환경으로부터 산소 및 습기 등과 같은 물질이 유입되면, 이들과 쉽게 상호작용하여 전극 물질의 산화, 박리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 유기발광 소자를 외부로부터 격리하여 산소 및 습기 등과 같은 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봉(Sealing)처리가 통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밀봉처리 방법으로써, 밀봉재로 프릿(frit)을 사용하여 유기발광 소자의 상하측에 배치된 기판 간의 밀착성 및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프릿 실링방법은, 유기발광 소자(13)가 배치된 기판(11)의 일 영역의 외곽에 도포된 프릿(12)에 레이저빔(L)을 조사하여 프릿(12)을 용융, 경화시켜서 해당 영역 내부를 밀봉하여 유기발광 소자(1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최근에는 평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달리 양쪽 끝이 중앙부분을 향해 굽어져 있는 곡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생산되고 있다. 곡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보다 선명한 감상이 가능하고 눈에서부터 화면 중심부와 측면까지의 거리가 동일해 화면 왜곡과 시야각 끝 부분이 흐려지는 외곽부 인지도 감소 현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곡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대면적 광시야각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곡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도 마찬가지로 밀봉처리를 함으로써, 유기발광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평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달리 곡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곡면기판을 사용하는데, 곡면기판은 곡률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판의 곡률에 따라 프릿의 높이 차이가 발생한다. 이때, 레이저빔의 높이가 고정되면, 레이저빔이 조사될 때 프릿의 높이 차이로 인해 프릿의 어느 위치에는 포커싱(focusing)되지만 프릿의 다른 위치에서는 포커싱 되지 않게 된다.
레이저빔이 프릿에 포커싱되지 않으면 프릿이 제대로 용융되지 않아 프릿과 기판 사이의 접착력이 약화되고, 시간이 경과되면 프릿과 기판이 떨어지면서 밀봉에 문제가 발생한다. 유기발광 소자에 대한 밀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유기발광 소자가 손상된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생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면기판의 곡률에 따라 레이저빔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프릿을 용융시킴으로써, 곡면기판 전체에 걸쳐 프릿의 용융을 원활하게 하여 곡면기판과 프릿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는, 곡면기판에 배치된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프릿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실링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헤드부; 상기 프릿이 도포된 방향을 따라 상기 레이저 헤드부를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프릿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상기 레이저 헤드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및 상기 곡면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곡면기판의 곡률에 따라 상기 레이저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은, 상기 레이저 헤드부에서 레이저빔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곡면기판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이 상기 곡면기판의 접선에 직교하게 입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헤드부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은, 곡면기판에 배치된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프릿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실링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에 있어서, 레이저빔을 상기 프릿에 조사하면서 상기 프릿이 도포된 방향을 따라 레이저빔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단계; 상기 프릿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레이저빔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단계; 및 상기 곡면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곡면기판의 곡률에 따라 레이저빔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헤드부로부터 출사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레이저 헤드부에서 레이저빔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단계는, 상기 곡면기판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이 상기 곡면기판의 접선에 직교하게 입사되도록 레이저빔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곡면기판 전체에 걸쳐 프릿의 용융을 원활하게 하여 곡면기판과 프릿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에따르면, 프릿에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면적을 넓혀 가공의 효율성이 높이고, 프릿 상측에 배치되는 곡면기판에 의해 레이저빔이 반사되는 양을 감소시켜 레이저빔의 에너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에따르면, 모든 위치에서 출사면과 프릿 사이의 거리를 레이저 헤드부를 구성하는 광학렌즈의 작동거리와 일치되게 하여, 출사면의 높이를 재조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최소한의 작업으로 프릿을 가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릿 실링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곡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의 레이저 헤드부에서 레이저빔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과 레이저 헤드부의 회전축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곡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의 레이저 헤드부에서 레이저빔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과 레이저 헤드부의 회전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는, 곡면기판(21)에 도포된 프릿(22)에 레이저빔(L)을 조사하여 유기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레이저 헤드부(110)와, 제1이송부(미도시)와, 제2이송부(미도시)와, 회전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곡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20)는 양 가장자리부가 중앙부를 향해 굽어져 형성되며, 마주보는 2개의 곡면기판(21) 사이에 프릿(22)이 곡면기판(21)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도포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 헤드부(110)는 프릿(22)에 레이저빔(L)을 조사한다. 여기서, 프릿(22)에 조사되는 레이저빔(L)은 연속파 레이저빔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빔(L)은 프릿(22)에서 흡수가 잘 되도록 적외선 영역, 예컨대 약 808nm 영역의 파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파이버(120)를 통해 레이저 헤드부(110)로 레이저빔(L)이 전송되어 레이저 헤드부(110)가 레이저빔(L)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부(미도시)는 프릿(22)이 도포된 방향을 따라 레이저 헤드부(110)를 이송시킨다.
레이저빔(L)이 조사되는 레이저 헤드부(110)는 갠트리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이송부는 갠트리 구조물 전체를 프릿(22)이 도포된 X축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직선이송유닛(미도시)과, 갠트리 구조물에 설치되어 레이저 헤드부(110)를 프릿(22)이 도포된 Y축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직선이송유닛(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이송부의 제1직선이송유닛과 제2직선이송유닛은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리니어 모터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이송부(미도시)는 프릿(22)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레이저 헤드부(110)를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곡면기판(21)의 곡률 때문에 기판 지지대(30)에 안착된 곡면기판(21)에 도포되는 프릿(22)의 위치에 따라 높이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기판 지지대(30)에서 곡면기판(2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프릿(22)의 높이(H1)보다 기판 지지대(30)에서 곡면기판(21)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프릿(22)의 높이(H2)가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만약 레이저 헤드부(110)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프릿(22)이 도포된 방향을 따라 레이저빔(L)이 조사되면, 위와 같은 프릿(22)의 높이 차이로 인해 프릿(22)의 어느 위치에서는 프릿(22)에 레이저빔(L)이 포커싱(focusing)되지만, 프릿(22)의 다른 위치에서는 프릿(22)에 레이저빔(L)이 포커싱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2이송부는 레이저 헤드부(110)가 프릿(22)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레이저 헤드부(110)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송시킴으로써, 레이저빔(L)이 프릿(22)에 포커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제2이송부로는 레이저 헤드부(110)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직선이송유닛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직선이송유닛은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미도시)는 레이저빔(L)을 회전시킨다.
회전축(RA)은 레이저 헤드부(110)를 정면에서 봤을 때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곡면기판(2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회전 구동부는 레이저빔(L)을 회전시킬 때, 곡면기판(21)에 입사되는 레이저빔(L)이 곡면기판(21)의 접선(T)에 직교하게 입사되도록 레이저 헤드부(110)를 회전시킨다. 레이저빔(L)이 곡면기판(21)의 접선(T)에 직교하게 입사되면, 프릿(22)에 조사되는 레이저빔(L)의 면적을 넓혀 가공의 효율성을 높이고, 프릿(22) 상측에 배치되는 곡면기판(21)에 의해 레이저빔(L)이 반사되는 양이 감소하여 레이저빔(L)의 에너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회전축(RA)은 레이저 헤드부(110)에서 레이저빔(L)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111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레이저 헤드부(110)는 레이저빔(L)을 집광하는 복수의 집광렌즈(111, 112)를 구비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출사면(111a)이라 함은 복수의 집광렌즈(111, 112) 중 외부와 접하는 최하측에 배치된 집광렌즈(111)의 출사면(111a)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빔(L)이 조사되는 모든 위치에서 출사면(111a)과 프릿(22) 사이의 거리(D1, D2)를 레이저 헤드부(110)를 구성하는 광학렌즈의 작동거리(Working Distance)와 일치되게 한다.
여기서, D1은 출사면(111a)과 프릿(22)의 중앙부 사이의 거리이고, D2는 출사면(111a)과 프릿(22)의 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이다. 또한, 출사면(111a)은 이동 가상선(10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송되는데 이동 가상선(101)이라 함은 곡면기판(21)으로부터 작동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곡면기판(21)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 선을 지칭한다.
출사면(111a)이 이동 가상선(10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송될 때는 출사면(111a)과 프릿(22) 사이의 거리(D1, D2)와 작동거리는 일치하지만, 레이저빔(L)이 곡면기판(21)의 접선(T)에 직교하게 입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레이저빔(L)을 회전시키면 출사면(111a)과 프릿(22) 사이의 거리(D1, D2)와 작동거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레이저빔(L)을 회전시킬 때, 회전축(RA)이 출사면(111a)상에 위치하면 레이저빔(L)이 어떤 위치에서 프릿(22)에 조사되어도 출사면(111a)과 프릿(22) 사이의 거리(D1,D2)는 작동거리와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레이저빔(L)을 회전시킬 때, 회전축(RA)이 출사면(111a) 상에 위치하지 않으면 출사면(111a)과 프릿(22) 사이의 거리(D1, D2)와 작동거리는 일치하지 않게 되고, 출사면(111a)과 프릿(22) 사이의 거리(D1, D2)를 작동거리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출사면(111a)의 높이를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회전축(RA)을 출사면(111a) 상에 배치함으로써, 모든 위치에서 출사면(111a)과 프릿(22) 사이의 거리(D1, D2)를 레이저 헤드부(110)를 구성하는 광학렌즈의 작동거리(Working Distance)와 일치되게 하여, 출사면(111a)의 높이를 재조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최소한의 작업으로 프릿(22)을 가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레이저 헤드부(110)는 프릿(22)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동시에 회전도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곡면기판(21) 전체에 걸쳐 원활한 프릿(22)의 가공이 이루어져 보다 향상된 품질의 곡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20)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은, 곡면기판(21)에 도포된 프릿(22)에 레이저빔(L)을 조사하여 유기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제1이송단계(S110)와, 제2이송단계(S120)와, 회전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단계(S110)는 프릿(22)이 도포된 방향을 따라 레이저빔(L)을 이송시킨다.
제1이송단계(S110)에서는 유기발광 소자를 밀봉하기 위해서 마주보는 2개의 곡면기판(21) 사이에 프릿(22)을 도포하고 프릿(22)이 도포된 방향을 따라 레이저빔(L)을 이송시키면서 전체적으로 프릿(22)을 가공한다.
상기 제2이송단계(S120)는 레이저빔(L)을 상하 방향을 따라 이송시킨다.
곡면기판(21)의 곡률 때문에 기판 지지대(30)에 안착된 곡면기판(21)에 도포되는 프릿(22)의 위치에 따라 높이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2이송단계(S120)는 프릿(22)의 높이에 따라 레이저빔(L)이 프릿(22)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레이저빔(L)을 상하 방향을 따라 이송시켜, 프릿(22)에 레이저빔(L)이 포커싱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단계(S130)는 곡면기판(21)의 곡률을 따라 레이저빔(L)을 회전시킨다.
회전축(RA)은 레이저 헤드부(110)를 정면에서 봤을 때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곡면기판(2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레이저빔(L)을 회전시킬 때, 곡면기판(21)에 입사되는 레이저빔(L)이 곡면기판(21)의 접선(T)에 직교하게 입사되도록 레이저빔(L)을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단계(S130)에서는 회전축(RA)을 출사면(111a)에 배치하여 레이저빔(L)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레이저 헤드부(110)는 레이저빔(L)을 집광하는 복수의 집광렌즈(111, 112)를 구비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레이저빔(L)의 출사면(111a)이라 함은 복수의 집광렌즈(111, 112) 중 외부와 접하는 최하측에 배치된 집광렌즈(111)의 출사면(111a)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빔(L)이 프릿(22)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동시에 회전도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곡면기판(21) 전체에 걸쳐 원활한 프릿(22)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은, 곡면기판의 곡률에 따라 레이저빔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프릿을 용융시킴으로써, 곡면기판 전체에 걸쳐 프릿의 용융을 원활하게 하여 곡면기판과 프릿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은, 곡면기판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이 곡면기판의 접선에 직교하게 입사되도록 레이저빔을 조사함으로써, 프릿에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면적을 넓혀 가공의 효율성이 높이고, 프릿 상측에 배치되는 곡면기판에 의해 레이저빔이 반사되는 양을 감소시켜 레이저빔의 에너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은, 회전축을 출사면 상에 배치함으로써, 모든 위치에서 출사면과 프릿 사이의 거리를 레이저 헤드부를 구성하는 광학렌즈의 작동거리와 일치되게 하여, 출사면의 높이를 재조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최소한의 작업으로 프릿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21 : 곡면기판
22 : 프릿
110 : 레이저 헤드부
RA : 회전축

Claims (6)

  1. 곡면기판에 배치된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프릿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실링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헤드부;
    상기 프릿이 도포된 방향을 따라 상기 레이저 헤드부를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프릿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상기 레이저 헤드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및
    상기 곡면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곡면기판의 곡률에 따라 상기 레이저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레이저 헤드부에서 레이저빔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곡면기판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이 상기 곡면기판의 접선에 직교하게 입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4. 곡면기판에 배치된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프릿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실링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에 있어서,
    레이저빔을 상기 프릿에 조사하면서 상기 프릿이 도포된 방향을 따라 레이저빔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단계;
    상기 프릿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레이저빔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단계; 및
    상기 곡면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곡면기판의 곡률에 따라 레이저빔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프릿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헤드부로부터 출사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레이저 헤드부에서 레이저빔이 외부로 출사되는 출사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계는, 상기 곡면기판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이 상기 곡면기판의 접선에 직교하게 입사되도록 레이저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방법.
KR1020130057913A 2013-05-22 2013-05-22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 KR10142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13A KR101427689B1 (ko) 2013-05-22 2013-05-22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13A KR101427689B1 (ko) 2013-05-22 2013-05-22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689B1 true KR101427689B1 (ko) 2014-08-07

Family

ID=5174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913A KR101427689B1 (ko) 2013-05-22 2013-05-22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6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732A (ko) * 2004-06-11 2006-12-2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패널
JP2009220180A (ja) 2008-03-14 2009-10-0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フリット密封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58426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고려반도체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레이저 밀봉 시스템 및 그 밀봉 방법
KR20120131458A (ko) * 2011-05-25 2012-12-05 코리아테크노(주)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732A (ko) * 2004-06-11 2006-12-2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패널
JP2009220180A (ja) 2008-03-14 2009-10-0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フリット密封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58426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고려반도체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레이저 밀봉 시스템 및 그 밀봉 방법
KR20120131458A (ko) * 2011-05-25 2012-12-05 코리아테크노(주)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7457B2 (en) Laser beam irradi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CN102089898B (zh) 用来密封玻璃封套的掩模和方法
EP2745974B1 (en) Laser beam irradiation apparatus and substrate sealing method
TWI529021B (zh) 用於基板密封之雷射光束照射裝置及使用此雷射光束照射裝置製造有機發光顯示裝置之方法
US9393642B2 (en) Sealing apparatus, substrate-seal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substrate-sealing method
JP2016503567A (ja) 発光装置及び関連投射系
JP5911199B2 (ja) 溶着方法及び溶着装置
JP2011142076A (ja) 基板密封に使われるレーザビーム照射装置、基板密封方法、及び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US9515296B2 (en) Deposition device including laser mask and deposi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89526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와이드 프릿 실링방법
KR101427689B1 (ko) 곡면기판의 프릿 실링장치 및 방법
KR102015845B1 (ko) 레이저 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
US9287078B2 (en) Display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by using the same
KR20140081510A (ko) 광학계 및 기판 밀봉 방법
KR10124429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실링장치
US967606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mask by laser cutting
JP2014226671A (ja) ガラス基板に貼り付けた樹脂板の切断方法
KR20130033621A (ko)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실링장치
US20140290847A1 (en) Optical system and substrate sealing method
KR20120019333A (ko)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실링방법
KR10154360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실링장치
KR102503846B1 (ko) 레이저 절단 장치
JP2013022472A (ja) 光照射装置及び光照射方法
KR20230010096A (ko) 레이저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팅 방법
JP2010103183A (ja) 光照射加熱装置及び光照射加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