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361B1 -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 Google Patents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361B1
KR101427361B1 KR1020130032578A KR20130032578A KR101427361B1 KR 101427361 B1 KR101427361 B1 KR 101427361B1 KR 1020130032578 A KR1020130032578 A KR 1020130032578A KR 20130032578 A KR20130032578 A KR 20130032578A KR 101427361 B1 KR101427361 B1 KR 101427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ixed
case
weight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택
전진용
Original Assignee
(주)지티씨코퍼레이션
대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티씨코퍼레이션, 대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지티씨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03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7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properties relating to fluids in the soil, e.g. pore-water pressure, perme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측정 대상물에 설치되는 다수의 액상침하계에 동일한 수위를 가지도록 서로 물이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높이가 변동되는 것을 부력에 의한 추의 중량변화에 의하여 측정하도록 구성한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에 관한 것이며,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원형관(11)으로 이루어지며, 공간부(12)에 물이 채워지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하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21)의 노출된 일측이 고정브라켓(70)에 고정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하부커버(20); 케이스(10)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31)에 상하를 관통하는 센서설치홀(31-1)이 형성되는 상부커버(30); 원통형 몸체(41)가 케이스(10)의 공간부(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통형 몸체(41) 상단이 센서(50)에 매달리도록 고정되는 추(40); 추(40)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센서(50); 센서(5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커버(30)의 몸체(31) 상부에 고정되는 센서케이스(60);로 구성된 액상침하감지센서(200)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동일 수위가 케이스(10) 내부에 공급되도록 설치되고 침하에 의해 케이스(10) 내부 수위 변화가 발생할 경우 추의 부력변동으로 인한 중량변화를 감지하여 침하되는 정도와 침하된 장소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 A measuring device for ground and roads subsidence and water level }
본 발명은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측정 대상물에 설치되는 다수의 액상침하계에 동일한 수위를 가지도록 서로 물이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높이가 변동되는 것을 부력에 의한 추의 중량변화에 의하여 측정하도록 구성한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중 항만, 공항, 택지조성, 플랜트, 하천제방, 도로, 댐 등의 공사들은 연약지반의 침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연약지반의 침하 관리를 위하여 이를 계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층별 침하계를 포함하여 다양한 침하계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층별 침하계는 지중으로 천공을 형성한 후 다수의 층별 침하계가 장착된 기준 로드를 천공에 삽입한 후 기준 로드의 하단부(통상 압입용 강관이 장착됨)가 지지층에 지지되도록 한 후 해당 층별 침하계가 위치한 심도의 침하를 계측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층별 침하계가 천공에 삽입된 후 주변 지반에 활착된 상태로 되며, 이 상태에서 층별 침하계는 주변 지반과 함께 이동하게 되어 기준 로드에 대한 층별 침하계의 이동을 계측함으로서 해당 심도의 침하량을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
도로의 경우 멀쩡하던 도로의 땅이 꺼지면 달리던 차량들이 대형사고를 당할 수 있다. 도로침하·공동 발생의 주요 원인은 도로포장면 하부에 상·하수도 파손으로 인한 토사유실과 지하철 등 지하공사 시행시 되메움재 다짐불량 등을 추정하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포장면 아래를 조사할 수 있는 장비가 없어 사람의 경험에만 의존해 원인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도로의 침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측정하는 시도가 있으나, 센서를 설치하기 용이하지 않고 기준점이 잡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도로나 상하수도관의 경우 그 침하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다양한 계측기를 사용하게 되나, 이러한 계측기는 각각의 지점에서 측정된 계측기의 기준점을 잡고, 다시 그 기준점에서 변형된 상태를 비교하여 침하 정도를 알게 되는데 이는 계측기 별로 많은 수의 기준점이 존재하고 오차 보정이 힘들뿐만 아니라 정확한 값을 도출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대상물의 변위 정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대상물의 침하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액상침하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수위를 간편하게 측정하거나 침하 정도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원형관(11)으로 이루어지며, 공간부(12)에 물이 채워지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하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21)의 노출된 일측이 고정브라켓(70)에 고정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하부커버(20); 케이스(10)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31)에 상하를 관통하는 센서설치홀(31-1)이 형성되는 상부커버(30); 원통형 몸체(41)가 케이스(10)의 공간부(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통형 몸체(41) 상단이 센서(50)에 매달리도록 고정되는 추(40); 추(40)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센서(50); 센서(5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커버(30)의 몸체(31) 상부에 고정되는 센서케이스(60);로 구성된 액상침하감지센서(200)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동일 수위가 케이스(10) 내부에 공급되도록 설치되고 침하에 의해 케이스(10) 내부 수위 변화가 발생할 경우 추의 부력변동으로 인한 중량변화를 감지하여 침하되는 정도와 침하된 장소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부커버(20)는 측면 일측에서 몸체(21) 내부를 통해 상면(21-1)으로 관통되는 수평연결홀(22)과 상하연결홀(23)이 형성되고, 수평연결홀(22)은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수평연결홀(22)과 연결관(8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부커버(30)는 몸체(31)의 측면 일측에서 몸체(31) 내부를 통해 저면으로 관통되는 수평연결홀(32)이 형성되고, 수평연결홀(32)은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수평연결홀(32)과 연결관(9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몸체(31)의 일측에 상하연결홀(33)이 형성되어 하부커버(20)의 상하연결홀(23)과 케이스(10) 외측에서 배관으로 연결되고, 센서케이스(60)의 원통체(61) 일측에 연결홀(62)이 형성되고, 연결홀(62)을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연결홀(62)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를 제공한다.
그리고 액상침하감지센서(200)는 상하수도관(3)에 한개 이상 설치되고, 상하수도관(3)을 둘러싸는 와이어(121)에 고정브라켓(120)이 고정되며, 고정브라켓(120)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부(122)에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고정되고,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높이조절부(122)에 고정브라켓(70)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도로(1)의 측부에 연장하여 형성한 설치대(2)에 수직바(100)를 다수개 고정하고, 수직바(100)의 일측에 높이조절브라켓(110)을 형성하여 높이조절브라켓(110)에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고정되되,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높이조절브라켓(110)에 고정브라켓(70)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를 제공한다.
또한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원형관(11)으로 이루어지며, 원형관(11)에 다수개의 홀(13)이 형성되고, 홀(13)을 통해 내부 공간부(12)에 물이 채워지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하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21)의 노출된 일측이 고정브라켓(70)에 고정되어 수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4)에 잠기도록 고정되는 하부커버(20); 케이스(10)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31)에 상하를 관통하는 센서설치홀(31-1)이 형성되는 상부커버(30); 원통형 몸체(41)가 케이스(10)의 공간부(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통형 몸체(41) 상단이 센서(50)에 매달리도록 고정되는 추(40); 추(40)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센서(50); 센서(5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커버(30)의 몸체(31) 상부에 고정되는 센서케이스(60);로 구성된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수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형성된 설치부(5)에 고정되어 물(4)이 홀(13)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추(40)에 부력을 작용시키고, 수위에 따라 케이스(1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변화에 따른 부력변화로 인한 추(40)의 중량변화를 감지하여 수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로나 상하수도관 등과 같은 대상물의 변위 정도를 수위 변화에 의하여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사의 액상침하계가 서로 연동되도록 공급된 물의 수위 변화가 액상침하계의 추에 작용하는 부력을 변화시켜 추의 중량변화를 측정하여 간편하게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대상물의 침하 측정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액상침하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액상침하계의 케이스에 홀을 형성하여 내부로 물이 드나들수 있게 하면 수위 변화에 의한 부력 변화에 의해 추의 중량 변화가 발생하고 이 중량변화를 센서로 측정하면 간편하게 수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를 도시한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가 도로에 설치되어 도로의 침하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가 도로에 설치되어 도로의 침하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가 상하수도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10) 내부에 물이 공급되고, 물은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와 동일한 수위를 가지게 구성되면, 침하가 발생한 곳의 액상침하감지센서(200) 내부의 물의 수위는 높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추(40)에 작용하는 부력 변화에 의해 충(40)의 중량 변화가 발생한 것을 센서(50)가 측정하여 침하 정도를 알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원형관(11)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공간부(12)에 물이 채워진다. 이때 물은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내부와 동일한 수위를 가지도록 채워진다.
케이스(10)는 상하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단과 하단의 개방구는 각각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30)로 막게 되고, 이러한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30)를 통하여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와 동일한 수위를 가지도록 물이 연동되도록 내부에 공급된다.
하부커버(20)는 케이스(10)의 하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21)의 노출된 일측이 고정브라켓(70)에 고정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커버(30)는 케이스(10)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31)에 상하를 관통하는 센서설치홀(31-1)이 형성된다. 센서설치홀(31-1)에 센서(50)가 설치되어 고정되고, 센서(50)에 추(40)가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센서(50)는 상부커버(30)에 지지되고, 추(40)는 센서(50)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추(40)는 내부가 비어있는 금속의 원통형 몸체(41)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0)의 공간부(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지만, 현실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센서(50)와 고정되어 그 중량 변화만 측정할 수 있게 고정된다. 즉 추(40)는 원통형몸체(41) 상단이 센서(50)에 매달려 있어서 추(40)의 주위에 있는 물의 부력에 의해 추(40)는 가벼워지거나 무거워지게 된다. 이를 센서(50)가 측정하여 그 변화 정도를 제어부로 보내게 된다.
다수의 액상침하감지센서(200)는 동일한 제어부로 그 측정값이 보내지므로 어느 부분에서 침하가 발생했는지 어느 정도의 침하가 발생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이때 추(40)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센서(50)는 일반적으로 중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센서케이스(60)가 센서(5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커버(30)의 몸체(31) 상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상침하감지센서(200)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동일 수위가 케이스(10) 내부에 공급되도록 설치되고, 침하에 의해 케이스(10) 내부 수위 변화가 발생할 경우 추의 부력변동으로 인한 중량변화를 감지하여 침하되는 정도와 침하된 장소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커버(20)는 측면 일측에서 몸체(21) 내부를 통해 상면(21-1)으로 관통되는 수평연결홀(22)과 상하연결홀(23)이 형성되고, 수평연결홀(22)은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수평연결홀(22)과 연결관(8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커버(20)를 통해 물이 동일하게 채워지고 이 물에 의해 추(40)에는 부력이 발생하게 되어 센서(50)가 추의 무게 변화를 감지한다.
상부커버(30)는 몸체(31)의 측면 일측에서 몸체(31) 내부를 통해 저면으로 관통되는 수평연결홀(32)이 형성되고, 수평연결홀(32)은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수평연결홀(32)과 연결관(9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커버(30)로 부터 동일한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서로 연통된다.
케이스(10)의 전체에 동일한 대기압이 작용할 수 있게 몸체(31)의 일측에 상하연결홀(33)이 형성되어 하부커버(20)의 상하연결홀(23)과 케이스(10) 외측에서 배관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센서케이스(60)에도 동일 조건을 위해 인접한 센서케이스(60)와 서로 연통시키기 위하여 원통체(61) 일측에 연결홀(62)이 형성되고, 연결홀(62)을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연결홀(62)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구체적인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상침하감지센서(200)는 상하수도관(3)에 한개 이상 설치되고, 상하수도관(3)을 둘러싸는 와이어(121)에 고정브라켓(120)이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120)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부(122)에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고정되고,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높이조절부(122)에서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고정브라켓(70)이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게 된다. 높이조절부(122)는 일반적으로 고정브라켓(70)이 고정되는 레일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고정브라켓(70)을 상하 이동하면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어떤 형태든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 무방하다.
그리고 도로에 설치할 경우, 도로(1)의 측부에 연장하여 형성한 설치대(2)에 수직바(100)를 다수개 고정하고, 수직바(100)의 일측에 높이조절브라켓(110)을 형성하여 높이조절브라켓(110)에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고정하게 된다. 이때도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높이조절브라켓(110)에 고정브라켓(70)를 조절하여 고정하게 된다.
높이 조절브라켓(110) 또한 전술한 높이조절부(122)와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예로 수위를 측정하는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케이스(10)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원형관(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동일하나, 원형관(11)에 다수개의 홀(13)이 형성되고, 홀(13)을 통해 내부 공간부(12)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하부커버(20)는 케이스(10)의 하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21)의 노출된 일측이 고정브라켓(70)에 고정되어 수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4)에 잠기도록 고정된다.
상부커버(30)는 케이스(10)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31)에 상하를 관통하는 센서설치홀(31-1)이 형성되며, 센서설치홀(31-1)에 센서(50)가 고정된다.
추(4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원통형 몸체(41)가 케이스(10)의 공간부(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통형 몸체(41) 상단이 센서(50)에 매달리도록 고정된다. 또한 센서(50)도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센서케이스(60)는 센서(5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5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커버(30)의 몸체(31) 상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수위 측정용 액상침하감지센서(200)는 수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형성된 설치부(5)에 고정되어 물(4)이 홀(13)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추(40)에 부력을 작용시키고, 수위에 따라 케이스(1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변화에 따른 부력변화로 인한 추(40)의 중량변화를 감지하여 수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1 : 도로 2 : 설치대
3 : 상하수도관 4 : 물
5 : 설치구조물 10 : 케이스
11 : 원형관 12 : 공간부
13 :홀 20 : 하부커버
21 : 몸체 21-1 : 상면
22 : 수평연결홀 23 : 상하연결홀
30 : 상부커버 31 : 몸체
31-1 : 센서설치홀 32 : 수평연결홀
33 : 상하연결홀 40 : 추
41 : 원통형몸체 50 : 센서
60 : 센서케이스 61 : 원통체
62 : 연결홀 70 : 고정브라켓
80, 90 : 연결관 100 : 수직바
110 : 높이조절브라켓 120 : 배관고정브라켓
121 : 와이어 122 : 높이조절부
200 : 액상침하감지센서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원형관(11)으로 이루어지며, 공간부(12)에 물이 채워지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하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21)의 노출된 일측이 고정브라켓(70)에 고정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하부커버(20);
    케이스(10)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31)에 상하를 관통하는 센서설치홀(31-1)이 형성되는 상부커버(30);
    원통형 몸체(41)가 케이스(10)의 공간부(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통형 몸체(41) 상단이 센서(50)에 매달리도록 고정되는 추(40);
    추(40)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센서(50);
    센서(5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커버(30)의 몸체(31) 상부에 고정되는 센서케이스(60);로 구성된 액상침하감지센서(200)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동일 수위가 케이스(10) 내부에 공급되도록 설치되고 침하에 의해 케이스(10) 내부 수위 변화가 발생할 경우 추의 부력변동으로 인한 중량변화를 감지하여 침하되는 정도와 침하된 장소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커버(20)는 측면 일측에서 몸체(21) 내부를 통해 상면(21-1)으로 관통되는 수평연결홀(22)과 상하연결홀(23)이 형성되고, 수평연결홀(22)은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수평연결홀(22)과 연결관(8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부커버(30)는 몸체(31)의 측면 일측에서 몸체(31) 내부를 통해 저면으로 관통되는 수평연결홀(32)이 형성되고, 수평연결홀(32)은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수평연결홀(32)과 연결관(9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몸체(31)의 일측에 상하연결홀(33)이 형성되어 하부커버(20)의 상하연결홀(23)과 케이스(10) 외측에서 배관으로 연결되고,
    센서케이스(60)의 원통체(61) 일측에 연결홀(62)이 형성되고, 연결홀(62)을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의 연결홀(62)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상침하감지센서(200)는 상하수도관(3)에 한개 이상 설치되고, 상하수도관(3)을 둘러싸는 와이어(121)에 고정브라켓(120)이 고정되며, 고정브라켓(120)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부(122)에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고정되고,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높이조절부(122)에 고정브라켓(70)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로(1)의 측부에 연장하여 형성한 설치대(2)에 수직바(100)를 다수개 고정하고, 수직바(100)의 일측에 높이조절브라켓(110)을 형성하여 높이조절브라켓(110)에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고정되되, 인접한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높이조절브라켓(110)에 고정브라켓(70)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5.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원형관(11)으로 이루어지며, 원형관(11)에 다수개의 홀(13)이 형성되고, 홀(13)을 통해 내부 공간부(12)에 물이 채워지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하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21)의 노출된 일측이 고정브라켓(70)에 고정되어 수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4)에 잠기도록 고정되는 하부커버(20);
    케이스(10)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31)에 상하를 관통하는 센서설치홀(31-1)이 형성되는 상부커버(30);
    원통형 몸체(41)가 케이스(10)의 공간부(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통형 몸체(41) 상단이 센서(50)에 매달리도록 고정되는 추(40);
    추(40)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센서(50);
    센서(5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커버(30)의 몸체(31) 상부에 고정되는 센서케이스(60);로 구성된 액상침하감지센서(200)가 수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형성된 설치부(5)에 고정되어 물(4)이 홀(13)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추(40)에 부력을 작용시키고, 수위에 따라 케이스(1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변화에 따른 부력변화로 인한 추(40)의 중량변화를 감지하여 수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KR1020130032578A 2013-03-27 2013-03-27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KR101427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578A KR101427361B1 (ko) 2013-03-27 2013-03-27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578A KR101427361B1 (ko) 2013-03-27 2013-03-27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361B1 true KR101427361B1 (ko) 2014-08-07

Family

ID=5174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578A KR101427361B1 (ko) 2013-03-27 2013-03-27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3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876A (ko) * 1998-04-10 1999-11-05 이창남 구조물 변위 측정 방법 및 장치
JP2002286512A (ja) 2001-03-26 2002-10-03 Minebea Co Ltd 地盤内沈下感知測定器
KR200416324Y1 (ko) 2006-02-24 2006-05-12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및 침하 계측 구조
KR100955599B1 (ko) 2009-08-25 2010-05-03 (주)명성지오시스템 지하수위 자동계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876A (ko) * 1998-04-10 1999-11-05 이창남 구조물 변위 측정 방법 및 장치
JP2002286512A (ja) 2001-03-26 2002-10-03 Minebea Co Ltd 地盤内沈下感知測定器
KR200416324Y1 (ko) 2006-02-24 2006-05-12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및 침하 계측 구조
KR100955599B1 (ko) 2009-08-25 2010-05-03 (주)명성지오시스템 지하수위 자동계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st et al. Hydraulic head measurements-new technologies, classic pitfalls
CN105350509A (zh) 一种填土分层沉降监测装置及方法
KR101431190B1 (ko) 토층 내 수분변화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분변화 측정방법
KR101219468B1 (ko)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US20110161008A1 (en) Land settlement measuring apparatus and system
JP2002286512A (ja) 地盤内沈下感知測定器
KR200416324Y1 (ko)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및 침하 계측 구조
KR101688045B1 (ko) 내부변위 및 간극수압 통합 계측기
US20120152012A1 (en) Method of Determining Surface Level, and a Soil Moisture Sensor
KR100931061B1 (ko) 연약 지반 침하 측정장치 및 이에 따른 침하량 측정방법
JP2021148757A (ja) 地下水位観測装置、地下水位観測装置の設置方法及び地下水位の観測方法
KR101427361B1 (ko)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CN104074207A (zh) 高精度灌注桩桩孔沉渣厚度测量技术
US7162923B1 (en) Adjustable floating open-water evaporation pan
CN107655452A (zh) 液压传感式沉降观测系统
CN108692796B (zh) 一种动态采煤沉陷区地下水和地表水水位差测量装置
JP4703773B1 (ja) 地盤変位測定装置
RU12612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ланово-высотного положения подзем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CN205066867U (zh) 一种水位自动记录仪的安装装置
KR102237268B1 (ko) 플로우 베리에이션 디텍팅 시스템
KR102118587B1 (ko) 토양 지하수 오염탐지를 위한 누유검출장치
KR100787157B1 (ko) 위성위치시스템을 이용한 측량 삼각점 및 수준점의지반상태 확인시스템
EP4025871A1 (en) A settl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521426Y2 (ja) 地中液位計
CN103644952A (zh) 一种竖井晶间卤水水位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