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257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257B1
KR101427257B1 KR1020060099995A KR20060099995A KR101427257B1 KR 101427257 B1 KR101427257 B1 KR 101427257B1 KR 1020060099995 A KR1020060099995 A KR 1020060099995A KR 20060099995 A KR20060099995 A KR 20060099995A KR 101427257 B1 KR101427257 B1 KR 101427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ntenn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805A (ko
Inventor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2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3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1바디; 제1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한 바디에 설치되고, 제2바디의 제1바디에 대한 이동된 상태별로 최적의 급전점이 각각 마련되는 안테나; 및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이동시 그 이동된 상태별로 상기 최적의 급전점을 변환시켜 안테나를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무선신호처리모듈에 연결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동되는 두 바디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무선감도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안테나, 슬라이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려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최적 급전개념을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3의 안테나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바디와 제2바디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변환부를 보인 평단면도,
도 8은 도 7의 변환부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려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1바디
21: 제1키패드 25: 슬롯
30: 제2바디 31: 디스플레이
35: 작동부재 40: 안테나
41: 안테나 몸체 42: 제1최적 급전부
43: 제2최적 급전부 50: 무선신호처리모듈
60: 변환부 61: 가동부재
62: 제1단자 63: 제2단자
64: 제3단자 70: 슬라이드 모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두 바디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안테나가 어느 한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해 이동되는 경우 무선 감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통화나 무선 송수신된 데이터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나로서, 기지국과의 무선 송수신을 위하여 안테나가 필수 요소로서 장착된다.
안테나는 단말기의 디자인과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설계자로서는 끊임없이 변화되고 진보되는 단말기 디자인에 대하여 무선 성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안테나의 구조와 배치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더 작고 슬림화되고 경량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도 더 작고 슬림화되고 있다.
오랫동안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어 오고 있는 외장형(external)의 안테나는 방사체가 외부에 있으므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충격에 의하여 파손될 위험성이 있고 단말기의 전체적인 외양을 복잡하게 하는 점이 있어, 내장형(internal)의 안테나(intenna라고 부르기도 한다)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내장형 안테나는 외장형 안테나에 비해 이득이 작고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른 부품들과 간섭 문제를 고려해야 하므로, 그 배치와 구조는 보다 많은 제약을 극복해야 한다. 특히, 이동되는 두 바디로 이루어진 단말기의 어느 한 바디에 장착되는 경우라면 바디의 이동시 안테나의 무선감도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례를 도 1,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려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는 내부에 안테나(8)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2)와, 단말기 본체(2)에 슬라이드 모듈(4)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부(3)로 이루어져 있다. 단말기 본체(2)의 전면에는 슬라이드부(3)가 슬라이드 업(up)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키패드(5)가 구비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부(3)의 전면에는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가 구비되어 있다.
안테나(8)는 이동통신 단말기(1)가 대기 상태 및 통화 상태에 관계없이 기지국(도시되지 않음)과 무선 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바디(3)가 제1바디(2)에 대해 슬라이드 업되는 경우, 제2바디(2) 자체 즉, 제2바디(2)에 있는 도체 성분 등의 위치의 변화(L)에 의하여 안테나(8)의 성능의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안테나(8)는 하나의 고정된 급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슬라이드 업과 슬라이드 다운시 이러한 무선 감도의 편차를 개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두 바디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느 한 바디가 이동하더라도 안테나의 무선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한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바디의 제1바디에 대한 이동된 상태별로 최적의 급전점이 각각 마련되는 안테나; 및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이동시 그 이동된 상태별로 상기 최적의 급전점을 변환시켜 상기 내장형 안테나를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무선신호처리모듈에 연결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최적 급전개념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안테나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안테나(40)는 도전성 몸체(41)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전성 몸체(41)에는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신호처리모듈(RF Module; 50)에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급전부들(42,43)이 형성되어 있다.
급전부들(42,43)은 도전성 몸체(41)의 각기 다른 위치에서 형성되고 있다. 즉, 후술하는 도 5에서 예로 들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2바디(30)가 제1바디(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업(slide up)되는 경우와 슬라이드 다운(down)되는 경우의 각각에 대하여 최적의 무선 감도를 제공하는 급전점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 최적의 급전점에 대응되는 제1최적 급전부(42) 및 제2최적 급전부(43)로 구성된다.
이러한 안테나(40)는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두 바디를 갖는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의 도시예와 달리 어느 한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하여 회전되어 개폐되는 이른바 '폴더(folder)'타입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회전되어 개방되어 있을 때와 닫혀 있을 때를 구분하여 이동상태별로 최적의 급전점이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안테나(40)는 모노폴(monopole) 타입이나 평판(planar) 타입 또는 알려진 다른 타입의 안테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라운드 급전부(44)를 별도로 갖는 평판 타입을 예로 들었다.
안테나 몸체(41)는 송수신 대역 및 이득을 고려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튜닝될 수 있으며, 그 일부에는 대역폭을 확장하기 위한 스터브(stub; 4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제1최적 급전부(42)와 제2최적 급전부(43)는 각각 무선신호처리모듈(50)에 연결되어 있는 변환부(6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무선신호처리부(5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환부(60)는 그 일단이 무선신호처리모듈(50)에 연결되며 그 타단은 제1최적 급전부(42)와 제2최적 급전부(43)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제1최적 급전부(42) 또는 제2최적 급전부(43)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가동부재(61)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부재(61)는 후술하는 도 5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2바디(3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된다.
변환부(60)는 안테나(40)가 처해진 상태 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려 있는 경우와 닫혀 있는 경우에 따라 무선신호처리모듈(50)이 안테나(40)가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급전점으로 연결되도록 급전 상태를 변환시킨다(도 4 참조). 즉, 가동부재(61)의 작용에 의하여 무선신호처리모듈(50)이 제1최적 급전부(42) 또는 제2최적 급전부(43)에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안테나(40)만으로도 최적의 무선감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바디와 제2바디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1키패드(21)가 전면에 형성된 제1바디(20)와, 전면에 디스플레이(31) 및 제2키패드(32)가 구비되어 있고 제1바디(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30)를 구비하고 있다. 제1바디(20)의 후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바디(20)와 제2바디(30) 사이에는 제2바디(30)가 제1바디(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70)이 구비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모듈(70)은 제1바디(20)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71)와 제2바디(30)에 고정되며 제1슬라이드 부재(71)에 구속되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72) 및 제1슬라이드 부재(71)와 제2슬라이드 부재(72) 사이에 설치되어 제2바디(30)가 제1바디(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 반자동을 구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3)로 구성되어 있다.
제1바디(20)의 내부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안테나(4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부재(61)를 동작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제2바디(3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는 작동부재(35)가 구비된 형태를 예로 들고 있으며, 제1바디(20)에는 작동부재(35)가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슬롯(25)이 형성된다.
도 7은 도 6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변환부(60)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변환부(60)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에 의하면, 도 6의 슬롯(25)의 내부에는 가동부재(61)가 작동부재(35)와 접촉되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재(6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동부재(61)의 일단은 제1바디(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모듈(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제3단자(64)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제2바디(3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제1단자(62) 및 제2단자(63) 사이를 이동하며 제1단자(62) 또는 제2단자(63)에 접촉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제1단자(62)는 제2바디(30)의 슬라이드 업(up)시에 최적의 급전점을 제공하는 제1최적 급전부(42)에 연결되며, 제2단자(63)는 제2바디(30)의 슬라이드 다운시에 최적의 급전점을 제공하는 제2최적 급전부(43)에 연결된다. 제1최적 급전부(42)와 제2최적 급전부(43)는 도 4와 도 5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가동부재(61)는 제2바디(30)가 슬라이드 다운시 제2단자(63)에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의하면, 가동부재(61)는 자체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 형태로 되어 제3단자(64)에 고정되어 있어 가동부재(61)가 상방으로 올라가면 가동부재(61)의 상단이 도면에서 보아 오른쪽으로 이동되고, 다시 내려오면 가동부재(61)의 상단이 왼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바디(30)를 슬라이드 업시키면 작동부재(35)도 함께 이동되면서 제2단자(63)에 접촉되었던 가동부재(61)는 작동부재(35)를 도면에서 보다 오른쪽으로 밀게 되고, 작동부재(35)는 제1단자(62)에 접촉된다.
반대로, 도 8의 상태에서 제2바디(30)를 슬라이드 다운시키면 작동부재(35) 도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고, 제1단자(62)에 접촉되었던 가동부재(61)의 상단이 왼쪽으로 복귀되면서 제2단자(63)에 접촉되어 결과적으로 무선신호처리모듈(50)은 제2최적 급전부(43)에 연결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업에 따른 안테나(40)의 최적의 급전이 제공되고, 제2바디(30)가 제1바디(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폐됨에 따라 제2바디(20)에 의하여 받는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려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9와 도 10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안테나(140)가 내장되어 있는 제1바디(120)와 제1바디(1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130)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140)는 제2바디(130)가 슬라이드 업시 및 슬라이드 다운시에 적합한 무선 감도를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급전부(도시되지 않음.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도 4의 설명으로 갈음한다)를 포함하고 있다.
제1바디(120)에는 일정 위치에 자기 센서(125)가 설치되어 있고, 제2바디(130)에는 제2바디(130)가 슬라이드 업시 자기 센서(125)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자기 센서(125)와 제2바디(130)의 슬라이드 이동간격만큼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자석(135)이 구비되어 있다.
도 11에 의하면, 자기센서(125)와 안테나(140)는 제어부(180)에 연결되어 있 다.
제어부(180)는 제2바디(130)가 슬라이드 업시 무선신호처리모듈(150)을 안테나(140)의 제1최적 급전부(142)에 연결시키고, 제2바디(130)가 슬라이드 다운시 무선신호처리모듈(150)을 안테나(140)의 제2최적 급전부(143)에 연결시킨다.
즉, 자기센서(125)와 제어부(180)는 연결되어 안테나(140)의 급전점을 변환시키는 변환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자석(135)과 자기센서(125)는 비접촉식으로 제어부(180)에 신호를 인가하게 되어 신뢰성이 우수해지게 된다. 또한, 자석(135)과 자기센서(125)는 제2바디(130)의 개폐여부에 따른 모드 변환을 위한 장치로서도 겸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품수를 절약하게 되어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제2바디의 제1바디에 대한 이동된 상태별로 최적의 급전점이 각각 마련되는 안테나와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이동시 그 이동된 상태별로 상기 최적의 급전점을 변환시켜 상기 내장형 안테나를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무선신호처리모듈에 연결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이동되는 두 바디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무선감도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변환부는 제2바디와 제1바디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무선신호처리모듈과 안테나를 기계적으로 변환시키거나, 제2바 디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의 의하여 급전점을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9)

  1. 무선신호처리모듈이 장착되고,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와 슬라이딩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선신호처리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대면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바디; 및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급전접이 전환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상기 제1 단자와 연결되는 제1 급전부와, 상기 제2 단자와 연결되는 제2 급전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일단이 상기 제3 단자에 연결되고 굴곡을 가지고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자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도전체; 및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도전체가 제1 단자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바디로부터 상기 도전체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도전체에 접하여 상대이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바디의 슬라이드 업(up) 시에 급전점을 제공하는 제1 급전부 및 상기 제2바디의 슬라이드 다운(down) 시에 급전점을 제공하는 제2 급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바디와 마주보는 제2바디의 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에는 상기 작동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3항 있어서,
    상기 제1 급전부 및 제2 급전부는 상기 제2바디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상기 제2바디가 슬라이드 다운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제2 급전부에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도록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자체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바디가 슬라이드 업시 상기 자기 센서를 동작시키는 자석; 및
    상기 제2바디가 슬라이드 업시 상기 무선신호처리모듈을 상기 제1 급전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제2바디가 슬라이드 다운시 상기 무선신호처리모듈을 상기 제2 급전부에 연결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99995A 2006-10-13 2006-10-13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2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95A KR101427257B1 (ko) 2006-10-13 2006-10-13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95A KR101427257B1 (ko) 2006-10-13 2006-10-13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05A KR20080033805A (ko) 2008-04-17
KR101427257B1 true KR101427257B1 (ko) 2014-08-06

Family

ID=3957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995A KR101427257B1 (ko) 2006-10-13 2006-10-13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2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604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알에프 신호 특성 보상 장치
KR20060001793A (ko) * 2004-06-29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604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알에프 신호 특성 보상 장치
KR20060001793A (ko) * 2004-06-29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05A (ko)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8065B1 (en) Mobile communiction terminal with a frame and antenna
US7298337B2 (en) Antenna device for a mobile phone
US7433467B2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ground connecting device which uses a hinge device
US6272324B1 (en) Electrical connection for telephone with hinged cover
JP3633548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用アンテナ及びそれを備えた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US8933849B2 (en) Portable wireless device
KR2005008215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EP1903633A1 (en) Built-in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JP2006129386A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580546B1 (ko) 금속 테두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61945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3764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14272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6753827B2 (en) Antenn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1448B1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679078B1 (ko) 안테나용 힌지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KR100726234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705015B1 (ko) 인테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US6980160B2 (en) Antenna structure with integral impedance switch mechanism
KR101257079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CN102111463B (zh) 无线通信装置
KR20060022106A (ko)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0580B1 (ko)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KR100836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EP2023436A1 (en) Mobile terminal with two antennas for reducing the rf radiation exposure of the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