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833B1 - 크레이프 및 언크레이프 티슈 제조용 주름진 제지 직물 - Google Patents

크레이프 및 언크레이프 티슈 제조용 주름진 제지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833B1
KR101426833B1 KR1020070108219A KR20070108219A KR101426833B1 KR 101426833 B1 KR101426833 B1 KR 101426833B1 KR 1020070108219 A KR1020070108219 A KR 1020070108219A KR 20070108219 A KR20070108219 A KR 20070108219A KR 101426833 B1 KR101426833 B1 KR 10142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leats
warp
strands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054A (ko
Inventor
크리스티나 아센시오 머럴리
브룩 새벨
Original Assignee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3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006Making patterned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2Woven fabric for papermaking drier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3Paper forming member, e.g. fourdrinier, sheet form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195Three-dimensional weave [e.g., x-y-z planes, multi-planar warps and/or wefts, etc.]
    • Y10T442/3203Multi-planar warp layer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지 직물은 골에 의해 분리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세로 방향 주름을 가진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으로 형성되고 2 이상의 지름의 여러 위사 가닥에 의해 지지된다.
제지 직물, 경사, 위사

Description

크레이프 및 언크레이프 티슈 제조용 주름진 제지 직물{Rippled papermaking fabrics for creped and uncreped tissue manufacturing processes}
본 발명은 초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초지기에 사용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티슈 제품, 특히 흡수 티슈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티슈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차별화된 제품 외관을 제공해야 할 지속적인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지형적 제지 직물 상에 부분적으로 탈수된 셀룰로오스 직물을 성형하는 것은 마무리된 종이 제품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성형은 웬트 등의 미국 특허 5,672,248에 개시된 언크레이프 스루 에어 드라이드 공법(uncreped through air dried process) 또는 트로칸의 미국 특허 4,637,859, 클로와크의 미국 특허 4,849,054, 에드워드 등의 미국 특허 6,287,426 또는 헤르만 등의 미국 특허 출원 US 2006/0090867 A1에 개시된 습식 압축 티슈 제조 공법(wet pressed tissue manufacturing processes)에서 직물에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습식 성형은 티슈가 미국 특허 출원 2006/0090867 A1에 개시된 대로 연속적으로 크레이프되거나 언크레이프 티슈 제품이 생산되는 지에 무관하게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을 부여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향상된 성형 특성, 티슈 구조, 및 티슈 주름성(crepability)을 위해서는 제지 직물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칸의 미국 특허 4,161,195는 5 개구(5-shed) 이상이고 불규칙적인 능직물 패턴으로 짜져 경사와 위사는 각 단위 직조 반복 무늬에서 동일한 양의 인터레이싱(interlacings)을 가지며 너클(knuckle)은 길이로 3 이상의 교차점을 초과하지 않는 제지 섬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D 및 CD 너클은 비록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직물의 상부 표면에서 공면이다. 직물은 단지 3개의 위사 및 MD 너클의 작은 오버랩를 통과하는 비교적 짧은 경부직(warp float)을 가진다.
카우프만과 헤르만의 미국 특허 5,832,962는 CD로부터 68 내지 90도로 향하는 인접한 재봉실 위의 긴 경사 너클에 의해 형성된 대형 골의 제 1 축 및 CD로부터 23도 이하의 각도를 가진 인접한 경사 위의 다른 겹치는 긴 경사 너클에 의해 형성된 제 2 축을 포함하는 경사 지배적 TAD 직물(warp dominant TAD fabrics)을 기술한다. 직물 골은 z 방향이 아닌 세로 방향(machine dirction)으로 겹치는 인접한 경사를 기초로 하기 때문에 하나의 경사 가닥의 높이보다 높지 않다. 골은 겹치는 구조 때문에 MD에 대해 사선으로 위치한다. 예시적인 직물은 단위 직조 반복 무늬에 적어도 4개의 인터레이싱, 적어도 3개의 금, 측면 원사 주름을 가지며 9 개구(9-shed) 이상이다.
치우 등의 미국 특허 5,429,686은 독특한 내력 직물 층과 추가의 길게 부직된 세로 방향 원사에 의해 형성된 추가 무늬 층을 가진 스루 에어 드라잉 직물을 개시하며, 경부직은 형태를 가진 시트를 만들기 위해 내력 직물층의 몸체에 꿋꿋이 서있다.
미국 특허 4,239,065는 MD 및 CD 모두에서 엇갈린 "고리짝형 구멍(wicker-basket-like cavities)"을 구비한 직물을 기술한다. 공면 상부 표면 너클은 서브-탑 표면 교차점 또는 너클에 이르는 구멍을 둘러싼다. 구멍을 둘러싸는 피켓은 습식-압축 제지 공정에서 시트 속에 각인된다. 램의 미국 특허 6,593,714 및 6,649,026은 트로칸보다 큰 구멍을 기술하는데, 이 구멍은 경사 및 위사 인터레이싱을 포함한다. 구멍은 직물 구조의 내부에 있는 두 평면들 사이에서 측정된 주머니 깊이의 치수를 가진다.
다른 직물은 CD 너클의 서브-탑 표면을 가진 MD 너클의 상부 표면과 MD 너클의 하부 서브-탑-표면을 기초로 한 트로칸의 독특한 구멍 대신에 상호연결된 구멍을 제공하는 플레이스쳐의 미국 특허 5,228,482에 개시된다.
헤이 등의 미국 특허 6,237,,644 B1은 MD 및 CD에 적어도 3개의 원사를 가진 연속된 격자로 분리된 직조 영역을 가진 직물을 개시한다.
브라진 등의 미국 특허 6,998,024 B2는 실질적으로 연속된 셀 방향 골을 가진 제지 직물을 개시하며 여기서 골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으로 만들어진다. 이 골은 개별 경사보다 높고 넓다. 넓은 바탕 골은 약 0.3cm 이상의 골 너비를 가지며 CD에서 골의 발생 횟수는 센티미터 당 약 0.2 내지 3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위사 지름은 경사 지름보다 크거나 작으나 단지 1 위사 지름이 이용된다.
뮤랄리 등의 미국 특허 출원 US 2005/00236122 A1은 상승된 경사 또는 상승 된 위사 가닥에 의해 둘러싸인 직물 표면에 규칙적으로 연속된 뚜렷하고, 비교적 큰 오목한 부분을 가진 깊고, 불연속적인 구멍 구조를 갖는 제지 직물을 개시한다. 이 구멍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으며, 구멍 면 상의 상부 모서리는 비교적 평평하거나 평평하지 않으나, 개별 구멍의 최저점은 다른 구멍의 최저점과 연결되지 않는다. 가장 보편적인 실시예들은 구조에서 모두 와플형이고 경사 지배적, 위사 지배적 또는 공면일 수 있다. 구멍 깊이는 경사 가닥 지름의 약 250 내지 525 퍼센트일 수 있다.
다른 특허는 트로칸의 미국 특허 4,528,239, 휴스톤의 EP 988,419 B1, 브라진 및 치우의 미국 특허 6,398,910 B1 또는 파인 등의 미국 특허 출원 US 2006/0182936 A1에 개시된 직물의 시트-접촉면 상의 수지성 구조물 또는 폴리머 패턴의 사용과 같은 평면 또는 지형적 직물의 표면에 부착된 재료에 관한 것이다.
당업계에서 필요한 것은, 예를 들어, 진공 작동 창문을 개량시키고, 크레이핑과 건조를 향상시키기 위해 양키 드라이어에 대한 시트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핀홀을 제거하여 TAD 양(through air drying loads)을 감소시키고, 또는 직물의 견고함을 증가시키거나 물을 감소시켜 직물 수명을 향상시킴으로써 초지기에서 향상된 작업성을 가진 제지 직물이다. 또한 당업계에서 필요한 것은 티슈 크기를 증가시키는 개량된 형태를 제공하는 제지 직물이다.
본 발명은 향상된 티슈 크기 및 다른 티슈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향상된 기계적 작업성을 전달할 수 있는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지 직물은 직물(woven fabrics)에 한정되나 티슈 물리적 특성 또는 미관을 향상시키는 보조 재료를 첨가하는 기초 직물로서 적합할 수 있다.
새로운 직조 기술은 스루 에어 드라잉(TAD) 직물로 사용될 때 향상된 직물 강도, 향상된 타월 크기(직물 프레드), 및 욕실용인 향상된 직물 지지력(직물 잭)를 제공하는 다른 좁은 바탕 제지 직물을 개발하는데 사용되었다. 또한 이런 직물은 미적으로 허용가능한 주름과 우수하고, 큰 티슈 특질을 나타내기 위해 통상적인 스루 에어 드라이드 티슈 장치와 같은 크레이프 응용분야에서 TAD 직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직물은 에드워드 등의 미국 특허 6,287,426에 개시된 습식 압축 제지 공정에서 임프레션 직물(impression fabrics)로 사용될 수 있다.
한 태양에서, 본 발명은 골에 의해 분리된 실질적으로 연속된 세로 방향 주름을 가진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구비한 제지 직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주름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으로 형성되고 2 이상의 지름의 여러 위사 가닥에 의해 지지된다; 주름의 너비는 약 1 내지 약 5 밀리미터, 더욱 구체적으로 약 1.3 내지 3.0 밀리미터, 더욱 더 구체적으로 1.9 내지 2.4 밀리미터이고; 직물의 가로-세로 방향(cross-machine direction)에서 주름의 발견 횟수는 센티미터 당 약 0.5 내지 8, 더욱 구체적으로 3.2 내지 7.9, 더욱 구체적으로 4.2 내지 5.3이다. 이런 직물은 이후에 좁은 바탕 주름 직물로 부를 것이다. 직물의 상부면과 티슈 지필(tissue web)이 접촉할 수 있는 최저의 눈에 보이는 직물 너클 사이의 z-방향거리인 주름진 채널 깊이는 약 0.7 내지 약 1.6, 더욱 구체적으로 약 0.8 내지 약 1.1 밀리미터, 더욱 구체적으로 약 0.8 내지 약 1.0 밀리미터, 및 더욱 더 구체적으로 약 0.85 내지 약 1.0 밀리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해서, "너클"은 경사와 위사를 겹치게 하여 형성된 구조이다). 본 발명을 위해서, 최저의 눈에 보이는 직물 너클은 직물 골 내의 오버-1 위사 경사 너클(over-1-shute warp knuckle)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배수의 위사 지름과 변형된 직물 구조를 사용하면 주름진 채널 깊이(이후에서 한정됨)를 경사 가닥 지름의 약 250 내지 약 300%, 더욱 구체적으로 약 260 내지 약 290%, 또는 경사 및 가중 평균 위사 지름의 합의 약 105 내지 약 120%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배수의 위사 지름과 변형된 직물 구조를 사용하면 종래 기술의 단일층 구조에 비해 거의 80%의 향상된 직물 강도를 가지며, 종이 기계에 대한 공정 이상을 견디는 향상된 직물 강성뿐만 아니라 여러 직물 설치와 기계적 마모를 위한 향상된 강인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직물에 대한 가로-세로 굽힘 강성은 약 20 내지 약 80 Nㆍm, 더욱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약 50 Nㆍm 및 더욱 더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약 40 Nㆍ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의 직물은 유사한 직물 주름 너비의 종래 구조와 대비하여 향상된 티슈 크기와 CD 변형률 수준을 제공하는 동시에 핀홀 기준에 의해 측정된 직물 지지체의 허용가능한 수준을 얻게 한다.
본 발명의 한 태양은 직물의 세로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고 골에 의해 분리된 실질적으로 연속된 세로 방향 주름을 포함하는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구비한 제지 직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주름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으로 형성되고 2 이상의 지름의 여러 위사 가닥에 의해 지지되며, 경사 가닥은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며 각 개별 경사 가닥은 상기 주름의 구조 및 상기 골의 구조 모두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초지기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이 직물은 골에 의해 분리된 실질적으로 연속된 세로 방향 주름을 구비한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에 의해 형성되고 2 이상의 지름의 여러 위사 가닥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직물의 세로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고 골에 의해 분리된 실질적으로 연속된 세로 방향 주름을 포함하는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구비한 제지 직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름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으로 형성되고 2 이상의 지름의 여러 위사 가닥에 의해 지지되며, 경사 가닥은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며 각 개별 경사 가닥은 상기 주름의 구조 및 상기 골의 구조 모두에 관여한다.
본 발명은 직물 수명을 향상시킴으로써 초지기에서 향상된 작업성을 가진 제지 직물을 제공하며, 티슈 크기를 증가시키는 개량된 형태를 제공하는 제지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로, "제지 직물"이란 용어는 웨트-레이드(wet-laid) 공정 또는 에어-레이드(air-laid) 공정에 의해 티슈 시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지필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직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구체적인 제지 직물은 포밍 직물(forming fabrics); 웬트 등의 미국 특허 5,672,248에 개시된 한 제지 단계로부터 다른 단계로 젖은 지필을 운반하는 트랜스퍼 직물(transfer fabrics); 웬트 등, 허만 등의 미국 특허 출원 US 2006/0090867 A1 또는 에드워드 등의 미국 특허 6,287,426에 개시된 대로, 지필이 압력의 도움에 의해 구조로 형성되고 다른 공정 단계로 전달되는 몰딩 직물(molding fabrics), 쉐이핑 직물(shaping fabrics) 또는 임프레션 직물(impression fabrics); 에드워드 등의 US 2005/02441786 A1에 개시된 크레이핑 직물(creping fabrics); 클로와크의 미국 특허 4,849,054에 개시된 엠보싱 패브릭; 미국 특허 출원 US 2006/0085998 A1에 개시된 V형 틈새에 있는 젖은 지필에 인접한 구조 직물(structured fabrics); 또는 웬트 등, 치우 등의 미국 특허 5,429,686 및 언크레이프 공정에 대한 브라진 등의 미국 특허 6,808,599 B2 또는 크레이프 공정에 대한 카우프만 & 허만의 미국 특허 6,039,838에 개시된 스루-에어 드라잉 직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베이비 와이프와 같은 부직포, 비섬유성 지필의 제조에 사용되는 몰딩 또는 에어-레이드 포밍 직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직물 용어는 당업자에게 익숙한 명명법을 따른다. 예를 들어, 비록 직물은 한 방향에서 제조될 수 있고 다른 방향에서 초지기에서 회전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경사는 통상적으로 세로 방향의 원사이고 위사는 가로-세로 방향의 원사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대로, "경사 지배적" 직물은 2 이상의 위사를 통과하는 경부직 또는 MD 임프레션 너클에 의해 지배되는 상부면을 가진다. 상부면에서는 가로-세로 방향 너클이 없다. 경사 지배적 직물의 예들은 웬트 등의 미국 특허 5,746,887, 치우 등의 미국 특허 5,429,686, 카우프만과 허만의 미국 특허 5,832,962에서 발견될 수 있다. 칸의 미국 특허 4,161,19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패턴의 단위 셀 당 단지 1개 또는 2개의 독특한 경사 통로를 포함하고 모든 경부직의 많은 부분이 동일한 상부면까지 상승하는 단순 드라이어 직물(simple dryer fabrics) 또는 컨베잉 직물(conveying fabrics)은 "경사 공면(warp co-planar)"으로 생각된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경사 공면 드라이어 직물의 예들은 포이트 직물 "Onyx" 및 포이트 직물 "Monotex II Plus" 디자인이다. 칸의 5 개구 화강암 직물은 알바니 프로룩스 003, 포이트 패브릭 티슈맥스 G, 또는 아스텐-존슨 모노쉐이프 G라는 제품명으로 현재 판매되는 스루 에어 건조에 사용되는 주지된 직물, 44GST이고 직물의 상부면과 슈트 너클의 최고점 사이에서 측정된 겅사 지름의 대략 50%인 구멍 깊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로, "위사 지배적" 직물은 2 개 이상의 경사를 통과하는 위부직 또는 CD 임프레션 너클에 의해 지배되는 상부면을 가진다. 상부면에는 세로 방향 너클이 없다. "공면" 직물은 실질적으로 공면인 경부직 및 위부직을 함유하는 상부면을 가진다. 알바니 프로룩스 005, 포이트 패브릭 티슈맥스 M, 또는 아스텐-존슨 모노쉐이프 M이라는 제품명으로 현재 판매되는 TAD 직물로서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역사적인 M 직물과 같은 본 5 개구 파능직(broken twill) 또는 주자 직(satin-weave) 패턴은 긴 경사 너클이 지필을 향하도록 배열될 때 경사 공면일 수 있거나 어떻게 힛셋(heatset)되는 가에 따라 경사 및 위사 공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해서, 공면 직물은 평균 경사 및 위사 지름의 합의 8% 이하인 중간면(이후에 정의됨) 이상의 너클 높이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공면 직물은 중간면에서 5% 이하인 지압 면적(이후에 정의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직물은 경사 지배적, 위사 지배적, 또는 공면일 수 있다. 당업자는 직물 패턴, 메쉬, 번수 또는 실크기뿐만 아니라 열 세팅 조건과 같은 직조 변수를 변화시키면 어떤 실이 직물에서 최고면을 형성하는 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로, "중간면"은 수직 원사 너클의 최고점에 의해 형성된 면으로 정의된다. 경사 지배적 직물의 경우에, 중간면은 웬트 등과 치우 등에 있는 것과 같이 위사 너클의 최고점에 의해 형성된 면으로 정의된다. 위사 지배적 직물의 경우에, 중간면은 경사 너클의 최고점에 의해 형성된 면으로 정의된다. 공면 구조에는 중간면이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로, "골 바닥"은 골에 의해 분리된 실질적으로 연속된 세로 방향 주름을 가진 직물의 가공면 속에 성형될 때 티슈 지필이 접촉할 수 있는 최저의 눈에 보이는 원사의 상부로 정의된다. 형상 측정 소프트웨어로 골 바닥을 가로지르는 z-방향 평면을 가시적으로 정의할 때 적어도 길이 정도로 넓은 원사 요소만을 고려하였다. 골 바닥은 경사 너클, 위사 너클 또는 둘 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골 바닥 평면"은 골 바닥을 포함하는 요소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z-방향 평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로, 직물 "너클 높이"는 중간면 또는 골 바닥과 같이 직물의 상부면부터 직물에서 다른 특정 z-방향 평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직물은 깊은 주름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깊은"의 의미는 1 경사 지름보다 큰 z-방향 높이를 의미하고 "주름진"은 성형에 사용가능한 개별 직물 골이 상승된 경사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연속된 세로 방향 주름에 의해 인접한 골과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위해서, "주름진 채널 높이"는 직물의 상부면부터 골 바닥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로, "비스듬한 주름"이란 용어는 직물 주름 및 골이 직물의 실제 세로 방향에 대해 0부터 약±15도의 각도로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물 주름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분리되지 않았다. 따라서, 직물의 세로 방향 원사에 대한 주름과 골의 정렬 또는 배향은 0 내지 약±15도, 더욱 구체적으로 0 내지 약±10도, 더욱더 구체적으로 0 내지 약±5도일 수 있고, 더욱더 구체적으로 정렬은 세로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0도). 또한, 세로 방향에 대한 정렬 또는 배향은 약±5 내지 약±15도, 더욱 구체적으로 약±10 내지 약±15도일 수 있다. 주름은 티슈 시트의 미적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선이거나 파상일 수 있다. 파상인 주름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앞뒤로 비스듬한 주름의 경우, 주름의 정렬은 전체 평균 방향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로, "피쳐(features)"는 직물의 상부면 내에서 보이는 단일 너클 또는 너클의 접촉 집합체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로, 접촉점의 "실질적으로 연속된 세로 방향 밴드"는 세로 방향에서 측정된 0.7 mm 이하의 접 촉 패턴에 파열 또는 파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로, "지압 면적" 또는 재료비는(DTp)은 표면의 가장 높은 피쳐 아래의 깊이(p)에 직물 재료로 채워진 면적의 양이고, 평가 면적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지압 면적은 표준 도량형학을 통해 아보트-파이어스톤 곡선(Abbott-Firestone curves) 또는 재료비 곡선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상업적으로 유리하기 위해서는, 시트에 핀홀의 존재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홀이 존재하는 정도는 핀홀 커버리지 인덱스, 핀홀 카운트 인덱스 및 핀홀 사이즈 인덱스에 의해 정량될 수 있고, 이 모든 인덱스는 당업계에 주지되고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2004년 1월 6일에 등록된 "와이드 웨일 티슈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이란 제목의 미국 특허 6,673,202 B2에 개시된 광학 검사법에 의해 결정된다.
명료함과 간결성을 위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 범위의 값은 범위 내의 모든 값을 고려하며 당해 특정 범위 내에서 모든 숫자 값인 종점을 갖는 임의의 하부-범위를 나타내는 청구항에 대한 설명으로 해석된다. 가정적인 예시를 통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1 내지 5의 범위는 다음 범위: 1-5; 1-4; 1-3; 1-2; 2-5; 2-4; 2-3; 3-5; 및 4-5에 대한 청구항을 설명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검사 방법
이런 직물을 사용하여 생산된 직물 또는 티슈의 3차원 형태는 정면도 및 단면도인 간단한 사진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표면 형상 측정은 그 정확도 때문에 특히 적합하다. 뮬라리 등의 미국 특허 출 원 US 2005/0236122 A1에 개시된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법은 노출된 직물 표면의 3차원 정량적 지도를 개발하는데 사용되었고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직물 특성과 z-방향 깊이 측정값은 대표적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경우 표 1에 기록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위해서, 광학 표면 형상 측정은 티슈 시트 또는 직물의 3차원 형상을 지도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차원 광학 표면 지형학적 지도는 10nm 해상도를 가진 CHR 150N 광학 거리 측정 센서가 장착된 마이크로프로프TM(MicroProfTM) 측정 시스템(독일, 글라드바하, 프라이스 리서치 앤 테크놀러지 GmbH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프는 샘플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초점이 모인 백색광을 분석하기 위해 광학 렌즈의 색수차를 사용하여 z-방향 거리를 측정한다. x-y 표는 세로 방향(MD)과 가로 방향(CD)으로 샘플을 이동하는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샘플에 대한 MD 및 CD 해상도는 적어도 10개 데이터 점이 각각의 원사 지름을 가로질러 수집되게 하도록 20um으로 설정될 수 있고, 더 정교한 직물 샘플은 10um x-y 해상도로 스캔된다.
3차원-표면 형상 측정 지도는 표면 형태 소프트웨어 탈리맵 유니버샬(영국, 레이세스터, 테일러-호보슨 프리시즌 엘티디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버젼 3.1.10)에 의한 분석에 대한 통합 데이터 파일 형식으로 마이크로프로프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다양한 종단면을 제공하여 종단면에 대한 다른 연산자(기계적 변형) 또는 종단면에 대한 연구(그래프 표현 또는 숫자 계산)를 수행하 여 데스크탑 인쇄에 적합한 형식으로 제공하도록 마운틴스(Mountains®) 테크놀러지 도량형 소프트웨어 플랫폼(www.digitalsurf.fr)을 사용한다.
다양한 작업 후 단면도 및 연구결과를 포함하는 최종 마운틴스 문서는 스크린-캡쳐 소프트웨어(미시건, 오케모스, 테크스미스의 스내그-잇(Snag-It))로 인쇄될 수 있고 파일 공유를 위해 MS 워드 문서로 전달될 수 있다.
탈리맵 소프트웨어 내에서, 다른 3-D 프로파일에 사용된 연산자는 소정의 고도에서 종단면의 인위적 절단인 문턱치화(thresholding)를 포함한다. 고도 입구 또는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수평면의 고도의 상세 내용은 인터액티브 문턱치화된 종단면(interactive thresholded profile) 또는 종단면에 있는 점들의 통계적 깊이 분포를 나타내는 이의 상응하는 기둥 도표에 잔존하거나 포함된 직물 재료의 시각 관찰에 의해 추론된다. 첫 번째 문턱치화는 이미지를 지우고 기록된 깊이의 범위를 조절하여, 임의의 표면 먼지 또는 적절한 위치에 직물 샘플을 유지하는 테이프가 아닌 단지 직물에만 초점을 둔 "표면 형상 측정 결과" 단면도를 만든다. 두 번째 문턱치화는 직물의 상부 평면(최고 표면점); 중간 평면(부하-보유층에 최고 위사(CD 원사) 너클의 최고점) 및 구멍 바닥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정의한다.
아래 표 1은 다양한 제지 직물에 대한 제조 변수 및 표면 형상 측정치를 나타낸다.
직물 44
MST
A-J
934
44
GST
엘머
(t1203-6)
아이론만
(t1203-8)
t1205-1 젯슨
(t1207-6)
프레드
(t1207-11)

(t1207-11)
칸가
(t1207-13)
마무리된 메시
(엔드/CD)
42 37.7 42 31 32 47 78 78 78 77
마무리된
번수
(위사/MD)
36 32 31 32 34 48 39 28 34 33
경사
지름
(mm)
0.350 0.4 0.350 0.7 0.7 0.45 0.33 0.33 0.33 0.33
위사
지름
(mm)
0.41 0.4 0.45 0.6 0.6 0.6 0.4 0.4+
0.6
0.4+
0.6+
0.3
0.4+
0.6
가중 평균
위사 지름
(mm)
0.41 0.4 0.45 0.6 0.6 0.60 0.4 0.5 0.46 0.5
경사 밀도 58% 59% 58% 67% 88% 83% 101% 101% 101% 100%
위사 밀도 58% 50% 55% 36% 80% 113% 61% 55% 62% 65%
개구 5 5 5 12 12 12 12 12 12 12
5 5 5 8 9 10 8 8 10 32
#
너클/단위
5 5 5 2 2 2 2 2 2 8
# 단위 셀/inch 60.5 48.3 52.1 10.3 10.1 18.8 31.7 22.8 22.1 6.6
평방 인치 당 직물 형태 또는 돌출부 302.4 241.3 260.4 20.7 20.1 37.6 63.4 45.5 44.2 52.9
구조에서 최고의 원사(경사 또는 위사) w s w w w w w w w w
No.직물층
(싱글 또는 더블)
s s s s s d s s s s
직물 CD
굽힘 강성
(N*mm)
15.8 13.4 18.8 62.6 83 237 13.7 34.8 32.7 21.9
상부면부터 중간면까지
중간까지 너클 높이
(mm)
0.011 0.099 0.177 0.466 0.073 0.513 0.298 0.406 0.378 .376
중간까지 너클 높이
(경사 지름의 %)
3% 25% 51% 67% 10% 114% 90% 123% 115% 114%
너클 높이
(%경사+위사 지름)
1% 12% 22% 36% 6% 49% 41% 49% 48% 45%
상부면부터 구멍 바닥까지(최저의 눈에 보이는 원사)
너클
높이(mm)
0.011 0.099 0.177 1.590 1.340 0.907 0.720 0.879 0.927 0.993
너클 높이
(%경사 지름)
3% 25% 51% 227% 191% 202% 218% 266% 281% 301%
너클 높이
(%경사+위사 지름)
1% 12% 22% 122% 103% 86% 99% 106% 117% 120%
가로 방향에 있는 직물 굽힘 강성은 직물 거침도 및 열 충격 또는 다중 직물 설치와 같은 티슈 기계에 대한 이상 공정 상태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의 바람직한 지표이다. 낮은 강성을 가진 직물은 기계 작업 동안 또는 심지어 직물 제조 동안 쉽게 뒤틀릴 것이고 자체가 포개질 수 있어서, 시트 결함 또는 파괴를 일으키는 직물에 있는 강한 주름을 형성한다. 표 1에 나타낸 3점, 직물 굽힘 강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 방법은 다음과 같다. 검사 방법은 티슈와 같은 다른 비교적 평평한 구조의 굽힘 강성을 측정하는데 동일하게 적합하다.
사용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단순한 장치와 결합된 알리안스 RT1 인장 프레임이다. 데이터 획득 소프트웨어는 원도우 버젼 3.10용 MTS 테스트워크®(NC,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 MTS 시스템 코퍼레이션)이다. 10.2cm 너비(가로 방향)와 12.7cm 길이(세로 방향)의 샘플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5cm 간격으로 분리된 2개의 0.64cm 지름의 원형 맞춤못에 지지된다. 2개의 지지 맞춤못은 인장 프레임의 기부에 고정된다. 세 번째 0.64cm 지름의 맞춤못은 프레임의 이동하는 크로스헤드에 부착되고, 맞춤못은 2개의 지지 맞춤못 사이에 배열되고 중앙에 위치된다. 검사의 초기에, 세 번째 맞춤못은 2cm/min의 속도로 떨어뜨려, 간단히 지지된 직물을 굽힌다. 직물을 굽히기 위해 인장 프레임을 통해 가해진 압축력은 50N 부하 셀을 통해 측정되고 50Hz의 샘플링 속도로 측정된다. 이동하는 크로스헤드로부터 떨어져 있는 직물 편향의 정도도 기록된다. 부하가 0.2N을 처음으로 초과하는 점은 제로 편향점으로 정의된다. 검사는 특정한 편향 깊이, 본 예에서 1mm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가해진 힘은 적은 휘어짐에 대한 재료 휘어짐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힘 대 변위의 최소 제곱 선형 회귀분석은 1mm 내지 2mm의 휘어짐 사이에 힘/변위 곡선의 기울기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직물의 굽힘 강성은 다음 기초 원리(예를 들어, Cook, R.D., Young, W.C., Advanced Mechanics of Materials, Macmillan, New York, 1985)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6864192-pat00001
여기서 강성은 Nㆍm2이고, L은 m인 지지점들(맞춤못 중앙선) 사이의 공간이고 기울기는 N/m인 최적 기울기이다. 단위 너비당 강성(S)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018834384-pat00023
여기서 S는 Nㆍm인 단위 너비당 강성이고, 너비는 미터이다. 적어도 3개의 대표 표본을 각 직물에 대해 검사하고 모든 개별 표본의 산술 평균은 MD 또는 CD 방향에서 생성된 직물 굽힘 강성을 검사한다. 본 발명을 위해서, 직물은 직물의 가로-세로 방향이 두 개의 지지 맞춤못에 걸치도록 배열되었다. 따라서 강성을 표준화하는데 사용된 너비는 직물 샘플의 세로 방향 너비이다. 단위 너비당 얻어진 강성(S)은 Nㆍm인 직물의 3점, 가로-세로 방향 굽힘 강성이다.
표 1에서 본 것과 같이, 44MST 및 44GST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이고 지형적인 스루-에어 건조 직물은 13 내지 19 Nㆍm 사이의 굽힘 강성을 제공한다. 비록 젯슨 직물이 경사 가닥의 거의 2배이지만, 주름진 직물 구조는 직물 골에서 낮은 직물 두께 및 주름의 MD 배향 때문에 낮은 CD 굽힘 강성을 나타낸다. 젯슨 직물은 TAD 직물로서 상업용인 언크레이프 스루-에어 드라이드(uncreped through-air dried) 티슈 장치에서 가동될 때 주름을 가진다. 굽힘에 저항할 수 있는 구입가능한 가로-세로 원사의 양을 단순히 증가시키는 것은 직물 투과성, 세정 및 건조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엘머(t1203-6) 및 아이론만(t1203-8)과 같은 더 거칠고 넓은 직물 바탕의 주름진 직물은 젯슨 보다 더 빳빳한데 이는 경사 및 위사의 지름이 더 크나 유사하게 큰 물리적 주름 치수와 주름진 채널 깊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추가 직물층이 직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희생적인 마모 요소로 역할을 하도록 첨가된 t1205-1과 같은 이중 층 직물 구조를 사용하면 더 높은 직물 강성을 가진다. 트랜스퍼 직물로서, 이중 층 직물은 직물 세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TAD 직물로서 이중 층 직물은 건조 효율 손실을 일으키는데 이는 각 직물이 회전하는 동안 직물 질량이 건조 온도가 되는데 필요한 추가 열 때문이다; 및 임프레션 직물로서 압력 롤/양키 닢에 있는 시트 쪽 압축 접촉 패턴은 하부의 기계쪽 층에 의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강하고, 단일 층인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에서, 배수의 위사 지름과 변형된 직물 구조를 사용하면 종래의 단일 층 구조에 비해 거의 80%의 직물 강성이 향상되었다. 본 발명의 직물에 대한 CD 굽힘 강성은 약 20 내지 약 80 Nㆍm, 더욱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약 50 Nㆍm 및 더욱 더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약 40 Nㆍm일 수 있다.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2는 하다 등의 미국 특허 출원 US 2005/0133175 A1에서 TAD 직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t1207-6 제지 직물의 티슈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도면에 있는 사진의 경우, 조명은 상부 및 측면으로부터 제공되었고, 그 결과 직물에서 우묵한 지역은 어둡고 불룩한 지역은 밝다. 자를 포함하는 사진들의 경우, 사진의 바닥에 있는 눈금에서 각 수직선 사이의 공간은 0.5 밀리미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지 직물 프레드(t1207-11)의 티슈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고, 깊고 주름진 구조를 생산하는데 사용된 직조 패턴과 다른 지름의 위사의 특정 위치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서, 가장 긴 경부직은 7개 위사 이상이고 2개의 다른 위사 지름이 사용되며, 비록 직물 구조의 필수사항은 아니지만 2개의 다른 위사 지름은 경사 지름보다 크다. 주름들은 개별 경사 가닥보다 더 높고 더 넓으며 개별 경사 가닥은 직물 주름 또는 직물 골에 전적으로 관여한다.
경사와 위사 인터레이싱의 양과 위치 및 경부직 길이로 개시된 도 3에 도시된 프레드(t1207-12) 직물 직조 구조는 선택된 0.4mm 위사를 훨씬 더 큰 0.6mm 위사로 교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에 도시된 젯슨(t1207-6) 직조 구조와 동일하다. 굽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t1207-6 직조 구조의 모든 위사의 크기를 증가시켰다면, 주름 구조는 긴 경부직을 고정시키는 위사 인터레이싱에서 위사와 경사 사이의 주름 관계의 변화 때문에 반 붕괴 되었을 것이다. 직물 구멍 크기 분포는 더 큰 위사는 측면으로 주름지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악화될 수 있어서, 티슈가 직물로 만들어질 때 작은 구멍을 당기는 경향을 증가시킬 수 있다. t1207-12 직조 구조에 큰 지름의 위사를 선별해서 사용하면, 직물은 개방될 수 있는데, 즉, 동일한 수준의 섬유 지지력를 제공하면서 더 낮은 픽 번수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이 건조 효율과 직물 세정을 향상시키는 더욱 흡수성의 직물 및 더 강한 구조를 생성한다.
도 3에 도시된 프레드 직물은 메시 x 인치 당 78 MD 엔드의 번수 x 인치 당 34 CD 위사를 가진다. 트랜스퍼, 임프레션 및 드라잉 위치의 경우에, 직물 메시는 인치 당 약 10 내지 약 150 엔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치 당 약 30 내지 약 100 엔드,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인치 당 45 내지 85 엔드가 적절할 것이다. 위사 번수는 인치 당 약 10 내지 약 80 엔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치 당 약 20 내지 약 60 엔드,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인치 당 약 25 내지 40 엔드가 적절할 것이다. 포밍 용도의 경우에, 직물 메시는 바람직하게는 인치 당 약 80 내지 약 180 경사,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치 당 100 내지 약 130 엔드일 것이다. 위사 번수는 인치 당 약 40 내지 약 100 엔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치 당 약 50 내지 약 70 엔드가 적절할 것이다.
주름의 너비는 약 1 내지 약 5 밀리미터, 더욱 구체적으로 약 1.3 내지 3.0 밀리미터, 더욱 더 구체적으로 1.9 내지 2.4mm이고; 직물의 가로-세로 방향에서 주름의 발견 횟수는 센티미터 당 약 0.5 내지 8, 더욱 구체적으로 센티미터 당 3.2 내지 7.9, 더욱 더 구체적으로 센티미터 당 4.2 내지 5.3이다. 직물의 상부면과 티슈 지필이 접촉할 수 있는 최저의 눈에 보이는 직물 너클 사이의 z-방향 거리인 주름진 채널 깊이는 약 0.7 내지 약 1.6 밀리미터, 더욱 구체적으로 약 0.8 내지 약 1.1 밀리미터, 및 더욱 더 구체적으로 약 0.85 내지 약 1.0 밀리미터일 수 있다. 다양한 직물 지름과 변형된 직조 구조를 사용하면 주름진 채널 깊이(이후에 정의됨)가 경사 가닥 지름의 약 250 내지 약 350 퍼센트, 더욱 구체적으로 와프 가닥 지름의 약 260 내지 약 300 퍼센트 또는 경사 및 가중-평균 위사 지름의 합의 약 105 내지 약 125 퍼센트가 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지 직물의 t1207-12 직조 패턴을 나타내며 깊고 주름진 구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 다른 지름의 위사의 구체적인 위치를 도시한다. 도 4의 바닥에 있는 이미지는 직조 패턴에서 바닥(가장 근접한) 위사의 위사 경로의 z-방향을 나타낸다. 선으로 표현된 위사는 반복되기 전에 점으로 표현된 1개의 경사 밑을 통과하고 2개의 경사 위를 통과하고, 1개의 경사 밑을 통과하고, 2개의 경사 위를 통과하고 6개의 경사 밑을 통과한다. 이런 특정 위사의 경우에, 위사와 경사가 서로에 대한 배향을 바꾸는 4개의 인터레이싱이 있다. 도 4의 오른쪽에 있는 이미지는 직조 패턴에서 오른쪽(가장 근접한) 경사의 경사 경로의 z-방향을 나타낸다. 선으로 표현된 경사는 단위 직조 반복 무늬에서 다른 지름의 점으로 표현된 다른 지름의 2개의 위사 위를 통과하고, 다른 지름의 3개의 위사 밑을 통과하고, 1개의 위사 위를 통과하고, 3개의 위사 밑을 통과하고 1개의 위사 위를 통과한다. 이 경사 엔드가 만드는 가장 긴 경부직은 직조 패턴의 두 개의 반복 무늬를 가로지르는 3개 위사 위를 덮는다. 이런 특정 경사의 경우에, 위사와 경사가 배향을 바꾸는 4개의 인터레이싱이 있다. 떨어져 있는 2개의 원사인 경사는 9개의 위사 위를 통과하고 1개의 위사 밑을 통과한다. 이것이 t1207-12 직조 패턴의 가장 긴 오버-9-위사 경부직(shute warp floats)이다.
도 5는 얻어진 본 발명의 직물 잭(t1207-12)의 티슈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t1207-12 직조 구조에서, 가장 긴 경부직은 9개 위사를 덮는다. 3개의 다른 위사 지름이 사용되며, 이중 둘은 큰 위사들의 쌍들 사이에 위치한 더 작은 스터퍼 얀(stuffer yarn)을 따라가는 경사 지름보다 크다. 경사를 가진 교착점에 대한 스터퍼 얀의 위사 경로는 인접한 큰 위사의 위사 경로와 다르고 직물 골들의 각각 내에 있는 상부를 통과하거나 2개의 위사 위를 통과한다. 프레드(t1207-11)와 같이, 잭(t1207-12) 직물은 모든 경사와 위사가 직물의 시트-접촉면 뿐만 아니라 직물의 세로면 모두에 관여하는 점에서 단일 층 구조이다.
잭 직물의 구체적인 특징은 표 1에 포함되어 있다. 직물은 경사 지배적이고, 상부면은 가장 높은 위사와 일치하는 중간면 위의 경사 지름의 115% 증가된 가장 높은 경부직과 일치한다.
직물 직조 패턴은 식별화된 t1207-12인 반면 표 1에 있는 잭의 설명은 직조 조건, 원료 치수 및 특성, 열 경화 지시에 대한 추가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위사 재료는 도시된 TAD 직물에 사용된 표준 고온 폴리에스터, 변형된 내열성, 내마모성 및/또는 내오염성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와 같은 내가수분해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개별 위사 가닥의 지름과 이들의 단면 모양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큰 위사를 감소시키면 주름진 채널 높이를 감소시키는 반면에 티슈 섬유 지지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포이트 직물의 직물 일로(Lilo)(t1207-12)는 이런 직물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선택된 위사 지름을 증가시키면 주름진 채널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레드 디자인과 대비해서, 잭 직물은 동일하거나 약간 더 높은 경부직 길이(잭에서 가장 긴 경부직 길이 7.0 mm vs 프레드에서 가장 긴 경부직 길이 6.6 mm)를 생산하면서 섬유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픽 번수를 증가시켜 직조될 수 있는데 이는 가장 긴 경부직은 7개의 위사 대신에 9개의 위사를 통과하기 때문이다. 또한 잭은 더 높은 픽 번수(32 픽에서 0.967 mm vs 27 픽에서 프레드의 경우 0.879 mm 및 36 픽에서 젯슨의 경우 0.720 mm)에서도, 성형에 이용가능한 증가된 주름 채널 깊이를 제공한다. 직물 구조 내의 특정 위치에 스터퍼 얀의 선택적 사용은 이런 영역에서 섬유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그 결과, 잭은 프레드 직물로 효과적으로 또는 완전히 성형될 수 없는 경량 티슈 등급, 즉 17 gsm에 대해 허용가능한 섬유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비스듬히 주름진 구조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직물 pdf1539-47의 티슈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직물 주름은 분리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며, 함께 결합되어 여러 경사 가닥을 형성하고 3개의 다른 지름의 여러 위사 가닥에 의해 지지된다. 유사한 구조는 적어도 2개의 지름의 위사 가닥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경사 가닥은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배향되며 각 개별 경사 가닥은 주름의 구조와 골의 구조 모두에 관여한다.
도 6에 도시된 직물의 경우에, 직물 주름과 골은 시트의 진정한 세로 방향에 대해 약 5°의 각도로 배향된다. 각도는 직조 구조와 픽 번수 모두의 함수이다. 픽 번수가 높으면 직물의 진정한 세로 방향으로부터 멀어진 각도를 증가시킬 것이다. 크레이프 티슈 제조 공정을 위한 임프레션 직물로 사용될 때, 얻은 티슈 주름과 골의 각도는 양키 드라이어와 릴 사이의 속도 차이 때문에 축소될 수 있다. 축소된 각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1998년 11월 10일에 특허등록된 "흡수성 종이 제품 제조 시스템"이란 제목의 미국 특허 5,832,962에 개시된 대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필이 양키 속도보다 20% 느린 속도로 감기는 크레이핑 공정의 경우, 양키-쪽 티슈 융기부의 축소된 각도는 도 6에 도시된 직물의 경우 12°일 것이다.
도 7은 직조 패턴과 깊고 물결치는 주름 구조를 생산하는데 사용된 다른 지름의 위사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직물 칸가(t1207-13)의 티슈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이런 구조에서, 가장 긴 경부직은 7개의 위사를 덮고 있고 2개의 다른 위사 지름이 사용되며, 직물 구조에서 필수사항은 아니지만, 2개의 다른 위사 지름은 경사 지름보다 더 크다. 직물 주름은 세로 방향에 대해 약간 비스듬한 각도(15°까지)를 따라 배열되나 실질적으로 연속된다. 주름은 개별 경사 가닥보다 더 높고 더 넓으며 개별 경사 가닥은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직물 주름과 직물 골 모두에 관여한다. 직물 주름의 각도는 가로-세로 방향에서의 움직임 면에서 규칙적으로 방향이 역전되어, 티슈 미관을 향상시키거나 티슈의 인접 층이 주름진 구조를 따라 포개지는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결모양의 주름 형태를 만든다. 크레이프 용도의 경우에, 물결모양의 주름은 티슈 지필이 부착되는 양키 건조기 표면을 따라 위치를 엇갈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직물에서, 주름은 주름들 사이의 가로-세로 공간의 대략 절반을 가로지른 후 방향이 역전된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직물 젯슨(t1207-6)의 표면 형태 측정 지도 또는 스터디어블(studiable)이다. 이 지도는 마이크로프로 광학 표면 형태 측정장치에 의해 제공된 신규 데이터를 기초로 한 탈리맵 소프트웨어 내에서 생성되었다. 직조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단위 반복 무늬가 보이도록 이미지를 깨끗이 하고 확대하였다. 스타디어블은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 기울기를 통해 z-방향 깊이를 나타내며, 어두움은 직물의 상부 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도 9는 직물은 중간 면으로 문턱치화된 후에 젯슨(t1207-6) 직물의 최종 표면 단면도이다. 흰색인 더 큰 영역은 중간면 이하이고, 문턱치화 작업 동안 측정되지 않은 점들로 처리된다. 따라서 중간면 위로 상승된 요소들만이 이미지에 도시된다.
세로 방향 주름을 따라가면, 문턱치화된 단면도는 필수적으로 2개의 가장 긴 경부직(오버-7-위사)은 젯슨 구조에서 임의의 소정 위치에서 상승하며, 인접한 긴 부직은 표면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소정의 경부직은 직물의 몸체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9의 문턱치화 수준은 설명을 위해서 그레이 스케일을 확대시키기 위해 치우 등의 미국 특허 5,429,686에 의해 정의된 중간면과 일치하도록 임의적으로 선택된다. 이런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직물이 주름진 채널 깊이(0-0.720 mm, 도 15 참조)로 문턱치화 되는 경우에, 도 8의 최초 표면 단면 지도와 쉽게 구분이 되지 않는다.
도 10은 젯슨 직물의 경우에, 도 8의 라인 A-A를 따라가는 최초의 3차원 스터디어블로부터 얻은 2차원 추출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 부분은 젯슨 직물의 최고의 세로 방향 경사의 하나의 중앙선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측정하였다. x-축은 세로 방향에서의 물리적 치수를 나타내는 반면 y-축은 단면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의 z-방향 높이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높이는 상대적이고, 반드시 바닥으로부터 측정되지 않았고 어떻게 최초 이미지가 현저한 z-방향 스케일을 만들도록 세척되는 지에 의존하기 때문에 직물의 시트 접촉 표면이 아니다. 단면도 부분은 긴 경부직(약 x=0.6, 5.85 및 11.1mm에서 중앙선) 뿐만 아니라 대략 5.0mm 길이(x=0.8-5.5 및 x=6.1-10.9)의 2개의 긴 경부직을 통과하고 고정하는 3개의 0.4mm 위사의 상부 절반을 보여준다.
이 단면도 부분은 젯슨 직물의 긴 경부직의 z-방향 만곡부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이런 만곡부는 여러 단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경사 가닥의 이런 영역은 공기 나이프와 같은 시트-접촉면 고정형 초지기 부품에 의해 마모되도록 더욱 노출되어 있고 언크레이프 스루 에어 드라이드 공정에서 사용될 때 최종 티슈 지필의 공기면 상에서의 표면 거침도 변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크레이프 응용분야에서 임프레션 직물 또는 TAD 직물로 사용될 때, 직물과 티슈는 압력-롤/양키 닢을 통과할 때, 이런 원사들은 원형으로 압축하는 동안 가장 자랑할만한 영역에서 증가된 기계적 손상(미소 섬유 형성)을 입게 된다. 게다가, 패브릭 샌딩(fabric sanding)은 직물 주름을 따라 위치한 티슈를 위해 양키에 대해 연속된 세로 방향으로 접촉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추가 샌딩 공정은 직물 제조 공정 동안 직물 접촉 면적뿐만 아니라 접촉 패턴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직물은 직물 주름을 따라 선택된 위치에 하부 위사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긴 경부직의 z-방향 만곡부를 감소시켜 이런 잠재적인 문제들을 줄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직물 프레드(t1207-11)의 시트 접촉면의 표면 형상 측정 지도 또는 스터디어블이다. 프레드에 대한 더 큰 z-방향 그레이 스케일 범위 vs 젯슨에 대한 도 8은 직물 주름과 골 사이의 더 큰 전체 직물 두께 및 더 큰 형태 변화 모두에 기인한다. 직물 주름 상부를 따라가는 가장 높은 경사는 가장 긴 경부직, 즉 오버-7-위사 경부직이다.
도 12는 직물이 중간면으로 문턱치화된 후에 본 발명의 직물 프레드(t1207-11)의 최종 표면 단면도이다. 도 9와 반대로, 이 단면도는 긴, 오버-7-위사 경부직은 직물 주름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데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 큰 지름의 위사를 직물 구조의 선택된 지점에 도입하면 가장 긴 부사뿐만 아니라 이들의 인접한 오버-5-위사 경부직(이의 일부는 z-방향으로 더 긴 오버-7-위사 경부직 밑에 대부분 놓일 때 겨우 분간할 수 있다)의 상승된 부분을 연장시킨다. 직물 주름 상부 밑에 있는 위사 구조의 변화는 긴 경부직의 말단에서 경사 주름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젯슨과 반대로, 인접한 경사 가닥 위의 가장 긴 경부직들 사이의 세로 방향 거리는 감소하였다. 이것이 다음 도면에서 도시된 대로 크레이프 티슈 용도로서 세로 방향 접촉의 연속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도 13은 0.4mm 이웃한, 가장 높은 위사의 수준이 아닌 가장 큰 0.6mm 지름 위사의 상부와 상응하는 수준에서 측정한 직물 프레드(t1207-11)의 시트 접촉면의 다른 문턱치화 단면도이다. 이미지에서, 라인 A-A는 0.6mm 대형 위사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특정 위치에 이런 대형 위사를 도입하면 경사의 최고점이 경부직의 말단보다는 이런 위치 바로 위에서 시작하게 하여,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중간면에서 z-방향 깊이는 젯슨의 경우 0.29mm에서 프레드의 경우 0.41mm로 증가돼서, 성형에 이용가능한 전체 주름 채널 깊이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최종 티슈 크기를 증가시킨다. 긴 경부직의 말단에 있는 접촉점의 MD 연속성도 또한 향상된다. 가장 긴 경부직 밑에 여러 개의 긴 위사가 있기 때문에, 위사들이 전체 부직을 상승시키고 그 길이를 중간면 위로 효과적으로 연장시킨다. 이 모두가 인접한 원사 위의 겹쳐진 경부직들 사이 및 하나의 원사 위의 경부직의 말단 대 인접한 경사 위의 경부직의 시작점 사이의 접촉점의 MD 연속성을 증가시켜, 직물 샌딩에 대한 필요를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킨다. 또한 이것은 z-방향 프로파일을 평평하게 하여, 샌딩하는 동안 마모 또는 기계적 제거에 사용할 수 있는 상부면에 있는 경사의 양을 증가시킨다. 닢에 영향을 받을 때, 이것이 전체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도 14는 프레드 직물에 대해 도 11의 라인 A-A를 따라가는 최초의 3차원 스터디어블로부터 얻은 2차원 추출 단면도이다. 젯슨에 대한 도 10과 같이, 단면도 일부는 프레드 직물에서 가장 높은 세로 방향 경사의 하나를 따라 측정하였다. 이 단면도는 동일한 젯슨 단면도 부분과 대조할 때 경부직의 연장뿐만 아니라 감소된 양의 z-방향 만곡부를 나타낸다. 이것이 특정한 경사 너클 길이에 대해 샌딩할 때 경사 지름 손실의 백분률의 감소면에서 샌딩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5는 직물이 골 바닥면으로 문턱치화된 후 젯슨(t1207-6)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최종 표면 단면도이다. 골 바닥면은 이 경우에 단위 직조 반복 무늬를 형성하는 2개의 뚜렷한 직물 골 중 하나의 중심에서 오버-1-위사 경부직인 가장 낮은 눈에 보이는, 노출된 너클이다. 직물 상부면으로부터 골 바닥면까지 측정한 주름진 채널의 깊이는 대략 0.720mm이다.
도 16은 직물이 골 바닥면으로 문턱치화된 후 프레드(t1207-11)의 시트 접촉면의 최종 표면 단면도이다. 주름진 채널의 깊이는 적어도 0.8mm, 바람직하게는 대략 0.85 내지 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0.879mm 또는 경사 가닥 지름의 약 266 퍼센트 또는 경사 및 가중-평균 위사 지름의 합의 약 106 퍼센트이다.
도 16의 프레드 표면 지도는 젯슨 직물에 대해 도 15에 도시된 것보다 직물 골의 깊이 도처에 있는 직물로부터의 더 많은 전체 섬유 지지력을 보여준다. 이런 깊이로 성형된 티슈를 지지하는데 여전히 사용할 수 있는 더 많은 경사 및 위사 가닥 표면들이 있어서, MD 및 CD 방향으로 더욱 효과적인 마이크로-스케일 성형을 할 수 있다. 젯슨 구조와 반대로, 형태가 직물 주름의 상부(즉, 가장 긴 경부직의 MD 중앙)로부터 직물 골로 이동하는 깊이를 빠르게 변화시키는 더 적은 영역들이 있는데 각각의 경사는 그 위에 적층된 인접한 경사에 의해 시야로부터 완전히 감추어 지지 않는다. 이것은 매우 지형적인 구조로 성형되는 동안 핀홀 형성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바람직하면 직물 형태 또는 주름진 채널 깊이에 의한 하나의 구조는 여전히 적절한 섬유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증가될 수 있다.
도 17은 직물이 골 바닥면으로 문턱치화된 후 잭(t1207-12)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최종 표면 단면도이다. 주름진 채널의 깊이는 대략 0.967mm 또는 경사 가닥 지름의 약 281 퍼센트, 또는 경사 및 가중-평균 위사 지름의 합의 약 117 퍼센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5와 같이, 직조 직물은 골에 의해 분리된 실질적으로 연속된 세로 방향 주름의 시트 접촉 형태를 제공할 것이다. 최종 직물 주름은 각각의 경사 가닥보다 높고 넓을 것이다. 경사-지배적 주름진 직물인 프레드와 잭과 반대로, 도시된 직조법은 추가 위사가 포함되기 때문에 공면 경사와 위사를 만들 것이다.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으로 형성된 세로 방향 주름을 제공하는 직물 구조는 필수적으로 경사 지배적 구조, 즉 구조에서 가장 높은 요소는 단지 경사 가닥이라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공면이거나 위사 지배적인 이런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면 직물은 평균 경사 및 위사 지름의 합의 10% 이하의 중간면 이상의 너클 높이를 가진다.
도 19는 브라진 등의 미국 특허 6,998,024 B2에 개시된 엘머(t1203-6) 제지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표면 형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직물 특징은 표 1에 제공된다. 직물은 가장 높은 위사 너클에 의해 형성된 중간면 이상의 경사 너클 높이가 0.466mm 또는 경사 지름의 67%이기 때문에 분명히 경사 지배적이다.
도 20은 브라진 등의 미국 특허 6,998,024 B2에 개시된 아이론만(t1203-8) 제지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표면 형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직물 특징은 표 1에 제공된다. 직물은 상기한 대로, 공면 경사와 위사를 포함하는데, 이는 중간면 이상의 경사 너클 높이는 단지 0.073mm(0.050mm 해상도로 스캔하여 얻음) 또는 경사 지름의 10%이기 때문이다. 도 19 내지 20은 여러 경사 가닥으로 형성된 세로 방향 주름을 제공하는 제지 직물의 직조 구조가 어떻게 경사 지배적 직물로부터 공면 구조로 감소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지를 보여준다. 도 18의 직조 패턴은 공면 직물을 만드는 도 4의 잭 직물 직조와 유사한 변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직물은 경사-지배적 또는 공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을 경사 지배적으로부터 공면 구조로 변환시키는 장점은 이런 직물이 변형된 습식-압축 공정 또는 직물이 시트를 앙키 건조기로 운반하고 닢을 통해 통과시켜 지필을 양키로 전달하는 통상적인 스루-에어-드라이 공정에 사용될 때 양키 건조기와의 접촉면적 및 세로 방향 접촉의 연속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은 바람직한 티슈 특성 개량점을 제공한다. 언크레이프 스루 에어 드라이드(UCTAD) 티슈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웬트 등의 미국 특허 5,672,248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젯슨 트랜스퍼 + 젯슨 TAD 직물 조합으로 제조된 UCTAD 바스 티슈는 대략 18% CD 변형률과 590um의 평균 티슈 주름 채널 깊이를 나타낸다. CD 변형률의 측정법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허만 등의 미국 특허출원 US 2006/0090867 A1에 개시된다. 실제 변형률 수준은 성형된 티슈의 표면 형태 측정 지도로부터 얻었다. 젯슨 트랜스퍼 + 본 발명의 잭 TAD 직물 조합으로 제조된 UCTAD 티슈는 CD 변형률이 1.8% 포인트 증가된 19.8% 및 653um의 평균 티슈 주름 채널 깊이를 나타낸다. 직물의 주름진 채널 깊이는 206um 또는 다른 직물로 성형된 티슈로 얻을 수 있는 실제 부피 증가보다 약간 더 크나 거의 유사하게 차이가 난다. CD 변형률의 증가는 향상된 CD 티슈 특성들을 제공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은 적절한 섬유 지지력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주름 채널 깊이를 제공한다. 카우푸만 및 허만의 미국 특허 6.039,838에 개시된 것과 같이 통상적인 크레이프 스루 에어 드라이드 티슈 장치에서 제조된 타월의 경우, 프레드 직물은 젯슨 직물에 의해 생산된 타월 덩어리에 비해 기본시트 부피를 12% 퍼센트 증가되어 23cc/g가 된다. 웬트 등의 미국 특허 5,672,248에 개시된 것과 같은, 언크레이프 스루 에어 드라이드 티슈 장치에서 제조된 바스 티슈의 경우, 17 gsm에서, 젯슨 트랜스퍼 + 본 발명의 잭 TAD 직물 조합은 젯슨 트랜스퍼/젯슨 TAD 직물 패키지와 유사한 허용가능한 핀홀을 제공하는 반면 젯슨 트랜스퍼/프레드 TAD 직물 패키지는 허용할 수 없는 핀홀을 만들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취지와 범위 내에서 더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응용분야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용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은 주지되거나 본 발명이 포함하여 청구항의 범위 내에 해당되는 통상적인 관행과 같이 본 명세서로부터의 발전을 포함한다.
도 1은 3점 굽힘 강성 검사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는 젯슨(t1207-6) 제지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도 3은 깊은 주름 구조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다른 지름의 위사의 직물 패턴과 구체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프레드(t1207-11) 제지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도 4는 깊은 주름 구조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다른 지름의 위사의 직물 패턴과 구체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직물 패턴(t1207-12)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잭(t1207-12) 제지 직물의 티슈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도 6은 비스듬한 주름과 골 구조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직물(pdf1539-47)의 티슈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도 7은 파상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앞뒤로 비스듬한 주름과 골 구조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직물 칸가(t1207-13)의 티슈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도 8은 비접촉식 광학 표면 측정기에 의해 얻은 직물 젯슨(t1207-6)의 표면 단면 지도이다;
도 9는 직물이 중간면으로 문턱치화된 후 젯슨(t1207-6) 직물의 최종 표면 단면 지도이다;
도 10은 젯슨(t1207-6) 직물에 대해 도 8의 라인 A-A을 따라 원래의 3차원 으로부터 얻은 2차원 추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직물 프레드(t1207-11)의 시트 접촉면의 표면 형상 측정 지도 또는 스터디어블(studiable)이다;
도 12는 직물이 중간면으로 문턱치화된 후 프레드(t1207-11)의 최종 표면 형상 측정 지도이다;
도 13은 0.4mm 주변의 수치 이외의 최대 0.6 mm 지름 슈트의 상부에 해당하는 수치에서 선택한 직물 프레드(t1207-11)의 시트 접촉면의 다른 문턱치화 분석 지도이다;
도 14는 프레드(t1207-11) 직물에 대한 도 11의 라인 A-A를 따라가는 원래 3차원 스터디어블로부터 얻은 2차원 추출 단면도이다.
도 15는 직물이 골 바닥면으로 문턱치화된 후 젯슨(t1207-6)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최종 표면 단면 지도이다;
도 16은 직물이 골 바닥면으로 문턱치화된 후 프레드(t1207-11)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최종 표면 단면 지도이다;
도 17은 직물이 골 바닥면으로 문턱치화된 후 잭(t1207-12)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최종 표면 단면 지도이다;
도 18은 공면 경사 및 위사를 가진 직물을 얻게 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직물 패턴을 도시한다;
도 19는 부라진 등의 미국 특허 6,998,024 B2에 개시된 엘머(t1203-6) 제지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도 20은 부라진 등의 미국 특허 6,998,024 B2에 개시된 아이론맨(t1203-8) 제지 직물의 시트 접촉면의 평면 사진이다;

Claims (30)

  1. 초지기용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골에 의해 분리된 연속적인 세로 방향 주름을 가진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으로 형성되고 2 이상의 지름의 여러 위사 가닥에 의해 지지되는 초지기용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1.3 내지 3mm의 너비를 갖는 초지기용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주름의 직물의 가로-세로 방향에서 센티미터 당 2 내지 8 주름의 발생 횟수를 갖는 초지기용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여러 개별 경사 가닥을 포함하며, 개별 경사 가닥보다 더 넓은 초지기용 직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여러 개별 경사 가닥을 포함하며, 개별 경사 가닥보다 더 높은 초지기용 직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여러 개별 경사 가닥을 포함하며, 개별 상기 경사 가닥보다 더 넓고 더 높은 초지기용 직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여러 개별 경사 가닥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 가닥은 주름의 구조에 전적으로 관여하는 초지기용 직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여러 개별 경사 가닥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경사 가닥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골의 구조에 전적으로 관여하는 초지기용 직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여러 개별 경사 가닥을 포함하며 상기 개별 경사 가닥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름의 구조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골의 구조에 공동으로 관여하는 초지기용 직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 개별 경사 가닥은 상기 주름의 구조 및 상기 골의 주름 모두에 공동으로 관여하는 초지기용 직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여러 개별 경사 가닥을 포함하며 각 개별 경사 가닥은 상기 주름의 구조 및 상기 골의 구조 모두에 동시에 관여하는 초지기용 직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경사 지배적인 초지기용 직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공면인 초지기용 직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적어도 0.8mm의 깊이를 가진 초지기용 직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0.85 내지 1.0mm의 깊이를 가진 초지기용 직물.
  16. 골에 의해 분리된 연속된 세로 방향 주름을 포함하는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주름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름은 경사 가닥 지름의 250 내지 300 퍼센트의 깊이를 갖는 제지 직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3mm 이하의 너비를 가진 제지 직물.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깊이는 경사 및 가중 평균 위사 지름의 합의 105 내지 120 퍼센트인 제지 직물.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포밍 직물을 포함하는 제지 직물.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스루-에어 드라잉 직물을 포함하는 제지 직물.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트랜스퍼 직물을 포함하는 제지 직물.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20 내지 25 퍼센트의 가로-세로 방향 성형 변형률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진 제지 직물.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압력-롤 닢을 통해 웨트-레이드 제지 공정에서 양키 건조기로 지필을 운반하기 위한 임프레션 및 스루-에어-드라잉 직물의 하나인 제지 직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프레션 직물은 직물 주름의 발생 횟수를 가지며, 직물 주름의 발생 횟수에 상응하는 발생 횟수를 가진 연속된 세로 방향 밴드에서 양키 건조기와 접촉하도록 만들어진 제지 직물.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샌딩 형태의 후처리를 포함하는 제지 직물.
  26. 제곱 인치 당 적어도 40개의 피쳐(features)에서, 적어도 20 N*mm의 강성을 가지며, 적어도 0.8mm의 z-방향 깊이를 가진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가진 단일층 직물.
  27. 제 26 항에 있어서,
    0.4mm 이하의 각각의 지름을 가진 경사 가닥들을 가진 단일층 직물.
  28. 제 26 항에 있어서,
    적어도 20 N*mm의 굽힘 강성과 개별 경사 가닥의 지름보다 더 큰 z-방향 깊이를 가진 단일층 직물.
  29. 세로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고 골에 의해 분리된 연속된 주름을 포함하는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주름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으로 형성되고 2 이상의 지름의 여러 위사 가닥에 의해 지지되며, 경사 가닥은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며 각 개별 경사 가닥은 상기 주름의 구조 및 상기 골의 구조 모두에 관여하는 제지 직물.
  30. 세로 방향에 대해 가변의 각도로 배열되고 골에 의해 분리된 연속된 세로 방향 주름을 구비한 표면과 접촉하는 가공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주름은 함께 결합된 여러 경사 가닥에 의해 형성되고 2 이상의 지름의 여러 위사 가닥에 의해 지지되며, 경사 가닥은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며 각 개별 경사 가닥은 상기 주름의 구조 및 상기 골의 구조 모두에 관여하며, 상기 직물 주름의 가변 각도는 가로-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점에서 규칙적으로 방향을 역전시켜 물결 형태를 만드는 제지 직물.
KR1020070108219A 2006-10-27 2007-10-26 크레이프 및 언크레이프 티슈 제조용 주름진 제지 직물 KR101426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53,906 US7611607B2 (en) 2006-10-27 2006-10-27 Rippled papermaking fabrics for creped and uncreped tissue manufacturing processes
US11/553,906 2006-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054A KR20080038054A (ko) 2008-05-02
KR101426833B1 true KR101426833B1 (ko) 2014-08-06

Family

ID=3867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219A KR101426833B1 (ko) 2006-10-27 2007-10-26 크레이프 및 언크레이프 티슈 제조용 주름진 제지 직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11607B2 (ko)
EP (1) EP1916332B1 (ko)
KR (1) KR101426833B1 (ko)
AT (1) ATE532901T1 (ko)
ES (1) ES2373983T3 (ko)
MX (1) MX2007012576A (ko)
PL (1) PL191633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0543B2 (en) * 2003-12-23 2007-1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products having high durability and a deep discontinuous pocket structure
DE102005060379A1 (de) * 2005-12-16 2007-06-21 Voith Patent Gmbh Vorrichut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Faserstoffbahn,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einer Tissuepapierbahn
SE531891C2 (sv) * 2007-11-20 2009-09-01 Metso Paper Karlstad Ab Struktureringsbeklädnad och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tissuepappersbana
US20100051217A1 (en) * 2008-08-26 2010-03-04 Peter John Allen Soft single-ply tissue
US7935221B2 (en) 2008-08-26 2011-05-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oft single-ply tissue
US8622095B2 (en) * 2011-02-02 2014-01-07 Voith Patent Gmbh Structured fabric for use in a papermaking machine and the fibrous web produced thereon
US8574399B2 (en) 2011-09-21 2013-1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products having a high degree of cross machine direction stretch
US8481133B2 (en) 2011-09-21 2013-07-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bulk rolled tissue products
US8524374B2 (en) 2011-09-21 2013-09-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Product comprising bamboo
US8940376B2 (en) 2012-02-07 2015-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bulk tissue sheets and products
US8968517B2 (en) 2012-08-03 2015-03-03 First Quality Tissue, Llc Soft through air dried tissue
US9382663B2 (en) 2012-11-13 2016-07-05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pparatus, system, and proces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of a papermaking fabric
US9062416B2 (en) 2012-11-13 2015-06-23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pparatus, system, and proces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of a papermaking fabric
WO2014085589A1 (en) 2012-11-30 2014-06-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mooth and bulky tissue
DE202014001502U1 (de) * 2013-03-01 2014-03-21 Voith Patent Gmbh Gewobenes Sieb mit flachen Kettfäden
AU2013399189B2 (en) 2013-08-28 2018-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mooth bulky tissue
EP3068619A4 (en) 2013-11-14 2017-07-05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Soft, absorbent sheets having high absorbency and high caliper, and methods of making soft, absorbent sheets
KR20160103138A (ko) 2014-01-24 2016-08-3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양면 여러 겹 티슈 제품
US9238890B2 (en) 2014-03-25 2016-0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US20150272401A1 (en) 2014-03-25 2015-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US9011644B1 (en) 2014-03-25 2015-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making belt for making fibrous structures
US20150272402A1 (en) 2014-03-25 2015-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WO2015149992A1 (en) * 2014-04-02 2015-10-08 Voith Patent Gmbh Papermaking fabric
CA2949097C (en) 2014-05-16 2023-11-14 First Quality Tissue, Llc Flushable wip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9988763B2 (en) 2014-11-12 2018-06-05 First Quality Tissue, Llc Cannabis fiber, absorbent cellulosic structures containing cannabis fib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A2968311C (en) 2014-11-24 2023-11-21 First Quality Tissue, Llc Soft tissue produced using a structured fabric and energy efficient pressing
EP3221134A4 (en) 2014-12-05 2018-08-22 Structured I, LLC Manufacturing process for papermaking belts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MX369449B (es) 2015-03-31 2019-11-05 Kimberly Clark Co Productos de papel tisu enrollados, lisos y voluminosos.
SE540011C2 (en) * 2015-05-19 2018-02-27 Valmet Oy A method of making a structured fibrous web and a creped fibrous web
US10544547B2 (en) 2015-10-13 2020-01-28 First Quality Tissue, Llc Disposable towel produced with large volume surface depressions
US10538882B2 (en) 2015-10-13 2020-01-21 Structured I, Llc Disposable towel produced with large volume surface depressions
MX2018004622A (es) 2015-10-14 2019-05-06 First Quality Tissue Llc Producto empaquetado y sistema y metodo para formar el mismo.
AU2016340265B2 (en) * 2015-10-16 2020-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ed tissue having a negative Poisson's ratio
AU2017218159A1 (en) 2016-02-11 2018-08-30 Structured I, Llc Belt or fabric including polymeric layer for papermaking machine
US20170314206A1 (en) 2016-04-27 2017-11-02 First Quality Tissue, Llc Soft, low lint, through air dried tissu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A3034674C (en) 2016-08-26 2022-10-04 Structured I, Llc Method of produc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high wet strength, absorbency, and softness
WO2018049390A1 (en) 2016-09-12 2018-03-15 Structured I, Llc Former of water laid asset that utilizes a structured fabric as the outer wire
US10640928B2 (en) 2016-09-19 2020-05-05 Mercer International Inc. Absorbent paper products having unique physical strength properties
US11583489B2 (en) 2016-11-18 2023-02-21 First Quality Tissue, Llc Flushable wip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GB2577221B (en) * 2017-05-22 2023-02-22 Kimberly Clark Co Multi-ply resilient tissue products
MX2019012663A (es) 2017-05-22 2020-01-21 Kimberly Clark Co Tejido estructurado para la fabricacion de papel.
GB2579302B (en) * 2017-07-31 2022-07-13 Kimberly Clark Co Laminated papermaking belt
US10619309B2 (en) 2017-08-23 2020-04-14 Structured I, Llc Tissue product made using laser engraved structuring belt
EP3688211A4 (en) * 2017-09-29 2021-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PER MADE NON-WOVEN WITH CONVERGING, DIVERGING OR MIXING TOPOGRAPHY
AU2018339565B2 (en) 2017-09-29 2024-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oven papermaking fabric having machine and cross-machine oriented topography
WO2019067686A1 (en) * 2017-09-29 2019-04-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BRICS OF PAPER FABRICATION
MX2020002588A (es) 2017-09-29 2020-07-20 Kimberly Clark Co Tela tejida para la fabricacion de papel que incluye tejido estabilizado que proporciona una superficie de contacto texturizada.
KR102531508B1 (ko) 2017-11-30 2023-05-1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부드러운 질감의 티슈
DE102018114748A1 (de) 2018-06-20 2019-12-24 Voith Patent Gmbh Laminierte Papiermaschinenbespannung
US11697538B2 (en) 2018-06-21 2023-07-11 First Quality Tissue, Llc Bundled product an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11738927B2 (en) 2018-06-21 2023-08-29 First Quality Tissue, Llc Bundled product an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WO2020068091A1 (en) * 2018-09-28 2020-04-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oven papermaking fabric having discrete cross-machine direction protuberances
EP3856960A4 (en) * 2018-09-28 2022-05-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PERMAKING FABRIC WITH INTERSECTION TWILL PATTERNS
MX2021004515A (es) 2018-10-31 2021-06-15 Kimberly Clark Co Productos de papel tisu de multiples hojas grabados.
AU2019432699A1 (en) 2019-03-06 2021-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mbossed multi-ply tissue products
BR112021016464A2 (pt) 2019-03-06 2021-10-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duto de papel tissue de múltiplas camadas em relevo
MX2021010832A (es) 2019-03-29 2021-10-14 Kimberly Clark Co Papel tisu crepado de una sola hoja duradero y dispersable.
EP3945970A4 (en) 2019-03-29 2022-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IFTED SINGLE LAYER FABRIC
MX2021010465A (es) 2019-03-29 2021-09-28 Kimberly Clark Co Producto de papel tisu crepado de multiples hojas.
WO2021040710A1 (en) 2019-08-29 2021-03-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products having macrofolds
BR112022002446A2 (pt) 2019-08-29 2022-05-03 Kimberly Clark Co Produto de papel tissue, produto de papel tissue de múltiplas camadas,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produto de papel tissue de múltiplas camad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479A (en) * 1996-04-04 1998-11-24 Asten, Inc. Papermaking fabric for increasing bulk in the paper sheet
US5853547A (en) * 1996-02-29 1998-12-29 Asten, Inc. Papermaking fabric, process for producing high bulk products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US6673202B2 (en) * 2002-02-15 2004-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de wale tissue sheets and method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863A (en) * 1973-06-08 1975-09-16 Procter & Gamble Process for forming absorbent paper by imprinting a semi-twill fabric knuckle pattern thereon prior to final drying and paper thereof
US4161195A (en) 1978-02-16 1979-07-17 Albany International Corp. Non-twill paperforming fabric
US4239065A (en) 1979-03-09 1980-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machine clothing having a surface comprising a bilaterally staggered array of wicker-basket-like cavities
US4637859A (en) 1983-08-23 1987-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US4528239A (en) 1983-08-23 1985-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flection member
US4849054A (en) 1985-12-04 1989-07-18 James River-Norwalk, Inc. High bulk, embossed fiber sheet material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228482A (en) 1992-07-06 1993-07-20 Wangner Systems Corporation Papermaking fabric with diagonally arranged pockets
CA2134594A1 (en) 1994-04-12 1995-10-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making soft tissue products
US5429686A (en) 1994-04-12 1995-07-04 Lindsay Wire, Inc. Apparatus for making soft tissue products
US5542455A (en) * 1994-08-01 1996-08-06 Wangner Systems Corp. Papermaking fabric having diagonal rows of pockets separated by diagonal rows of strips having a co-planar surface
US5832962A (en) 1995-12-29 1998-11-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for making absorbent paper products
GB9609761D0 (en) * 1996-05-10 1996-07-17 Jwi Ltd Low air permeability papermaking fabric including flattened secondary weft yarns and pin seam
JP2002515094A (ja) 1997-05-19 2002-05-2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セルロース系ウエブ、傾斜横断面構造を有する抄紙ベルトを使用するウエブの製造方法と装置および抄紙ベルトの製造方法
US6237644B1 (en) 1998-09-01 2001-05-29 Stewart Lister Hay Tissue forming fabrics
US6287426B1 (en) 1998-09-09 2001-09-11 Valmet-Karlstad Ab Paper machine for manufacturing structured soft paper
DE19917869C2 (de) 1999-04-20 2003-05-22 Sca Hygiene Prod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sowie damit hergestelltes Tissue-Papier
DE19917832C2 (de) 1999-04-20 2001-09-13 Sca Hygiene Prod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sowie damit hergestelltes Tissue-Papier
US7300543B2 (en) 2003-12-23 2007-1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products having high durability and a deep discontinuous pocket structure
US7419569B2 (en) 2004-11-02 2008-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per manufacturing process
DE102005006738A1 (de) 2005-02-15 2006-09-14 Voith Fabrics Patent Gmbh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topografischen Musters
DE102005029573A1 (de) * 2005-06-25 2007-01-04 Voith Patent Gmbh Papierherstellungsbespann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547A (en) * 1996-02-29 1998-12-29 Asten, Inc. Papermaking fabric, process for producing high bulk products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US5839479A (en) * 1996-04-04 1998-11-24 Asten, Inc. Papermaking fabric for increasing bulk in the paper sheet
US6673202B2 (en) * 2002-02-15 2004-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de wale tissue shee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998024B2 (en) * 2002-02-15 2006-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de wale papermaking fabr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73983T3 (es) 2012-02-10
US20080110591A1 (en) 2008-05-15
MX2007012576A (es) 2008-10-28
KR20080038054A (ko) 2008-05-02
EP1916332A1 (en) 2008-04-30
EP1916332B1 (en) 2011-11-09
US7611607B2 (en) 2009-11-03
PL1916332T3 (pl) 2012-03-30
ATE532901T1 (de)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833B1 (ko) 크레이프 및 언크레이프 티슈 제조용 주름진 제지 직물
US6746570B2 (en) Absorbent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US6787000B2 (en) Fabric comprising nonwoven element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and method thereof
US6706152B2 (en) Fabric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US6821385B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using fabrics comprising nonwoven elements
US6749719B2 (en) Method of manufacture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US6790314B2 (en) Fabric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and method thereof
AU2002347933B2 (en) Fabric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US7300543B2 (en) Tissue products having high durability and a deep discontinuous pocket structure
AU2002347934A1 (en) Fabric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and method thereof
US11920301B2 (en) Woven papermaking fabric having intersecting twill patterns
CA2463892C (en) Fabric comprising nonwoven element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AU2002335058B2 (en) Fabric comprising nonwoven element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AU2002335058A1 (en) Fabric comprising nonwoven element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