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651B1 - 토공사용 경사계 - Google Patents

토공사용 경사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651B1
KR101426651B1 KR1020130034995A KR20130034995A KR101426651B1 KR 101426651 B1 KR101426651 B1 KR 101426651B1 KR 1020130034995 A KR1020130034995 A KR 1020130034995A KR 20130034995 A KR20130034995 A KR 20130034995A KR 101426651 B1 KR101426651 B1 KR 101426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ope
angle plate
circular
circula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우
Original Assignee
임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우 filed Critical 임선우
Priority to KR102013003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56Gaug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e.g. conical cali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및 토목의 건설 현장에서 부지조성이나 도로의 신설 등의 공사로 인한 불규칙한 임야의 개간등의 토공사시 절토 및 성토가 이루어지는 곳에 계획과 목적에 따른 토공에 필요한 경사를 표시하는 토공사용 경사계를 제공함에 있어, 기존의 비탈 규준틀의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경사 검측 및 외력에 의한 변형 발생시 확인이 어려워 시공오류가 발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낮은 내구성과 잦은 파손에 의해 자원이 낭비되는 기존의 현장제작방식을 개선하여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고 안정된 절토 및 성토 경사를 표시할 수 있으며, 운반 및 검측수정 등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토공사용 경사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공사용 경사계 {an angle meter for earthwork}
본 발명은 건축 및 토목의 건설 현장에서 부지조성이나 도로의 신설 등의 공사로 인한 불규칙한 임야의 개간등의 토공사시 절토 및 성토가 이루어지는 곳에 계획과 목적에 따른 토공에 필요한 경사를 표시하는 토공사용 경사계를 제공함에 있어, 기존의 현장제작으로 번거로운 설치 방법과 부정확한 시공성을 개선하여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고 안정된 절토 및 성토 경사를 표시할 수 있으며, 운반 및 검측수정 등이 용이한 토공사용 경사계에 관한 것이다.
토공사 등을 시공할 때 시공면, 절취, 흙 쌓기, 비탈면 구배 등의 기준을 보여주는 가설물로 흔히 비탈 규준틀을 설치하는데 이러한 비탈 규준틀의 설치는 일반적으로 규준틀을 설치할 곳에 각목을 박고 그 상단에 설계된 경사구배를 부여하여 판재를 못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설계된 경사구배를 부여하는 기존의 방법은 측량기술자가 경사시점을 측량하고 경사종점을 가상 예측하여 경사시점과 경사종점을 연결한 선의 연장선상에 판재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이와 같은 방법은 측량기술자가 측량을 하기 위해서는 측량에 필요한 일정한 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측량기술자와 설치기사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며, 측량기술자가 측량을 하고 있는 동안에 설치기사는 대기 상태로 인력 낭비가 많고, 일단 설치완료되면 이동 및 수정이 어렵게 된다.
더욱이, 경사시점은 항시 확인이 가능한 점으로 한번 측량을 하고나면 표시관리에만 주의를 기울여 관리하면 재측량이 필요하지 않으나 경사종점의 경우에는 항시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사의 검측 및 보안시 일일이 재측량을 실시하여야 한다.
특히, 규준틀은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장비 및 작업자의 부주의나 진동, 침하,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재측량을 실시하여야 하며, 각재나 판재의 경우 내구성이 약해 잦은 수정을 할 경우 파손되기 쉬우며,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최초 설치된 규준틀이 일정 시간 경과후 상태 변화에 대한 검측을 실시할 경우 규준틀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기준 및 척도가 없기 때문에 설치된 모든 규준틀에 대해 모두 재측량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력 및 시간의 소요가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비탈 규준틀의 설치시 경사 부여를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비탈 규준틀의 고정 설치후 유지관리를 위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비탈 규준틀의 고정 설치후 경사 검측이 어려운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비탈 규준틀의 고정 설치후 외력에 의한 변형 발생시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시공오류 발생으로 인한 부실공사 발생으로 인한 사고 위험과 재시공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비탈 규준틀이 일회성 도구로 전락하여 낭비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 및 토목건설 현장의 절,성토부가 형성되는 임야등 공사지의 경사를 표시하는 기존의 비탈 규준틀을 대신한 토공사용 경사계를 제공함에 있어,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는 원형각도판, 지지대, 박기용 파일, 경사표시판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원형각도판은 중앙의 경사판 고정구를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의 동심원으로 분리하여 면을 형성하여 요철이 반복된 형태로 구성하되, 돌출된 철 형상을 가진 어느 한곳에는 경사판 고정구를 중심으로 경사비를 구비한 가상의 선과 해당면의 중심선이 교차되는 곳에 소정의 크기의 경사구를 구비하여 경사표시판을 결합하면 경사표시판이 경사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요입된 요 형상을 가진 어느 한곳에는 경사구가 갖는 경사비를 문자로 표시한 경사비표시홈이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원형각도판은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풍구가 형성되며, 강도 증대를 위한 구조뼈대와, 중량 감소용 홈이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지지대는 내부수직지지대, 외부수직지지대, 상부수평지지대, 하부수평지지대로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내부수직지지대는 원형각도판의 하부 일측에 수직 연결되어 원형각도판을 지지하고 요부에 하부수평지지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외부수직지지대는 상부수평지지대의 종단부와 연결되어 상부수평지지대를 지지하고 요부에 하부수평지지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수직지지대와 외부수직지지대의 하부 측면 일측이 돌출 형성되어 지지대를 지면에 박고 고정시키기 위한 타격항타판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박기용 파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박기용 파일의 형태에 대응하는 파일수용홈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상부수평지지대는 인력으로 규준틀을 지면에 박을시 힘이 최초로 전달되는 곳으로, 원형각도판의 일측면에 원형각도판과 수평 연결되고, 반대측 종단부에 외부수직지지대와 수직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하부수평지지대는 양 종단에 내부수직지지대와 외부수직지지대가 수직 연결되고, 상측 요부에 수평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평기홈을 형성하여, 수평기 홈에 수용된 수평기의 수평을 확인함으로써 토공사용 경사계의 설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지지대 요부에는 토공사용 경사계의 견고한 지반 고정을 위한 원형 또는 각형의 보조용 파일을 수용할 수 있는 파일수용구가 형성되며, 파일수용구는 보조용 파일이 결속되지 않을 시 통풍구의 역할을 하여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지지대는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의 구조 뼈대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원형 또는 각형의 중량감소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박기용 파일은 수직 지지대의 파일수용홈에 수용되도록 구성하되, 끼움체결형의 원형파일과 볼트체결형의 각형파일을 선택적으로 구성하며, 하부에는 쐐기형 모서리로 지면에 원활하게 항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보조용 파일은 지지대의 전 또는 후 방향에서 지면에 항타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토공사용 경사계와 지면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경사표시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패널 일측이 대각방향으로 삭제된 형상으로 형성하되, 삭제되지 않은 부분에 도형 및 화살표 형상의 채색홈을 구비한 표시부와, 중앙하부에 원형각도판과 결합되어 원형각도판을 수용하고 원형각도판의 원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각도판의 원주와 동일한 크기의 반원형의 각도판홈을 구비한 결속부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표시판은 표시부와 결속부가 동일 수준상에 나란히 위치한 형태의 절토부 경사표시판과, 결속부의 경사비가 수평레벨 상태에서 표시부가 지면에 접하도록 구성하고 결속부와 표시부를 연결하는 이음판을 구비한 성토부 경사표시판으로 분리 구성하여, 토공사용 경사계의 사용 목적에 따라 경사표시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성토부 경사표시판의 이음판 하부의 표시부는 채색홈만을 구비한 패널로 구성하거나 상기 절토부 경사표시판을 결속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표시판의 결속부에는 각도판홈의 회전 중심부에 원형각도판과의 결속을 위한 중앙고정구가 형성되고, 중앙고정구의 수평면상 원형각도판의 경사비표시홈과 경사구에 각각 대응되는 곳에 경사비를 읽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시각구와 경사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고정구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 표시판을 양면으로 구성하여 원형각도판에 고정할 경우 경사표시판에 구비된 각도판홈 사이로 원형각도판이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토공사용 경사계에 의하면 설치를 위한 측량기술자와 설치기사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고 전문 지식 없이도 설치기사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정확한 경사 부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공사용 경사계에 의하면 설치 및 설치 후 검측을 위한 별도의 측량없이 설치된 토공사용 경사계의 상태 확인만으로 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관리에 의한 인력과 시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공사용 경사계에 의하면 외력에 의한 변형 발생시 수정이 간편하고, 토공사용 경사계의 수시 검측이 가능하여 시공오류를 사전에 예방하여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토공사용 경사계에 의하면 설치 및 수정시 토공사용 경사계의 변형 및 파손이 적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뛰어나며 자원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기 전 토공사용 경사계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토공사용 경사계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가 적용된 토공사용 경사계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2가 적용된 토공사용 경사계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토공사용 경사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6는 도 5가 적용된 토공사용 경사계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토공사용 경사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기존의 현장제작형 비탈 규준틀은 도 1에서와 같이 원지반(10)에서 측량기술자가 경사시점(20)을 측량하고 경사비를 부여하여 경사종점(21)을 가상 예측하여 경사시점(20)과 경사종점(21)을 연결한 경사선(30)의 연장선(31)상에 원지반(10)에 말뚝(40)을 박은 후 판재(41)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토공사용 경사계는 상기 기존 비탈 규준틀을 대체한 것으로, 경사시점(20)만 알고 있으면 별도의 측량 없이도 경사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경사시점(20)으로부터 [식1]에 의해 산출된 거리만큼 이격한 지점에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경사 표시가 가능하다.
그 대표적인 예를 도면에 의거 살펴보면,
본 발명의 토공사용 경사계는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원형각도판(100), 지지대(200), 경사표시판(300), 박기용 파일(400)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원형각도판(100)은 도 3에서와 같이 중앙의 경사판 고정구(110)를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의 동심원으로 분리하여 면을 형성하여 요철이 반복된 형태로 구성하되, 돌출된 철 형상을 가진 어느 한곳에는 경사판 고정구(110)를 중심으로 경사비를 구비한 가상의 선과 해당면의 중심선이 교차되는 곳에 소정의 크기의 경사구(120)를 구비하여 경사표시판(300)을 결합하면 경사표시판(300)이 경사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요입된 요 형상을 가진 어느 한곳에는 경사구(120)가 갖는 경사비를 문자로 표시한 경사비표시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원형각도판(100)은 지지력 확보 및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의 구조뼈대(500)와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풍구(510)가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지지대(200)는 도 3에서와 같이 내부수직지지대(201), 외부수직지지대(202), 상부수평지지대(203), 하부수평지지대(204)로 구성하되, 내부수직지지대(201)는 원형각도판(100)의 하부 일측에 수직 연결되어 원형각도판(100)을 지지하고 요부에 하부수평지지대(204)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외부수직지지대(202)는 상부수평지지대(203)의 종단부와 연결되어 상부수평지지대(203)를 지지하고 요부에 하부수평지지대(204)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수직지지대(201)와 외부수직지지대(202)는 측면 일측이 돌출 형성되어 지지대를 지면에 박고 고정시키기 위한 타격항타판(21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박기용 파일(4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박기용 파일(400)의 형태에 대응하는 파일수용홈(220)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상부수평지지대(203)는 인력으로 규준틀을 지면에 박을시 힘이 최초로 전달되는 곳으로, 원형각도판(100)의 일측면에 원형각도판(100)과 수평 연결되고, 반대측 종단부에 외부수직지지대(202)와 수직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하부수평지지대(204)는 양 종단에 내부수직지지대(201)와 외부수직지지대(202)가 수직 연결되고, 상측 요부에 수평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평기홈(240)을 형성하여, 수평기홈(240)에 수용된 수평기의 수평을 확인함으로써 토공사용 경사계의 설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지지대(200)는 도 7에서와 같이 토공사용 경사계의 견고한 지반 고정을 위해 보조파일(403)을 수용할 수 있는 파일수용구(230)를 형성하되, 파일수용구(230)에 보조파일(403)이 결속되지 않을 시에는 통풍구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대(200)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의 구조 뼈대(500)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중량감소를 위한 중량감소용홈(52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경사표시판(300)은 도 4에서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패널 일측이 대각방향으로 삭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삭제되지 않은 부분에 도형 및 기호의 채색홈(311)이 형성된 표시부(310)와, 중앙 하부에 원형각도판(100)과 결합되어 원형각도판(100)을 수용하고 원형각도판(100)의 원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각도판(100)의 원주와 동일한 크기의 반원형의 각도판홈(321)을 구비한 결속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경사표시판(300)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표시부(310)와 결속부(320)가 동일 수준상에 나란히 위치한 형태의 절토부 경사표시판(301)과, 도 5 내지 도 7 에서와 같이 결속부(320)의 경사비가 수평레벨 상태에서 표시부(310)의 하단이 지면에 접하도록 구성하고, 표시부(310)와 결속부(320)를 연결하는 이음판(330)을 구비한 성토부 경사표시판(302)으로 분리 구성하여, 토공사용 경사계의 사용 목적에 따라 경사표시판(30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성토부 경사표시판(302)의 이음판(330) 하부는 도 5에서와 같이 채색홈(311)을 구비한 표시부(310)만으로 구성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절토부 경사표시판(301)을 결속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 표시판(300)의 결속부(320)에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원형각도판(100)을 수용하고 원형각도판(100)의 원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각도판홈(321)이 형성되고, 원형각도판(100)과의 결속을 위해 회전 중심에 중앙고정구(322)가 형성되고, 중앙고정구(322)의 수평면상 원형각도판(100)의 경사비표시홈(130)과 경사구(120)에 대응되는 곳에 경사비를 읽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시각구(323)와 경사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고정구(324)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 표시판(300)을 양면으로 구성하여 원형각도판(100)에 고정할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경사표시판(300)에 구비된 각도판홈(321) 사이로 원형각도판(100)이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박기용 파일(400)은 내부수직지지대(201)와 외부수직지지대(202)의 파일수용홈(220)에 수용되도록 구성하되, 도 3에서와 같이 끼움체결형의 원형파일(401)과 도 5에서와 같이 볼트체결형의 각형파일(402)을 선택적으로 구성하고, 도 7에서와 같이 지지대(200)의 파일수용구(230) 전 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파일(403)을 선택적으로 추가 구성하고, 파일 하부는 쐐기형 모서리로 지면에 원활하게 항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설치 위치, 즉 경사시점(20)으로부터 이격거리(L)를 산출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이격거리(L) = A * H + B ----- (식 1)
여기서,
A = 경사계수(경사계수표)
H = 지반과 원형각도판(100)의 경사판고정구(110)의 중심까지의 거리
B = 경사판고정구(110)의 중심과 내부수직지지대(201)의 파일수용홈(220)의 중심까지의 이격거리
절토부 경사비에 따른 경사계수
경사비 경사계수(A) 경사비 경사계수(A)
1:0 0 1:1.2 1.2
1:0.2 0.2 1:1.5 1.5
1:0.3 0.3 1:2 2
1:0.5 0.5 1:3 3
1:0.7 0.7 1:5 5
1:1 1 1:∞
성토부 경사비에 따른 경사계수
경사비 경사계수(A) 경사비 경사계수(A)
1:0 1:1.2 0.362
1:0.2 0.820 1:1.5 0.303
1:0.3 0.744 1:2 0.236
1:0.5 0.618 1:3 0.162
1:0.7 0.521 1:5 0.099
1:1 0.414 1:∞ 0
10 : 원지반
20 : 경사시점, 21 : 경사종점
30 : 경사선, 31 : 연장선
100 : 원형각도판
110 : 경사판고정구, 120 : 경사구, 130 : 경사비표시홈
200 : 지지대
201 : 내부수직지지대, 202 : 외부수직지지대
203 : 상부수평지지대, 204 : 하부수평지지대
210 : 타격항타판, 220 : 파일수용홈, 230 : 파일수용구, 240 : 수평기홈
300 : 경사표시판
301 : 절토부 경사표시판, 302 : 성토부 경사표시판
310 : 표시부, 311 : 채색홈
320 : 결속부
321 : 각도판홈, 322 : 중앙고정구, 323 : 시각구, 324 : 경사고정구
330 : 이음판
400 : 박기용 파일
401 : 원형파일, 402 : 각형파일, 403 : 보조파일
500 : 구조뼈대
510 : 통풍구
520 : 중량감소용 홈

Claims (5)

  1. 건축 및 토목의 건설 현장에서 부지조성이나 도로의 신설 등의 공사로 인한 불규칙한 임야의 개간등의 토공사시 절토 및 성토가 이루어지는 곳에 계획과 목적에 따른 토공에 필요한 경사를 표시하는 토공사용 경사계를 제공함에 있어,
    소정의 간격의 동심원으로 분리하여 면을 형성하여 요철이 반복된 형태로 구성하되, 원 중심에 경사표시판과의 고정을 위한 경사판 고정구와, 원 중심으로부터 경사비를 구비한 가상의 선과 해당면의 중심선이 교차되는 곳에 소정의 크기의 경사구를 구비한 원형각도판을 구성하고,
    상기 원형각도판과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성하되, 원형각도판 하부 일측에 수직 연결되어 원형각도판을 지지하는 내부수직지지대와, 원형각도판의 일측면에 원형각도판과 수평 연결되는 상부수평지지대와, 상부수평지지대 종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외부수직지지대와, 상부수평지지대 하부에 상부수평지지대와 수평으로 수평기홈을 구비하고 내부수직지지대와 외부수직지지대를 각각 수직 연결되는 하부수평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대를 구성하며,
    상기 내부수직지지대와 외부수직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과 고정을 위한 박기용 파일을 구성하되, 끼움체결형의 원형파일과 볼트체결형의 각형파일을 선택 구성하고, 하부는 지면에 원활한 항타를 위해 쐐기형으로 구성하며,
    원형각도판에 결합되어 경사를 표시하는 경사표시판을 구성하되,
    상기 경사표시판은 도형 및 기호의 채색홈이 형성된 표시부와 원형각도판과 결합되는 결속부로 분리 구성하되, 표시부와 결속부가 동일선상에 나란히 결합된 형태의 절토부 경사표시판과, 표시부가 지면에 접하고 결속부는 원형각도판에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표시부와 결속부를 연결하는 이음판을 구성하여 이음판 상부 일측에 고정부가 결합하고 하부 반대 일측에 표시부가 결합된 형태의 성토부 경사표시판으로 형성되어 토공사용 경사계의 사용 목적에 따라 경사 표시판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공사용 경사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공사용 경사계의 원형각도판은 경사비를 문자로 표시한 경사비표시홈과,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풍구와 중량 감소를 위한 중량 감소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공사용 경사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측면에는 토공사용 경사계을 지면에 타격 고정할 수 있도록 타격항타판을 돌출 형성하고, 하부에는 박기용 파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파일수용홈을 구성하되 박기용 파일의 형태에 따라 볼트형 및 끼움형으로 선택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 전 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파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파일수용구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는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의 구조 뼈대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공사용 경사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표시판의 결속부에는 원형각도판을 수용하고 원형각도판의 원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각도판홈이 형성되고, 원형각도판과의 결속을 위해 회전 중심부의 중앙고정구가 형성되고, 중앙고정구의 수평면상 원형각도판의 경사비표시홈과 경사구에 대응되는 곳에 경사비를 읽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시각구와 경사를 고정하기 위한 경사고정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공사용 경사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표시판을 양면으로 구성하여 원형각도판에 고정할 경우 경사 표시판에 구비된 각도판홈 사이로 원형각도판이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성토부 경사표시판의 이음판 하부는 채색홈을 구비한 표시부만으로 구성하거나, 절토부 경사표시판을 결속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공사용 경사계.
KR1020130034995A 2013-04-01 2013-04-01 토공사용 경사계 KR101426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995A KR101426651B1 (ko) 2013-04-01 2013-04-01 토공사용 경사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995A KR101426651B1 (ko) 2013-04-01 2013-04-01 토공사용 경사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651B1 true KR101426651B1 (ko) 2014-08-06

Family

ID=5174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995A KR101426651B1 (ko) 2013-04-01 2013-04-01 토공사용 경사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05B1 (ko) * 2016-04-18 2017-01-23 김연철 경사 규준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993Y1 (ko) 2001-05-07 2001-10-12 대화건설 주식회사 경사 규준틀 측정기
KR101211880B1 (ko) 2010-03-23 2012-12-13 임선우 경사 규준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993Y1 (ko) 2001-05-07 2001-10-12 대화건설 주식회사 경사 규준틀 측정기
KR101211880B1 (ko) 2010-03-23 2012-12-13 임선우 경사 규준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05B1 (ko) * 2016-04-18 2017-01-23 김연철 경사 규준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29728A (zh) 边坡、滑坡综合监测系统
EP2648020B1 (en) Earthquake monitor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106092024B (zh) 模型桩测孔仪及桩孔孔径测量方法
CN205940522U (zh) 模型桩测孔仪
KR101426651B1 (ko) 토공사용 경사계
CN109855544A (zh) 一种基于激光测距的地表裂缝监测装置及方法
KR101211880B1 (ko) 경사 규준틀
CN110243355A (zh) 一种短距离校准激光铅垂仪的方法
JP2022061704A (ja) 鋼材の傾斜計測装置および変位測定方法と山留壁の変位測定方法
KR100484519B1 (ko) 공동주택 단지 지중매설물 안전진단 시스템
KR101009195B1 (ko) 수직도 측정 방법
KR100828583B1 (ko) 식별용이한 지형 측량용 스태프
KR20180025997A (ko) 스크루 잭 및 계측센서부재를 갖는 조립식 다족형 강지보 시스템 및 그 시공법
KR101433115B1 (ko) 강관말뚝의 근입 수직측정장치
CN103808807B (zh) 现场围岩微破裂区域的测量方法
KR200275936Y1 (ko)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CN213067468U (zh) 一种基于北斗的楼房地基深度检测装置
KR100413952B1 (ko) 경사도 측량자
CN210922593U (zh) 一种基坑边坡坡度测量仪
CN210069367U (zh) 一种用于建筑基础工程定位检测的装置
DE1960401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nauen Vermessung der Oberflächen von Gebäudestrukturen
CN208902047U (zh) 三维位移标定架及测量系统
US20090217538A1 (en) Gauge for determining angle of sloped ground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954209B1 (ko) 빔 구조체
CN214939552U (zh) 一种工程测量标志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