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578B1 -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578B1
KR101426578B1 KR1020100086497A KR20100086497A KR101426578B1 KR 101426578 B1 KR101426578 B1 KR 101426578B1 KR 1020100086497 A KR1020100086497 A KR 1020100086497A KR 20100086497 A KR20100086497 A KR 20100086497A KR 101426578 B1 KR101426578 B1 KR 10142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network
information
dual mod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324A (ko
Inventor
신현문
신현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115,202 priority Critical patent/US8812001B2/en
Publication of KR2011012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은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에서의 호접속 허용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DUAL MODE TERMINAL FOR SUPPORTING ACCESS IN DIFFERENT NETWORK,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이용하여, 접속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랜(WLAN)과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 통합 방식은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 형태와 견고한 결합(Tight Coupling) 형태의 방식이 있다. 견고한 결합(Tight Coupling) 방식은 통합된 두 가지 네트워크 사이의 정보와 자원을 서로 공유한다. 반면,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 방식은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단지 끊임없는(seamless) 운영만이 보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두 가지 네트워크의 전체 자원을 적절히 공유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만약, 자원이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 방식의 무선 통합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네트워크의 독립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자원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유럽의 3세대 이동통신(3G) 기술 가운데 하나로서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을 기술표준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술인 유엠티에스(UMTS) 셀룰러 네트워크와 무선랜(WLAN)이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 형태로 통합된 두 가지 경쟁적인 무선 네트워크 사이를 이동하는 듀얼 모드(Dual Mode) 단말의 경우를 고려한다. 이때, 무선 통합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선택, 호 수락제어(Call Admission Control)와 데이터 전송률(Data Rate) 할당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 구역 내에서의 영역 식별자 판독을 통한 영역 이동성에 따라 이종망간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호 설정 요구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직전 모니터링 단위 시간 동안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비할당 자원 블록의 비율이 각각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호 수락 임계치 이상인 경우, 신규호를 수락하는 호 설정 제어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영역 식별을 고려한 방법으로서, 이종 네트워크의 특성인 이용자의 선택권에 대한 방법을 무시한 상황으로 현재의 동종 네트워크에서의 방법과 차이가 없고, 호 수락 제어에서도 동일망에 국한되었고 서비스 유형별 서비스 품질 기준치에 대해 간과함에 따라, 이종 네트워크의 특성과 호별 서비스 품질(QoS)의 최소수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이 이종 무선 네트워크 모두 접속이 가능한 상황에서 이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고, 서비스 종류에 따라 민감한 품질특성을 구분하여 접속을 요구한 호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단말과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중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은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에서의 호접속 허용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로부터의 네트워크 정보요청 수신에 연동하여, 네트워크의 품질정보를 예측하는 예측부와, 상기 품질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산출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산출부와, 상기 단말로부터 호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서비스 종류 및 상기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에서의 호접속 허용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의 네트워크 정보요청 수신에 연동하여, 네트워크의 품질정보를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품질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산출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호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서비스 종류 및 상기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과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중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무선랜(WLAN)에서 패킷의 지연시간을 구성하는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에서의 새로운 호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수락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에서의 핸드오프 호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수락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은 단말(101), 제1 네트워크 장치(103) 및 제2 네트워크 장치(105)를 포함한다.
단말(101)은 제2 영역(A2)에서의 신규 호의 네트워크 선택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기반의 네트워크 장치로의 호접속 요청과 제1 영역(A1)에서 제2 영역(A2)으로 이동하는 핸드오프 호의 네트워크 선택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기반의 네트워크 장치로의 호접속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1)은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공된 네트워크 정보(예컨대, 서비스품질(QoS) 및 패킷 당 요금)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지불할 예상 요금에 비해, 제공받게 되는 서비스 품질이 더 좋은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101)은 제1 네트워크 장치(103)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105) 중 호접속 요청에 따른, 호접속 수락 메시지를 송출한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장치(103)는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네트워크 기반의 장치(예컨대, 기지국)로서, 무선랜(WLAN) 기반의 제2 네트워크 장치(105)와 느슨한 결합 형태로, 통합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네트워크 장치(105)는 예컨대,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장치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장치(103)는 단말(101)의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따라,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네트워크에 관한 제1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101)로 제공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장치(105)는 단말(101)의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따라, 무선랜(WLAN)에 관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10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장치(103) 및 제2 네트워크 장치(105)는 단말(101)의 호접속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의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패킷에 대한 서비스품질을 예측하기 앞서,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네트워크와 무선랜(WLAN)과 관련하여,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네트워크 기반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패킷이 각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SINR)가 서비스품질 요구조건 보다 낮을 때, 지연 및 손실이 발생하고, 무선랜(WLAN)에서, 패킷이 네트워크 채널에 대해 경쟁할 때, 지연 및 손실이 발생한다. 그 결과, 각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패킷지연시간이 서비스품질 요구조건을 초과하는 경우, 패킷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네트워크와 무선랜(WLAN)에서, 예측치(즉, 품질정보의 패킷 지연시간, 패킷 손실율) 계산을 위해 네트워크 영역
Figure 112010057424759-pat00001
에 트래픽 유형
Figure 112010057424759-pat00002
, 여기서,
Figure 112010057424759-pat00003
,
Figure 112010057424759-pat00004
는 실시간과 비 실시간 데이터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각 네트워크 영역에는
Figure 112010057424759-pat00005
개의 호가 존재한다고 나타낼 수 있다. 각 호는
Figure 112010057424759-pat00006
의 비율로 포아송분포에 따라 패킷을 생성한다. 여기서,
Figure 112010057424759-pat00007
는 네트워크
Figure 112010057424759-pat00008
에서 트래픽 유형
Figure 112010057424759-pat00009
의 호에 대해 할당된 데이터 전송율이라 하고,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0
는 비트(Bit) 단위의 패킷 크기이다. 각 호는 슬롯시간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1
로 나누어지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2
개의 비트로 구성된 하나의 패킷은 하나의 타임슬롯 내에 전송된다. 기본적으로 두 네트워크 모두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는다면 패킷지연이 한계시간을 넘지 않을 때까지 계속해서 재전송 시도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201)은 인터페이스(203), 선택부(205) 및 처리부(207)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203)는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각각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장치(103)로부터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1, 2 네트워크 장치의 기반이 되는 네트워크에서, 패킷당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나타내는 이득값일 수 있다.
선택부(205)는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선택부(205)는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제1 품질효용값을 계산하고,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제2 품질효용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제1 품질효용값 및 제2 품질효용값을 비교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부는 상기 제1 품질효용값이 상기 제2 품질효용값 보다 큰 경우, 제1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품질효용값은 제1 네트워크 장치의 기반이 되는 제1 네트워크에서, 호접속이 지속되는 시간동안의 서비스요금과 서비스품질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2 품질효용값은 제2 네트워크 장치의 기반이 되는 제2 네트워크에서, 호접속이 지속되는 시간동안의 서비스요금과 서비스품질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만약, 각 네트워크에 현재 접속해 있는 호의 수가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3
일 때, 트래픽 유형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4
의 호가 네트워크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5
에 수락된다면, 해당 호가 지속되는 시간 동안 단말의 서비스 이용요금(Cost)과 품질(QoS)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말의 기대효율(즉, 품질효용값)은 [수학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6
여기서, 기대이득(즉, 이득값)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7
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8
단위당 요금이 주어진 경우, 단말은 보다 큰 효용값을 갖는 네트워크에 선호도를 갖게 된다. 즉, 제1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효용이 제2 네트워크 보다 크다면, 선택부(205)는 우선 제1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반면, 제2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효용이 제1 네트워크 보다 크다면, 선택부(205)는 우선 제2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한편, 선택부(205)는 두가지 상황 모두에 해당되지 않는 기대효용이 동일하다면 무작위로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을 시도한다.
또한, 선택부(205)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입력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처리부(207)는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에서의 호접속 허용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처리부(207)는 제1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호접속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처리부(207)는 듀얼 모드 단말이 서비스 영역에 대해, 겹친 영역 또는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새로운 접속가능성 여부요청 또는 핸드오프 준비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07)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 및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된 겹친 영역 또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 및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겹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으로서, 새로운 접속가능성 여부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07)는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듀얼 모드 단말과 기연결되지 않은 네트워크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으로서, 핸드오프 준비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처리부(207)는 제1 네트워크 장치와 기연결된 상태에서, 선택부(205)에 의해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제2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프 준비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처리부(207)는 제1 네트워크 장치와 기연결된 상태에서, 선택부(205)에 의해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선택되면, 호접속 요청을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301)는 예측부(303), 산출부(305) 및 제어부(307)을 포함한다.
예측부(303)는 단말로부터의 네트워크 정보요청 수신에 연동하여, 네트워크의 품질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예측부(303)는 패킷 생성률 및 패킷 처리량을 이용하여, 상기 품질정보(예컨대, 패킷 지연시간, 패킷 손실율)를 생성할 수 있다.
i) 유엠티에스(UMTS)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예측부(303)는 유엠티에스(UMTS)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호가 수락된 경우, 단말의 전송전력,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301)(예컨대, 기지국)간 경로이득, 신호처리에 따른 간섭감소,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열 잡음 세기 등을 고려하여, 상기 호에 대한 실질적인 신호대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을 측정할 수 있다.
[수학식 3]은 상시 신호대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을 산출하는 수식이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19
여기서, 상기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0
는 호 연결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1
에서 단말의 전송전력이다. 상기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2
는 단말과 기지국간 경로이득(= 안테나 이득/경로 손실)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3
(즉,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4
가 칩전송율이고,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5
가 트래픽 클래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6
에 대한 활동요인이고, 신호처리 이득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7
으로 CDMA에 대해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8
)은 신호처리에 따른 간섭감소를 나타낸다. 상기
Figure 112010057424759-pat00029
은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열잡음세기(Thermal Noise Power)를 나타낸다.
데이터 전송율을 보장하기 위해, 실질적인 신호대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는 목표치(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0
) 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만약 어떠한 타임 슬롯의 시작시점에 이러한 제약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면 패킷들은 전송되지 않을 것이다. [수학식 4]는 신호대 잡음비와 패킷 전송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1
따라서, 모든 단말에서 생성된 모든 패킷의 타임슬롯 단위의 시간당 처리량을 해당 단위 시간당 처리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는 이를 나타내는 수식이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2
이때, 단위 시간당 패킷처리량은 일정 비율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3
의 포아송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면, 평균 패킷지연시간과 평균 패킷손실율에 대한 예측치를 구할 수 있다.
상기 예측치를 구하기 위해 패킷의 전송 지연시간(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4
)을 구해야 하는데, 이는 수락된 데이터 메시지가 전송되기 까지 기지국에서 대기하는 시간으로서 패킷이 포아송절차에 따라 생성되고 전송되기 때문에 평균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5
의 지수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이다.
이때, 각 패킷이 최대 허용 가능한 패킷지연시간(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6
)을 갖기 때문에 각 호의 패킷지연시간이 허용 가능시간 보다 작거나 같으면 패킷은 성공적으로 전송된다고 판단할 수 있고, 각 호의 패킷지연시간이 허용 가능시간 보다 크면 패킷 전송이 실패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최대 허용 가능한 패킷지연시간까지 전송되지 않은 패킷은 손실된 것으로 처리한다. 그러면, 특정 타임 슬롯에서의 '패킷부하'는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7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될 확률을 구할 수 있어, 그 반대의 경우인 패킷손실율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학식 6]은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될 확률을 구하는 수식이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8
동일한 방식으로 평균 패킷지연시간까지 계산이 가능하여, [수학식 7]은 평균 패킷지연시간을 계산하는 수식이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39
본 발명에서는 이들 평균 패킷 지연시간과 평균 패킷 손실율을 예측치로 적용한다.
ⅱ) 무선랜(WLAN)에서,
IEEE 802.11 표준의 디시에프(DCF) 접속방법은 충돌회피(CSMA/CA) 프로토콜을 갖은 반송파 감지 다중접속방식에 기초한다. 전송할 패킷을 갖은 단말은 채널을 감지하고 패킷을 보내게 된다. 만약, 단말이 채널이 서비스 중에 있다고 감지한다면 채널이 백오프 (backoff) 절차를 시동한 후 디아이에프에스(DIFS) 시간 동안 서비스를 하지 않을 때까지 기다린다.
IEEE 802.11 MAC에서 하나의 단말이 충돌(Collision) 중에 있다면 지수 백오프(backoff)를 수행한다. 충돌(Collision)이 있을 때, 각 단말은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0
범위에서 균등분포(Uniform Distribution)로부터 이산확률 변수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1
을 선택한다. 여기서,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2
은 경쟁윈도우(contention window)이고,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3
은 충돌이 일어난 횟수이다. 즉, 충돌이 일어난 회수는 첫 번째 성공하기까지 필요한 시행 횟수이다. 따라서 이는 기하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로 표현할 수 있는데, [수학식 8]은 이를 나타내는 수식이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4
여기서,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5
는 무선랜(WLAN)에 서비스 중인 호의 수이다.
이러한 메커니즘 하에서, 단말에 의해 전송된 패킷은 충돌횟수가 재시도 한계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6
보다 클 때 손실된다. 따라서,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되기 위해서는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7
번의 충돌보다 적어야 한다. 따라서,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될 확률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8
은 [수학식 9]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49
따라서, 한 호의 패킷이 손실될 확률은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0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재전송 횟수가 재시도 한계치보다 작다면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백오프 지연시간(backoff delay), 성공적으로 전송된 패킷의 길이 및 충돌이 일어난 패킷의 길이 등이, 도 4와 같이 고려되어야 한다. 우선 백오프 지연시간은 백오프시간과 발생한 충돌횟수이다. 그러면, 하나의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될 때까지 총 백오프 지연시간은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1
여기서,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2
이고,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3
이다. 충돌이 발생한 패킷은 임의의 타임슬롯 이후에 재전송된다. 첫번째 전송시도에서,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4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5
값을 갖는다. 이 값은 전송이 실패할 때마다 최대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6
까지 2배씩 증가한다. 단,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7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8
은 미리 정해진다. 만약 충돌이 있다면, 이러한 충돌들은 전송을 위해 한 패킷에 할당된 시간 내에 발생한다. RTS 프레임 길이와 DIFS 시간에 따라 패킷지연은
Figure 112010057424759-pat00059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0
(401)는 RTS 프레임 길이와 DIFS 시간의 합이다. 마지막으로, 성공한 패킷의 헤더와 페이로드(Payload)의 길이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1
(403)를 고려한다. RTS/CTS가 쓰일 때 충돌이 데이터 패킷 대신에 RTS 프레임 사이에 발생할 때 성공적인 패킷 전송은 RTS/CTS 교환에 의해 선행된다. 따라서,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송될 때까지 지연시간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2
(405)는 [수학식 11]과 같이 백오프지연시간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3
과 성공적으로 전송된 패킷의 길이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4
, 및 충돌된 패킷의 길이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5
의 합계로 표현한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6
패킷 지연시간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7
역시 상수와 확률변수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8
으로 구성된 선형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동일한 분포를 갖는 확률변수이다. 따라서, 패킷의 평균 지연시간은 [수학식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69
산출부(305)는 품질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산출하고,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산출된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 산출부(305)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로서, 패킷당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나타내는 이득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 또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부터 정보나 신호세기를 취하는 핸드오프 상황을 고려한다. 이 경우 단말이 주변에 요청신호를 보낼 때 기지국과 엑세스 포인트는 반응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액티브 핸드오프 상황에서, 단말은 반응패킷으로부터 여러 정보를 취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은 트래픽 유형에 따라 자신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해, 하나의 단말은 패킷당 서비스 요금에 비교하여 단말이 받는 서비스 품질의 정도를 나타내는 이득(
Figure 112010057424759-pat00070
)을 얻게 되고, 그렇지 않고 전송에 실패한 패킷은 이득을 얻지 못하게 된다. 즉, 한 패킷의 전송이 지연되면 될수록 단말은 보다 적은 이득을 얻게 된다. [수학식 13]은 이를 나타내는 수식이다.
Figure 112010057424759-pat00071
여기서,
Figure 112010057424759-pat00072
는 네트워크
Figure 112010057424759-pat00073
에서 트래픽 유형
Figure 112010057424759-pat00074
에 대한 패킷당 요금을 나타낸다. 이득과 비용의 측정단위를 단일화 하기 위해 패킷이 한 타임슬롯 동안 전송되기 때문에 타임슬롯당 단위요금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제어부(307)는 단말(101)로부터 호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서비스 종류 및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01)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7)는 상기 서비스 종류가 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지연시간과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지연시간이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 보다 크지 않으면, 단말(101)의 호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7)는 상기 서비스 종류가 비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손실율과 선정된 패킷 손실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손실율이 선정된 패킷 손실율 보다 크지 않으면, 단말(101)의 호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1에서, 단말(101)은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각각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장치(103)로부터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네트워크 장치(105)로부터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네트워크 장치(103)는 단말(101)로부터의 네트워크 정보요청 수신에 연동하여,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네트워크의 품질정보를 예측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장치(103)는 패킷 생성률 및 패킷 처리량을 이용하여, 상기 품질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장치(103)는 예측된 품질정보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산출하며,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산출된 제1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네트워크 장치(105)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3)와 마찬가지로, 무선랜의 품질정보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1, 2 네트워크 장치(103, 105)의 기반이 되는 각 네트워크에서, 패킷당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나타내는 이득값일 수 있다.
이때, 단말(101)이 제1 네트워크 장치(103)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단말(101)은 연결되지 않은 제2 네트워크 장치(105)로의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따라,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503에서, 단말(101)은 제1 네트워크 장치(103) 및 제2 네트워크 장치(105)로부터 각각 수신한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1)이 제1 네트워크 장치(103)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단말(101)은 제1 네트워크 장치(103)과의 연결 시 획득한 제1 네트워크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따라,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단말(101)은 제1 네트워크 장치(103)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제1 품질효용값을 계산하고, 제2 네트워크 장치(105)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제2 품질효용값을 계산한 후, 상기 제2 품질효용값이 상기 제1 품질효용값 보다 큰 경우, 제2 네트워크 장치(105)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1)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입력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말(101)은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1)이 제1 네트워크 장치(103)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단말(101)은 제2 네트워크 장치(105)로 핸드오프 준비요청 또는 연결가능성 여부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1)이 제1 네트워크 장치(103) 및 제2 네트워크 장치(105)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단말(101)은 제2 네트워크 장치(105)로 새로운 접속가능성 여부요청 또는 연결가능성 여부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505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105)는 단말(101)로부터 호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01)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 장치(105)는 단말(101)로부터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서비스 종류 및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01)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507에서, 단말(101)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 즉, 제2 네트워크 장치(105)에서의 호접속 허용여부에 따라, 제2 네트워크 장치(105)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101)은 제2 네트워크 장치(105)로부터 호접속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네트워크 장치(105)와 통신할 수 있으나, 호접속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네트워크 장치(105)와의 통신이 제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에서의 새로운 호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수락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단말은 현재의 위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과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된 겹친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 즉, 단말은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네트워크 기반의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무선랜 기반의 제2 네트워크 장치와의 접속이 모두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603에서, 단말은 현재의 위치가 겹친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즉 제1 및 제2 네트워크 장치와의 접속이 모두 가능한 경우,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여 호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제1 품질효용값을 계산하고,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제2 품질효용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제1 품질효용값 및 제2 품질효용값을 비교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제2 품질효용값이 제1 품질효용값 보다 큰 경우, 제2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605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로부터 호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서비스 종류가 실시간 서비스인 경우, 품질정보 중 패킷 손실율을 이용하여, 단말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계 607, 609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손실율과 선정된 패킷 손실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패킷 손실율이 선정된 패킷 손실율 보다 크지 않으면, 단말의 호접속을 허용하여, 호접속 수락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 함으로써, 단말과 실시간 통신할 수 있다. 반면, 단계 607, 611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손실율과 선정된 패킷 손실율을 비교한 결과, 패킷 손실율이 선정된 패킷 손실율 보다 크면, 단말의 호접속을 불허용하여, 호접속 거절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 함으로써, 단말과의 실시간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605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가 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즉 비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는 경우, 품질정보 중 패킷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단말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613, 609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지연시간과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패킷 지연시간이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 보다 크지 않으면, 단말의 호접속을 허용하여, 단말과 비실시간 통신할 수 있다. 반면, 단계 613, 611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지연시간과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을 비교한 결과, 패킷 지연시간이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 보다 크면, 단말의 호접속을 불허용하여, 단말과의 비실시간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601에서, 단말은 현재의 위치가 겹친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호접속 요청을 종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에서의 핸드오프 호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수락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1에서, 단말은 현재의 위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과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경계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 즉, 단말은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네트워크 기반의 제1 네트워크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서, 무선랜 기반의 제2 네트워크 장치로의 접속이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즉, 핸드오프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신호 감지 후, 신호의 세기가 점점 증가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핸드오프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현재의 위치가 경계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즉 제1 네트워크 장치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로의 핸드오프가 가능한 경우, 제2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제1 품질효용값을 계산하고,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제2 품질효용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제1 품질효용값 및 제2 품질효용값을 비교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제2 품질효용값이 제1 품질효용값 보다 큰 경우, 제2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703에서, 단말은 기연결되지 않은 제2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제2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705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로부터 호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서비스 종류가 실시간 서비스인 경우, 품질정보 중 패킷 손실율을 이용하여, 단말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계 707, 709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손실율과 선정된 패킷 손실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패킷 손실율이 선정된 패킷 손실율 보다 크지 않으면, 단말의 호접속을 허용하여, 호접속 수락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 함으로써, 단말과 실시간 통신할 수 있다. 반면, 단계 707, 711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손실율과 선정된 패킷 손실율을 비교한 결과, 패킷 손실율이 선정된 패킷 손실율 보다 크면, 단말의 호접속을 불허용하여, 호접속 거절 메시지를 단말로 송출 함으로써, 단말과의 실시간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705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가 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즉 비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는 경우, 품질정보 중 패킷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단말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713, 709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지연시간과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패킷 지연시간이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 보다 크지 않으면, 단말의 호접속을 허용하여, 단말과 비실시간 통신할 수 있다. 반면, 단계 713, 711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지연시간과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을 비교한 결과, 패킷 지연시간이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 보다 크면, 단말의 호접속을 불허용하여, 단말과의 비실시간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단계 701, 703에서, 단말은 현재의 위치가 경계 영역에 해당하지 않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호접속 요청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과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중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단말
103: 제1 네트워크 장치
105: 제2 네트워크 장치

Claims (18)

  1.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에서의 호접속 허용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호접속이 지속되는 시간동안의 서비스요금과 서비스품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품질효용값 및 제2 품질효용값을 각각 계산하고, 상기 제1 품질효용값이 상기 제2 품질효용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입력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2.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에서의 호접속 허용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된 겹친 영역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겹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으로서, 새로운 접속가능성 여부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듀얼 모드 단말과 기연결되지 않은 네트워크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으로서, 핸드오프 준비요청을 전송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기반이 되는 네트워크에서, 패킷당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나타내는 이득값을 포함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요청의 수신에 연동하여, 네트워크의 품질정보를 예측하고, 상기 품질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듀얼 모드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호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서비스 종류 및 상기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듀얼 모드 단말에 대한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생성률 및 패킷 처리량을 이용하여, 상기 품질정보를 생성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로서, 패킷당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나타내는 이득값을 산출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서비스 종류가 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지연시간과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지연시간이 상기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듀얼 모드 단말의 호접속을 허용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서비스 종류가 비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손실율과 선정된 패킷 손실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손실율이 상기 선정된 패킷 손실율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듀얼 모드 단말의 호접속을 허용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9. 듀얼 모드 단말에서,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듀얼 모드 단말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모드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에서의 호접속 허용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득값을 이용하여, 호접속이 지속되는 시간동안의 서비스요금과 서비스품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품질효용값 및 제2 품질효용값을 각각 계산하고, 상기 제1 품질효용값이 상기 제2 품질효용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입력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0. 듀얼 모드 단말에서, 네트워크 정보요청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듀얼 모드 단말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듀얼 모드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에서의 호접속 허용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모드 단말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된 겹친 영역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겹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으로서, 새로운 접속가능성 여부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듀얼 모드 단말과 기연결되지 않은 네트워크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장치로 호접속 요청으로서, 핸드오프 준비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기반이 되는 네트워크에서, 패킷당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나타내는 이득값을 포함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요청의 수신에 연동하여, 네트워크의 품질정보를 예측하고, 상기 품질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듀얼 모드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호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서비스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서비스 종류 및 상기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듀얼 모드 단말의 호접속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패킷 생성률 및 패킷 처리량을 이용하여, 상기 품질정보를 생성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로서, 패킷당 서비스요금에 기초한 서비스품질을 나타내는 이득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득값을 상기 듀얼 모드 단말로 전송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서비스 종류가 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지연시간과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지연시간이 상기 선정된 패킷 지연시간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듀얼 모드 단말의 호접속을 허용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서비스 종류가 비실시간 서비스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손실율과 선정된 패킷 손실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품질정보에 포함된 패킷 손실율이 상기 선정된 패킷 손실율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듀얼 모드 단말의 호접속을 허용하는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100086497A 2010-05-25 2010-09-03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42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15,202 US8812001B2 (en) 2010-05-25 2011-05-25 Dual mode terminal for supporting access in different network, network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8403 2010-05-25
KR1020100048403 2010-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24A KR20110129324A (ko) 2011-12-01
KR101426578B1 true KR101426578B1 (ko) 2014-08-05

Family

ID=4549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497A KR101426578B1 (ko) 2010-05-25 2010-09-03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0043B2 (en) 2012-07-26 2017-08-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using two or more radio access technologies and apparatus for same
KR101439645B1 (ko) * 2012-11-19 2014-09-12 한국과학기술원 단말과 이종망과의 협력을 통한 단말의 액세스 망 선택 방법 및 시스템
CN104349426A (zh) * 2013-07-25 2015-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建立通话连接的方法与装置
KR102249734B1 (ko) * 2013-12-17 2021-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KR102361439B1 (ko) * 2020-01-30 2022-02-10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통신 모드 및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5151A1 (en) 2004-07-28 2006-02-02 Jeyhan Karaoguz Handoff of a multimedia call session using background network scanning
KR20080052156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01074A (ko) * 2008-06-26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5151A1 (en) 2004-07-28 2006-02-02 Jeyhan Karaoguz Handoff of a multimedia call session using background network scanning
KR20080052156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01074A (ko) * 2008-06-26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24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219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通信的方法和装置
US8812001B2 (en) Dual mode terminal for supporting access in different network, network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324244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aware medium access selection
KR101115438B1 (ko) 연속 시티에스 투 셀프 메시징 프로시저
KR101069328B1 (ko)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컴퓨터화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팅 장치
EP2740314B1 (en) Adaptive random access channel retransmission
US20160112944A1 (en) Access point selection based on association performance
US11706820B2 (en)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handling a two-step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3039905B1 (en) Method of reducing active cellular connections in a wireless network
EP38330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idelink transmission resource
US104921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multiple networks
US1070173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101426578B1 (ko)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050136921A1 (en) Hole-filling channel access
US10506562B2 (en) Communications link configuration
KR20070087221A (ko) 고속 상향 패킷 접속을 위한 노이즈 레벨 통신용 방법 및시스템
US20080181192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70091051A (ko) 비면허 대역의 채널 액세스 방법
Abusubaih On Performance Anomaly in 802.11 Wireless LANs: Problem and Solution Approaches
KR102282792B1 (ko) 무선랜에서의 트래픽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23115469A1 (en) Sidelink communication on unlicensed carriers
WO2015081990A1 (en) Handover selection strategy for mitigating the hidden node problem
WO2024094811A1 (en) Technique for handling a sidelink between radio devices
Cateura Díaz Application of the DQCA protocol to the optimiz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in cellular environments
WO2015135210A1 (zh) 数据传输方法、用户设备及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