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734B1 -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734B1
KR102249734B1 KR1020140175328A KR20140175328A KR102249734B1 KR 102249734 B1 KR102249734 B1 KR 102249734B1 KR 1020140175328 A KR1020140175328 A KR 1020140175328A KR 20140175328 A KR20140175328 A KR 20140175328A KR 102249734 B1 KR102249734 B1 KR 10224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pp
terminal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945A (ko
Inventor
이승환
송재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565,569 priority Critical patent/US9584649B2/en
Publication of KR2015007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단말은 기준 정보를 토대로 RAT(Radio Access Technology) 선택 기준을 획득한다. 그리고 서비스별로 RAT 선택 기준에 따라 기지국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송수신기를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base station by services}
본 발명은 이종망 환경에서 서비스별로 기지국을 접속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전의 통신 시스템은 단일 규격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발전하였으나, 최근 들어 LTE (Long Term Evolutiun), WiFI 등 여러 규격이 혼용된 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 또는 하나의 규격으로 매크로셀, 펨토셀 등 커버리지를 달리하는 다층(Multi-layer) 개념들이 등장하여, 이들의 최적 통합 및 운영이 시스템 관점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종망을 최적으로 구성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다양한 QoS (Quality-of-Service)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해,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단에 코디네이터(Coordinator) 또는 JRRM(Joint Radio Resource Management) 등, 다수 개의 RAT에 의해 확보된 이종망 무선자원을 통합 및 연동하여 관리하는 블록을 두었는데, 사용자 단말에는 그러한 기능을 위한 기능 블록이 구현되어 있지 않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요한 요구사항으로 사용자 체감품질이 있다. 사용자 체감 품질이란 기존의 시스템 규격으로 주어지는 QoS와는 달리 사용자의 주관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QoE(Quality-of-Experience)로 나타낼 수 있다.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러한 사용자 체감품질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별 사용자 체감품질을 반영한 최적 무선자원 할당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최적의 기지국으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접속 방법은,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방법에서, 기준 정보를 토대로 RAT(Radio Access Technology) 선택 기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별로 상기 RAT 선택 기준에 따라 기지국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송수신기를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정보는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 서비스 카테고리, 시간,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는 데이터 전송속도, 지연 시간, 패킷 손실률, 지터(jit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QoS(Quality of Service)와, 상기 기술적 성능 요소를 제외한 비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QoP(Quality-of-Percep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는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단말이 가지는 위치 정보, 시간 정보, 공간 정보, 단말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로부터의 입력, 네트워크로부터의 입력, 사용자 직접 선택 입력, 서비스 앱(application, APP)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ID, 앱 제공 사이트에서 부여한 ID, 앱 다운로드 및 설치시 단말이 임의로 할당한 ID, 다른 서비스 앱으로부터의 입력, 단말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방법은, 서비스 분류 기준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을 상기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그룹별로 상기 RAT 선택 기준에 따라 기지국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그룹별로 상기 RAT 선택 기준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송수신기를, 기지국 접속을 위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분류 기준과 RAT 선택 기준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가 앱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단말은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이 발생하면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단말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이후에,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이 발생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설치된 앱을 삭제하거나 활성화되었던 앱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과 상기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은 장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에 포함된 장소에 위치하거나 현재 시간이 상기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에 포함된 시간에 대응하는 경우,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거나 상기 기존 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에 포함된 장소에 위치하거나 현재 시간이 상기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에 포함된 시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설치된 앱을 삭제하거나 활성화되었던 앱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접속 방법은,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방법에서, 기준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분류 기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을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그룹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송수신기를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정보는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 서비스 카테고리, 시간,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는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단말이 가지는 위치 정보, 시간 정보, 공간 정보, 단말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로부터의 입력, 네트워크로부터의 입력, 사용자 직접 선택 입력, 서비스 앱(application, APP)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ID, 앱 제공 사이트에서 부여한 ID, 앱 다운로드 및 설치시 단말이 임의로 할당한 ID, 다른 서비스 앱으로부터의 입력, 단말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접속 장치는,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접속 장치에서, 기준 정보를 토대로 RAT(Radio Access Technology) 선택 기준 및 서비스 분류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 정보 처리부; 상기 단말이 제공가능한 복수의 서비스들을 상기 서비스 분류 기준을 토대로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하는 서비스 분류기; 서로 다른 RAT에 따른 기지국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의 송수신기; 및 상기 서비스 그룹별로 상기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RAT 선택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정보는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 서비스 카테고리, 시간,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는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단말이 가지는 위치 정보, 시간 정보, 공간 정보, 단말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로부터의 입력, 네트워크로부터의 입력, 사용자 직접 선택 입력, 서비스 앱(application, APP)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ID, 앱 제공 사이트에서 부여한 ID, 앱 다운로드 및 설치시 단말이 임의로 할당한 ID, 다른 서비스 앱으로부터의 입력, 단말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는 데이터 전송속도, 지연 시간, 패킷 손실률, 지터(jit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QoS(Quality of Service)와, 상기 기술적 성능 요소를 제외한 비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QoP(Quality-of-Percep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 처리부는 상기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사용자의 응답 동작에 관련된 출력값들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출력값들을 미리 설정된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가공 처리하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품질 정보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단말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정보를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여 상기 기준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최적의 기지국으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시간, 위치, 서비스 카테고리 및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분류하여 서로 다른 RAT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단말에서부터 서비스별 최적 RAT (Radio Access Technology) 접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선망 사업자는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별 특화된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따른 부가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또한 시간 및 지역 기반 소규모 컨텐츠 사업자들이 자체 구성한 무선망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종망을 통해 서비스를 접속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의 기준 정보 처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및 주변 환경 인지 기반으로 설정되는 서비스 분류 기준 및 RAT 선택 기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접속 방법을 토대로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접속 방법을 토대로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o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메트로 기지국(met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단말간 직접통신 등 기존 기지국/단말 개념이 아닌 새로운 시스템 구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을 기지국, 서비스를 받는 쪽을 단말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은 서비스 접속자를 포함하며, 기지국은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폰 등 소프트웨어 앱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기준으로 실시 예를 제시하지만,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종망을 통해 서비스를 접속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LTE (Long Term Evolutiun), WiFI 등 다양한 무선 규격 및 구성이 존재하는 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 또는 다층(Multi-layer) 또는 Multi-RAT & Multi-layer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은 이종망을 통해 서비스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RAT을 통한 접속을 제공하는 송수신기(RAT 1 송수신기 또는 RAT 2 송수신기)를 통하여 접속하여, 복수의 서비스들(서비스 1~서비스 3) 중에서 하나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이종망을 통한 서비스 접속시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 장소 및 서비스 카테고리 등을 고려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이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비스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종망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하고, RAT 선택 기준에 따라 다양한 RAT 중 하나의 RAT을 통하여 서비스 그룹을 무선망에 연결시킨다. 한편, 동일한 서비스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서비스 그룹을 통하여 서로 다른 RAT을 통해 무선망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분류 기준은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RAT 선택 기준도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RAT 선택 기준은 서비스 분류 기준과 독립적으로 설정되거나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Youtube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일반 도심에서는 셀룰러 망을 이용하지만, 쇼핑몰 같은 특수 목적의 지역망 구축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자체 와이파이를 통해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서비스 RAT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단말의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의 위치에 따라 셀룰러 망을 위한 서비스 RAT이 선택되거나 와이파이를 위한 서비스 RAT이 선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단말이 이종망에 접속하여 제공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서비스 분류 기준과 RAT 선택 기준을 동시에 또는 각각 사용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한편, 사용자 체감 품질 정보는 QoE(Quality-of-Experience)로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QoE는 사용자 관점에서 측정되는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나타낸다. QoE는 데이터 전송속도(data rate), 지연 시간 (delay), 패킷 손실률 (packet loss), 지터 (jitter) 등 기술적 성능 요소인 QoS와, 비기술적 성능 요소인 QoP(Quality-of-Perception)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는 사용자 직접 입력 또는 다양한 센서 등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측정된 정보는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QoP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가공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터치(touch), 소리, 바람, 흔들기, 얼굴 표정, 입력 빈도 등 단말(예: 스마트 기기)가 구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들의 출력값을 QoP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되는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는 서비스 분류 기준 및 RAT 선택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는 네트워크의 요청 또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피드백 채널을 통해 전송되어, 이종망의 부하관리, 관리형 서비스 제공 및 사용자 체감품질 향상을 위한 기지국 자원 운용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망 접속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로 구성된 이종망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된다. 단말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서비스들 즉, 컨텐츠 서버1~컨텐츠 서버 s를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서로 다른 RAT으로 구성되는 이종망을 통하여 단말로 제공된다. 도 3에서, 네트워크는 무선 RAT이 연결되는 서로 다른 코어 네트워크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퍼블릭 인터넷(public internet), 이동통신 사업자의 관리 네트워크(managed network), 유선네트워크, 또는 근접 네트워크(proximity network) 등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서비스별로 최적의 RAT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사용자 및 주변의 환경을 인지하여 서비스별로 최적의 RAT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 3에서와 같이, 서비스 1의 경우에는 RAT 1을 통하여 네트워크 1로 접속하여 컨텐츠 서버 1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서비스 2의 경우에는 RAT1 또는 RAT2를 통하여 네트워크 2로 접속하여 컨텐츠 서버 2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또한 서비스 3의 경우에는 RAT 1을 통하여 네트워크 1로 접속하여 컨텐츠 서버 1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RAT 3를 통하여 네트워크 m으로 접속하여 컨텐츠 서버 s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또한 서비스 n의 경우에는 RAT 1을 통하여 네트워크 m으로 접속하여 컨텐츠 서버 s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은 서비스별로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RAT을 통한 접속을 제공하는 RAT 송수신기들 중에서 하나의 RAT 송수신기를 통하여 이종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아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서비스는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하나의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동일한 서비스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하고, 서비스 그룹들을 RAT 선택 기준에 따라 다양한 RAT을 통해 무선망에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서비스들을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 등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하고, 이렇게 분류된 서비스 그룹을 RAT 선택 기준 즉,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 등을 서비스 분류 기준과 독립적으로 또는 동일하게 설정한 RAT 선택 기준에 따라, 다양한 RAT 중에서 하나의 RAT을 통해 무선망에 연결시킨다.
이를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분류기(10) 및 RAT 선택기(20), 그리고 복수의 RAT 송수신기(설명의 편의상 대표 번호 "30"을 부여함)를 포함한다.
서비스 분류기(10)는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들을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서비스들은 서비스 그룹 1, 서비스 그룹 2, 서비스 그룹 3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1 및 서비스 2는 서비스 그룹 1로 분류되고, 서비스 3 및 서비스 4는 서비스 그룹 2로 분류되고, 서비스 1 및 서비스 5는 서비스 그룹 3으로 분류된다. 이때, 서비스 1은 서비스 그룹 1과 서비스 그룹 5에 모두 포함되는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RAT 선택기(20)는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서비스별로 최적의 RAT에 접속시킨다. 즉,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을 복수의 RAT 송수신기(30) 중 하나의 RAT 송수신기에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서비스 그룹의 서비스는 사용자 및 주변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최적의 RAT 송수신기를 통하여 제공된다.
RAT 송수신기(30)는 소정의 RAT을 통한 접속을 제공한다.
단말은 복수의 서비스들을 복수의 RAT 송수신기 중에서 하나의 RAT 송수신기를 통하여 이종망에 접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분류 기준 및 RAT 선택 기준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서비스 분류 기준 및 RAT 선택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 정보 처리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의 기준 정보 처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기준 정보 처리부(40)는 분류 기준을 구성하는 파라미터 중 특히,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한다.
기준 정보 처리부(40)는 도 5에서와 같이, 정보 저장부(41)를 포함하며,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 품질정보 측정부(43), 피드백 채널용 송수신기(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는 사용자 직접 입력 또는 다양한 센서 등의 단말의 기능 모듈들을 통해 측정될 수 있는데, 측정된 정보는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정보 저장부(41)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을 미리 설정된 QoP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가공하여 정보 저장부(41)에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41)는 로우 데이터 형태의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저장하거나 QoP 측정 알고리즘을 통하여 생성된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저장부(41)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는 사용자의 응답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출력값들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는 단말이 구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응답 동작 예를 들어, 터치, 소리, 바람, 흔들기, 얼굴 표정, 입력 빈도 등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사용자의 응답 동작은 단말을 통하여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나타내는 행위를 나타낸다.
품질 정보 측정부(4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를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값들을 미리 설정된 QoP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가공 처리하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정보 저장부(41)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처리되어 정보 저장부(41)에 저장되는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는 서비스 분류 기준 및 RAT 선택 기준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채널용 송수신기(44)를 통하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이종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피드백 채널용 송수신기(44)는 네트워크의 요청 또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피드백 채널을 통해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는 전송하여, 이종망이 부하관리, 관리형 서비스 제공 및 사용자 체감품질 향상을 위한 기지국 자원 운용 등에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준 정보 처리부(40)가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raw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여 저장할 경우, 품질 정보 측정부(43)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네트워크에 제공하지 않을 경우 피드백 채널용 송수신기(44)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정보 처리부(40)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분류 기준 및 RAT 선택 기준은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를 포함하며, 또는 도 6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토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및 주변 환경 인지 기반으로 설정되는 서비스 분류 기준 및 RAT 선택 기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서비스 분류 기준 및 RAT 선택 기준은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가 포함된 정보 저장부(데이터베이스, 41)의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을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토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서비스 분류 기준 및 RAT 선택 기준은 GPS 등 단말이 가지는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공간 정보, 기타 스마트폰 등의 단말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로부터의 입력, 네트워크로부터의 입력, 사용자 직접 선택 입력, 서비스 앱(application, APP)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ID, 앱 스토어 등의 앱 제공 사이트에서 부여한 ID, 앱 다운로드 및 설치시 단말이 임의로 할당한 ID, 다른 서비스 앱으로부터의 입력, 단말 시스템 정보 등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을 인지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을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말의 접속 장치(100)는 기지국에 접속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한다. 이때,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분류 기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획득하고, 이들을 토대로 서비스들을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한다(S100, S110).
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한 다음에,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그룹별로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최적의 RAT 송수신기를 선택한다. 즉, 서비스 그룹별로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접속을 위한 서로 다른 RAT을 토대로 접속을 수행하는 RAT 송수신기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이 경우에도, 접속 장치(100)는 RAT 선택 기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획득하고, 이들을 토대로 서비스 그룹에 해당하는 RAT 송수신기를 선택한다(S120, S130). 여기서, RAT 선택 기준이 서비스 분류 기준과 동일한 경우에는 서비스 분류 기준시 획득한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서비스가 속하는 서비스 그룹을 판별하고, 판별된 서비스 그룹에 해당하는 RAT 송수신기를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40).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서비스 그룹 분류 없이, 각 서비스 별로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이종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제2 실시 예에서 RAT 선택 기준은 제1 실시 예와 같이, 예를 들어,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100')는 RAT 선택기(20) 및 복수의 RAT 송수신기(설명의 편의상 대표 번호 "30"을 부여함)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실시 예와 같이, 도 5와 같은 기준 정보 처리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기준 정보 처리부(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AT 선택기(20)는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서비스들을 복수의 RAT 송수신기(30) 중 하나의 RAT 송수신기에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서비스는 하나의 RAT 송수신기(30)를 통하여 제공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비스(서비스 1~서비스 n)들은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RAT을 토대로 하는 송수신기들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기와 선택 및 연결되며, 각 서비스들은 선택된 RAT 송수신기를 통한 기지국 접속을 토대로 제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말의 접속 장치(100')는 기지국에 접속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RAT을 토대로 접속을 수행하는 RAT 송수신기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이 경우에, 접속 장치(100')는 RAT 선택 기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획득하고, 이들을 토대로 서비스 그룹에 해당하는 RAT 송수신기를 선택한다(S200, S210).
이후,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서비스에 선택되어 있는 RAT 송수신기를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20).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서비스 그룹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RAT에 따라 이종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 그룹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RAT 송수신기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최적의 RAT 송수신기일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서 서비스 분류 기준 및/또는 RAT 선택 기준은 제1 실시 예와 같이, 예를 들어,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분류기(10) 및 복수의 RAT 송수신기(설명의 편의상 대표 번호 "30"을 부여함)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실시 예와 같이, 도 5와 같은 기준 정보 처리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기준 정보 처리부(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분류기(10)는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들을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서비스들은 서비스 그룹 1, 서비스 그룹 2, 서비스 그룹 3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서비스 그룹별로 RAT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그룹은 미리 설정된 RAT 송수신기(3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서비스 1~서비스 n)들은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되고, 서비스 그룹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RAT을 토대로 하는 송수신기와 연결되며, 각 서비스들은 미리 설정된 RAT 송수신기를 통한 기지국 접속을 토대로 제공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말의 접속 장치(100")는 기지국에 접속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한다. 이때,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분류 기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시간, 장소,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를 획득하고, 이들을 토대로 서비스를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한다(S300, S310).
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한 다음에,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그룹별로 미리 설정된 RAT 송수신기를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한다. 즉, 접속 장치(100")는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서비스가 속하는 서비스 그룹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RAT 송수신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RAT 송수신기를 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320, S33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따른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들 및 장치들을 토대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접속 방법을 토대로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 12에서와 같이, 서비스 별 이종망 접속에 따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장소 또는 시간 단위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는 특정 서비스로 앱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앱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예: 앱 다운로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단말을 통하여 특정 사이트(예: 앱 스토어)에 접속하여 특정 앱을 선택하여 단말에 설치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앱을 삭제하기 전까지 항상 단말에 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단말이 쇼핑몰에 위치하는 등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이 발생하면, 사용자의 동의 또는 자동으로 단말에 쇼핑몰과 관련된 특정 앱이 설치되어 서비스가 제공되거나 기존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쇼핑몰과 관련된 특정 앱이 활성화되어 서비스가 제공된다. 단말이 그 쇼핑몰을 벗어나는 등의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이 발생되면 자동으로 앱이 삭제되거나 활성화되었던 앱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과,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으로 쇼핑몰과 같은 장소 이외에, 시간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시간 대에 앱이 사용자의 동의 또는 자동으로 단말에 설치되거나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앱이 활성화되고, 특정 시간대를 벗어나거나 또는 다른 특정 시간대에 자동으로 단말에 설치된 앱이 삭제되거나 활성화되었던 앱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과,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에 포함되는 조건 파라미터(장소, 시간)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조건 파라미터들이 서로 연산 처리(예를 들어, AND 또는 OR 연산 등)를 통하여 복합적인 조건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접속 방법을 토대로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 13에서와 같이, 단말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기지국 접속 방법을 토대로 특정 RAT을 통하여 접속한 상태에서,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이 발생되면, 앱을 제공받아 설치하거나 이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앱을 활성화시킨다(S500, S510)).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은 위와 같은 장소, 시간 등의 조건 파라미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사용자 동의를 받아서 앱을 설치할 것인지 아니면, 사용자 동의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앱을 설치할 것인지에 대한 추가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정보에 따라 단말은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이 발생하였을 때 앱을 사용자 동의를 받아서 설치하거나 자동으로 앱을 설치한다.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의 앱 이용이 이루어지고(S520), 이후,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이 발생하면 단말은 설치된 앱을 삭제하거나 활성화되어 있던 앱을 비활성화시킨다(S530, S540). 여기서, 설치된 앱을 자동으로 삭제하지만, 필요에 따라 사용자 동의 여부에 따라 앱이 삭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 즉,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별 접속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접속 장치 즉, 컴퓨터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력 장치(260), 사용자 출력 장치(270), 스토리지(storage)(280)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버스(220)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200)은 네트워크(300)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30) 또는 스토리지(280)에 저장된 처리 명령(instructions)들을 실행시키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위에 기술된 위의 도 2 내지 도 14를 토대로 설명한 절차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30) 및 스토리지(28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스토리지 매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ROM(read-only memory)(240)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2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방법에서,
    기준 정보를 토대로 RAT(Radio Access Technology) 선택 기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별로 상기 RAT 선택 기준에 따라 기지국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송수신기를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RAT 선택 기준은 상기 기준 정보와 동일하고,
    상기 기준 정보는 사용자 체감 품질 정보,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체감 품질 정보는 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품질 정보와 사용자의 주관적 만족도에 따른 비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체감품질 정보는 데이터 전송속도, 지연 시간, 패킷 손실률, 지터(jit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QoS(Quality of Service)와, 상기 기술적 성능 요소를 제외한 비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QoP(Quality-of-Perception)을 포함하는, 접속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공간 정보, 단말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로부터의 입력, 네트워크로부터의 입력, 사용자 직접 선택 입력, 서비스 앱(application, APP)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ID, 앱 제공 사이트에서 부여한 ID, 앱 다운로드 및 설치시 단말이 임의로 할당한 ID, 다른 서비스 앱으로부터의 입력, 단말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접속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분류 기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을 상기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그룹별로 상기 RAT 선택 기준에 따라 기지국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접속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그룹별로 상기 RAT 선택 기준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송수신기를, 기지국 접속을 위하여 선택하는 접속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분류 기준과 RAT 선택 기준은 서로 동일한, 접속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가 앱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단말은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이 발생하면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단말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이후에,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이 발생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설치된 앱을 삭제하거나 활성화되었던 앱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속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과 상기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은 장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속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에 포함된 장소에 위치하거나 현재 시간이 상기 앱 설치 또는 활성화 조건에 포함된 시간에 대응하는 경우,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거나 상기 기존 앱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에 포함된 장소에 위치하거나 현재 시간이 상기 앱 삭제 또는 비활성화 조건에 포함된 시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설치된 앱을 삭제하거나 활성화되었던 앱을 비활성화시키는, 접속 방법.
  11.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방법에서,
    기준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분류 기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을 서비스 분류 기준에 따라 서비스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그룹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송수신기를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분류 기준은 상기 기준 정보와 동일하고,
    상기 기준 정보는 사용자 체감 품질 정보,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체감 품질 정보는 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품질 정보와 사용자의 주관적 만족도에 따른 비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공간 정보, 단말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로부터의 입력, 네트워크로부터의 입력, 사용자 직접 선택 입력, 서비스 앱(application, APP)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ID, 앱 제공 사이트에서 부여한 ID, 앱 다운로드 및 설치시 단말이 임의로 할당한 ID, 다른 서비스 앱으로부터의 입력, 단말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접속 방법.
  14.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접속 장치에서,
    기준 정보를 토대로 RAT(Radio Access Technology) 선택 기준 및 서비스 분류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 정보 처리부;
    상기 단말이 제공가능한 복수의 서비스들을 상기 서비스 분류 기준을 토대로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하는 서비스 분류기;
    서로 다른 RAT에 따른 기지국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의 송수신기; 및
    상기 서비스 그룹별로 상기 RAT 선택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RAT 선택기
    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분류 기준과 상기 RAT 선택 기준은 상기 기준 정보와 동일하고,
    상기 기준 정보는 사용자 체감 품질 정보, 서비스 카테고리,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체감 품질 정보는 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품질 정보와 사용자의 주관적 만족도에 따른 비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또는 주변 환경 관련 정보는 공간 정보, 단말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로부터의 입력, 네트워크로부터의 입력, 사용자 직접 선택 입력, 서비스 앱(application, APP)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ID, 앱 제공 사이트에서 부여한 ID, 앱 다운로드 및 설치시 단말이 임의로 할당한 ID, 다른 서비스 앱으로부터의 입력, 단말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접속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체감 품질 정보는 데이터 전송속도, 지연 시간, 패킷 손실률, 지터(jit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QoS(Quality of Service)와, 상기 기술적 성능 요소를 제외한 비기술적 성능 요소에 대응하는 QoP(Quality-of-Perception)을 포함하는, 접속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정보 처리부는
    상기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사용자의 응답 동작에 관련된 출력값들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출력값들을 미리 설정된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가공 처리하여 사용자 체감 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품질 정보 측정부
    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단말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정보를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여 상기 기준 정보로 사용하는, 접속 장치.






KR1020140175328A 2013-12-17 2014-12-08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KR10224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65,569 US9584649B2 (en) 2013-12-17 2014-12-10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base station by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7369 2013-12-17
KR1020130157369 2013-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945A KR20150070945A (ko) 2015-06-25
KR102249734B1 true KR102249734B1 (ko) 2021-05-10

Family

ID=5351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328A KR102249734B1 (ko) 2013-12-17 2014-12-08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781B1 (ko) * 2015-10-06 2021-06-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셀제어장치 및 셀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78B1 (ko) * 2010-05-25 2014-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268597B1 (ko) * 2011-06-22 2013-05-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945A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9515B2 (en) Adaptable radio access network
US95846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base station by service
KR102436652B1 (ko) 5g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JP6941679B2 (ja)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選択方法、ユーザ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10560204B1 (en) 5G fixed wireless access device self-installation
JP2020519149A (ja) アクセスカテゴリーおよび確立理由
US11071055B1 (en) Network slice selection in cellular system
KR102327021B1 (ko)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797539B (zh) 建立和配置动态订阅
CN113630749A (zh) 一种获取边缘服务的方法和装置
CN113630783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EP4052502A1 (en) Repor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capability change based on api filter
WO2017114326A1 (zh) 网络接入方法和andsf设备
US90495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erminal connection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54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imensional differentiation of radio access networks
US20240073848A1 (en) Network Slice in a Wireless Network
KR102249734B1 (ko)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JP6891178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動作させるデバイス及び方法
US110760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ching cont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6019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slice selection according to application specific request
US115100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o-fencing of fixed wireless access
US20180041952A1 (en) Access Control Node, Access Device, Tethering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Providing Wireless Access
US20240031929A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US20240121708A1 (en) Selection of an available network
KR20120016572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디바이스 자원 관리 장치,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 서버, 및 네트워크 서버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