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162B1 -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162B1
KR101426162B1 KR1020120138458A KR20120138458A KR101426162B1 KR 101426162 B1 KR101426162 B1 KR 101426162B1 KR 1020120138458 A KR1020120138458 A KR 1020120138458A KR 20120138458 A KR20120138458 A KR 20120138458A KR 101426162 B1 KR101426162 B1 KR 10142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ms
simulation unit
curr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224A (ko
Inventor
박찬희
이혜인
김상중
이희관
김철생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to KR102012013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1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를 통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성능 시험을 위한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제공하는 BMS 시뮬레이터; 및 BMS 시뮬레이터의 출력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제어한 후, 이에 응답하여 변화되는 BMS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SYSTEM FOR BMS SIMULATION}
본 발명은 BMS의 성능 검증을 위한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 특히 소형 전기차동차의 차세대 에너지원인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의 성능 검증을 위한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전기차에서 배터리 시스템은 직접적인 에너지 입출력을 담당하는 배터리와,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 수행을 담당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및 각 구성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 해주는 전선과 안전장치(BMS)등 주변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은 전기자동차의 최적 배터리 제어를 통한 주행거리 향상 및 안전성을 확보해주는 필수 요소이며, 배터리 관리 기술(BMS)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열에 약한 배터리를 균등 냉각하여 동일한 성능 구현이 가능토록 하여 주는 열관리 제어와, 두 번째로 배터리의 각 상태를 판단하여 최적 효율 점에서 작동토록 하는 SOC(State of Charge) 제어로 나눌 수 있다.
한편, BMS를 제작하는 업체의 경우, 제품 개발 및 생산 후 신뢰성 평가 단계에서 실제 배터리에 장착 후 테스트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위한 배터리 시뮬레이터 제작 기술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하는 BMS 시뮬레이터는 BMS의 ECU 개발을 위한 SW 개발 환경 제공 및 BMS 성능 시험을 위한 가상 소스(전압, 전류, 온도)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BMS 시뮬레이터의 설계와 동작은 주어진 규격과 기준에 따라야 하며, 수행에 주어진 모든 기능적, 비기능적 요건을 만족하여야 하기 때문에 HIL(Hardware In the loop)시스템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BMS 시뮬레이터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하여 고가의 전원공급 모듈(Power supply)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모사하고, 컴퓨터와의 표준 통신 방식인 GPIB(General Purpose Input output Bus)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를 개발 하였으나, 이는 속도가 느린 통신 방식의 한계점과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BMS 시뮬레이터의 제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목(factor)은 시간(time)이며 이를 위하여 반드시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은 빠른 제어방식과 효율적인 알고리즘 설계를 필요로 한다. 실제BMS 모듈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에 장착되어 전기 자동차 메인 컨트롤러(ECU) 모듈과 CAN(Ca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하여 에러(Error)없이 주어진 명령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이브리드 전기차의 차세대 에너지 원인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BMS의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시뮬레이터와 콘트롤러를 개발하여, 차량의 요구 성능 만족은 물론 내구성을 만족하는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를 통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성능 시험을 위한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제공하는 BMS 시뮬레이터; 및 BMS 시뮬레이터의 출력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제어한 후, 이에 응답하여 변화되는 BMS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BMS 시뮬레이터는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값을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PG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FPGA는 어드레스, 데이터, 컨트롤 버스로 구성된 어드레스 확장기법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 각각은 전압 간섭을 보드 레벨에서 차단하기 위한 절연 회로와, 제어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한 디지털-디지털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 각각은 회로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전류 제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컨버터, 증폭기를 이용하여 가상 소스를 구현함으로써, 시스템 구현 비용이 기존 시스템 대비 약 1/10 정도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 제어방식인 GPIB나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이 아닌 어드레스 확장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속도를 1/1000 정도 감축시켜 채널당 10 μsec이내, 전체 채널에 대하여 1msec속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빠른 제어속도는 본 발명의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CAN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속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최소 이벤트시간을 10msec이내로 하는 고속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류제어를 위해 실제 시스템과 같이 션트 저항에 필요한 전류를 실제로 공급하고 측정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실질적인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어드레스 확장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하,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BMS(100), BMS 시뮬레이터(200), 및 콘트롤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BMS(100)는 전기자동차와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핵심부품 중 하나로 여러 셀로 연결된 배터리 팩의 전압과 전류를 조절하고 과전압 및 과전류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BMS 시뮬레이터(200)는 BMS 성능 시험을 위한 가상 소스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실제 전기 자동차에 주어진 모든 환경 하에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BMS 시뮬레이터(200)는 가상의 전압, 전류, 온도 소스를 제공하는 3가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전압 제어를 위한 셀 전압 소스 기능은 컨트롤러(300)에서 입력된 16비트 데이터 신호를 DC-AC 컨버터(Digital Analog Converter)를 통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 변경된 뒤, 전압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되어 컨트롤러에 출력함으로써 구현된다. 셀 전류 소스 기능과 셀 온도 소스 기능은 정밀저항 회로를 통하여 물리량을 전압 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구현되도록 한다.
BMS 시뮬레이터(200)는 고전압의 직렬 전압을 출력하여야 하는 데 이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절연회로(ISO, Isolator)의 적용과 FPGA를 이용한 컨트롤 로직(FPGA)을 구현하였으며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정밀도를 향상시켰다.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어드레스(ADD), 데이터(DATA), 컨트롤(CTRL) 버스로 구성된 어드레스 확장기법을 적용하였다.
콘트롤러(300)는 BMS 시뮬레이터(200)와 BMS(100)간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이 제대로 전달 되도록 제어(Control) 및 감시(Monitoring) 역할을 한다. BMS 시뮬레이터(200)과의 통신은 어드레스 확장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셀은 필요에 따라서 수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를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BMS 시뮬레이터(200)는 다수개의(예를 들어, 5개의) 전압 소스, 전류 소스, 온도 소스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백 플레인(Back plane)과 시스템 버스(system bus)를 구성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콘트롤러(300)는 FPGA 프로그램, 실시간 타겟(RT, Real-Time Target) 프로그램, 원도우 호스트(Windows Host)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FPGA 프로그램은 성능 테스트될 셀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어드레스 셋 비트(Address Set bit), 성능 테스트될 셀에 인가될 가상 소스 제어값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 셋 비트(Data Set bit), 리드, 라이트, 또는 초기화 동작을 명령하기 위한 제어 비트(Control bit) 등을 제어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모든 알고리즘은 함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 하였다.
원도우 호스트(Windows Host) 프로그램은 사전에 정의 및 등록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파일로부터 읽어올 수 있는 함수를 구비하고, 구비된 함수는 읽어온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맞춰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는 자동 모드와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셀의 전압을 컨트롤할 수 있는 수동 모드를 구비하여 양산 모드뿐만 아니라 정밀 시뮬레이션 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다양화한다.
또한,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지원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가 시뮬레이션 동작 요청하거나 다양한 제어 파라메터를 선택 및 조정하고, 시뮬레이션 동작 결과를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시뮬레이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BMS 시뮬레이터(200)는 PCB 보드 형태로 구현되며, 제어부(210), 전압 시뮬레이션부(220), 전류 시뮬레이션부(230),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PCB 보드에 장착된 FPGA 칩 형태로 구현되며, 콘트롤러(3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특히, 데이터)에 따라 전압 시뮬레이션부(220), 전류 시뮬레이션부(230),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240)를 제어한다. 즉, 콘트롤러(300)의 제어값을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압 시뮬레이션부(220)는 DC-AC 컨버터(Digital to Analog Converter, 221)를 통해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전압을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한 후, 증폭기(222)를 통해 증폭하여 BMS(100)로 출력한다. 이러한 전압 시뮬레이션부(220)는 중첩되어 최대 400V까지 전압 출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표1과 같은 스펙(specification)을 가질 수 있다.
전압 범위 0~5V Programmable
전류 범위 0~200mA
셀 개수 40개
전압 범위 총합 0~200V
더하여, 전압 시뮬레이션부(2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SO(251)를 사용하여 보드 레벨에서 전압간섭으로부터 차단하였으며, DC-DC 컨버터(261)를 이용하여 제어 정밀도를 높혀준다.
전류 시뮬레이션부(230)에서 셀에 흐르는 전류는 내부에 장착된 션트(Shunt) 저항을 통하여 흐르게 되고 션트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전압을 발생하게 된다. 이에 전류 시뮬레이션부(230)는 DC-AC 컨버터(231)에서 발생된 전압을 V-I 컨버터(232)를 통하여 센싱(Sensing) 저항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서 BMS(100)에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전압 시뮬레이션부(220) 또한 ISO(252)를 통해 보드를 보호하고 간섭을 최소화하고, DC-DC 컨버터(262)를 통해 제어 정밀도를 높혀준다.
표2는 본 발명의 전류 시뮬레이션부의 스펙 예를 나타낸다.
션트 저항 50mV/200mA ( 0.25ohm)
전류 증폭율 x 100 (OPTIONAL)
전류 범위 0 - 5V (200mA)
온도 시뮬레이션부(240)에서 셀에 발생되는 온도는 서미스터가 내장되어 서미스터의 저항변화에 의해서 BMS(100)의 온도변화를 모니터링 한다. 이에 온도 시뮬레이션부(240)는 온도 감지를 위한 가변 저항을 구비하고, 가변 저항(예를 들어, 0-100KΩ 저항)을 가상으로 변환함으로써, BMS(100)의 온도를 가상으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서미스터는 저항에 분압저항으로 온도를 나타낸다.
온도 시뮬레이션부(240)의 출력 전압은 레퍼런스(Reference) 저항과 가변저항(즉, 서미스터 시뮬레이션 저항)의 비율로서 결정되고, 측정된 전압을 기준으로 온도로 환산하여 반응하도록 한다. 이는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전압을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241), DC-AC 컨버터(241)의 출력 전압을 가변 저항과 기준 저항을 통해 전압 분배하여 출력하는(즉, 온도 변화에 대응되는 전압 변화를 발생하는 V-R 컨버터(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온도 시뮬레이션부(240)의 앞단에도 ISO(253)와 DC-DC 컨버터(263)가 구비되어, 보드 레벨에서 전압간섭으로부터 차단하고 제어 정밀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표3은 본 발명의 온도 시뮬레이션부의 스펙 예를 나타낸다.
가변 저항 0 - 100K
해상도 10 bit
이와 같이 구성되는 BMS 시뮬레이터는 하나의 PCB로 집적화되고, 다수개의 (예를 들어, 5개)의 셀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보드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직렬 연결 가능한 보드의 수는 최대 시뮬레이션 전압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압 시뮬레이션부(220), 전류 시뮬레이션부(230),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240) 각각의 최종 출력단에 전류 제한 회로(미도시)를 추가함으로써, 외부로드(즉, 외란)로부터 해당 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BMS 시뮬레이션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경우에 한해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사용자가 콘트롤러(300)의 GUI를 통해 BMS 시뮬레이션 동작을 요청하면(S1), 콘트롤러(300)는 먼저 BMS 시뮬레이션의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S2).
S2의 확인 결과, BMS 시뮬레이션의 동작 모드가 자동 모드이면, 사전에 등록된 BMS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불러와(S3), 이에 따라 BMS 시뮬레이터(20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S4). 예를 들어, 각 셀의 출력 정밀도를 확인하기 위해, BMS 시뮬레이션에 연결된 다수개 셀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셀에 5V, 4.5V, 4V, 3.5V, 3V, 2.5V, 2V, 1.5V, 1V, 0.5V 순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BMS 시뮬레이터(20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BMS 시뮬레이터(200)의 출력 전압 각각에 응답하여 BMS(100)가 출력하는 전압을 측정한 후(S5), 콘트롤러(300)의 GUI를 통해 시청각적으로 표시해준다(S9). 다만, 본 발명의 콘트롤러(300)는 BMS(100)의 출력 전압을 단순 표시하거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 정도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통보 방법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오차 정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어값을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BMS 시뮬레이터(200)를 다시 제어하는 등의 후속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S2의 확인 결과, BMS 시뮬레이션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콘트롤러(300)는 사용자가 GUI를 통해 BMS 시뮬레이터 제어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BMS 시뮬레이터 제어값을 수동 입력하면(S6), 이에 응답하여 BMS 시뮬레이터(20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 후(S7), BMS(100)가 출력하는 전압을 실시간 측정하여(S8), 콘트롤러(300)의 GUI를 통해 시청각적으로 표시해준다(S9). 이때, 콘트롤러(300)와 BMS(100)은 기존의 자동차 통신 방식인 CAN (Controller Area Network)으로 연결 및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BMS 시뮬레이터(200)를 통해 각각의 셀에 입력되는 출력 전류 및 저항을 가변하면서, BMS(100)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제1 DC-AC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전압을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한 후, 증폭기를 통해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압 시뮬레이션부, 제2 DC-AC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전압을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한 후 V-I 컨버터를 통하여 센싱 저항에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전류 시뮬레이션부, 제3 DC-AC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전압을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한 후, V-R 컨버터의 가변 저항과 기준 저항을 통해 전압 분배하여 출력하는 온도 시뮬레이션부, 및 콘트롤러 제어값을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PGA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를 통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성능 시험을 위한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제공하는 BMS 시뮬레이터; 및
    상기 BMS 시뮬레이터의 출력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콘트롤러 제어값을 생성 및 제공한 후, 이에 응답하여 변화되는 BMS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와 상기 FPGA는 어드레스, 데이터, 컨트롤 버스로 구성된 어드레스 확장기법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 각각은
    전압 간섭을 보드 레벨에서 차단하기 위한 절연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시뮬레이션부, 전류 시뮬레이션부, 및 온도 시뮬레이션부 각각은
    회로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전류 제한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120138458A 2012-11-30 2012-11-30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42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458A KR101426162B1 (ko) 2012-11-30 2012-11-30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458A KR101426162B1 (ko) 2012-11-30 2012-11-30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224A KR20140070224A (ko) 2014-06-10
KR101426162B1 true KR101426162B1 (ko) 2014-08-01

Family

ID=5112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458A KR101426162B1 (ko) 2012-11-30 2012-11-30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4288B (zh) * 2019-08-14 2022-03-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管理系统的测试系统和测试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694A (ko) * 2003-07-07 2005-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KR101101947B1 (ko) * 2010-09-12 2012-01-02 주식회사 브이앤아이 배터리 관리시스템의 배터리 시뮬레이터
KR101279684B1 (ko) 2012-05-07 2013-06-27 김정준 전기 자동차용 bms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694A (ko) * 2003-07-07 2005-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 시뮬레이션 장치
KR101101947B1 (ko) * 2010-09-12 2012-01-02 주식회사 브이앤아이 배터리 관리시스템의 배터리 시뮬레이터
KR101279684B1 (ko) 2012-05-07 2013-06-27 김정준 전기 자동차용 bms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224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381B1 (ko) Bms 시뮬레이터 및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06444712B (zh) 一种can/lin网络干扰自动化测试系统
CN202649810U (zh) 一种用于汽车电控模块can网络综合测试的设备
JP5886361B2 (ja) 仮想制御装置をテストするためのテスト装置
CN110134115B (zh) 新能源车动力电池管理系统硬件在环测试平台及测试方法
CN111007840A (zh) 一种整车控制器硬件在环测试平台及方法
KR101426163B1 (ko) Bms 시뮬레이터
JP2010266439A (ja) ハイブリッド駆動システムまたはそのシステムのサブコンポーネントを試験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試験台
CN104485135A (zh) 一种多模式sram单粒子测试方法及装置
KR101279684B1 (ko) 전기 자동차용 bms 시뮬레이터
CN201716591U (zh) 基于pxi体系的用于测试ecu的自动测试系统
CN102346204A (zh) 可编程控制的虚拟电池模组
CN106443545A (zh) 一种纯电动汽车电池管理系统故障诊断与定位系统及方法
CN104535867A (zh) 一种电动汽车电池管理系统的功能检验装置
CN104865946A (zh) 电动汽车硬件在环测试方法和系统
US11391786B2 (en) Test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device
KR101426162B1 (ko) Bms 시뮬레이션 시스템
CN204883358U (zh) Simatic s7-300输入/输出模块的检测装置
CN207318605U (zh) 汽车总线辐射抗扰度测试系统
CN108072855B (zh) 一种测试装置及测试系统
CN203405731U (zh) 一种电动车控制器下线寿命测试系统
CN206450805U (zh) 一种电池管理单元的下线检测装置
CN106959426B (zh) 一种电能表抗接地故障抑制试验与准确度联合检验装置
KR20160077689A (ko) Bms 시뮬레이션 장치
CN204667182U (zh) 一种用于检测舵机控制器的模拟负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