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766B1 - 친환경 수로 구조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수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766B1
KR101425766B1 KR1020140012024A KR20140012024A KR101425766B1 KR 101425766 B1 KR101425766 B1 KR 101425766B1 KR 1020140012024 A KR1020140012024 A KR 1020140012024A KR 20140012024 A KR20140012024 A KR 20140012024A KR 101425766 B1 KR101425766 B1 KR 101425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eight
blocks
coupling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to KR102014001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 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면상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걸쳐서 서로 측면이 접촉되면서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블록; 상기 다수의 하부 블록 위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걸쳐서 서로 측면이 접촉되면서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블록; 및 상기 다수의 상부 블록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결합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 각각에는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친환경 수로 구조물 {ECOLOGY WATERWAY STRUCTURE}
본 발명은 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 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하천, 기타 수로 등에는 비탈면 등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안블록이 설치된다. 호안블록은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서로 연결되어서 시공된다. 하지만 종래의 호안블록에서는 식생이나 물고기 등의 동물이 서식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개선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하천의 호안이나 도로의 사면을 안정시키기 위한 공사는 주로 콘크리트 블록이나 콘크리트 옹벽 또는 돌쌓기(찰쌓기)를 위주로 시공하여 왔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또는 돌쌓기 구조로 구축된 사면은, 사면의 구조적 안전성이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주변의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무미건조한 경관을 형성하여 도시미관을 해치고 있으며, 식물의 생장이 불가능하므로 자연 생태적인 단절을 가져오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축된 하천 제방의 경우 수변에 수생식물이 생육될 수 없으므로 하천의 수질이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으며, 물고기와 수서생물의 생육공간이 확보되기 어려우므로 하천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최근에 이르러 하천 제방이나 도로 사면의 환경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게 되고, 환경친화적인 도회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높아지면서, 생태적으로 훼손된 하천환경을 재생,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경사면 보호기능을 수행하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여 환경친화적인 하천 호안과 도로 사면을 조성할 수 있는 사면안정용 콘크리트 블록이 여러가지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사면 안정용 콘크리트 블록의 한 유형으로서,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에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을 내고 그 안에 토사를 채워 시공함으로써, 구멍으로 노출되는 토사를 통해 식물의 식생을 유도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멍을 통해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일부의 구멍만을 통해 식생이 이루어지므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강우에 의해 블록 하부의 사면 토양이 유실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 수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일면상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걸쳐서 서로 측면이 접촉되면서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블록; 상기 다수의 하부 블록 위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걸쳐서 서로 측면이 접촉되면서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블록; 및 상기 다수의 상부 블록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결합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 각각에는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다수의 하부 블록의 상면에는 서로 직교하면서 교차하는 제1 결합홈과 제2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상부 블록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홈에 끼워지는 제1 결합턱과 상기 제2 결합홈에 끼워지는 제2 결합턱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결합홈에 상기 제1 결합턱이 끼워지고 상기 제2 결합홈에 상기 제2 결합턱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하부 블록의 대응하는 일측면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하부 블록 중 하나의 하부 블록의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은 인접한 다른 하부 블록의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록에는 상기 다수의 결합 와이어가 통과하고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연장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일면상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걸쳐서 서로 측면이 접촉되면서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블록; 상기 다수의 하부 블록 위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걸쳐서 서로 측면이 접촉되면서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블록; 및 상기 다수의 상부 블록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결합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 각각에는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 구조물이 제공되므로, 상기 관통 구멍에 토양이 채워져서 식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하부 블록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일부를 제거하고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블록의 배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블록과 상부 블록의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 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 구조물(100)은 다수의 하부 블록(110)과, 다수의 상부 블록(120)과, 다수의 결합 와이어(130)를 구비한다. 친환경 수로 구조물(100)은 수로의 바닥이나 경사면에 시공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블록(110)과 상부 블록(120)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블록(110)과 상부 블록(120)이 일체화되어서 하나의 단위 블록을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친환경 수로 구조물(100)의 구조가 더욱 단순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하부 블록(1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블록(11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정사각형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하부 블록(110)이 서로의 측면이 접하면서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블록(110)의 상면(111)에는 제1, 제2 결합홈(112, 113)이 형성된다. 두 결합홈(112, 113)은 상면(111)에서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직각을 이루며 교차한다. 제1 결합홈(112)은 횡방향을 따라서 하부 블록(110)의 일측면(114)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결합홈(113)은 종방향을 따라서 하부 블록(110)의 일측면(114)과 직각을 이루며 연장된다. 제1 결합홈(112)은 인접한 다른 하부 블록(110)의 제1 결합홈(112)과 연결된다. 제2 결합홈(113)은 인접한 다른 하부 블록(110)의 제2 결합홈(113)과 연결된다. 하부 블록(110)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115)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9개의 관통 구멍(115)이 가로 세로 각각 3개씩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관통 구멍(115)의 수, 위치 및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부 블록(1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블록(120)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하부 블록(110)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정사각형이다. 다수의 상부 블록(120)이 서로의 측면이 접하면서 배치되며, 하부 블록(110) 상부에 놓여진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블록(110)의 상면(111)과 접하는 상부 블록(120)의 하면(121)에는 제1, 제2 결합턱(122, 123)이 형성된다. 두 결합턱(122, 123)은 하면(121)에서 직선으로 길게 연당되며, 서로 직각을 이루며 교차한다. 제1 결합턱(122)은 하부 블록(110)의 제1 결합홈(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횡방향을 따라서 상부 블록(120)의 일측면(124)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하부 블록(110)의 제1 결합홈(112)에 수용된다. 제2 결합턱(123)은 하부 블록(110)의 제2 결합홈(1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종방향을 따라서 상부 블록(120)의 일측면(124)과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고, 하부 블록(110)의 제2 결합홈(113)에 수용된다. 제1 결합턱(122)은 인접한 다른 상부 블록(120)의 제1 결합턱(122)과 연결된다. 제2 결합턱(123)은 인접한 다른 상부 블록(120)의 제2 결합턱(123)과 연결된다. 상부 블록(120)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115)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9개의 관통 구멍(125)이 가로 세로 각각 3개씩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관통 구멍(125)의 수, 위치 및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부 블록(120)에는 제1 결합턱(122)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횡방향을 연장되는 제1 연결 통로(120a)와, 제2 결합턱(123)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종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연결 통로(120b)가 마련된다. 제1, 제2 연결 통로(120a, 120b)를 통해 결합 와이어(130)가 통과한다. 제1 연결 통로(120a)는 인접한 다른 상부 블록(120)의 제1 연결 통로(120a)와 이어진다. 제2 연결 통로(120b)는 인접한 다른 상부 블록(120)의 제2 연결 통로(120b)와 이어진다.
도 6과 도 7에는 적층된 상태의 하부 블록(110)과 상부 블록(120)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상태는 하부 블록(110)의 제1 결합홈(112)에 상부 블록(120)의 제1 결합턱(122)이 수용되고, 하부 블록(110)의 제2 결합홈(113)에 상부 블록(120)의 제2 결합턱(123)이 수용된 상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블록(110)의 중심(O)과 상부 블록(120)의 중심(O')은 하부 블록(110)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이격되 있다. 그에 따라, 상부 블록(110)의 연결된 두 측면(126, 127)이 하부 블록(110)의 대응하는 연결된 두 측면(116, 117)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부 블록(120)은 하부 블록(110) 4개과 일부 겹쳐질 수 있게 되며, 하나의 제1 결합턱(122)이 인접한 두 하부 블록(110)의 연결된 두 제1 결합홈(112)에 수용되고, 하나의 제2 결합턱(123)이 인접한 두 하부 블록(110)의 연결된 두 제2 결합홈(113)에 수용된다. 그에 따라, 다수의 하부 블록(110)과 다수의 상부 블록(12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또한, 상부 블록(12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 구멍(125) 각각은 하부 블록(11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 구멍(115) 각각에 연결된다. 연결된 두 관통구멍(115, 116)에 토양이 채워져서 식생이 가능해진다.
다수의 결합 와이어(130)는 상부 블록(120)의 제1 연결 통로(120a)와 제2 연결 통로(120b)로 삽입되어서, 다수의 상부 블록(120)이 결합 와이어(130)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 구조물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블록(120)에는 관통 구멍(125)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블록(210)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로 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형태의 관통 구멍(325)이 상부 블록(320)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110, 120)용 조성물은, 시멘트 결합재, 폴리머 혼화제, 잔골재, 굵은골재 및 물을 포함하며, 특히 시멘트 결합재 5 내지 35 중량%, 잔골재 20 내지 60중량%, 굵은골재 25 내지 60중량%, 물 0.1 내지 5중량% 및 폴리머 혼화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0 내지 85 중량%, 고로슬래그 5 내지 30 중량%, 제올라이트 1 내지 20 중량%, 메타카올린 1 내지 20 중량%, 칼슘 알루미네이트 0.1 내지 20 중량% 및 유동화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머 혼화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55 내지 99중량%, 스티렌-부타디엔 에멀젼 0.1 내지 10 중량%, 아크릴니토릴 에멀젼 0.1 내지 10 중량%, 에폭시 에멀젼 0.1 내지 10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에멀젼 0.1 내지 10 중량%, 감수제 0.01 내지 5 중량% 및 소포제 0.01 내지 3 중량% 가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잔골재로는 입경이 5mm 이하인 모래와 버텀애쉬를 사용한다. 모래와 버텀애쉬는 중량비로 1:0.1 내지 0.8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굵은골재는 입경이 19mm 이하인 골재로서 상기 잔골재보다 입자의 크기가 굵은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KS에 규정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30 내지 8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 함량이 3 중량% 미만일 경우 작업성, 강도 및 내구성은 개선되나 건조수축 및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고, 시멘트의 함량이 8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수축은 적어지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 제올라이트 및 메타카올린은 잠재 수경성 특성, 장기 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고로슬래그, 제올라이트 및 메타카올린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초기 강도는 저하되나, 장기 강도 발현 및 내구성이 증가한다. 상기 고로슬래그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올라이트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타카올린은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 알루미네이트는 보통 시멘트와 접촉시 생성되는 에트린가이트 수화물의 생성이 약 1 내지 3일 이내에 완료되어 안정화하므로 보통 시멘트에 일부 소량 첨가 시 시멘트 경화체의 수축을 보상하여 시멘트 경화체의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균열과 내구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빠른 경화특성을 나타내며,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강도 및 균열 발생 억제 효과가 미약하고,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빠른 경화 특성으로 인해 좋은 물성을 얻을 수 있으나 제조 원가가 높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유동화제는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유동성이 있어 치밀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유동화제의 종류에는, 폴리카본산계,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등이 있는데, 멜라민계 또는 나프탈렌계 유동화제는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에 비하여 강도 및 내구성의 개선 효과가 미약하고, 물-시멘트비의 저감 효과가 크지 않으며, 폴리머와의 혼화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에는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화제는 상기 시멘트 결합재에 0.01 내지 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혼화제는 조성물의 경화시간, 작업성, 내구성, 내수성 및 내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스티렌-부타디엔 에멀젼, 아크릴니토릴 에멀젼, 에폭시 에멀젼,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에멀젼, 감수제 및 소포제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머 혼화제는 상기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에 상기 시멘트 결합재 100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혼화제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작업성(슬럼프)이 떨어지고, 수화반응을 지연시켜 조기 강도 발현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폴리머 혼화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만족할만한 내구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내수성 및 내후성이 미약하다.
상기 폴리머 혼화제는 폴리머 혼화제에 대하여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55 내지 99중량%, 스티렌-부타디엔 에멀젼 0.1 내지 10 중량%, 아크릴니토릴 에멀젼 0.1 내지 10 중량%, 에폭시 에멀젼 0.1 내지 10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에멀젼 0.1 내지 10 중량%, 감수제 0.01 내지 5 중량% 및 소포제 0.01 내지 3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아크릴 에멀젼은 접착강도, 파괴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스티렌-아크릴 에멀젼은 상기 폴리머 혼화제에 대하여 55 내지 99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이 99중량%를 초과하면 강도 및 내구성은 증가하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경제적이지 못하며, 그 함량이 55 중량%미만이면 작업성은 개선되나 내구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은 무기물간의 결합력, 부착력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에멀젼은 상기 폴리머 혼화제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에멀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무기물간의 결합력, 부착력 및 내구성 개선의 효과가 미약하고, 그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부착력 및 내구성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아크릴니토릴 에멀젼은 콘크리트의 연성과 휨 및 인장강도 개선을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니토릴 에멀젼은 상기 폴리머 혼화제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니토릴 에멀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연성, 휨 및 인장강도 개선의 효과가 미약하고, 그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강도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에폭시 에멀젼은 작업성, 강도,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에폭시 에멀젼은 상기 폴리머 혼화제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에멀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작업성, 강도 및 내구성 개선의 효과가 미약하고, 그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강도 및 내구성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에멀젼은 점성이 커져 작업성이 우수하게 됨과 동시에 물의 흡수를 촉진하여 보수성 및 보습성이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에멀젼은 폴리머 혼화제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에멀젼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보수성 및 보습성은 개선되지만 안정성이 저하되어 조기 강도발현이 저하되며, 그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보수성 및 보습성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감수제는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감수제의 종류에는, 폴리카본산계,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등이 있는데, 멜라민계 또는 나프탈렌계 감수제는 폴리카본산계 감수제에 비하여 강도 및 내구성의 개선 효과가 미약하고, 물-시멘트비의 저감 효과가 크지 않으며, 폴리머와의 혼화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에는 폴리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수제는 상기 폴리머 혼화제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는 조성물의 연행공기의 발생으로 인한 공기량의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알콜계 소포제, 실리콘계 소포제, 지방산계 소포제, 오일계 소포제, 에스테르계 소포제,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리콘계 소포제로는 디메틸실리콘유, 폴리오가노실록산, 플루오로실리콘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계 소포제로는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계 소포제로는 등유, 동식물유, 피마자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소포제로는 솔리톨트리올레이트, 글리세롤모노리시놀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옥시알킬렌계 소포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아세틸렌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콜계 소포제로는 글리콜(glyco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폴리머 혼화제에 대하여 0.01 내지 3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은 상기 시멘트 결합재, 상기 잔골재 및 상기 굵은골재가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물과 상기 폴리머 혼화제를 일정 비율로 추가로 혼합하여 1 내지 10분간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잔골재로는 입경이 5mm 이하인 모래와 버텀애쉬를 사용한다. 모래와 버텀애쉬는 중량비로 1:0.1 내지 0.8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골재는 조성물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굵은골재는 입경이 19mm 이하인 골재로서 상기 잔골재보다 입자의 크기가 굵은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굵은골재는 조립형 식생블록용 조성물에 대하여 25 내지 6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타설부 금형에 포트형, 사각형, 사다리꼴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금형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조립된 금형 거푸집에 조립형 식생블록용 조성물을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상기 조립형 식생블록용 조성물을 진동 또는 압축하여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된 결과물을 표면 마무리하고 증기양생하여 조립형 식생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형 식생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타설은 물-시멘트비를 조절하여 습식 및 건식으로도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조립형 식생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노상을 정리하고 필터층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포설된 필터층에 쇄석으로 이루어지는 기층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포설된 기층에 상기 제조된 조립형 식생블록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형 식생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필터층과 쇄석층 사이에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오그리드, 섬유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층에 사용되는 재료는 모래로 빗물이 흙속에 침투할 때 휠터기능과 같이 연약한 노상토가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는 것이며 휠터층의 투수계수는 10ㅧ 10-4㎝/sec 이상의 모래를 사용하며 #200체 통과량이 6%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층은 상부의 하중을 하부에서 분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쇄석으로 포설하는 것인데, 이 기층의 투수계수는 10ㅧ10-2cm/sec이상이 되도록 하고 포설 후 최적함수비에서 최적밀도가 되도록 충분히 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멘트 결합재 20중량%, 잔골재 40중량%, 굵은골재 35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2.0중량% 및 폴리머 혼화제 3.0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60중량%, 고로슬래그 20 중량%, 제올라이트 7 중량%, 메타카올린 7 중량%, 칼슘알루미네이트 5 중량% 및 유동화제 1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폴리머 혼화제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95중량%, 스티렌-부타디엔 에멀젼 2 중량%, 아크릴니토릴 에멀젼 1 중량%, 에폭시 에멀젼 1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에멀젼 0.5 중량%, 감수제 0.3 중량% 및 소포제 0.2 중량%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유동화제, 감수제 및 소포제로는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폴리카본산 감수제 및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시멘트 결합재 20중량%, 잔골재 40중량%, 굵은골재 35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2.0중량% 및 폴리머 혼화제 3.0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60중량%, 고로슬래그 20 중량%, 제올라이트 7 중량%, 메타카올린 7 중량%, 칼슘알루미네이트 5 중량% 및 유동화제 1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폴리머 혼화제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90중량%, 스티렌-부타디엔 에멀젼 5 중량%, 아크릴니토릴 에멀젼 2 중량%, 에폭시 에멀젼 2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에멀젼 0.5 중량%, 감수제 0.3 중량% 및 소포제 0.2 중량%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유동화제, 감수제 및 소포제로는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폴리카본산 감수제 및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시멘트 결합재 20중량%, 잔골재 40중량%, 굵은골재 35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2.0중량% 및 폴리머 혼화제 3.0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조립형 식생블록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멘트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60중량%, 고로슬래그 20 중량%, 제올라이트 7 중량%, 메타카올린 7 중량%, 칼슘알루미네이트 5 중량% 및 유동화제 1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폴리머 혼화제로는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85중량%, 스티렌-부타디엔 에멀젼 8 중량%, 아크릴니토릴 에멀젼 3 중량%, 에폭시 에멀젼 3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에멀젼 0.5 중량%, 감수제 0.3 중량% 및 소포제 0.2 중량%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유동화제, 감수제 및 소포제로는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폴리카본산 감수제 및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비교할 수 있는 비교예들을 제시하며, 후술할 비교예 1 및 2는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한 것이다.
<비교예 1>
시멘트 결합재 20중량%, 잔골재 40중량%, 굵은골재 35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5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시멘트 결합재 20중량%, 잔골재 40중량%, 굵은골재 35중량%를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2.0중량% 및 스티렌-아크릴 에멀젼 3.0중량%를 더 혼합하고 3분간 교반하여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래의 시험예들은 상기에 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특성을 비교한 시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립형 식생블록용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증기양생한 후 각각의 강도를 시험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각 KS F 2405, KS F 2408, KS F 2423 및 KS F 2762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다.
Figure 112014010251019-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휨, 압축, 인장 및 부착강도는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것보다 월등히 높았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이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하여 강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증기양생한 후 KS F 2424(콘크리트의 길이변화 시험방법)에 의하여 건조수축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건조수축 (%) 0.07 0.06 0.05 0.20 0.10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비하여 건조수축량이 감소되어 수축 저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증기양생한 후 KS F 2409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의 측정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흡수율이 높으면 불순물이나 물이 콘크리트의 내부로 침투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내부에 기공률이 증가하게 되어 구조물의 열화를 촉진시키고,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흡수율(%) 0.8 0.7 0.5 2.3 1.3
위의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조립형 식생블록용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하여 흡수율이 낮았다.
<시험예 4>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라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증기양생한 후 JIS A 1171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염화물이온침투깊이의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염화물이온침투깊이(mm) 1.0 0.8 0.7 2.3 1.5
위의 표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이 비교예들보다 염화물 이온 침투 깊이가 적게 나타나 염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라 수로 구조물을 위한 블록용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증기양생한 후 JIS A 1171(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험방법)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중성화 침투깊이의 측정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중성화 깊이(mm) 0.4 0.3 0.3 1.2 0.8
위의 표 5에서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라 조립형 식생블록용 조성물이 비교예들보다 중성화 침투 깊이가 적게 나타나 중성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증기양생한 후 KS F 2456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동결융해저항성시험의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동결융해는 콘크리트에 흡수된 수분이 결빙되고 녹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동결융해가 반복되면 콘크리트 조직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표 6은 동결융해 저항성 시험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내구성 지수를 표시한 것이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내구성 지수 91 92 92 62 88
표 6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비하여 내구성 지수가 월등히 높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친환경 수로 구조물 110 : 하부 블록
112 : 제1 결합홈 113 : 제2 결합홈
115 : 관통 구멍 120 : 상부 블록
120a : 제1 연결 통로 120b : 제2 연결 통로
122 : 제1 결합턱 123 : 제2 결합턱
125 : 관통 구멍 130 : 결합 와이어

Claims (5)

  1. 동일면상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걸쳐서 서로 측면이 접촉되면서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블록;
    상기 다수의 하부 블록 위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걸쳐서 서로 측면이 접촉되면서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블록; 및
    상기 다수의 상부 블록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결합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 각각에는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하부 블록의 상면에는 서로 직교하면서 교차하는 제1 결합홈과 제2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상부 블록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홈에 끼워지는 제1 결합턱과 상기 제2 결합홈에 끼워지는 제2 결합턱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결합홈에 상기 제1 결합턱이 끼워지고 상기 제2 결합홈에 상기 제2 결합턱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하부 블록의 대응하는 일측면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다수의 하부 블록 중 하나의 하부 블록의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은 인접한 다른 하부 블록의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결합턱은 인접한 두 상부 블록의 이어진 두 제1 결합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2 결합턱은 인접한 두 상부 블록의 이어진 두 제2 결합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에는 상기 다수의 결합 와이어가 통과하고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연장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로 구조물.
  5. 삭제
KR1020140012024A 2014-02-03 2014-02-03 친환경 수로 구조물 KR101425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024A KR101425766B1 (ko) 2014-02-03 2014-02-03 친환경 수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024A KR101425766B1 (ko) 2014-02-03 2014-02-03 친환경 수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766B1 true KR101425766B1 (ko) 2014-08-05

Family

ID=5174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024A KR101425766B1 (ko) 2014-02-03 2014-02-03 친환경 수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7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034A (ja) * 1994-08-31 1996-03-12 Oishi Takako 浄水機能を有する護床ブロック
KR200422320Y1 (ko) * 2006-05-02 2006-07-25 주식회사코니무역 조립식 바닥판의 결합구조
KR100828222B1 (ko) * 2007-04-11 2008-05-07 신강하이텍(주)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KR20100064746A (ko) * 2008-12-05 2010-06-15 주식회사 디에이치산업개발 호안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034A (ja) * 1994-08-31 1996-03-12 Oishi Takako 浄水機能を有する護床ブロック
KR200422320Y1 (ko) * 2006-05-02 2006-07-25 주식회사코니무역 조립식 바닥판의 결합구조
KR100828222B1 (ko) * 2007-04-11 2008-05-07 신강하이텍(주)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KR20100064746A (ko) * 2008-12-05 2010-06-15 주식회사 디에이치산업개발 호안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386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친환경 경관 판넬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관 판넬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875457B1 (ko)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KR102166388B1 (ko) 친환경 헥사콘
KR102124771B1 (ko) 습윤 상태나 수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를 위한 시공이 용이한 고기능성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ㆍ보강 공법
KR10165418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1380591B1 (ko) 경계석 블록용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문양 경계석 블록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문양 경계석 블록
KR100880602B1 (ko) 방초 기능이 있는 흙포장용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흙포장 시공방법 및 방초 시공방법
KR100985465B1 (ko)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및 보투수성 포장 시공방법
KR100582770B1 (ko) 폐콘크리트 미분말 및 순환골재와 산업부산물을 이용한친환경 옹벽용 고기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친환경 옹벽블록
KR101455771B1 (ko) 폴리머 개질 혼화제를 혼입한 자기 충전성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134172B1 (ko)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조성물
KR100718292B1 (ko) 자연토를 이용한 지반 포장방법
KR101953105B1 (ko) 하수박스 통수단면 확장 시공에 사용하는 수중불분리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수박스 통수단면 확장 시공 방법
KR101510731B1 (ko) 보수성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성 블록의 제조방법
WO2014045583A1 (ja) 撥水砂の混合物及び撥水砂構造体
KR101355404B1 (ko) 내염해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JP6052698B1 (ja) 積みブロック及びこれを備える擁壁
KR101425766B1 (ko) 친환경 수로 구조물
JP5778115B2 (ja) 竹繊維を混入したセメントモルタル
KR102014755B1 (ko) 가로수 식목보호 블록 제조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JP2008190117A (ja) 埋設型枠用ボード
CN113914258B (zh) 一种河道驳岸施工方法及河道驳岸
KR101136118B1 (ko) 보투수성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500978B1 (ko) 친환경 지압블럭, 친환경 지압블럭 충전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친환경 지압블럭 시공방법
JP7242254B2 (ja) 積みブロッ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