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759B1 - 중첩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채널을 위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중첩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채널을 위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759B1
KR101425759B1 KR1020137004360A KR20137004360A KR101425759B1 KR 101425759 B1 KR101425759 B1 KR 101425759B1 KR 1020137004360 A KR1020137004360 A KR 1020137004360A KR 20137004360 A KR20137004360 A KR 20137004360A KR 101425759 B1 KR101425759 B1 KR 10142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ng
narrowband channels
backoff counter
idl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242A (ko
Inventor
민영 박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4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바이스가 광대역 채널(제 1 협대역 채널 및 하나 이상의 제 2 협대역 채널로 구성됨) 상에서 전송할 권한을 위해 경합할 때, 제 2 채널 중 하나가 사용중으로서 검출되면 이는 이의 백오프 카운터를 정지시킬 수 있고, 모든 채널이 유휴상태로서 다시 검출될 때 이의 정지된 값에서부터 백오프 카운터를 재시작한다. 일부 실시예는 제 2 채널이 사용중인지를 센싱하는 것을 돕기 위한 보호 간격 검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첩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채널을 위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CHANNEL ACCESS MECHANISM FOR WIDE CHANNELS USED IN OVERLAPPING NETWORKS}
본 발명은 중첩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채널을 위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IEEE 표준 802.11a/n을 준수하는 것과 같은, 일부 무선 네트워크는 40MHz의 대역폭을 갖는 '광대역(wide)' 채널을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광대역 채널은 각각 20MHz의 대역폭을 갖는 2개의 레거시 '협대역(narrow)' 채널로 구성된다. IEEE 표준 802.11a/c를 준수하는 것과 같은, 일부 다른 무선 네트워크는 80MHz의 대역폭을 갖는 광대역 채널을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은 4개의 레거시 20MHz 채널로 구성된다. 두 경우에, 디바이스가 광대역 채널 상에서 전송하기 이전에, 전송이 이들 협대역 채널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간섭하지 않도록 모든 연관된 협대역 채널은 유휴상태(idle)임이 판정된다. 다수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동일한 유휴 채널을 이용하도록 시도하고 이로써 동시에 전송하도록 시도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 디바이스는 광대역 채널 상에서 전송하기 이전에 랜덤하게 선택된 백오프 기간(backoff period)(백오프 카운터에 의해 측정됨)을 대기하는데, 백오프 기간 이후에 연관된 협대역 채널이 여전히 유휴 상태임을 가정한다. 최대 허용가능한 백오프 기간은 '경합 윈도우(contention window)'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특정 디바이스에 의한 매체에 액세스하는 것에 대한 실패는, 과도하게 혼잡한 네트워크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서, 디바이스의 경합 윈도우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이의 평균 백오프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중 하나가 백오프 카운트다운 중 사용중(busy)이 되는지를 디바이스가 감지한다면, 카운트는 처음에서부터 재시작될 수 있다. 이들 두 액션은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지만, 더 짧은 백오프 시간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는 채널의 제어를 먼저 획득할 것이기 때문에, 이들은 디바이스가 채널의 제어를 신속하게 획득할 가능성이 줄어들 것이다.
중첩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두 분리 네트워크가 동일한 협대역 채널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을 때, 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이 다른 네트워크에서의 수신과 간섭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동일한 프로토콜이 추구될 수 있다. 하지만, 일 네트워크는 이 상황에서 불리한 상황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네트워크가 많은 데이터 트래픽을 갖는다면, 이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경합 윈도우의 크기가 다른 네트워크에서 보다 증가하게 될 것이다. (더 큰 경합 윈도우에 기인하여) 더 큰 평균 백오프 시간을 갖는 디바이스는 더 짧은 평균 백오프 시간을 갖는 디바이스보다 채널을 획득하게 될 가능성이 적다. 대안적으로, 4개의 협대역 채널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가 오직 두 협대역 채널만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 보다 모든 이러한 채널이 유휴상태임을 발견하게 될 가능성이 적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사용되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첩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을 위한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다음의 자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정 상세가 제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들 특정 상세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경우에, 이 자세한 설명의 이해를 불분명하게 하지 않도록 공지의 회로, 구조 및 기술은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다.
"일 실시예', "실시예', "예시적 실시예", "다양한 실시예" 등에 대한 언급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특정 피쳐,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모든 실시예가 반드시 특정 피쳐,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는 특징 중 일부, 모두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어느 것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의 자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용어 "연결된" 및 "접속된"이 이들의 파생어들을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어는 서로에 대한 동의어로서 의도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특정 실시예에서, "접속된"은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 물리적 또는 전기적 접촉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연결된"은 두 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 협업 또는 상호작용함을 나타내도록 사용되지만, 이들은 이들 사이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 중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특정되지 않았다면 일반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제 2", "제 3" 등의 서수적 형용사의 사용은, 단지 유사한 구성요소의 상이한 경우가 지칭됨을 나타내는 것이지 묘사된 구성요소가,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서열로,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 중 하나로 주어진 시퀀스가 되어야만 함을 의미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또는 상에 포함되는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의 수행을 가능하게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유형의 저장 매체,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무선"은 비고체 매체(non-solid medium)를 통과하는 변조된 전자기 방사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를 통신하는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 방법, 기술, 통신 채널 등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용어는 연관된 디바이스가 어떠한 유선(wires)도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무선장치(at least one media),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무선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고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세스는 전송될 데이터 및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전송되거나 수신되지 않은 다른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본 문서 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네트워크 제어기"는 네트워크에서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통신을 스케쥴링하고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또한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중앙 포인트(CP), 또는 네트워크 제어기의 기능을 묘사하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서 알려질 수 있다.
본 문서 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이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케쥴링되고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모바일 디바이스(MD)는 이동국(MS), STA, 가입자국(SS), 사용자 장비(UE)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묘사하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서 알려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러한 통신 동안 이동할 수 있지만 이동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문서 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협대역' 채널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사전정의된 인접한 대역폭을 갖는 채널이고, 반면 '광대역' 채널은 이들 협대역 채널 중 다수의 하나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통합된 부분을 갖는 채널이다. 즉, 다수의 특정된 협대역 채널은 특정된 광대역 채널을 집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대역 채널은 오직 인접한 협대역 채널만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협대역 채널은 인접할 필요가 없고, 즉 광대역 채널에 포함되는 두 협대역 채널은 광대역 채널에 포함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협대역 채널에 의해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협대역 채널은 20MHz 대역폭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고, 반면 광대역 채널은 20MHz의 정수배, 예를 들어, 40 또는 80MHz의 대역폭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20MHz 외의 협대역 채널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문서 내에서, 용어 '채널'은 광대역 채널로서 나타내지 않는 한 협대역 채널을 지칭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광대역 채널(제 1 협대역 채널 및 하나 이상의 제 2 협대역 채널로 구성됨) 상에서 전송할 권한을 위해 경합할 때 백오프 카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카운터를 개시할 수 있고 카운터가 만료되는 이후가 될 때까지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용어 '백오프(backoff)' 카운터는 카운터가 만료될 때까지 전송하기 위한 기회로부터 디바이스가 '백오프'하는 것(전송하기 위해 대기함)을 돕는데 사용됨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디바이스는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카운터를 가질 수 있다. 백오프 카운터가 카운트 다운하고 있는 동안 제 2 협대역 채널 중 하나가 사용 중이 되면, 백오프 카운터는 정지될 수 있다. 모든 협대역 채널이 다시 유휴 상태로서 검출될 때, 통상적인 시스템에서 행해진 것처럼 새로운 카운트 값으로 새로운 백오프 기간을 시작하는 것보다는, 백오프 카운터가 이의 정지된 값으로부터 재시작될 수 있다. 제 2 채널이 유휴상태인지 또는 사용중인지를 센싱하는 것을 돕기 위해 보호 간격 검출 기술(a guard interval detection technique)을 사용할 수 있다. 카운트 다운(가정적으로 제로를 향해)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카운터는 만료 이전에 임의의 값에서부터 임의의 다른 값으로 카운트 업 또는 다운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 변형은 당업자의 능력 내에서 양호하게 디자인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첩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일 네트워크는 모바일 디바이스 MD1, MD3, 및 MD5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제어기(NC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제 2 네트워크는 모바일 디바이스 MD2, MD4, 및 MD6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제어기 NC2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MD1 및 MD2는 서로 충분히 근접하게 위치되어 간섭(interference)을 야기하기에 충분한 신호 강도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이 수신될 수 있는, 용어 '중첩 네트워크'가 가정된다. 신호 강도는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의 물리적 거리와 연관되지 않은 많은 것에 의존할 수 있기 때문에, 중첩으로 간주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 대한 사전정의된 물리적 영역에 각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두 네트워크의 다른 디바이스는 또한 상호네트워크 간섭(internetwork interference)을 야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MD1 및 MD2는 원리를 설명하기에 충분하다.
예시에서, 디바이스 MD1은 고유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NC1)에서 다수의 협대역 채널로 이루어진 광대역 채널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려고 의도하고, 디바이스 MD2는 이들 협대역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고유의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함이 더 가정될 수 있다. 따라서, MD1 및 MD2는 종종 동일한 협대역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기를 원하고, 이는 상호네트워크 간섭을 야기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을 위한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MD1)는 다수의 협대역 채널로 이루어진 광대역 채널을 통한 경합 기반 액세스 기간 (a contention-based access period) 동안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려고 의도한다. 광대역 채널을 사용하는 많은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는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광대역 채널을 갖고, 각각은 사전 정의된 협대역 채널의 상이한 세트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프로세스는 전송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된 광대역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협대역 채널을 선택하여 210에서 시작될 수 있다. 도 2의 설명 중 나머지에 대해, 용어 '채널'은 광대역 채널로서 특정하게 지정되지 않는다면 협대역 채널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210에서 선택된 모든 채널이 유휴상태임을 215에서 판정할 때까지 디바이스는 진행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는 모든 선택된 채널이 유휴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모니터하기 이전에 카운터 값(220 참조)을 설정할 수 있다. 용어 '유휴상태(idel)'는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다른 디바이스가 없음을 나타내거나, 만약 그렇다면, 이 디바이스에서 검출된 수신된 신호는 너무 약하여 문제로 간주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반대로, 용어 '사용중(busy)'은 다른 디바이스가 채널을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수신된 신호가 특정 문턱값보다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부 기술에서, 신호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유입하는 것으로서 식별될 수 없더라도, 채널 상의 에너지의 특정 레벨을 검출하는 것은 채널이 사용중으로 간주되기에 충분하다. 다른 기술에서, 전송된 프리앰플이 한번 검출되면 채널은 사용중으로 간주되고, 연관된 전송이 정지할 때까지 사용중으로 간주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양쪽 기술을 통합할 수 있다. 전송의 종료는 OFDM 심볼의 보호 간격을 검출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보호 간격 검출기는 임의의 실행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220에서, 디바이스의 오프셋 카운터가 특정 값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어서, 카운터는 카운터가 만료하기 이전에 일정 최소 기간의 시간 동안 카운트해야할 것이다. 오프셋 카운터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실현 가능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다음 카운터는 225에서 시작될 수 있다. 카운터의 만료는 230에서 도시된다.
235에서 판정된 바와 같이, 선택된 채널이 유휴상태로 남아있는 한, 카운터는 이의 카운트다운을 계속할 수 있고 프로세스는 루프 230 내지 235를 통해 순환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 이상의 채널이 사용중이 된다면(예를 들어, 다른 디바이스가 카운트다운 동안 채널 상에서 전송을 시작한다면), 카운터는 240에서 정지될 수 있고, 모든 채널이 245에서 유휴상태인 것으로서 다시 검출될 때까지 정지된 채로 남아있다. 모든 채널이 다시 유휴상태일 때, 카운터는 225에서 재시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든 채널을 유휴상태로 검출한 이후에, 카운터를 재시작하기 이전에, 디바이스는 일정 기간의 시간동안 지연될 수 있다. 분산 프레임간 간격(a distributed interframe space), 또는 DIFS가 이 예시의 250에서 지연 기간으로서 도시되지만, 다른 지연 값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카운터가 230에서 최종적으로 만료할 때까지, 디바이스는 225 내지 250의 동작에 의해 이 방식으로 계속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카운터는 하나 이상의 채널 상에서 검출되는 트래픽에 기인하여 여러번 정지되고 재시작될 수 있다. 카운터가 만료한 이후에, 디바이스는 260에서 광대역 채널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광대역 채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전송은 선택된 협대역 채널의 서브셋만을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경우에, 이는 이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이들이 유휴상태인지 사용중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이 프로세스 전반에서 계속적으로 선택된 채널을 모니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휴/사용중 상태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체크될 수 있다. 다양한 기술은 이러한 모니터링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예시에서, 광대역 채널은 4개의 협대역 채널(PRI로 표시된 하나의 제 1 채널 및 SEC-1, SEC-2, SEC-3으로 표시된 세 개의 제 2 채널)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협대역 채널은 20MHz의 대역폭을 갖고, 광대역 채널은 80MHz의 대역폭으로 주어지지만, 다른 채널 대역폭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에서, 일부 디바이스는 광대역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4개의 협대역 채널은 초기에 사용중으로 도시된다. 전송이 완료된 이후에, 하나의 DIFS로 이루어진 간격이 도시된다.
이 시점에서, 광대역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는 이의 백오프 카운터를 시작할 수 있다. 백오프 카운터가 만료(완전하게 카운트 다운)된 이후에, 그 다음 디바이스는 4개의 협대역 채널의 각각이 여전히 유휴상태이면 전송할 수 있다. 카운트다운을 시작하기 이전에, 카운터는 랜덤하게 또는 의사랜덤하게(pseudo-randomly) 선택된 값으로 사전설정될 수 있다(현재 선택된 경합 윈도우의 제한 내에서).
하지만, 백오프 카운터가 여전히 카운트하고 있는 동안, 예시는 제 2 채널 SEC-2 상에서 검출되는 전송을 도시한다. 이는 다른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로부터 올 것이고, 현재 네트워크의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 제어기의 제어하에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예측 불가능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경우에, 전송은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존재할 수 있다. SEC-2 상의 전송이 검출될 때, 백오프 카운터는 정지될 수 있고, 모든 4개의 채널이 다시 유휴상태가 될 때까지 정지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다. 모든 4개의 채널이 유휴상태로서 검출된 이후에, 다른 DIFS가 도시되고, 이후에 카운터가 다시 개시될 수 있다.
백오프 카운터가 만료되고, 모든 4개의 채널은 여전히 유휴상태이면, 디바이스는 광대역 채널 상에서 전송을 시작할 수 있어서, 전송을 위한 광대역 채널의 제어를 획득하는 이의 초기 목적을 달성한다. 이 예시는 카운트다운 기간 동안, 단일 협대역 채널 상에서의, 단일 개재 전송(a single intervening transmission) 만을 도시한다. 하지만 다른 예시는 다수의 이러한 개재 전송을 가질 수 있고, 이들은 다수의 제 2 채널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때때로 두 개 이상의 채널은 동일한 광대역 채널전송에 의해 동시에 점유될 것이다. 때때로 제 2 협대역 채널 상의 개재 전송은 제 1 협대역 채널 상의 개재 전송이 완료되기 이전에 검출될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이러한 경우에, 백오프 카운터는 모든 연관된 협대역 채널이 유휴상태로서 검출될 때에만 카운트될 것이고, 카운터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개재 전송에 의해 정지된 이후에, 백오프 카운터는 새로운 카운트다운을 시작하기보다는 정지된 값에서부터 재시작될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변형이 당업자에게 일어날 것이다.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6)

  1. 광대역 채널(a wide channel)의 협대역 채널들(narrow channels)의 각각이 유휴상태(idle)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에 후속하여 백오프 카운터(a backoff counter)를 시작하는 단계 - 상기 백오프 카운터는 상기 광대역 채널의 상기 협대역 채널들에 공통임 - 와,
    상기 시작에 후속하여, 상기 협대역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중(busy)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협대역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지에 후속하여,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다시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다시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에 후속하여 정지된 값에서부터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카운터의 만료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만료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광대역 채널 상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재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재시작 이전에 분산 프레임간 간격(a distributed interframe space;DIFS)만큼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중임을 검출하는 단계는 보호 간격 검출 기술(a guard interval detection technique)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단계는 에너지 검출 기술(an energy detection technique) 및 프리앰블 검출 기술(a preamble detection technique)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프로세서, 무선장치, 및 백오프 카운터를 구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광대역 채널의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하고,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에 후속하여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시작하고 - 상기 백오프 카운터는 상기 광대역 채널의 상기 협대역 채널들에 공통임 - ,
    상기 시작에 후속하여, 상기 협대역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중임을 검출하고,
    상기 협대역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정지에 후속하여,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다시 유휴상태임을 검출하고,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다시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에 후속하여 정지된 값에서부터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재시작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백오프 카운터의 만료를 검출하고,
    상기 만료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광대역 채널 상에서 전송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재시작하는 것은 상기 재시작 이전에 분산 프레임간 간격(DIFS)만큼 지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은 보호 간격 검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중임을 검출하는 것은 에너지 검출 기술 및 프리앰블 검출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장치에 연결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장치.
  12.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광대역 채널의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과,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에 후속하여 백오프 카운터를 시작하는 것 - 상기 백오프 카운터는 상기 광대역 채널의 상기 협대역 채널들에 공통임 - 과,
    상기 시작에 후속하여, 상기 협대역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중임을 검출하는 것과,
    상기 협대역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정지시키는 것과,
    상기 정지에 후속하여,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다시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과,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다시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에 후속하여 정지된 값에서부터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재시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백오프 카운터의 만료를 검출하는 것과,
    상기 만료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광대역 채널 상에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품.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카운터를 재시작하는 것은 상기 재시작 이전에 분산 프레임간 간격(DIFS)만큼 지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품.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중임을 검출하는 것은 보호 간격 검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품.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채널들의 각각이 유휴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은 에너지 검출 기술 및 프리앰블 검출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품.
KR1020137004360A 2010-08-23 2011-08-22 중첩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채널을 위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 KR101425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61,086 2010-08-23
US12/861,086 US8345547B2 (en) 2010-08-23 2010-08-23 Channel access mechanism for wide channels used in overlapping networks
PCT/US2011/048679 WO2012027292A1 (en) 2010-08-23 2011-08-22 Channel access mechanism for wide channels used in overlapping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242A KR20130041242A (ko) 2013-04-24
KR101425759B1 true KR101425759B1 (ko) 2014-08-13

Family

ID=4559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360A KR101425759B1 (ko) 2010-08-23 2011-08-22 중첩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채널을 위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45547B2 (ko)
EP (1) EP2609787A4 (ko)
JP (1) JP5688148B2 (ko)
KR (1) KR101425759B1 (ko)
CN (1) CN103053214A (ko)
BR (1) BR112013004118A2 (ko)
WO (1) WO2012027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7541B2 (en) * 2010-09-16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ng frequency bands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US8619640B2 (en) 2010-12-16 2013-12-31 Intel Corporation Dynamic bandwidth control in interference situations
US8923252B2 (en) 2012-01-11 2014-12-30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uring a contention based access period
EP2993952B1 (en) * 2013-05-02 2019-07-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nsing channel dynamically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301150B2 (en) * 2013-06-03 2016-03-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lear channel assessment
WO2014209919A1 (en) * 2013-06-24 2014-12-31 Mediatek Singapore Pte. Ltd. Increased network throughput with cca level enhancement
WO2015084095A1 (ko) * 2013-12-06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용 채널을 포함한 무선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298213B2 (ja) * 2014-07-10 2018-03-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ける広帯域チャネル接続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6033724A1 (zh) * 2014-09-01 2016-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选取信道的方法及发送端
CN104363657B (zh) * 2014-11-06 2019-10-11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系统和具有基站功能的设备
CN112637967B (zh) 2014-12-02 2024-03-22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用于空闲信道分配的无线通信终端和无线通信方法
WO2016106655A1 (zh) * 2014-12-31 2016-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和设备
AU2015396027B2 (en) * 2015-05-27 2019-02-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hanne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CN107995687B (zh) * 2016-10-27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7750054B (zh) * 2017-10-11 2022-03-15 杭州若联科技有限公司 网络防碰撞方法以及装置
JP6740274B2 (ja) * 2018-03-29 2020-08-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345A (ko) * 2008-10-31 2010-05-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 접속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302068D0 (sv) * 2003-07-14 2003-07-14 Infineon Technologies Ag A system operable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PT1687941E (pt) * 2003-11-19 2015-08-26 Koninkl Philips Nv Método de acesso a um meio através de um dispositivo multicanal
US7305237B2 (en) * 2003-12-17 2007-12-04 Intel Corporation Hole-filling channel access
US7680150B2 (en) * 2004-04-13 2010-03-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rtual clear channel avoidance (CCA)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7983298B2 (en) * 2004-10-20 2011-07-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networks
JP4421459B2 (ja) * 2004-11-30 2010-02-2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521584B2 (en) * 2005-10-17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flow through a mesh network
KR20080080726A (ko) * 2007-03-02 200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단계 경쟁을 이용한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100190520A1 (en) * 2007-07-19 2010-07-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nk adaptation by channel bund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462612B (zh) * 2008-03-14 2014-11-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多跳躍網路中強固的編碼
KR101518059B1 (ko) * 2008-07-02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고처리율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관리 방법과 채널 스위치 방법
KR20100072959A (ko)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01715240B (zh) * 2009-07-23 2012-09-05 北京新岸线无线技术有限公司 接入方法、接入装置
US8531980B2 (en) * 2010-06-29 2013-09-10 Intel Corporation Multi-channel communication station for communicating a multi-channel PPDU and methods of reducing collisions on secondary channels in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345A (ko) * 2008-10-31 2010-05-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 접속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53214A (zh) 2013-04-17
JP5688148B2 (ja) 2015-03-25
JP2013537783A (ja) 2013-10-03
BR112013004118A2 (pt) 2016-06-28
KR20130041242A (ko) 2013-04-24
EP2609787A1 (en) 2013-07-03
US20120044879A1 (en) 2012-02-23
EP2609787A4 (en) 2017-08-09
US8345547B2 (en) 2013-01-01
WO2012027292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759B1 (ko) 중첩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채널을 위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
US20230037649A1 (en) Techniques of improving edca mechanism in spatial reuse
US11523424B2 (en) Scheduling in license assisted access
CN105991211B (zh) 非授权频段下的参考信号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EP3335516B1 (en) Listen-before-talk with adaptive post-backoff wait time
US10117106B2 (en) Backoff mechanism techniques for spatial reuse
WO2016161710A1 (zh) 信道占用概率的调整方法、调整系统和设备
US9608795B2 (en) Dynamic bandwidth control in interference situations
JP7224542B2 (ja) Ieee802.11とのよりよい共存を実現するための、ieee802.15.4のための衝突回避付きハイブリッドキャリアセンスマルチプルアクセスシステム
WO2016072908A1 (en) Dynamic listen before talk in license-assisted access
TW202320581A (zh) 用於側鏈通訊的裝置
WO2017020384A1 (zh) 基于负载的lbt信道检测方法及系统、基站和终端
EP3474623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5778623B2 (ja) 無線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WO2021156796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channel access mode in unlicensed spectrum
US20230300885A1 (en) Sidelink transmission over unlicensed bands
WO201613814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lte-u network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