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755B1 -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755B1
KR101425755B1 KR1020130083490A KR20130083490A KR101425755B1 KR 101425755 B1 KR101425755 B1 KR 101425755B1 KR 1020130083490 A KR1020130083490 A KR 1020130083490A KR 20130083490 A KR20130083490 A KR 20130083490A KR 101425755 B1 KR101425755 B1 KR 10142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video call
screen corresponding
scree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윤
서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8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755B1/ko
Priority to JP2013263500A priority patent/JP6097679B2/ja
Priority to US14/193,859 priority patent/US94199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 방법은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METHOD FOR DISPLAYING INTERFACE OF APPLICATION DURING VIDEO CALL}
아래 실시예들은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통화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영상통화 화면 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편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던 음성통화 기능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영상통화 기능이 대중화되고 있다. 영상통화는 음성통화와는 달리 모바일 기기에 영상을 센싱하고 출력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도 영상을 센싱하고 출력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영상통화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이 어려울 수 있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영상통화 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필요가 있는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불가능할 경우, 커뮤니케이션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통화 중에 채팅, 사진 전송, 화면 공유, 소리 공유, 위치 공유, 스케치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투명도에 따라서, 영상통화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오버레이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화면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오버레이된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영상통화 화면을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영상통화 시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의 투명도 또는 영상통화 화면과의 오버레이 가능성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불투명한 경우, 상기 영상 통화를 종료하고,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불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일부에 가해지는 물리적 자극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물리적 자극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에 변형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외부 자극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일부에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드래그 동작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말아 올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 버튼에 가해지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단말의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 버튼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버튼에 가해지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간 상태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단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간 상태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그래픽 효과의 일부에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드래그 동작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가기 전의 상태로 풀어 내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의 투명도 또는 영상통화 화면과의 오버레이 가능성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불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일부에 가해지는 물리적 자극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물리적 자극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에 변형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외부 자극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일부에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드래그 동작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말아 올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간 상태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단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간 상태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그래픽 효과의 일부에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드래그 동작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가기 전의 상태로 풀어 내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통화 중에 채팅, 사진 전송, 화면 공유, 소리 공유, 위치 공유, 스케치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투명도에 따라서, 영상통화 화면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오버레이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화면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오버레이된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영상통화 화면을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영상통화 시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영상통화 중 채팅 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3은 채팅 화면이 영상통화 화면 위에 오버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4는 오버레이된 채팅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가는 과정을 나타낸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5는 말려 올라간 채팅 화면이 단말의 상단에 나타나 있는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6은 단말의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채팅 중 영상통화 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영상통화의 실행에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한다(110).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영상통화의 실행에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단말이 사용자에 의한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고,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에 따라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단말의 자원은 영상 센서, 음성 센서, 영상 출력부 및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120).
다른 어플리케이션이란 영상통화 도중에 단말의 사용자가 실행한 채팅, 사진 전송, 화면 공유, 소리 공유, 위치 공유, 스케치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영상통화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영상통화 도중에 단말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지 여부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영상통화 화면 위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 한다(130).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이란 영상통화 도중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특성, 디스플레이의 투명도, 인터페이스의 동작 또는 영상통화 화면과의 오버레이 가능성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통화 화면 위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오버레이의 수행 방식을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어 영상통화 화면과의 오버레이가 가능한 경우, 영상통화 화면 위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투명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단말의 화면에 오버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단말 사용자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드래그하는 경우, 오버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책장이 넘어가는 형태로 말려 올라가고, 영상통화 화면이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말려 올라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이와 같은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서 단말의 화면에 그래픽 효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화면의 상단에 말려있는 종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단말의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으로 처리될 수 있다.
말려 올라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단말 사용자의 반대 동작에 의해서 다시 단말의 화면에 펼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사용자가 단말 화면의 상단에 표시된 말려 있는 종이 형태를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드래그 동작 방향을 따라서 다시 단말의 화면에 펼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단말의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2는 영상통화 중 채팅 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통화 화면(210),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220)가 나타나 있다. 단말의 사용자는 영상통화 도중에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 채팅 아이콘(230)을 터치할 수 있다.
도 3은 채팅 화면이 영상통화 화면 위에 오버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통화 화면 위에 반투명의 채팅 화면이 오버레이되어 있고, 채팅 화면 하단의 모서리가 접혀있다. 단말의 사용자는 채팅 화면 하단의 모서리를 드래그하여 채팅 화면을 접어 올릴 수 있다.
도 4는 오버레이된 채팅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가는 과정을 나타낸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통화 화면 위에 반투명의 채팅 화면이 오버레이되어 있고, 채팅 화면 하단의 모서리가 접혀있다. 단말의 사용자가 채팅 화면 하단의 모서리를 드래그 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반투명의 채팅 화면은 단말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서 드래그 동작의 방향으로 말려 올라간다. 이러한 동작은 단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5는 말려 올라간 채팅 화면이 단말의 상단에 나타나 있는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채팅 화면이 말린 종이 형태의 그래픽 효과로 단말의 상단에 나타나 있다. 말린 종이 형태는 그래픽 효과의 예시일 뿐이므로, 그래픽 효과에는 단말 화면의 일부에 채팅 화면이 압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모든 시각적 처리를 포함될 수 있다. 말린 종이 형태의 채팅 화면을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기 위해서, 영상통화 화면을 단말 화면의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영상통화 화면을 축소하여 말린 종이 형태의 채팅 화면을 제외한 단말 화면의 면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단말의 사용자가 말려 올라간 채팅 화면을 다시 펼칠 경우, 채팅 화면을 말아 올리기 전과 동일한 형태로 영상통화 화면 위에 반투명 채팅 창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단말의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불투명한 영상통화 화면 위에 반투명하게 오버랩 된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601),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602) 및 사용자의 손(603)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영상통화 중에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601)이 영상통화 화면 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영상통화 중에 스케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케치 기능을 완전히 종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의 화면에 영상통화 화면만 디스플레이하고 싶은 경우, 버튼(602)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602)을 터치할 경우,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601)은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영상통화 화면만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 때,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것은 아니며, 스케치 상태는 보존된다.
사용자가 다시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601)을 디스플레이 하고 싶은 경우, 버튼(602)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가 중단된 스케치 화면이 종전의 스케치 상태를 유치한 채로 영상통화 화면 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 된다. 종전의 스케치 상태는 버튼(602)의 터치로 소멸되지 않으며, 스케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경우에 소멸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한다(71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단말이 사용자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단말의 자원은 영상 센서, 음성 센서, 영상 출력부 및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모니터링한다(720).
어플리케이션이란 채팅, 사진 전송, 화면 공유, 소리 공유, 위치 공유, 스케치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도중에 단말이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지 여부로 영상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영상통화 화면 위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한다(730).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이란 영상통화 도중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특성, 디스플레이의 투명도, 인터페이스의 동작 또는 영상통화 화면과의 오버레이 가능성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통화 화면 위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오버레이의 수행 방식을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경우, 영상통화 화면 위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투명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반투명하게 오버레이 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한 제어 방법은 도 1에 대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채팅 중 영상통화 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단말 화면의 스크린샷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채팅 화면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나타나 있다. 채팅 화면은 단말의 화면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단말의 사용자는 채팅 도중에 영상통화를 하기 위해 영상통화 아이콘(810)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통화 화면이 단말의 화면에 불투명하게 표시되고, 그 위에 채팅 화면이 반투명하게 오버레이될 수 있다. 채팅 화면이 오버레이된 이후의 동작 특성은 도 1 내지 도 7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장치(900)는 통신부(910), 센싱부(920), 처리부(930), 입력부(940), 출력부(950) 및 저장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10)는 다른 단말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920)는 단말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의 방위, 단말의 가속/감속 등과 같은 단말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처리부(930)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장치(900)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처리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930)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판단이나 연산을 위해 존재한다. 입력부(940)는 사용자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940)는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드, 카메라, 마이크, 각종 센서 등을 통해 기능 공유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저장부(960)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장치(900)가 영상통화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단말 간에 주고 받은 데이터, 각종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960)는 다양한 저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각 유닛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 9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거나,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오버레이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의 투명도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불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일부에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드래그 동작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말아 올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 버튼에 가해지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단말의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 버튼으로 대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가해지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간 상태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단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간 상태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의 일부에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드래그 동작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가기 전의 상태로 풀어 내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13.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거나,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오버레이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의 투명도에 따라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불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외부 자극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의 일부에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드래그 동작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말아 올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간 상태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단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간 상태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의 일부에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드래그 동작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그래픽 효과를 상기 오버레이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말려 올라가기 전의 상태로 풀어 내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KR1020130083490A 2013-02-28 2013-07-16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KR101425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90A KR101425755B1 (ko) 2013-07-16 2013-07-16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JP2013263500A JP6097679B2 (ja) 2013-02-28 2013-12-20 端末間機能共有方法及びその端末
US14/193,859 US9419923B2 (en) 2013-02-28 2014-02-28 Method for sharing function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90A KR101425755B1 (ko) 2013-07-16 2013-07-16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755B1 true KR101425755B1 (ko) 2014-08-04

Family

ID=5174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490A KR101425755B1 (ko) 2013-02-28 2013-07-16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7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1637A (ja) * 2014-09-30 2016-05-09 Kddi株式会社 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画面共有方法
WO2017022965A1 (ko) * 2015-08-06 2017-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보 전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10824307B2 (en) 2015-08-06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688A (ko) * 2005-12-20 2007-06-25 주식회사 팬택 화상 통화 중 sms 메시지의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07625A (ko) * 2008-07-14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075736B1 (ko) * 2005-05-16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전화 단말의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20007736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팝업창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736B1 (ko) * 2005-05-16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전화 단말의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70065688A (ko) * 2005-12-20 2007-06-25 주식회사 팬택 화상 통화 중 sms 메시지의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07625A (ko) * 2008-07-14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20120007736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팝업창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1637A (ja) * 2014-09-30 2016-05-09 Kddi株式会社 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画面共有方法
WO2017022965A1 (ko) * 2015-08-06 2017-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보 전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10824307B2 (en) 2015-08-06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1216163B2 (en) 2015-08-06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EP35219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isplay and storage medium
US112945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ratio between interfaces
CA2792685C (en) Method of modifying rendered attributes of list elements in a user interface
JP6363365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含む画面表示制御装置及び画面表示制御方法
EP2584462B1 (en) Method of rendering a user interface
EP2584464B1 (en) Method of rendering a user interface
US9195362B2 (en) Method of rendering a user interface
EP2584463B1 (en) Method of rendering a user interface
JP626429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792181C (en) Method of distributed layout negotiation in a user interface framework
EP2584445A1 (en) Method of animating a rearrangement of ui elements on a display screen of an eletronic device
US20150100914A1 (en) Gestures for multiple window operation
CN113055629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94951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277888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063785A1 (en) Method of overlappingly displaying visual object on video,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JP6433923B2 (ja) デバイスへの特定のオブジェクト位置の提供
KR101425755B1 (ko)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EP2911115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lor extraction
KR101648611B1 (ko)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CN112363787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EP29277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JP2015141662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