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611B1 -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611B1
KR101648611B1 KR1020130083492A KR20130083492A KR101648611B1 KR 101648611 B1 KR101648611 B1 KR 101648611B1 KR 1020130083492 A KR1020130083492 A KR 1020130083492A KR 20130083492 A KR20130083492 A KR 20130083492A KR 101648611 B1 KR101648611 B1 KR 101648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function
video call
call
video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644A (ko
Inventor
문정윤
서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8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611B1/ko
Priority to JP2013263500A priority patent/JP6097679B2/ja
Priority to US14/193,859 priority patent/US9419923B2/en
Publication of KR2015000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Abstract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이 개시된다. 그 방법은 단말 간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중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한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METHOD OF SWITCHING VIDEO CALL TO VOICE CALL}
아래 실시예들은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간 영상통화 중에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자동으로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성통화만 존재했으나, 영상통화 기능이 등장하면서 영상통화 기능과 음성통화 기능을 조율할 필요성이 생겼다. 음성통화 기능은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단말간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영상통화 기능은 마이크, 스피커, 화상 카메라, 디스플레이 화면 통해 단말간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또한, 영상통화는 음성통화와는 달리 디스플레이 화면을 바라보며 통화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나 카메라 상태에 따라 영상통화를 원활하게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통화 중 특정 기능의 실행으로 인해 영상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영상통화 중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이 사용하는 단말 자원을 판단하여 영상통화를 유지한 채 특정 기능을 동시에 실행할 것인지,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할 것인지 판단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단말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능과 영상통화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단말 간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중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한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이 상기 영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이용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한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과 상기 영상통화가 동일한 자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과 상기 영상통화가 동일한 자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의 영상 출력이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오버랩 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하거나, 상기 영상통화의 디스플레이 효과와 상기 특정 기능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통화의 화면과 상기 특정 기능의 화면을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이 영상 입력 수단 또는 영상 출력 수단을 이용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통화 모드의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단말 간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중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의 투명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하거나, 상기 영상통화의 디스플레이 효과와 상기 특정 기능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통화의 화면과 상기 특정 기능의 화면을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한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영상통화의 인터페이스에 오버랩 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통화 모드의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통화 중 특정 기능의 실행으로 인해 영상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영상통화 중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이 사용하는 단말 자원을 판단하여 영상통화를 유지한 채 특정 기능을 동시에 실행할 것인지,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할 것인지 판단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단말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능과 영상통화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영상통화 중에 채팅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영상통화 화면 위에 채팅 화면이 오버랩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영상통화가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 되었음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영상통화 중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다(110).
영상통화 중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의 사용자가 다른 단말의 사용자와 영상통화를 하는 중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단말이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특정 기능이란, 음성 통화 기능, 영상 통화 기능, 화면 공유 기능, 카메라 공유 기능, 소리 공유 기능, 게임 기능, 스케치 기능, 채팅 기능, 위치 공유 기능, 사진 또는 영상 전송 기능 등 스마트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의미한다. 각각의 기능이 실행되기 위해서,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등 단말의 자원이 이용되기 때문에, 영상통화 중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위해서 단말 자원의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한다(120).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위해서,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상기 자원 중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공유 기능과 채팅 기능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하는 단계는 특정 기능이 영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자원을 이용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영상통화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및 카메라 자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 기능이 이러한 자원들을 이용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감지한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한다(130).
감지한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과 영상통화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이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과 영상통화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이 중복되는 경우에도, 특정 기능과 영상통화 기능이 단말의 자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공유 기능이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불투명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영상통화 기능과 단말의 디스플레이 자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는, 채팅 기능이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반투명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영상통화 기능과 단말의 디스플레이 자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감지한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우선,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과 영상통화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이 중복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고,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과 영상통화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 영상통화 기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과 영상통화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이 중복되고, 영상통화 기능과 단말의 디스플레이 자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영상통화 기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과 영상통화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이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되고, 영상통화 기능과 단말의 디스플레이 자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영상통화 기능을 음성통화 기능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영상통화 중에 채팅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통화 화면(210)에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이 배열된 인터페이스가 나타나 있다. 사용자는 영상통화 중 채팅 기능(22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의 소음 때문에 대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서로 얼굴을 보며 채팅을 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채팅 창이 영상 통화 화면 위에 반투명하게 오버랩 될 수 있다면, 영상통화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채팅 창이 영상 통화 화면 위에 반투명하게 오버랩 될 수 없다면,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통화 중 스케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스케치 기능이 반투명한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기능인 경우, 영상통화는 음성통화로 전환되지 않고, 영상통화 화면 위에 스케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3은 영상통화 화면 위에 채팅 화면이 오버랩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채팅 창이 영상 통화 화면 위에 반투명하게 오버랩 될 수 있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영상통화를 위한 화면 위에 채팅 인터페이스가 반투명하게 오버랩 되어 있다. 이 경우, 영상통화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채팅 인터페이스가 불투명한 경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가 반투명하게 오버랩 된 채 영상통화가 유지되는 경우, 단말의 사용자는 채팅 인터페이스와 영상통화 화면 중 어느 것을 상위에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과정은 채팅 기능뿐만 아니라 스케치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영상통화가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 되었음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영상통화 중 특정 기능이 실행되어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경우, 단말의 화면에 영상통화가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 되었음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4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영상통화가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된 경우 영상통화 인터페이스도 음성통화 인터페이스로 자동 전환 될 수 있다. 단말의 사용자는 영상통화가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 되었음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통해 통화 모드의 전환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영상통화 중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다(510).
영상통화 중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의 사용자가 다른 단말의 사용자와 영상통화를 하는 중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단말이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특정 기능이란, 음성 통화 기능, 영상 통화 기능, 화면 공유 기능, 카메라 공유 기능, 소리 공유 기능, 게임 기능, 스케치 기능, 채팅 기능, 위치 공유 기능, 사진 또는 영상 전송 기능 등 스마트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의미한다.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520).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가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공유 기능은 단말의 스피커 자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카메라 공유 기능은 카메라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는 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상기 자원 중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가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가 영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자원을 이용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영상통화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및 카메라 자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가 이러한 자원들을 이용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특정 기능이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의 투명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영상통화 화면과 특정 기능이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가 오버랩 되어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은 획득한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한다(530).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영상통화의 화면과 특정 기능의 화면을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기능이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반투명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영상통화의 화면과 특정 기능의 화면을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영상통화의 화면과 특정 기능의 화면을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경우 영상통화를 유지한 채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투명도를 포함한 영상통화의 디스플레이 효과와 특정 기능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조절하여 영상통화의 화면과 특정 기능의 화면을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를 영상통화 화면에 오버랩 하여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경우, 영상통화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영상통화의 화면과 특정 기능의 화면을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장치(600)는 통신부(610), 센싱부(620), 처리부(630), 입력부(640), 출력부(650) 및 저장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다른 단말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620)는 단말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의 방위, 단말의 가속/감속 등과 같은 단말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장치(600)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처리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930)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을 위해 필요한 각종 판단이나 연산을 위해 존재한다. 입력부(640)는 사용자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640)는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드, 카메라, 마이크,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저장부(660)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장치(600)가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을 위해 사용자간에 주고 받은 데이터, 각종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660)는 다양한 저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각 유닛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 6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단말 간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중 화면 공유 기능, 카메라 공유 기능, 소리 공유 기능, 게임 기능, 스케치 기능, 채팅 기능, 위치 공유 기능, 사진 전송 기능 및 영상 전송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기능 중에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행 명령에 따라 실행되는 상기 특정 기능의 종류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하거나, 상기 영상통화의 화면과 상기 특정 기능의 화면을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의 종류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이 상기 영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의 자원을 이용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한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과 상기 영상통화가 동일한 자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과 상기 영상통화가 동일한 자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의 영상 출력이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오버랩 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이 이용하는 단말의 자원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이 영상 입력 수단 또는 영상 출력 수단을 이용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통화 모드의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하거나, 상기 영상통화의 화면과 상기 특정 기능의 화면을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의 디스플레이 효과와 상기 특정 기능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하거나, 상기 영상통화의 화면과 상기 특정 기능의 화면을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10. 단말 간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중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하거나, 상기 영상통화의 디스플레이 효과와 상기 특정 기능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통화의 화면과 상기 특정 기능의 화면을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의 투명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영상통화의 인터페이스에 오버랩 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모드를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통화 모드의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하거나, 상기 영상통화의 화면과 상기 특정 기능의 화면을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의 디스플레이 효과와 상기 특정 기능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자동 전환하거나, 상기 영상통화의 화면과 상기 특정 기능의 화면을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단말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KR1020130083492A 2013-02-28 2013-07-16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KR10164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92A KR101648611B1 (ko) 2013-07-16 2013-07-16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JP2013263500A JP6097679B2 (ja) 2013-02-28 2013-12-20 端末間機能共有方法及びその端末
US14/193,859 US9419923B2 (en) 2013-02-28 2014-02-28 Method for sharing function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92A KR101648611B1 (ko) 2013-07-16 2013-07-16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644A KR20150009644A (ko) 2015-01-27
KR101648611B1 true KR101648611B1 (ko) 2016-08-17

Family

ID=5248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492A KR101648611B1 (ko) 2013-02-28 2013-07-16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869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통화 중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91913A (ko) 2016-02-02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59864B1 (ko) * 2021-09-16 2022-10-28 주식회사 나로수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209B1 (ko) 2002-10-08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화상 단말기의 부가 기능 실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092A (ko) * 2005-04-26 2006-10-3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화상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65688A (ko) * 2005-12-20 2007-06-25 주식회사 팬택 화상 통화 중 sms 메시지의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110056638A (ko) * 2009-11-23 201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209B1 (ko) 2002-10-08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화상 단말기의 부가 기능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644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1320B2 (en)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context awareness service using speech recognition
EP3136658A1 (en) Method, device, terminal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changing emoticon in chat interface
US11762529B2 (en)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 icon and electronic device
US10073672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voice control of a split-screen terminal
EP3196751A1 (en) Gesture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EP31478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101944416B1 (ko) 영상 통화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572322A (zh) 一种终端屏幕操作的方法
EP327630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bending angle
CN105160898A (zh) 车辆限速方法及装置
EP332222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5472157A (zh) 终端运动状态监测方法及装置
KR101648611B1 (ko) 영상통화-음성통화 전환 방법
KR102094392B1 (ko) 복수의 마이크로폰들을 구비하는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24506809A (ja) 危険行為の識別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並びに記憶媒体
JP2023520278A (ja) 測位方法、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プログラム及び製品
CN110072148B (zh) 一种基于主从模式的车载信息系统的实现方法
US10353504B2 (en) User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s equipped with pressure-sensitive displays
US201700131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thereof
KR101425755B1 (ko) 영상통화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CN107315517A (zh) 用于防误触的方法、装置及智能终端
US94712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ize in portable terminal
EP3425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irtual document object model
KR102384874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CN113095485A (zh) 性能指标确定方法及装置、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