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741B1 - 화목 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741B1
KR101425741B1 KR1020130000753A KR20130000753A KR101425741B1 KR 101425741 B1 KR101425741 B1 KR 101425741B1 KR 1020130000753 A KR1020130000753 A KR 1020130000753A KR 20130000753 A KR20130000753 A KR 20130000753A KR 101425741 B1 KR101425741 B1 KR 101425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pe
combustion chamber
inclined pip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802A (ko
Inventor
김윤회
Original Assignee
김윤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회 filed Critical 김윤회
Priority to KR102013000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7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 F23B5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the fuel forming a column, stack or thick layer with the combustion zone at its bottom
    • F23B50/04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the fuel forming a column, stack or thick layer with the combustion zone at its bottom the movement of combustion air and flue gases being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movement of the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8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for furnaces having movable grate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1/00Pretreatment of solid fuel
    • F23K2201/20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6Solid fuel fired boiler
    • F24D2200/065Wood fired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자동으로 연료 투입이 제어되도록 연료 공급 구조 및 연료 제어 시스템을 개선함과 아울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통 구조를 개선한 화목 보일러가 개시된다. 화목 보일러는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을 커버하며 상기 연소실과의 사이에 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연소실의 연소 가스를 배기하는 배기부와, 상기 연소실로 연료를 투입하기 위한 연료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투입부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연소실과 통하는 경사관을 구비한다. 따라서, 자동으로 연료 공급 및 제어가 가능하고, 연소중에도 화상의 위험이 없이 지속적인 추가 연료 투입을 행할 수 있으며, 추가 연료 투입 시 가스의 역류를 별도의 구동수단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연료를 가열 및 건조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초기 점화에 유리하다.

Description

화목 보일러{Firewood boiler}
본 발명은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산업 분야에서 화목을 연료로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난방을 하거나 온수를 사용하기 위한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목 보일러는 화목을 주연료로 하여 난방을 수행하거나 온수를 얻는 장치로서, 기름 보일러, 가스 보일러 등에 비해 연료비를 절감하고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갖는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11658호(2005.08.24)에는 수직형 화목 보일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목 보일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목보일러(100)는 연소실(110)과, 하우징(140) 및 급탕관(160)을 구비한다.
연소실(110)에서 땔감이 연소되며, 하우징(140)은 연소실(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난방수가 채워지도록 연소실(110)을 감싼다. 급탕관(160)은 연소실(110)의 외측을 감싸며 양단이 하우징(14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수직으로 위치하는 연소실(110)의 측부에는 땔감을 장입하기 위한 화구(131)가 형성되고, 개폐문(135)이 여닫이식으로 설치되어 개폐된다. 하우징(14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커플러(152,154,155,156)가 형성되어 난방수용 관(173)과, 급탕수용 관(163)과, 온도게이지(181) 및 안전밸브(18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연소실(110)의 상단에는 연통(120)이 구비되고, 수평형 장입통(130)이 연소실(110)의 하단 측부에 연통된다. 상기 연소실(110)의 상단 측에는 다수개의 가열관(111)이 위치하며, 가열관(111)의 양단이 연소실(110)의 외측벽으로 노출됨으로써 연소실(110)의 외측에 채워진 난방수(1)가 가열관(111)을 따라 유동한다. 개폐문(135)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35h)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관통공(135h)과 대응하여 회전식 공기조절판(137)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식 공기조절판(137)에 형성된 관통공(137h)은 공기조절판(137)의 회전에 따라 개폐문(135)의 관통공(135h)과 연통된다. 장입통(130)의 외측면에는 보강대(133)가 고정되어 장입통(130)의 열변형을 방지한다. 하우징(140)은 수직통부(141) 및 수평통부(143)로 구성되며, 받침대(139)는 연소실(110)과 하우징(140)의 사이에 형성되어 난방수(1)가 유동되도록 한다. 급탕관(160)에는 급탕수(2)가 유동되어 연소실(110)과 열교환된다.
하지만, 종래의 화목 보일러는 연료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수동 공급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연료 투입이 난해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연료 투입의 제어가 불가능하여 과열에 의한 폭발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목 보일러는 나무칩 형태로 제작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방식의 경우 별도로 나무칩을 제작하는데 에너지가 소요되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화목 보일러는 습기에 의해 젖은 연료가 투입될 경우 연소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열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11658호(2005.08.2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연료 투입이 제어되도록 연료 공급 구조 및 연료 제어 시스템을 개선함과 아울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통 구조를 개선한 화목 보일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는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을 커버하며 상기 연소실과의 사이에 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연소실의 연소 가스를 배기하는 배기부와, 상기 연소실로 연료를 투입하기 위한 연료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투입부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연소실과 통하는 경사관을 구비하며, 배기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사관의 외측을 커버하며 상기 경사관과의 사이에 연소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 배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에서, 배기관은, 연소실에 통하게 연결되어 연소 가스를 배기하는 제2 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배기관에 연소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료투입부는 투입된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 수용망을 구비하고, 상기 연료 수용망은 상기 경사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연소실 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료투입부는 연료 수용망과 연결되어 상기 연료 수용망을 경사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연료 수용망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 수용망을 경사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탄성 복원시키는 제1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연료투입부는 상기 경사관의 내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투입되는 연료의 하중에 의해 경사관의 내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시키는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사관의 외주면을 따라 연료 수용망을 연소실 측으로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사관은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집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료투입부는, 상기 경사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폭에 따라 상기 연료 수용망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화력조절용 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사관은 마디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체결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수의 단위 경사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는 자동으로 연료 공급 및 제어가 가능하고, 연소중에도 화상의 위험이 없이 지속적인 추가 연료 투입을 행할 수 있으며, 추가 연료 투입 시 가스의 역류를 별도의 구동수단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연료를 가열 및 건조시켜 열효율이 향상되며 초기 점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목 보일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의 굴뚝과 경사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의 연료 수용망을 도시한 경사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의 통공을 도시한 경사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의 화력조절용 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의 제2 도어를 도시한 경사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화목 보일러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3)는 연소실(31)과, 하우징(33)과, 연료투입부 및 배기관(35)을 포함한다.
연소실(31)은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를 구비하고, 내부의 공간부에서 연료가 연소된다. 상기 연료는 고체 화목, 건조된 동식물, 가연성 합성수지류 등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서, 간벌 목, 벌목 잔류물, 폐목 종이류 등 가연성 폐기물일 수 있다. 연소실(31)의 내부에는 점화를 행하는 가스 버너 등의 점화 수단(311)과, 상기 점화 수단(311)에 급기 및 제어를 수행하는 관리 및 급구 수단(312)이 마련된다. 상기 점화 수단(311)은 연소실(31)의 하측에 배치되나, 그 위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하우징(33)은 연소실(31)을 둘러싸며, 하우징(33)과 연소실(3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물이 수용된다. 하우징(33)에는 급수관(331) 및 배수관(332)이 구비되며, 급수관(331)은 하우징(33)과 연소실(31)의 사이 공간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통로가 되고 배수관(332)은 하우징(33)과 연소실(31)의 사이 공간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통로가 된다. 상기 하우징(33)과 연소실(31) 사이의 공간부에 수온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333)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 센서(333)에 의해 획득된 물의 온도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전달되어, 유압라인(354)을 통하여 후술할 실린더(373)를 제어한다. 온도 센서(333)는 연소실(31) 내부의 온도를 직접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 센서(333)는 공간부에 위치되도록 하우징(33) 또는 연소실(3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3) 및 연소실(31)에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감시창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연료투입부는 연소실(31)로 연료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사관(37)과, 화력조절용 관(37-5)과, 연료 수용망(371)과, 실린더(373)와, 제1 탄성 부재(375)와, 제2 도어(378) 및 제2 탄성 부재(379)를 구비한다.
경사관(37)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가 연소실(31)과 통하게 연결된다. 경사관(37)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마디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단위 경사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관(37)으로 투입된 연료는 경사면을 따라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연소실(31)로 이동한다. 상기 단위 경사관들은 서로 체결 가능하며,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로 제1 경사관(37-1), 제2 경사관(37-2), 제3 경사관(37-3), 제4 경사관(37-4)으로 이루어진다. 제1 경사관(37-1)의 상부측 단부는 개구되고, 밀봉용 뚜껑(3709)이 제1 경사관(37-1)에 구비되어 제1 경사관(37-1)의 상부측 단부를 개폐한다. 제1 경사관(37-1)의 하부측 단부는 제2 경사관(37-2)의 상부측 단부에 연결된다. 제3 경사관(37-3)은 제2 경사관(37-2)의 하부측 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후술할 제2 도어(378) 및 제2 탄성 부재(379)를 구비한다.
제4 경사관(37-4)의 상부측 단부는 제3 경사관(37-3)에 연결되고, 하부측 단부는 연소실(31)의 내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3 경사관(37-3)과 제4 경사관(37-4)의 사이에는 추가로 단위 경사관이 구비될 수 있고, 추가로 구비되는 단위 경사관의 길이 또는 개수를 조절하여 경사관(37) 내부로 일시에 투입되는 연료의 길이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4 경사관(37-4)의 하부 측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3701)이 형성된다. 슬롯(3701)은 경사관(37)의 측면에서 내부와 외부롤 통하게 하여 제4 경사관(37-4)의 내부에 위치한 연료 수용망(371)을 연소실(31) 측으로 노출시킨다. 연소실(31) 내에서 점화된 불꽃은 통공(3701)을 통해 연료 수용망(371)에 수용된 연료를 연소시킨다. 상기 제4 경사관(37-4)은 제4 경사관(37-4)의 측방으로 연결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수집관(374)을 구비한다. 상기 수집관(374)의 단부는 하우징(33)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수집관(374)은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진액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열되면서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 등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 수집관(3741)과, 제1 수집관(3741)의 하부에 구비되어 목타르 등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 수집관(37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력조절용 관(37-5)은 경사관(37)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단위 경사관들 중 최하부에 위치한 제4 경사관(37-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화력조절용 관(37-5)은 제4 경사관(37-4)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게 이동할 때 연료 수용망(371)의 노출 범위가 감소하며, 제4 경사관(37-4)의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게 이동할 때 연료 수용망(371)의 노출 범위가 증가한다. 화력조절용 관(37-5)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렉 기어(3702) 및 수집관용 슬롯(3703)이 형성된다. 렉 기어(3702)에는 피니언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치합되며, 피니언 기어에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화력조절용 관(37-5)은 슬라이딩 폭에 따라 연료 수용망(371)에 수용된 연료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여 연소실(31)의 화력을 제어한다. 화력조절용 관(37-5)과 경사관(37)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화력조절용 관(37-5)의 지름이 경사관(37)의 지름보다 크게 되어 상기 화력조절용 관(37-5) 내측으로 경사관(37)이 위치한다. 렉 기어(3702)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는 배기관(35)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연료 수용망(371)은 상방으로 개구된 메쉬 형상의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제4 경사관(37-4)의 내부에 구비되어 경사관(37)으로 투입된 연료를 수용한다. 연료 수용망(371)의 상부측은 개구되게 형성되어 연료가 투입되며, 하부측은 폐쇄된다. 상기 연료 수용망(371)은 제4 경사관(37-4)의 하단으로부터 연소실(31) 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료 수용망(371)은 제4 경사관(37-4)에 대해 인출됨에 따라 연료실(31) 측으로 노출 범위가 증가되며, 인입됨에 따라 연료실(31) 측으로 노출 범위가 감소한다. 실린더(373)는 연료 수용망(371)과 연결 부재(372)에 의해 연결되어, 연료 수용망(371)을 경사관(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킨다. 실린더(373)는 유압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온도 센서(333)에서 센싱되어 제어부로 전달된 신호에 의하여 신창 압축되도록 제어되어 연료 수용망(371)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여 연소실(31)의 화력을 제어한다. 상기 실린더(373)는 연소실(31)에 상향 경사지고 경사관(37)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 탄성 부재(375)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제4 경사관(37-4)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다. 제1 탄성 부재(375)의 일측은 제4 경사관(37-4)의 내측에 구비된 지지 부재(3751)에 지지되고, 타측에 와이어(377)가 연결된다. 와이어(377)는 제4 경사관(37-4)에 설치된 롤러(376)에 지지되어 제1 탄성 부재(375)와 연료 수용망(371)을 연결한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75)는 연료 수용망(371)을 경사관(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탄성 복원시킴에 따라, 온도 센서(333)의 고장, 실린더(373)의 오작동, 연결 부재(372)의 끊어짐 등에 의한 자동 온도 제어 수단의 오류 시 연소실(31)의 연소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제2 도어(378)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3 경사관(37-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경사관(37)의 내부를 개폐한다. 제2 도어(378)는 다른 단위 경사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도어(378)는 회전축(3781)에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투입되는 연료의 하중에 의해 경사관(37)의 내부를 개방하는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탄성 부재(379)는 제2 도어(378)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2 탄성 부재(379)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제2 도어(378)의 회전축(3781)에 구비된다. 제2 탄성 부재(379)는 연료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제2 도어(378)가 개방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됨으로써 연료가 걸리지 않는다. 또한, 제2 탄성 부재(379)는 연료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탄성 복원되어 제2 도어(378)가 폐쇄 방향으로 복귀됨으로써 연소중 연료의 추가 투입 등의 상황에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도 연소실(31) 내부의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관(35)은 연소실(31)의 연소 가스를 배기한다. 상기 배기관(35)은 제1 배기관(351)과, 제2 배기관(352)과, 제1 도어(353) 및 제3 배기관(355)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배기관(351)은 일측이 연소실(31)의 내부와 통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 배기관(351)은 적어도 일부가 경사관(37)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경사관(37)과 제1 배기관(351)의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S)를 통해 연소실(31) 내부의 연소 가스가 배기된다. 제1 배기관(351)은 공간부(S)를 통해 배기되는 연소 가스에 의해 경사관(37) 내부의 연료를 가열 및 건조시킨다. 제1 배기관(351)은 경사관(37)과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사관(37)의 외측을 덮는 형태이면 다른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배기관(352)은 일측이 연소실(31)의 내부와 통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제1 배기관(351) 또는 제3 배기관(355)으로 연통된다. 제3 배기관(355)은 제1 배기관(351)으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상기 배기관(355)은 제1 배기관(351)과 제2 배기관(352)의 연결 부위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배기관(352)은 연소 가스를 배기하며, 제2 배기관(352)으로 배기되는 연소 가스는 제1 도어(353)에 의해 연소실(31)로부터 제1 배기관(351)을 통해 배기되는 연소 가스의 유로로 바이패스된다. 제1 도어(353)는 제2 배기관(352)에 구비되어 제2 배기관(352)의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유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1 도어(353)는 제2 배기관(352)으로 배기되는 연소 가스를 제1 배기관(351) 측으로 바이패스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도어(353)가 제2 배기관(352)을 폐쇄하는 경우, 연소 가스가 제1 배기관(351) 측으로만 배기되어 경사관(37) 내부의 연료를 배기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가열 및 건조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며, 이러한 효과는 초기 점화 시 더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 화목 보일러 31 : 연소실
33 : 하우징 35 : 배기관
351 : 제1 배기관 352 : 제2 배기관
353 : 제1 도어 37 : 경사관
371 : 연료 수용망 373 : 실린더
375 : 제1 탄성 부재 378 : 제2 도어
379 : 제2 탄성 부재 3701 : 슬롯
374 : 수집관 37-5 : 화력조절용 관

Claims (8)

  1.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31)과, 상기 연소실(31)을 둘러싸며 상기 연소실(31)과의 사이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33)과, 상기 연소실(31)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연소 가스가 배기되는 통로가 되는 배기관(35)과, 상기 연소실(31)로 연료를 투입하기 위한 연료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투입부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연소실(31)과 통하는 경사관(37)을 구비하며; 상기 배기관(35)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사관(37)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경사관(37)과 배기관(35) 사이에 연소 가스가 배기되는 통로인 공간부(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35)은 분지되어 연소실(31)에 통하게 연결되어 연소 가스를 배기하는 제2 배기관(35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배기관(352)에 연소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도어(35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투입부는 경사관(37)의 내에 위치하여 투입된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 수용망(371)을 구비하고, 상기 연료 수용망(371)은 상부가 개구된 망체로서 상기 경사관(37)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연소실(31) 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투입부는 연료 수용망(371)과 연결되어 상기 연료 수용망(371)을 경사관(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373)와, 연료 수용망(371)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 수용망(371)을 경사관(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탄성 복원시키는 제1 탄성 부재(37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투입부는 상기 경사관(37)의 내부에 구비되어 경사관(37)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투입되는 연료의 하중에 의해 경사관(37)의 내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도어(378)와, 상기 제2 도어(378)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시키는 제2 탄성 부재(37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관(37)에는 하단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연료 수용망(371)을 연소실(31) 측으로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37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투입부는, 상기 경사관(37)의 하단을 둘러싸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력조절용 관(37-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KR1020130000753A 2013-01-03 2013-01-03 화목 보일러 KR101425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53A KR101425741B1 (ko) 2013-01-03 2013-01-03 화목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53A KR101425741B1 (ko) 2013-01-03 2013-01-03 화목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802A KR20140088802A (ko) 2014-07-11
KR101425741B1 true KR101425741B1 (ko) 2014-08-05

Family

ID=5173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753A KR101425741B1 (ko) 2013-01-03 2013-01-03 화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229B1 (ko) * 2018-10-18 2019-12-02 윤태희 펠릿난방기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83Y1 (ko) * 2002-04-02 2002-09-05 장진만 코크스 보일러의 열원 차단장치
KR200409459Y1 (ko) * 2005-12-09 2006-02-24 박군철 보조연소대를 갖는 개탄보일러
KR20120058027A (ko) * 2010-11-29 2012-06-07 홍성훈 친환경 우드 펠렛 다목적 난로
KR20120090198A (ko) * 2011-02-07 2012-08-17 박찬영 다용도 펠릿 화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83Y1 (ko) * 2002-04-02 2002-09-05 장진만 코크스 보일러의 열원 차단장치
KR200409459Y1 (ko) * 2005-12-09 2006-02-24 박군철 보조연소대를 갖는 개탄보일러
KR20120058027A (ko) * 2010-11-29 2012-06-07 홍성훈 친환경 우드 펠렛 다목적 난로
KR20120090198A (ko) * 2011-02-07 2012-08-17 박찬영 다용도 펠릿 화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229B1 (ko) * 2018-10-18 2019-12-02 윤태희 펠릿난방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802A (ko)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791B1 (ko) 버너
JP2009047350A (ja) 固形燃料ストーブ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101425741B1 (ko) 화목 보일러
KR101324474B1 (ko) 상하연소 방식의 화목보일러
KR200225845Y1 (ko) 목재용 온수보일러
RU195572U1 (ru) Отопи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KR101542350B1 (ko) 축열식 화목 난방장치
KR101958092B1 (ko) 수직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US20090277399A1 (en) Water heater and method of operating a waterheater
KR20120090725A (ko) 난방용 난로
KR20110045671A (ko) 펠렛연소용 보일러장치
KR20140071589A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1958087B1 (ko) 수평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101636713B1 (ko) 펠릿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110002162U (ko) 수직형 펠렛 보일러
KR101213718B1 (ko) 고체연료 보일러용 연소장치
KR200427345Y1 (ko) 왕겨를 주연료로 하는 보일러
KR20120054311A (ko) 우드펠렛 연소장치
KR101382582B1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KR101496354B1 (ko) 화목보일러의 폭파방지장치
RU1554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еллет в горелку котла
RU2621418C2 (ru) Пиролизный котел с верхним, послойным сжиганием топлива
KR101892718B1 (ko) 폐열 회수율이 극대화된 소각 보일러
KR20070008989A (ko) 왕겨를 주연료로 하는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