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325B1 -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 Google Patents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325B1
KR101425325B1 KR1020130155606A KR20130155606A KR101425325B1 KR 101425325 B1 KR101425325 B1 KR 101425325B1 KR 1020130155606 A KR1020130155606 A KR 1020130155606A KR 20130155606 A KR20130155606 A KR 20130155606A KR 101425325 B1 KR101425325 B1 KR 10142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ustomer
order
informa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3015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3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3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Abstract

A technology related to a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is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 system includes a main server for providing business information of at least one user; a customer terminal which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generates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business information of a user provided by the main serv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ordering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and a main terminal which is wiredly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receives the ordering information of a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and processes ordering and payment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ordering information.

Description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본 명세서는 대체로 PO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단말기를 통하여 통합 관리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POS sys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that is integrated and managed through a main terminal.

포스(POS, Point of Sale) 시스템은 판매시점에 판매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포스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영업공간에 설치된 포스 단말기와 메인 서버를 연결하여 상품이나 유통 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런 장점으로 인하여 포스 시스템은 편의점, 일반 도소매점, 외식업체, 백화점, 할인매장 등 여러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Point of Sale (POS) systems are systems that manage sales-related data at the point of sale. Through the POS system, the user can effectively manage various data generated in relation to products, distribution, etc. by connecting the POS terminal installed in his business space and the main server. Due to these advantages, POSS systems are widely used in convenience stores, general wholesalers, restaurants, department stores, discount stores, and other places.

최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무선통신수단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의 영업공간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본인들이 소지한 스마트 폰 등을 통한 손쉬운 주문을 원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고객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고객들의 주문을 원격으로 처리하고, 손쉬운 결제가 가능한 스마트 포스 시스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손쉬운 결제를 위해 매장에 근무하는 종업원들 각자가 직접 고객과 대면하여 결제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종업원의 결제 대금 횡령, 현금영수증 발급 및 소액 카드 결제 등의 증가로 카운터의 업무 과중, 판매 관련 데이터의 관리의 어려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업원이 직접 주문도 받고, 주방이나 창고 등에 근무하는 종업원에게 주문 내역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영업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종업원의 동선이 길어져서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주문량이 폭주하는 특정 시간에는 종업원의 업무량이 많아져서 주문이 누락되거나, 주문의 선후가 뒤집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고객의 원격 주문 및 손쉬운 결제가 가능하며, 종업원의 결제 대금 횡령 방지 및 판매 관련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며, 바쁜 시간대에 주문의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스마트 포스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ortable terminals, customers who visit the user's business space want easy ordering through smart phones owned by them. In addition, in order to meet these customers' needs, users are urged to develop SmartForce systems that can remotely process customer orders and settle easily. For easy settlement, each employee in the store can pay directly to the customer. In this cas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es, the issuance of cash receipts, the payment of a small amount of money, and the like may cause difficulty in managing the business data of the counter and sales data. On the other hand, an employee may receive orders directly, and sales may be carried out by transmitting orders to employees who work in a kitchen or a warehouse. In this case, unnecessary time wasting may occur due to a long copper wire. In addition, at a specific time when the order quantity rushes, the workload of the employee may increase, and the order may be omitted or the order of the order may be rever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mart force system that enables customers to remotely order and settle easily, to prevent the embezzlement of the payment amount of the employees, to manage the sales related data, and to effectively manage orders during busy times.

포스 시스템의 예가 공개특허 KR 10-2003-0091506 ‘포스 단말기의 무선 시스템’, 공개특허 KR 10-2011-0138846 ‘듀얼 모니터를 갖는 포스 장치’ 등에서 제안된 바 있다. 인용발명들 중 전자의 경우, 주문관리자가 직접 주문내역을 입력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어 손쉬운 주문 관리가 가능하다. 인용발명들 중 후자의 경우는 사용자용 모니터와 디스플레이 방향이 조절되는 고객용 모니터를 구비하는 포스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통하여 후자의 발명은 고객 접견 시간이 종료된 이후에 고객용 모니터를 사용자 모니터로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는 주문관리자가 직접 주문내역을 입력하고 출력함으로써 손쉬운 결제는 가능하나 주문관리자의 결제 대금횡령, 카운터 업무의 과중, 주문한 내용의 처리상황 확인 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는 고객용 모니터를 사용자용 모니터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업무편의에는 도움이 되나 고객의 주문 편의를 위한 원스탑(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미흡하다. 이 점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은 인용발명들과 차이가 있다.An example of a force system has been proposed in U.S. Patent No. 10-2003-0091506 'Wireless terminal system of POS terminal', and JP 10-2011-0138846 'POS device having dual monitor'. Among the cited inventions,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order manager can directly input the order details and output it, thereby facilitating the order management. The latter of the cited inventions relates to a force device having a user monitor and a customer monitor whose display direction is adjusted. Accordingly, the latter invention can convert the customer monitor to the user monitor after the customer interview time is over,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user. However,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order manager can input and output the order details directly, thereby making it easy to settle the order, but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order manager to grasp the payment amount, In the latter case, since the customer monitor is used as a monitor for the user, it is helpful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ut it is not enough to provide one-stop service for the convenience of the customer's order. In this regard,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presented herein differs from the cited invention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POS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영업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로부터 고객의 주문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메인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객 단말기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메인 단말기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 remote custom smart POS system is disclosed. The POS system includes a main server for providing sales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s, a server connected wirelessly with the main server and generating order information of a customer from the sales information of a user provided by the main server, To the main server, and a main server for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for processing the order progress and settlemen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Terminal.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provides only a selective concept in a simplified form as to wha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or limit the scope of essential features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of a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drawings, and the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illustrated in the figures, may be arranged, arranged, combined, or arranged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expressly contemplated, As shown in FIG. In the drawings, a width, a length, a thickness, a shape, or the like of an element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clearly express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elements.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또는 “연결되는”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 connected "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 deploy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the case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disposed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the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 between " and " between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라는 용어는 휴대폰, 태블릿 피씨, 노트북 등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의 입력, 처리 등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총망라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terminal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input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by wire or wireles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 PCs, and notebook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is present and not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110, 120, 130,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의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s (e.g., 110, 120, 130, ...)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Unless the specific order is describ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That is, step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내용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 이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disclosure disclosed herein may be omitted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disclosure.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100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showing a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100)은 메인 서버(110), 고객 단말기(120) 및 메인 단말기(13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NFC 태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 서브 단말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 POS 단말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POS 단말기(16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100)은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메인 단말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100 includes a main server 110, a customer terminal 120, and a main terminal 13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mote custom smart POS system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n NFC tag 140. [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mote custom smart POS system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sub-terminal 150. [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mote custom smart POS system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POS terminal 160. [ In this case, the POS terminal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17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main terminal (not shown).

메인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영업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메인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20)로부터 전송 받은 고객의 주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10)는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으로부터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 받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서버(110)에 저장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 또는 상기 주문정보의 상기 진행상황은 고객 단말기(120),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가 요청할 경우 이들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서버(110)는 메인 단말기(130) 이외에 상기 추가적인 메인 단말기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하나의 영업장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영업장을 동시에 관리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메인 서버(110)와 연결되는 메인 단말기(130) 및 상기 추가적인 메인 단말기의 소지자는 필요할 경우 고객의 주문정보, 주문진행정보, 결제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단말기(130) 및 상기 추가적인 메인 단말기의 소지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영업소의 상품재고정보, 원재료 재고 정보, 주문한 상품 또는 제품의 진행상황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로 다른 영업소의 관리자는 메인 서버(110)를 통하여 상호 협력을 체결한 영업소 간에 상품, 원재료, 제품 등의 교류가 가능하다.The main server 110 provides sales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s. Also, the main server 110 may stor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120. Also, the main server 110 may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in real tim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stored in the main server 110 or the progress of the ord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120,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when requested.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the main terminal 130, the main server 110 can simultaneously connect the additional main terminals. The main server 110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one business place or a server that manages one or more business places at the same time. In the latter case, the main terminal 130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and the holder of the additional main terminal can shar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order progress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owner of the main terminal 130 and the additional main terminal can share product stock information, raw material stock information, progress of the ordered goods or products, etc. of the sales office managed by the main terminal 130 and the additional main terminal. Accordingly, managers of different sales offices can exchange goods, raw materials, products, and the like among business offices that have mutual cooperation through the main server 110.

고객 단말기(120)는 메인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메인 서버(110)가 제공하는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고객 단말기(120)는 메인 서버(110)로부터 자신의 주문 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20)는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로부터 자신의 주문 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고객 단말기(120)는 수신한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로부터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메인 서버(110)에 전송한다.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는 예로서 음식주문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영업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상품주문정보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로서 다양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고객 단말기(120)는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는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으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을 경유하여 메인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The customer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by wire or wireless, and receives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provided by the main server 110. Also, the customer terminal 120 can receive information on how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120 is proceeding from the main server 110. In addition, the customer terminal 120 can receive information on how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is proceeding. The customer terminal 120 generate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and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may be, for example, food order information. In another example, the order information of a customer may be product order information on a product placed in the user's business space. The above example is an example for understanding, and various information may be used a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 Alternatively, the customer terminal 12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receive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directly received from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or may be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110 via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한 고객 단말기(120)가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메인 서버(110)에 전송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The process in which the customer terminal 120 receiving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120)가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메인 서버(110)에 전송하는 과정은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를 소지한 소지자가 고객을 직접 방문한 후 상기 주문정보를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 of the customer terminal 120 receiving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may be performed by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The order information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after the owner visits the customer directly.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120)가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메인 서버(110)에 전송하는 과정은 NFC 통신 기능을 가지는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를 소지한 소지자와 NFC 통신 기능을 가지는 고객의 고객 단말기(120) 간의 NFC 통신에 의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 of the customer terminal 120 receiving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may be performed by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and a customer terminal 120 having an NFC communication function.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120)가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메인 서버(110)에 전송하는 과정은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소상공인들이 자신의 사업을 홍보할 수 있고, 고객들이 손쉽게 상기 소상공인들의 정보를 볼 수 있는 스마트 메뉴판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객들은 상기 스마트 메뉴판을 통하여 손쉽게 상기 소상공인들의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상기 소상공인들의 정보를 확인 및 상품 등의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는 소셜커머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객들은 상기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을 활용하는 영업공간을 방문한 여러 고객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상기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을 활용하는 영업공간은 고객이 방문한 영업공간일 수도 있고,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영업공간일 수도 있다. 또한, 고객들은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자신이 주문하는 상품, 서비스 등과 관련하여 사용자와 가격 협상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들은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방문후기, 사용후기 등을 메인 서버(110)에 남길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영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이벤트 정보를 메인 서버(110),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 등에 남길 수 있다. 이 경우, 고객들은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에 응모하거나, 상기 이벤트와 관련한 정보를 메인 서버(110),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 등에 전송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 of the customer terminal 120 receiving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may be performed through software. The software can provide a smart menu that allows small business owners to promote their business and customers can easily view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business owners. Customers can easily go to the websites of the small business owners through the smart menu and confirm the information of the small business owners and proceed with the purchase of good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ftware may provide a social commerce function. Customers can interact with a number of customers visiting a sales space utilizing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presented here through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 software. The sales space utilizing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may be a sales space visited by a customer, or a sales space located near or at a remote location. In addition, customers may negotiate price with the user regarding the goods, services, and the like that they order through the software. In addition, customers can leave a late visit, a late review, etc. on the main server 110 through the software. In addition, the user can leave event information in his / her business space in the main server 110, the main terminal 130, the sub terminal 150, or the like. In this case, customers can apply for the event through the software, or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ent to the main server 110, the main terminal 130, the sub terminal 150, or the like.

고객은 미리 인지하고 있는 다운로드 경로를 통하거나,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홍보자료에서 제시하는 다운로드 경로를 보고 상기 소프트웨어를 고객 단말기(12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는 고객 단말기(120)에 메인 서버(110)의 정보도 아울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예로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고객 단말기(120)에 설치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120)에 설치된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메인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메인 서버(110)가 제공하는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120)에 수신된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고객 단말기(120)를 통하여 메인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ustomer can install the software in the customer terminal 120 through a download path that he or she is aware of, or by viewing a download path presented in publicity material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user's business space. In this case, the software may also provide information of the main server 110 to the customer terminal 120. The software may be installed in the customer terminal 120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for example. The customer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customer terminal 120 to receive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provided by the main server 110. The customer can generat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using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in the customer terminal 120 and then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다른 예로, 고객은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NFC 태그(140)를 통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를 고객 단말기(12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는 고객 단말기(120)에 메인 서버(110)의 정보도 아울러 제공할 수 있다. NFC 태그(140)는 고객 단말기(120)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소프트웨어와 메인 서버(110)의 정보를 고객 단말기(120)에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120)에 설치된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메인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메인 서버(110)가 제공하는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120)에 수신된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고객 단말기(120)을 통하여 메인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NFC 태그(140)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는 메인 서버(110) 또는 메인 단말기(130)가 고객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객 단말기(120)를 통하여 메인 서버(110)에 전송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사용자는 고객의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이후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할 과정에서 NFC 태그(140)가 포함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주문결과물이 다른 장소로 배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주문을 관리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ustomer can install the software on the customer terminal 120 through the NFC tag 140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ser's business space. In this case, the software may also provide information of the main server 110 to the customer terminal 120. The NFC tag 14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oftware and the main server 110 to the customer terminal 120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120. The customer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customer terminal 120 to receive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provided by the main server 110. The customer can generat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using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in the customer terminal 120 and then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Meanwhile, the NFC tag 140 may includ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of the user.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business space may help the main server 110 or the main terminal 130 to confirm the customer's location. In other words, the user processes the order details of the customer from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business space included in the NFC tag 140 may be utilized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Accordingly, the order resul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livered to another place, and the user can effectively manage the order.

메인 단말기(130)는 메인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고객 단말기(12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한다. 도면에는 예로서 메인 단말기(130)를 하나만 표현하였으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메인 단말기(130)는 복수개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단말기(130)로서 하나의 메인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서술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main terminal 130 is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and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120. Although only one main terminal 130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drawing, it is obvious that a plurality of main terminals 130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convenience of the us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main terminal 130 will be described using one main terminal 130 as shown in the figu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herein.

메인 단말기(130)는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한다. 또한, 메인 단말기(130)는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메인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30)가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main terminal 130 processes the order progress and settlemen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Also, the main terminal 130 may transmit the progress status of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at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main terminal 130 processes the order progress and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in various manner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메인 단말기(130)가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메인 단말기(130)를 소지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담당하는 책임자에 의하여 직접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메인 단말기(130)를 소지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담당하는 책임자를 마스터(master)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마스터는 메인 서버(110)에 저장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한 후 본인이 직접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본인이 직접 상기 주문정보에 대한 주문을 진행하거나, 종업원에게 상기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는 상기 주문정보 또는 주문진행상황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서브 단말기(150)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추가능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서브 단말기(150)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서브 단말기(150)의 기능은 메인 단말기(130)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내용과 관련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서브 단말기(150)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서브 단말기(150)의 기능을 메인 단말기(130)에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 또한, 상기 마스터는 상기 주문정보에 대한 결제 역시 본인이 직접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주문정보에 대한 결제는 일례로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가 메인 단말기(130)를 통하여 고객의 카드 정보를 카드사 서버(미도시)로 유선 또는 무선의 방법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고객의 상기 카드 정보는 메인 서버(110)를 경유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수신된 고객의 상기 카드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된 DB(data base)내의 상기 고객의 정보와 비교한다. 수신된 고객의 상기 카드 정보가 상기 카드사 서버의 상기 DB 내의 상기 고객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결제승인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상기 결제승인정보는 상기 카드사 서버의 상기 DB 내에 저장되어 관리되며, 메인 단말기(130)에도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결제승인정보는 메인 서버(110)를 경유하여 메인 단말기(130)에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고객의 상기 카드 정보라는 용어는 OTP 보안정보, 일회용 안심클릭 PIN 정보 또는 카드 정보 이외에 고객의 신용거래와 관련한 공지된 모든 정보를 총 망라하는 개념으로 사용됨을 분명히 밝혀둔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 of order fulfillment and settlement in response to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ain terminal 130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holding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ales space of the user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person in charg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ser holding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sales space of the user will be referred to as a master. After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stored in the main server 110, the master can directly deliver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In this case, the master can directly proceed with the order information about the order information, or can forward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employee. In addition, the master may provide the order information or order progress to the customer.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ub-terminal 150 because i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the sub-terminal 150. [ In other words, the function of the sub terminal 150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the sub terminal 150 may be performed by the main terminal 130 as well.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connection with the disclosure herein can easily employ the function of the sub terminal 150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b terminal 150 role in the main terminal 130 To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e master may process payment for the order information directly. The settlement of the order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the following process. The master transmits the customer's card information to the card issuer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main terminal 13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In this case, the card information of the customer may be transmitted to the card issuer server via the main server 110. [ The card company server compares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of the customer with the customer information in a database (DB) stored in the card company server. And generates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when the card information of the received customer matches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 the DB of the card issuer server. The generated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DB of the card issuer server, and is also transmitted to the main terminal 130. In this case, the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terminal 130 via the main server 110. [ As used herein, the term " card information " of the customer is used to cover all known information related to a customer's credit transaction in addition to OTP security information, disposable relief PIN information or card information.

다시 말하면, 메인 단말기(130)는 메인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고객 단말기(12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메인 단말기(130)는 수신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영업 기간별 매출자료, 매입자료, 국세청 전자신고자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인 단말기(130)는 수신된 고객의 카드 정보 등 신용정보로부터 고객의 구매 성향, 구매 빈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은 사업자의 영업공간에서 발생되는 주문, 매출, 매입, 고객관리 등을 메인 단말기(130) 하나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단말기(130)는 사용자가 서브 단말기(150)에 부여한 임무를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차를 두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메인 단말기(130)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메인 서버(11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단말기(130)의 상기 메모리 또는 메인 서버(110)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메인 단말기(13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어 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main terminal 130 is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by wire or wireless, and can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120. The main terminal 130 can generate at least one selected from sales data, purchase data, IRS electronic report data, and a combination thereof from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received customer. In addition, the main terminal 130 can confirm the purchasing tendency and purchase frequency of the customer from the credit information such as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ccordingly,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effectively manage orders, sales, purchases, customer management, and the like generated in a business space of a business entity to the main terminal 130 efficiently. In addition, the main terminal 130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that can monitor the task assigned to the sub terminal 150 by the user in real time or at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The monitor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memory of the main terminal 130 or in a memory of the main server 110. The user can confirm the monito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memory of the main server 110 through the main terminal 130, thereby effectively managing the business.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여 메인 단말기(130)가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메인 단말기(130)에 의한 주문진행과 주변기기(170)를 통한 결제 진행의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POS 단말기(160)를 통한 결제의 진행은 메인 단말기(130)를 통한 결제의 진행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결제를 진행한 POS 단말기(160)는 주변기기(170)를 통하여 수집한 상기 고객의 상기 정보를 메인 단말기(130) 또는 메인 서버(11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메인 단말기(130) 또는 메인 서버(110)는 상기 고객의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단말기(130)는 POS 단말기(160)의 카드 정보, 결재 대금 정보 등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POS 단말기(160)는 메인 단말기(130)의 화면에 표시되거나, 메인 단말기(130)의 몸체에 부착된 입력버튼을 통하여 상기 고객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POS 단말기(160)와 주변기기(1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 of order fulfillment and settlement processing of the main terminal 13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is a process of order progress by the main terminal 130 and settlement process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170 . The progress of the settlement through the POS terminal 16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ogress of the settlement through the main terminal 130,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POS terminal 160 that has made the settlement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collect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170 to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main server 110 by wire or wirelessly. Accordingly,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main server 110 can receive and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 this case, the main terminal 130 may function as input means for inputting card information, payment amount information, etc. of the POS terminal 160. [ In other words, the POS terminal 16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30 or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hrough an input button attached to the main body 130. The POS terminal 160 and the peripheral device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메인 단말기(130)가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서브 단말기(150)를 활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30)는 필요한 경우 특정 서브 단말기(150)에 매장 관리권한, 고객의 대금결제와 관련한 결제권한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서브 단말기(150)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서브 단말기(150)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서브 단말기(150)의 기능은 메인 단말기(130)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내용과 관련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서브 단말기(150)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서브 단말기(150)의 기능을 메인 단말기(130)에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 이에 메인 단말기(130)가 수행할 수 있는 서브 단말기(150)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terminal 130 may process the order progress and settlemen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using the sub terminal 150. [ The main terminal 130 may assign a store management right to a specific sub terminal 150, a payment right related to a payment of a customer, if necessar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the sub terminal 150. [ The function of the sub terminal 150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the sub terminal 150 may be performed by the main terminal 130 as well.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connection with the disclosure herein can easily employ the function of the sub terminal 150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b terminal 150 role in the main terminal 130 To be self-evident.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of the sub terminal 150 that the main terminal 130 can perform will be omitted.

NFC 태그(140)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NFC 태그(140)는 고객 단말기(120)와 NFC 통신을 통하여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위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메인 서버(110)의 정보를 고객 단말기(120)에 제공한다. 한편, NFC 태그(140)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고객 단말기(120)에 제공할 수도 있다.The NFC tag 14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usiness space of the user. The NFC tag 140 provides the customer terminal 120 with the software and information of the main server 11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120. Meanwhile, the NFC tag 140 may provid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business space to the customer terminal 120.

서브 단말기(150)는 메인 서버(110), 메인 단말기(13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120)는 상기 고객의 식별번호를 메인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는 상기 고객과의 대화 또는 고객 단말기(120)와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브 단말기(150)는 수신된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를 메인 서버(110) 또는 메인 단말기(130)에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 또는 주문진행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브 단말기(120)를 소지하고 있는 종업원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방문한 고객이 요청하거나 필요한 경우,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를 상기 고객으로부터 구두 또는 NFC 통신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주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상기 주문정보의 진행상황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상기 식별번호는 예로서 상기 고객의 휴대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상기 휴대전화번호는 상기 고객이 고객 단말기(120)를 통하여 메인 서버(110)에 상기 주문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메인 서버(110)에 전달될 수 있다.The sub terminal 15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the main terminal 130, or a combination thereof by wire or wirelessly. In one embodiment, the customer terminal 120 may transmit the customer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main server 110. The sub terminal 150 may receiv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ustomer through a conversation with the customer or NFC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120. The sub terminal 150 can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or the order progress status of the customer by transmitt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or the main terminal 130. In other words, the employee having the sub terminal 120 can receiv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ustomer through the oral or NFC communication from the customer when the customer who visited the business space of the user requests or is required.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can be confirmed us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ustomer and the progress of th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ustomer may be, for example, the mobile telephone number of the customer.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customer can be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110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서브 단말기(150)는 고객 단말기(120)와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는 수신된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메인 서버(110) 또는 메인 단말기(130)에 전송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생성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 또는 주문진행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브 단말기(120)를 소지하고 있는 종업원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방문한 고객이 요청하거나 필요한 경우, 상기 고객이 점유하고 있는 고객 단말기(120)와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주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상기 주문정보의 진행상황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는 예로서 상기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자리의 좌석번호일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상기 좌석번호는 상기 고객이 고객 단말기(120)를 통하여 메인 서버(110)에 상기 주문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메인 서버(110)에 전달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ub terminal 150 may receiv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120. [ The sub terminal 150 may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or the order progress status of the customer generated at the predetermined location by transmitting the received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110 or the main terminal 130. In other words, when the customer who visited the sales space of the user requests or is required, the employee having the sub terminal 120 transmits NFC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erminal 120 via the NFC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120 occupied by the customer. And can receive predetermined positional information. Th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confirmed using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and the progress of th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may be, for example, the seat number of the plac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The seat number of the customer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110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서브 단말기(150)는 상기 사용자의 영업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NFC 태그(140)와 NFC 통신을 할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는 NFC 태그(140)와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는 수신된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메인 서버(110) 또는 메인 단말기(130)에 전송하여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생성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 또는 주문진행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브 단말기(120)를 소지하고 있는 종업원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방문한 고객이 요청하거나 필요한 경우, 상기 고객이 점유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NFC 태그(140)와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주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고객이 주문한 상기 주문정보의 진행상황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업공간의 상기 소정의 위치 정보는 예로서 상기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자리의 좌석번호일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상기 좌석번호는 상기 고객이 고객 단말기(120)를 통하여 메인 서버(110)에 상기 주문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메인 서버(110)에 전달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ub-terminal 150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ser's business space, and performs NFC communication with the NFC tag 140 including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business space can do. The sub terminal 150 may receiv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the NFC tag 140. The sub terminal 150 may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or the order progress status of the customer generated at the predetermined location by transmitting the received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110 or the main terminal 130. In other words, the employee possessing the sub terminal 120, when requested or required by the customer who visited the business space of the user, transmits the NFC And can receive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with the tag 140. Th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confirmed using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and the progress of the order information ordered by the customer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iness space may be, for example, the seat number of the place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The seat number of the customer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110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서브 단말기(150)는 메인 단말기(130)의 설정명령에 따라 역할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역할은 예로서 서브 단말기(150)의 소지자인 종업원이 담당하는 구역에 대한 역할 배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역할은 서브 단말기(150)의 소지자인 상기 종업원이 담당하는 업무에 대한 역할 배분일 수 있다. 상기 종업원이 담당하는 업무는 예로서 생산업무, 전달업무, 요리업무, 결제업무, 운송업무 등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메인 단말기(130)는 서브 단말기(150)에 다양한 업무를 배분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30)는 서브 단말기(150)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에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서브 단말기(150)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제1 처리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처리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처리 단말기의 사용자는 메인 단말기(13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에 따라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상기 주문내역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처리 단말기는 메인 단말기(150)에 주문처리완료를 통지한다. 이 경우, 메인 단말기(130)는 서브 단말기(150) 중에서 상기 제1 처리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에 처리가 완료된 주문결과물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이하 서브 단말기(150) 중에서 상기 제1 처리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제1 전달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전달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전달 단말기의 사용자는 메인 단말기(130)의 통지에 따라 상기 주문결과물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ub terminal 150 may be assigned a role according to a setting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130. [ The role may be, for example, a role allocation for an area occupied by an employee who is a holder of the sub terminal 150. In another example, the role may be a role assignment for a task that the employee is a subscriber of the sub-terminal 150. The work performed by the employee may be, for example, production work, delivery work, cooking work, settlement work, transportation work,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main terminal 130 may distribute various tasks to the sub terminal 150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The main terminal 130 may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the sub terminal 150. [ Hereinafter, the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the sub-terminals 150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processing terminal. The user of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or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processes the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main terminal 130.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history is completed,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notifies the main terminal 150 of completion of the order processing. In this case, the main terminal 130 may notify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the remaining sub-terminals except for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to deliver the processed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Hereinafter, at least one of the sub-terminals 150 selected from the remaining sub-terminals except for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transmission terminal. The user of the first transferee or the first transferee can deliver the result of the order to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the main terminal 130. [

고객 단말기(120)를 통한 주문정보의 수신과 서로 역할이 구별되는 서브 단말기(150)를 통한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처리 및 주문결과물 전달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rder processing for the order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of the order result through the sub terminal 150 whose roles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can be maximized by the user. Specific details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서브 단말기(150) 중 상기 제1 처리 단말기를 서브 단말기(150a)로 정하고, 상기 제1 전달 단말기를 서브 단말기(150b)로 정하기로 한다. 일례로, 메인 단말기(130)는 메인 서버(110)에 저장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서브 단말기(150a)에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는 메인 단말기(130)를 통하여 서브 단말기(150a)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는,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는 메인 서버(110)를 통하여 서브 단말기(150a)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단말기(130)는 서브 단말기(150a)에 메인 서버(110)에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한 후 주문내역을 처리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a) 또는 서브 단말기(150a)를 소지한 종업원은 메인 단말기(130)가 전송한 상기 주문정보에 따라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상기 주문내역의 처리가 완료되면 서브 단말기(150a)는 메인 단말기(150)에 주문처리완료를 통지한다. 상기 주문처리완료 통지를 받는 메인 단말기(150)는 서브 단말기(150b)에 처리가 완료된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는 메인 단말기(150)를 통하여 서브 단말기(150b)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는,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는 메인 서버(110)를 통하여 서브 단말기(150b)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단말기(130)는 서브 단말기(150b)에 메인 서버(110)에서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b) 또는 서브 단말기(150b)를 소지한 종업원은 메인 단말기(130)가 전송한 상기 전달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한다.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가 복수의 종업원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할 경우, 메인 단말기(150)는 서브 단말기(150a) 이외에 서브 단말기(150n)에도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문결과물을 전달하는 과정이 복수의 종업원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할 경우, 메인 단말기(150)는 서브 단말기(150a) 이외에 다른 서브 단말기(150)에도 상기 전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의 역할을 구분함으로써 서브 단말기(150)을 소유하고 있는 종업원은 메인 단말기(130)가 지정한 업무만을 처리하면 된다. 사용자는 메인 단말기(130)를 통하여 각각의 종업원에게 할당한 업무를 확인할 수 있어 상품 판매, 주문정보처리 등의 정보에 대한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The first processing terminal of the sub terminal 150 is defined as the sub terminal 150a and the first transmission terminal is defined as the sub terminal 150b. For example, the main terminal 130 can confirm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stored in the main server 110 and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ub terminal 150a. In this cas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can be transmitted to the sub terminal 150a through the main terminal 130. [ Alternatively,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ub terminal 150a through the main server 110. [ At this time, the main terminal 130 may instruct the sub terminal 150a to process the order details after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main server 110. [ The employee having the sub terminal 150a or the sub terminal 150a processes the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ain terminal 130. [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details is completed, the sub terminal 150a notifies the main terminal 150 of the completion of the order processing. The main terminal 150 receiving the order processing completion notification can notify the sub terminal 150b to deliver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completed to the customer. In this case, information on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that has been processed may be transmitted to the sub terminal 150b through the main terminal 150. Alternatively, information on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which has been processed, may be transmitted to the sub terminal 150b through the main server 110. [ At this time, the main terminal 13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rder result that has been processed by the main server 110 in the sub terminal 150b, and then send an instruction to deliver the processed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The employee having the sub terminal 150b or the sub terminal 150b delivers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transf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ain terminal 130. [ The main terminal 150 may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ub terminal 150n in addition to the sub terminal 150a if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s to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employees. Similarly, whe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order result i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employees, the main terminal 150 may transmit the delivery information to the sub terminal 150 in addition to the sub terminal 150a. By dividing the role of the sub terminal 150, the employee who owns the sub terminal 150 only needs to process the task designated by the main terminal 130. The user can confirm the work assigned to each employee through the main terminal 130, and can collectively manage information such as sales of goods and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종래의 주문 관리 시스템의 경우 주문정보수신, 주문처리, 주문결과물 전달 등이 특정 종업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특정 종업원에게 주문이 몰리는 현상, 특정 종업원의 동선이 길어져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주문 관리 시스템의 경우 종업원들 개개인이 직접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경우 종업원의 결제 대금 횡령, 현금영수증 발급 및 소액 카드 결제 내역의 무분별한 관리로 인한 카운터의 업무 과중, 판매 관련 데이터의 관리의 어려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의 경우 고객이 고객 단말기(120)를 통하여 메인 서버(110)에 직접 주문을 입력하여 주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영업공간에서 이뤄지는 판매와 관련한 데이터의 체계적이고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서브 단말기(150)를 메인 단말기(130)의 관리하에 둠으로써 종업원의 결제 대금 횡령 등 불미스러운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단말기(150)를 메인 단말기(130)의 관리하에 둠으로써 서브 단말기(150)를 소지하고 있는 종업원의 업무량과 종업원의 이동 경로 즉, 종업원의 동선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여 특정 종업원에게 업무가 몰림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단말기(150)를 메인 단말기(130)의 관리하에 두고 필요한 경우 특정 서브 단말기(150)에 매장 관리권한, 고객의 대금결제와 관련한 결제권한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 중 일부에 메인 단말기(130) 급의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메인 단말기(130) 급의 권한을 부여 받은 서브 단말기(150)를 소지한 종업원은 사용자의 부재시 사용자를 대리하여 매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매장의 경우 사용자급의 권한을 가지는 종업원을 둠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급 권한을 가지는 종업원과 함께 넓은 매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단말기(150)는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메인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객 단말기(120)는 메인 서버(110)로부터 자신의 주문 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rder management system, reception of order information, order processing, and delivery of the order result are often performed directly by a specific employee. In this case, there are frequent occurrences of orders from specific employees, unnecessary time wasted due to long circulation of specific employees, and the like. Also,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rder management system,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individual employees perform settlement directly. In this case, it may happen that the counter is busy during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sales-related data is difficult due to unreasonable management of the payment details of the employees, issuance of cash receipts, and small card settlement history. In the case of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ustomer can input an order directly to the main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to efficiently manage the ord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and collectively manage the data related to sales in the user's business space. In addition, by keeping the sub terminal 150 under the management of the main terminal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favorable situation such as an embezzlement of the payment of the employee. In addition, by keeping the sub terminal 150 under the management of the main terminal 130,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work amount of the employee possessing the sub terminal 150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employee, that is, the movement line of the employe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necessary waste of time due to crowding. In addition, the sub terminal 150 may be under the management of the main terminal 130, and if necessary, the sub terminal 150 may be given a store management right, a settlement right related to the customer's payment, and the like. An employee possessing the sub terminal 150 having the authority of the main terminal 130 class by granting the authority of the main terminal 130 class to a part of the sub terminal 150 manages the store on behalf of the user in the absence of the user can do.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rge store, by having an employee having a user class authority, the user can efficiently manage a wide store together with employees having user class authority. Also, the sub terminal 150 may transmit the progress status of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at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ordingly, the customer terminal 120 can receive information on how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120 is proceeding from the main server 110.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서브 단말기(150)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는 메인 단말기(130)의 설정 명령에 따라 고객 단말기(12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메인 단말기(130)의 상기 설정 명령에 따라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서브 단말기(150)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중간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중간 단말기는 메인 단말기(130)가 고장 나거나, 메인 단말기(130)가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을 이탈하는 등의 경우에 메인 단말기(130)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영업공간이 넓을 경우 사용자의 업무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메인 단말기(130)와 함께 메인 단말기(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단말기는 메인 단말기(130)의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중간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단말기(150)의 역할이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역할은 예로서 서브 단말기(150)의 소지자인 종업원이 담당하는 구역에 대한 역할 배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역할은 서브 단말기(150)의 소지자인 상기 종업원이 담당하는 업무에 대한 역할 배분일 수 있다. 상기 종업원이 담당하는 업무는 예로서 생산업무, 전달업무, 요리업무, 결제업무, 운송업무 등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상기 중간 단말기는 메인 단말기(130)의 상기 설정 명령 범위 내에서 서브 단말기(150)에 다양한 업무를 배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중간 단말기는 서브 단말기(150)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에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서브 단말기(150)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제2 처리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처리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처리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중간 단말기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에 따라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상기 주문내역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처리 단말기는 상기 중간 단말기에 주문처리완료를 통지한다. 이 경우, 상기 중간 단말기는 상기 서브 단말기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 및 상기 제2 처리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에 처리가 완료된 주문결과물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이하 서브 단말기(150)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 및 상기 제2 처리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를 제2 전달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전달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전달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중간 단말기의 통지에 따라 상기 주문결과물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the sub terminal 150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120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130, Order processing and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Hereinafter, the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ub-terminals 150 for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130 and processing the order progress and settlement will be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terminal. The intermediate terminal may replace the role of the main terminal 130 in the event that the main terminal 130 fails or the main terminal 130 deviates from the business spac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terminal may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main terminal 130 together with the main terminal 130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the operating space of the user is wide.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terminal can designate the role of the remaining sub terminal 150 except for the intermediate terminal according to a setup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130. [ The role may be, for example, a role allocation for an area occupied by an employee who is a holder of the sub terminal 150. In another example, the role may be a role assignment for a task that the employee is a subscriber of the sub-terminal 150. The work performed by the employee may be, for example, production work, delivery work, cooking work, settlement work, transportation work, and the like. The above example is an example for understanding, and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 the intermediate terminal can allocate various tasks to the sub terminal 150 within the set command range of the main terminal 130. In other words, the intermediate terminal can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the remaining sub-terminals except for the intermediate terminal among the sub-terminals 150. Hereinafter, at least one of the sub-terminals 150 selected from the remaining sub-terminals except for the intermediate terminal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processing terminal. The user of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or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processes the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intermediate terminal.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details is completed,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notifies the intermediate terminal of completion of the order processing.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terminal may notify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ub-terminals, except for the intermediate terminal and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to deliver the processed result of the processing to the customer. Hereinafter, the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ub-terminals 150 excluding the intermediate terminal and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transfer terminal. The user of the second transfer terminal or the second transfer terminal can deliver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terminal.

고객 단말기(120)를 통한 주문정보의 수신과 서로 역할이 구별되는 서브 단말기(150)를 통한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처리 및 주문결과물 전달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간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부재시 또는 넓은 영업 공간에서 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rder processing for the order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of the order result through the sub terminal 150 whose roles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can be maximized by the user. Particularly, the user can effectively manage the business through the intermediate terminal when the user is not present or in a large business space. Specific details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서브 단말기(150) 중 상기 중간 단말기를 서브 단말기(150n)로 정하고, 상기 제2 처리 단말기를 서브 단말기(150a)로 정하고, 상기 제2 전달 단말기를 서브 단말기(150b)로 정하기로 한다. 도면에는 예로서 상기 중간 단말기를 하나만 표현하였으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중간 단말기는 복수개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단말기로서 하나의 서브 단말기(150n)를 이용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서술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intermediate terminal of the sub terminal 150 is defined as the sub terminal 150n and the second processing terminal is defined as the sub terminal 150a and the second transmission terminal is defined as the sub terminal 150b. Although only one intermediate terminal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drawing, it is obvious that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terminals can be plural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s shown in the drawing, one intermediate terminal 150n is used as the intermediate termina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herein.

서브 단말기(150n)는 메인 단말기(130)의 설정 명령에 따라 고객 단말기(12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서브 단말기(150n)는 메인 서버(110)에 저장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서브 단말기(150a)에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는 서브 단말기(150n)를 통하여 서브 단말기(150a)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는,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는 메인 서버(110)를 통하여 서브 단말기(150a)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단말기(150n)는 서브 단말기(150a)에 메인 서버(110)에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한 후 주문내역을 처리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a) 또는 서브 단말기(150a)를 소지한 종업원은 서브 단말기(150n)가 전송한 상기 주문정보에 따라 주문내역을 처리한다. 상기 주문내역의 처리가 완료되면 서브 단말기(150a)는 서브 단말기(150n)에 주문처리완료를 통지한다. 상기 주문처리완료 통지를 받는 서브 단말기(150n)는 서브 단말기(150b)에 처리가 완료된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는 서브 단말기(150n)를 통하여 서브 단말기(150b)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는,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는 메인 서버(110)를 통하여 서브 단말기(150b)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단말기(150n)는 서브 단말기(150b)에 메인 서버(110)에서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처리가 완료된 상기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b) 또는 서브 단말기(150b)를 소지한 종업원은 서브 단말기(150n)가 전송한 상기 전달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한다.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가 복수의 종업원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할 경우, 서브 단말기(150n)는 서브 단말기(150a) 이외에 다른 서브 단말기(미도시)에도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문결과물을 전달하는 과정이 복수의 종업원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할 경우, 서브 단말기(150n)는 서브 단말기(150a) 이외에 다른 서브 단말기(미도시)에도 상기 전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의 역할을 구분함으로써 서브 단말기(150)을 소유하고 있는 종업원은 서브 단말기(150n)가 지정한 업무만을 처리하면 된다. 메인 단말기(130)에 의하여 권한을 부여 받은 종업원은 서브 단말기(150n)를 통하여 각각의 종업원에게 할당한 업무를 확인할 수 있어 상품 판매, 주문정보처리 등의 정보에 대한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후 서브 단말기(150n)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아 사용자의 부재시 또는 넓은 영업공간 중 사용자가 담당하는 영업공간 이외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상품 판매, 주문정보처리 등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n)를 통한 결제의 진행은 메인 단말기(130)를 통한 결제의 진행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The sub terminal 150n may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120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130 and process the order progress and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 For example, the sub terminal 150n can confirm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stored in the main server 110 and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sub terminal 150a. In this cas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can be delivered to the sub terminal 150a through the sub terminal 150n. Alternatively,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ub terminal 150a through the main server 110. [ At this time, the sub terminal 150n may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main server 110 to the sub terminal 150a, and then order the sub terminal 150a to process the order details. The employee having the sub terminal 150a or the sub terminal 150a processes the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ub terminal 150n.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details is completed, the sub terminal 150a notifies the sub terminal 150n of completion of the order processing. The sub terminal 150n receiving the order processing completion notification can notify the sub terminal 150b to deliver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completed to the customer. In this case, information on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completed can be transmitted to the sub terminal 150b through the sub terminal 150n. Alternatively, information on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which has been processed, may be transmitted to the sub terminal 150b through the main server 110. [ At this time, the sub terminal 150n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rder result that has been processed by the main server 110 in the sub terminal 150b, and may then command the sub terminal 150b to deliver the processed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The employee having the sub terminal 150b or the sub terminal 150b delivers the order result to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transf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ub terminal 150n. When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s to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employees, the sub terminal 150n may transmit the order information to another sub terminal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sub terminal 150a. Similarly, whe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order result i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employees, the sub terminal 150n may transmit the delivery information to another sub terminal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sub terminal 150a. By dividing the role of the sub terminal 150, an employee possessing the sub terminal 150 only needs to process the task designated by the sub terminal 150n. Employees authorized by the main terminal 130 can confirm the work assigned to each employee through the sub terminal 150n, and thus can collectively manage information such as sales of goods and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The user can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ub terminal 150n and collectively manage information such as sales of goods,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like in a space other than the sales space, which is occupied by the user, in the absence of the user or in a large business space. The progress of the settlement through the sub terminal 150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ogress of the settlement through the main terminal 130,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종래의 주문 관리 시스템의 경우 주문정보수신, 주문처리, 주문결과물 전달 등이 특정 종업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특정 종업원에게 주문이 몰리는 현상, 특정 종업원의 동선이 길어져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주문 관리 시스템의 경우 종업원들 개개인이 직접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경우 종업원의 결제 대금 횡령, 현금영수증 발급 및 소액 카드 결제 내역의 무분별한 관리로 인한 카운터의 업무 과중, 판매 관련 데이터의 관리의 어려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의 경우 서브 단말기(150)를 메인 단말기(130)의 관리하에 두고 필요한 경우 특정 서브 단말기(150n)에 매장 관리권한, 고객의 대금결제와 관련한 결제권한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서브 단말기(150n)에 메인 단말기(130) 급의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메인 단말기(130) 급의 권한을 부여 받은 서브 단말기(150n)를 소지한 종업원은 사용자의 부재시 사용자를 대리하여 매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매장의 경우 사용자급의 권한을 가지는 종업원을 둠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급 권한을 가지는 종업원과 함께 넓은 매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단말기(150n)는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메인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객 단말기(120)는 메인 서버(110)로부터 자신의 주문 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rder management system, reception of order information, order processing, and delivery of the order result are often performed directly by a specific employee. In this case, there are frequent occurrences of orders from specific employees, unnecessary time wasted due to long circulation of specific employees, and the like. Also,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rder management system,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individual employees perform settlement directly. In this case, it may happen that the counter is busy during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sales-related data is difficult due to unreasonable management of the payment details of the employees, issuance of cash receipts, and small card settlement history. In the case of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ub terminal 150 is under the management of the main terminal 130, and if necessary, the store management authority for the specific sub terminal 150n, Can be given. An employee possessing the sub terminal 150n having the authority of the main terminal 130 class by granting the authority of the main terminal 130 class to the sub terminal 150n can manage the store on behalf of the user in the absence of the user hav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rge store, by having an employee having a user class authority, the user can efficiently manage a wide store together with employees having user class authority. Also, the sub terminal 150n may transmit the progress status of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at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ordingly, the customer terminal 120 can receive information on how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120 is proceeding from the main server 110.

POS 단말기(160)는 메인 단말기(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메인 단말기(130)의 출력 명령에 따라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내역을 출력한다. POS 단말기(160)는 POS 단말기(1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객의 정보를 수신하는 주변기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기기(170)는 고객의 카드 정보를 입력 받는 키패드(미도시), 고객의 바코드 정보를 읽어내는 바코드 리더기(미도시), 고객의 RF ID 정보를 읽어내는 RF ID 리더기(미도시), 고객의 마그넷 카드 정보를 읽어내는 마그넷 카드 리더기(미도시), 고객의 IC 카드 정보를 읽어내는 IC 카드 리더기(미도시), 고객의 USIM칩의 정보를 읽어내는 USIM칩 리더기(미도시), NFC 통신을 이용하여 고객의 정보를 읽어내는 NFC 통신 모듈(미도시)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다양한 결제수단이 POS 단말기(16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OS terminal 160 is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13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outputs payment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ccording to an output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130. The POS terminal 160 may include a peripheral device 170 connected to the POS terminal 16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receive the customer information. The peripheral device 170 includes a keypad (not shown) for receiving customer's card information, a barcode reader (not shown) for reading the barcod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n RF ID reader (not shown) for reading the customer's RF ID information, A magnet card reader (not shown) for reading the magnet card information, an IC card reader (not shown) for reading the customer's IC card information, a USIM chip reader (not shown) for reading information of the customer's USIM chip, An NFC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reading the customer's informa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The above example is an example for understanding, and various payment means may be connected to the POS terminal 16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

결제를 진행한 POS 단말기(160)는 주변기기(170)를 통하여 수집한 상기 고객의 상기 정보를 메인 단말기(130) 또는 메인 서버(11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를 진행한 POS 단말기(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명령에 따라 주변기기(170)를 통하여 수집한 상기 고객의 상기 정보를 서브 단말기(150n) 또는 메인 서버(11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메인 단말기(130), 메인 서버(110) 또는 서브 단말기(150n)는 상기 고객의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n)는 POS 단말기(160)의 카드 정보, 결재 대금 정보 등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POS 단말기(160)는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n)의 화면에 표시되거나,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n)의 몸체에 부착된 입력버튼을 통하여 상기 고객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고 있는 단말기를 POS 단말기(160)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POS 단말기(160)의 제작비용, 부피 등을 줄일 수 있다.The POS terminal 160 that has made the settlement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collect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170 to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main server 110 by wire or wirelessly. 3, the POS terminal 160 that has made the payment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collect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170 to the sub terminal 150n or the main server 110 ) Can be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 Accordingly, the main terminal 130, the main server 110, or the sub terminal 150n can receive and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 this case,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n may function as input means for inputting the card information, payment amount information, etc. of the POS terminal 160. [ In other words, the POS terminal 16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n, or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n, Can be input. The terminal utilized by many people can be utilized as an input means of the POS terminal 160,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volume of the POS terminal 160.

상기 추가적인 메인 단말기는 메인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메인 단말기는 메인 서버(110)를 통하여 메인 단말기(130)와 연결되어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 상기 주문진행 정보, 상기 결제 정보, 마일리지 정보, 포인트 정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메인 단말기의 소지자는 수신된 정보를 활용하여 메인 단말기(130)의 소지자와 교류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추가적인 단말기는 메인 서버(110)를 통하여 상기 추가적인 단말기 이외에 메인 단말기(130)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서버(110)는 하나의 영업장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영업장을 동시에 관리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메인 서버(110)와 연결되는 메인 단말기(130) 및 상기 추가적인 메인 단말기의 소지자는 필요할 경우 고객의 주문정보, 주문진행정보, 결제 정보, 마일리지 정보, 포인트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단말기(130) 및 상기 추가적인 메인 단말기의 소지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영업소의 상품재고정보, 원재료 재고 정보, 주문한 상품 또는 제품의 진행상황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로 다른 영업소의 관리자는 메인 서버(110)를 통하여 상호 협력을 체결한 영업소 간에 상품, 원재료, 제품 등의 교류가 가능하다. 또한, 서로 다른 영업소의 관리자는 메인 서버(110)를 통하여 상호 협력을 체결한 영업소 간에 고객의 마일리지 정보, 포인트 정보 등의 교류가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을 적용하는 영업소는 서로 간의 정보 교류를 통하여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을 적용하는 영업소를 방문한 고객은 불필요한 시간 낭비 없이 주문진행, 주문진행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적립된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The additional main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by wire or wirelessly. The additional mai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130 through the main server 110 to receiv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order progress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mileage information, point information, Lt; / RTI > The holder of the additional main terminal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holder of the main terminal 130 by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additional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130 through the main server 110 in addition to the additional terminal. The main server 110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one business place or a server that manages one or more business places at the same time. In the latter case, the main terminal 130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and the holder of the additional main terminal can shar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order progress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mileage information, point information, etc. . In addition, the owner of the main terminal 130 and the additional main terminal can share product stock information, raw material stock information, progress of the ordered goods or products, etc. of the sales office managed by the main terminal 130 and the additional main terminal. Accordingly, managers of different sales offices can exchange goods, raw materials, products, and the like among business offices that have mutual cooperation through the main server 110. In addition, managers of different business offices can exchange mileage information and point information of customers between business offices that have mutually cooperated through the main server 110. Accordingly, business offices applying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improve work efficiency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 customer who visits a sales office applying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confirm order progress, order progress, and the like without wasting unnecessary time, and can conveniently utilize the accumulated mileage, points and the like.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메인 단말기(130)는 메인 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고객 단말기(120)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메인 단말기(130)는 수신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영업 기간별 매출자료, 매입자료, 국세청 전자신고자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인 단말기(130)는 수신된 고객의 카드 정보 등 신용정보로부터 고객의 구매 성향, 구매 빈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은 사업자의 영업공간에서 발생되는 주문, 매출, 매입, 고객관리 등을 메인 단말기(130) 하나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단말기(150)를 메인 단말기(130)의 관리하에 둠으로써 종업원의 결제 대금 횡령, 현금영수증 발급 및 소액 카드 결제 등의 증가로 카운터의 업무 과중, 판매 관련 데이터의 관리의 어려움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20)를 통한 주문정보의 수신과 서로 역할이 구별되는 서브 단말기(150)를 통한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처리 및 주문결과물 전달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종업원에게 주문이 몰리는 현상, 특정 종업원의 동선이 길어져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단말기(150n)에 메인 단말기(130) 급의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메인 단말기(130) 급의 권한을 부여 받은 서브 단말기(150n)를 소지한 종업원은 사용자의 부재시 사용자를 대리하여 매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매장의 경우 사용자급의 권한을 가지는 종업원을 둠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급 권한을 가지는 종업원과 함께 넓은 매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POS 단말기(160)를 통한 고객의 정보도 메인 단말기(130)에 전송이 되므로 사용자는 정보의 누락 없이 영업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3, the main terminal 130 is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110 by wire or wireless, and can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120. The main terminal 130 can generate at least one selected from sales data, purchase data, IRS electronic report data, and a combination thereof from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received customer. In addition, the main terminal 130 can confirm the purchasing tendency and purchase frequency of the customer from the credit information such as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ccordingly,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effectively manage orders, sales, purchases, customer management, and the like generated in a business space of a business entity to the main terminal 130 efficiently. Further, by keeping the sub terminal 150 under the management of the main terminal 13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of management of the sales-related data during the working hours of the counter due to an increase in the payment amount of the employee, issuance of the cash receipt, . Also, by performing an order processing for the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sub terminal 150, which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 reception of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20, and delivering the order resul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problem that unnecessary time is wasted due to a long copper wire. The employee having the sub terminal 150n granted the authority of the main terminal 130 class by granting the authority of the main terminal 130 class to the sub terminal 150n manages the store on behalf of the user in the absence of the user can do.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rge store, by having an employee having a user class authority, the user can efficiently manage a wide store together with employees having user class authority. In addition, since customer information through the POS terminal 160 is also transmitted to the main terminal 130, the user can effectively manage the sales information without missing information.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은 주문처리 및 주문결과물 전달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 낭비, 주문 누락 또는 주문 선후의 혼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은 고객, 사용자 또는 종업원의 거의 대부분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통하여 수행되므로 장비의 추가 구매를 최소화할 수 있어 비용 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은 고객의 원격 주문 및 손쉬운 결제가 가능하며, 종업원의 결제 대금 횡령 방지 및 판매 관련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며, 바쁜 시간대에 주문의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스마트 포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배달업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의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의 고객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들어오는 주문을 손쉽게 처리, 관리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 및 업무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단말기(130) 또는 서브 단말기(150)는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의 진행상황을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메인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객 단말기(120)는 메인 서버(110)로부터 자신의 주문 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at is,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prevent unnecessary time wasted due to order processing and delivery of order result, missing order, or crosstalk after order. In addition, since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terminal possessed by most of customers, users, or employees, additional purchases of equipment can be minimized, which is advantageous in cost. Accordingly,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nables remote ordering and easy settlement of the customer, facilitates the management of sales-related data and prevents the embezzlement of the payment of the employee, and effectively manages the order at the busy time Can provide a smart force system. For a company specializing in delivery business, it is possible to easily handle and manage incoming orders through the customer-specific application of the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reby reducing labor costs and maximizing work efficiency. Also, the main terminal 130 or the sub terminal 150 may transmit the progress status of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the main server 11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customer terminal 120 can receive information on how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120 is proceeding from the main server 110.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foregoin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ere are many possible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is disclosure. An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but true ideas and scope will be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7)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OS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영업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의 상기 영업정보로부터 고객의 주문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메인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객 단말기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여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는 메인 단말기; 및
상기 메인 서버, 상기 메인 단말기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서브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이하 중간 단말기라 함-는 상기 메인 단말기의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기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진행 및 결제를 처리하되,
상기 중간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주문진행은 상기 중간 단말기가 상기 서브 단말기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이하 처리 단말기라 함-에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처리 단말기가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주문내역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되어,
상기 메인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업공간을 이탈하게 될 경우에도 상기 메인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는 상기 메인 단말기의 상기 설정 명령을 통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가 전송한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의 수신 및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주문진행 및 결제의 처리를 상기 중간 단말기가 진행하도록 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
For a remote order smart POS system,
The POS system
A main server for providing sales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s;
A customer terminal connected wirelessly with the main server, generating a customer's order information from the sales information of a user provided by the main server, and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customer to the main server;
A m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of a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and processing order progress and settlem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And
And a sub terminal wireless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main server, the main terminal, and a combination thereof,
At least one terminal selected from among the sub-termi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terminal,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etup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and receives an ord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Process, and settlement,
The order progress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carried out by the intermediate terminal is at least one of the sub-terminals of the sub-terminals other than the intermediate terminal, Transmitt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nd processing the order by the process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Even if the user of the main terminal leaves the business space, the user of the main terminal may receive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ransmitted by the customer terminal through the setup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intermediate terminal proceeds to process the corresponding order progress and sett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말기는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상기 주문내역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중간 단말기에 주문처리완료를 통지하며,
상기 중간 단말기는 상기 서브 단말기 중에서 상기 중간 단말기 및 상기 처리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 단말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이하 전달 단말기라 함-에 처리가 완료된 주문결과물을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통지하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ing terminal notifies completion of order processing to the intermediate terminal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intermediate terminal notifies at least one of the sub-terminals, which is selected from among the sub-terminals except for the intermediate terminal and the processing terminal, to deliver the processed result to the customer, Smart POS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단말기의 출력 명령에 따라 고객의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내역을 출력하는 POS 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POS 단말기는 상기 메인 단말기의 입력버튼을 통하여 상기 고객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원격주문 스마트 POS 시스템.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2,
And a POS terminal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eith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outputting payment details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ccording to an output command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POS terminal receives the payment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hrough an input button of the main terminal.
KR1020130155606A 2013-12-13 2013-12-13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KR1014253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06A KR101425325B1 (en) 2013-12-13 2013-12-13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06A KR101425325B1 (en) 2013-12-13 2013-12-13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325B1 true KR101425325B1 (en) 2014-08-01

Family

ID=5174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606A KR101425325B1 (en) 2013-12-13 2013-12-13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32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8210A (en) 2003-06-24 2005-01-20 Nec Infrontia Corp Order data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JP2007264702A (en) 2006-03-27 2007-10-11 Daiichikosho Co Ltd Self order pos system enabling standby customer to place advanced order
KR20070106657A (en) * 2007-09-27 2007-11-05 주식회사 씨메일즈 Pos system including unmanned kiosk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129740A (en) * 2010-05-26 2011-12-02 주식회사 쏘올 Odering system using electronic menu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8210A (en) 2003-06-24 2005-01-20 Nec Infrontia Corp Order data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JP2007264702A (en) 2006-03-27 2007-10-11 Daiichikosho Co Ltd Self order pos system enabling standby customer to place advanced order
KR20070106657A (en) * 2007-09-27 2007-11-05 주식회사 씨메일즈 Pos system including unmanned kiosk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129740A (en) * 2010-05-26 2011-12-02 주식회사 쏘올 Odering system using electronic menu and the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3768B (en) Mobile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being prioritized data set
KR20070017559A (en) Integration system of management and marketing
US20170039547A1 (en) Mobile payment system and method
KR101780707B1 (en) Mobile payment service system using QR code and a method thereof
JP2019083052A (en) Privilege management device and privilege management method
KR20130013408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selling information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program thereof
KR102127431B1 (en) Method for settlement of delivery order sales and payment terminal thereof
KR1015992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ing Cash Receipt
US8478251B1 (en) Event response apparatus and method
KR20110129330A (en) System for processing order of store, point of sales terminal and program
JP2023115311A (en) Administrative server, administrative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40106323A (en) Pos system
KR101425325B1 (en) remote ordering smart POS system
KR20200024113A (en) Method for integrated order using qr code
JP7468509B2 (en) Sales management server, sales management system, sales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TWI517066B (en) Product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tehreof
KR20150052456A (en) Smart ord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NFC function
KR20150019915A (en) Smart ord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NFC function
KR2016006430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20200000606A (en) Method for processing delivery order and payment terminal thereof
US20130024320A1 (en) System for managing interaction of customer with vendor
KR102309651B1 (en) An apparatus processing order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CN107251067A (en) Front end transaction system
JP2022086868A (en) Payment system, payment method, and program
US201501787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y goods and services presentation to a consumer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