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272B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272B1
KR101425272B1 KR1020120103472A KR20120103472A KR101425272B1 KR 101425272 B1 KR101425272 B1 KR 101425272B1 KR 1020120103472 A KR1020120103472 A KR 1020120103472A KR 20120103472 A KR20120103472 A KR 20120103472A KR 101425272 B1 KR101425272 B1 KR 101425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terminal
holding portion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791A (ko
Inventor
마나부 야노
도시히로 오이도
본철 구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에코 솔루션즈 덴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에코 솔루션즈 덴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에코 솔루션즈 덴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방수성이 향상된 회로 차단기를 제공한다. 단자판(9)은 상방에서 보아 하우징(4) 외부로 노출되어 전선(5)이 접촉 도통하는 단자부(91)와, 하우징(4) 내에 고정 접점(11)을 보지하는 접점 보지부(92)와, 단자부(91)와 접점 보지부(92) 사이에 개재하는 연결부(93)를 갖는다. 연결부(93)로부터의 단자부(91)의 돌출 방향과, 연결부(93)로부터의 접점 보지부(92)의 돌출 방향은 함께 상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에 있어서, 단자부(91)보다 장착면측(도면에서의 좌측)에는, 하우징(4)의 내외를 서로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42)이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93)로부터의 접점 보지부(92)의 돌출 방향이 하방으로 되는 경우나, 통기 구멍(42)이 단자부(91)보다 장착면으로부터 멀어진 측(도면에서의 우측)에 마련되는 경우에 비하여, 방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과전류 등을 검출하여 회로를 차단시키는 회로 차단기가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류의 회로 차단기로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것이 있다. 도 2의 회로 차단기는 고정 접점(11) 및 가동 접점(21)과, 접점(11, 21) 사이에 비정상인 전류가 흘렀을 때에 가동 접점(21)을 고정 접점(11)으로부터 떼어 놓는 트립 장치(tripping device)(3)와, 상기 각 부를 수납한 하우징(4)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하우징(4)은 대략 수직인 장착면(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분전반의 내저면)에 소정의 면(도 2에서의 좌측면)을 향하고, 다른 소정의 면(도 2에서 상면)을 상방을 향하며, 상기 장착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 접점(11)은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자판(9)에 보지되어 있다. 단자판(9)은 상방에서 보아 하우징(4)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91)와, 고정 접점(11)을 보지한 접점 보지부(92)와, 단자부(91)와 접점 보지부(92) 사이에 개재하는 연결부(93)를 갖는다. 단자부(91)는, 예를 들면 나사 단자 등의 주지의 단자 구조에 의해, 전선(5)이 접촉 도통한 상태로 보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158370 호 공보
상기 종래예에서는, 단자부(91)는 연결부(9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설치되며, 접점 보지부(92)는 연결부(93)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예에서는, 화살표(A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5)을 타고 하우징(4) 내에 물이 침수했을 경우에, 그 물이 화살표(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9)을 타고 고정 접점(11)에 도달해 버리기 쉽다. 이와 같이 고정 접점(11)에 도달한 물은 고정 접점(11)의 부식을 촉진하여, 단수명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방수성이 향상된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는 장착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하우징과,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에 보지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접점을 보지하는 단자판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고정 접점에 이접(離接) 가능한 가동 접점과, 이상을 검출하여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떼어 놓는 트립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전선이 접촉 도통하는 단자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접점을 보지하는 접점 보지부와,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점 보지부 사이에 개재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로부터의 상기 접점 보지부의 돌출 방향은 상부 방향이며, 상기 접점 보지부는 상기 단자부보다 상기 장착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보다 상기 장착면측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간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이 수납된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통기 구멍은 상방에서 보아 상기 고정 접점을 노출시키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 보지부가 연결부의 상방으로 돌출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자부에 접속된 전선을 타고 하우징 내에 물이 침수했을 경우라도, 그 물이 연결부로부터 접점 보지부에 진행하기 어렵다. 즉, 접점 보지부가 연결부의 하방으로 돌출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방수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이 단자판의 단자부보다 장착면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단자부보다 장착면으로부터 멀어진 측에 통기 구멍이 마련되는 경우에 비하여, 통기 구멍에 물이 침수하기 어렵다고 하는 점에서 방수성이 향상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조의 고정 접점(11, 12) 및 가동 접점(21, 22)과,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 각 가동 접점(21, 22)을 각각 고정 접점(11, 12)으로부터 떼어 놓는 트립 장치(3)와, 상기 각 부를 수납한 상자 형상의 하우징(4)을 구비한다. 하우징(4)은 대략 수직인 장착면(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분전반의 내저면)에 소정의 면(도 1에서의 좌측면)을 향하고, 다른 소정의 면(도 1에서의 상면)을 상방을 향하며, 상기 장착면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하, 상하 좌우는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하우징(4)의 상단부에는, 일단이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전선(5)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 1 단자(61)가 보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의 하단부에는, 일단이 부하에 접속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 2 단자(62)가 보지되어 있다. 제 1 단자(61)는 상측의 고정 접점(이하, "제 1 고정 접점"이라고 함)(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 2 단자(62)는 하측 고정 접점(이하, "제 2 고정 접점"이라고 함)(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가동 접점(21, 22)은, 상하로 길며 두께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자(311)의, 상단부의 우측면과, 하단부의 좌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311)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체(312)에,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회전자(31)를 구성하고 있다. 회전자(31)는 하우징(4)에 대하여 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자(31)가 하우징(4)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함으로써, 각 가동 접점(21, 22)은 각각 대응하는 고정 접점(11, 12)에 대하여 대략 동시에 이접한다. 각 가동 접점(21, 22)이 각각 대응하는 고정 접점(11, 12)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제 1 단자(61)와 제 2 단자(62)가 고정 접점(11, 12) 및 가동 접점(21, 22)이나 가동 접촉자(311) 등을 거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립 장치(3)는 하우징(4)의 우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조작력을 받으며 하우징(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핸들(32)이나, 전자석 장치(33)나, 영상 변류기(34)를 갖는다. 전자석 장치(33)는 하우징(4)에 대하여 고정된 전자석(331)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전자석(331)의 자력에 의해 구동되는 접극자(332)를 갖는다. 전자석 장치(33)는, 예를 들면 영상 변류기(34)에 의해서 지락이 검출되었을 때나, 제 2 고정 접점(12)과 제 2 단자(62) 사이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 동작한다. 핸들(32)과 전자석 장치(33)(접극자(332))는 각각 적절한 링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회전자(31)에 연결되어 있다. 지락이나 과전류와 같은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전자석 장치(33)가 동작하여 회전자(31)가 도 1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각 가동 접점(21, 22)은 각각 고정 접점(11, 12)으로부터 떼어져 단자(61, 62) 사이의 전기 회로는 차단된다. 또한, 핸들(3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회전자(31)를 회전시켜 단자(61, 62) 사이의 전기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트립 장치(3)는 주지 기술로 실현 가능하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하우징(4)에 있어서, 제 1 가동 접점(21)의 가동 범위의 상측의 외면에는 오목부(41)가 마련되고, 이 오목부(41)의 내주면에는 하우징(4)의 내외를 서로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인 통기 구멍(42)이 개구하고 있다. 즉, 통기 구멍(42)은 상방에서 보아 제 1 고정 접점(11)을 노출시키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42)의 관통 방향은, 제 1 고정 접점(11)과 통기 구멍(42)이 늘어서는 방향(거의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인 수평 방향(도 1의 좌측 방향 및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통기 구멍(42)은 접점 개방시에 발생하는 가스 통로가 된다.
또한, 제 1 가동 접점(21)의 가동 범위와 통기 구멍(42) 사이에는, 접점 개방시에 제 1 가동 접점(21)과 제 1 고정 접점(11)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분단하는 복수개(도 1에서는 3개)의 소호판(7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가동 접점(22)의 가동 범위의 하측(즉, 통기 구멍(42)과의 사이에 각 고정 접점(11, 12)을 끼우는 위치)에는 소호체(arc extinguishing body)(8)가 배치되어 있다. 소호체(8)는 가열되었을 때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즉, 제 2 가동 접점(22)과 제 2 고정 접점(12)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면, 그 아크에 의해서 소호체(8)가 가열되어 발생한 가스에 의해 소호가 달성된다. 소호체(8)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나, 수산화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고정 접점(11)은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자판(9)에 보지되어 있다. 단자판(9)은 상방에서 보아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제 1 단자(61)의 일부를 구성하는 단자부(91)와, 제 1 고정 접점(11)을 보지한 접점 보지부(92)와, 단자부(91)와 접점 보지부(92) 사이에 개재하는 연결부(93)를 갖는다. 제 1 단자(61)는 전선(5)을 단자판(9)의 단자부(91)에 접촉 도통한 상태로 보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단자(61)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나사 단자와 같은 주지의 단자 구조를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91)는 연결부(93)의 우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설치되며, 접점 보지부(92)는 연결부(93)의 좌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점 보지부(92)가 연결부(93)의 상방으로 돌출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자부(91)에 접속된 전선(5)을 타고 하우징(4) 내에 물이 침수했을 경우라도, 그 물이 연결부(93)로부터 접점 보지부(92)로 진행하기 어렵다. 즉, 접점 보지부(92)가 연결부(93)의 하방으로 돌출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방수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42)이 단자판(9)의 단자부(91)보다 장착면측(도 1에서의 좌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단자부(91) 보다 장착면으로부터 멀어진 측(도 1에서의 우측)에 통기 구멍(42)이 마련되는 경우에 비하여, 통기 구멍(42)에 물이 침수하기 어렵다고 하는 점에서 방수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42)이 상방에서 보아 제 1 고정 접점(11)을 노출시키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방에서 보아 제 1 고정 접점(11)을 노출시키는 위치에 통기 구멍(42)이 마련되는 경우에 비하여, 통기 구멍(42)으로부터 침수한 물이 제 1 고정 접점(11)이나 제 1 가동 접점(21)에 도달하기 어렵다고 하는 점에서 방수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 내가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통기 구멍(42)은 그들 복수개의 공간 중 고정 접점(11, 12)이 수납된 공간에 연통되어 있으면 좋다.
3 : 트립 장치
4 : 하우징
5 : 전선
9 : 단자판
11 : 제 1 고정 접점(고정 접점)
21 : 제 1 가동 접점(가동 접점)
42 : 통기 구멍
91 : 단자부
92 : 접점 보지부
93 : 연결부

Claims (2)

  1. 장착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하우징과,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에 보지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접점을 보지하는 단자판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고정 접점에 이접 가능한 가동 접점과,
    이상을 검출하여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떼어 놓는 트립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전선이 접촉 도통하는 단자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접점을 보지하는 접점 보지부와,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점 보지부 사이에 개재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로부터의 상기 접점 보지부의 돌출 방향은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단자부를 타고 물이 침투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이고,
    상기 접점 보지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보다 상기 장착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간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이 수납된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통기 구멍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보다 또한 상기 접점 보지부보다 상기 장착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구멍은 상방에서 보아 상기 고정 접점을 노출시키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20120103472A 2011-09-21 2012-09-18 회로 차단기 KR101425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05683 2011-09-21
JP2011205683A JP2013069464A (ja) 2011-09-21 2011-09-21 回路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791A KR20130031791A (ko) 2013-03-29
KR101425272B1 true KR101425272B1 (ko) 2014-08-04

Family

ID=4818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472A KR101425272B1 (ko) 2011-09-21 2012-09-18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69464A (ko)
KR (1) KR101425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4589B (zh) * 2014-07-17 2016-01-20 正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剩余电流脱扣装置的低压断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501A (ja) * 2002-03-14 2003-09-26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
KR20050051000A (ko) * 2003-11-26 2005-06-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JP2011065809A (ja) * 2009-09-16 2011-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JP2011071048A (ja) * 2009-09-28 2011-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消弧用絶縁成型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路遮断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501A (ja) * 2002-03-14 2003-09-26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
KR20050051000A (ko) * 2003-11-26 2005-06-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JP2011065809A (ja) * 2009-09-16 2011-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JP2011071048A (ja) * 2009-09-28 2011-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消弧用絶縁成型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路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791A (ko) 2013-03-29
JP2013069464A (ja)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4051B2 (ja) 導体の接続構造および導電モジュール
JP5058925B2 (ja) 電流センサ
EP2657952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170069452A1 (en) Contact switching device
CN101252063B (zh) 漏电断路器的漏电脱扣装置
US20050275981A1 (en) GFCI wiring device with integral relay module
US20090205939A1 (en) Moisture Resistant Push to Test Button For Circuit Breakers
KR20080059503A (ko) 누전 차단기
CN108321031A (zh) 电磁接触器
JP5116582B2 (ja) 漏電遮断器
KR101425272B1 (ko) 회로 차단기
JP2007287708A (ja) 分岐回路遮断器の付加警報ユニット
CN101958212A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CN201532918U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US7436639B2 (en) Compact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module
JP2007311183A (ja) 回路遮断器
US10825633B2 (en) Circuit board arrangement having electrical leads for holding an electrical fuse
JP4811435B2 (ja) 接点開閉装置
JP2009289498A (ja) リモコンリレー
US11978605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211670385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连接器
JP5922426B2 (ja) 回路遮断器
CN105679617B (zh) 多功能插头式断路器
KR20130031790A (ko) 회로 차단기
JP7330672B2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