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203B1 -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203B1
KR101425203B1 KR1020140046086A KR20140046086A KR101425203B1 KR 101425203 B1 KR101425203 B1 KR 101425203B1 KR 1020140046086 A KR1020140046086 A KR 1020140046086A KR 20140046086 A KR20140046086 A KR 20140046086A KR 101425203 B1 KR101425203 B1 KR 10142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martphone
rear body
front bod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롱엘텍
Priority to KR102014004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4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by means of colour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공이나 피부톤 및 수분 등의 피부상태를 측정하여 각자의 피부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거나 피부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1)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이격되는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 상기 후방몸체(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스마트폰(1)의 카메라(2)와 접하는 확대렌즈(30); 상기 후방몸체(20)의 이면 중앙 양측으로 돌출되어 피부의 수분을 센싱하는 전극핀(40); 상기 후방몸체(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배터리(B)를 수용하는 배터리커버(50); 상기 전방몸체(10)의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극핀(40)에서 센싱된 수분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60); 상기 전방몸체(1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는 전원스위치(70); 상기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를 스마폰(1)의 전,후면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Meter mounting skin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공이나 피부톤 및 수분 등의 피부상태를 측정하여 각자의 피부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거나 피부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피부는 각양 각색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특히 화장을 하는 사람들은 각자의 피부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해야만 더욱 더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피부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 및 홈쇼핑 시장이 급속도로 커져감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골라야 하는 제품의 특성상 화장품 방문판매원이 가정집을 방문하여 피부측정기를 사용하여 피부상태를 체크하고 소비자의 피부에 적합한 화장품의 추천 및 그로 인해 발생되는 구매시장은 여전히 큰 시장으로 자리잡고 있어 대형 화장품 회사도 많은 방문판매원을 고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는 피부측정기와 함께 휴대용 컴퓨터(노트북)를 별도로 구입하여 방문시마다 소지하고 다녀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설치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관심도가 큰 피부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그 수요가 굉장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피부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318607호와 등록특허 제10-1030800호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피부측정기에 카메라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카메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고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141993호에는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확대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물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측정 대상을 측정하도록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여 감싸는 하우징으로서, 정면은 측정하는 측정 대상을 향하고, 상기 정면의 반대면인 후면은 상기 카메라에 접하는 본체부, 그리고 기역자 모양의 기구로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일측이 상기 후면 방향으로 일정 길이까지 뻗어 나오고, 뻗어 나온 길이의 끝에서 직각으로 꺾여 다른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다른 일측과 상기 본체부 사이에 상기 휴대 단말기를 끼우는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부착용 확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확대장치는 본체부를 단말기에 고정시키는 단말기 고정부를 고정나사로 조여서 고정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단말기 고정부를 단말기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어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확대장치는 피부를 확대 촬영할 수는 있으나 구조적으로 자신에 맞는 피부톤이나 피부의 수분은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0842373호에는 장치 탈,부착수단을 통하여 영상 처리 장치의 렌즈 부위에 단독적으로 탈,부착되고 외부로부터의 빛투과가 가능토록 투명하게 구성된 케이싱부재; 및,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영상 처리 장치의 렌즈와 협력하여 영상 확대를 구현하는 렌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수단은, 저배율 렌즈로 제공되고,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렌즈는 접안렌즈로 제공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영상 확대를 구현토록 구성되되 영상 대상물에 밀착되는 상기 케이싱부재의 길이는 상기 저배율 렌즈의 초점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된 간이형 영상 확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간이형 영상 확대 장치 또한 피부를 확대 촬영할 수는 있으나 구조적으로 자신에 맞는 피부톤이나 피부의 수분은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1318607호(2013.10.08)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1030800호(2011.04.15) 특허문헌 3 : 공개특허 제10-2013-0141993호(2013.12.27) 특허문헌 4 : 등록특허 제10-0842373호(2008.06.2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결합한 상태에서 피부를 확대 촬영하여 피부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피부의 수분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자신에게 맞는 피부톤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피부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여 피부를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에 유동이 없도록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두께에 상관없이 어떠한 스마트폰에도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배터리를 교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측정기의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스마트폰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이격 배치하되, 상기 후방몸체의 하부에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접하는 확대렌즈를 장착하고, 상기 후방몸체의 이면 중앙 양측으로 피부의 수분을 센싱하는 전극핀을 돌출시키며, 상기 후방몸체의 상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커버를 회전가능하게 내장하고, 상기 전방몸체의 전면 중앙부에 전극핀에서 센싱된 수분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을 설치하며, 상기 전방몸체의 전면 하부에 전원스위치을 설치하고,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스마폰의 전,후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확대렌즈와 마주하는 피부에는 피부톤 분석용 컬러스티커를 부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컬러스티커의 중앙에는 투과공을 형성하고, 상기 컬러스티커의 전면에는 방사상으로 구획되어 각기 다른 피부톤을 나타내는 다수의 지표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후방몸체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전방몸체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드홈에 장착되어 전방몸체를 후방몸체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결합되어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몸체의 상부에는 지지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의 내측에는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이동편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의 상부에 양측 하단이 각각 연결되는 손잡이와 토션스프링 및 축이 구비된 집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몸체와 확대렌즈의 내측에는 스마트폰의 전,후면에 접촉되는 실리콘을 각각 부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간단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카메라에 접하는 확대렌즈로 피부를 확대 촬영하여 피부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2개 전극핀을 피부에 접촉시켜 피부의 수분도를 디스플레이창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컬러스티커로 자신에게 맞는 피부톤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피부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피부를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에 따르면, 밀착부재로 피부측정기를 스마트폰에 유동이 없도록 견고하게 탄력적으로 부착할 수 있고, 두께에 상관없이 어떠한 스마트폰에도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교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피부측정기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간단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가볍고 작은 디자인으로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5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보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피부측정기가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스티커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스티커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이격되는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 상기 후방몸체(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스마트폰(1)의 카메라(2)와 접하는 확대렌즈(30); 상기 후방몸체(20)의 이면 중앙 양측으로 돌출되어 피부의 수분을 센싱하는 전극핀(40); 상기 후방몸체(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배터리(B)를 수용하는 배터리커버(50); 상기 전방몸체(10)의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극핀(40)에서 센싱된 수분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60); 상기 전방몸체(1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는 전원스위치(70); 상기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를 스마폰(1)의 전,후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8에서와 같이, 상기 확대렌즈(30)와 마주하도록 피부에 부착되는 피부톤 분석용 컬러스티커(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는 스마트폰(1)의 카메라(2)에 결합한 상태에서 피부를 확대 촬영하여 피부상태를 체크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는 전방몸체(10), 후방몸체(20), 확대렌즈(30), 전극핀(40), 배터리커버(50), 디스플레이창(60), 전원스위치(70), 밀착부재(80) 및 컬러스티커(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마트폰(1)은 피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스마트폰(1)에는 피부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피부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별도로 탑재한다.
상기 스마트폰(1)은 카메라(2)를 내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진 휴대형 디지털 장치이다. 이러한 스마트폰(1)은 카메라(2)의 구동 시 카메라(2)가 촬영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창에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1)의 카메라(2)를 구동시키고,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카메라(2)가 촬영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은 각종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실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카메라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 예를 들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스마트폰(1)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2)를 구동한다. 또한, 스마트폰(1)은 피부측정기와 관련된 측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측정 소프트웨어에서 프로그램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폰(1)은 예를 들면, 일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DA 등을 모두 포함하는 휴대형 디지털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은 피부측정기의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사용자는 후방몸체(20)의 확대렌즈(30)와 스마트폰(1)의 카메라(2)가 접하도록 부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폰(1) 만으로 측정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내장된 카메라(2)의 기능에 한정된 이미지만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폰(1)에 도 6에서와 같이 피부측정기를 부착하면, 스마트폰(1)의 카메라(2)에 접하는 확대렌즈(30)를 통해 사용자는 마치 현미경과 같이 복수의 렌즈로 확대하는 것과 같이, 고배율의 측정 대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는 피부측정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후방몸체(10)(20)는 스마트폰(1)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몸체(10)(20)는 스마트폰(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에는 전극핀(40), 디스플레이창(60)을 제어하는 PCB가 각각 내장되며, 상기 전극핀(40), 디스플레이창(60) 전원스위치(70), 배터리(B)는 밀착부재(8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의 사이 틈새는 스마트폰(1)의 두께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 사이 폭은 밀착부재(80)를 통해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께에 상관없이 어떠한 스마트폰에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확대렌즈(30)는 후방몸체(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스마트폰(1)의 카메라(2)와 접하는 것으로, 이러한 확대렌즈(30)는 스마트폰(1)의 카메라(2)로 촬영되는 피부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확대렌즈(30)는 30배 줌 렌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대렌즈(3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물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이러한 확대렌즈(30)는 다양한 종류의 렌즈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확대렌즈(30)는 유리 렌즈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가벼우면서 고배율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다중 압축 고배율 렌즈, 예를 들면 3중 압축 고배율 렌즈를 이용할 수 있으며, 확대렌즈(30)는 사출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핀(40)은 후방몸체(20)의 이면 중앙 양측으로 돌출되어 피부의 수분을 센싱하는 것으로, 이러한 2개의 전극핀(40)은 피부 접촉시에 전기적 변화가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용 전극핀(40)은 양단자를 통하여 피부에 일정한 전기를 흘리고, 양단자 사이에서 변화하는 임피던스의 변화량으로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파악한다. 이때, 상기 전극핀(40)에 의해서 피부의 수분이 체크되면 체크된 수분도는 디스플레이창(60)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배터리커버(50)는 후방몸체(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터리커버(50)에는 피부측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가 장착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후방몸체(20)의 상부에는 배터리커버(50)를 수용하는 커버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커버(50)는 커버홈(21)에 내장된 상태에서 일측이 회전되면서 열리고 닫히도록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커버(50)의 타측에는 개폐용 손잡이(51)가 돌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커버(50)를 도 3에서와 같이 회전시켜 열고 배터리(B)를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피부측정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창(60)은 전방몸체(10)의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창(60)은 전극핀(40)에서 센싱된 수분도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창(60)은 수분 측정에 따른 물리적인 측정 데이터가 전기적 신호로 입력되면 이를 미리 입력된 비교값에 대응시켜 10진수로 변환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의 수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스위치(70)는 전방몸체(1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원스위치(70)는 배터리(B)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피부측정기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상기 밀착부재(80)는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를 스마폰(1)의 전,후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밀착부재(80)는 전방몸체(10)와 후반몸체(20)를 스마트폰(1)에 탄력적으로 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밀착부재(80)는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에 각각 내장된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80)의 내부로 전선을 끼워서 전,후방몸체(10)(20)에 내장된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80)는 후방몸체(20)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전방몸체(10)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810)와, 상기 지지대(810)의 슬라이드홈(811)에 장착되어 전방몸체(10)를 후방몸체(20)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812)과, 상기 지지대(8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스프링(8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8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810)는 후방몸체(20)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대(810)는 전방몸체(10)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810)에는 슬라이드홈(81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몸체(10)의 상부에는 지지대(81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부(11)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11)의 내측에는 슬라이드홈(811)에 끼워져 스프링(812)의 탄력을 받는 이동편(12)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812)은 지지대(810)의 슬라이드홈(811)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812)은 전방몸체(10)를 후방몸체(20)측으로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812)의 양단은 캡(813)과 이동편(12)에 각각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812)에 의해 전방몸체(10)는 후방몸체(20)측으로 이동하려는 탄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를 외측으로 당겨 벌린 상태에서 스마트폰(1)에 끼우고 손을 놓으면 스프링(812)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는 스마트폰(1)의 전,후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캡(813)은 지지대(810)의 선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캡(813)은 스프링(8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캡(813)은 스프링(812)의 타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80)는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의 상부에 양측 하단이 각각 연결되는 손잡이(821)와 토션스프링(822) 및 축(823)이 구비된 집게(8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9에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L은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에 내장된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선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게(820)는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의 상부에 양측 하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집게(820)에는 손잡이(821)와 토션스프링(822) 및 축(82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집게(820)의 양측 손잡이(821)를 눌러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스마트폰(1)에 끼우고 손을 놓으면 토션스프링(822)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는 스마트폰(1)의 전,후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컬러스티커(90)는 확대렌즈(30)와 마주하도록 피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컬러스티커(90)는 피부톤 분석용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컬러스티커(90)는 도 8에서와 같이 촬영하고자 하는 피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컬러스티커(90)를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피부측정기가 결합된 스마트폰(1)으로 컬러스티커(90)가 부착된 피부를 촬영하면 스마트폰(1)에는 확대된 컬러스티커(90)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컬러스티커(90)의 중앙에는 투과공(91)이 형성되고, 상기 컬러스티커(90)의 전면에는 방사상으로 구획되어 각기 다른 피부톤을 나타내는 다수의 지표부(9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지표부(92)에는 색을 표현하는 호수(색상 번호)가 기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투과공(91)을 통해 확대 촬영된 피부 색상과 컬러스티커(90)의 지표부(92) 색상을 보고 자신의 피부 색상에 맞는 피부톤을 찾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방몸체(10)와 확대렌즈(30)의 내측에는 스마트폰(1)의 전,후면에 접촉되는 실리콘(100)(110)이 각각 부착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100)(110)은 피부측정기를 스마트폰(11)에 부착할 때 스마트톤(1)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실리콘(100)(110)은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1)의 카메라(2)에 결합한 상태에서 확대렌즈(30)로 피부를 확대 촬영하여 피부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2개 전극핀(40)을 피부에 접촉시켜 피부의 수분도를 디스플레이창(60)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컬러스티커(90)로 자신에게 맞는 피부톤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피부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하여 피부를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밀착부재(80)로 피부측정기를 스마트폰(1)에 유동이 없도록 견고하게 탄력적으로 부착할 수 있고, 두께에 상관없이 어떠한 스마트폰에도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교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1)에 피부측정기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가볍고 작은 디자인으로 휴대가 간편하며, 간단한 구조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스마트폰 2 : 카메라
10 : 전방몸체 11 : 이동부
12 : 이동편 20 : 후방몸체
30 : 확대렌즈 40 : 전극핀
50 : 배터리커버 60 : 디스플레이창
70 : 전원스위치 80 : 밀착부재
90 : 컬러스티커 91 : 투과공
92 : 지표부 100,110 : 실리콘
810 : 지지대 812 : 스프링
813 : 캡 820 : 집게
821 : 손잡이 822 : 토션스프링
823 : 축

Claims (7)

  1. 스마트폰(1)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이격되는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 상기 후방몸체(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스마트폰(1)의 카메라(2)와 접하는 확대렌즈(30); 상기 후방몸체(20)의 이면 중앙 양측으로 돌출되어 피부의 수분을 센싱하는 전극핀(40); 상기 후방몸체(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배터리(B)를 수용하는 배터리커버(50); 상기 전방몸체(10)의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극핀(40)에서 센싱된 수분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60); 상기 전방몸체(1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는 전원스위치(70); 상기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를 스마폰(1)의 전,후면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렌즈(30)와 마주하도록 피부에 부착되는 피부톤 분석용 컬러스티커(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스티커(90)의 중앙에는 투과공(91)이 형성되고, 상기 컬러스티커(90)의 전면에는 방사상으로 구획되어 각기 다른 피부톤을 나타내는 다수의 지표부(9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80)는 후방몸체(20)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전방몸체(10)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810)와, 상기 지지대(810)의 슬라이드홈(811)에 장착되어 전방몸체(10)를 후방몸체(20)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812)과, 상기 지지대(8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스프링(8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8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10)의 상부에는 지지대(81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11)의 내측에는 슬라이드홈(811)에 끼워져 스프링(812)의 탄력을 받는 이동편(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80)는 전방몸체(10)와 후방몸체(20)의 상부에 양측 하단이 각각 연결되는 손잡이(821)와 토션스프링(822) 및 축(823)이 구비된 집게(8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10)와 확대렌즈(30)의 내측에는 스마트폰(1)의 전,후면에 접촉되는 실리콘(100)(110)이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부착형 피부측정기.
KR1020140046086A 2014-04-17 2014-04-17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 KR10142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086A KR101425203B1 (ko) 2014-04-17 2014-04-17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086A KR101425203B1 (ko) 2014-04-17 2014-04-17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203B1 true KR101425203B1 (ko) 2014-08-01

Family

ID=5174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086A KR101425203B1 (ko) 2014-04-17 2014-04-17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20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584A (ko) * 2016-07-22 2016-08-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피부 진단 및 관리를 위한 휴대용 분광 이미징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그 프로그램
WO2016159710A1 (ko) * 2015-04-03 2016-10-0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모바일 다중 분광 이미징 디바이스, 다중 분광 이미지 획득용 사용자 단말, 분광 이미지 분석 서버 및 그 방법
WO2016204417A1 (ko) * 2015-06-15 2016-12-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 측정장치 및 그 캘리브레이션 방법, 피부 진단용 촬영 모듈 및 장치, 피부 진단 방법 및 피부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752830B1 (ko) * 2015-11-16 2017-07-03 김임준 휴대폰을 이용한 피부상태 측정장치
KR101785433B1 (ko) * 2015-11-18 2017-10-16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학습겸용 영상투사장치
KR101843261B1 (ko) * 2016-06-08 2018-03-28 (주)진코스텍 휴대기기를 이용한 피부상태 측정장치
WO2019066507A1 (ko) * 2017-09-28 2019-04-04 주식회사 초위스컴퍼니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KR20190037189A (ko) * 2017-09-28 2019-04-05 (주)초위스컴퍼니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KR20190048192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마이크로메디 유방암 자가 진단기 탈부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42Y1 (ko) 2011-09-20 2012-03-30 김유식 휴대용 피부 관리기
KR20120140328A (ko) * 2011-06-21 2012-12-31 정하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용 화상시스템
KR20130104880A (ko) * 2012-03-15 2013-09-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수분 측정기기 및 방법
US20140066728A1 (en) 2012-09-01 2014-03-06 Nova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Measuring Skin Hyd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328A (ko) * 2011-06-21 2012-12-31 정하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용 화상시스템
KR200459542Y1 (ko) 2011-09-20 2012-03-30 김유식 휴대용 피부 관리기
KR20130104880A (ko) * 2012-03-15 2013-09-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수분 측정기기 및 방법
US20140066728A1 (en) 2012-09-01 2014-03-06 Nova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Measuring Skin Hydratio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9463B2 (en) 2015-04-03 2020-01-21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obile multispectral imaging device, user terminal for acquiring multispectral image, spectral image analysis server and method thereof
WO2016159710A1 (ko) * 2015-04-03 2016-10-0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모바일 다중 분광 이미징 디바이스, 다중 분광 이미지 획득용 사용자 단말, 분광 이미지 분석 서버 및 그 방법
WO2016204417A1 (ko) * 2015-06-15 2016-12-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 측정장치 및 그 캘리브레이션 방법, 피부 진단용 촬영 모듈 및 장치, 피부 진단 방법 및 피부 이미지 처리 방법
US11274966B2 (en) 2015-06-15 2022-03-15 Seoul Viosys Co., Ltd. Hyper-spectral image measurement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photographing module and device for skin diagnosis, skin diagnosis method, and skin image processing method
US10551248B2 (en) 2015-06-15 2020-02-04 Seoul Viosys Co., Ltd. Hyper-spectral image measurement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photographing module and device for skin diagnosis, skin diagnosis method, and skin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752830B1 (ko) * 2015-11-16 2017-07-03 김임준 휴대폰을 이용한 피부상태 측정장치
KR101785433B1 (ko) * 2015-11-18 2017-10-16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학습겸용 영상투사장치
KR101843261B1 (ko) * 2016-06-08 2018-03-28 (주)진코스텍 휴대기기를 이용한 피부상태 측정장치
KR20160093584A (ko) * 2016-07-22 2016-08-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피부 진단 및 관리를 위한 휴대용 분광 이미징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그 프로그램
WO2019066507A1 (ko) * 2017-09-28 2019-04-04 주식회사 초위스컴퍼니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KR20190037189A (ko) * 2017-09-28 2019-04-05 (주)초위스컴퍼니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KR102317946B1 (ko) * 2017-09-28 2021-10-28 (주)초위스컴퍼니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US11457858B2 (en) 2017-09-28 2022-10-04 Chowis Co., Ltd. Skin diagnostic device and coupling system therefor
KR20190048192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마이크로메디 유방암 자가 진단기 탈부착 장치
KR102080853B1 (ko) 2017-10-30 2020-02-24 주식회사 마이크로메디 유방암 자가 진단기 탈부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203B1 (ko) 스마트폰 부착용 피부측정기
JP7232363B2 (ja) 電子装置を用いた皮膚分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296958B1 (en) Associating cosmetic products to skin tone color
US20200278297A1 (en) Universal Rapid Diagnostic Test Reader with Trans-Visual Sensitivity
Dendere et al. A review of cellphone microscopy for disease detection
US20160156754A1 (en) Cell phone case with illuminated magnifier
US9258029B2 (en) Protective sheath
Das et al. Mobile phone based mini-spectrometer for rapid screening of skin cancer
KR20060132456A (ko) 내장형 프로젝션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정보 제품
CN214675333U (zh) 色彩采集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US840582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polarizing ability of glass using the same
KR101993265B1 (ko) 스마트폰용 확대 영상 장치
CN203157475U (zh) 带电子体温计的手写笔
KR200342817Y1 (ko) 휴대폰용 확대 영상 장치
KR102211228B1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폰용 확대 영상 장치
KR100689466B1 (ko) 카메라의 측정 거리 표시 장치
CN108535887A (zh) 一种带有双天线结构的智能眼镜
Hamilton-Fletcher et al. Accuracy and Usability of Smartphone-based Distance Estimation Approaches for Visual Assistive Technology Development
Cavalcanti et al. Smartphone-based multispectral imaging otoscope for the diagnosis of otitis media (Conference Presentation)
KR20190071978A (ko) 모바일 기기
CN115808968A (zh) 头戴式设备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CN115808793A (zh) 头戴式设备
JP2014138260A (ja) 携帯端末
CN115808791A (zh) 头戴式设备
US20080072315A1 (en) Portable computer security device that includes a housing with an integrated magnifying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