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785B1 -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785B1
KR101424785B1 KR1020120079608A KR20120079608A KR101424785B1 KR 101424785 B1 KR101424785 B1 KR 101424785B1 KR 1020120079608 A KR1020120079608 A KR 1020120079608A KR 20120079608 A KR20120079608 A KR 20120079608A KR 101424785 B1 KR101424785 B1 KR 10142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tary shaft
fixed
sprocket
pu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887A (ko
Inventor
박미연
Original Assignee
박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연 filed Critical 박미연
Priority to KR102012007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7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2001/048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 모종이나 보리 모종을 논에 심을 때 이앙기를 사용하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모를 심을 수 있게 멀칭지를 이용하여 벼 씨를 매입하거나 접착한 상태로 롤 형태로 생산하여 모종을 심는 논에 직접 펼쳐서 농사를 할 수 있게 한 모종용 씨앗을 매입시킨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으로 구성된 몸체부(100)와, 기계장치의 동력공급과 작동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110)와, 감속모터(201) 제1롤러(31a) 제2롤러(32a) 제20롤러(50a) 권취롤러(85) 고정축(90)으로 구성된 구동부(200)와, 제4롤러(34a) 롤러히터(65)로 되어 전원을 공급하여 열 압착해주는 접합부(300)와, 제8회전축(38)과 제9회전(39)의 회전에 의해 씨앗 소재를 투하하는 호퍼부(400)와, 멀칭지 상단에 올려지는 상부 펄프 공급부(450)와, 멀칭지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펄프 공급부(460)와, 멀칭지 절개를 위해 선단에 칼날을 고정한 절개부(500) 및 제18롤러(48a)에 멀칭지 원단을 끼워 공급하는 소재 공급부(550)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Direct sowing mul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벼 모종이나 보리 모종을 논에 심을 때 이앙기를 사용하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모를 심을 수 있게 멀칭지를 이용하여 벼 씨를 매입하거나 접착한 상태로 롤 형태로 생산하여 모종을 심는 논에 직접 펼쳐서 농사를 할 수 있게 한 모종용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벼 농사에 있어서, 제일 좋은 농사방법은 벼 씨를 직접 논에 뿌리는 직파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나 이의 직파방법은 벼 씨앗을 뿌릴 경우 무작위 위치로 뿌려져 벼 씨앗이 많이 뿌려진 곳과 적게 뿌려진 곳이 발생할 경우 벼의 활착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씨앗을 다량으로 심어 작업하는 데에 있어서는 불편한 점이 너무 많아 기계식으로는 도저히 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벼 농사에 있어 편리하게 기계식으로 영농을 하기 위해서 일정한 치수의 모판을 만들어 모판에 흙을 얹은 후 벼 씨를 뿌린 다음 일정한 기간 동안 물을 주어 싹이 자라도록 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은 벼 씨가 모판에서 자라면서 뿌리가 모판의 바닥 구멍을 지나 땅바닥까지 번져 뿌리가 서로 뒤엉키진 상태로 자라 모판 아래로 뻗어있는 뿌리를 모두 잘라 주어야만 이앙기 작업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모판에 있는 뿌리로만은 그 길이가 너무 짧아 논바닥에 깊게 심지를 못해 벼의 성장과정에 있어 바람이 불거나 장마철이 되면 쉽게 쓰러져 농사를 망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뿐만 아니라 벼 모종을 심기 위해서는 논을 서래 질 이후 약 7일에서 15일이 지난 이후에 벼 모종을 심어야 뿌리가 자라나는 활착률이 좋게 된다. 이를 경우 벼 모종을 심는 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자칫 잘못하면 벼 모종 시기가 넘어 벼 성장과정에 문제가 발생하여 벼 수확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더구나 트랙터나 이앙기는 여성이나 노약자가 조작하기에는 무리라 거의 남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씨앗을 사용하는 모든 밭작물에 있어서는 밭작물에서 자생하는 풀과 같은 잡초에 의해 작물의 활착에 영향을 적게 주기 위해 멀칭지를 경작지에 펼친 상태에서 멀칭지에 구멍을 내면서 모종을 옮겨 심거나 씨앗을 심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밭작물을 경작하는 되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나 점차 작업 인력이 부족하여 밭작물을 하여야 하는 최적의 시기를 놓쳐 밭작물의 생육에도 문제점이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직파로 손쉽게 벼 모종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롤에 말려 있는 멀칭지를 경작지에 펼쳐주는 작업으로 직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씨앗을 모종판에서 끼운 다음 이식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씨앗을 논이나 밭 경작지에 씨앗을 직접 뿌려는 직파 방식으로 씨앗을 일체로 매입하여서 된 멀칭지를 경작지에 펼쳐서 깔아주면서 양측부분에 흙을 올려 줌으로 작업이 완료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으로 구성된 몸체부와, 기계장치의 동력공급과 작동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와, 감속모터 제1롤러, 제2롤러, 제20롤러, 권취롤러, 고정축으로 구성된 구동부와, 제4롤러, 롤러히터로 되어 전원을 공급하여 열 압착해주는 접합부와, 제8회전축과 제9회전의 회전에 의해 씨앗 소재를 투하하는 호퍼부와,
멀칭지 상단에 올려지는 상부 펄프 공급부와, 멀칭지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펄프 공급부와, 멀칭지 절개를 위해 선단에 칼날을 고정한 절개부 및 제18롤러에 멀칭지 원단을 끼워 공급하는 소재 공급부로 구성하여 씨앗을 멀칭지에 매입함으로 멀칭지를 경작지에 펼쳐줌으로 해서 직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멀칭지에 직접 씨앗을 매입하여 농경지에서 작업자가 농경지에 펼쳐 주면 되는 것으로 농경지의 길이에 알맞게 절단하여서도 사용할 수 으며 단순하게 펼쳐주는 작업 후 멀칭지의 양측부분을 흙으로 조금씩 덮어두어 바람에 날리지 않게만 하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종래와 같이 멀칭지를 펼쳐준 다음 곳곳에 구멍을 뚫어 작업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농작물의 씨앗을 직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개부와 호퍼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합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절단날이 내려 오기전의 부분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절단날이 내려져 소재가 절개되는 상태의 부분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소재가 투입됨에 있어 작동하는 롤러부분을 표시한 상태도
도 11은본 발명에서 소재가 투입됨에 있어 작동하는 롤러부분과 스프로킷을 표시한 상태도
도 12는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 예로 소재가 투입됨에 있어 작동하는 롤러부분을 표시한 상태도로서 접착소재공급부를 표시한 상태도
본 발명은 프레임으로 구성된 몸체부(100)와, 기계장치의 동력공급과 작동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110)와,
감속모터(201) 제1롤러(31a) 제2롤러(32a) 제20롤러(50a) 권취롤러(85) 고정축(90)으로 구성된 구동부(200)와,
제4롤러(34a) 롤러히터(65)로 되어 전원을 공급하여 열 압착해주는 접합부(300)와, 제8회전축(38)과 제9회전(39)의 회전에 의해 씨앗 소재를 투하하는 호퍼부(400)와,
멀칭지 상단에 올려지는 상부 펄프 공급부(450)와, 멀칭지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펄프 공급부(460)와, 멀칭지 절개를 위해 선단에 칼날을 고정한 절개부(500) 및 제18롤러(48a)에 멀칭지 원단을 끼워 공급하는 소재 공급부(550)로 구성된다.
상기의 몸체부(100)는 본원 발명의 골격을 유지하는 부분으로 다수 개의 프레임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용접하여 몸체 형상을 이룬다.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구동부(200)는 감속모터(201)의 회전축에 제1 스프로킷(1)을 고정하고 멀칭지(800)가 위로 통과하는 제1롤러(31a)의 제1회전축(31) 에는 상호 간에 크기가 다른 대 소로 구분된 제2, 제3 스프로킷(2)(3)을, 타측에는 제4 스프로킷(4)을 고정하며 제1롤러(31a) 상측에 제2회전축(32)의 제2롤러(32a)가 맞닿게 고정한다.
상기의 제1롤러(31a)와 제2롤러(32a)는 표면에 탄성을 가지는 우레탄재질의 롤러로 된다. 상기 감속모터(20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1 스프로킷(1)과 상기 제1롤러(31a)의 제1회전축(31)에 고정된 제2 스프로킷(2)을 제1 체인(101)으로 연동하게 한다.
상기의 제1회전축(31)의 타측에 고정된 제4 스프로킷(4)은 전방에 설치되는 회수용 권취롤러(85)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축(90) 부분에 고정된 제5 스프로킷(5)에 제2체인(52)으로 연동하게 한다.
상기의 접합부(300)는 멀칭지(800)와 상단 펄프(801)와 하단펄프(802)를 2중 또는 3중 열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히터(65)로 되었으며 다수 개를 제1 회전축(13)에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하여 고정한다.
상기의 롤러히터(65)는 표면에 다수 개의 요 홈(66)을 만들어 멀칭지(800)와 상단 펄프(451)와 하단펄프(452)를 3중 열 접착시 완전 밀착되지 않고 다소의 공간이 확보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롤러히터(65)의 배열 개수에 따라 멀칭지의 줄이 확정되는 것으로 멀칭지의 폭이 2m정도 일 경우 5개 정도가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4개 내지 6개로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즉 멀칭지의 크기에 따라 4개 내지 6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이상으로도 설치 가능한 것으로 상기 롤러히터(65)에는 전원이 공급되며 롤러 히터(65)를 고정한 제3회전축(33) 하단에는 우레탄으로 된 제4롤러(34a)의 제4회전축(34)을 고정하며 제4회전축(34)의 일 측에는 제6스프로킷(6)을 고정한다.
상기 제1롤러(31a)의 제1회전축(31)과 제4롤러(34a)의 제4회전축(34)의 사이 몸체부(100) 프레임에는 연결편(150)의 선단에 탄성 스프로킷(151)을 결합한다.
상기 접합부(300)는 일 측으로 우레탄 재로 된 제5롤러(35a)와 제6롤러(36a)는 제5회전축(35)과 제6회전축(36)을 일체로 하여 고정되며 상기의 제5회전축(35) 일 측에는 제7, 제8, 제9 스프로킷(7)(8)(9)을 고정한다.
상기 제5롤러(35a)와 제6롤러(36a)의 제5회전축(35)과 제6회전축(36)을 브라켓트(160) 상에 일체로 한 연동판(161)을 통해 고정하였으며 상기 연동판(161)은 탄성스프링(162)을 축삽한 조절볼트 축(163)에 의해 상·하 조절하여 제6회전축(36)의 제6롤러(36a)와 밀착 상태를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5롤러(35a)의 제5회전축(35)에 결합 된 제7스프로킷(7)은 구동부(200)의 제1회전축(31)의 제3스프로킷(3)과 제3체인(53)으로 연동 되게 하고, 제8스프로킷(8)은 제4롤러(34a)의 제6스프로킷(6)과 제4체인(54)으로 연동 되게 하였다.
상기의 제3체인(53)은 상기 제1회전축(31)과 제3회전축(33) 사이의 몸체 프레임에 결합한 연결편(150) 선단에 결합한 탄성 스프로킷(151)을 받쳐주어 제3체인(53)이 아래로 늘어짐을 방지하였다.
상기의 제5롤러(35a)와 제6롤러(36a) 측의 브라켓트(160) 상단에는 상단 펄프 안내보빈(210)을 제7회전축(37)에 결합한다.
상기 상단 펄프 안내보빈(210)은 상부펄프(452)가 이동할 때 이탈됨이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구실을 한다.
상기의 호퍼부(400)는 멀칭지(800)에 매입하고자 하는 씨앗 소재를 투입하여 아랫부분으로 이동하는 멀칭지(800) 위에 투여하는 부분으로 호퍼몸체(70)의 내부 하단에 다수 개의 관통공(71)을 형성하고 상기의 관통공(71)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공(71) 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공(72)을 관통한 제8회전축(38)과 제9회전축(39)으로 되어 있으며, 제8회전축(38)에는 제10스프로킷(10)을 고정하며 제9회전축(39)에는 제11, 제12스프로킷(11)(12)을 고정한다.
상기의 제8회전축(38)의 제10스프로킷(10)과 제9회전축(39)의 제11스프로킷(11)은 제5체인(55)으로 연동 되게 체결하여 제8회전축(38)과 제9회전축(39)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호퍼몸체(70)의 일 측에는 멀칭지(800)와 상부펄프(452) 안내를 위한 제10회전축(40)의 제10롤러(40a)와 제11회전축(41)의 제11롤러(41a)가 설치되며 제10롤러(40a)와 제11롤러(41a) 사이로 멀칭지(800)와 상부펄프(452)가 지나간다.
상기 제10회전축(40)에는 제13스프로킷(13)과 제14스프로킷(14)을 일체로 고정한다. 상기의 제13스프로킷(13)은 제5회전축(35)의 제9스프로킷(9)과 제6체인(55)으로 연동하게 한다.
상기의 절개부(500)는 제12회전축(42)에 다수 개를 설치하여 하단부로 이동하는 멀칭지(800)를 일정하게 부분적으로 절개하는 곳으로 체결부재(75)와 결합한 연결대(76)의 선단에 다수 개의 칼날을 하나의 뭉치로 구성한 절단날(77)을 고정하였으며 제12회전축(42)의 일 측에는 작동대(78)를 고정한다.
상기의 작동대(78)는 절단날(77)을 일체로 고정한 연결대(76)와 90도 정도의 직각 상태로 고정한다. 상기의 제12회전축(42)의 아래에는 고무제로 된 제13롤러(43a)를 일체로 한 받침용 제13회전축(43)을 설치하며 제13롤러(43a)의 일 측에는 제14롤러(44a)을 일체로 한 제14회전축(44)을 작동되게 고정하며 상기 제14회전축(44)에는 제15, 제16, 제17 스프로킷(15)(16)(17)을 설치한다.
상기의 제14회전축(44)의 일측에는 제15롤러(45a)와 일체로 한 제15회전축(45)을 설치하며 상기 제15회전축(45)에는 제18스프로킷(18)을 고정한다.
상기의 제9회전축(39)의 제12스프로킷(12)은 제14회전축(44)의 제15스프로킷(15)과 제7체인(57)으로 연동하게 하며, 제10회전축(40)의 제14스프로킷(14)은 제14회전축(44)의 제17스프로킷(17)과 제8체인(58)으로 연동하게 한다,
상기 제14회전축(44)의 제16스프로킷(16)은 제15회전축(45)의 제18스프로킷(18)과 제9체인(59)으로 연동하게 하였다. 상기의 제15회전축(45)에 일체로 한 제15롤러(45a) 상단에는 제16회전축(46)과 일체로 된 제16롤러(46a)를 밀착되게 고정하였다.
상기 제15회전축(45)의 타측에는 180도 상에 대향 되는 위치에 각각 돌기(81)를 돌출시킨 회전 캠(80)을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의 회전 캠(80)은 제15회전축(45)의 회전시 작동하며 회전 캠(80)의 회전으로 돌기(81) 부분이 제10회전축(40)의 회전에 의해 돌기(81)의 상사 점 부분이 작동대(78)를 밀어주면 제10회전축(40)이 작동하여 제10회전축(40)에 고정되어 있던 연결대(76) 부분이 아래로 내려짐과 동시에 연결대 선단에 고정한 절단날(77)이 멀칭지(800)를 절개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의 멀칭지 소재 공급부(550)는 일측에 제19스프로킷(19)을 고정축(90)에 고정하고 고정축(90) 전방에 제18롤러(48a)를 고정한 제18회전축(48)을 안착하여 된다.
상기의 제18회전축(48) 일측에는 제20스프로킷(20)을 고정하여 제19스프로킷(19)과 제10체인(60)으로 연동하게 하고 타측부분은 쉽게 분리하기 위해 일 측 안치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로 쉽게 멀칭지(800)가 안치되도록 한 멀칭지 제조장치이다.
상기의 제6회전축(36)의 하단에는 하부펄프공급부(460)가 구성되며 하부펄프(462)의 하부펄프 공급 릴(461)과 하단펄프 안내보빈(211)을 설치한다.
상기 하단펄프 안내보빈(211)의 하부에는 접착소재공급부(700)를 설치한다. 상기의 접착소재공급부(700)는 하단펄프 안내보빈(211)의 일측에 보조롤러(702)를 설치하며 하단펄프 안내보빈(211)은 상기 접착소재공급용기(701)에 내측에서 회전되게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에서 모종용 씨앗을 매입한 멀칭지를 제조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8회전축(48)의 제18롤러(48a) 상에 멀칭지(800)가 말려져 있는 소재를 끼운 후 멀칭지(800)를 넓게 펼친 상태에서 제15회전축(45)의 제15롤러(45a)와 제16회전축(46)의 제16롤러(46a) 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제14롤러(44a)와 제13롤러(43a)의 상단을 지나 제10롤러(40a)와 제11롤러(41a) 사이를 통과하여 호퍼몸체(70)의 아래로 지나 제19롤러(49a) 아래를 거쳐 다시 제4롤러(34a)와 제3회전축(33)에 고정한 롤러히터(65) 사이를 통과 후 다시 제20롤러(50) 아래를 지나 제1롤러(31a)와 제2롤러(32a) 사이를 통과하여 권취롤러(85)에 감겨 지게 한다.
그리고 롤에 감겨있는 상부펄프(452)를 상단펄프 공급 릴(451)에 각각 장착하여 제7회전축(37)에 고정한 상단펄프 안내보빈(210)의 위쪽을 지나 아래의 제6롤라(36a) 하단으로 지나게 하고 다시 제19롤러(49a)의 하단을 지나며 다시 제4롤러(34a)와 제3회전축(33)에 고정한 롤러히터(65) 사이를 통과 후 다시 제20롤러(50a) 아래를 지나 제1롤러(31)와 제2롤러(32) 사이를 통과하여 권취롤러(85)에 감겨 지게 한다.
이때, 롤러히터(65)를 지나면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펄프와 멀칭지(800)가 일체로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펄프(462)는 멀칭지(800)의 아랫부분으로 유입되게 하였으며 하단펄프공급릴(461)에서 일측의 하단펄프 안내부빈(211)을 지나 상단부의 제10롤러(40a)와 제11롤러(41a)를 통과하고 호퍼몸체(70)의 아래를 지나 제19롤러(49a) 아래를 거쳐 다시 제4롤러(34a)와 제3회전축(33)에 고정한 롤러히터(65) 사이를 통과 후 다시 제20롤러(50a) 아래를 지나 제1롤러(31a)와 제2롤러(32a) 사이를 통과하여 권취롤러(85)에 감겨 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펄프(462)는 멀칭지(800)의 아래를 통과시켜 준비 상태가 되면 호퍼몸체(70)에 직파용 씨앗을 투입한 상태에서 동력제어부(110)에 전원을 ON 시키면 감속모터(201)가 작동을 시작하여 회전축을 회전하면서 제1스프로킷(1)을 회전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준비하는 과정에서 멀칭지(800)를 가운데로 두고 상부펄프(452)와 하부펄프(462)가 상·하에서 이중으로 겹쳐지도록 되며 접합부(300)의 롤러히터(65)에 전원을 공급하여 예열을 시켜둔다.
상기 제1스프로킷(1)이 회전하면 제1체인(51)에서 전달되는 동력이 제2스프로킷(2)을 회전하여 제1회전축(31)이 회전하면서 제1롤러(31a)를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1회전축(31)의 타측에 결합 된 제4스프로킷(4)의 동시 회전으로 제4스프로킷(4)에 연접된 제2체인(52)은 고정축(90)에 있는 제5스프로킷(5)을 회전시며 권취롤러(85)를 회전하여 멀치지(800)를 감아준다.
제1회전축(31)의 제3스프로킷(3)은 제3체인(53)에 연동하는 제5회전축(35)의 제7스프로킷(7)을 회전함과 동시에 제8스프로킷(8)과 제9스프로킷(9)에 연동되는 제4체인(54)과 제5체인(55)은 다시 제4회전축(34)에 결합된 제6스프라켓(6)과 제10회전축(40)에 고정된 제13스프로킷(13)을 회전하여 준다.
상기의 제5회전축(35)이 회전하면 제5회전축(35)의 제5롤러(35a)와 이에 맞물려 있는 제6회전축(36)의 제6롤러(35a)가 회전을 한다.
또한, 제8스프로킷(8)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받는 제6스프로킷(6)이 회전시 제4회전축(34)에 밀착되어 있는 제3회전축(33)의 롤러히터(65)도 동시에 회전을 시작한다.
상기 제9스프로킷(9)에서 제6체인(56)을 통해 전달받은 동력은 다시 제10회전축(40)에 고정된 제13스프로킷(13)으로 전달되면서 제10회전축(40)을 회전시켜주고 제10회전축(40)에 제13스프로킷(13)과 같이 고정된 제14스프로킷(14)을 통해 제8체인(58)으로 동력이 전달되면 제14회전축(44)의 제17스프로킷(17)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제10회전축(40)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제14회전축(14)이 회전하면 제14회전축(14)에 고정된 제15스프로킷(15)과 제16스프로킷(16)도 동시에 회전을 시작하고 제16스프로킷(16)에 연결된 제7체인(57)은 호퍼부(400)의 제9회전축(39)에 고정된 제12스프로킷(12)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제12스프로킷(12)으로 받은 동력은 동일 축에 고정된 제11스프로킷(11)을 회전하며 제11스프로킷(11)에 연접된 제5체인(55)의 작동에 의해 제8회전축(38)에 고정된 제10스프로킷(10)에 동력이 전해져 제8회전축(38)이 제9회전축(39)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제14회전축(44)이 회전하면서 타측에 고정된 타측에 고정된 회전캠(80)을 작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 캠(80)의 작동시 회전 캠(80)의 돌기(81) 부분의 상사지점에 도달할 시점에 작동대(78)에 결합한 회전베어링(79)을 밀어주며 이와 동시에 작동대(78)는 순간적으로 뒤쪽으로 밀려나감과 동시에 제10회전축(40)을 움직이고 제10회전축(40)에 고정된 절개부(500)의 절단날(77)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멀지지(800)를 절개한다.
상기와 같이 멀칭지(800)를 절개하다 제14회전축(44)의 지속적인 회전으로 회전 캠(80) 돌기(81)의 상사 점 부분이 회전베어링(79)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작동대(78)에 결합한 스프링(95)의 수축에 의해 아래로 당겨지면 제10회전축(40)이 처음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절단날(77) 부분이 멀칭지(800)에서 올라간다.
이와 같이 회전 캠(80)의 작동시마다 멀칭지(800)를 절개하여 주게 되는데 이때 제12회전축(42) 아래의 제13롤러(43a)가 절단날(77) 아래를 받쳐주어 절단이 쉽게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멀칭지(800)가 절개되어 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부펄프공급부(450)의 상단펄프공급링(451)에서 공급되는 상부펄프(452)는 제7회전축(37)의 상단펄프 안내보빈(210)으로 안내되어 아래로 내려져 제6롤러(36a) 아래로 지나가며 다시 제19회전축(49) 아래로 지나며 제4회전축(34)과 제3회전축(33)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제4회전축(34)과 제3회전축(33)을 통과시 제3회전축(33)에 고정된 접합부(300)의 롤러히터(65) 아래를 지나면서 열 접착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입되는 멀칭지(800) 아랫부분에는 하부펄프공급부(460)의 하단펄프 공급 릴(461)에 하부펄프(462)의 롤을 삽입한 다음 상기 하부펄프(462)를 멀칭지(800)의 아랫부분으로 유입되게 하였으며 하단펄프공급 릴(461)에서 일측의 하단펄프 안내부빈(211)을 지나 상단부의 제10롤러(40a)와 제11롤러(41a)를 통과하고 호퍼몸체(70)의 아래를 지나 제19롤러(49a) 아래를 거쳐 다시 제4롤러(34a)와 제3회전축(33)에 고정한 롤러히터(65) 사이를 통과 후 다시 제20롤러(50a) 아래를 지나 제1롤러(31a)와 제2롤러(32a) 사이를 통과하여 권취롤러(85)에 감겨 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펄프(462)는 멀칭지(800)의 아래를 통과하게 되게 절개된 멀칭지(800)에 떨어지는 씨앗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멀칭지(800)를 절개하는 것은 직파용 씨앗의 번식시 빠른 시간 내에 뿌리가 내려 자생력을 높여주기 위함으로 호퍼부(400)의 호퍼몸체(70) 아래로 이동시 호퍼몸체(70)에 있는 관통공(71)과 제8회전축(38)과 제9회전축(39)의 배출공(72)이 일치하면 호퍼몸체(70)에 담겨 있던 씨앗이 배출공(72)을 통해 아래로 조금 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유입되는 멀칭지(800)와 상부펄프(452), 하부펄프(462)가 제3회전축(33)에 고정된 롤러히터(65) 아래를 통과하면 롤러히터(65)의 아래를 밀착하고 있던 제4롤러(34a)와 함께 밀착되어 열 접착으로 멀칭지(800)의 상·하에서 상부펄프(452)와 하부펄프(462)가 일체로 되어 직파용 멀칭지가 완성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과정을 거치면서 접합부(300)를 통과한 멀칭지(800)는 전방의 권취롤러(85)에 지속적으로 감겨 롤로 생산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에 있어 다른 실시 예로 절개부(500)의 절단날(77) 부분을 고정한 제12회전축(42)과 제13롤러(43a)를 결합한 제13회전축(43)을 제거하고 제14회전축(44)의 제14롤러(44a) 다수 곳의 원둘레에 돌기침봉(82)을 돌출시키며 상기 제14회전축(44)의 제14롤러(44a) 상단에 제21롤러(25a)를 일체로 한 제21회전축(25)을 설치한다.
상기의 제21롤러(25)는 실리콘 재나 고무제로 만들어 제14롤러(44a)의 돌기침봉(82)이 쉽게 침투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된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멀칭지(800)가 제14회전축(44)의 제14롤러(44a)와 상단의 제21롤러(25a) 사이를 통과하여 지나가면 제14롤러(44a)의 돌기침봉(82)이 멀칭지(800) 표면을 찍으면서 지나감에 따라 표면에 다수 개의 구멍이 뚫어진다.
상기의 구멍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아주 적은 구멍으로 씨앗들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점과 같은 형태의 구멍이다.
상기와 같은 구멍은 멀칭지(800)를 경작지에 펼쳐 뿌리가 식생하면 그 구멍을 통해 쉽게 지면에 활착할 수 있으며 일단 확 착 된 뿌리가 성장하는 과정에 있어 구멍부분이 쉽게 늘어짐으로 곡물의 성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4롤러(44a)에 돌기침봉(82)을 형성하여 멀칭지(800)를 제조함에 있어 또 다른 이점은 멀칭지(800)에서 돌기침봉(82)이 지나간 자리에 곡물 씨앗이 올려져도 아래로 전혀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하부펄프(462)를 사용하지 않고 상부펄프(452)만 접착하여 생산할 수 있으므로 해서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사용시 멀칭지(800)의 무게가 적은 관계로 노약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몸체부
200: 구동부
300: 접합부
400: 호퍼부
450: 상부 펄프 공급부
460: 하부 펄프 공급부
500: 절개부
550: 소재 공급부

Claims (14)

  1. 프레임으로 구성된 몸체부(100)와,
    기계장치의 동력공급과 작동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110)와,
    멀칭지(800)가 제20롤러(50)의 아래를 지나 감속모터(201)에 의해 구동되는 제1롤러(31a)와 제2롤러(32a) 사이를 통과하여 고정축(90)에 의해 연결되는 권취롤러(85)에 감겨지도록 하는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에 전달되는 멀칭지(800)를 전원이 공급되는 롤러히터(65)와 제4롤러(34a) 사이를 지나면서 멀칭지(800)와 펄프가 열압착되도록 하는 접합부(300)와,
    호퍼몸체(70)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8회전축(38)과 제9회전축(39)에 형성한 관통공(71)과 이 관통공(71)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공(72)을 형성하여 멀칭지(800)에 매입하고자 하는 씨앗 소재를 투하하는 호퍼부(400)와,
    상기 접합부(300)에 공급되는 상부 펄프(452)를 멀칭지(800)의 상부에 밀착되게 공급하는 상부 펄프 공급부(450)와,
    상기 접합부(300)에 공급되는 하부 펄프(462)를 멀칭지(800)의 하부에 밀착되게 공급하는 하부 펄프 공급부(460)와,
    상기 접합부(300)를 지나 호퍼부(400)를 통해 씨앗이 투입된 멀칭지(800)를 하단부로 이동시키면서 선단에 고정한 칼날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개되게 하는 절개부(500) 및
    제18롤러(48a)에 멀칭지 원단을 끼워 공급하는 소재 공급부(550)
    로 구성하는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구동부(200)는 감속모터(201)의 회전축에 제1 스프로킷(1)을 고정하고 멀칭지(800)가 위로 통과하는 제1롤러(31a)의 제1회전축(31) 에는 상호 간에 크기가 다른 대 소로 구분된 제2, 제3 스프로킷(2)(3)을, 타측에는 제4 스프로킷(4)을 고정하며 제1롤러(31a) 상측에 제2회전축(32)의 제2롤러(32a)가 맞닿게 고정하며,
    상기 감속모터(20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1스프로킷(1)과 상기 제1롤러(31a)의 제1회전축(31)에 고정된 제2스프로킷(2)을 제1체인(101)으로 연동 되게 하며
    상기의 제1회전축(31)의 타측에 고정된 제4 스프로킷(4)은 전방에 설치되는 회수용 권취롤러(85)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축(90) 부분에 고정된 제5 스프로킷(5)에 제2체인(52)으로 연동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접합부(300)는 전원이 공급되는 롤러 히터(65)를 고정한 제3회전축(33)과, 그 하단에는 우레탄으로 된 제4롤러(34a)의 제4회전축(34)을 고정하며 제4회전축(34)의 일 측에는 제6스프로킷(6)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롤러히터(65) 표면에 다수 개의 요 홈(66)을 만들어 멀칭지(800)와 상단 펄프(451)와 하단펄프(452)를 3중 열 접착시 완전 밀착되지 않고 다소의 공간이 확보되어 씨앗이 유동 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호퍼부(400)는 멀칭지(800)에 매입하고자 하는 씨앗 소재를 투입하여 아랫부분으로 이동하는 멀칭지(800) 위에 투여하는 부분으로 호퍼몸체(70)의 내부 하단에 다수 개의 관통공(71)을 형성하고 상기의 관통공(71)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공(71)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공(72)을 관통한 제8회전축(38)과 제9회전축(39)으로 되어 있으며, 제8회전축(38)에는 제10스프로킷(10)을 고정하며 제9회전축(39)에는 제11, 제12스프로킷(11)(12)을 고정하였으며,
    상기의 제8회전축(38)의 제10스프로킷(10)과 제9회전축(39)의 제11스프로킷(11)은 제5체인(55)으로 연동 되게 체결하여 제8회전축(38)과 제9회전축(39)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한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절개부(500)는 제12회전축(42)에 다수 개를 설치하여 하단부로 이동하는 멀칭지(800)를 일정하게 부분적으로 절개하는 곳으로 체결부재(75)와 결합한 연결대(76)의 선단에 다수 개의 칼날을 하나의 뭉치로 구성한 절단날(77)을 고정하였으며 제12회전축(42)의 일 측에는 작동대(78)를 고정하고,
    상기의 작동대(78)는 절단날(77)을 일체로 고정한 연결대(76)와 90도 정도의 직각 상태로 고정하며, 상기의 제12회전축(42)의 아래에는 고무제로 된 제13롤러(43a)를 일체로 한 받침용 제13회전축(43)을 설치하며 제13롤러(43a)의 일 측에는 제14롤러(44a)을 일체로 한 제14회전축(44)을 작동되게 고정하며 상기 제14회전축(44)에는 제15, 제16, 제17 스프로킷(15)(16)(17)을 설치하며,
    상기의 제14회전축(44)의 일측에는 제15롤러(45a)와 일체로 한 제15회전축(45)을 설치하며 상기 제15회전축(45)에는 제18스프로킷(18)을 고정하고,
    상기의 제9회전축(39)의 제12스프로킷(12)은 제14회전축(44)의 제15스프로킷(15)과 제7체인(57)으로 연동하게 하며, 제10회전축(40)의 제14스프로킷(14)은 제14회전축(44)의 제17스프로킷(17)과 제8체인(58)으로 연동하게 하며,
    상기 제14회전축(44)의 제16스프로킷(16)은 제15회전축(45)의 제18스프로킷(18)과 제9체인(59)으로 연동하며 상기의 제15회전축(45)에 일체로 한 제15롤러(45a) 상단에는 제16회전축(46)과 일체로 된 제16롤러(46a)를 밀착되게 고정하고,
    상기 제15회전축(45)의 타측에는 180도 상에 대향 되는 위치에 각각 돌기(81)를 돌출시킨 회전 캠(80)을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의 회전 캠(80)은 제15회전축(45)의 회전시 작동하며 회전 캠(80)의 회전으로 돌기(81) 부분이 제10회전축(40)의 회전에 의해 돌기(81)의 상사 점 부분이 작동대(78)를 밀어주면 제10회전축(40)이 작동하여 제10회전축(40)에 고정되어 있던 연결대(76) 부분이 아래로 내려짐과 동시에 연결대 선단에 고정한 절단날(77)이 멀칭지(800)를 절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펄프 공급부(450)는 상부 펄프 공급부(450)에서 공급되는 상부펄프(452)를 상단펄프 공급릴(451)에 각각 장착하여 제7회전축(37)에 고정한 상단펄프 안내보빈(210)의 위쪽을 지나 아래의 제6롤러(36a) 하단으로 지나게 하고 다시 제19롤러(49a)의 하단을 지나며 다시 제4롤러(34a)와 제3회전축(33)에 고정한 롤러히터(65) 사이를 통과 후 다시 제20롤러(50a) 아래를 지나 제1롤러(31)와 제2롤러(32) 사이를 통과하여 권취롤러(85)에 감기게 함을 특징으로 한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하부 펄프 공급부(460)는 제6회전축(36)의 하단에 구성되며 하부펄프(462)의 하부펄프 공급릴(461)과 하단펄프 안내보빈(211)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멀칭지 소재 공급부(550)는 일측에 제19스프로킷(19)을 고정축(90)에 고정하고 고정축(90) 전방에 제18롤러(48a)를 고정한 제18회전축(48)을 안착하며 제18회전축(48) 일측에는 제20스프로킷(20)을 고정하여 제19스프로킷(19)과 제10체인(60)으로 연동하게 하고 타 측 부분은 쉽게 분리하기 위해 일 측 안치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로 쉽게 멀칭지(800)가 안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칭지 소재 공급부(550)에서 공급되는 멀칭지(800)가 제18회전축(48)의 제18롤러(48a) 상에 멀칭지(800)가 말려져 있는 소재를 끼운 후 멀칭지(800)를 넓게 펼친 상태에서 제15회전축(45)의 제15롤러(45a)와 제16회전축(46)의 제16롤러(46a) 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제14롤러(44a)와 제13롤러(43a)의 상단을 지나 제10롤러(40a)와 제11롤러(41a) 사이를 통과하여 호퍼몸체(70)의 아래로 지나 제19롤러(49a) 아래를 거쳐 다시 제4롤러(34a)와 제3회전축(33)에 고정한 롤러히터(65) 사이를 통과 후 다시 제20롤러(50) 아래를 지나 제1롤러(31a)와 제2롤러(32a) 사이를 통과하여 권취롤러(85)에 감겨 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멀칭지 상단에 올려지는 상부 펄프 공급부(450)에서 공급되는 상부펄프(452)와 하부 펄프 공급부(460)에서 공급되는 하부펄프(462)가 멀칭지(800)의 상부, 하부에서 열 압착되는 3층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펄프(462)를 공급하는 접착소재공급부(700)는 하단펄프 안내보빈(211)의 하부에 설치하며 하단펄프 안내보빈(211)의 일측에 보조롤러(702)를 설치하며 하단펄프 안내보빈(211)은 접착소재공급용기(701)에 내측에서 회전되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500)의 절단날(77) 부분을 고정한 제12회전축(42)과 제13롤러(43a)를 결합한 제13회전축(43)을 제거하고 제14회전축(44)의 제14롤러(44a) 다수 곳의 원둘레에 돌기침봉(82)을 돌출시키며 상기 제14회전축(44)의 제14롤러(44a) 상단에 제21롤러(25a)를 일체로 한 제21회전축(25)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멀칭지 상단에 올려지는 상부 펄프 공급부(450)에서 공급되는 상부펄프(452)가 멀칭지(800)의 상부에서 열 압착되는 복층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KR1020120079608A 2012-07-20 2012-07-20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KR10142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608A KR101424785B1 (ko) 2012-07-20 2012-07-20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608A KR101424785B1 (ko) 2012-07-20 2012-07-20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887A KR20140011887A (ko) 2014-01-29
KR101424785B1 true KR101424785B1 (ko) 2014-08-01

Family

ID=5014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608A KR101424785B1 (ko) 2012-07-20 2012-07-20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3497B (zh) * 2014-03-18 2016-04-06 沈阳农业大学 用于种绳直播机的自动剪绳装置
CN106717174B (zh) * 2017-02-06 2023-05-09 贵州大学 一种苗期收卸膜机的扶苗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74B1 (ko) 2006-05-19 2007-09-17 권영보 분해성 씨앗 봉합시트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936993B1 (ko) 2008-08-08 2010-01-15 이원권 볍씨 발아용 수분해성 부직포 시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10006807U (ko) * 2009-12-30 2011-07-07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종자 및 비료가 부착된 멀칭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74B1 (ko) 2006-05-19 2007-09-17 권영보 분해성 씨앗 봉합시트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936993B1 (ko) 2008-08-08 2010-01-15 이원권 볍씨 발아용 수분해성 부직포 시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10006807U (ko) * 2009-12-30 2011-07-07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종자 및 비료가 부착된 멀칭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887A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194B1 (ko) 조파식 마늘 파종기
US51653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ting seeds, fertilizing and applying chemicals using biodegradable applicator tape
JP2011254715A (ja) 葉物野菜の播種機
KR101662133B1 (ko) 건답용 직파장치
CN109843037A (zh) 用于旱种稻田的直播装置
CA3121773C (en) Covering soil mulching apparatus having soil clogging prevention function
CN106134552A (zh) 带状破茬碎土免耕播种机
US3468267A (en) Mulching and seeding apparatus
KR101424785B1 (ko) 씨앗을 매입한 직파용 멀칭지 제조장치
JP2014018115A (ja) 根茎菜の栽培方法および溝形成用マルチ農機具
KR102117835B1 (ko) 멀칭필름에 씨앗의 성장영역 형성이 가능한 멀칭기
KR20140003094A (ko) 킹 로터리 경운장치
KR200367543Y1 (ko) 필름절단기를 포함하는 필름피복장치
KR101303217B1 (ko) 씨앗 피복장치
KR102117837B1 (ko) 멀칭필름 커팅장치 및 이를 장착한 멀칭기
KR101171941B1 (ko) 낙엽 관목 전정과 파쇄 복합장비
JP3124431U (ja) 土中ネット敷設装置
KR101693499B1 (ko) 고설재배용 작물뿌리 파쇄장치
JPH05276804A (ja) 同時に施肥を行う種紐播種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789729B2 (ja) 葉菜類の播種機
JP2007006847A (ja) 農作物の栽培、収穫、調整方法
KR101663590B1 (ko) 씨앗 부착장치
RU2580149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корнеплодов
KR20190036674A (ko) 병목해소장치와 절단장치가 구비된 감자 파종기
KR20160005397A (ko) 잡초 발생 방지용 씨드 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